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596B1 -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596B1
KR100514596B1 KR10-2003-0059453A KR20030059453A KR100514596B1 KR 100514596 B1 KR100514596 B1 KR 100514596B1 KR 20030059453 A KR20030059453 A KR 20030059453A KR 100514596 B1 KR100514596 B1 KR 10051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tuator
panel
contact panel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429A (ko
Inventor
신희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5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429A/ko
Priority to PCT/US2004/027555 priority patent/WO2005022701A1/en
Priority to JP2006524813A priority patent/JP2007503702A/ja
Priority to CNA2004800262329A priority patent/CN1849729A/zh
Priority to US10/569,840 priority patent/US2007015521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FFC가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여 FPC/FFC와 터미널 사이의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에 형성된 안착슬롯에 FPC/FFC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패널; 밀착패널의 전단부 양측에 돌출되어, 밀착패널이 안착슬롯을 폐쇄할 때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암의 일측면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 밀착패널의 후단부에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 지지부의 단부에 지지되어 밀착패널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샤프트; 및 밀착패널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고정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Actuator for flexibility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FPC나 FFC를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FPC나 FFC를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후방에서 하우징(10) 내로 삽입 고정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20)과,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FPC/FFC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하우징(10)의 전단부에는 FPC/FFC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슬롯(11)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터미널(20)이 삽입 고정되는 터미널 삽입부(12)가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고정암(13)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암(13)의 내측에는 액츄에이터(3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1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 양측에는 고정암(13)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13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돌출되며, 액츄에이터(30)의 전단부 양측에는 액츄에이터(30)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킬 때 하우징(10)의 전면부 양측에 걸려 액츄에이터(30)가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하는 록킹돌부(3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3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 후단부를 고정암(13) 사이에 삽입하면, 액츄에이터(30)의 고정돌기(31)가 하우징(10)의 고정홈(13a)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액츄에이터(30)는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 상에 FPC/FFC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FPC/FFC의 단부를 하우징(10)의 안착슬롯(11)에 안착시킨 후,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폐쇄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FPC/FFC는 액츄에이터(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20)에 접속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는, FPC/FFC를 하우징의 안착슬롯에 고정할 때 전단부 양측에 돌출된 록킹돌부를 하우징의 전면에 걸어 록킹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하여 FPC/FFC를 터미널에 접속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전단부를 위로 조금만 잡아당기거나 하우징에 충격을 주게 되면 록킹상태가 쉽게 해제될 우려가 있으며, 결국 FPC/FFC를 고정해주는 고정력이 약하되어 FPC/FFC와 터미널의 접속력이 약해지거나 접속력이 완전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FPC/FFC가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여 FPC/FFC와 터미널 사이의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에 형성된 안착슬롯에 FPC/FFC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패널; 밀착패널의 전단부 양측에 돌출되어, 밀착패널이 안착슬롯을 폐쇄할 때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암의 일측면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 밀착패널의 후단부에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 지지부의 단부에 지지되어 밀착패널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샤프트; 및 밀착패널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고정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는, 밀착패널의 후단부와 캠부 사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하우징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피팅네일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우징의 후단부 양측과 고정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밀착패널의 전후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보스는, 밀착패널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피팅네일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저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원형지지부; 및 원형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밀착패널의 전후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00)는, 전방으로 FPC/FFC가 삽입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FPC/FFC와 접속되는 다수의 터미널(120)과, 하우징(110)에 FPC/FFC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130), 및 액츄에이터(130)를 상승된 상태로 지지하는 피팅네일(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하우징(110)의 전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및 전방으로 개방되어 FPC/FFC의 단부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슬롯(111)이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액츄에이터(130)의 후단부 양측이 고정되는 고정암(112)이 각각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후단부 내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으로부터 터미널(120)이 삽입 고정되는 터미널 삽입부(113)가 형성된다.
이 때, 고정암(112)은 하우징(11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전단부와 고정암(112)의 전단부 사이에는 피팅네일(140)의 측부가 삽입되는 제1네일 삽입부(114)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후단부와 고정암(112)의 후단부 사이에는 제1네일 삽입부(114)와 소통되며 후술할 액츄에이터(130)의 보스(134)가 삽입되는 보스 삽입부(115)가 형성되며, 고정암(112)의 전단부에는 피팅네일(140)의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네일 삽입부(116)가 제1네일 삽입부(114)와 소통되게 수평 형성된다.
한편, 안착슬롯(111)의 측벽에 인접되는 고정암(112)의 전단부 일측면에는 후술할 액츄에이터(130)의 록킹돌기(131b)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록킹홈(117)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암(112)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액츄에이터(130)의 캠부(13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캠부 고정홈(118)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캠부 고정홈(118)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130)를 장착할 때 액츄에이터(130)의 캠부(135)가 일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고정홈부(118a)와, 제1고정홈부(118a)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피팅네일(140)에 의해 액츄에이터(130)가 상승될 때 액츄에이터(130)의 캠부(13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제2고정홈부(118b)로 구성된다.
전술한 터미널(120)은 하우징(110)의 후단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부(113)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기부(基部)(121)와, 기부(12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되어 터미널 삽입부(113)의 상측으로 삽입되고 단부 저면에 피벗홈(122a)이 형성된 피벗빔(122)과, 기부(121)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되어 터미널 삽입부(113)의 하측으로 삽입되고 단부 상면에 FPC/FFC(200)의 핀단자(20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돌부(123a)가 돌출된 접촉빔(123), 및 기부(121)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에 용접되는 용접부(124)로 구성된다.
전술한 피팅네일(14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암(112)의 전단부 저면에 접촉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되는 바닥패널(141)과, 바닥패널(14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고정암(112)의 전단부와 밀착패널(131)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네일 삽입부(114)에 삽입되고 그 후단으로 보스(134)를 상승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패널(142), 및 지지패널(142)의 전단부로부터 바닥패널(141)의 타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고정암(112)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2네일 삽입부(116)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패널(143)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는, FPC/FFC를 안착슬롯(111)의 바닥에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패널(131)과, 밀착패널(131)의 후단부에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132)와, 지지부(132)의 단부에 지지되는 샤프트(133)와, 밀착패널(131)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피팅네일(140)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스(134), 및 보스(134)의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암(112)의 제2고정홈부(118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캠부(135)로 이루어진다.
이 때, 밀착패널(131)은 캠부(135)에 의해 하우징(110)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측에는 밀착패널(131)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안착슬롯(111)을 폐쇄할 때 안착슬롯(111)의 양측벽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31a)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안착부(131a)의 전단부 양측면에는 밀착패널(131)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FPC/FFC의 단부를 안착슬롯(111)에 고정시킬 때 고정암(112)의 록킹홈(117)에 삽입되어 밀착패널(131)을 록킹시키는 록킹돌기(13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32)는 밀착패널(131)의 후단부에 이격 설치되어 인접하는 밀착패널(131) 사이에 터미널(120)의 피벗빔(122)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132a)을 형성함으로써, 밀착패널(131) 회전시 밀착패널(131)과 터미널(12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지지부(132)의 후단부에는 샤프트(133)보다 일정 구간 후방으로 햐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FPC/FFC의 단부를 가압하여 안착슬롯(111)에 견고히 고정해줄 뿐만 아니라, FPC/FFC와 터미널(120)의 접촉빔(123)을 밀착시켜 접속력을 증대시키는 가압돌부(132b)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이 가압돌부(132b)로 인해 밀착패널(131)이 터미널(120)의 반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착패널(131)을 회전시켜 FPC/FFC 단부를 가압할 때 가압하는 느낌이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즉, FPC/FFC와 접촉되는 접촉빔(123)의 반발력이 밀착패널(131)에 작용하더라도, 밀착패널(131)의 회전중심이 되는 샤프트(133)의 후방에서 가압돌부(132b)가 FPC/FFC의 상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밀착패널(131)의 열림이 방지된다.
또한, 샤프트(133)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32)의 단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피팅네일(140)에 의해 보스(134)가 상승될 때 터미널(120)의 피벗빔(122) 단부에 형성된 피벗홈(122a)에 삽입되어 밀착패널(13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밀착패널(131)의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스(134)는 밀착패널(131)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밀착패널(131)의 후단부와 고정암(112)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된 보스 삽입부(115)에 삽입되어 피팅네일(140)의 측부가 밀착패널(131)의 전단부와 고정암(112)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네일 삽입부(114)을 통해 삽입될 때 피팅네일(140)의 측부 후단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보스(134)는, 밀착패널(131)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피팅네일(140)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저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원형지지부(134a)와, 원형지지부(132)로부터 연장되어 보스 삽입부(115)의 양측벽 및 전방측에 걸려 밀착패널(131)의 전후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34b)로 구성된다.
한편, 캠부(135)는 보스(134)의 유동방지부(134b)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암(112)의 제1고정홈부(118a)에 삽입된 후 피팅네일(140)에 의해 보스(134)가 상승될 때 동시에 상승하여 제2고정홈부(118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캠부(135)로 인해, 밀착패널(131)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안착슬롯(111)을 폐쇄하기 위해 밀착패널(131)을 전방으로 즉, 폐쇄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해 밀착패널(131)을 소정각도 즉 45°이상으로 강제 회전시킨 후 손가락을 떼면 자동으로 폐쇄 위치로 회전하게 되며, 반대로 밀착패널(131)이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안착슬롯(111)을 개방시키기 위해 후방으로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가 45°이상으로 회전시킨 후 손가락을 떼면 자동으로 개방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FPC/FFC의 유동이나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뜻하지 않게 록킹돌기(131b)가 고정암(112)의 록킹홈(117)으로부터 탈거되더라도 밀착패널(131)을 소정각도 이상 강제 회전시키지 않는 한 밀착패널(131)은 안착슬롯(111)을 폐쇄하는 위치에 위치되므로, FPC/FFC는 안착슬롯(111)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FPC/FFC와 터미널의 접속력은 계속해서 유지된다.
이처럼, 밀착패널(131)은 록킹돌기(131b) 및 캠부(135)에 의해 이중으로 록킹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캠부(135)의 측면에는 액츄에이터(130) 장착시 고정암(112)의 캠부 고정홈(118)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일측 캠부(135)와 타측 캠부(135) 사이의 거리는 일측 고정암(112)과 타측 고정암(112)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어 액츄에이터(130) 장착시 고정암(112)이 자체에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 때 캠부(135)는 경사면으로 인해 고정암(112)의 안쪽면을 따라 캠부 고정홈(118)에 간편하게 삽입되며, 캠부(135)가 캠부 고정홈(118)에 삽입된 후 고정암(112)은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캠부(135)는 고정암(112)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장착과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30)를 하우징(1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130)를 수직으로 세우고, 액츄에이터(130)의 후단부를 고정암(112) 사이로 삽입하면, 고정암(112)이 자체에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액츄에이터(130)의 캠부(135)는 고정암(112)의 안쪽면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제1고정홈부(118a)로 삽입된다.
이처럼, 캠부(135)가 고정암(112)의 제1고정홈부(118a)에 완전 삽입되면, 고정암(112)이 자체에 보유하는 탄성력으로 인해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캠부(135)는 제1고정홈부(118a)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액츄에이터(130)가 고정암(112)의 제1고정홈부(118a)에 삽입되면, 이 액츄에이터(13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하우징(110)의 후방을 통해 하우징(110)의 터미널 삽입부(113) 내로 터미널(12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터미널(120)의 피벗빔(122)은 터미널 삽입부(113)의 상측에 삽입되고, 접촉빔(123)은 터미널 삽입부(113)의 하측에 삽입되며, 접촉빔(123)의 단부는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형성된 안착슬롯(111)의 가이드홈(111a) 후방측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120)이 하우징(110)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하우징(110)의 전방에서 피팅네일(140)의 지지패널(142)과 고정패널(143)을 각각 제1네일 삽입부(114) 및 제2네일 삽입부(116)에 삽입함으로써, 지지패널(142)의 후단부에 의해 보스(134)의 원형지지부(132)가 상승된 상태로 지지되며, 보스(134)와 함께 샤프트(133)가 상승하여 터미널(120)의 피벗홈(122a)에 삽입된다.
보스(134)가 상승함과 동시에 캠부(135)는 제2고정홈부(118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샤프트(133)가 터미널(120)의 피벗홈(122a)에 삽입됨에 따라 밀착패널(13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스(134)를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30)의 장착과정이 모두 완료될 뿐만 아니라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00)의 조립과정도 모두 완료된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130)의 장착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터미널(120)의 용접부(124) 및 피팅네일(140)의 바닥패널(141)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함으로써 커넥터(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커넥터(100)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한 후, 4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130)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키고, FPC/FFC(200)의 단부를 안착슬롯(111)에 삽입하여 안착시킨 다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130)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켜 록킹돌기(131b)를 록킹홈(117)에 삽입시킴으로써, FPC/FFC는 안착슬롯(111)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FPC/FFC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밀착패널(131)의 전단부 양측에 형성된 록킹돌기(131b)를 고정암(112)의 안쪽면에 형성된 록킹홈(117)에 삽입함으로써 밀착패널(131)이 견고히 록킹되므로, FPC/FFC의 유동 및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밀착패널(131)의 록킹상태가 해제될 염려가 없다.
또한, 뜻하지 않게 록킹돌기(131b)가 록킹홈(117)으로부터 탈거되더라도, 캠부(135)로 인해 사용자가 강제로 밀착패널(131)을 회전시키지 않는 한 밀착패널(131)은 안착슬롯(111)을 폐쇄시키는 위치에 위치되므로, FPC/FFC가 안착슬롯(111)으로부터 탈거될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30)가 록킹돌기(131b) 및 캠부(135)에 의해 이중으로 록킹됨으로써, FPC/FFC는 안착슬롯(111)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에 따르면, 액츄에이터가 록킹돌기 및 캠부로 인해 하우징 상에 이중으로 록킹됨으로써, FPC/FFC를 하우징의 안착슬롯에 견고히 고정하여 FPC/FFC와 터미널과의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후단부에 다수의 지지부를 이격 형성함으로써, 액츄에이터 회전시 액츄에이터와 터미널의 접촉을 방지하여 액츄에이터 및 터미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a, 6b, 6c,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회전시 캠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커넥터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액츄에이터 131 : 밀착패널
132 : 지지부 133 : 샤프트
134 : 보스 135 : 캠부

Claims (3)

  1. 커넥터의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에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안착슬롯에 상기 FPC/FFC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패널;
    상기 밀착패널의 전단부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밀착패널이 상기 안착슬롯을 폐쇄할 때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암의 일측면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
    상기 밀착패널의 후단부에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밀착패널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샤프트; 및
    상기 밀착패널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널의 후단부와 상기 캠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피팅네일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 양측과 상기 고정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밀착패널의 전후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밀착패널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팅네일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저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원형지지부; 및
    상기 원형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밀착패널의 전후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KR10-2003-0059453A 2003-08-27 2003-08-27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KR10051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453A KR100514596B1 (ko) 2003-08-27 2003-08-27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PCT/US2004/027555 WO2005022701A1 (en) 2003-08-27 2004-08-25 Flat circuit connector with pivoted actuator
JP2006524813A JP2007503702A (ja) 2003-08-27 2004-08-25 回動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平形回路コネクタ
CNA2004800262329A CN1849729A (zh) 2003-08-27 2004-08-25 带枢轴致动器的扁平电路连接器
US10/569,840 US20070155213A1 (en) 2003-08-27 2004-08-25 Flat circuit connector with pivoted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453A KR100514596B1 (ko) 2003-08-27 2003-08-27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29A KR20040016429A (ko) 2004-02-21
KR100514596B1 true KR100514596B1 (ko) 2005-09-14

Family

ID=3427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453A KR100514596B1 (ko) 2003-08-27 2003-08-27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55213A1 (ko)
JP (1) JP2007503702A (ko)
KR (1) KR100514596B1 (ko)
CN (1) CN1849729A (ko)
WO (1) WO2005022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9823B2 (ja) * 2005-10-26 2009-06-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798758B1 (ko) * 2006-05-10 2008-01-2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고정구조
KR100762987B1 (ko) * 2006-05-10 2007-10-0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CN101888033B (zh) * 2009-05-12 2013-04-03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配结构
JP5826482B2 (ja) * 2010-11-29 2015-12-0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176567A (zh) * 2011-02-24 2011-09-07 颜裕峰 连接器端子的结构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683928A (zh) * 2012-05-18 2012-09-1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柔性电路板连接器
JP6090341B2 (ja)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586047B (zh) * 2016-04-08 2017-06-01 安費諾亮泰企業股份有限公司 具雙向夾持結構的連接器組件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4902498A (zh) 2019-11-22 2022-08-12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具有抗超限应力特征的ffc连接器
CN116937246B (zh) * 2023-09-07 2023-11-28 深圳市方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对称形塑胶空气槽的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4492D0 (en) * 1989-02-28 1989-04-12 Amp Holl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eloaded terminals
JP2976327B2 (ja) * 1995-09-29 1999-11-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91431B2 (ja) * 1997-01-23 2003-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3574891B2 (ja) * 1999-08-17 2004-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US6332801B1 (en) * 1999-09-01 2001-12-25 Hirose Electric Co., Ltd. Insulation re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US6431897B1 (en) * 1999-10-06 2002-08-13 Japan Aviation Electronci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TW493856U (en) * 2001-05-04 2002-07-01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US6837740B2 (en) * 2002-02-19 2005-01-04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JP3732157B2 (ja) * 2002-06-14 2006-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790074B1 (en) * 2003-03-14 2004-09-14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3702A (ja) 2007-02-22
US20070155213A1 (en) 2007-07-05
KR20040016429A (ko) 2004-02-21
CN1849729A (zh) 2006-10-18
WO2005022701A1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304B1 (ko) 전기 커넥터
KR100572885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532135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
KR10051459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3666445B2 (ja) Fpc用コネクタ
TW451530B (en)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JP373215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7033208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JP200824355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1110483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20068956A (ko) 전기 커넥터
JP3715115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472532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10056277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H11329620A (ja) Fpc接続用コネクタ
JPH11329619A (ja) Fpc接続用コネクタ
JP4329902B2 (ja) コネクタ
JP4273964B2 (ja) コネクタ
KR100513837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피팅네일
WO2008004756A1 (en) An fpc/ffc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KR100562774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KR10060556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
KR102560489B1 (ko) Ffc용 커넥터
JP2002141126A (ja) コネクタ
KR100562773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