KR101942062B1 -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 Google Patents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062B1
KR101942062B1 KR1020120132177A KR20120132177A KR101942062B1 KR 101942062 B1 KR101942062 B1 KR 101942062B1 KR 1020120132177 A KR1020120132177 A KR 1020120132177A KR 20120132177 A KR20120132177 A KR 20120132177A KR 101942062 B1 KR101942062 B1 KR 10194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picker
guide
axis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275A (ko
Inventor
성기주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2013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062B1/ko
Priority to CN201310573224.7A priority patent/CN103831254B/zh
Priority to TW102141628A priority patent/TWI506285B/zh
Publication of KR2014006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는 반도체소자를 제 1 위치에서 파지하여 제 2 위치로 이송시켜 파지 해제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을 X축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X축 방향 레일; 상기 본체에 X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픽커 군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 상기 픽커 모듈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X축 간격 조절장치; 각각의 상기 픽커 모듈에 Y축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픽커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Y축 간격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픽커 모듈은, X축 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가이드; 상기 제 1 가이드에 설치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 방향 레일; 및 상기 Y축 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Y축 간격 조절장치의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PICK AND PLACE APPARATUS FOR TEST HANDLER}
본 발명은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특히, 반도체소자)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하는 테스터(TESTER)와 테스터에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장비인 테스트핸들러(TEST HANDLER)가 필요하다.
테스트핸들러는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 다수의 반도체소자를 행렬 형태로 적재한 상태에서 한꺼번에 운반할 수 있는 테스트트레이(TEST TRAY)를 사용한다.
반도체소자는 테스트트레이('캐리어보드(CARRIER BOARD)'라고도 함)에 적재된 상태에서 테스터의 테스트소켓(TEST SOCKET)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들 사이의 간격은 테스터의 테스트소켓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야 한다.
한편, 테스트핸들러로 테스트될 반도체소자는 고객트레이(USER TRAY)에 적재된 상태로 공급된다. 고객트레이는 반도체소자의 적재 및 보관이 주요 목적이므로, 적재 용량 증대를 위해 반도체소자들의 적재 간격이 테스트트레이의 반도체소자 적재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테스트핸들러에는 고객트레이에 적재된 미테스트 상태의 반도체소자들을 테스트트레이로 이동시키거나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테스트 완료된 상태의 반도체소자를 고객트레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픽앤플레이스장치(PICK AND PLACE APPARATUS)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고객트레이와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들은 적재된 간격이 서로 다르므로, 테스트핸들러는 고객트레이와 테스트트레이 상호간의 반도체소자 이동 시 반도체소자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도 갖추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핸들러(TH)는, 테스트트레이(TT), 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LH), 한 벌의 소팅테이블(STa, STb), 소팅용 픽앤플레이스장치(SH),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U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트레이(TT)는 로딩위치(LP)에서 테스트위치(TP) 및 언로딩위치(UP)를 거쳐 다시 로딩위치(LP)로 이어지는 순환경로(C) 상을 순환한다.
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LH)는, 로더 등으로도 불리며, 고객트레이(CT1)에 적재되어 있는 반도체소자를 로딩위치(LP)에 있는 캐리어보드(CB)로 로딩(loading)시킨다. 처리속도를 향상을 위해 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LH)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는 2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한 벌의 소팅테이블(STa, STb) 각각은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정의 함, 이하 같다)으로 스텝 왕복 운동이 가능하며, 다수의 반도체소자를 행렬 형태로 적재할 수 있다.
소팅용 픽앤플레이스장치(SH)는, 소터 등으로도 불리며, 언로딩위치(UP)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에 적재된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소자를 소팅테이블(STa, STb)로 이동 적재시킨다. 이러한 소팅용 픽앤플레이스장치(SH)는 기동성을 위한 경량화 또는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UH)와의 동작 간섭 제거 등의 목적으로 대개의 경우 X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보충하기 위해 소팅테이블(STa, STb)이 전후 방향으로 스텝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UH)는, 언로더 등으로도 불리며, 소팅테이블(STa, STb)에 적재되어 있는 반도체소자를 빈 고객트레이(CT2)로 이동 적재시킨다.
위에서 예를 든 테스트핸들러(TH)에서는, 언로딩(unloading)의 신속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로딩 측과는 달리 소팅용 픽앤플레이스장치(SH), 소팅테이블(STa, STb) 및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장치(UH)로 구성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성이 분업하여 언로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테스트트레이(TT)에 적재된 반도체소자의 간격은 테스터의 테스트소켓 간의 간격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면, 테스트트레이(TT)에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t로 일정하고, Y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a, b(b > a), a, b, a, b ... 으로 반도체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소팅테이블(STa, STb)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들의 X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s(s < t)로 일정하고, Y축 방향으로의 간격도 u(2u = a)로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테스트트레이(TT)와 소팅테이블(STa, STb)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들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테스트트레이(TT)로부터 소팅테이블(STa, STb)로 반도체소자를 이동시키는 소팅용 픽앤플레이스장치(SH)는 픽커(PICKER, 픽커 1개당 1개의 반도체소자를 파지할 수 있음)들 사이의 간격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9945호(특허문헌 1)에서는 픽커들의 간격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픽앤플레이스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픽앤플레이스장치는 픽커들의 간격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캠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크고, 기구적인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X축 방향 이동과 Y축 방향 이동을 각각 따로따로 제어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9086호(특허문헌 2)에서도 픽커들의 간격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픽앤플레이스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픽앤플레이스장치는 X축 방향 이동과 Y축 방향 이동을 각각 따로따로 제어할 수는 있지만 캠판을 사용함으로써 특허문헌 1에 따른 픽앤플레이스장치와 마찬가지로 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크고, 기구적인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X축 방향 이동과 Y축 방향 이동을 각각 따로따로 제어할 수는 있으나, 변위량을 조절하지 못하므로, 특허문헌 1에 따른 픽앤플레이스장치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9945호 (2010.07.08.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9086호 (2011.06.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크기가 작으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픽커들의 X축 방향 간격과 Y축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픽커들의 이동 변위를 조절할 수 있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는 반도체소자를 제 1 위치에서 파지하여 제 2 위치로 이송시켜 파지 해제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을 X축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X축 방향 레일; 상기 본체에 X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픽커 군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 상기 픽커 모듈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X축 간격 조절장치; 각각의 상기 픽커 모듈에 Y축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픽커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Y축 간격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픽커 모듈은, X축 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가이드; 상기 제 1 가이드에 설치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 방향 레일; 및 상기 Y축 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Y축 간격 조절장치의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에는 상기 보조 레일에 연결되는 보조 레일 연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X축 간격 조절장치는, 제 1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구동풀리; 각각의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 및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Y축 간격 조절장치는, 제 2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볼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는 상기 볼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너트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픽커 모듈들 전체, 또는 상기 픽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각각 상기 벨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X축 방향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픽커 모듈에 포함된 다수 개의 상기 픽커군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볼너트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는 다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구동풀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에 연결되지 않는 상기 픽커 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 상기 벨트, 상기 종동풀리 각각 2개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구동풀리의 직경은 1:2의 비율을 가지며, 상기 픽커 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제 2 픽커 모듈; 상기 제 2 픽커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작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상기 벨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픽커 모듈; 상기 제 2 픽커 모듈의 타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작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상기 벨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픽커 모듈; 및 상기 제 2 픽커 모듈의 타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큰 상기 구동풀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4 픽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픽커들의 X축 방향 간격과 Y축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작고 간단한 구조를 갖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픽커의 X축 방향 이동 변위와 Y축 방향 이동 변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테스트핸들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의 픽앤플레이스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터 및 측벽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본체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4의 픽커 모듈들이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제 1 픽커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Y축 간격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4의 픽앤플레이스장치의 X축 방향 간격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도 4의 픽앤플레이스장치의 Y축 방향 간격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의 픽앤플레이스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터 및 측벽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본체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의 픽앤플레이스장치(10)는 반도체소자를 제 1 위치에서 파지하여 제 2 위치로 이송시켜 파지 해제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PM)을 X축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는 장치로서, 본체(100), 본체(100)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픽커(P1 ~ P8)를 구비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PM), 픽커 모듈들(PM)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X축 간격 조절장치(200), 및 각각의 픽커 모듈(600, 700, 800, 900)에 구비된 다수 개의 픽커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Y축 간격 조절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앤플레이스장치(10)는 테스트핸들러(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픽앤플레이스장치(1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본체(100)만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 개의 본체(100)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묶음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측벽(120) 및 제 2 측벽(130), 베이스(110) 및 제 1, 2 측벽(120, 130)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전판(140),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픽커 모듈들(PM)의 이동을 안내하는 X축 방향 레일(112,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중앙에 구멍(116)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X축 방향 레일(112, 114)은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베이스(11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X축 방향 레일(112, 114)은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0)의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110)는 X축 방향 레일(112, 114)의 주변에 제 2 픽커 모듈(700)을 고정시키기 위한 픽커 모듈 고정부(115)를 포함한다.
픽커 모듈들(PM) 중 일부(600, 800, 900)는 본체(100)의 X축 방향 레일(112, 114)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700)는 본체(100)에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픽커 모듈(700)은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픽커 모듈들(PM) 전체가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픽커 모듈(600, 700, 800, 900)이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X축 방향을 따라 각각의 픽커 모듈을 제 1 픽커 모듈(600), 제 2 픽커 모듈(700), 제 3 픽커 모듈(800), 제 4 픽커 모듈(900)이라고 지칭한다.
픽커 모듈들(PM)은 각각 한 쌍의 픽커(P1과 P5, P2와 P6, P3와 P7, P4와 P8)를 구비하며, 한 쌍의 픽커들 사이의 간격은 Y축 간격 조절장치(3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픽커 모듈(600)에는 제 1 픽커(P1)와 제 5 픽커(P5)가 연결되고, 제 2 픽커 모듈(700)에는 제 2 픽커(P2)와 제 6 픽커(P6)가 연결되며, 제 3 픽커 모듈(800)에는 제 3 픽커(P3)와 제 7 픽커(P7)가 연결되고, 제 4 픽커 모듈(900)에는 제 4 픽커(P4)와 제 8 픽커(P8)가 연결되며, 제 1 픽커(P1)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된 픽커군(P1, P2, P3, P4)와 제 5 픽커(P5)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된 픽커군(P5, P6, P7, P8)의 간격은 Y축 간격 조절장치(3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픽커군이 픽커 모듈들(PM)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픽커군이 제공될 수도 있다.
픽커(P1 내지 P8)는 외부의 동력원(미도시)과 연동되어 공기를 흡입, 배출함으로써 반도체소자를 파지하거나 놓는 기능을 하며, 상단부는 동력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픽커 모듈에 한 쌍의 픽커가 설치되어 총 8개의 픽커가 픽앤플레이스장치(10)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체 픽커의 개수 및 각각의 픽커 모듈에 배치되는 픽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X축 간격 조절장치(2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M1), 제 1 모터(M1)에 연결된 제 1 구동풀리(211), 제 1 구동풀리(211)로부터 제 1 벨트(B1)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 1 종동풀리(212), 제 1 종동풀리(212)에 연결되는 제 1 샤프트(S1), 제 1 샤프트(S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풀리(213) 및 제 3 구동풀리(214), 제 2 구동풀리(213)로부터 제 2 벨트(B2)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 2 종동풀리(215), 제 3 구동풀리(214)로부터 제 3 벨트(B3)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 3 종동풀리(216), 제 2 종동풀리(215) 및 제 3 종동풀리(216)가 결합되는 제 2 샤프트(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M1)는 제 1 지지 브라켓(122)에 의해 본체(100)에 고정되며, 구체적으로 제 1 지지 브라켓(122)은 제 1 측벽(120)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되며 제 1 모터(M1)가 본체(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터(M1)는 픽커 모듈들(PM)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력을 제공하며, 제 1 구동풀리(211), 제 1 벨트(B1), 제 1 종동풀리(212)를 통해 제 1 샤프트(S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풀리(211), 제 1 벨트(B1), 제 1 종동풀리(212)는 본체(100)의 외측을 향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S1)의 회전에 의해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구동풀리(214)는 함께 회전된다.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구동풀리(214)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 예로 제 2 구동풀리(213)의 직경은 제 3 구동풀리(214)의 직경의 2배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구동풀리(213) 및 제 3 구동풀리(214)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픽커 모듈들(PM) 사이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 2 종동풀리(215)와 제 3 종동풀리(216)는 각각 대응되는 제 2 구동풀리(213) 및 제 3 구동풀리(214)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벨트(B2) 및 제 3 벨트(B3)가 풀리에 감겨져 있지 않은 부분이 베이스(110), 구체적으로는 레일(112, 114)과 평행 상태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구동풀리(214)가 회전되면, 제 2 벨트(B2) 및 제 3 벨트(B3)는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제 2 벨트(B2) 및 제 3 벨트(B3)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 연결부(650, 850, 950)도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픽커 모듈(600)의 벨트 연결부(650)와 제 3 픽커 모듈(800)의 벨트 연결부(850)는 제 3 벨트(B3)에 연결되어 제 3 벨트(B3)와 함께 이동하고, 제 4 픽커 모듈(900)의 벨트 연결부(950)는 제 2 벨트(B2)에 연결되어 제 2 벨트(B2)와 함께 이동된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제 1 샤프트(S1)는 제 1 측벽(120)을 통과해 본체(100)의 내측 공간으로 연결되며, 제 2 구동풀리(213), 제 3 구동풀리(214), 제 2 벨트(B2), 제 3 벨트(B3), 제 2 종동풀리(215), 제 3 종동풀리(216)는 본체(100)의 내측 공간, 즉 제 1 측벽(120)과 제 2 측벽(1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샤프트(S1) 및 제 2 샤프트(S2)에는 제 1 측벽(120) 및 제 2 측벽(130)에 결합되기 위한 베어링(217, 218)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구동풀리(214)가 서로 독립적인 풀리로서 제 1 샤프트(S1)에 연결되고, 제 2 종동풀리(215)와 제 3 종동풀리(216)가 서로 독립적인 풀리로서 제 2 샤프트(S2)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구동풀리(214)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2개의 벨트 감김 부분을 갖는 하나의 풀리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회전축을 갖되 기어 등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Y축 간격 조절 장치(3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M2), 제 2 모터(M2)에 연결된 제 4 구동풀리(311), 제 4 구동풀리(311)로부터 제 4 벨트(B4)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 4 종동풀리(312), 제 4 종동풀리(312)에 연결되는 볼스크류(320), 볼스크류(32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볼너트(330), 볼스크류(320)를 본체(100)에 지지하는 볼스크류 지지부(340), 볼너트(330)에 결합되어 볼너트(330)와 함께 이동되는 브라켓(350), 브라켓(350)에 연결된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에 연결된 보조 레일(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터(M2)는 제 1 모터(M1)와 마찬가지로 제 2 지지 브라켓(124)에 의해 제 1 측벽(1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모터(M1)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 2 모터(M2)는 픽커들 사이의 Y축 간격을 조절하는 동력을 제공하며, 제 4 구동풀리(311), 제 4 벨트(B4), 제 4 종동풀리(312)를 통해 볼스크류(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4 구동풀리(311), 제 4 벨트(B4), 제 4 종동풀리(312)는 본체(100)의 외측을 향해 마련될 수 있다.
볼스크류(320)와 볼너트(330)는 제 4 종동풀리(312)의 회전 운동을 직진운동으로 전환하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볼스크류(32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스크류 지지부(340)는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볼스크류(320)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스크류 지지부(340)는 전판(1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는 볼스크류(320)의 회전 및 이에 따른 볼너트(330)의 이동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픽커 모듈들(PM)의 제 2 가이드(620 등)들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 2 가이드(620 등)들은 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픽커들 사이의 Y축 방향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8은 도 4의 픽커 모듈들이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 1 픽커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Y축 간격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픽커 모듈들(PM)은 베이스(110)에 설치된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베이스(110) 및 그 상부 구조를 생략한 도면이다.
제 1 픽커 모듈(600), 제 3 픽커 모듈(800), 제 4 픽커 모듈(900)은 모두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픽커 모듈(700)은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연결되기는 하나, 베이스(110)에 고정됨으로써 X축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는다.
제 1 픽커 모듈(60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X축 방향 레일(112, 114)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가이드(610), 제 1 가이드(610)를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연결하는 한 쌍의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12, 614), 제 1 가이드(610)에 고정되며 제 1 픽커(P1)가 연결되는 제 1 암(642), 제 1 가이드(610)에 설치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 방향 레일(630), Y축 방향 레일(630)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가이드(620), 제 2 가이드(620)에 고정되며 제 2 픽커(P2)가 연결되는 제 2 암(644), 제 2 가이드(620)를 Y축 방향 레일(630)에 연결하는 Y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22), 제 2 가이드(620)를 보조 레일(370)에 연결하는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610)는 일측이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 1 암(642)은 제 1 가이드(610)의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암(642)은 제 2 암(644)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각각 제 1 픽커(P1)와 제 5 픽커(P5)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12, 614)는 제 1 가이드(610)에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가이드(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12, 614)는 제 1 가이드(610)의 X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도 하면서, 제 1 가이드(610)가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X축 방향 레일(112, 114) 및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12, 614)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가이드(610)는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12, 614)에 의해 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픽커 모듈(600)이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Y축 방향 레일(630)은 제 1 가이드(6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 가이드(620)의 Y축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Y축 방향 레일(630)은 픽커들의 Y축 간격 조절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가이드(610)의 절곡부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610)의 절곡 부분과 반대 방향의 제 2 가이드(620)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제 2 암(644)은 제 2 가이드(620)의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Y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22)는 제 2 가이드(6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 2 가이드(6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는 제 2 가이드(620)의 저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 2 가이드(6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Y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22)는 제 2 가이드(620)의 Y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도 하면서, 제 2 가이드(620)가 Y축 방향 레일(630)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Y축 방향 레일(630) 및 Y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22)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는 Y축 간격 조절장치(300)의 보조 레일(3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공되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의 움직임을 제 2 가이드(62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면 보조 레일(370)이 함께 움직이고, 보조 레일(370)이 움직이면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가 함께 움직이므로 결과적으로 제 2 가이드(6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12, 614)와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는 동일한 방향으로 레일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하며, Y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622)는 이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한다.
한편, 제 1 가이드(610)에는 제 3 벨트(B3)와 제 1 픽커 모듈(600)을 연결하기 위한 벨트 연결부(650)가 결합된다. 벨트 연결부(650)는 제 3 벨트(B3)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제 3 벨트(B3)와 함께 이동된다. 벨트 연결부(650)의 움직임에 의해 제 1 가이드(610)가 이동되고, 결국 제 1 픽커 모듈(600)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610)의 벨트 연결부(650)는 제 1 가이드(610)로부터 제 3 벨트(B3)의 상측 부분의 저면까지 연장되는 연결암(651), 제 3 벨트(B3)의 타측으로부터 연결암(651)에 결합되어 제 3 벨트(B3)에 연결암(651)을 고정하는 커버(6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암(651)은 베이스(110)의 구멍(116)을 통해 제 1 가이드(610)로부터 제 3 벨트(B3)까지 연장되며, 제 1 가이드(610) 및 제 3 벨트(B3)의 위치 및 주변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암(651)의 상단부 및 커버(652)의 저부에는 제 3 벨트(B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 3 벨트(B3)의 형태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벨트(B3)와 벨트 연결부(650)의 고정은, 형합, 접착, 볼트 등에 의한 체결력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제 2 픽커 모듈(700)과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은 기본적으로 제 1 픽커 모듈(60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픽커 모듈(700)과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의 구성 중 제 1 픽커 모듈(6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또한, 제 2 픽커 모듈(700)과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의 구성요소 중 제 1 픽커 모듈(600)의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3자리 숫자 중 백의 자리 숫자만 각각의 픽커 모듈에 대응되는 것으로 변경된 것으로 한다. 즉, 제 2 픽커 모듈(700)의 제 1 가이드는 710으로, 제 3 픽커 모듈(800)의 제 1 가이드는 810으로, 제 4 픽커 모듈의 제 1 가이드는 910으로 지시될 수 있다.
제 2 픽커 모듈(700)의 제 1 가이드(710)는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끼워지며, 기 설정된 위치에서 베이스(110)에 고정된다. 제 1 가이드(710)의 상부에는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712, 714)가 마련되고,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712, 714)에는 베이스(110)의 픽커 모듈 고정부(115)에 대응되는 체결홀(716)이 마련된다. 체결홀(716)과 픽커 모듈 고정부(115)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2 픽커 모듈(700)은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베이스(1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712, 714)가 마련되어 제 1 가이드(710)가 X축 방향 레일(112, 114)에 끼워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2 픽커 모듈(700)은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712, 714)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픽커 모듈(700)의 제 2 가이드(720)도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 1 픽커 모듈(600)의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에 대응되는 구성도 생략될 수 있다. 그 대신에, 제 2 가이드(720)의 Y축 방향 이동을 위해 제 2 가이드(720)의 저부는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에는 제 2 픽커 모듈(700)의 제 2 가이드(7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픽커 모듈 고정부(36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은 벨트 연결부(850, 950)를 제외한 전체 구성이 제 1 픽커 모듈(60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3 픽커 모듈(800)의 벨트 연결부(850)는 제 3 벨트(B3)의 하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 픽커 모듈(600)의 벨트 연결부(650)와 제 3 픽커 모듈(800)의 벨트 연결부(850)는 동일한 제 3 벨트(B3)에 연결되고, 각각 제 3 벨트(B3)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 연결되므로, 제 3 벨트(B3)의 회전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 픽커 모듈(600)과 제 3 픽커 모듈(800)의 이동 거리는 동일하다.
제 4 픽커 모듈(900)의 벨트 연결부(950)는 제 2 벨트(B2)의 하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2 벨트(B2)를 이동시키는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벨트(B3)를 이동시키는 제 3 구동풀리(214)의 직경에 차이가 있으므로, 제 4 픽커 모듈(900)의 이동량은 제 1 픽커 모듈(600) 및 제 3 픽커 모듈(700)의 이동량과 다르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제 2 구동풀리(213)의 직경이 제 3 구동풀리(214)의 직경의 2배인 경우, 제 4 픽커 모듈(900)의 이동량은 제 1 픽커 모듈(600) 및 제 3 픽커 모듈(700)의 이동량의 2배가 된다.
한편, Y축 간격 조절장치(300)의 볼스크류 지지부(340)는 베이스(110)에 고정되어 볼스크류(32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볼너트(330)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볼스크류(320)에 끼워지고, 브라켓(350)이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50)은 볼너트(330)에 결합되어 볼너트(330)와 함께 이동되고,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는 브라켓(350)에 결합된다.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는 브라켓(35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3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브라켓(350)에 고정된다.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는 제 2 픽커 모듈(700)의 제 2 가이드(720)가 고정될 수 있는 제 2 픽커 모듈 고정부(36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2 픽커 모듈 고정부(364)는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일 수 있다. 이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픽커 모듈(700)의 제 2 가이드(7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조 레일(370)은 Y축 방향 이동가이드(36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X축 방향 레일(112, 114)와 동일하게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조 레일(370)은 제 1 픽커 모듈(600)의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 및, 제 3 픽커 모듈(800)의 보조 레일 연결부재(824)와 제 4 픽커 모듈(900)의 보조 레일 연결부재(9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1 픽커 모듈(600)의 제 2 가이드(620) 및 제 3 픽커 모듈(800)의 제 2 가이드(820), 제 4 픽커 모듈(900)의 제 2 가이드(920)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픽커 모듈(700)은 보조 레일(370)에 연결되지 않고 직접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픽커 모듈(700)에도 보조 레일(370)에 연결되기 위한 보조 레일 연결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앤플레이스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2는 도 4의 픽앤플레이스장치의 X축 방향 간격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모터(M1)가 소정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구동력은 제 1 구동풀리(211)로부터 제 1 벨트(B1)를 통해 제 1 종동풀리(212)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 1 종동풀리(212)에 연결된 제 1 샤프트(S1)가 회전된다.
제 1 샤프트(S1)가 회전되면, 제 1 샤프트(S1)에 연결된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3 구동풀리(214)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 2 구동풀리(213) 및 제 3 구동풀리(214)에 각각 제 2 벨트(B2) 및 제 3 벨트(B3)로 연결된 제 2 종동풀리(215) 및 제 3 종동풀리(216)도 함께 회전되며, 제 2 벨트(B2) 및 제 3 벨트(B3)는 제 1 샤프트(S1)의 회전 방향, 즉, 제 1 모터(M1)의 정회전/역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 구동풀리(213)의 직경은 제 3 구동풀리(214)의 2배이므로, 제 2 벨트(B2)의 이동량은 제 3 벨트(B3)의 이동량의 2배가 된다.
또한, 제 1 샤프트(S1)와 제 2 샤프트(S2)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제 2 종동풀리(215)와 제 3 종동풀리(216)가 각각에 대응되는 구동풀리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2 벨트(B2)와 제 3 벨트(B3)의 중간 부분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이동될 수 있다.
제 2 벨트(B2)의 이동에 의해, 제 2 벨트(B2)에 고정되어 있는 제 4 픽커 모듈(400)의 벨트 연결부(950)가 이동됨으로써 제 4 픽커 모듈(400)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 3 벨트(B3)의 이동에 의해, 제 3 벨트(B3)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픽커 모듈(600)의 벨트 연결부(650) 및 제 3 픽커 모듈(800)의 벨트 연결부(850)가 이동됨으로써, 제 1 픽커 모듈(600) 및 제 3 픽커 모듈(800)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 1, 3, 4 픽커 모듈(600, 800, 900)의 이동은 X축 방향 레일(112, 114) 및 보조 레일(370)에 의해 안내된다.
도 12에서, 제 1 샤프트(S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3 벨트(B3)의 상측 부분에 연결된 제 1 픽커 모듈(600)은 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3 벨트(B3)의 하측 부분에 연결된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2 벨트(B2)의 하측 부분에 연결된 제 4 픽커 모듈(900)은 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샤프트(S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픽커 모듈(600)과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의 이동 방향은 전환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제 2 픽커 모듈(700)은 베이스(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위와 같은 벨트 연결부들(650, 850, 950)의 배치에 의해, 제 1 픽커 모듈(600)과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은 제 2 픽커 모듈(700)을 중심으로 모였다가 벌어졌다 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각각의 픽커 모듈사이의 거리가 a로 셋팅된 경우, 제 1 샤프트(S1)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제 3 벨트(B3)가 d만큼 회전된 경우, 제 1 픽커 모듈(600)은 d만큼 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3 픽커 모듈(800)은 d만큼 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4 픽커 모듈(900)은 2d만큼 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각각의 픽커 모듈들 사이의 간격은 (a-d)로 동일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픽커 모듈이 4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픽커 모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구동풀리 및 벨트의 개수를 늘리거나 감소시킴으로써 각각의 픽커 모듈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2 픽커 모듈(700)은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픽커 모듈(700)도 벨트에 연결되어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픽커 모듈(600)과 제 4 픽커 모듈(900)은 회전 반경이 큰 제 2 벨트(B2)에 연결되고, 제 2 픽커 모듈(700)과 제 3 픽커 모듈(800)은 회전 반경이 작은 제 3 벨트(B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동풀리(213)의 직경을 제 3 구동풀리(214)의 직경의 3배로 함으로써 각각의 픽커 모듈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구동풀리에 의해 이동되는 벨트에 픽커 모듈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픽커 모듈들 사이의 X축 방향 간격을 조절한다는 데에 있으며, 위와 같은 픽커 모듈의 개수, 픽커 모듈의 고정 여부 등과 같은 변형 실시는 당업자가 간단한 수학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도 13 및 도 14는 도 4의 픽앤플레이스장치의 Y축 방향 간격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모터(M2)가 소정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구동력은 제 4 구동풀리(311)로부터 제 4 벨트(B4)를 통해 제 4 종동풀리(312)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 4 종동풀리(312)에 연결된 볼스크류(320)가 회전된다.
볼스크류(320)가 회전되면, 볼너트(330)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볼너트(330)에 연결된 브라켓(350)과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 및 보조 레일(370)이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픽커 모듈(600)과 제 3 픽커 모듈(800) 및 제 4 픽커 모듈(900)은 보조 레일 연결부재(624, 824, 924)로 보조 레일(37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볼너트(330)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라 보조 레일(370)과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 2 픽커 모듈(700)은 제 2 가이드(720)가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볼너트(330)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라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볼너트(330)의 이동에 따라 모든 픽커 모듈들(PM)이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Y축 방향 이동 가이드(360) 및 보조 레일(370)과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각각의 픽커 모듈의 제 2 가이드(620, 720, 820, 920)이며, 제 1 가이드(610, 710, 810, 910)에 설치된 Y축 방향 레일(630, 730, 830, 930)에 의해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픽커 모듈에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가 제공되고,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에 각각 한 쌍의 픽커가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각의 픽커 모듈은 한 쌍 이상의 Y축 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열되는 픽커를 포함하고, 각각의 픽커는 서로 단계적으로 연결되며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가이드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이드는 Y축 간격 조절장치에 연결되어 이동됨으로써, 픽커들 간의 Y축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앤플레이스장치(10)는 픽커들(P1~P8)의 X축 방향 간격과 Y축 방향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나, 종래기술에 비해 그 전체적인 구조가 작고 간단하다.
또한, 픽앤플레이스장치(10)는 픽커의 X축 방향 이동 변위와 Y축 방향 이동 변위를 각각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로딩, 소팅, 언로딩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앤플레이스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픽앤플레이스 장치 100 : 본체
110 : 베이스 112, 114 : X축 방향 레일
115 : 픽커 모듈 고정부 120, 130 : 제 1, 2 측벽
140 : 전판 200 : X축 간격 조절장치
211, 213, 214 : 제 1, 2, 3 구동풀리
212, 215, 216 : 제 1, 2, 3 종동풀리
217, 218 : 베어링 300 : Y축 간격 조절장치
311 : 제 4 구동풀리 312 : 제 4 종동풀리
320 : 볼스크류 330 : 볼너트
340 : 볼스크류 지지부 350 : 브라켓
360 : Y축 방향 이동 가이드 370 : 보조 레일
600 : 제 1 픽커 모듈 610 : 제 1 가이드
612, 614 : X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 620 : 제 2 가이드
622 : Y축 방향 레일 연결부재 624 : 보조 레일 연결부재
630 : Y축 방향 레일 642, 644 : 제 1, 2 암
650 : 벨트 연결부 700 : 제 2 픽커 모듈
716 : 체결홀 800 : 제 3 픽커 모듈
900 : 제 4 픽커 모듈 P1 ~ P8 : 픽커
M1, M2 : 제 1, 2 모터 B1, B2, B3, B4 : 제 1, 2, 3, 4 벨트

Claims (6)

  1. 반도체소자를 제 1 위치에서 파지하여 제 2 위치로 이송시켜 파지 해제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을 X축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X축 방향 레일;
    상기 본체에 X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픽커 군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픽커 모듈들;
    상기 픽커 모듈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X축 간격 조절장치;
    각각의 상기 픽커 모듈에 Y축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픽커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Y축 간격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Y축 간격 조절장치는,
    Y축 방향 이동 가이드;
    제 2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볼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는 상기 볼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너트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픽커 모듈은,
    X축 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가이드;
    상기 제 1 가이드에 설치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 방향 레일; 및
    상기 Y축 방향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픽커 모듈에 포함된 다수 개의 상기 픽커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볼너트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방향 이동 가이드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에는 상기 보조 레일에 연결되는 보조 레일 연결부재가 마련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간격 조절장치는,
    제 1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구동풀리;
    각각의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 및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픽커 모듈들 전체, 또는 상기 픽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각각 상기 벨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X축 방향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는 다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구동풀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연결되지 않는 상기 픽커 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 상기 벨트, 상기 종동풀리 각각 2개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구동풀리의 직경은 1:2의 비율을 가지며,
    상기 픽커 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제 2 픽커 모듈;
    상기 제 2 픽커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작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상기 벨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픽커 모듈;
    상기 제 2 픽커 모듈의 타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작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상기 벨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픽커 모듈; 및
    상기 제 2 픽커 모듈의 타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큰 상기 구동풀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4 픽커 모듈을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KR1020120132177A 2012-11-21 2012-11-21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KR10194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77A KR101942062B1 (ko) 2012-11-21 2012-11-21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CN201310573224.7A CN103831254B (zh) 2012-11-21 2013-11-15 用于测试分选机的拾取与放置装置
TW102141628A TWI506285B (zh) 2012-11-21 2013-11-15 用於測試分選機的拾取與放置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77A KR101942062B1 (ko) 2012-11-21 2012-11-21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275A KR20140066275A (ko) 2014-06-02
KR101942062B1 true KR101942062B1 (ko) 2019-01-24

Family

ID=5079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177A KR101942062B1 (ko) 2012-11-21 2012-11-21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42062B1 (ko)
CN (1) CN103831254B (ko)
TW (1) TWI5062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48A (ko) * 2014-07-23 2016-02-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검사 장치, 검사 부품 분류 장치 및 방법
TWI614432B (zh) * 2016-12-09 2018-02-11 線性運動之驅動裝置及其應用之取放器單元、移載作業設備
ES2811510T3 (es) 2017-05-02 2021-03-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s y aparatos para detectar canales de control en sistema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TWI615343B (zh) * 2017-05-26 2018-02-21 電子元件移料裝置及其應用之作業分類設備
TWI658967B (zh) * 2017-12-15 2019-05-11 均華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全自動高速填盤機
KR101987028B1 (ko) * 2018-02-21 2019-09-30 (주)디이엔티 프로브 카드 이송모듈 및 프로브 카드 이송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95B1 (ko) 2007-06-27 2008-04-16 윤점채 반도체 자재 분류이송장치
KR100862654B1 (ko) 2007-10-29 2008-10-09 (주)엔에스 제품 분류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967B1 (ko) * 1997-02-25 2000-01-15 김문식 반도체 인서트 픽업 헤드
US6439631B1 (en) * 2000-03-03 2002-08-27 Micron Technology, Inc. Variable-pitch pick and place device
KR20040096409A (ko) * 2003-05-09 2004-11-16 디엔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피치가변 이송장치
KR100648919B1 (ko) * 2005-11-15 2006-11-24 (주)테크윙 픽앤플레이스 장치
TW200837353A (en) * 2007-03-05 2008-09-16 Chroma Ate Inc Rotation-press cover inspection/test apparatus and the tester having the apparatus
KR100901395B1 (ko) * 2007-08-22 2009-06-05 세크론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57562B1 (ko) * 2007-08-22 2010-05-11 세크론 주식회사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및 버퍼 트레이를 이용하여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 장치
CN101604645B (zh) * 2008-06-12 2011-04-13 京元电子股份有限公司 往复式取放设备
KR101304274B1 (ko) 2008-12-31 2013-09-26 (주)테크윙 테스트 핸들러의 픽앤플레이스장치
CN201464031U (zh) * 2009-04-09 2010-05-12 张九六 一种贴片led全自动高速分光分色设备
KR101361493B1 (ko) 2009-11-27 2014-02-14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TWI399543B (zh) * 2010-03-05 2013-06-21 Hon Tech Inc 電子元件測試分類機
CN201756346U (zh) * 2010-08-13 2011-03-09 深圳市捷佳伟创微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装卸舟装置
KR20120085964A (ko) * 2011-01-25 2012-08-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95B1 (ko) 2007-06-27 2008-04-16 윤점채 반도체 자재 분류이송장치
KR100862654B1 (ko) 2007-10-29 2008-10-09 (주)엔에스 제품 분류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31254B (zh) 2016-06-29
TWI506285B (zh) 2015-11-01
CN103831254A (zh) 2014-06-04
TW201421046A (zh) 2014-06-01
KR20140066275A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062B1 (ko)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KR100622415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반송장치
KR100648919B1 (ko) 픽앤플레이스 장치
KR101347531B1 (ko) 테스트 트레이 스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KR102539039B1 (ko) 산업용 로봇
US5919024A (en) Parts handling apparatus
KR100981609B1 (ko) 벨트 기구를 이용하는 간격조절장치
KR101227722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TWI567845B (zh) 用於測試處理機的振動裝置
KR101012137B1 (ko) 이송툴
KR101069742B1 (ko) 픽 앤 플레이스장치
KR100945496B1 (ko) 간격조절장치
KR20080089795A (ko) 핸들러의 진공 흡착 픽커장치
KR100656942B1 (ko) 반도체 칩 분류장치
TWI569356B (zh) Electronic component moving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KR102438196B1 (ko) 테스트핸들러용 진동 장치
CN114684611B (zh) 检测设备
CN217555094U (zh) 悬臂式移载输送装置
KR20140119243A (ko) 소자검사장치
CN103681408A (zh) 水平轴驱动机构、二轴驱动机构以及裸芯片接合器
KR20220093817A (ko) 선반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토커
CN112166662B (zh) 元件安装机
KR102316942B1 (ko) 선반 유닛 및 이를 갖는 스토커
KR20000021424U (ko)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용 엘리베이터
KR20180119970A (ko) 카세트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