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032B1 -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 - Google Patents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032B1
KR100877032B1 KR1020077017206A KR20077017206A KR100877032B1 KR 100877032 B1 KR100877032 B1 KR 100877032B1 KR 1020077017206 A KR1020077017206 A KR 1020077017206A KR 20077017206 A KR20077017206 A KR 20077017206A KR 100877032 B1 KR100877032 B1 KR 10087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restraint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001A (ko
Inventor
도오루 유키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625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6951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625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4019B1/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16K47/06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with a throttle in the form of a helical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F16K47/1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the throttling channel being of helica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ble cycles, e.g. bidirectional expansion restri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9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series, i.e. multi-stage expansion,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1)를 구비하고, 밸브 본체(1) 내에는 제1 구속부(5)와, 그 하류측에 제2 구속부(6)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구속부(6)는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 또는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에는 나선 홈이나 직선 홈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13)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이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는,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냉동 회로를 구비한다. 이 냉동 회로는, 압축기(201), 실외 코일(202), 팽창 밸브(203) 및 실내 코일(204)을 구비한다. 압축기(201) 및 실외 코일(202)은 실외 유닛(205) 내에 수납되고, 팽창 밸브(203) 및 실내 코일(204)은 실내 유닛(206) 내에 수납되어 있다. 팽창 밸브(203)에는,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전동 팽창 밸브가 이용된다.
전동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210)를 구비하고, 밸브 본체(210)에는, 입구 포트(211)와, 출구 포트(212)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210) 내에는, 밸브실(213) 및 냉매 유통로(21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을 통해, 입구 포트(211)와 출구 포트(212)가 연통된다. 밸브 본체(210)에는, 밸브 구멍(217)을 갖는 칸막이 벽(216)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213) 내에는, 밸브체(215)가, 그 선단을 칸막이벽(216)의 밸브 구멍(217)을 향해 수납되어 있다. 밸브체(215)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부(218)가 설치되고, 이 테이퍼부(218)와 밸브 구멍(217)과의 사이에 구속부(219)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15)는, 예를 들면 펄스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동부에 의하여 밸브 구멍(217)에 대하여 진퇴하고, 이에 따라, 밸브 구멍(217)의 개방도(구속부(219)의 구속량)이 조정된다.
여기서,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사이클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압축기(201)에서 압축된 고압 가스 냉매는, 우선, 실외 코일(202)로 반송된다. 실외 코일(202)에서는, 냉매가 외기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됨으로써 응축되어,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액관(207) 및 입구 포트(211)를 통하여 팽창 밸브(203)의 밸브 본체(210) 내로 도입된다. 밸브 본체(210) 내로 도입된 냉매는, 구속부(219) 및 출구 포트(212)를 통해 실내 코일(204)로 송출된다. 실내 코일(204)로 보내진 냉매는,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됨으로써, 증발하여, 기화하고, 저압 가스 냉매로 되어, 압축기(201)로 다시 되돌아온다.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장치의 설치 조건이나 운전 조건 등에 의하여, 실외 코일(202)과 팽창 밸브(203)를 연결하는 액관(207) 내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 기포가 커지고, 냉매 중에 슬래그류나 플래그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 구속부(219)에 액 냉매와 가스 냉매가 교대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냉매의 유속 변동이나 압력 변동이 커지고, 그 결과, 팽창 밸브(203)의 출구 부근에서는, 냉매 흐름에 의하여 이음(異音)이 발생했다. 동일한 문제가,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에도 존재한다.
그래서, 냉매 흐름의 맥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구속부의 출구 부근에 가는 통로의 집합체를 설치하여 냉매 흐름을 정류하는 방법(종래 A방법)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속부의 출구 부근에 다공체나 극세관의 집합체를 형성하는 구성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고,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구속부의 출구 부근에 극세관을 묶은 벌집 파이프(honeycomb pipe)나, 몰레큘러 시브(molecular sieve) 등을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구속부의 출구 부근 유로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방법(종래 B방법)도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구멍을 구성하는 오리피스의 출구 부근의 내경을 단계적으로, 혹은 연속적으로 크게 하거나,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구성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구속부를 2단 구조로 하여, 단과 단의 사이에 중간 압력을 발생시켜, 냉매의 유동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방법(종래 C방법)도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유로의 구속부에 2단 구조의 오리피스를 배치하는 구성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구속부를 1단 구조로 하고, 동 구속부를 복수의 냉매 유통로로 형성하는 방법(종래 D방법)이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7-14603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11-32565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평5-322381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평5-288286호 공보]
그러나, 종래 A방법의 경우, 매우 가는 통로에 이물이 막히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다공질체, 벌집 파이프, 극세관, 몰레큘러 시브 등은 모두 기계 강도가 약하여 변형되기 쉬우므로, 전동 팽창 밸브의 신뢰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종래 B방법의 경우, 구속부를 통과하는 안개상태 냉매의 분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냉매 중의 기포를 세분화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없어, 구속부 부근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들 이유에 의해,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충분히 저감되지 않는다.
종래 C방법의 경우, 하류측의 구속부에 의하여 냉매의 유통 저항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만큼,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의 분류 속도가 커진다. 또한, 2단 구조의 구속부는, 통로 길이가 짧은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므로, 상류측의 구속부 부근에서 압력 변동이 생긴 경우,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의 분출 속도가 크게 변동하여, 이음(異音)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또한, 이 경우, 2단 구조의 각 구속부를 동시에 전폐하는 것이 곤란하고, 그 상태에서, 양 구속부 사이에 중간 압력을 발생시켜, 이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D방법의 경우, 구속부의 유로 면적이 크기 때문에, 냉매의 유량 제어를 고 정밀도로 행할 수 없다.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구속부를 구성하는 각 냉매 유통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면, 이물의 막힘이나 맞물림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잃지 않고, 기액 2상 냉매 흐름이 구속부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이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팽창 밸브 및 그 팽창 밸브를 구비한 냉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형성된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와, 상기 밸브 본체 내로 형성된 밸브실과, 상기 밸브 본체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을 경유하여 상기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접속하는 냉매 유통로와, 상기 밸브실 내에 수납된 밸브체와, 상기 냉매 유통로에 형성된 제1 구속부와, 상기 냉매 유통로의 상기 제1 구속부보다 하류측에 형성된 제2 구속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냉매 유통로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1 칸막이벽과, 상기 제1 칸막이벽보다 하류측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2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칸막이벽에는 제1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벽에는 제2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막대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막대상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밸브 구멍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구속부를 형성하는 제1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과의 사이에 상기 제2 구속부를 형성하는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밸브 시트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그 개방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홈과 상기 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팽창 밸브 내에서 슬래그류나 플래그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1 구속부와, 그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2 구속부에 의해, 제1 구속부의 감압량이 낮게 억제되고, 제1 구속부 부근에서의 냉매의 분출 에너지가 저감된다. 또한, 제2 구속부에 의하여, 제1 구속부를 통과한 냉매를 정류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제2 구속부로부터 배관으로 흐르는 냉매에 대하여, 그 속도는 작아지고, 이에 따라 운동 에너지도 작아진다. 따라서,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작게 억제되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또한,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이, 밸브체의 선단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이 때문에, 제1 구속부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제2 구속부의 개방도도 작아지고, 이물이 맞물리기 쉬워지는 한편, 제1 구속부의 개방도가 커지면, 제2 구속부의 개방도도 커져, 서로 맞물린 이물이 냉매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겨 내진다. 이와 같이, 동 구성에 의하면, 이물의 막힘이 회피되므로, 밸브체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밸브 시트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전폐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가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를 전폐하기까지 필요한 구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모두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했을 때, 홈을 가지는 한쪽 면과, 이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과의 간극의 변화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제2 구속부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제2 구속부를 구성하는 통로를 냉매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해도,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홈이 나선 홈인 경우, 밸브의 개방도에 의하여, 나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냉매 통로의 단면적 등이 크게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냉매 중의 기포를 세분화하는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홈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제2 밸브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의 외경이 커지므로, 홈의 전체 길이나 홈의 수 등의 설계상의 제약이 완화된다. 이 때문에,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설계가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에서 상기 제2 구속부에 이르는 냉매 유통로에는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에 있어서, 제1 구속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 흐름에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해,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소모되어,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을 통과한 냉매 흐름을 상기 확대 공간부내에서 편향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에서 소용돌이의 발생이 촉진되므로, 제1 구속부로부터 분출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소모되기 쉬워져, 제2 구속부에 흐르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나선 홈이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나선 홈과 상기 나선 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나선상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를 구성하는 통로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냉매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모시킬 수 있어,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한층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나선홈이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에 걸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밸브 구멍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에서 정류된 냉매 흐름이 불필요하게 흐트러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에는 제1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중간부에는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나선 홈이고, 상기 제1 구속부로부터 상기 제2 구속부에 이르는 냉매 통로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입구 부근에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에 걸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대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에서, 제1 구속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 흐름에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모시킬 수 있어,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보다 한층 저감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나선 홈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하면, 홈을 가지는 한쪽 면과, 이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의 간극의 변화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제2 구속부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제2 구속부를 구성하는 나선상 통로를 냉매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체를 진퇴시키는 데 따라, 제1 구속부의 구속 효과를, 제2 구속부보다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5도∼6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가 전개(全開)될 때, 나선 홈의 나사산과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맞물린 이물이 제거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의 출구 부근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밸브체부와, 제1 밸브 구멍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2 구속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의 최소값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의 구속 효과를 제2 구속부의 구속 효과보다 크게할 수 있고, 또한, 이물의 막힘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제2 밸브체부보다 하류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의 유속을 저하시켜, 냉매 흐름이 출구 포트 부근에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밸브체부와의 사이에는 제2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경 접합부는, 상기 최대 외주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에서 정류된 냉매에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와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에서 상기 제1 밸브체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제1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경 접합부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밸브 구멍을 각각에 적합한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막대상 부재의 외주면상에 상기 나선 홈을 형성한 후, 상기 나선홈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음으로써,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작게 하면, 나선상 통로의 단면적도 작아진다. 따라서, 나선 홈의 길이와 나선 홈의 단면적에 의해, 제2 구속부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막대상 부재의 외주면을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한 후, 그 외주면 상에 상기 나선홈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나선 홈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이어주는 면을 테이퍼면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복수의 나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복수의 나선상 통로에 분산되고, 이에 따라,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나선상 통로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 나선상 통로에서 유출되는 냉매가 서로 충돌하고,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없어져,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주변을 상기 제1 칸막이벽의 벽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밸브 구멍의 주변에서 소용돌이의 발생이 촉진되므로, 제1 구속부에서 분출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보다 한층 소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에 흐르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더욱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밸브체의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홈이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직선상 홈과 이 직선상 홈에 대향하는 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독립된 직선상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에서 분출한 냉매가 직선상의 각 통로로 분산되고, 이에 따라,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직선상의 통로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각각 다르므로, 각 직선상 통로에서 유출되는 냉매가 서로 충돌하여,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없어져,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밸브체를 진퇴시킴으로써, 홈과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 또는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과의 중복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속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통 저항과 제2 구속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통 저항을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속부와 제2 구속부에서는, 냉매의 유통 저항의 비가 적정한 범위로 유지되므로, 이에 따라,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안정적으로 저감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각 직선 홈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냉매 흐름이 각 직선 홈에 대해 균등하게 분산되므로, 냉매의 에너지 분산 효과가 최대한 발휘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냉동 장치는, 상기 팽창 밸브를 구비한다. 이 경우,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적은 냉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내에 형성된 냉매 유통로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수납되고, 막대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냉매 유통로에 형성된 제1 구속부와, 상기 냉매 유통로의 상기 제1 구속부보다 상류측에 형성된 제2 구속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냉매 유통로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1 칸막이 벽과, 상기 제1 칸막이 벽보다 상류측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2 칸막이 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칸막이 벽에는 제1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 벽에는 제2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밸브 시트와 접촉가능한 제1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제2 밸브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그 개방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 홈과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선상의 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팽창 밸브의 입구 부근에서 슬래그류나 플래그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구속부를 통과함으로써 기포의 세분화가 행해져, 제1 구속부를 향하는 냉매 흐름이 연속화된다. 또한, 제2 구속부를 구성하는 나선상의 통로는 그 통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기액 2상류에 의한 압력 변동이 억제되고, 또한 냉매 흐름 중의 기포가 세분화된다. 이러한 기포의 세분화와 압력 변동 억제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제2 구속부에서 제1 구속부를 향하는 냉매 흐름이 연속화된다. 또한, 제2 구속부에서 제1 구속부로 직선적으로 냉매를 유통시킴으로써, 제1 구속부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저감된다. 그 결과, 제1 구속부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또한,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한쪽이 테이퍼면이다. 이 때문에, 제1 구속부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제2 구속부의 개방도도 작아지고, 이물이 서로 맞물리기 쉬워지는 한편, 제1 구속부의 개방도가 커지면, 제2 구속부의 개방도도 커져, 서로 맞물린 이물이 냉매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겨진다. 따라서, 이물의 막힘이 회피되므로, 밸브체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전폐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가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를 전폐하는데 필요한 구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모두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했을 때, 홈을 갖는 한쪽 면과, 이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의 간극의 변화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제2 구속부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제2 구속부를 구성하는 통로를 냉매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해도,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나선상의 통로의 단면적이 크게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기포를 세분화하는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홈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제2 밸브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의 외경이 커지므로, 홈의 전체 길이나 홈의 수 등의 설계 상의 제약이 완화된다. 이 때문에, 제2 구속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한층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속부에서 상기 제1 밸브 구멍에 이르는 냉매 통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입구 부근에는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에 있어서, 제1 구속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 흐름에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하여,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소모되어,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한층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제2 밸브체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치에서 최대치에 이르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2 밸브 구멍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에서 정류된 냉매 흐름이 불필요하게 흐트러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에는 제1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중간부에는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속부로부터 제1 밸브 구멍에 이르는 냉매 통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입구 부근에는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에 이르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대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에 있어서, 제1 구속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 흐름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모시킬 수 있어,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한층 완화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나선 홈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하면, 홈을 가지는 한쪽 면과, 이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의 간극의 변화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제2 구속부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제2 구속부를 구성하는 나선상 통로를 냉매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체를 진퇴시키는 데 따라, 제1 구속부의 구속 효과를, 제2 구속부보다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면의 테이퍼 각도는 5도∼6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가 전개될 때, 나선 홈의 나사산과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맞물린 이물이 제거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의 입구 부근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밸브체부와 제1 밸브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2 구속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의 최소값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의 구속 효과를 제2 구속부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이물의 막힘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제2 밸브체부보다 상류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그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에서 배관에 흐르는 냉매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어, 냉매 흐름이 입구 포트 부근에서 불필요하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밸브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최대 외주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외주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제2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에서 정류된 냉매에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게 되어,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로부터 상기 제1 밸브체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제1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경 접합부의 테이퍼 각도가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밸브 구멍을 각각에 적합한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을 상기 밸브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한 후에 나사 조이고, 또한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음으로써, 상기 나사산의 정상부를 이어주는 면이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작게 하면, 나선상 통로의 단면적도 작아진다. 따라서, 나선 홈의 길이와 나선 홈의 단면적에 따라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그 가공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나선 홈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이어주는 면을 테이퍼면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주변을 상기 제1 칸막이벽의 벽면부로부터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속부에서 분출한 냉매가 복수의 나선상 통로에 분산되고, 그에 따라,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나선상 통로로부터 유출되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각각 다르므로, 각 나선상 통로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서로 충돌하여,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없어져,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복수의 나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냉매 흐름이 흐트러져 기포가 보다 한층 세분화되므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보다 한층 저감된다. 또한, 일부 나선 홈에 이물이 막힌 경우, 다른 나선 홈을 통해 냉매가 유통되므로, 이물의 막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냉동 장치는, 상기 팽창 밸브를 구비한다. 이 경우,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적은 냉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17-17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최소인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최대인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4는 냉매 회로의 팽창 밸브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팽창 밸브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1)를 구비하고, 밸브 본체(1)에는, 입구 포트(1a)와, 출구 포트(1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1)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밸브실(2) 및 냉매 유통로(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본체(1) 내에서는, 밸브실(2) 및 냉매 유통로(3)를 통해, 입구 포트(1a)와 출구 포트(1b)가 연통되어 있다. 밸브실(2)내에는, 밸브 본체(4)가 수납되어 있는 냉매 유통로(3)의 상류측에 제1 구속부(5)가 설치되고, 하류측에 제2 구속부(6)가 설치된다. 입구 포트(1a)에는 실외 코일과 팽창 밸브를 연결하는 액관(7)이 접속되고, 출구 포트(1b)에는 팽창 밸브와 실내 코일을 연결하는 배관(8)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입구 포트(1a)가 설치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출구 포트(1b)가 설치되고, 냉매는, 도 1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에 따라 밸브 본체(1) 내를 흐른다.
밸브 본체(1) 내에 있어서, 제1 구속부(5)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칸막이벽(10)이 형성되고, 제2 구속부(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칸막이벽(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칸막이벽(10, 11)은, 모두 냉매 흐름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 칸막이벽(10)에는, 제1 밸브 구멍(12)이 형성되고, 제2 칸막이벽(11)에는, 제1 밸브 구멍(12)보다 직경이 큰 제2 밸브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냉매 유통로(3)는, 제2 칸막이벽(11)(제2 밸브 구멍(13))으로부터 제1 칸막이벽(10)(제1 밸브 구멍(12))을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밸브체(4)는, 상부에 대략 원주상의 연결부(14), 중간부에 제2 밸브체부(16) 및 하부에 대략 원추상의 제1 밸브체부(15)를 구비한다. 밸브체(4)는, 밸브 본체(1)와 동 축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4)는, 연결부(14)를 통해, 펄스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제1 밸브체부(15)는, 그 선단을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밸브 구멍(12)의 밸브 시트(12a)에 대해 밸브체(4)를 진퇴시킴으로써, 제1 밸브체부(15)와 밸브 시트(12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구속량)가 변경된다.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에는, 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나선 홈(17)은 제2 밸브체부(16)를 원추상으로 형성한 후,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에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문에, 나선 홈(17)의 나사산이 위치하는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은 테이퍼면이다.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제1 밸브체부(15)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 나선상 통로(18)에 제2 구속부(6)가 형성된다. 나선상 통로(18)는, 제2 밸브체부(16)의 나선 홈(17)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에 의해 포위된 공간이다.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은 서로 평행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액 냉매는, 입구 포트(1a)로부터 유입되면, 제1 구속부(5), 제2 구속부(6)의 순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제2 구속부(6)에서 감압된 냉매는 출구 포 트(1b)에서 배관으로 배출된다. 동 구성에 의하면, 입구 포트(1a) 부근에서 슬래그류나 플래그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1 구속부(5)와, 그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2 구속부(6)에 의해, 제1 구속부(5)의 감압량이 작게 억제되고, 제1 구속부(5) 부근에 있어서의 냉매의 분출 에너지가 저감된다. 또한, 제1 구속부(5)를 통과한 후의 냉매 흐름는, 제2 구속부(6)에 의하여 정류된다. 이에 따라, 제2 구속부(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의 속도는 작아지고,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작아진다. 따라서, 냉매의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작게 억제되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2) 제2 구속부(6)는, 나선상 통로(18)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 구속부(6)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작아지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3)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은, 모두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이 경우,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멍(13)과의 간극도 최소가 되고, 그 간극에 이물이 맞물리기 쉬워진다. 그러나,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가 커지면, 이 간극도 커지므로, 이물을 냉매에 의하여 씻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의 막힘이 억제되므로, 밸브체(4)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4)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은 평행하므로,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가 변화하는데 따라,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 멍(13)의 간극이 크게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가 작은 경우뿐만 아니라, 커진 경우에 대하여도, 나선상 통로(18)를 흐르는 냉매의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작아진다.
(5) 나선상 통로(18)를 구성하는 나선홈(17)은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나선 홈(17)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나선 홈(17)은 막대상 부재의 선단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그 테이퍼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테이퍼면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6) 밸브체(4)는, 선단부에 제1 밸브체부(15)를 가지고, 중간부에 제2 밸브체부(16)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2 밸브체부(16)의 외경을 크게할 수 있고, 나선 홈(17)의 길이, 폭, 깊이 등의 설계상의 제한이 완화된다. 따라서, 제2 구속부(6)를 구성하는 나선 홈(17)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7) 종래 A방법과 같은 매우 가는 통로를 구속부로서 이용하지 않으므로, 구속부에 이물이 막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속부(5)는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5)를 전폐하는데 필요한 구속량을 확보할 수 있다.
(8) 냉매 유통로(3)는, 제1 및 제2 칸막이벽(10, 11)에 의해 칸막이되고, 제1 및 제2 칸막이 벽(10, 11)의 제1 및 제2 밸브 구멍(12, 13)에 대해 하나의 밸브체(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1 밸브 구멍(12)과 제1 밸브체부(15)와의 사이에 제1 구속부(5)가 형성되고, 제2 밸브 구멍(13)과 제2 밸브체부(16)와의 사이에 나선상 통로(18)를 포함하는 제2 구속부(6)가 형성된다. 이 경우, 2단 구조의 구속부를 구비하는 팽창 밸브에 대하여 그 구성이 간소화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팽창 밸브에서는, 냉매 흐름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반대 방향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21)를 구비하고, 밸브 본체(21)에는, 입구 포트(21a)와, 출구 포트(21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21)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밸브실(22) 및 냉매 유통로(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본체(21) 내에서는, 밸브실(22) 및 냉매 유통로(23)를 통해, 입구 포트(21a)와 출력 포트(21b)가 연통되어 있다. 밸브실(22) 내에는, 밸브체(24)가 수납되어 있다. 냉매 유통로(23)의 상류측에 제1 구속부(25)가 설치되고, 하류측에 제2 구속부(26)가 설치된다. 입구 포트(21a)에는, 실외 코일과 팽창 밸브를 연결하는 액관(27)이 접속되고, 출구 포트(21b)에는, 팽창 밸브와 실내 코일을 연결하는 배관(28)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본체(21)의 측벽에 입구 포트(21a)가 설치되고, 밸브 본체(21)의 하부에 출구 포트(21b)가 설치되고, 냉매는, 도 2의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밸브 본체(21) 내를 흐른다.
또한, 밸브 본체(21) 내에 있어서, 제1 구속부(25)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칸막이 벽(30)이 형성되고, 제2 구속부(26)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칸막이 벽(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칸막이 벽(30, 31)은, 모두 냉매 흐름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칸막이 벽(31)에는, 제2 밸브 구 멍(33)이 형성되고, 제1 칸막이 벽(30)에는, 제2 밸브 구멍(33)보다 직경이 큰 제1 밸브 구멍(32)이 형성된다.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은, 출구 포트(21b)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밸브체(24)는, 상부에 연결부(34), 중간부에 제1 밸브체부(35) 및 하부에 제2 밸브체부(36)를 구비한다. 밸브체(24)는, 밸브 본체(21)와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24)는, 연결부(34)를 통해, 펄스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제1 밸브체부(35)는, 그 선단을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밸브 구멍(32)의 밸브 시트(32a)에 대해 밸브체(24)를 진퇴시킴으로써, 제1 밸브체부(35)와 밸브 시트(32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속부(25)의 개방도(구속량)이 변경된다.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에는, 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나선 홈(37)은 제2 밸브체부(36)를 원추체상으로 형성한 후, 제2 밸브체부(36)의 테이퍼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된다.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제1 밸브체부(35)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과, 나선상 통로(38)에서 제2 구속부(26)가 형성된다. 나선상 통로(38)는, 제2밸브체부(36)의 나선 홈(37)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에 의해 포위된 공간이다.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은 서로 평행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액 냉매는, 입구 포트(21a)로부터 유입되면, 제1 구속부(25), 제2 구속부(26)의 순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제2 구속부(26)에서 감압된 냉매는 출구 포트(21b)로부터 배관으로 배출된다. 동 구성에 의하면, 입구 포트(21a) 부근에서 슬래그류나 플래그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1 구속부(25)와, 그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2 구속부(26)에 의해, 제1 구속부(25)에서의 감압량이 낮게 억제되고, 제1 구속부(25) 부근에 있어서의 냉매의 분출 에너지가 저감된다. 또한, 제1 구속부(25)를 통과한 냉매는, 제2 구속부(26)에 의하여 정류된다. 이들에 의해, 제2 구속부(2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의 속도가 작아지고,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작아진다. 따라서, 냉매의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작게 억제되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2) 제2 구속부(26)는, 나선상 통로(38)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 구속부(26)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보다 작아지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3)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은, 모두 밸브 본체(2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이 경우, 제1 구속부(25)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제2 밸브체부(36)와 제2 밸브 구멍(33)과의 간극도 작아지고, 그 간극에 이물이 맞물리기 쉬워진다. 그러나, 제1 구속부(25)의 개방도가 커지면, 이 간극도 커지므로, 이물을 냉매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에 이물이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밸브체(24)의 동작 불량 등을 회피할 수 있다.
(4)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은 평행하므로, 제2 구속부(26)의 개방도가 변화하는데 따라, 제2 밸브체부(36)와 제2 밸브 구멍(33)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구속부(26)의 개방도가 작은 경우 뿐만 아니라, 커진 경우에 대하여도, 나선상 통로(38)를 흐르는 냉매의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작아진다.
(5) 나선 홈(37)은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선 홈(37)은 막대상 부재의 선단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그 테이퍼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테이퍼면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6) 종래 A방법과 같은 매우 가는 통로를 구속부로서 이용하지 않으므로, 구속부에 이물이 막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속부(25)는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25)를 전폐하는데 필요한 구속량을 확보할 수 있다.
(7) 냉매 흐름 통로(23)는, 제1 및 제2 칸막이 벽(30, 31)에 의해 칸막이되고, 제1 및 제2 칸막이 벽(30, 31)의 제1 밸브 구멍(32) 및 제2 밸브 구멍(33)에 대해 하나의 밸브체(4)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밸브 구멍(32)과 제1 밸브체부(35)와의 사이에 제1 구속부(25)가 형성되고, 제2 밸브 구멍(33)과 제2 밸브체부(36)와의 사이에는, 나선상 통로(38)를 포함하는 제2 구속부(26)가 형성된다. 이 경우, 2단 구조의 구속부를 구비하는 팽창 밸브에 대하여 그 구성이 간소화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매 흐름 통로(3)에 있어서, 제1 밸브 구멍(12)과 제2 구속부(6)와의 사이에는 확대 공간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확대 공간부(41)에서는, 냉매 유통로(3)의 내경이 부분적으로 직경 확장되어 있다. 동 구성에 의하면, 확대 공간부(41)에서는, 제1 구속부(5)를 통과한 냉매 흐름에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매 흐름의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작아지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밸브체부(15)의 선단에는, 제1 테이퍼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밸브체부(15)에 있어서, 제1 테이퍼부(15a)보다 기단측에는 제2 테이퍼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테이퍼부(15a)의 테이퍼 각도는, 제2 테이퍼부(15b)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 테이퍼부(15a, 15b)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면부가 가이드부로서 구성된다. 동 구성에 의하면, 이 가이드부에 의하여, 제1 밸브 구멍(12)을 통과한 냉매 흐름이 확대 공간부(41) 내에서 편향된다(도 4에 도시한 파선 화살표). 이 경우, 확대 공간부(41)에서는, 소용돌이의 발생이 촉진되므로, 제1 구속부(5)를 통과한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저감되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밸브 구멍(12)의 주위에는, 제1 칸막이 벽(10)의 벽면을 상방으로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밸브 시트(43)가 설치된다. 그리고, 밸브 시트(43)와 냉매 유통로(3)의 벽면과의 사이에는, 소용돌이 형성 공간(44)이 형성되어 있다. 동 구성에 의하면, 소용돌이 형성 공간(44)에 있어서, 제1 구속부(5)를 통과한 냉매에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더욱 저감된다. 따라서,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더욱 저감된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46)의 외주면은 매끄러운 테이퍼면인 한편, 제2 밸브 구멍(47)의 내주면에는 나선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나선 홈(48)과 제2 밸브체부(46)의 외주면에 의해 포위되는 공간이, 나선상 통로(49)로서 형성된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36)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테이퍼면인 한편, 제2 밸브 구멍(52)의 내주면에는 나선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나선 홈(53)과 제2 밸브체부(51)의 외주면에 의해 포위된 공간이 나선상 통로(54)로서 형성된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56)에는, 나선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 홈(17)은 우선, 제2 밸브체부(56)의 외주면을 밸브체(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밸브체부(56)의 외주면을 나사 조인 후, 제2 밸브체부(56)의 외주면이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을 이루도록, 나선 홈(57)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는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56)의 외주면은, 나선 홈(57)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이어주는 면으로,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나선 홈(55)과 제2 밸브 구멍(13)과의 사이에는 나선상 통로(57)가 형성되고, 그 단면 면적은,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나선상 통로(57)의 단면적도 작아진다. 이 경우, 나선 홈(55)의 길이와 나선 홈(55)의 단면적에 의해,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구속량)이 조정된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62)에는, 나선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 홈(61)을 형성하는데 있어, 우선, 제2 밸브체부(62)의 외주면을 밸브체(2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밸브체부(62)의 외주면을 나사 낸 후, 제2 밸브체부(62)의 외주면이 밸브체(2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을 이 루도록, 나선 홈(61)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는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62)의 외주면은, 나선 홈(61)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이어주는 면으로,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나선 홈(61)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나선상 통로(63)가 형성되고, 그 단면적은, 밸브체(24)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2 구속부(26)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그에 따라, 나선상 통로(63)의 단면적도 작아진다. 이 경우, 나선 홈(61)의 길이와 나선 홈(61)의 단면적에 의해, 제2 구속부(26)의 개방도(구속량)가 조정된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 구멍(65)의 내주면은, 밸브체(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6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나선상 통로(66)가 형성되어 있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가 작아지고,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65)의 내주면과의 간극도 작아지므로, 그 간극에 이물이 맞물리기 쉬워진다. 그러나,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가 커지고,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가 커지면, 맞물린 이물은 냉매 흐름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겨진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68)의 외주면은, 밸브체(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밸브체부(68)의 외주면에는, 나선 홈(67)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 홈(67)은 제2 밸브체부(68)의 외주면을 밸브체(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한 후, 제2 밸브체부(68)의 외주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된다. 나선 홈(67)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나선상 통로(69)가 형성된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구속부(5, 6)의 개방도에 따라, 제2 밸브체부(68)와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간극의 크기가 변경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구속부(5, 6)의 개방도가 커지면, 이 간극도 커지므로, 이물을 냉매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의 막힘이 억제되므로, 밸브체(4)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71)는, 밸브체(4)의 중간부에서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에는, 밸브체(4)의 축선에 따라 연장되는 4개의 직선상 홈(7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 어 있다. 각 직선상 홈(72)는,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의 단면 삼각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 밸브 구멍(13)의 내경은, 제2 구속부(6)의 구속량이 최대인 경우, 제2 밸브체부(71)와 제2 밸브 구멍(13)이 슬라이드 가능한 칫수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직선상 홈(72)과 제2 밸브체부(71)와의 사이에는, 제2 구속부(6)를 구성하는 복수의 냉매 통로가 각각 독립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밸브체(4)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구속부(5)의 구속량이 변경되는 동시에, 직선상 홈(72)과 제2 밸브체부(71)와의 중복 부분(직선상 통로(73)의 길이도 변경된다. 이 때, 제1 구속부(5)와 제2 구속부(6)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통 저항이 각각 동시에 변경된다.
제1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입구 포트(1a)로부터 슬래그류나 플래그류가 유입되는 경우, 제1 구속부(5)와, 그 하류측에 있는 제2 구속부(6)에 의해, 제1 구속부(5)의 감압량이 저감되고, 제1 구속부(5)로부터 분출하는 냉매의 분출 에너지가 저감된다. 또한, 제1 구속부(5)로부터 분출된 냉매는 복수의 직선상 통로(73)로 분산되고, 그에 따라,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도 분산된다. 그리고, 각 직선상 통로(73)를 통과한 냉매는 난류가 되므로,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완화된다. 또한, 각 직선상 통로(73)로부터 유출되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은 각각 다르다. 이 때문에, 각 직선상 통로(73)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서로 충돌함으로써,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따라서, 제2 구속부(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저감되 어,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저감된다.
(2) 밸브체(4)를 진퇴시킴으로써, 각 직선상 홈(72)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중복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고, 제1 구속부(5)와 제2 구속부(6)에서 냉매의 유통 저항을 각각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속부(5)와 제2 구속부(6)에서 냉매의 유통 저항의 비가 적정한 범위로 유지되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안정적으로 저감된다.
(3) 제2 밸브체부(71)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이,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밸브체부(71)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이물이 막히지 않으므로, 밸브체(4)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4) 제2 밸브체부(71)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은 서로 평행하므로,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직선상 통로(73)에 의하여,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5) 각 직선상 홈(7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직선상 통로(73)에 대해 냉매를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6) 밸브체(4)의 선단부에 제1 밸브체부(15)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제2 밸브체부(7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밸브체부(71)의 외경 및 제2 밸브 구멍(13)의 내경을 각각 크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선상 홈(72)의 길이, 폭, 또는 깊이 등의 설계상의 제약이 완화된다. 따라서, 제2 구속부(6)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7) 종래 A방법과 같이, 매우 가는 통로를 구속부로서 이용하지 않으므로, 구속부에 이물이 막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속부(5)는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5)를 전폐하는데 필요한 구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8) 냉매 유통로(3)는, 제1 및 제2 칸막이벽(10, 11)에 의해 칸막이되고, 제1 및 제2 칸막이벽(10, 11)의 제1 및 제2 밸브 구멍(12, 13)에 대해 하나의 밸브체(4)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밸브 구멍(12)과 제1 밸브체부(15)와의 사이에 제1 구속부(5)가 형성되고, 제2 밸브 구멍(13)과 제2 밸브체부(16)와의 사이에 제2 구속부(6)가 형성된다. 이 경우, 2단 구조의 구속부를 구비하는 팽창 밸브에 대하여 그 구성이 간소화된다.
(제1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75)는, 밸브체(2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에는, 밸브체(24)의 축선에 따라 연장되는 4개의 직선상 홈(76)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직선상 홈(76)은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의 단면 대략 삼각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 밸브 구멍(33)의 내경은, 제2 구속부(26)의 구속량이 최대인 경우, 제2 밸브체부(75)와 제2 밸브 구멍(33)이 슬라이드 가능한 칫수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직선상 홈(76)과 제2 밸브체부(75)와의 사이에는, 제2 구속부(26)를 구성하는 복수의 냉매 통로가 각각 독립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밸브체(24)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구속부(25)의 구속량이 변경되는 동시에, 직선상 홈(76)과 제2 밸브체부(75)와 중복 부분(직선상 통로(77))의 길이도 변경된다. 이 때, 제1 구속부(25)와 제2 구속부(26)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통 저항이 각각 동시에 변경된다.
제1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입구 포트(21a)로부터 슬래그류나 플래그류가 유입되는 경우, 제1 구속부(25)와, 그 하류측에 있는 제2 구속부(26)에 의해, 제1 구속부(25)의 감압량이 저감되고, 제1 구속부(5)로부터 분출되는 냉매의 분출 에너지가 저감된다. 또한, 제1 구속부(5)로부터 분출된 냉매는 복수의 직선상 통로(73)에 분산되고, 그에 따라,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도 분산된다. 그리고, 각 직선상 통로(77)를 통과한 냉매는 난류로 되므로,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완화된다. 또한, 각 직선상 통로(77)로부터 유출되는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은 각각 다르다. 이 때문에, 각 직선상 통로(77)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서로 충돌함으로써,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따라서, 제2 구속부(2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 속도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저감되고,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저감된다.
(2) 제1 구속부(25)와 제2 구속부(26)에서 냉매의 유통 저항을 각각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안정적으로 저감된다.
(3) 제2 밸브체부(75)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이, 밸브체(2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밸브체부(75)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이물이 막히지 않으므로, 밸브체(24)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4) 제2 밸브체부(75)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은 서로 평행하므로, 제2 구속부(26)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직선상 통로(77)에 의하여,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5) 각 직선상 홈(76)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직선상 통로(77)에 대해 냉매를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6) 종래 A방법과 같이, 매우 가는 통로를 구속부로서 이용하지 않으므로, 구속부에 이물이 막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속부(25)는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25)를 전폐하는데 필요한 구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7) 냉매 유통로(23)는, 제1 및 제2 칸막이벽(30, 31)에 의해 구획되고, 제1 및 제2 칸막이벽(30, 31)의 제1 및 제2 밸브 구멍(31, 33)에 대해 하나의 밸브체(24)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밸브 구멍(32)과 제1 밸브체부(35)와의 사이에 제2 구속부(26)가 형성된다. 이 경우, 2단 구조의 구속부를 구비하는 팽창 밸브에 대하여 그 구성이 간소화된다.
(제1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81)의 외주면에는, 4개의 직선상 홈(8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 구멍(83)의 내주면은, 홈을 가지지 않는 매끄러운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직선상 홈(82)과 제2 밸브 구멍(8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4개의 직선상 통로(84)가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동 구성에 의하면,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 직선상 홈(82)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85)의 외주면은, 밸브체(24)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 구멍(33)은, 밸브체(2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직선상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체부(85)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직선상 통로(86)가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 우, 밸브체(24)를 진퇴시켜, 제2 구속부(26)를 개폐함으로써, 제2 밸브체부(85)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과의 간극의 크기가 변화한다. 즉, 제2 구속부(26)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제2 밸브체부(85)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맞물린 이물을 냉매 흐름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다.
(제1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 구멍(91)의 내주면은, 밸브체(4)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밸브 구멍(91)의 내주면에는, 단면 삼각 형장을 이루는 복수의 직선상 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체부(71)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9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직선상 통로(93)가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밸브체(4)를 진퇴시켜, 제2 구속부(6)를 개폐함으로써,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91)의 내주면과의 간극의 크기가 변화한다. 즉, 제2 구속부(6)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간극에 맞물린 이물을 냉매 흐름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다.
(제17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제1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0∼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 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도 2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밸브체부(16)의 테이퍼 각도(α1)와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가 동일하다. 이 경우,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는, 약 5도∼약 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각도(α2)의 하한치인 5도는, 나선 홈(17)의 나사산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맞물린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테이퍼 각도(α2)의 하한치이다. 또한, 테이퍼 각도(α2)의 상한치인 60도는, 나선 홈(17)의 형성에 필요로 되는 길이에 의거하는 테이퍼 각도(α2)의 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퍼 각도(α1) 및 테이퍼 각도(α2)는 각각 약 25도이다.
제2 밸브체부(16)의 하류측 단부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의 최소값(도 20의 상태)으로부터 최대값(도 21의 상태)의 범위 내에서, 제2 밸브 구멍(13)에 배치된다. 즉, 제2 밸브체부(16)의 하류측 단부의 위치(X1)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제2 밸브 구멍(13)의 하류측 단부의 위치(Y1)보다 항상 아래쪽이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의 하류측 단부는, 제2 이경 접합부(96)를 통해 연결부(14)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4)의 직경(d2)은 제2 밸브체부(16)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d1)보다 작다. 제2 밸브체부(16)의 최대 외주부는, 제2 이경 접합부(96)를 통해 연결부(14)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이경 접합부(96)는, 제2 밸브체부(16)로부터 연결부(14)를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체부(16)의 상류측 단부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의 최소치(도 20의 상태)로부터 최대치(도 21의 상태)의 범위 내에서 확대 공간부(41)에 배치된다. 즉, 제2 밸브체부(16)의 상류측 단부의 위치(X2)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의 범위 내에서, 제2 밸브 구멍(13)의 상류측 단부의 위치(Y2)보다 항상 아래쪽이다.
제1 밸브체부(15)는,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밸브체부(15)의 테이퍼 각도(β1)는,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보다 크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와 제1 밸브체부(15)와의 사이에는, 제1 이경 접합부(95)가 설치된다. 제1 이경 접합부(95)는, 제2 밸브체부(16)로부터 제1 밸브체부(15)를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이경 접합부(95)의 테이퍼 각도(β2)는, 제1 밸브체부(15)의 테이퍼 각도(β1)보다 크다.
제1 밸브체부(15)와 제1 밸브 구멍(12)의 간극(S1)은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멍(13)의 최소 간극(S2)보다 작다. 제1 밸브체부(15)와 제1 밸브 구멍(12)과의 간극(S1)은 제1 밸브체부(15)와 제1 밸브 구멍(12)의 출구측 각부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를 가리킨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멍(13)과의 최소 간극(S2)은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멍(13)의 사이의 최단 거리를 가리킨다. 제2 밸브체부(16)의 테이퍼 각도(α1)는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와 동일하다.
제17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2 밸브체부(16)의 하류측 단부가 제2 밸브 구멍(13)보다 하류측으로 돌출되면, 제2 구속부(6)에서 정류된 냉매 흐름에 강한 선회류가 발생한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밸브체부(16)의 하류측 단부가 제2 밸브 구멍(13)보다 하류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냉매의 난류화가 회피되므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2) 제2 밸브체부(16)의 상류측 단부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의 범위 내에서 확대 공간부(41)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41)로부터 제2 구속부(6)로 냉매를 자연스럽게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보다 한층 저감된다.
(3) 제2 밸브체부(16)의 테이퍼 각도(α1)와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는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2 구속부(6)를 구성하는 나선상 통로(18)를,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냉매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4) 제1 밸브체부(15)의 테이퍼 각도(β1)는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보다 크기 때문에, 밸브체(4)를 진퇴시킴으로써, 제1 구속부(5)의 구속 효과를 제2 구속부(6)보다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5) 제2 밸브 구멍(13)의 테이퍼 각도(α2)는, 약 5도∼약 6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나선 홈(17)의 나사산과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과의 간극에 맞물린 이물을 제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나선홈(17)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제1 밸브체부(15)와 제1 밸브 구멍(12)과의 간극(S1)은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의 최소 간극(S2)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1 구속부(5)의 구속 효과를 제2 구속부(6)보다 현저히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제2 구속부(6)에 기인하는 이물의 막힘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구속부(5)를 주요 구속부로 하고, 제2 구속부(6)를 이음 억제부로 하는 등, 제1 구속부(5)와 제2 구속부(6)에 다른 기능을 가지게 하여, 팽창 밸브의 최적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7) 연결부(14)의 직경(d2)은 제2 밸브체부(16)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d1)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2 구속부(6)로부터 배관에 흐르는 냉매의 유속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출구 포트(1b) 부근에서 냉매 흐름이 불필요하게 흐트러지지 않게 되어,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8) 연결부(14)와 제2 밸브체부(16)와의 사이에는, 제2 이경 접합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밸브 본체(1) 내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생기는 흐트러짐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더욱 저감된다.
(9) 제2 밸브체부(16)의 상류측 단부와 제1 밸브체부(15)의 하류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제1 이경 접합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이경 접합부(95)의 테이퍼 각도(β2)는, 제1 밸브체부(15)의 테이퍼 각도(β1)보다 크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밸브 구멍(12, 13)의 치수를 각각 최적화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1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21)의 하부에 입구 포트(21a)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21)의 측벽에 출구 포트(21b)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2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6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7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제2 구속부는 모두 나선상 통로로 이루어지고, 이들 통로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기액 2상류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나선상 통로에 따라 냉매가 선회하면서 흐르는 동안에, 냉매 중의 기포는 세분화된다. 이러한 기포의 세분화는, 냉동 부하가 낮고, 냉매의 유속이 지연되는 경우, 즉, 제2 구속부의 개방도가 작고, 나선 홈과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간극이 작은 경우에도 충분히 행해진다. 한편, 냉동 부하가 높고, 냉매의 유속이 빠른 경우, 즉, 제2 구속부의 개방도가 크고, 나선 홈과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간극이 커지는 경우에도, 기포의 세분화가 충분히 행해진다. 따라서, 기포의 세분화 작용과, 기액 2상류의 압력 변동 억제 효과에 의해, 입구 포트로부터 슬래그류나 플래그류가 유입되는 경우, 제2 구속부에서 제1 구속부를 향하는 냉매 흐름이 연속화된 다.
또한, 제2 구속부로부터 제1 구속부로 향하는 냉매 흐름을 직선적으로 함으로써, 제1 구속부의 구속량을 작게 하고, 제1 구속부를 통과하는 냉매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작게 한다. 이 때문에, 제1 구속부에서의 냉매에 의한 압력 변동이 저감된다.
또한, 제1 구속부는 전폐 가능하므로, 제1 구속부를 전폐하는데 필요한 구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A방법과 비교해, 이물을 막히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모두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크게 해도 나선 홈과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간극의 변화량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나선상 통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나선상 통로에 의한 기포의 세분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모두 동일한 테이퍼 각도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제2 구속부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나선상 통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되어, 나선상 통로에 의한 기포의 세분화 효과가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나선 홈은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므로, 나선 홈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밸브체는, 선단부에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제2 밸브체부를 가진다. 그리고,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의 외경을 크게 하면, 나선상 통로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3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 확대 공간부(41) 내에 있어서, 제2 구속부(6)를 통과한 냉매 흐름이 흐트러져, 냉매 중의 기포가 보다 한층 세분화된다. 이에 따라,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5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선회용 공간부(44) 내에 있어서, 제2 구속부(6)로부터 제1 밸브 구멍(12)을 향하는 냉매 흐름에 선회류가 발생하여, 냉매 중의 기포가 보다 한층 세분화된다. 이에 따라,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억제된다.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8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8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이들 경우, 제2 구속부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그에 따라, 나선상 통로의 단면적도 작아진다. 이에 따라, 나선 홈의 길이와 단면적에 의해, 제2 구속부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의 이동량에 대한 구속량을 크게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10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또한,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11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이들 경우,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가 작아지면,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멍(13)과의 사이의 간극도 작아지므로, 그 간극에 이물이 맞물리기 쉬워진다. 그러나, 제1 구속부(5)의 개방도가 커지면, 이 간극도 커지므로, 이물을 냉매에 의하여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의 막힘이 억제되므로, 밸브체(4)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하부에 출구 포트(1b)를 설치하고, 밸브 본체(1)의 측벽에 입구 포트(1a)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를, 도 20∼도 22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16)의 상류측 단부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의 범위내에서, 제2 밸브 구멍(13) 내에 배치된다. 이 경 우, 나선상 통로(18)에 의하여 냉매중의 기포가 세분화되기 전에, 제2 밸브체부(16)에 의하여 냉매 흐름에 흐트러짐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의 하류측 단부는,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의 범위내에서, 확대 공간부(41)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나선상 통로(18)로부터 확대 공간부(41)로 냉매를 자연스럽게 유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확대 공간부(41) 내에서 기액 2상류가 난류로 되어, 냉매중의 기포가 세분화된다. 따라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9)의 내주면은, 모두 밸브체(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들 테이퍼 각도가 동일하다. 이 경우, 제2 밸브체부(16)의 개방도에 의하여 나선상 통로(18)가 크게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냉매 중의 기포를 안정적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체부(15)와 제1 밸브 구멍(12)과의 간극(S1)은 제1 구속부(5) 및 제2 구속부(6)의 개방도에 관계없이, 제2 밸브체부(16)와 제2 밸브 구멍(13)과의 최소 간극(S2)보다 작다. 이 경우, 제1 구속부(5)의 구속 효과가 제2 구속부(6)보다 커지는 동시에, 제2 구속부(6)에 기인하는 이물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연결부(14)의 직경(d2)은 제2 밸브체부(16)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d1)보다 작다. 그 경우, 밸브 본체(1) 내에 유입되는 냉매 흐름이 연결부(12)에 의하여 저해되지 않으므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팽창 밸브를, 1대의 실외 유닛에 대해 복 수대의 실내 유닛을 접속하는 멀티형 에어 컨디셔너에 사용해도 된다. 통상, 멀티형 에어 컨디셔너에서는, 팽창 밸브의 입구로부터 비교적 큰 기포가 혼입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본 발명의 팽창 밸브를 멀티형 에어 컨디셔너에 이용하면,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구속부(5, 25)를, 전폐하지 않은 범위에서 사용해도 되고, 또한, 제1 구속부(5, 25)를, 전폐 불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제2 및 제6∼1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확대 공간부(41)를 형성해도 된다. 이들 경우,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완화되므로,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제6, 8, 10∼12, 14 및 1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확대 공간부(41)를 형성하고,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 도시한 가이드부를 제1 밸브체부(15)에 설치해도 된다. 이들 경우, 확대 공간부(41)에 있어서, 소용돌이의 발생이 촉진되므로,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제4, 6, 8, 10∼12, 14, 16 및 17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5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밸브 시트(43)를 형성하고, 냉매를 선회시키기 위한 소용돌이 형성 공간(44)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 경우, 소용돌이 형성 공간(44)에 있어서 소용돌이의 발생이 촉진되므로,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2∼9 및 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0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밸브 구멍(13, 33, 47, 52)의 내주면은, 밸브체(4, 24)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2∼1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6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밸브 구멍(13, 33, 83)의 내주면은, 밸브체(4, 24)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제2∼5, 8 및 9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1 실시 형태와 같이, 나선 홈(17, 37, 55, 61)의 나사산을 이어주는 면은, 밸브체(4, 24)의 중심선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제6 및 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밸브 구멍(47, 52)의 내주면을 밸브체(2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나선 홈(48, 53)을 제2 밸브 구멍(47, 52)의 내주면에 형성해도 된다.
·제3∼5 및 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8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을 밸브체(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나선 홈(17)을 형성하고, 또한, 나선 홈(17)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음으로써, 제2 밸브체부(16)의 외주면을 밸브체(14)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들 경우, 나선 홈(17)의 길이와 단면적에 의해, 제2 구속부(6)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제6 및 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밸브 구멍(47, 52)의 내주면을 밸브체(24)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제2 밸브 구멍(47, 52)의 내주면에 나선 홈(48, 53)을 형성하고, 그 후, 나선 홈(48, 53)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도록 해도 된다. 이들 경우, 나선 홈(48, 53)의 길이와 단면적에 의해, 제2 구속부(6, 26)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제1∼11, 및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구속부(6, 26)의 나선홈(17, 37, 48, 53, 55, 61, 67)을 복수 형성하고, 이들을 병렬로 형성해도 된다. 이들 경우, 각 나선상 통로(18, 38, 49, 54, 57, 63, 66, 69)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서로 충돌함으로써, 냉매의 유속 변동 및 압력 변동이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제12∼1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직선상 홈(72, 76, 82, 92)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ㄷ자형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밸브체(4, 24)의 진퇴 방향에 있어서, 직선상 홈(72, 76, 82, 92)의 단면적을 바꾸고, 각 직선상 통로(73, 77, 84, 86, 93)의 단면적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직선상 홈(72, 76, 82, 92)의 수를 변경하여, 각 직선상 홈(72, 76, 82, 92)의 단면적의 총 합을 변화시켜도 된다.
·제13, 15 및 1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4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밸브체부(75, 85, 71)에 복수의 직선상 홈을 각각 독립하여 설치해도 된다.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6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밸브 구멍(33)의 내주면은, 밸브체(24)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또한,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5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밸브체부(71)의 외주면은, 밸브체(4)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제1∼9 및 17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밸브체부(16, 36, 46, 51, 56, 62) 와 제2 밸브 구멍(13, 33, 47, 52)의 내주면에서 이들 테이퍼 각도를 다르게 해도 된다.
·제12∼1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밸브체부(71, 75, 81)의 외주면과 제2 밸브 구멍(13, 33, 83)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를 각각 다르게 해도 된다.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선 홈(17)을, 제2 밸브 구멍(13)의 내주면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도, 팽창 밸브의 출구 부근에 있어서, 냉매 흐름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본 발명의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를, 일체형, 분리형, 멀티형 등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해도 되고, 또한, 공기 조화 장치 이외의 냉매 회로(예를 들면, 냉장고 등의 냉매 회로)에 적용해도 된다.

Claims (48)

  1.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형성된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와, 상기 밸브 본체내에 형성된 밸브실과, 상기 밸브 본체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을 경유하여 상기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접속하는 냉매 유통로와, 상기 밸브실 내에 수납된 밸브체와, 상기 냉매 유통로에 형성된 제1 구속부와, 상기 냉매 유통로의 상기 제1 구속부보다 하류측에 형성된 제2 구속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냉매 유통로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1 칸막이 벽과, 상기 제1 칸막이 벽보다 하류측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2 칸막이 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칸막이 벽에는 제1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 벽에는 제2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막대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막대상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밸브 구멍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구속부를 형성하는 제1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과의 사이에 상기 제2 구속부를 형성하는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밸브 시트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그 개방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편이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홈과 상기 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밸브 시트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전폐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모두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제2 밸브체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로부터 상기 제2 구속부에 이르는 냉매 유통로에는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을 통과한 냉매 흐름을 상기 확대 공간부내에서 편향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나선 홈이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나선 홈과 상기 나선 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선상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나선홈이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에서 최대값에 걸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밸브 구멍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에는 제1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중간부에는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나선 홈이고, 상기 제1 구속부로부터 상기 제2 구속부에 이르는 냉매 통로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입구 부근에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에서 최대값에 걸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대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5도∼60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의 출구 부근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밸브체부와 제1 밸브 구멍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2 구속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의 최소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제2 밸브체부보다 하류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밸브체부와의 사이에는 제2 이경(異徑)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경 접합부는, 상기 최대 외주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와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로부터 상기 제1 밸브체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제1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경 접합부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막대상 부재의 외주면상에 상기 나선 홈을 형성한 후, 상기 나선홈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음으로써,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막대상 부재의 외주면을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한 후, 그 외주면 상에 상기 나선홈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복수의 나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주변을 상기 제1 칸막이벽의 벽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밸브체의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홈이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직선상 홈과 이 직선상 홈에 대향하는 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독립된 직선상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각 직선홈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6.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팽창 밸브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
  27.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내에 형성된 냉매 유통로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수납되고, 막대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냉매 유통로에 형성된 제1 구속부와, 상기 냉매 유통로의 상기 제1 구속부보다 상류측에 형성된 제2 구속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냉매 유통로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1 칸막이 벽과, 상기 제1 칸막이 벽보다 상류측에서의 냉매 흐름을 구획하는 제2 칸막이 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칸막이 벽에는 제1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 벽에는 제2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밸브 시트와 접촉가능한 제1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제2 밸브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그 개방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 홈과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선상의 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에 대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진퇴시킴으로써 전폐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9.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모두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1.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2.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제2 밸브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3.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속부로부터 상기 제1 밸브 구멍에 이르는 냉매 통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입구 부근에는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4.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제2 밸브체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에서 최대값에 이르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밸브 구멍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5.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에는 제1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중간부에는 제2 밸브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밸브체의 선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속부로부터 제1 밸브 구멍에 이르는 냉매 통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입구 부근에는 확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속부의 개방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에 이르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대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7.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 및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8.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는,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구멍의 테이퍼면의 테이퍼 각도는 5도∼60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0.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부의 입구 부근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밸브체부와 제1 밸브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2 구속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밸브체부와 상기 제2 밸브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의 최소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1.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제2 밸브체부보다 상류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그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최대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밸브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최대 외주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외주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제2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3.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체부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상류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밸브체부로부터 상기 제1 밸브체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제1 이경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경 접합부의 테이퍼 각도가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4.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외주면 또는 제2 밸브 구멍의 내주면을 상기 밸브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한 후에 나사를 내고, 또한 나사산의 정상부를 깎음으로써, 상기 나사산의 정상부를 이어주는 면이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5.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그 가공면에 나사를 냄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6.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제1 밸브 구멍의 주변을 상기 제1 칸막이벽의 벽면부로부터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7.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은 복수의 나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8. 청구항 27 또는 28에 기재된 팽창 밸브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
KR1020077017206A 2005-02-28 2006-02-28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 KR100877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54979 2005-02-28
JP2005054979 2005-02-28
JPJP-P-2005-00104397 2005-03-31
JP2005104397 2005-03-31
JPJP-P-2005-00362502 2005-12-15
JPJP-P-2005-00362501 2005-12-15
JP2005362502A JP3826951B1 (ja) 2005-03-31 2005-12-15 膨張弁及び冷凍装置
JP2005362501A JP3824019B1 (ja) 2005-02-28 2005-12-15 膨張弁及び冷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001A KR20070099001A (ko) 2007-10-08
KR100877032B1 true KR100877032B1 (ko) 2009-01-07

Family

ID=3694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206A KR100877032B1 (ko) 2005-02-28 2006-02-28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2653B2 (ko)
EP (1) EP1857748A4 (ko)
KR (1) KR100877032B1 (ko)
AU (1) AU2006219331C1 (ko)
WO (1) WO2006093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3910B2 (ja) * 2006-06-29 2008-1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分流器一体化構造の膨張弁
US8152136B2 (en) * 2007-11-26 2012-04-1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Polymer microvalve with actuators and devices
US20100224807A1 (en) * 2009-03-05 2010-09-09 Brizes Robert C Multiple flow-rate dispensing valve and method
DE102009011562A1 (de) * 2009-03-06 2010-09-09 Otto Egelhof Gmbh & Co. Kg Ventil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Expansionsventil
JP5563391B2 (ja) * 2010-07-05 2014-07-3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磁弁
DE102011003926A1 (de) * 2011-02-10 2012-08-16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Steuern eines Fluids
DE102011004993A1 (de) * 2011-03-02 2012-09-06 Robert Bosch Gmbh Ventileinrichtung zum Schalten oder Zumessen eines Fluids
US20120279236A1 (en) * 2011-05-06 2012-11-08 Trane International Inc. Reversible Flow Electronic Expansion Vavle
DE102011077252B4 (de) * 2011-06-09 2018-10-04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Steuern eines Fluids
EP2718644B1 (en) * 2011-06-10 2020-09-09 Carrier Corporation Ejector with motive flow swirl
DE102011079866A1 (de) * 2011-07-26 2013-01-31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zum Steuern eines Fluids
CN103890505B (zh) 2011-09-26 2015-12-09 丹佛斯公司 具有压力平衡的流量控制阀
WO2013109473A1 (en) * 2012-01-19 2013-07-25 Flow International Corporation Relief valve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WO2013176012A1 (ja) * 2012-05-24 2013-11-28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5891968B2 (ja) * 2012-06-22 2016-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減圧装置
JP6024765B2 (ja) * 2013-02-05 2016-11-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圧力制御弁及びコントロールバルブ
US9175787B2 (en) * 2013-09-20 2015-11-03 Control Components, Inc. Liner displacement control valve including valve trim with spindle and flow control element for improved low flow control
WO2015181441A1 (en) * 2014-05-28 2015-12-03 Wärtsilä Finland Oy A safety valve arrangement for a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 and a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
CN104358885B (zh) * 2014-11-04 2017-01-25 无锡市亚迪流体控制技术有限公司 高压差流量大可调比控制阀
DE102014116214B3 (de) * 2014-11-06 2016-02-04 Eto Magnetic Gmbh Proportionalventil, Klimakompressoranordnung sowie Betriebsverfahren
CN107002900B (zh) * 2014-12-25 2019-03-12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JP2015072119A (ja) * 2015-01-07 2015-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膨張弁
WO2017022378A1 (ja) * 2015-08-03 2017-02-09 株式会社デンソー 統合弁
DE102015221002A1 (de) * 2015-10-27 2017-04-27 Mahle International Gmbh Ventileinrichtung, insbesondere Expansionsventil, für eine Klimatisierungsanlage
US20180259081A1 (en) * 2015-11-06 2018-09-13 Hitachi, Ltd. Valve structure, and hydraulic device, fluid machine, and machine, each having same
CN106884996B (zh) * 2015-12-16 2021-11-19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其阀芯
EP3417196B1 (en) 2016-02-17 2020-12-16 Flow International Corporation Regulator valve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ITUA20164408A1 (it) * 2016-06-15 2017-12-15 Dropsa Spa Dispositivo di lubrificazione minimale con regolazione fine del flusso di olio
EP3477227B1 (en) * 2016-06-24 2020-12-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ng cycle device and outdoor heat exchanger used in same
CA3030405A1 (en) 2016-07-13 2018-01-18 Stone Mountai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expansion valves having multiple orifice plates
CN106224637A (zh) * 2016-09-20 2016-12-14 华南理工大学 一种迷宫式微流量调节阀与方法
US20180238336A1 (en) * 2017-02-22 2018-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ressor recirculation valve with valve seat structure for suppressing noise upon opening of valve
JP6924095B2 (ja) * 2017-08-03 2021-08-25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スリーブ弁
KR102630846B1 (ko) * 2018-07-10 202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CN109682022B (zh) * 2018-12-26 2021-03-19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膨胀阀控制方法及装置、空调系统
WO2020255192A1 (ja) * 2019-06-17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7145134B2 (ja) * 2019-09-27 2022-09-30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US11512795B2 (en) * 2021-03-26 2022-1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oise abatement in a venturi valve
CN114183538B (zh) * 2021-12-13 2023-11-17 无锡卓尔阀业有限公司 一种采用节流导向套的多段减压单座调节阀
WO2024078720A1 (de) 2022-10-13 2024-04-18 Pierburg Gmbh Expansionsventil
CN115749981B (zh) * 2022-10-24 2024-05-07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一种切向进排气阀门
CN115432175B (zh) * 2022-11-08 2023-03-28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射流整流结构、射流控制阀门、射流控制系统及飞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658A (ja) * 1998-05-08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膨張弁
JP2002071241A (ja) * 2000-08-30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装置及びその冷媒制御用絞り弁
JP2002195698A (ja) * 2000-10-17 2002-07-10 Denso Corp ヒートポンプ用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050A (en) * 1912-10-11 1914-09-29 Franz Max Berberich Device for mixing and rendering liquids homogeneous.
US4044991A (en) * 1975-10-06 1977-08-30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High energy loss fluid flow control device
JPH05288286A (ja) 1992-04-07 1993-11-02 Hitachi Ltd 膨張弁
JPH05322381A (ja) 1992-05-25 1993-1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膨張弁装置
JPH07146032A (ja) 1993-11-26 1995-06-06 Matsushita Seiko Co Ltd 膨張弁
JPH08334280A (ja) * 1995-04-07 1996-12-17 Fuji Koki Seisakusho:Kk 膨張弁及び冷凍システム
JPH10205927A (ja) 1997-01-17 1998-08-04 Denso Corp 電動式膨張弁
JP2002122367A (ja) 2000-10-17 2002-04-26 Denso Corp 制御弁
DE10139534A1 (de) * 2001-08-10 2003-02-20 Bosch Rexroth Ag Schließkörper, insbesondere Ventilkegel für ein Stetigdruckventil
JP4285155B2 (ja) * 2003-08-27 2009-06-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段電動膨張弁及び冷凍装置
US6981689B2 (en) * 2004-04-08 2006-01-03 Gueorgui Milev Mihaylov Hybrid flow metering valve
JP2005351605A (ja) * 2004-06-14 2005-12-22 Daikin Ind Ltd 膨張弁及び冷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658A (ja) * 1998-05-08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膨張弁
JP2002071241A (ja) * 2000-08-30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装置及びその冷媒制御用絞り弁
JP2002195698A (ja) * 2000-10-17 2002-07-10 Denso Corp ヒートポンプ用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7748A1 (en) 2007-11-21
EP1857748A4 (en) 2013-03-13
AU2006219331B2 (en) 2009-01-08
AU2006219331C1 (en) 2009-05-28
AU2006219331A1 (en) 2006-09-08
WO2006093149A1 (ja) 2006-09-08
US20080282717A1 (en) 2008-11-20
KR20070099001A (ko) 2007-10-08
US7832653B2 (en)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032B1 (ko) 팽창 밸브 및 냉동 장치
JP3826951B1 (ja) 膨張弁及び冷凍装置
KR101045759B1 (ko) 냉매 분류 구조를 구비한 팽창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동 장치
CN100504253C (zh) 膨胀阀及制冷装置
JP2006266667A (ja) 膨張弁及び冷凍装置
EP3156745B1 (en) Ejector using swirl flow
WO2012132317A1 (ja) 減圧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5015752A1 (ja) エジェクタ
JP2010181136A (ja) 蒸発器ユニット
KR100645812B1 (ko)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US20070157661A1 (en) Expansio valve of refrigerating apparatus
JP2009024937A (ja) 冷媒分流室結合型膨張弁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3824019B1 (ja) 膨張弁及び冷凍装置
JP5696069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351605A (ja) 膨張弁及び冷凍装置
EP3099987B1 (en) Ej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JP2007032980A (ja) 膨張弁
JP2005069644A (ja) 多段電動膨張弁及び冷凍装置
WO2014080596A1 (ja) エジェクタ
JP2008128603A (ja) 電動膨張弁
JP2005069645A (ja) 多段電動膨張弁及び冷凍装置
JP2008309345A (ja) 冷媒分流器一体化構造の膨張弁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2009002548A (ja) 冷媒分流器
JP4315060B2 (ja) 膨張弁及び冷凍装置
JP4582206B2 (ja) 膨張弁及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