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311B1 - 전기부품용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311B1
KR100216311B1 KR1019910018298A KR910018298A KR100216311B1 KR 100216311 B1 KR100216311 B1 KR 100216311B1 KR 1019910018298 A KR1019910018298 A KR 1019910018298A KR 910018298 A KR910018298 A KR 910018298A KR 100216311 B1 KR100216311 B1 KR 10021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ocket
electrical component
contact ar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002A (ko
Inventor
가즈미 우라쯔지
Original Assignee
야마나까 가즈다까
야마이찌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78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2241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나까 가즈다까, 야마이찌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나까 가즈다까
Publication of KR9200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부품수용공간과, 상기 공간의 적어도 2개의 대향면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접점을 가진 전기부품용 소켓이다.
각 접점은 가압된 상태에서 전기부품수용공간에 수용된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되는 접촉아암부와, 상기 접촉아암에 대해 접촉력을 부여하도록 접촉아암부를 안쪽으로 가압하는 만곡스프링부를 가진다.
소켓은 또한 접점열을 따라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레버, 회동레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회동레버를 상하로 조작시키도록된 조작부, 및 그 타단에 형성되고 접점에 외향력을 작용시키도록된 작용부를 가진다. 회동레버가 조작부에 의해 하향으로 회동되면, 작용부는 스프링부의 탄성에 대항해서 접점의 접촉아암부를 외부로 변위시켜서, 접촉아암부가 전기부품의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기부품용 소켓
제1도는 전기부품용 소켓의 외관은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가압커버를 구비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회동(pivotable)레버와 접점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부품용 소켓의 요부단면도,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가압커버를 구비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5(a)도와 제5(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부품용 소켓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6(a)도와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부품용 소켓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부품용 소켓의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전기부품수용공간 4 : 접점
7 : 스프링부 11 : 접촉아암부
12 : 접촉돌출부 13 : 래치부
14 : 회동레버 15 : 작용부
16 : 조작부
본 발명은 접촉위치와 접촉해제위치사이의 접점의 변위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제로삽입형 전기부품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제 4623208호 등으로 대표되는 종래의 소켓에 있어서, 접점 자체는 외부로 돌출되어있는 캔틸레버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캔틸레버아암이 가압커버에 의하여 압하되는 경우에, 접점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만곡 스트링부는 분력으로써 외향변위를 실행하기위해 압축방향으로 휘어지고 그럼으로써 IC의 접점으로부터 접촉돌출부를 분리시켜서 IC가 무부하로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IC소켓에 있어서, 가압커버를 압하하기위한 조작력과 접점의 접촉력은 접점의 스프링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스프링부의 스프링정수가 증가되면, 가압커버를 압하하기위한 조작력 또한 증가된다. 반면에 조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프링부의 스프링정수가 감소되면 접촉력 또한 감소된다. 종래의 IC소켓은 전술한 바와 같은 양립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IC소켓에 대해 조작력을 가능한한 감소시키고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요건을 둘다 만족시키도록 설계하는 것은 어렵다.
스프링부가 캔틸레버아암을 압하함으로써 외향변위운동을 얻기위하여 압하되는 구조는 압하량에 관련된 분력으로써 실행되는 외향변위량이 매우 한정된다는 것과 압하량에 비해 효과적인 변위량이 얻어질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캔틸레버아암이 압하된 경우에, 접점의 축이 비틀리는 경향이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시프팅이 접촉돌출부에 발생되며, 외력이 만곡방향의 캔틸레버아암에 반복적으로 부여되는 경우에 캔틸레버아암의 기부에 금속피로가 누적되는 경향이 있는 것과 같은 결점도 있다.
종래의 접점에 있어서, 일정한 강도를 제공하기위한 단면적의 설정, 스프링 정수의 설정, 비틀림에 대한 대응방안 등과같은 다양한 복잡한 설계요건이나 조건이 만족되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하조작력을 감소시키고 접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표는 압하조작에 유요한 외향변위를 일으켜서 제한된 압하량으로 충분한 양의 외향변위를 얻을 수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표는 압하조작의 결과로 접점의 비틀림과 캔틸레버의 금속피로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소켓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접점을 양호하게 변위시킬 수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 접촉아암부와 만곡스프링부를 구비한 접점의 열을 따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레버, 상기 회동레버의 일단에 형성되어있고 상기 회동레버를 상, 하로 조작하기 위하여 채용된 조작부 및 상기 회동레버의 하단에 형성되어있고 상기 접점에 외향력을 부여하기위하여 채용되어 작용부를 구비하고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상기 작용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레버가 하향으로 회동될 경우에 상기 접점의 상기 접촉아암부를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대향해서 외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전기부품의 무부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접촉아암부가 분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압하력은 회동레버의 조작부에 부여된다.
조작부는 로봇이나 수동조작으로 직접 압하될 수 있다.
소켓은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가압커버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회동레버가 로봇이나 수동조작으로 가압커버를 압하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압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조작부가 압하된 경우에, 회동레버는 접점의 열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결국 외향력이 작용부에 의해서 접점에 부여된다.
결국, 접점은 스프링부의 탄력에 대항해서 외향으로 변위되고 전기부품을 접촉해제하기 위해 전기부품수용공간내에 수용되어있는 전기부품의 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전기부품은 무부하로 착탈될 수 있다.
조작부에 부여된 압하력이 해체된 경우에, 회동레버가 작용부에 부여된 접점의 스프링부의 탄력에 의해 또는 회동레버를 탄력적으로 유지하는 다른 스프링부의 탄력에 의해 상향으로 회동되고, 그다음에 다음 압하조작을 대기한다. 동시에 접점은 스프링부에 의한 가압에 의해 안쪽으로 변위되고 전기부품의 접점과 가압,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접점의 스프링부는 적당한 접촉력으로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되도록 하는 스프링정수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회동레버는 지렛대 원리에 따라 경감된 조작력으로 압하될 수 있다.
접점의 스프링부의 스피링정수가 크게 설정된 경우에 이것은 직접 압하력을 증가시키며, 압하력은 회동레버의 회동지점으로부터 조작부와 작용부의 거리를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동시에, 접촉력을 증가시키려는 목표도 역시 성취된다.
더욱이, 회동레버의 작용부가 접점이 전기부품의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위해 접점으로의 변위와 같은 방향으로 외향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접점의 외향변위는 회동레버의 압하력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고, 전기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해제될 수 있다.
더욱이, 접점의 비틀림이나 접점 캔틸레버아암이 압하되고 다시 상승되지않는 캔틸레버아암의 금속피로의 누적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소켓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접점이 양호하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표와 다른목표 및 부가적인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4도)]
이 실시예는 전술한 폐쇄형 소켓을 제공한다.
절연물질로 형성된 베이스부재(1)는 그 상면과 개구하는 중앙개구(2)를 가지고 있다.
전기부품 수용공간(3)은 중앙개구(2)의 상면에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는 공간(3)의 적어도 2개의 대향면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접점이 구비되어있다.
접점(4)은 베이스부재(1)에 매입되어있다. 각각의 접점(4)은 베이스부재(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는 숫단자(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접점(4)은 또한 숫단자(5)의 기부 다음에 연결된 평탄부(6)를 구비하고 있다.
평탄부(6)는 접점의 매입벽의 상면에 지지되며 매입의 상면으로부터 직립되어 있다. 접점(4)은 평탄부(6)의 상단의 안쪽에지의 다음에 연결되어있는 스프링부(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부(7)는 평탄부(6)의 연결부(기부(8))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고 상향으로 만곡되어 연결부 근방에 도달하는 곡면형상이다.
다시말해서, 스프링부(7)는 하향으로 향해있는 곡면형상이다.
만곡각도는 소정의 짧은 거리(10)가 기부(8)와 기부(8)로부터 뻗어있는 스프링부(7)의 선단(9)사이에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만곡각도는 180。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이상이다. 다시말해서, 스프링(7)은 그 선단(9)이 만곡스프링부(7)의 수직중앙선(Y)의 상단근방에 도달하도록 만곡되어있다.
접점(4)은 만곡도니 스프링부(7)의 선단(9)다음에 연결되어있고 안쪽으로 경사되어있는 접촉아암(11)을 구비한다.
접촉아암(11)은 그 선단으로부터 안쪽으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촉돌출부에서 끝난다.
제3(a)도와 4(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링부(7)는 접촉아암(11)과 접촉돌출부(12)를 안쪽으로 가압하여 접촉돌출부(12)가 전기부품(23)의 접점(25)과 접촉되도록 한다. 접점(4)은 아암(11)의 선단 즉, 아암(11)과 접촉돌출부(12)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외향 및 상향으로 뻗어있는 래치부(13)를 더 구비한다.
회동레버(14)의 작용부(15)는 래치부(13)의 자유단과 결합하게 된다.
래치부(13)과 접촉돌출부(12)는 접점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반대방향으로 뻗어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동레버(14)는 접점(4)의 열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회동레버(14)는 그 일단으로부터 외향으로 뻗어있는 조작부(16)를 구비하고있고, 그 하단에 형성되며 래치부(13)와 결합가능한 작용부(15)를 구비한다.
회동레버(14)와 그것의 조작부(16)와 작용부(15)는 접촉아암(11)의 외부에서 접점(4)의 열과 평행하게 뻗어있고, 접점(4)의 열과 평행한 축선(P)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레버(14)에는 그 양단으로부터 축선(P)쪽으로 돌출된 축부(17)가 설치되어 있고, 축부(17)는 베이스부재(1)위에 형성된 베어링부(18)위에 회전가능하게 실려 있다.
축부(17)에 의해 형성된 회동지점은 접촉아암(11)의 외측에 위치되어있다.
베어링부(18)는 상향으로 개구되어있는 오목부(19)를 한정한다.
축부(17)는 오목부(19)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져있고, 그 결과 회동레버(14)는 오목부(19)로부터 상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방으로부터 오목부(19)내로 삽입될 수 있다.
회동레버(14)는 그것의 작용부(15)의 상면에 형성되어있고 접점(4)의 열과 평행으로 뻗어있는 결합흠이 구비되어 있다.
접점(4)의 래치부(13)의 갈고리형 선단은 결함홈(20)내로 약간 느슨하게 삼입되어 있어서, 그 결과 래치부(13)는 작용부와 결합하게되고 외향력이 거기에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렬로 배치된 접점군의 전체 래치군이 긴 결합홈(20)내로 결합된다.
회동레버(14)의 작용부(15)가 래치부(13)에 대해 작용하는 위치는 접촉아암(11)의 선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있는 접촉돌출부(12)의 접촉위치보다 높다. 상술한 것처럼, 래치부(13)는 접촉아암(11)의 선단부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상향으로 돌출되어있고, 이로써 접촉돌출부(12)보다 높은 위치로 작용부(15)가 설정된다.
회동레버(14)는 절연재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술한 여러 가지 구성요소(15, 16, 20 및 17)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회동레버(14)는 접점(4)의 각각의 열에 대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일렬로 배치된 접점(4)의 군을 접점(4)의 작은 군으로 더 구분하고, 이렇게 구분된 접점(4)의 작은 군을 별도의 회동레버에 dlm해 변위시킬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동레버(14)가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레버(14)는 축선(P)에 의해 지지된다.
이 회동지점은 전술한 것처럼 접촉아암(11)뒤에 위치된다.
제1도내지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레버(14)는 조작부(16)가 가압커버를 설치하지 않고 로봇 또는 수동조작으로 직접적으로 압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커버(21)는 베이스부재(1)위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커버(21)에는 베이스부재(1)의 공간을 수용하는 전기부품에 면하는 중앙창(22)이 구비되어, 전기부품(23)은 중앙창(22)을 통해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전기부품(23)은 예를들면 IC이다. IC로 대표되는 전기부품(23)은 몸체(24)의 측면으로 돌출하는 접점(25)을 포함한다.
접점(4)의 조작부(16)는 로봇이나 수동조작에 의해 직접 압하되거나, 아니면 가압커버(21)의 하면이 회동레버(14)의 조작부와 접촉되어, 로봇이나 수동조작에 의해 가압커버(21)를 내리누름에 의해 압하된다.
제3(b) 및 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작부(16)를 압하함에 의해, 회동레버(14)가 축부(17)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레버(14)가 하향운동하면, 작용부(15)는 접점(4)의 래치부(13)를 외부로 밀어낸다. 그 결과, 접점(4)은 스프링부(7)의 탄성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변위되어 수용공간(3)에 수용된 전기부품(23)의 접점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전기접점(23)은 아무런 부하없이 수용공간(3)에 착탈될 수 있다.
조작부(16)의 하향압력이 해제되면, 회동레버(14)는 작용부(15)에 작용되는 스프링부(7)의 탄성에 의해 상향으로 회동되고, 다음의 압하조작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동시에 접점(4)의 접촉아암(11) 및 접촉돌출부(12)는 스프링부(7)에 의해 내부로 가압변위되어 압력상태에서 전기부품(23)의 접점(25)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된다.
전기부품수용공간(3)을 형성하는 벽(27)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위치설정리지(26)가 구비되어, 전기부품몸체(24)의 측면이 위칙설정리지(26)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더욱이, 접점(25)의 하면은 위치설정리지(26)의 외부에서 벽(27)의 상면에 형성된 접점지지면(28)에 의해 지지되며, 접촉돌출부(12)는 하향압력상태에서 이러한 지지된 접점(25)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된다.
제3(a), 및 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부품(23)이 제거된 후에, 접촉돌출부(12)는 접점지지면(28)과 접촉되어, 접점(4)이 소정량이상 안쪽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접점지지면(28)은 접점(4)의 안쪽으로의 변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이룬다. 그결과, 회동레버(14)의 조작부(16)는 정상적으로는 접점(4)의 탄성에 의해서 일정한 위치까지 상향으로 회동하고, 대기상태에 유지된다.
[제2실시예(제5a도 및 제5b도)]
본 실시예의 IC소켓에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점이 래치부(13)에 구비되지 않으며, 회동레버(14)의 작용부(15)는 직접 접촉아암(11)에 대해 외부로 가압한다.
회동레버(14)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일단에 형성되고, 접점열을 따라서 뻗는 작용부(15)와, 그 타단에 형성되고 접점열을 따라서 뻗는 조작부(16)를 포함한다. 작용부(15)는 접촉아암(11)의 내면과 접촉되고, 조작부(16)는 아암의 외부로 뻗는다. 조작부(16)는 그 일단에서 조작부까지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29)을 구비한다.
홈(29)은 접점열의 방향과 평행하고, 접점(4)과 같은 피치로 형성된다.
접점(4)의 접촉아암(11)은 조작부(16)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홈(29)속으로 삽입된다.
각 접점(4)의 스프링부(7)의 탄성은 작용부(15)에 작용되고, 지지면(28)에 맞닿은 접촉돌출부(12)는 회동레버(14)의 조작부(16)를 그 최상단위치에 유지한다.
이때, 작용부(15)는 스프링부(7)의 탄성에 의해, 전기부품수용공간(3)을 이루는 벽(27)의 외면과 접촉하게된다. 축부(17)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레버(14)의 회동지점은 접촉아암(11)의 내측에 위치된다.
조작부(16)가 제5(a)도에서와 같이 가압커버(21)를 통해 간접적으로 압하되거나, 최상단위치로부터 직접 압하될 때, 회동레버(14)는 제5(b)도에서와 같이, 축부(17)를 중심으로 하향회동되어 작용부(15)가 접점(4)의 접촉아암(11)에 대해 외부로 가압하도록 한다.
그결과, 접점(4)은 스프링부(7)의 탄성에 대항하여 외부로 변위되어 접촉돌출부(12)가 분리되어 비접촉위치로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상태에서 전기부품은 접점(4)과의 간섭없이 착탈될 수 있다.
조작부(16)의 하향력이 해제되면, 회동레버(14)는 스프링부(7)의 탄성력에 의해 제5a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되어 접점(25)과 지지면(28)에서 접촉되도록한다.
[제3실시예(제6a도 및 6b도)]
본 실시예에서, 접점(4)의 만곡스프링부(7)의 말단부, 즉 접촉아암(4)의 기부, 또는 스프링부(7)와 아암(11)사이의 연결부에는 거기로부터 하향돌출하는 래치부(13)가 구비되어있다.
회동레버(14)의 작용부(15)는 래치부(13)와 맞물리도록 된다.
회동레버(14)의 회동지점은 만곡스프링부(7)의 내측에, 바람직하게는 그 중앙부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회동레버(14)에는 그 표면에 접점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 복수의 홈(30)이 구비되고, 접점(4)의 평탄부와 스프링부(7)의 기초부는 홈에 수용되어 회동레버(14)가 상하로 회동될 때 접점(4)의 평탄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외향력이 접점(4)의 스프링부(7)의 말단부에 거의 직접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좀더 상세히는, 회동레버(14)가 하향으로 가압될 때, 작용부(15)가 스프링부(7)의 말단부에 형성도니 래치부(13)에 외향력을 가압하여 스프링부(7)를 직접 휘도록 한다. 이때 접촉아암(11)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즉, 회동레버(14)가 제6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향가압될 때 작용부(15)에 의한 외향력은 직접 래치부(13)를 통해 스프링부(7)에 가압되어 이로서 스프링부(7)를 제6b도에 도시된 것처럼 양호하게 구부린다.
그결과 접촉아암(11)은 거의 아무런 부하를 받지않고 외부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돌출부(12)는 분리되어 비접촉위치로 된다.
[제4실시예(제7도)]
본 실시예에서, 회동레버(14)는 접점(4)의 스프링부(7)로부터 다른 스프링부재(33)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이 스프링부재(32)는 회동레버(14)를 압하방향과 반대로 가압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기능한다. 예를들면, 분기된(forked)스프링이 사용되어, 스프링부재(33)가 회동레버(14)의 축부(17)에 장착되고, 회동레버(14)를 탄성적으로 유지하여 레버(14)가 상향가압되도록 한다.
회동레버(14)는 스프링부재(33)만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고, 그렇지않다면 그것은 접점(4)의 스프링부(7)의 협력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된다.
비록, 본실시예는 스프링부재(33)가 제2실시예에 부가된 실예를 도시하지만, 스프링부재(33)가 다른 실시예에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점의 스피링부는 적절한 접촉력으로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할 수 있는 스프링상수를 갖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은 회동레버의 조작력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자유로이 설계될 수 있다. 한편, 회동레버는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감소된 힘으로 압하될 수 있다. 접점의 스프링부의 스프링상수가 증가되더라도, 이것은 압하력의 증가로 직접 귀착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레버의 회동지점으로부터의 조작부 및 작용부의 거리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조작력은 감소될 수 있다.
그결과, 접촉력을 증가시키려는 목적은 감소된 조작력을 실현하면서도 성취될 수 있다. 더욱이, 회동레버의 작용부는 전기부품의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접점을 변위시키도록 외력을 가하므로, 접점은 회동레버의 하향가압조작에 의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변위된다.
그 결과 전기부품수용공간은 충분히 해제된다.
더욱이,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접점의 캔틸레버아암이 가압되고, 캔틸레버아암에 금속피로가 누적되는 비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결과, 접점은 반복사용되더라도 아무런 문제없이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들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여, 특허청구범위에서 도출되는 발명사상을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전기부품수용공간과, 상기 공간의 적어도 2개의 대향측면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가압상태에서 상기 전기부품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전기붚무의 접점과 접촉되는 접촉아암부와, 상기 접촉아암에 대해 가압 접촉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접촉아암부를 안쪽으로 가압하는 만곡스프링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용 소켓은 상기 접점열을 따라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레버, 상기 회동레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레버를 상하로 조작시키도록 된 조작부, 및 그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에 외향력을 작용시키도록 된 작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회동레버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하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외부로 상기 접점의 상기 접촉아암부를 변위시켜서 접촉아암부가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고정지점을중심으로 상기 접촉아암의 외부로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촉아암은 그 말단으로부터 외부로 뻗는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레버의 작용부는 상기 래치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의 상기 작용부가 상기 래치부에 작용하는 위치를 상기 접촉아암의 말단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접점부의 위치보다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최상단 회동위치를 향해 상기 회동레버를 가압시키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접점의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최상단 회동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KR1019910018298A 1990-10-17 1991-10-17 전기부품용 소켓 KR100216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78461 1990-10-17
JP2278461A JPH0632241B2 (ja) 1990-10-17 1990-10-17 電気部品用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002A KR920009002A (ko) 1992-05-28
KR100216311B1 true KR100216311B1 (ko) 1999-08-16

Family

ID=175976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291A KR100216312B1 (ko) 1990-10-17 1991-10-17 전기부품용 소켓
KR1019910018298A KR100216311B1 (ko) 1990-10-17 1991-10-17 전기부품용 소켓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291A KR100216312B1 (ko) 1990-10-17 1991-10-17 전기부품용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216312B1 (ko)
CA (2) CA2053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7633B2 (ja) * 1994-02-24 1997-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におけるic保持装置
KR100392891B1 (ko) * 2001-02-01 2003-07-28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002A (ko) 1992-05-28
KR100216312B1 (ko) 1999-08-16
CA2053511A1 (en) 1992-04-18
CA2053510A1 (en) 1992-04-18
KR920009001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0203B2 (en) Card connector reduced in operating force
US7258557B2 (en) Pivotal lever-type connector
US20080254662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20060110965A1 (en) Flat, flexible cable-use electric connector
US20100184319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257105B2 (en) Locking system for multipart housings
US20050142924A1 (en) Connector with control mechanism of engagement with mating connector
JPS63245786A (ja) Icカ−ドコネクタ
EP077480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resilient member
EP0481727B1 (en) Socket for electric part
KR100216310B1 (ko) 전기부품용 소켓
KR101346445B1 (ko) 전기 커넥터
KR100216311B1 (ko) 전기부품용 소켓
US6433291B1 (en) Switch device
US5848908A (en) Lever type connector
JP2580074Y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5628645A (en) IC socket
KR200343952Y1 (ko) 전기커넥터
US7052318B2 (en) Connector
JP200133236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108543B2 (en) Connector structure with a flexible flat cable holding member
JP388529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111901Y2 (ko)
JPH067167U (ja) ロック機構付フードコネクタ
JP2708039B2 (ja) Ic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