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952Y1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952Y1
KR200343952Y1 KR20-2003-0036945U KR20030036945U KR200343952Y1 KR 200343952 Y1 KR200343952 Y1 KR 200343952Y1 KR 20030036945 U KR20030036945 U KR 20030036945U KR 200343952 Y1 KR200343952 Y1 KR 200343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pressing member
opening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백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36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요성 전선에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의 접촉부를 갖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요성 전선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의 제1면에 근접하여 개구쪽으로 향하고, 상기 접촉부가 근접한 상기 제1면 반대편 제2면에 회전걸림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측으로 삽입된 가요성 전선을 상기 접촉부쪽으로 가압하여 접촉시키는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걸림부에 걸려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회전하는 가압부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가압부재를 회전시키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부재의 회전 가압에 따라 가요성 전선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가요성 전선의 휨, 파손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을 약간만 변형시키므로써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므로 종래의 접촉자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본 고안은 가요성 전선에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커넥터는 휨이 용이한 가요성 전선의 상호 접촉을 위한 것으로서, 가요성 전선은 플렉시블 기판(Flexible Circuit)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전기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51)이 상방으로 개구하여 있으며, 이 개구부에 가압부재(52)가 축선(52A)을 중심으로 축선의 양단부에서 하우징(51)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52)는 원통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볼록 만곡면(53)이, 상기 하우징(51)의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된 오목 만곡면(54)과 결합하여 여기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 U자형의 접촉자(55)가 측면의 동일 위치에, 복수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자(55)의 일단측(55A)은 탄성을 갖도록 대략 역 U자형으로 굴곡되어 선단이 상기 개구부에서 가압부재(52) 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타단측(55B)은 하우징(5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출(延出)하여 회로기판(P)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52)는 우측면이 서로 각도를 갖고 연결되는 2개의 평탄면(52B),(52C)을 갖고 양자의 이행부에 가압돌출부(52D)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이 가압부재(52)의 소정위치까지의 회전운동시에, 상기 가압돌출부(52D)에서 가요성 전선(F)을 접촉자(55)의 일단측(55A)으로 누른다.
이와 같은 전기커넥터의 동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가압부재(5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서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으로부터 가요성 전선(F)을 상기 가압부재(52)와 접촉자(55)의 일단측(55A)과의 사이의 공간에 소정위치까지 삽입된다.
그 후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52)를 상기 소정위치까지 닫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상기 가압돌출부(52D)로 가요성 전선(F)을 우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가요성 전선(F)은 접촉자(55)의 접속부를 이루는 일단측(55A)의 선단으로 눌려서, 이 가요성 전선(F)의 회로가 대응하는 상기 접촉자(55)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압부재(52)가 가압위치를 향하여 회전운동할 때에, 가압돌출부(52D)는 가압력을 증대시키면서 가요성 전선(F)과의 압접(壓接)위치가 커넥터의 개구부의 속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다. 즉, 가요성 전선(F)을 마찰력에 의해 속으로 밀어 넣어간다.
그 결과 가압부재(52)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는다. 가압부재(52)의 볼록 만곡면(53)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하우징(51)의 오목 만곡면(54)은 상방으로 개구하여 있으므로, 상기 반력으로 인해 가압부재(52)가 하우징의 상기 오목 만곡면(54)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요성 전선(F)은 개구부로의 삽입시에, 가요성 전선(F)의 단부가 접촉자의 저부 등에 접촉되어 맞닿도록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가압돌출부(52D)에 의해, 가요성 전선(F)가 더욱 속으로 밀려들어가면, 이 가요성 전선(F)은 휘거나, 변형되어 접촉불량을 일으킨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부재에 상방을 향하는 반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의 회전걸림부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부재의 회전 가압에 따라 가요성 전선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식의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걸림부를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종래의 접촉자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하우징의 형상을 약간 변형한 것만으로 상기한 제1, 2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촉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제1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제2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전기커넥터에 가요성 전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가압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접촉자 12 : 접촉부
14 : 본체 20 : 하우징
22 : 제1면 24 : 제2면
26 : 회전걸림부 30 : 가압부재
32 : 가압부 34 : 회전걸림부수용부
36 : 외력작용부 40 : 가요성 전선
본 고안은 탄성의 접촉부를 갖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요성 전선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의 제1면에 근접하여 개구쪽으로 향하고, 상기 접촉부가 근접한 상기 제1면 반대편 제2면에 회전걸림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측으로 삽입된 가요성 전선을 상기 접촉부쪽으로 가압하여 접촉시키는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걸림부에 걸려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면에서 반대편제1면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걸림부는 단부의 형상이 단면상 반원형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자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접촉자측에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걸림부측에는 회전걸림부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개구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걸림부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은 반대측에는 외력작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걸림부수용부는 상기 회전걸림부가 수용되고, 상기 외력작용부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걸림부와 맞물려 지렛대의 역할을 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가압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쪽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접촉자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접촉자(10)는 종래부터 전기커넥터에 사용되던 것과 같은 것으로서, 하우징(20; 도 3)에 고정되는 본체(14)와 본체(14)로부터 ㄴ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2)로 구성된다.
접촉부(12)는 가요성 전선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접촉핑거부 또는 접촉다리부라고도 한다. 접촉부(12)는 탄성이 있는 금속 재질이므로, 가압에 따라 일정 범위의 형상 변형이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접촉자(10)는 전기커넥터 내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있으며, 접촉자가 나란히 구비된 형상은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1-329618의 도 1상에 20 번으로 표시된 콘택트의 그림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접촉자(10)의 형상은 종래에 사용되던 것과 다르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에 적용하기 위해 특별히 변형하거나, 바꿀 필요가 없다. 즉,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접촉자(10)에는 종래의 공지기술과 차별되는 차이점이 없으며, 종래기술 그대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하우징(20)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측이 개방된 수직형 구조이다. 상측의 개구를 통해서는 가압부재(30)가 일부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고, 하우징(20) 내에는 접촉자(10)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상측 개구로 가압부재(30)가 삽입되고 나머지 공간으로 가요성 전선(40; 도 5)이 삽입된다. 하우징(20)의 단면상에 나타난 일측면을 제1면(22)이라 하고 타측면을 제2면(24)이라 한다.
접촉자(10)는 하우징(2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접촉부(12)는 제1면(22)에 근접하여 상측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면(22)에 근접된 접촉부(12)와 하우징(20)의 제2면(24)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빈 공간의제2면(24)에 가깝게 가압부재(30)가 삽입된다.
가압부재(30)는 내측의 접촉자(10) 쪽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32)가 형성되며, 그 뒷면에는 제2면(24) 쪽으로 회전걸림부수용부(34)가 형성된다. 가압부재(30)는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가압부(32)가 접촉부(12)의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가압부재(30)의 삽입되지 않은 측은 외력작용부(36)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부분이다.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가압부재(30)는 도 3의 위치에서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를 다른 지점에서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20)의 제2면(24)에는 제1면(22)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걸림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걸림부(26)는 제2면(24)에서 일부 돌출된 일체형 구조이다. 회전걸림부(26)는 끝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가압부재(30)에 구비된 회전걸림부수용부(34)에 맞물린다. 회전걸림부(26)를 반원형 단면을 갖도록 하고, 회전걸림부수용부(34)는 회전걸림부(26)와 면접촉되는 면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걸림수용부(34)는 회전걸림부(26)에 면접촉되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회전걸림부(26)는 나란히 복수개가 구비된 접촉자(10)의 사이사이에 위치한다. 접촉자(10)끼리는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있으며, 이격된 공간으로회전걸림부(26)가 돌출되어 제1면(22)쪽을 향한다.
가압부재(30)는 외력작용부(36)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하방 가압할 때에, 가압부재(30)가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회전걸림부(26)에 맞물린 회전걸림부수용부(34)를 A와 같이 회전걸림부(26) 하측에 깊이 삽입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요성 전선(40)이 상측의 개구를 통해 접촉자(10) 쪽으로 삽입된다. 가요성 전선(40)은 접촉부(12)와 밀접하게 접촉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삽입된 가요성 전선(40)은 하측 단부가 접촉자(10) 등과 접촉하게 되며, 접촉부(12)와 밀접한 접촉을 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 경우 가압부재(30)는 회전운동을 시작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가압부(32) 역시 가요성 전선(40)과 접촉되지 아니한다.
가요성 전선(40)의 두께에 따라 접촉부(12)와 가압부재(30)의 가압부(32) 사이의 간격 또는 가압부(32)의 형상, 크기를 정하되, 가요성 전선(40)이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가압부(32)의 회전에 따라 강하게 접촉부(12) 쪽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압부재(30)가 회전걸림부(26)를 중심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90°가량 회전되면서, 가압부(32)가 상승하면서 제1면(22) 쪽으로 이동한다. 가압부(32)는 가요성 전선(4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면서, 접촉부(12)에 밀착시킨다(B부분).
가요성 전선(40)은 접촉부(12)의 탄성력 또는 제1면(22)의 반발력에 의해 접촉부(12)와 상호 강하게 밀착된다. 접촉부(12) 단부의 돌출부는 가압부재(30)를 회전시켰을 때, 가압부(32)와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32)는 돌출된 곡면 형상이 바람직하나, 뾰족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요성 전선(40)의 하측 단부는 가압부(32)의 상승 회전 운동에 따라 다소 상승하면서, 접촉자(10)와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C부분). 따라서 접촉자(10)에 가요성 전선(40)이 눌리거나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하우징(20)의 제2면(24)에 형성된 회전걸림부(26)에 의해 수행되므로, 접촉자(10)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바꿀 필요가 없이, 종래의 일반적인 접촉자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회전하는 가압부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가압부재를 회전시키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부재의 회전 가압에 따라 가요성 전선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가요성 전선이 휘어가 파손되어 접촉이 불량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의 간단한 변형만으로 상기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접촉자를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탄성의 접촉부를 갖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요성 전선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의 제1면에 근접하여 개구쪽으로 향하고,
    상기 접촉부가 근접한 상기 제1면 반대편 제2면에 회전걸림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측으로 삽입된 가요성 전선을 상기 접촉부쪽으로 가압하여 접촉시키는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걸림부에 걸려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면에서 반대편 제1면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는
    단부의 형상이 단면상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자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접촉자측에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걸림부측에는 회전걸림부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개구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걸림부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은 반대측에는 외력작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수용부는 상기 회전걸림부가 수용되고, 상기 외력작용부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걸림부와 맞물려 지렛대의 역할을 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가압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쪽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접촉자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20-2003-0036945U 2003-11-26 2003-11-26 전기커넥터 KR200343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945U KR200343952Y1 (ko) 2003-11-26 2003-11-26 전기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945U KR200343952Y1 (ko) 2003-11-26 2003-11-26 전기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952Y1 true KR200343952Y1 (ko) 2004-03-06

Family

ID=4942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945U KR200343952Y1 (ko) 2003-11-26 2003-11-26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9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7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JP4519172B2 (ja) コネクタ
JP385326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484218B2 (ja) コネクタ
JP4330084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6099346A (en) Cable connector capable of surely connecting a cable
KR0154609B1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커넥터
JP3099102U (ja) コネクタ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630340B2 (ja) コネクタ
JPH0997655A (ja) コネクタ
JP2003151662A (ja) Fpc用コネクタ
KR101302844B1 (ko) 커넥터
JP2013004199A (ja) コネクタ
JP5501788B2 (ja) コネクタ
JP6816560B2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KR200343952Y1 (ko) 전기커넥터
JPH0714213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0399457B1 (ko) 스위치장치
JP4398914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136462A (ja) 電気コネクタ
KR200700552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6195797B2 (ja) コネクタ
JP2000100507A (ja) Fpc用コネクタ
KR100216311B1 (ko) 전기부품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