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862B1 - 방진성이 향상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진성이 향상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862B1
KR100875862B1 KR1020060104433A KR20060104433A KR100875862B1 KR 100875862 B1 KR100875862 B1 KR 100875862B1 KR 1020060104433 A KR1020060104433 A KR 1020060104433A KR 20060104433 A KR20060104433 A KR 20060104433A KR 100875862 B1 KR100875862 B1 KR 10087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s
housing
lip
see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125A (ko
Inventor
다카아키 구도
나오후미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접촉자 (3, 4) 및 접촉자를 유지하는 하우징 (1) 을 포함하는 본체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작동 부재 (2) 는 본체에 결합되고 또한 연결체 (5) 가 본체에 삽입되는 개방 위치와 접촉자가 연결체에 접촉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작동 부재 (2) 는 인접한 접촉자 사이에 삽입되는 립 (22) 과 회전 방향으로 립에 인접한 오목부 (24) 를 갖는다. 하우징은, 작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오목면에 삽입되는 돌출부 (12) 를 갖는다. 작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립은 돌출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한다.

Description

방진성이 향상된 커넥터{CONNECTOR IMPROVED IN DUST TIGHTNESS}
도 1 은 연결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다른 방향에서 본 도 1 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과는 다른 위치에서 본,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연결체가 커넥터에 연결되었을 때 도 1 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다른 방향에서 본 도 6 의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과 다른 위치에서 본 도 6 의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 작동 부재
3, 4: 접촉자
5: 연결체
12: 돌출부
22: 립
24: 오목부
본 발명은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와 같은 연결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H10-208810 호는 정렬 불량의 연결을 방지하면서 작동성이 좋은 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 를 연결할 수 있는 소형 커넥터 케이블을 개시한다.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H11-307198 호는 작동성 및 유지성이 개선된 FPC 를 유지하고 FPC 의 다수의 단자를 집합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270290 호는 작동력이 작은 작동 부재로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 접촉자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켜 신뢰성있는 연결을 하는 저프로파일 (low-profile) 커넥터를 개시한다.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 - 178958 호는 장착 개방부에 FPC 또는 FFC 를 신뢰성있게 안내할 수 있고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형 커넥터를 개시한다.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 - 206987 호는 대향면에 접촉부를 갖는 FPC 에 적합하고 또한 및 피치를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커넥터를 개시한다.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342426 호는 외부 치수가 작고, 스토퍼 (stopper) 등을 제공하지 않고도 회전 부재 및 접촉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각각의 커넥터에서는, 접촉자 (단자) 는 일면에 FPC 등의 연결체와 연결된 제 1 부 및 대향면에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부를 갖는다. 연결체가 장착되어 커넥터에 연결될 때, 접촉자 또는 단자의 제 1 위치는 연결체에 의해 덮여져서 보호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단자 또는 접촉자의 제 2 위치는 외부에 노출되고 또는 비록 하우징 등으로 덮여 있더라도 그 구조로 인해 통기성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자의 제 2 위치는 종종 부착되는 그리트 (grit) 및 먼지 등의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다.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접촉자의 단자부 또는 단자의 단락, 이동, 부식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5- 243390 호는 그리트 및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접촉자의 단자부의 부식, 이동,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커넥터에서, 작동 부재는 상기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접촉자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를 갖는다. 그러나, 커넥터는 형태가 동일한 다수의 접촉자가 단순히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신호 배선 패턴에서의 피치 감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의 복잡한 배선 패턴을 갖는 연결체에 거의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가 그리트 및 먼지에 노출되는 사용 환경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세 설명을 통해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연결체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접촉자 및 본체와 접촉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고 또한 연결체가 본체에 삽입되는 개방 위치와 접촉자가 연결체에 접촉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는 인접한 접촉자 사이에 삽입된 립 (rib) 과 회전 방향으로 립에 인접한 오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작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오목부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립은 작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절연재로 각각 이루어진 하우징 (1) 과 작동 부재 (액츄에이터) (2) 를 포함한다. 하우징 (1) 은 제 1 방향 (횡방향) (A1) 으로 평행하게 교대로 배열한 다수의 제 1 전도성 접촉자 (3) 및 제 2 전도성 접촉자 (4) 를 유지한다. 접촉자 (3,4) 의 각각은 제 1 방향 (A1) 으로 치수가 작은 박판 형상을 갖는다. 연결체로서 FPC (5) 는 제 1 방향 (A1) 에 수직한 제 2 방향 (전후 방향) (A2) 으로 하우징 (1) 의 장착 개구부 (11) 에 삽입되고 또한 그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장착 개구부 (11) 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한 면과 장착 개구부 (11) 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있는 다른 면을 각각 삽입면과 대향면으로 한다.
하우징 (1) 과 접촉자 (3, 4) 의 결합을 본체라고 한다. 작동 부재 (2) 는, 본체의 대향면과 결합되고,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구조에 따라 FPC (5) 가 삽입되어 분리되는 개방 위치와 접촉자 (3, 4) 가 FPC (5) 와 접촉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작동 부재 (2) 는 제 1 방향 (A1) 으로 확장한 중심 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FPC (5) 는 접촉자 (3, 4) 에 대응하여 FPC (5) 의 일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 (51) 를 갖는다.
도 3 ~ 도 5 를 참조하여, FPC (5) 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의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작동 부재 (2) 는 캠부의 역할을 하는 회전 잠금부 (21), 회전 잠금부 (21) 주변에 배치되고 각각이 제 1 방향 (A1) 에 수직인 평면에서 확장한 다수의 박판형 립 (22), 립 (22) 으로부터 방사 방향 외부로 배치되고 작동 부재 (2)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 (A1) 으로 길게 확장한 커버부 (23) 및 작동 부재 (2) 의 회전 방향으로 립 (22) 에 인접하고 작동 부재 (2)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 (A1) 으로 확장한 오목부 (24) 를 갖는다. 립 (22) 은 인접한 접촉자 (3, 4) 사이에서 삽입된다. 각각의 립 (22) 과 각각의 접촉자 (3, 4) 사이의 틈은 작게 구성된다.
하우징 (1) 은 접촉자 (3,4) 를 유지하는 바닥벽 (1a) 과, 제 1 방향 (A1) 및 제 2 방향 (A2) 에 수직인 제 3 방향 (수직 방향) (A3) 으로 바닥벽 (1a) 에서 떨어져 마주한 상부벽 (1b) 을 갖는다. 상부벽 (1b) 은 후방으로 확장하고 또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 위치에 있는 작동 부재 (2) 의 오목부 (24) 에 삽입되는 박판형 돌출부 (12) 를 갖는다. 돌출부 (12) 는 하우징 (1) 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 (A1) 으로 확장한다. 박판형 돌출부 (12) 가 작동 부재 (2) 의 오목부 (24) 로 삽입되기 때문에, 그리트 또는 먼지가 하우징 (1)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후 보다 명확히 설명될 바와 같이, 작동 부재 (2) 가 폐쇄 위치로 움직이면, 오목부 (24) 는 돌출부 (12) 로부터 해제된다. 이런 경우에, 립 (22) 은 돌출부 (12) 의 하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한다. 따라서, 그리트 또는 먼지가 하우징 (1)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접촉자 (3) 의 각각은, 삽입면에 형성되고 또한 FPC (5) 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접촉부 (31), 대향면에 형성된 선회부 (32), 접촉부 (31) 와 선회부 (32) 를 연결하는 시소부 (33), 하우징 (1) 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부 (34), 탄성을 가지며 시소부 (33) 를 유지부 (34) 에 연결하는 연결부 (35), 및 유지부 (34) 의 삽입면에 형성된 단자부 (36) 를 갖는다. 시소부 (33) 는 지지점으로서 유지부 (34) 에 대해 시소 운동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제 2 접촉자 (4) 의 각각은, 삽입면에 형성되고 또한 FPC (5) 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접촉부 (41), 대향면에 형성된 선회부 (42), 접촉부 (41) 와 선회부 (42) 를 연결하는 시소부 (43), 하우징 (1) 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부 (44), 탄성을 가지며 시소부 (43) 를 유지부 (44) 에 연결하는 연결부 (45), 및 유지부 (44) 의 삽입면에 형성된 단자부 (46) 를 갖는다. 시소부 (43) 는 지지점으로서 유지부 (44) 에 대해 시소 운동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작동 부재 (2) 의 회전 잠금부 (21) 는 제 3 방향 (A3) 으로 각각의 유지부 (44) 와 선회부 (32) 사이에서 고정되거나 개재되어서, 제 2 방향 (A2) 으로 선회부 (32, 42) 와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 (2) 는 선회부 (32, 42)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단자부 (34, 44) 는 예를 들면 납땜 등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제 1 접촉자 (3) 및 제 2 접촉자 (4) 는 단자부 (34, 44) 의 위치에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대향면으로부터 하우징 (1) 에 제 2 방향 (A2) 으로 고정된다.
도 3 및 도 4 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제 2 접촉자 (4) 의 접촉부 (41) 는 제 1 접촉자 (3) 의 접촉부 (31) 보다 삽입면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따라서, 접촉부 (31, 41) 는 제 1 방향 (A1) 으로 엇갈린 패턴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다음으로 도 6 ~ 도 9 를 참조하여, FPC (5) 가 커넥터에 연결되었을 경우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FPC (5) 는 유입면에서부터 하우징 (1) 의 장착 개구부 (11) 로 삽입된다. 그 후에, 작동 부재 (2) 는 폐쇄 위치로 회전된다. 작동 부재 (2) 의 회전 후에, 회전 잠금부 (21) 는 캠부로서 작동하여 선회부 (32, 42) 를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시소부 (33, 43) 는 유지부 (34, 44) 에 대해 시소 운동을 수행하여 접촉부 (31, 41) 가 FPC (5) 의 패드 (51) 와 압접하게 된다. 따라서, FPC (5) 가 커넥터와 연결된다.
이때, 작동 부재 (2) 의 오목부 (24) 는 회전되어 하우징 (1) 의 돌출부 (12) 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따라서, 커버부 (23) 는 제 2 접촉부 (4) 의 단자부 (46) 를 덮는다. 동시에, 상기의 인접한 제 1 접촉자 (3) 와 제 2 접촉자 (4) 사이에 위치한 립 (22)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1) 의 돌출부 (12) 의 하부면에 접근한다. 따라서, 커넥터가 그리트 및 먼지에 노출된 사용 환경에 있더라도, 접촉자 (3, 4) 는 충분히 보호되어 전기 전도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회전 잠금부 (21) 는, 선회부 (32, 42) 와 접촉한 후에, 제 2 방향 (A2) 으로 선회부 (32, 42) 의 바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선회부 (32, 42) 의 간부벽과 결합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선회부 (32, 42) 는 회전 잠금부 (21) 에 의해 상방으로 밀린다. 그 결과, 회전 잠금부 (21) 는 제 1 접촉자 (3) 및 제 2 접촉자 (4) 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밀린다. 복원력은 작동 부재 (2) 를 도 8 및 도 9 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해준다. 따라서, 작동 부재 (2) 는 폐쇄 위치에서 멈추어서 FPC (5) 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해준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오직 두 개의 접촉자만이 커넥터에 사용되는 경우에, 작동 부재는 두 접촉자 사이에 삽입되는 단일 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는 그리트 및 먼지에 노출되는 사용 환경에서도 잘 견딜 수 있다.

Claims (9)

  1.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와,
    연결체가 본체에 삽입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접촉자가 연결체에 접촉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작동 부재는;
    인접한 접촉자들 사이에 삽입되는 립; 및
    회전 방향으로 립에 인접한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작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오목부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립은 상기 작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접근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뻗어있는 중심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제 1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삽입되고;
    각각의 상기 접촉자는;
    제 2 방향으로 삽입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결체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제 2 방향으로 삽입면에 반대되는 대향면에 형성된 선회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선회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잠긴 회전 잠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각각은:
    접촉부와 회전 잠금부를 연결하는 시소 (seesaw) 부;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부; 및
    탄성을 가지며 또한 유지부에 시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시소부는 지지점으로서 상기 유지부에 대한 시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잠금부는 상기 유지부와 상기 선회부 사이에 고정되고 또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선회부에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0104433A 2005-10-26 2006-10-26 방진성이 향상된 커넥터 KR100875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1381A JP4279823B2 (ja) 2005-10-26 2005-10-26 コネクタ
JPJP-P-2005-00311381 2005-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25A KR20070045125A (ko) 2007-05-02
KR100875862B1 true KR100875862B1 (ko) 2008-12-24

Family

ID=3798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433A KR100875862B1 (ko) 2005-10-26 2006-10-26 방진성이 향상된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06478B2 (ko)
JP (1) JP4279823B2 (ko)
KR (1) KR100875862B1 (ko)
CN (1) CN10044446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103B1 (ko) * 2019-04-26 2019-12-10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79260A (zh) * 2003-10-16 2006-12-13 莫列斯公司 扁平电路连接器
JP4783081B2 (ja)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429246B2 (ja) *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384210B2 (ja) * 2007-07-31 2009-12-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26719U (en) * 2007-08-31 2008-02-0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 connector
US7828570B2 (en) * 2007-11-20 2010-11-09 Ddk Ltd. Connector having improved pivoting member design
JP2009129562A (ja) * 2007-11-20 2009-06-11 D D K Ltd コネクタ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527511B1 (en) * 2008-05-09 2009-05-0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110298B2 (ja) * 2008-06-18 2012-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DE102009059008B4 (de) * 2009-12-17 2015-04-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JP5121884B2 (ja) * 2010-05-31 2013-0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704364B2 (ja) 2013-05-31 2015-04-22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326147B (zh) * 2013-06-08 2016-01-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连接器
JP6039511B2 (ja) * 2013-07-17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1446B2 (ja) * 2013-09-05 2016-06-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リント配線板及び該配線板を接続する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7558A (ja) 2002-09-30 2004-04-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4235115A (ja) 2003-02-03 2004-08-19 Alps Electric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04342426A (ja) 2003-05-14 2004-12-02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05243390A (ja) 2004-02-26 2005-09-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951B2 (ja) 1997-01-24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932521B2 (ja) 1998-04-17 2007-06-20 Smk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ー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3484659B2 (ja) 2001-03-09 2004-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536209B2 (ja) * 2001-06-07 2004-06-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7044773B2 (en)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2004206987A (ja) 2002-12-25 2004-07-22 D D K Ltd コネクタ
JP4073766B2 (ja) 2002-11-27 2008-04-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514596B1 (ko) * 2003-08-27 2005-09-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4342904B2 (ja) * 2003-10-28 2009-10-1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Fpc用コネクタおよびfpc用コネクタとfpcの接続構造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7558A (ja) 2002-09-30 2004-04-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4235115A (ja) 2003-02-03 2004-08-19 Alps Electric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04342426A (ja) 2003-05-14 2004-12-02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05243390A (ja) 2004-02-26 2005-09-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103B1 (ko) * 2019-04-26 2019-12-10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6267A (zh) 2007-05-02
CN100444467C (zh) 2008-12-17
JP2007122966A (ja) 2007-05-17
US20070093122A1 (en) 2007-04-26
JP4279823B2 (ja) 2009-06-17
US7306478B2 (en) 2007-12-11
KR20070045125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862B1 (ko) 방진성이 향상된 커넥터
KR100982758B1 (ko) 케이블 커넥터
JP4484218B2 (ja) コネクタ
JP4199272B2 (ja) コネクタ
KR101138116B1 (ko) 커넥터 장치
US736104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60009280A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413845B1 (ko) 방수 커넥터
KR101001738B1 (ko) 커넥터
KR20090007429A (ko) 회전 랫치를 가진 fpc 커넥터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TWI568085B (zh) 連接器、連接器組裝體以及使用於該連接器組裝體的纜線
JP4883451B2 (ja) ヒンジカバー式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00828800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7035500A (ja) ノイズフィルタ
JP2005268018A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JP2007280785A (ja) コネクタ
JP3331467B2 (ja) Zifコネクタ装置
KR20150054653A (ko) 스위치
JPH1018918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242088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및 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의 더스트 유입방지 방법
JP3010146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09017699A1 (en) Cable connector
KR200343952Y1 (ko) 전기커넥터
TWI496366B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