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403B1 -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403B1
KR100878403B1 KR1020070070431A KR20070070431A KR100878403B1 KR 100878403 B1 KR100878403 B1 KR 100878403B1 KR 1020070070431 A KR1020070070431 A KR 1020070070431A KR 20070070431 A KR20070070431 A KR 20070070431A KR 100878403 B1 KR100878403 B1 KR 10087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artridg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811A (ko
Inventor
유끼히로 기또자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7Toner discharging opening covered by arcuate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에서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면, 로크 기구는 셔터 부재가 로크의 해제에 종속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해제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70431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토너 배출구, 셔터 부재, 로크 기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복사기 및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부품의 교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부재를 유닛화함으로써 도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전자 사진 시스템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존재한다. 예컨대, 감광체 또는 기록재로부터 전사 벨트로 전사하는데 있어 완전히 소비할 수 없기 때문에 감광체 또는 전사 벨트에 여전히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여 폐토너로서 방출하는 카트리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본체 장치는 이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폐토너를 수납 용기에 회수하도록 폐토너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와 폐토너 반송 수단(또는 수납 용기) 사이에는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해 서로의 오리피스를 연통하는 순환 유닛이 존재하며, 이 이송 유닛의 오리피스가 개폐하여 토너가 외부로 비산하지 않도록 셔터 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교환 시 카트리지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 수단은 본체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시스템에 대해 필수적이다(예컨대 일본 실용신안등록 출원 공개 제04-81172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착탈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폐토너 셔터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카트리지가 본체 장치로부터 착탈될 때, 사용자는 실수로 카트리지에 마련된 폐토너 셔터에 접촉하여, 폐토너 셔터가 열려 폐토너 배출구에서 토너가 누설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본체측에 마련된 폐토너 수용 포트로부터 토너가 누설됨으로써 카트리지의 표면에 토너가 부착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 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구의 셔터를 사용자가 실수로 개방함으로써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토너 셔터를 개폐할 때 카트리지 용기의 표면이 토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해제 가능하게 로크(lock)하는 로크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트리지는 토너 수용 포트를 개폐하는 셔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셔터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셔터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셔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토너 공급을 수용하는 토너 공급구와, 화상 담지 부재상에 형성된 잠상을 상기 토너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 셔터와, 상기 토너 공급구를 개폐하는 제2 셔터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이 완료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화상 담지 부재상에 형성된 정전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외부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을 실행하여,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는 상기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해제 가능하게 로크(lock)하는 로크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트리지는 토너 수용 포트를 개폐하는 셔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셔터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셔터 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셔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토너 공급을 수용하는 토너 공급구와, 화상 담지 부재상에 형성된 잠상을 상기 토너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 셔터와, 상기 토너 공급구를 개폐하는 제2 셔터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이 완료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화상 담지 부재상에 형성된 정전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외부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을 실행하여,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토너는 상기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 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구의 셔터를 사용자가 실수로 개방함으로써 토너가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우선 본 실시예 시스템의 전자 사진 기술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세척 장치 및 폐토너 반송 수단의 구성이 도1 내지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구성은 전자 사진 시스템의 복수의 색 또는 풀 컬러로 된 화상 형성 장치로서 각 색과 대응하여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감광 드럼이 구비된다. 이는 각 감광 드럼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을 순차로 중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소위 인라인(in-line) 유형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우선, 도1은 본 구성의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을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략 수평인 직선상에 배치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가 구비되고, 옐로우색, 마젠타색, 시안젠색 및 블랙색의 각 화상이 형성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에는, 드럼형의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 드럼으로 언급됨)(115c)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 드럼(115c)의 주위에는, 일차 대전 장치(116c), 현상 장치(117c),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118) 및 드럼 세척기 장치(119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 노광 장치(111c)가 일차 대전 장치(116c)와 현상 수단(117c) 사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세척 용기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의 내부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감광 드럼(115c)은, 음으로 대전된 OPC 광전도성 부재이고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드럼 기부 부재상에 광도전층을 갖고,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일차 대전 수단으로서의 일차 대전 장치(116c)는 대전 바이어스 전원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인가되는 대전 바이어스에 의해 감광 드럼(115c)의 표면을 소정의 음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한다.
현상 장치(117c)는 토너를 내부에 유지하여 각 색의 토너가 각 감광 드럼(115c) 상에 형성되는 각 정전 잠상에 부착되게 하여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가시화)되게 한다.
일차 전사 수단으로서 도1에 도시된 전사 롤러(118c)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120c) 내에 배치되어 감광 드럼(115c)쪽으로 압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럼 세척기 장치(119c)는 감광 드럼(115c) 상에서 일차 전사 후 잔류한 전사 잔류 토너를 감광 드럼(115c)에서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 등을 갖는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20c)은 동시에 2차 전사 대향 롤러로서 작동하는 구동 롤러(121c)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롤러축 상의 기어를 포함하며, 도시하지 않은 본체 상의 구동 기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구동 롤러(121c)는 2차 전사 롤러(122c)와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롤러(122c)의 전사재(T)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정착 롤러(123c)와 가압 롤러(124c)를 갖는 정착 장치가 수직 경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노광 장치(111c)는 주어진 화상 정보의 시계열(chronological) 전기 디지털 화소 신호에 대응하여 방사를 실행하는 레이저 방사 수단, 다각 거울 및 반사 거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감광 드럼(115c)에 노광을 함에 따라, 각 일차 대전 장치(116c)에 의해 대전된 각 감광 드럼(115c)의 표면에 화상 정보에 상응하 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은 급지 장치(129c) 내의 급지 롤러(125c)에 의해 한 장으로 분리된 전사재(T)를 레지스트 롤러(126c)에 의해 레지스트 보정하여 2차 전사부(127c)에서 전사재(T)에 전사된다. 또한, 전사재(T)는 정착 장치에 의해 가열/가압을 받으며 배지 롤러(128c)로부터 배출된다.
다음, 토너 순환 구성이 도3 및 도4를 기초로 설명된다.
우선, 도4a 및 도4b에서 토너 카트리지(136c)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정량 공급(또는 보급) 수단(137c)에 의해 소정량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에 공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에서, 현상 챔버(117c) 내의 두 개의 반송 스크류(138c, 139c)는 토너를 교반하여 현상 슬리브(140c)로부터 감광 드럼(115c)으로 토너를 공급(또는 보급)한다. 그리고, 감광 드럼(115c) 상의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로 전사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15c) 표면에 현상되는 모든 토너를 완전히 전사 벨트에 전사시키는 것은 어려우며, 또한 전사 벨트 상의 토너를 완전히 전사하는 것도 어려우므로, 일부의 토너가 감광체(115c) 및 전사 벨트(120c)의 표면에 남겨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다음 화상 형성 공정의 시작 전에 충분히 세척하는 것이 양질의 화상을 유도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 되므로, 드럼 세척 장치(119c)가 감광 드럼(115c)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벨트 세척 장치(130c)가 전사 벨트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각각 구비된다. 드럼 세척 장치(119c)의 상세에 대해, 우레탄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거 수단으로서의 세척 블레이드(131c)를 감광 드럼(115c)의 표면에 접촉시켜 잔류 토너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이 구성에 있어서 간단하고 소형이며 토너 제거 기능도 뛰어나므로,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은 벨트 세척 수단에 있어서도 같다.
이러한 화상 형성 공정을 통해 드럼 세척 장치(119c)에 의해 회수된 폐토너는 도3과 같이 제1 반송 스크류(132c)에 의해 세척 장치 외부로,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 외부로 반송되어, R1에서 폐토너로서 장치 본체측의 폐토너 반송 장치(133c)에 이송된다.
폐토너 반송 장치(133c)는 벨트 세척기 장치(130c) 및 4개의 드럼 세척기 장치(119c)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장치의 본체의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의미하며, 제2 반송 스크류(134c)가 폐토너 반송 장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K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폐토너 수납 장치(135c)가 모든 폐토너를 그 내부에 회수하도록 폐토너 반송 장치(133c)의 반송 방향으로의 팁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 본 구성의 특징인 토너 이송부의 개폐 수단으로서의 셔터 로크 구성이 도5a 및 도5b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우선, 도5a 및 도5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토너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으로서의 폐토너 셔터 기구(140c) 및 공급 셔터 기구(141c)가 배치되어 있다.
폐토너 셔터 기구는 도6a 및 도6b와 같이 개폐 부재로서의 배출구 셔 터(102c)가 K2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케이스에 구비된 돌기(143c)에 의해 K3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제1 셔터를 회전하고자 하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의 오리피스(J1)(토너 배출구)와 배출구 셔터(102c)의 오리피스(J2)가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배출구 셔터(102c)에 구비된 클로(claw)(144c)가 카트리지 케이스의 돌기(145c)와 결합되어, 배출구 셔터(102c)는 K4 방향으로 제거되지 않고 확실한 셔터 로크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 이 로크 기구의 해제 방법이 도7a 내지 도7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7a는 본체 장치로 세팅하기 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를 도시하며, 배출구 셔터(102c)와 토너 공급용 공급 셔터(147c)는 부분(Q1, Q2)에서 로크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는 본체에 세팅되고(토너 배출구가 장치 본체에 상응하게 설치되어 있는 토너 이송부(토너 이송구)(J4)에 대면하도록 상대 이동 없이 소정의 위치에 대면 배치(장착)됨), 도7b와 같이 본체 프레임(146c)과 셔터 로크 부재(142c)가 부분(Q3)에서 접촉하여, 셔터 로크 부재(142c)가 K5 방향으로 이동하여, 부분(Q1)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공급측에서, 카트리지에 토너를 공급하는 본체측의 공급 용기의 토너 공급구(도시되지 않음)와 카트리지의 토너 공급 수용구(도시되지 않음)는 상대 이동 없이 소정의 위치에 대면 배치(장착)되고, 그 후 토너 공급구의 셔터의 개폐 작업을 로크하는 셔터 로크 부재(149c)가 본체에 마련한 해제 부재(148c)에 접촉하여 K6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부분(Q2)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 셔 터(102c)와 공급 셔터(147c)는 개폐 가능해지고, 도7c와 같이 셔터를 이동시키는 구동을 전달하여, 배출구 셔터(102c)는 K7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해지고, 공급 셔터(147c)는 K8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본체측의 오리피스와 연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카트리지의 배출구에 구비된 셔터가 본체측의 토너 수용구측에 구비된 셔터와 결합하여, 본체측에 마련된 셔터가 본체의 구동을 수용하여 카트리지의 셔터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본체측의 토너 공급구의 셔터와 카트리지의 공급 수용구의 셔터가 결합하여, 본체측에 구비된 셔터가 본체의 구동을 수용하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셔터를 구동하는 경우, 구동 전달은 상술된 경우와 달리 다른 방식으로 실행되며, 사용자 등이 카트리지측의 셔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측의 셔터와 결합하고 있는 본체측의 셔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공급 수용구 및 배출구는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의 동일 측면에 구비되어, 구동원의 배치를 장치 본체의 한 측면에만 제한하여 구성이 단순화됨으로써 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로크 해제는 본체 장치(010A)에 제1 도어(020c) 및 교환 도어(030c)를 K10 및 K11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실행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를 K9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 장치(010c)에 세팅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토너 이송구 및 이에 상응하는 본체측의 이송 구가 장착된 후 셔터 부재가 개폐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시 이송구가 토너를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로크 해제된 폐토너 셔터 기구의 제1 셔터가 회전하는 구성이 도9a 내지 도12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9a에서 본체 장치(010c)에 세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는 도9b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측의 배출구 셔터(102c)의 돌기(150c)를 포함하며, 본체 장치측의 본체 셔터(104c)에 구비된 공동(151)(끼워맞춤부 또는 결합부)이 끼워맞춤(결합)되어, 배출구 셔터(102c) 및 본체 셔터(104c)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전달부로서의 배출구 셔터(102c)의 돌기(150c)를 위한 구동을 전달하면, K12 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오리피스(J1), 제1 셔터 오리피스(J2), 본체 셔터의 오리피스(J3) 및 폐토너 반송 장치(133c)의 오리피스(J4)가 연통하여 폐토너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우선, 이 셔터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52c)에는 수동 구동이 도10a 내지 10c와 같이 폐토너 반송 장치(133c) 상에 구비되고 있고, 본체측의 본체 셔터(104c)와 결합된 기어(153c)에 대해 개폐 레버(154c)를 →K13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10c와 같이 개폐 레버에 구비된 구동 전달부로서의 래크(rack) 치형부(155c)가 기어(153c)를 통해 본체 셔터(104c)를 K1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가 복귀될 때, K14 방향으로의 이동은 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경우는 셔터가 회전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지만, 도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개폐 레버(154c)의 동작(K13 및 K14 방향)에 상응하는 셔터 구성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다음, 구동 전달이 본체 장치에 구비된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폐토너 반송 장치(133c)를 구동시키는 폐토너 모터(155c)는 제1 기어열(156c, 157c)이 동작하여 개폐 레버가 K13 및 K14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102c, 104c)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본 구성은 폐토너 모터를 사용하였지만, 급지 모터 등과 같은 본체 장치에 배치된 임의의 모터는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모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셔터를 개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도13a 및 도13b는 셔터를 개방하는 동작에 대해 수동 동작 또는 구동 모터를 사용하고 교환 도어가 셔터의 폐쇄 시,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의 제거 시 K10 방향으로 개방되면 셔터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기구로서, 도13a와 같이 교환 윈도우(030c)의 폐쇄에 의해 유지 부재(160c)가 지지축(161c)에 의해 지지되는 링크(162c)를 가압하고, 이 링크(162c)는 제1 로크 부재(163c)를 가압하며, 개폐 레버(154c)에 구동을 가하여 개폐 레버(154c)가 K13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 레버(154c)에 구비된 제2 로크 부재(165c)가 제1 로크 부재(163c)와 부분(F1)에 의해 로크 및 유지되어 개폐 레버(154c)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13b와 같이 교환 윈도우(030c)가 개방되어 유지 부재(160c)가 소기되고, 링크(162c)가 스프링(164c)의 힘으로 K15 방향에 소기되며, 이와 연 동하여, 제1 로크 부재(163c)가 K16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로크 부재(163c) 및 제2 로크 부재(165c)의 로크가 해제되어, 개폐 레버(154c)는 스프링(166c)의 힘으로 K14 방향으로 이동하여, 셔터를 폐쇄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것이 교환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폐토너 셔터가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폐토너 반송 장치의 오리피스가 연통되는 상태에서, 도14a 및 도14b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 내의 반송 스크류(132c)가 구동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폐토너가 부분(R1)에서의 연결 오리피스에서 폐토너 반송 장치(133c)로 이송되고, 폐토너 반송 장치(133c) 내의 반송 스크류(134c)를 통해 폐토너 수납 용기로 반송된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가 제거될 때, 도15a 및 도15b와 같이 개폐 레버(154c)가 K14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 셔터(104c) 및 배출구 셔터(102c)는 K16 방향으로 래크(155c)를 통해 기어(153c)로 회전하여, 셔터 부재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도15c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취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구성의 사용 시 회전 시스템의 셔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도9c와 같이 본체 장치측의 본체 셔터(104c)가 K17 방향으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4c)의 제거를 차단하여 실수로 셔터를 폐쇄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폐토너가 누설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직접 폐토너 수납 용기에 폐토너를 반송하는 구성도 본 구성의 셔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폐토너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외 중간전사 벨트 상의 폐토너 셔터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시스템은 세척 용기(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의 셔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세팅된 후 셔터를 개폐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착탈에 의한 폐토너 셔터로부터의 폐토너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 품질의 안정과 사용자 조작성 향상이 각별히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구 및 카트리지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용기가 본체측에 미리 구비되어 있지만, 본체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토너 수용구 또는 토너 공급 용기가 미리 장착된 후 셔터가 구동되는 그러한 구성이 채택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측단면도.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측단면도.
도4a 및 4b는 토너의 순환 구성을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
도5a 및 도5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폐토너 셔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a, 도7b 및 도7c는 폐토너 셔터 로크(lock)를 해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9a, 도9b 및 도9c는 폐토너 셔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a, 도10b 및 도10c는 폐토너 셔터 로크를 구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a 및 도11b는 폐토너 셔터 로크를 구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a 및 도12b는 폐토너 셔터 로크를 구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a 및 도13b는 폐토너 셔터 로크를 구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a 및 도14b는 폐토너를 순환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a, 도15b 및 도15c는 폐토너를 순환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4c: 프로세스 카트리지
115c: 감광 드럼
116c: 일차 대전 장치
117c: 현상 장치
118: 전사 롤러
119c: 드럼 세척기 장치

Claims (22)

  1.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셔터의 개방을 방해하는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셔터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로크부를 갖고,
    상기 로크부는 화상 형성 장치측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셔터와 접촉하여 셔터가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장치측 셔터와 끼워 맞추어지고, 로크부에 의해 로크가 해제된 상기 셔터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 셔터와는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셔터는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셔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 셔터와 끼워 맞추어지는 위치가 되도록 로크부로 고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7. 화상 형성 장치측으로부터 토너가 공급되는 토너 공급구와,
    상기 토너 공급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셔터의 개방을 방해하는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셔터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로크부를 갖고,
    상기 로크부는 화상 형성 장치측의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셔터와 접촉하여 셔터가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장치측 셔터와 끼워 맞추어지고, 로크부에 의해 로크가 해제된 상기 셔터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 셔터와는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셔터는 상기 토너 공급구를 개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는, 상기 셔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 셔터와 끼워 맞추어지는 위치가 되도록 로크부로 고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70070431A 2004-11-12 2007-07-13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KR100878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9241A JP4750403B2 (ja) 2004-11-12 2004-11-12 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329241 2004-11-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769A Division KR20060052607A (ko) 2004-11-12 2005-11-11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11A KR20070077811A (ko) 2007-07-27
KR100878403B1 true KR100878403B1 (ko) 2009-01-13

Family

ID=35786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769A KR20060052607A (ko) 2004-11-12 2005-11-11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KR1020070070431A KR100878403B1 (ko) 2004-11-12 2007-07-13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769A KR20060052607A (ko) 2004-11-12 2005-11-11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86910B2 (ko)
EP (1) EP1659456B1 (ko)
JP (1) JP4750403B2 (ko)
KR (2) KR20060052607A (ko)
CN (1) CN1773395B (ko)
AT (1) ATE455318T1 (ko)
DE (1) DE60200501888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3994B2 (ja) * 2004-11-12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15933B2 (ja) 2005-07-21 2009-08-19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2470B2 (en) * 2007-01-15 2010-09-07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JP5067865B2 (ja) * 2007-02-21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8455107B2 (en) * 2007-03-12 2013-06-04 Basf Se Method of treating cellulosic materials with hydrophobins
JP2010085485A (ja) * 2008-09-29 2010-04-1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510644B2 (ja) * 2010-03-03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402741B2 (ja) * 2010-03-16 2014-01-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409631B1 (ko) * 2010-12-28 2014-06-18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CN102566388B (zh) * 2010-12-28 2015-07-15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US8867970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8867966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CN104081290B (zh) * 2012-01-31 2018-06-08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以及调色剂容器
JP5825136B2 (ja) * 2012-02-16 2015-12-02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
CN110780564B (zh) 2013-05-30 2022-06-07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显影装置、处理盒和成像设备
JP6075546B2 (ja) * 2013-05-30 2017-02-0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63957B2 (ja) 2013-08-13 2017-07-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6184274B2 (ja) * 2013-09-25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02693B2 (ja) * 2013-11-26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19576B2 (ja) 2013-11-26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1685B2 (ja) 2013-11-26 2017-09-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33516B2 (ja) 2013-12-20 2016-06-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6411761B2 (ja) * 2014-03-31 2018-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ユニット
JP6112057B2 (ja) 2014-03-31 2017-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
JP6311518B2 (ja) 2014-07-31 2018-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191732A (ja) 2015-03-30 2016-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829853B2 (en) * 2015-03-31 2017-11-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9804553B2 (en) 2015-03-31 2017-10-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rum unit
JP6248373B2 (ja) * 2017-01-11 2017-12-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989917B1 (en) *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MX2020013449A (es) 2018-08-30 2021-02-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ecanismos de autenticacion.
JP7371347B2 (ja) * 2019-05-15 2023-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0221529A (zh) * 2019-06-10 2019-09-10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补充盒及显影剂补充方法
JP7374703B2 (ja) * 2019-10-17 2023-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666810B (zh) * 2020-12-09 2023-06-02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显影剂供应设备
KR20230032378A (ko) * 2021-08-30 2023-03-0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폐토너 전달 용기와 폐토너 저장 용기의 연결
JP2023069085A (ja) 2021-11-04 2023-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287A (ja) * 2000-08-02 2002-02-15 Casio Electronics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20058323A (ko) * 2000-12-29 2002-07-12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622A (ja) 1984-01-20 1985-08-09 Casio Comput Co Ltd 画像形成装置
JPS6314187A (ja) 1986-07-04 1988-01-21 Sharp Corp 現像剤回収装置
JP2622580B2 (ja) * 1988-05-24 1997-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879107B2 (ja) 1989-02-23 1999-04-05 コニカ株式会社 トナー回収装置
JPH0481172A (ja) 1990-07-23 1992-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圧安定回路
JPH07168435A (ja) * 1993-10-04 1995-07-04 Seiko Epson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H07191591A (ja) * 1993-12-24 1995-07-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回収装置
JPH08328337A (ja) * 1995-05-28 1996-12-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84721B2 (ja) 1997-09-22 2003-03-1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作像ユニット
JP3581570B2 (ja) 1998-07-06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廃トナー処理装置
JP2000098713A (ja) * 1998-09-18 2000-04-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54521B2 (ja) * 1999-11-29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3714161B2 (ja) * 1999-12-27 2005-11-09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00842B2 (ja) 2001-11-28 2005-09-28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機の残留トナー回収装置
CN100407065C (zh) * 2002-12-20 2008-07-30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KR100601680B1 (ko) * 2004-05-2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287A (ja) * 2000-08-02 2002-02-15 Casio Electronics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20058323A (ko) * 2000-12-29 2002-07-12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39110A (ja) 2006-06-01
ATE455318T1 (de) 2010-01-15
US20060104663A1 (en) 2006-05-18
EP1659456A2 (en) 2006-05-24
DE602005018884D1 (de) 2010-03-04
EP1659456A3 (en) 2007-02-07
KR20060052607A (ko) 2006-05-19
JP4750403B2 (ja) 2011-08-17
US7486910B2 (en) 2009-02-03
CN1773395A (zh) 2006-05-17
EP1659456B1 (en) 2010-01-13
KR20070077811A (ko) 2007-07-27
CN1773395B (zh)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403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JP457965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81367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52033A (ja) 画像形成装置
US827087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054804A1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182733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67992B1 (ko)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TW201224684A (en) Process cartridge, developer supply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70961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958727B2 (en) Cartridge having a replenishment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8717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041104A (ja) 現像剤供給容器
JP2011070236A (ja)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
US20130084106A1 (en) Developer conveyance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9285765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with shutt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supply opening
TWI747344B (zh) 碳粉匣及碳粉供給機構
JP692154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25359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30121721A1 (en) Developer conveyance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002760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031934A (ja)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0622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1510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05286A (ja) 現像装置、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