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060B1 -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반도체 구조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반도체 구조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060B1
KR100899060B1 KR1020047002336A KR20047002336A KR100899060B1 KR 100899060 B1 KR100899060 B1 KR 100899060B1 KR 1020047002336 A KR1020047002336 A KR 1020047002336A KR 20047002336 A KR20047002336 A KR 20047002336A KR 100899060 B1 KR100899060 B1 KR 10089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layer
forming
electropolishing
c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147A (ko
Inventor
씨앙 유 야오
루 카오 창
페이홀 이
흐이 왕
Original Assignee
에이씨엠 리서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씨엠 리서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씨엠 리서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3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16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5/00Combined machining
    • B23H5/06Electrochemical machining combined with mechanical working, e.g. grinding or honing
    • B23H5/08Electrolytic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4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liquid etch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반도체 구조 상의 도전층을 평탄화 및 연마하는 방법은 리세스 영역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갖는 유전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전층은 유전층 상부에 형성되어 리세스 영역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덮는다. 그리고 도전층 표면은 평탄화되어 표면 토폴로지에 있어서의 편차를 감소시킨다. 이어서 평탄화된 도전층은 전해 연마되어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노출시킨다.

Description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FORM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ING A COMBINATION OF PLANARIZING METHODS AND ELECTROPOLISHING}
본 특허출원은 2001년 8월 17일에 출원된 CMP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구리 다마신(damascene) 구조의 평탄화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예비 출원 60/313,086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금속 다마신 구조의 평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트랜지스터 및 상호 접속 요소(interconnection elements)들의 생성을 위한 다수의 각각의 처리 단계를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조 또는 가공된다. 반도체 웨이퍼와 관련 트랜지스터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반도체 소자의 부품으로서 도전성(예를 들어 금속) 트렌치, 비아 등이 유전체 내에 형성된다. 트렌치 및 비아는 트랜지스터, 반도체 소자의 내부 회로 및 반도체 소자 외부의 회로들간에 전기 신호 및 전력을 연결시킨다.
상호 접속 요소들의 형성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에는 예를 들어 마스킹, 에 칭, 증착 공정이 가해져 원하는 반도체 소자의 전자 회로를 형성한다. 특히, 다수의 마스킹 및 에칭 단계가 행해져 반도체 웨이퍼 상의 유전층에 상호 접속 라인용 트렌치 및 비아 역할을 하는 리세스 영역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반도체 웨이퍼 상에 금속층을 증착하는 증착 공정이 행해져 트렌치 및 비아에 그리고 유전층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에도 금속을 증착시킨다. 리세스 영역의 패턴을 절연시키고 상호 접속 요소들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웨이퍼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에 증착된 금속이 제거된다.
반도체 웨이퍼 상의 유전층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에 증착된 금속을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예를 들어 화학 기계적 연마(CMP)를 포함한다. 반도체 산업에서는 CMP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유전층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과 함께 트렌치 및 비아 내의 금속층을 연마 및 평탄화함으로써 상호 접속 라인을 형성한다.
CMP 공정에서 인쇄판 또는 웹(web) 상에 위치하는 CMP 패드 상에 웨이퍼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웨이퍼 어셈블리는 유전층에 형성된 상호 접속 요소와 같은 피쳐(feature) 및/또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기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CMP 패드에 힘이 가해져 웨이퍼 어셈블리를 누른다. CMP 패드 및 기판 어셈블리는 웨이퍼 표면을 연마 및 평탄화하는 힘을 가하면서 서로 반대로 이동한다. 종종 연마 슬러리라고도 하는 연마액이 CMP 패드 상에 투여되어 연마를 용이하게 한다. 연마 슬러리는 일반적으로 연마재를 포함하며,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웨이퍼로부터 예를 들어 금속층과 같은 불필요한 물질을 예를 들어 유전체와 같은 다른 물질보다 빠르고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CMP가 사용되어 웨이퍼 표면의 전체적 및 국소적 평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구조 또는 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CMP가 사용되어 물질층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CMP 방법은 비교적 강한 기계력을 수반하기 때문에 하부 반도체 구조에 여러 가지 역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접속 구조가 13 미크론 이하에 이르게 됨에 따라, 일반적인 다마신 공정에 사용되는, 예를 들어 구리와 같은 도전체와 낮은 k 막의 기계적 특성 사이에 큰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테면, 낮은 k 유전막의 영률은 1010보다는 크며, 구리의 영률보다는 작다. 따라서, CMP 공정에서 특히 유전막 및 구리에 인가된 비교적 강한 기계력이 반도체 구조에 박리, 디싱(dishing), 부식, 막 들뜸, 스크래치 등을 포함하는 응력 관련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일례로 반도체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리세스 영역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갖는 유전층을 반도체 웨이퍼 상에 형성하는 단계, 유전층 상부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리세스 영역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덮는 단계, 유전층의 표면을 평탄화하여 도전층 표면의 토폴로지에 있어서의 편차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여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청구항과 관련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쉽게 이해된다.
도 1a 및 도 1b는 반도체 소자의 예시적인 전해 연마 공정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는 반도체 소자의 예시적인 평탄화 및 전해 연마 공정을 나타낸다.
도 3은 예시적인 다마신 공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평탄화 및 연마되는 반도체 구조 상에 형성된 금속층의 예시적인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인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예시적인 전해 연마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다음 설명은 특정 물질, 파라미터 등의 다수의 구체적인 항목을 설명한다. 그러나,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보다 나은 설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화학 기계적 연마(CMP)는 반도체 표면의 평탄화 및 연마를 위한 공지된 방법이지만, CMP는 하부 구조에 디싱, 부식, 막 들뜸, 스크래치 등의 응력(stress) 관련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전해 연마는 상대적으로 응력이 없는 연마 방법을 제공하는 금속(예를 들어 구리) 연마 공정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해 연마는 높이가 다른데도 불구하고 금속층을 거의 동일한 속도로 에칭한다는 점에서 등방성 에칭 공정이다. 따라서, 전해 연마되기 전에 금속층의 토폴로지의 프로파일 또는 일반적인 형상이 평탄하지 않다면, 전해 연마 후에 일반적으로 금속층 토폴로지의 비평면 프로파일 또는 일반적인 형상이 그대로 남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비평면 형상을 갖는 반도체 구조를 연마하는 전해 연마 방법의 예시적인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도 1a는 리세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으로 패턴화된 유전층(102)이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배리어/시드층(105)이 유전층(102) 및 기판(100) 상부에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금속층(106)이 예를 들어 전기 도금에 의해 배리어/시드층(105) 상부에 증착되어 유전층(102)의 리세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덮는다. 금속층(106)은 유전층의 다양한 구조 상에 위치하는 험프(108) 및 리세스(112)를 포함하는 비평면 토폴로지를 갖는다. 금속층(106)의 비평면 토폴로지는 전기 도금 공정에서 예를 들어 도금 화학에 기인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b를 참조하면, 리세스 영역, 즉 트렌치 내부의 금속층(106)이 절연되어 금속 상호 접속 라인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금속층(106)은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까지 연마된다. 일반적으로, 리세스 영역 내의 금속층(106) 상면이 리세스 영역에 형성된 금속층(106)을 둘러싸는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의 상면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 대한 기준은 금속층(106)의 상면이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의 상면과 완전히 평면이 되어야 한다고 요구 또는 제안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층(106)의 상면 레벨이 리세스 영역의 상면 레벨과 보다 평평하게 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금속층(106)의 상면 레벨과 리세스 영역의 표면 상면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본 예에서 금속층(106)은 전해 연마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 연마 전에 금속층(106) 토폴로지의 프로파일 또는 일반적인 형상은 평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 연마는 등방성 에칭 공정이다. 이에 따라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 연마 후 금속층(106) 형상의 비평면 프로파일 또는 일반적인 형상이 그대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 연마 이전에 금속층(106)의 토폴로지는 험프(108) 및 오목부(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 연마 후에 험프(108) 및 오목부(112)(도 1a)가 잔류물(110) 및 리세스(114)로서 남는 것으로 나타난다. 잔류물(110)은 유전층(102) 상부의 높이 H인 금속층(106) 영역이다. 잔류물(110)은 그 하부의 트렌치 영역에 형성된 상호 접속 라인들간 단락 회로를 일으킬 수 있다. 리세스(114)는 금속층(106)의 리세스 또는 트렌치이며, 트렌치 내 금속층(106)의 표면이 유전층(102)의 표면 아래의 깊이 R에 있다. 리세스(114)는 형성된 상호 접속 라인의 컨덕턴스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트렌치 내부의 금속 또는 구리 손실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 표면 위의 또는 아래의 금속층(106) 표면의 높이 편차를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패턴화된 유전층 상부에 형성된 금속층이 상호 접속 라인을 절연시키기 위해 전해 연마 이전에 평탄화된다. 금속층을 뒤로 전해 연마하기 전에 금속층을 평탄화하는데 따른 이점 중 하나는 종래의 평탄화 기술보다 금속층 하부 구조의 손상을 덜 받으면서 유전층에 금속 상호 접속 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상호 접속 요소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며, 이는 리세스 금속이 CMP 패드에 노출될 때 구조에 가장 많은 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비평면 토폴로지의 금속층(106)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반도체 구조를 평탄화 및 전해 연마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도 2a는 유전층(102)에 리세스 영역(102r)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102n)이 형성된 예시적인 반도체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리세스 영역(102r)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102n)은 유전층(102)에 상호 접속 라인의 패턴을 형성한다. 유전층(102)은 열 또는 플라스마 화학적 증기 증착, 스핀-온, 스퍼터링 등의 임의의 종래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층(100) 상에 일반적으로 증착 및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전층(102)은 포토마스킹, 포토리소그래피, 마이크로리소그래피 등의 공지된 패터닝 방법에 의해 패턴화될 수 있다. 유전체는 예를 들어 산화규소(SiO2)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응용에 있어서, 종종 저 "k" 값 물질이라고 하는 저유전상수를 갖는 유전층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 k 값 물질(즉, 거의 3.0 미만)은 정전용량 결합 및 인접 라인들간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상호 접속 라인들간에 보다 양호한 전기 절연을 제공한다. 이러한 저 k 값 물질들은 불소화 규산염 유리, 폴리이미드, 불소화 폴리이미드, 혼성체/복합체, 실록산, 유기 중합체, [알파]-C:F, Si-O-C, 파릴렌/불소화 파릴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나노 다공성 실리카, 나노 다공성 유기물 등을 포함한다.
유전층(102)은 기판층(100) 상에 형성된다. 기판층(100)은 예를 들어 유전 층이 형성되기 전의 하부 반도체 웨이퍼 또는 그 밖의 반도체 구조가 된다. 기판층(10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및/또는 특정 적용에 좌우되지 않는 갈륨 비화물 등의 다른 다양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및/또는 시드층(105)이 화학적 증기 증착(CVD), 물리적 증기 증착(PVD), 원자층 증착(ALD)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유전층 상에 증착되어 배리어층이 리세스 영역(102r) 내의 유전층(102) 벽을 포함하는 패턴화된 유전층(102)을 덮는다. 배리어층은 이어지는 금속층(106) 증착(도 2b) 후 금속(예를 들어 구리)이 유전층(102)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유전층(102)으로의 구리 확산은 유전층(102)의 유전상수를 불리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배리어/시드층(105)은 티타늄, 탄탈,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 탄탈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또는 그 밖의 적당한 물질과 같이 구리의 확산에 저항력이 있는 적당한 도전체로 형성된다. 일부 응용에서는 배리어층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가 금속층(106)의 확산에 대해 충분히 저항력을 갖는 경우, 또는 어떠한 금속층(106)의 확산도 반도체 소자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배리어층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층(106)이 뒤이어 유전층(102) 상에 전기 도금될 경우에, 일반적으로 시드층이 증착된다. 시드층은 일반적으로 금속층(106)이 전기 도금될 수 있는 구리 또는 기타 도전체로 이루어진 박층이다. 또한, 배리어/시드층(105)의 단일 층 또는 물질이 배리어층과 시드층 양쪽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b를 참조하면, 배리어/시드층(105) 표면에, 또는 배리어/시드층(105)이 생략되었다면 유전층(102) 상에 금속층(106)이 증착된다. 금속층(106)은 트렌치 또는 리세스 영역(102r)을 채우고 또한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102n)을 덮는다. 금속층(106)은 PVD, CVD, ALD, 전기 도금, 비전기 도금 또는 그 밖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증착된다. 금속층(106)은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니켈, 크롬, 아연, 카드뮴, 은, 금, 로듐, 팔라듐, 백금, 주석, 철, 인듐 등의 그 밖의 적당한 도전체이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층(106)의 토폴로지는 그 토폴로지에 편차가 있는 비평면이 된다. 예를 들어, 금속층(106)의 증착에 의해 유전층(102)의 다양한 피쳐 상부에 험프(108) 및/또는 오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금속층(106)이 유전층(102) 상부에 전기 도금되면, 좁은 고밀도 트렌치 영역 상부에 험프(108)가 형성될 수 있고, 유전층(102)의 넓은 고밀도 트렌치 영역 상부에 오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금 화학 때문에, 유전층(102) 상부에 금속층(106)을 전기 도금하는 경우에 특히 일반적일 수 있다. 그러나, 험프(108) 및 오목부(112)의 형상 및 위치는 예시일 뿐이며, 도 4a 및 도 4b에 관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층(106)의 다른 비평면 토폴로지도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제 도 2c를 참조하면, 금속층(106)이 평탄화되어 토폴로지의 피쳐를 평탄하게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화학 기계적 연마(CMP) 공정이 구조에 적용되어 금속층(106)을 연마 및 평탄화한다. CMP 금속층(106)은 금속층(106)을 전해 연마하기 전에 토폴로지, 즉 험프(108), 리세스(112), 및 금속층(106) 표면의 다른 비평면 토폴로지 피쳐를 감소시켜 금속층(106)을 평탄하게 한다. 예를 들어 CMP 공정이 행해져 금속층(106)을 하부 기판(100) 상부에서 제1 높이 "a"로 연마하며, "a"는 유전층(102)의 높이와 같은 높이 "b"보다 크다. 따라서, CMP 공정은 유전층(102)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102n)으로부터 금속층(106)의 제거까지는 하지 않아 유전층(102)과 접촉하게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CMP 공정은 금속층(106)을 연마하여 금속층(106)의 토폴로지에 있어서의 편차를 평탄화 및 감소시킨다.
평면 및 평탄화에 대한 기준, 구체적으로는 금속층(106)에 대한 기준은 금속층(106)의 표면이 완전히 평면이어야 한다고 요구 또는 제안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층(106)의 표면이 보다 매끄럽거나 평평하게 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질적으로, 금속층(106)의 표면 평탄화는 전해 연마 전에 금속층(106)의 토폴로지에 있어서의 편차를 줄인다.
이러한 예시적인 방법의 CMP 공정은, CMP 장치(도 5)의 연마 패드가 유전층(102) 등의 하부 구조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층(102) 및 하부 구조를 보호하는데는 덜 중점을 두고 평탄화 효율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유전층(102)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연마 패드의 강도 또는 경도(硬度)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이아몬드 팁이 내장된 단단한 패드 등이 본 방법의 예의 CMP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 슬러리 또는 무 연마재 연마 공정이 금속층(106)의 스크래치를 줄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연마 패드의 압력은 특히 구리 및 저 k 유전막을 구비한 집적 설계의 경우 상호 접속 구조, 및 패턴화된 유전층(102)에 대한 손상을 방지 및 제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마 패드의 압력은 0.1 PSI(pound-force per square inch) 내지 10 PSI의 범위, 예를 들어 5 PSI이다. CMP 공정에서 제거되는 금속층(106)의 두께는 유전층(102) 상부에 형성된 금속층(106)의 표면 형상(topography) 및 채용되는 CMP 공정의 평탄화 효율에 적어도 일부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제거 두께는 금속층 토폴로지의 고점과 저점 사이의 차보다 크거나 같다.
그러나, 여기서 CMP 공정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금속층(106)을 평탄화하는 다른 방법이 상술한 예시적인 CMP 공정 대신 또는 이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층(106) 상부에 희생 물질이 추가되어 금속층(106) 상부 표면을 평탄화할 수도 있다. 희생 물질은 스핀-온-글라스, 포토-레지스트, 금속 합금, 금속 화합물 등의 도체 또는 부도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106)은 예를 들어 희생 물질 및 금속층(106)의 일부를 에칭함으로써 평탄화될 수도 있다. 희생 물질 및 금속층(106)은 에칭 공정이 희생층 및 금속층(106)을 비슷한 속도로 제거하도록 동일하거나 비슷한 에칭 속도를 갖는다. 평탄화된 금속층(106) 및 희생층을 비슷한 속도로 에칭하여 희생층 및 금속층(106)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금속층(106)이 평탄화된다. 공정의 예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한다.
에칭 공정은 건식 에칭 공정 또는 습식 에칭 공정이 될 수 있다. 건식 에칭 공정은 플라스마 에칭, 화학적 증기 에칭 등을 포함한다. 플라스마 에칭 소스는 헬리콘 플라스마 소스, 유도 결합된 플라스마 소스(ICP) 등의 고밀도 플라스마 소스를 포함한다. 에칭 가스는 염기 가스 등의 할로겐기를 포함한다. 플라스마 에칭 공정 조건의 2가지 예를 다음 표에 상술한다:
표 Ⅰ
고온 플라스마 에칭 공정의 예시적인 파라미터들
플라스마 전력: 500∼1500 W, 바람직하게는 800 W
가스압: 10∼50 mTorr, 바람직하게는 20 mTorr
웨이퍼 온도: 300∼500 ℃, 바람직하게는 400 ℃
에칭 가스: 염소(Cl2)
표 Ⅱ
저온 플라스마 에칭 공정의 예시적인 파라미터들
단계 1:
플라스마 전력: 500∼1500 W, 바람직하게는 800 W
가스압: 10∼50 mTorr, 바람직하게는 20 mTorr
웨이퍼 온도: 20∼100 ℃, 바람직하게는 50 ℃
에칭 가스: 염소(Cl2)
단계 1 후 구리 및 구리 화합물의 상부가 염화구리(CuClX)로 변화된다.
단계 2:
HCl 희석액을 사용하여 CuClX 화합물을 습식 에칭한다. HCl의 농도가 1∼6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가 된다.
대안적으로, 유리 상에서 비결정 Si(a-Si)를 폴리-Si로 어닐링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에 사용되는 것과 비슷한 평탄화 기술이 채용되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층(106) 도금 후에 구리를 리플로우 함으로써, 금속층(106)을 누그러트려(mollify) 평탄화된 표면을 형성한다. 또 다른 방법은 기판(100)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광선이 비추어져 증발에 의해 금속층(106)의 토폴로지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고주파 및 단파 레이저를 포함한다. 단파 레이저는 레이저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영향으로부터 벌크 구리 및 주위의 유전체를 보호, 즉 열 경비(thermobudget)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레이저는 루비 레이저, Nd-유리 레이저, Nd:YAG(이트륨 알루미늄 가닛, Y3Al5O12) 레이저 등의 고체 상태 레이저, He-Ne 레이저, CO2 레이저, HF 레이저 등의 가스 레이저가 될 수 있다. 레이저 빔이 기판(100)의 전체 표면에 걸쳐 주사되어 금속층(106)을 평탄화한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서는 비접촉형 표면 형상 센서가 종단 검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 공정의 예시적인 조건은 다음 표에서 상술한다:
표 Ⅲ
펄스 레이저 평탄화 공정의 예시적인 파라미터들
평균 레이저 전력: 100∼5000 W
펄스 길이: 피코 초∼마이크로 초
웨이퍼 온도: - 100∼20 ℃
이제 도 2d를 참조하면, 금속층(106)이 평탄화된 후 금속층(106)은 전해 연마된다. 구체적으로, 금속층(106)이 리세스 영역(102r) 또는 트렌치 내에서 절연되도록, 금속층(106)은 유전층(102)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102n)으로부터 전해 연마되어 상호 접속 라인을 형성한다. 금속층(106)은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과 동일한 높이로 연마될 수 있다. 혹은, 금속층(106)은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보다 낮은 높이로 연마될 수 있다. 금속층(106)은 전해액 스트림(도시 생략)을 금속층(106)으로 보내는 전해 연마 장치(도 6)에 의해 전해 연마될 수 있다. 전해액은 예를 들어 인산, 오르토인산(H3PO4) 등 임의의 편리한 전해 연마액이다.
또한, 배리어/시드층(105)이 유전층(102)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102n)의 노출된 부분으로부터 제거된다. 층(105)이 시드층이거나 또는 시드층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금속층(106)을 연마하는 전해 연마 공정이 이를 제거한다. 층(105)이 배리어층이거나 또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플라스마 건식 에칭, 습식 에칭 등이 이를 제거한다. 또한, 금속층(106)이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보다 낮은 높이로 전해 연마되었다면,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 또한 그 때 에칭되어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다음의 표 Ⅳ는 배리어층을 제거하기 위한 플라스마 건식 에칭 공정에 채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의 예시적인 범위를 제공한다:
표 Ⅳ
플라스마 건식 에칭 공정의 예시적인 파라미터들
플라스마 전력: 500∼2000 W
진공: 30∼100 mTorr
웨이퍼 온도: 약 20 ℃
가스 및 유량: SF6 = 50 sccm (또는 CF4 = 50 sccm, 또는 O2 = 10 sccm)
가스압: 0.1∼50 mTorr
TaN의 제거율: 250 ㎚/min
TiN의 제거율: 300 ㎚/min
SiO2의 제거율: 20 ㎚/min
이들 파라미터는 TaN 및 TiN의 제거율, SiO2보다 큰 2개의 가능한 배리어층(105) 재료, 가능한 유전층(102) 재료가 된다. 이는 배리어층(105)의 제거시 하부 유전층(102)의 에칭 또는 손상을 줄이는 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다른 선택이 얻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평탄화 공정 및 전기 도금 공정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다마신 공정(3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블록(302)에서 리세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갖는 웨이퍼가 제공된다. 웨이퍼 상에 제공된 패턴화된 유전층은 리세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한다. 패턴화된 유전층은 미리 형성된 다른 유전층, 웨이퍼 등을 포함하는 하부 반도체 구조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웨이퍼는 나중의 처리 상태에서 개개의 반도체 소자로 분할될 리세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개개의 작은 입방체로 분할된다. 그리고 블록(304)에서 금속층이 증착되어, 금속층은 유전층 내의 리세스 영역을 채우고 유전층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덮는다. 그리고 블록(306)에서 금속층이 평탄화된다. 예를 들어 금속층은 CMP 공정을 거쳐 금속층의 표면 형상을 평탄화하고 매끄럽게 한다. 그리고 평탄화된 금속층은 블록(308)에서 전해 연마되어 유전층의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을 노출시키고 리세스 영역 내의 금속층을 절연시켜 금속 상호 접속 라인을 형성한다.
흐름도에 나타낸 예시적인 공정(300)에 대해 많은 변형이 행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록(304)에서 금속층의 증착 전에 배리어/시드층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고, 이 경우 리세스 영역이 노출된 후 유전층으로부터 배리어/시드층이 에칭된다. 추가적으로, 도 3의 각 블록은 웨이퍼를 마스킹하고 에칭하여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거나, 표면 평탄화 전 및/또는 후에 금속층을 세척하는 등, 여기서는 명백하게 설명하지 않은 여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다마신 공정(300)은 단일 및 이중 상감 응용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평탄화된 다음 전해 연마되어 상호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금속층(106)의 추가 예시적인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도 4a에 관하여, 금속층(106)은 대략 하부 유전층(102)의 형상에 대응하는 토폴로지를 갖는다. 이러한 토폴로지는 예를 들어 유전층(102) 상에 금속층(106)을 스퍼터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은 예를 들어 희생 물질(107)을 추가한 다음 희생 물질(107) 및 금속층(106)의 일부를 금속층(106)이 점선 "P"까지 평탄화되도록 에칭함으로써 평탄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희생 물질(107)은 용해력이 있는 구리 등의 용해력이 있는 금속 화합물, 스핀-온 글라스, 포토-레지스트 등이 될 수 있다. 희생 물질(107)은 하부 금속층(106)과 유사한 에칭 속도를 갖는 임의의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에칭 공정은 희생 물질(107)과 금속층(106) 사이의 선택 없이 종래의 건식 또는 습식 에칭이 될 수 있다.
라인 "P"의 위치는 예시의 목적일 뿐이며, 평탄화의 응용 및 방법에 따라 위아래로 조정될 수 있다. 도 2c와 같이 금속층(106)의 토폴로지 피쳐가 평탄화된 후 금속층(106)은 도 2d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 연마된다.
도 4b는 불균일한 표면 토폴로지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금속층(106)을 나타낸다. 금속층(106)의 불균일한 표면 형상은 증착 방법 내지 하부 구조에 걸친 다양한 이유에 기인한다. 금속층(106)은 도 4a와 마찬가지로 먼저 라인 "P"까지 표면을 평탄화하고, CMP 연마, 희생 물질의 추가 및 에칭, 레이저 등으로 금속층을 잠시 가열함으로써 연마된다. 이어서 금속층(106)이 전해 연마된다. 다수의 금속층 토폴로지가 하부 유전층(102)의 과도한 손상 없이 이 방법에 의해 평탄화 및 전해 연마될 수 있다는 것이 도 4a 및 도 4b로부터 인식되어야 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CMP 장치(400) 및 공정을 설명한다. CMP 장치(400)는 금속층(106)의 평탄화에 사용된다. 웨이퍼 표면을 젖은 연마 표면에 대해 밀고 회전시킴으로써 예시적인 CMP 공정이 진행된다. 공정은 CMP 장치(400)의 화학물질, 압력 및 온도 조건을 통해 제어된다. 예시적인 CMP 장치(400)는 회전 가능한 연마 테이블(411) 및 연마 테이블(411) 상에 실장된 연마 패드(412)를 포함한다. CMP 장치(400)는 또한 웨이퍼(410)에 배치되어 화살표(414) 방향으로 웨이퍼(401)에 힘을 가하는 회전 가능한 웨이퍼 캐리어(413)를 포함한다. 노즐(417)을 통해 화학 슬러리가 CMP 장치(400)에 공급되고 연마 패드(412) 상에 분사된다. 화학 슬러리는 예를 들어 노즐(417)을 통해 온도 제어 저장기(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화학 슬러리는 다른 선택된 화학물질과 함께 연마재로서 사용되어 웨이퍼(401) 표면을 연마하는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연마재를 포함한다.
연마 속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파라미터는 연마 패드(412)에 대해 웨이퍼(401)에 가해지는 하부 압력(414), 연마 테이블(411) 및 웨이퍼 캐리어(413)의 회전 속도, 화학 슬러리의 조성 및 온도, 연마 패드(412)의 조성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여 CMP 장치(400)의 연마 속도 및 평탄화 효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CMP 장치(400) 및 공정은 예시일 뿐이다. 다른 CMP 장치 구성 및 설정이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연마 테이블(411) 및 연마 패드(412)는 연마 패드(412)를 웨이퍼 캐리어(413)에 관해 이동시키는 벨트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알 수 있듯이 연마 패드(412)에 관한 웨이퍼(401)의 이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CMP 장치(400)는 사용되는 CMP 장치 또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6은 반도체 웨이퍼(501) 상에 형성된 금속층(506)의 연마에 사용될 수 있는 전해 연마 장치(500)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반도체 웨이퍼(501)는 또한 예를 들어 기판층(100), 유전층(102) 및 배리어/시드층(105)(도 2a 내지 도 2d)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층(506)의 토폴로지는 예를 들어 CMP 장치(400)(도 5)에 의한 전해 연마 이전에 평탄화된다.
전해 연마 장치(500)의 노즐(540)은 전해액 스트림(520)을 금속층(506)의 표면으로 보낸다. 다른 예에서 웨이퍼(501)는 전해액(520)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담궈질 수 있다. 전해액(520)은 인산, 오르토인산(H3PO4) 등 임의의 편리한 전해 연마액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례에서 전해액은 약 6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농도를 갖는 오르토인산이다. 또한, 전해액(106)은 예를 들어 글리콜을 10 내지 40%(산의 중량에 대해)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해액의 농도 및 조성은 특별한 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전해 연마 장치(500)가 전해액 스트림(520)을 금속층(506)으로 보낼 때, 전원(550)은 노즐(540)에 배치된 전극(530)(캐소드) 및 금속층(506)에 결합된 전극(애노드)에 반대 전하를 공급한다. 전원(550)은 예를 들어 정전류 또는 정전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금속층(506)에 대해 전해액(520)을 양전기로 충전하도록 구성된 전원(550)으로, 금속층(506)의 금속 이온이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해액 스트림(520)이 접촉된 금속층(506)의 일부를 전해 연마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501)는 회전 및 X축을 따라 이동되어 금속층(506)의 전체 표면을 전해액 스트림(520)에 위치시켜 표면을 균일하게 전해 연마한다. 예를 들어 전해액(520)은 웨이퍼(501)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웨이퍼(501)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금속층(506)의 표면을 따라 나선형 경로를 만들 수 있다. 혹은 웨이퍼(501)는 고정되는 한편, 노즐(540)이 이동하여 전해액 스트림(520)을 금속층(506)의 원하는 위치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501)와 노즐(540) 모두 이동하여 전해액 스트림(520)을 금속층(506)의 원하는 위치에 인가할 수 있다. 전해 연마 방법 및 장치의 예시적인 설명은 2000년 2월 4일 출원된 반도체 소자 상의 금속 상호 접속을 전해 연마하는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09/497,894호, 및 1999년 7월 2일 출원된 반도체 소자 상의 금속 상호 접속을 전해 연마하는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관련 미국 특허 6,395,152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둘 다 그 모든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또한, 다른 전해 연마 방법 및 장치가 금속층(106)의 전해 연마에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금속층(506)을 포함하는 웨이퍼(501)가 전해액 조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담궈질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조가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유전층, 도전층, 배리어층, 시드층 및 마스크층의 조합 등, 단일 또는 이중 상감 다마신 실시예에 형성되는 다양한 상호 접속 구조가 상술한 방법으로 평탄화 및 전해 연마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평탄화 및 전해 연마 방법이 조합되어 상호 접속 구조의 표면을 평탄화 및 전해 연마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한 것 이외의 이유로 형성되는 평탄하지 않은 토폴로지를 갖는 금속층이 상술한 방법 및 장치에 따라 유리하게 평탄화 및 전해 연마될 수 있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며, 본 명세서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9)

  1.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으로서,
    리세스 영역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포함하는 유전층을 반도체 웨이퍼 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 영역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덮도록 상기 유전층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 표면의 토폴로지에 있어서의 편차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한 후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에 인접하게 노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노즐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도전층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전층과 상기 노즐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만들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화학 기계적 연마(CMP)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상기 도전층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연마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도전층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과 접촉하지 않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무 슬러리 연마(slurry free polishing)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평탄화되는 희생 물질을 상기 도전층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 물질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에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단계는 상기 희생 물질과 상기 도전층간의 선택도(selectivity)가 없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은 스핀-온-글라스(spin-on-glass)인,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전기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유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로부터 상기 시드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전해액 스트림을 상기 도전층 표면으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를 전해액에 담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유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플라스마 건식 에칭에 의해 상기 유전층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로부터 제거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습식 에칭에 의해 상기 유전층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로부터 제거되는,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구리인,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제1 높이로 평탄화되고, 제2 높이로 전해 연마되며, 상기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낮은,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의 높이와 평평한,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의 높이보다 낮은, 반도체 구조 형성 방법.
  22.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으로서,
    리세스 영역들 및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포함하는 유전층을 반도체 구조 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층을 덮고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을 채우도록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구조 위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의 높이보다 높은 제1 높이로 상기 도전층을 평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구조 위의,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상기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에 인접하게 노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노즐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도전층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전층과 상기 노즐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만들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의 높이와 평평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의 높이보다 낮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평탄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화학 기계적 연마(CMP)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놓인 상기 구조를 노출시키지 않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연마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놓인 상기 구조와 접촉하지 않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무 슬러리 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평탄화되는 희생 물질을 상기 도전층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 물질과 상기 도전층 간의 선택도 없이 상기 희생 물질 및 상기 도전층을 에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은 스핀-온-글라스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전기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유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로부터 상기 시드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전해액 스트림을 상기 도전층 표면으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를 전해액에 담그는 단계를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유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플라스마 건식 에칭에 의해 상기 유전층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로부터 제거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습식 에칭에 의해 상기 유전층의 상기 리세스되지 않은 영역들로부터 제거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4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구리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41. 상호 접속(interconnection) 구조 제조 방법으로서,
    상호 접속 라인들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opening)들로 패턴화되는 반도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구조 상부에 그리고 상기 개구들 안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비평면 편차들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도전층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구들 내의 상기 도전층을 절연시키도록 상기 평탄화된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화된 도전층을 전해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에 인접하게 노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노즐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도전층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전층과 상기 노즐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만들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구조는 내부에 개구들이 형성된 유전층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구조는 상기 유전층과 상기 도전층 사이에 형성되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플라스마 건식 에칭에 의해 상기 유전층의 일부로부터 제거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습식 에칭에 의해 상기 유전층의 일부로부터 제거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유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상기 시드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화학 기계적 연마(CMP)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놓인 상기 구조를 노출시키지 않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연마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놓인 상기 구조와 접촉하지 않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1.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CMP는 무 슬러리 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평탄화되는 희생 물질을 상기 도전층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 물질과 상기 도전층 간의 선택도 없이 상기 희생 물질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은 스핀-온-글라스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5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층을 전기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전해액 스트림을 상기 도전층 표면으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연마 단계는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를 전해액에 담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구리인, 상호 접속 구조 제조 방법.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KR1020047002336A 2001-08-17 2002-08-15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반도체 구조형성 방법 KR100899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308601P 2001-08-17 2001-08-17
US60/313,086 2001-08-17
PCT/US2002/026167 WO2003017330A2 (en) 2001-08-17 2002-08-15 Form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ing a combination of planarizing methods and electropol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147A KR20040030147A (ko) 2004-04-08
KR100899060B1 true KR100899060B1 (ko) 2009-05-25

Family

ID=2321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336A KR100899060B1 (ko) 2001-08-17 2002-08-15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반도체 구조형성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423868A2 (ko)
JP (1) JP2005500687A (ko)
KR (1) KR100899060B1 (ko)
CN (1) CN100419963C (ko)
AU (1) AU2002336360A1 (ko)
CA (1) CA2456225A1 (ko)
TW (1) TW569330B (ko)
WO (1) WO200301733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1526B2 (en) 2019-01-10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1899B2 (en) * 2003-03-14 2004-11-23 Lam Research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ocal dual-damascene planarization
US6939796B2 (en) * 2003-03-14 2005-09-06 Lam Research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global dual-damascene planarization
US7078344B2 (en) * 2003-03-14 2006-07-18 Lam Research Corporation Stress free etch processing in combination with a dynamic liquid meniscus
TW200629392A (en) * 2004-12-22 2006-08-16 Ebara Corp Flattening method and flattening apparatus
WO2010020092A1 (en) 2008-08-20 2010-02-25 Acm Research (Shanghai) Inc. Barrier layer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CN101882595B (zh) * 2009-05-08 2014-07-09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阻挡层的去除方法和装置
CN103692293B (zh) * 2012-09-27 2018-01-16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无应力抛光装置及抛光方法
US8828875B1 (en) 2013-03-08 2014-09-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MP planarity
CN104097118A (zh) * 2013-04-02 2014-10-15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无应力抛光集成装置
CN105870051B (zh) * 2015-01-20 2019-01-1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结构的制作方法
CN107210209B (zh) * 2015-02-15 2020-05-19 盛美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优化金属平坦化工艺的方法
US10074721B2 (en) * 2016-09-22 2018-09-11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wafer that includes producing a planarised surface having both a mesa surface and an insulating layer surface
CN106672892A (zh) * 2016-12-21 2017-05-1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减小三维堆叠中牺牲层在化学机械抛光中凹陷变形的方法
CN108231599B (zh) * 2016-12-22 2021-10-08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改善晶片表面平坦均匀性的方法
WO2020138976A1 (ko) * 2018-12-26 2020-07-02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11312595A (zh) * 2020-03-03 2020-06-19 合肥晶合集成电路有限公司 金属互连层的制作方法
CN113173552B (zh) * 2021-04-09 2023-06-23 深圳清华大学研究院 具有导电性能的大尺度超滑元件及其加工工艺、大尺度超滑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864A (en) 1998-10-13 2000-05-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Electropolishing copper film to enhance CMP throughput
KR20000043056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20010017696A (ko) * 1999-08-13 2001-03-05 윤종용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7868B2 (ja) * 1997-01-14 2004-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飾品の表面処理方法、装飾品および電子機器
US6121152A (en) * 1998-06-11 2000-09-19 Integrated Process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arization of metallized semiconductor wafers using a bipolar electrode assembly
US6232231B1 (en) * 1998-08-31 2001-05-1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Planarized semiconductor interconnect topography and method for polishing a metal layer to form interconnect
US6149830A (en) * 1998-09-17 2000-11-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dishing in patterned metal during CMP process
US6315883B1 (en) * 1998-10-26 2001-11-13 Novellus Systems, Inc. Electroplanarization of large and small damascene features using diffusion barriers and electropolishing
JP2001044195A (ja) * 1999-07-28 2001-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864A (en) 1998-10-13 2000-05-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Electropolishing copper film to enhance CMP throughput
KR20000043056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20010017696A (ko) * 1999-08-13 2001-03-05 윤종용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1526B2 (en) 2019-01-10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11581318B2 (en) 2019-01-10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43668A (zh) 2004-11-03
TW569330B (en) 2004-01-01
CA2456225A1 (en) 2003-02-27
EP1423868A2 (en) 2004-06-02
KR20040030147A (ko) 2004-04-08
WO2003017330A2 (en) 2003-02-27
CN100419963C (zh) 2008-09-17
AU2002336360A1 (en) 2003-03-03
WO2003017330A3 (en) 2003-07-24
JP2005500687A (ja)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060B1 (ko) 평탄화 방법 및 전해 연마의 조합을 이용한 반도체 구조형성 방법
JP5220398B2 (ja) 電子構造の製造方法
US7208404B2 (en) Method to reduce Rs pattern dependence effect
US6071809A (en) Methods for forming high-performing dual-damascene interconnect structures
US6245663B1 (en) IC interconnect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946066B2 (en) Multi step electrodeposition process for reducing defects and minimizing film thickness
US6841466B1 (en) Method of selectively making copper using plating technology
WO1999063591A1 (en) Dual-damascene interconnect structures employing low-k dielectric materials
US20040253809A1 (en) Form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ing a combination of planarizing methods and electropolishing
KR100350111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및 이의 제조 방법
US7204743B2 (en) Integrated circuit interconnect fabrication systems
US717296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that includes chemically and mechanically polishing two conductive layers using two polishing pads that have different properties
US6867142B2 (en) Method to prevent electrical shorts between tungsten interconnects
US6274480B1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444627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20020010937A (ko) 함몰부 없는 구리 다마신 구조 제조 방법
KR20010058992A (ko) 화학적기계적 연마 방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200501507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erial removal and planarization
KR20050010160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41809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WO2007130452A1 (en) Removing barnier layer using an electron polishing process
KR2004005894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0183062A (ja) 埋め込み配線の形成方法
KR20030052482A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