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101B1 -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카메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1101B1 KR100871101B1 KR1020020010135A KR20020010135A KR100871101B1 KR 100871101 B1 KR100871101 B1 KR 100871101B1 KR 1020020010135 A KR1020020010135 A KR 1020020010135A KR 20020010135 A KR20020010135 A KR 20020010135A KR 100871101 B1 KR100871101 B1 KR 100871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p
- flash device
- plunger
- flash
- popup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나 기어를 이용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줄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고, 소형 경량화를 실현하는 팝업 기구 및 이 팝업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팝업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시 장치(9), 상기 플래시 장치(9)를 상기 팝업 위치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9), 상기 플래시 장치(9)를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시키는 훅편(hooking piece)(13)을 구비한 작동 부재(11), 그리고 상기 작동 부재와 링크되어 있고, 통전 시에 자기적인 흡인력이 해제되는 플런저 기구(16)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장치(9)가 격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 부재(11)는 상기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상기 플런저 기구(16)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훅편(13)은 상기 플래시 장치(9)를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와이어(32)와 체결되며, 플런저 기구(16)는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하여 훅편(13)을 와이어(32)로부터 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자기적인 흡인력을 해제하도록 통전되고, 상기 스트로보 장치(9)는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온다.
카메라, 플래시, 팝업, 촬영장치
Description
도 1은 스트로보 장치가 격납된 상태에 있을 때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트로보 장치가 팝업 위치에 있을 때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트로보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 내에 격납되어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트로보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로부터 팝업(pop-up)된 상태에 있을 때 스트로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하게 스트로보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로부터 팝업된 상태에 있을 때 스트로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격납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하게 격납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팝업 직전의 팝업 기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팝업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일하게 팝업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동일하게 팝업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팝업 기구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훅편(hooking piece)과 와이어의 맞물림 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카메라 모드시에 정지 화상을 얻기 위한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동일하게 카메라 모드 시의 타이밍도이다.
도 16은 메모리 모드시에 정지 화상을 얻기 위한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동일하게 메모리 모드 시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트로보 등의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팝업 기구를 구비한 플래시 장치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저가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장착된 스트로보 장치는 버튼 조작에 의해서 자동으로 팝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갖추고 있다. 이런 종류의 팝업 기구에 대한 한 예로서, 스트로보 장치를 팝업 위치로 튀어 오르게 하는 가압 스프링과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고정 레버(engaging lever)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정 레버로 스트로보 장치를 고정함으로써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스트로보 장치가 격납 위치에 격납된다. 고정 레버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는 동작이 행해지면, 스트로보 장치는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설명한 팝업 기구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고정 레버를 고정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을 고정 레버로 전달하기 위한 몇 단의 기어 열(gear train)을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기어들을 수납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장애가 된다. 또한 팝업 기구의 부품 수가 많아져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기재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나 기어 열을 사용하지 않는 팝업 기구를 실현할 수 있고, 부품 수의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고,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카메라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는 팝업 위치(pop-up position)와 격납 위치(housing position)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시 장치, 상기 플래시 장치를 상기 팝업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 상기 플래시 장치를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작동 부재, 그리고 상기 작동 부재와 링크되어 있고, 통전 시에 자기적인 흡인력이 해제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래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상기 플런저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플래시 장치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된다. 자기적인 흡인력을 해제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통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은 섬광 장치가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도록 고정 수단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는 포토 버튼, 상기 포토 버튼의 반 누름 조작에 의해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는 측광 수단, 그리고 상기 측광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 이하일 때, 팝업 위치로 튀어 오르는 플래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에서,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 이하일 때, 플래시 장치는 팝업되지 않고, 격납 상태를 유지하며 일반적인 촬영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 이하일 때, 플래시 장치는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와 빛을 발광하는 촬영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 팝업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실시예를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예를 예로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스트로보 장치(이하, 스트로보 장치라고 함)가 격납 상태에 있을 때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스트로보 장치가 팝업 위치에 위치할 때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스트로보 장치가 비디오 카 메라 장치 내에 격납되어 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스트로보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로부터 팝업된 상태에 있을 때 스트로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하게 스트로보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로부터 팝업된 상태에 있을 때 스트로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격납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동일하게 격납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팝업 직전의 팝업 기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9는 팝업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동일하게 팝업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동일하게 팝업 상태에 있을 때 팝업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팝업 기구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의 전면측에는 촬영 렌즈(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촬영 렌즈(2)로부터 광학 렌즈군을 사이에 두고 입사한 피사체 상은 CCD(고체촬상소자)에 의해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의 전면측에 별도로 설치된 마이크(3)로 수집한 음성 신호와 함께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또한 촬영 중에 얻어지는 정지 화상은 스틱형(stick-shaped)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의 상부 배면측(rear face side)에는 접안부를 통하여 피사체 상을 볼 수 있는 뷰파인더(4)가 있다.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의 일측면에는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립 위치나 및 그 반대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도록 액정 표시 패널(5)이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패널(5)에 표시되는 피사체 상을 보면서 촬영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정지 화상이나 재생 화상을 이 액정 표시 패널(5)에 표시할 수 있다.
도면 부호 6은 정지 화상 촬영용 포토 버튼이고, 7은 줌 레버이며, 8은 비디오, 전원 오프, 카메라 및 메모리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전환 레버이다. 이 모드 전환 레버(8)의 전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기록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상부 전면 측에 스트로보 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스트로보 장치(9)는 정지 화상을 촬영할 때 필요한 피사체 광량이 확보되어 있을 때에는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의 오목부(1a) 내에 격납되어 있다. 스트로보 장치(9)가 비사용 상태이고 피사체 광량이 부족할 때에는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로부터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와져 스트로보 장치는 사용 상태로 된다.
이하, 스트로보 장치(9)의 팝업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 10은 팝업 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이며, 베이스 프레임(10)을 부분적으로 구부려 형성한 복수의 장착편(attachment)(10a)이 비디오 카메라 본체부(1) 측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0) 상에는 작동 부재(11)가 지점부(fulcrum)(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 부재(11)에는 작동 부재(11)의 일부를 구부린 후 세워 형성되고, 예를 들면 앙각(elevation angle)으로 서있는 걸림 사면(hooking slope)(13a)을 구비한 훅편(hooking piece)(13)과, 이 훅편(1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작동 부재(11)에서 평면으로 연장되는 리턴편(14)과, 별도로 작동 부재(11)로부터 연장하는 레버(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 상에는 전술한 작동 부재(11)의 레버(15)와 링크되는 플런저 기구(16)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플런저 기구(16)의 장착부(17)가 베이스 프레임(10)에 나사(17a)로 고정되어 있고, 장착부(17)에 평행 상태로 한 쌍의 마그넷(magnet)(18)이 지지되어 있다. 또 장착부(17)에는 양 마그넷(18)을 중심으로 외측에 코일(20, 20)이 감긴 보빈(19)이 각각 삽입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보빈(19)의 개구부 측에서 플런저 가동부(21)의 U자 형상 철편(22)이 삽입되어 있고, 철편(22)의 선단부가 이미 설명한 마그넷(18)의 선단면쪽으로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있다. 플런저 가동부(21)에 형성된 구멍(21a)이 설명한 작동 부재(11)의 레버(15)에 설치된 돌기(15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7)를 제외한 플런저 기구(16)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된 펀치된 구멍(punched hole)(10a)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런저 기구(16)는 코일(20)이 통전되지(energize) 않은 상태일 때에는 마그넷(18)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플런저 가동부(21)의 철편(22)이 흡착되어 작동 부재(11)의 레버(15)를 잡아당긴다. 한편, 코일(20)이 통전 상태일 때면, 코일(20)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마그넷(18)의 자기력이 소멸한다. 이로 인해, 플런저 가동부(21)에 의한 작동 부재(11)의 레버(15)에 대한 견인력이 해제된다.
한편, 상술한 베이스 프레임(10)은 이 베이스 프레임(10)을 부분적으로 구부려 세워 수직으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베어링 판(2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베어링 판(23)에 형성된 축 구멍(23a)은 축(24)을 지지한다. 가동 프레임(25)의 좌우에 구부러져 형성된 측판(26)의 축 구멍(26a, 26a)이 이 축(24)을 역시 지지하여, 가 동 프레임(25)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가동 프레임(25)에서, 두 개의 측판(26) 중 한쪽 측판(26)의 축 구멍(26a)을 중심으로 형성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arc-shaped guide hole)(27)은 베이스 프레임(10)의 두 측판(23) 중 한쪽 측판(23)에 장착한 가이드 핀(28)과 맞물려져 있다. 그래서 가동 프레임(25)의 회전은 베이스 프레임(10)의 표면에 대하여 수평인 수평 위치와 앙각, 예를 들면 35°사이의 범위로 한정되어 있다.
상술한 축(24)에는 코일 스프링(29)이 삽입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9)의 일측 스프링 단(29a)은 가동 프레임(25)을 일부 잘라 세워 형성한 스프링 걸림부(30)에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스프링 단(29b)은 베이스 프레임(10)의 한 쪽 베어링 판(23)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31)에 결합되어 있다. 즉, 가동 프레임(25)은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하여 앙각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된다.
또한, 가동 프레임(25)에서, V자형으로 구부려 형성한 와이어(32)는 지지핀(33)에 의해 지지된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32)의 일단측은 가동 프레임(25)을 부분적으로 구부려 세워 형성한 2개의 유지편(retaining piece)(34a, 34b)에 지지되고, 타단측은 고정편(clasp)(35)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유지편(34a, 34b) 사이를 횡단하는 와이어(32) 부분이 대응하는 가동 프레임(25) 부분에 창구멍(36)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37은 가동 프레임(25)의 한 쪽 측판(26)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귀편(recovery piece)이며, 이 복귀편(37)은 이미 설명한 작동 부재(11)의 리턴편(14)에 대응하고 있다.
전술한 가동 프레임(25)에 이미 설명한 스트로보 장치(9)가 장착된다. 스트로보 장치(9)의 한 쪽 외장체(sheath)를 형성하는 하측 커버(38)는 가동 프레임(25)의 이면측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고정되고, 하측 커버(38)의 일부에는 가동 프레임(25)에 형성된 창구멍(36)과 연통하도록 관통공(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커버(38)에는 다른 외장체를 형성하는 상측 커버(40)가 조립된다.
상하 양 커버(38, 40)에 의한 공간 내에는 스트로보 프레임(41)에 지지되도록 반사체(reflector)(42)를 구비한 발광관(4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발광관(43)의 전면 측에는 상하 양 커버(38, 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확산 렌즈(4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45는 발광관(43)을 스트로보 발광시키기 위한 트리거 코일이다.
도 3은 이러한 기재에 따라서 구성된 스트로보 장치(9)가 어떻게 격납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트로보 장치(9)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팝업 상태에서 수동으로 스트로보 장치(9)를 축(24)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작동 부재(11)로부터 상승하는 훅편(13)이 하측 커버(38)의 관통공(39) 및 가동 프레임(25)의 창구멍(36)을 통해 관통한다. 그런 다음, 훅편(13)은 와이어(32)를 내측으로 휘게 하여 와이어(32)와 맞물리게 되므로, 스트로보 장치(9)는 격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lock).
스트로보 장치(9)가 격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플런저 기구(16)는 통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플런저 가동부(21)의 철편(22)이 마그넷(18)의 자기력에 의해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부재(11)는 플런저 가동부(21)에 의 해 잡아 당겨지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편(13)은 와이어(32)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스트로보 장치(9)가 격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트로보 장치(9)를 팝업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보다 플런저 가동부(21)의 자기적인 흡인력이 세기 때문에 스트로보 장치(9)의 격납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와이어(32)와 맞물려 있는 훅편(13)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사면(13a)의 각도가 훅편(13)과 와이어(32) 간의 마찰각보다 클 수 있도록, 예를 들면 30° 전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 위치에 튀어 올려지는 기계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런저 기구(16)의 코일(20)로 펄스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플런저 기구(16)의 마그넷(18)에 대한 자기력이 0으로 소멸하여 철편(22)은 자기적인 흡착으로부터 해제되고,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서 가동 프레임(25)이 튀어 올라가게 된다. 즉, 가동 프레임(25)의 튀어 오름 동작에 의해 와이어(32)와 맞물려 있는 훅편(13)은 와이어(32) 상측의 동작에 의해 걸림 사면(13a)을 타고 미끄러지는 복귀된다. 그래서 훅편(13)은 와이어(32)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스트로보 장치(9)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며, 동시에 가동 프레임(25)과 함께 팝업된다.
여기에서, 가동 프레임(25)의 와이어(32)로부터 훅편(13)이 분리되고 스트로보 장치(9)의 잠금이 해제된 직후 작동 부재(11)에 대한 움직임을 도 8에 나타낸다. 즉, 작동 부재(11)는 지점부(12)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플런저 기구(16)의 플런저 가동부(21)와 함께 철편(22)이 보빈(19)으로부터 인출되고, 리턴편(14)이 후퇴한다. 가동 프레임(25)이 팝업(튀어 오름) 위치까지 튀어 오르면, 가동 프레임(25)의 복귀편(37)에 의해 리턴편(14)이 밀린다. 그러므로 작동 부재(11)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회전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가동부(21)는 후퇴하고 철편(22)은 마그넷(18)에 의해 자기적으로 흡착되며, 동시에 훅편(13)은 자신이 와이어(32)와 갇히게 되는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에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서 정화 화상을 얻기 위한 동작에 관한 스트로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디오 카메라 장치가 카메라 모드에서 정지 화상을 획득하는 동작에 관한 스트로보 장치의 동작을 도 14에 도시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디오 촬영 중에 정지 화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먼저, 포토 버튼(6)을 반정도 누른다(단계 S101). 포토 버튼(6)이 반정도 눌린 상태로 감지되면, 측광 수단은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2). 측광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보다 큰 상태로 판단하면, 스트로보 장치의 팝업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정지 화상을 일시적으로 획득한다(단계 S103). 그 후, 포토 버튼(6)을 완전히 누르고(단계 S104), 정지 화상을 자기 테이프에 기록한다(단계 S104).
한편, 전술한 단계 S102에서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보다 낮은 상태로 판단되면, 플런저 기구(16)의 코일(20)로 플런저 펄스 신호(예를 들면, 1/60sec)를 인가하는 단계 S106으로 넘어간다. 그런 다음, 플런저 기구(16)에서는, 마그넷(18) 의 자기력이 0으로 소멸하여 철편(22)의 흡착 상태는 해제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튀어 올라오게 되어 스트로보 장치(9)는 팝업된다.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된 후, 스트로보 튀어 오름 검출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된다(단계 S107). 스트로보 튀어 오름 검출 스위치가 온된 상태로 인식되면, 스트로보 장치의 충전이 시작되고(단계 S108), 예를 들면 O.5sec 후에 충전이 완료된다(단계 S109).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별되면, 충전 완료와 동기하여 스트로보 발광 트리거 펄스 신호에 의해 스트로보 발광이 제어되고(단계 S110), 설명한 정지 화상의 일시적인 획득 동작이 이루어진다(단계 S103). 그런 다음, 포토 버튼(6)을 완전히 누름에 따라(단계 S104), 이 정지 화상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단계 S104).
도 15는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 될 때의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스트로보 장치(9)의 팝업 앙각은 예를 들면 35°이며, 스트로보 온/오프 검출 스위치는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되는 동안 앙각이 예를 들면 15°로 될 때 온된다. 플런저 펄스 신호는 1/60sec이기 때문에,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 동작을 완료하면 거의 동시에, 플런저 기구(16)는 다시 무통전 상태로 되어, 마그넷(18)의 자기력에 의해서 철편(22)이 흡착되게 된다.
다음,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메모리 모드에서 정지 화상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에 관한 스트로보 장치의 동작을 도 16에 나타낸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모드에서 정지 화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메모리 모드를 설정할 때 스트로보 장치의 충전이 시작된다(단계 S201). 먼저, 포토 버튼(6)을 반정도 누른다(단계 S202). 포토 버튼(6)이 반정도 눌린 상태로 판단되면, 측광 수단은 피사체 광량이 설정량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 측광 수단에 의해, 피사체 광량이 설정량보다 높은 상태로 판단되면, 스트로보 장치의 팝업 동작없이 포토 버튼을 완전히 누른다(단계 S204). 포토 버튼(6)을 완전히 누른 상태로 판단되면, 정지 화상의 획득 동작이 이루어진 후(단계 S205), 이 정지 화상을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단계 S206).
한편, 이미 설명한 단계 S203에서 피사체 광량이 설정량보다 작을 경우로 판단되면, 플런저 기구(16)의 코일(20)로 펄스 신호(예를 들면, 1/60sec)가 인가되는 단계 S207로 넘어간다. 그런 다음, 이 플런저 기구(16)에서, 마그넷(18)의 자기력이 소멸하여 철편(22)의 흡착 상태가 해제되고, 스트로보 장치(9)는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서 튀어 올라오게 되어 팝업 동작이 이루어진다..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되면, 도시하지 않은 스트로보 튀어 오름 검출 스위치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08). 스트로보 튀어 오름 검출 스위치가 온된 후, 포토 버튼(6)을 완전히 누른다(단계 S209). 이 때 스트로보 장치(9)는 이미 충전 상태가 완료되었기 때문에(단계 S210), 스트로보 발광 트리거 펄스 신호에 의해 스트로보의 발광이 제어되고(단계 S211), 앞에서 설명한 정지 화상의 획득 동작이 행해진다(단계 S205). 그런 다음 이 정지 화상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단계 S206).
도 17은 스트로보 장치(9)가 팝업 될 때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메모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스트로보의 충전이 시작되고 스트로보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포토 버튼(6)을 완전히 누르는 것을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카메라 모드 동작에 대한 타이밍도와 동일하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보 장치의 팝업 기구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모터나 기어 열을 사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팝업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이며 경량인 장치를 저가로 제작할 수 있다.
팝업 기구를 구비한 스트로보 장치를 카메라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에서 스트로보 장치를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스트로보 장치의 자유도가 높일 수 있고, 카메라 장치의 디자인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 기구(16)는 스트로보 장치의 격납 위치에서 플런저 기구(16)로 플런저 펄스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자기력이 0으로 소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플런저 펄스 신호가 인가될 때 플런저 가동부(21)가 인출되는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팝업 기구를 구비한 스트로보 장치를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탑재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 장치 이외에, 예를 들면 스틸 카메라 장치나 디지털 카메라 장치 등의 스트로보 장치에도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용 팝업 기구는 팝업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시 장치와, 플래시 장치를 팝업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과, 이 플래시 장치를 격납 위치에 유지시키 는 고정 수단(engaging means)을 구비한 작동 부재와, 작동 부재와 링크되고 통전 시(energized)에 자기적인 흡인력이 해제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팝업 기구를 좁은 공간에 구성할 수 있고, 부품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소형이며 경량인 카메라 장치를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는 포토 버튼과, 포토 버튼을 반정도 누름에 따라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는 측광 수단과, 이 측광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 이하일 때,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도록 설계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의 플래시 장치용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플래시 장치의 자유도를 높이고, 카메라 장치의 디자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미 기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될 것이다.
Claims (4)
- 팝업 위치(pop-up position)와 격납 위치(housing position)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시 장치,상기 플래시 장치를 상기 팝업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상기 플래시 장치를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작동 부재, 그리고상기 작동 부재와 링크되어 있고, 통전 시에 자기적인 흡인력이 해제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고,상기 플래시 장치가 격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상기 플런저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고,상기 플래시 장치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되며,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자기적인 흡인력을 해제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통전시켜 상기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고, 상기 플래시 장치는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며,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플래시 장치가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는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플런저에서 발생하는 자기적인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래시 장치의 유지 위치로 복귀되는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 삭제
- 제1항에서,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플래시 장치측에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된 와이어 부재, 그리고마찰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 부재와 고정되는 훅 부재로 구성되고,상기 훅 부재의 경사각이 상기 훅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 사이의 마찰각보다 크게 설계되는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 제1항에 기재된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로서,상기 카메라 장치는,포토 버튼, 상기 포토 버튼의 반 누름 조작에 의해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는 측광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플래시 장치는 상기 측광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사체의 광량이 설정량 이하일 때, 팝업 위치로 튀어 오르는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050910 | 2001-02-26 | ||
JP2001050910A JP2002250962A (ja) | 2001-02-26 | 2001-02-26 |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9497A KR20020069497A (ko) | 2002-09-04 |
KR100871101B1 true KR100871101B1 (ko) | 2008-11-28 |
Family
ID=1891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0135A KR100871101B1 (ko) | 2001-02-26 | 2002-02-26 |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카메라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850703B2 (ko) |
JP (1) | JP2002250962A (ko) |
KR (1) | KR100871101B1 (ko) |
TW (1) | TW536656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6680B1 (ko) | 2005-01-12 | 2012-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트로보 팝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81852B2 (en) * | 1999-11-15 | 2009-09-01 | Xenonics, Inc. | Portable device for viewing and imaging |
JP2003330494A (ja) * | 2002-05-10 | 2003-11-19 | Olympus Optical Co Ltd | 音声記録再生装置 |
JP3930471B2 (ja) * | 2002-10-09 | 2007-06-13 | 三星電子株式会社 | 映像撮影装置 |
KR20040032724A (ko) * | 2002-10-09 | 2004-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
JP4506208B2 (ja) * | 2003-03-28 | 2010-07-21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 |
CN100458548C (zh) * | 2003-03-28 | 2009-02-04 | 索尼株式会社 | 摄像装置 |
KR100806391B1 (ko) | 2003-04-28 | 2008-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
US7092626B2 (en) | 2003-07-28 | 2006-08-15 | Canon Kabushiki Kaisha | Placement of light-emitting section in image sensing apparatus |
CN100432827C (zh) * | 2003-12-03 | 2008-11-12 | 宇东光学公司 | 具有自动开启结构的闪光灯模组 |
CN100395649C (zh) * | 2003-12-03 | 2008-06-18 | 宇东光学公司 | 具有自动弹出结构的闪光灯模组 |
CN100368926C (zh) * | 2003-12-31 | 2008-02-13 |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 闪光灯的开启装置 |
JP2005202096A (ja) * | 2004-01-15 | 2005-07-28 | Canon Inc | カメラ |
CN1661455B (zh) * | 2004-02-09 | 2012-07-11 | 佳能株式会社 | 光学仪器的控制装置和摄影装置 |
KR20050090801A (ko) * | 2004-03-10 | 2005-09-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
KR100571639B1 (ko) * | 2004-07-23 | 2006-04-1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촬영 방법 |
JP4586458B2 (ja) * | 2004-08-25 | 2010-11-24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 |
TWI263108B (en) * | 2004-10-01 | 2006-10-01 | Asia Optical Co Inc | Flash device having ejecting structure |
JP2006337882A (ja) * | 2005-06-06 | 2006-12-14 | Sony Corp | 撮像装置 |
KR101242623B1 (ko) | 2006-11-30 | 2013-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
KR101310234B1 (ko) | 2007-05-15 | 2013-09-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
KR20110093081A (ko) * | 2010-02-11 | 2011-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 장치 |
USD752796S1 (en) * | 2013-01-05 | 2016-03-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ight for digital camera |
US10691181B2 (en) | 2015-11-13 | 2020-06-2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evice enclosures with separator cams |
KR101697464B1 (ko) * | 2016-08-24 | 2017-01-18 | 이주탁 | 자동차 서스펜션용 필러 볼 측정 장치 |
CN106506913B (zh) * | 2016-10-26 | 2019-07-26 |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 一种可伸缩摄像头机构以及电子设备 |
CN111246904B (zh) * | 2017-10-19 | 2023-01-17 | 赛诺菲 | 药剂递送装置 |
CN108562989B (zh) * | 2018-03-29 | 2021-01-0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镜头模组及终端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331A (ko) * | 1991-06-21 | 1993-01-15 | 김성중·알.제이.스트래미 | 주차 제동 보조장치 |
KR0137882B1 (en) * | 1987-01-13 | 1998-05-15 | Asahi Optical Co Ltd | Built-in flash system |
KR20000005050U (ko) * | 1998-08-21 | 2000-03-15 | 유무성 | 카메라의 동작 상태 표시 장치 |
KR20010097413A (ko) * | 2000-04-22 | 2001-11-08 | 이중구 | 적정 노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07573A (en) * | 1980-06-05 | 1983-10-04 | Nippon Kogaku K.K. | Pop up flash device control for a camera |
-
2001
- 2001-02-26 JP JP2001050910A patent/JP2002250962A/ja not_active Abandoned
-
2002
- 2002-02-25 US US10/081,235 patent/US68507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2-25 TW TW091103291A patent/TW53665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26 KR KR1020020010135A patent/KR1008711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7882B1 (en) * | 1987-01-13 | 1998-05-15 | Asahi Optical Co Ltd | Built-in flash system |
KR930000331A (ko) * | 1991-06-21 | 1993-01-15 | 김성중·알.제이.스트래미 | 주차 제동 보조장치 |
KR20000005050U (ko) * | 1998-08-21 | 2000-03-15 | 유무성 | 카메라의 동작 상태 표시 장치 |
KR20010097413A (ko) * | 2000-04-22 | 2001-11-08 | 이중구 | 적정 노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 실용신안공보 93-331(1993.1.25.)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6680B1 (ko) | 2005-01-12 | 2012-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트로보 팝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850703B2 (en) | 2005-02-01 |
US20020122666A1 (en) | 2002-09-05 |
TW536656B (en) | 2003-06-11 |
JP2002250962A (ja) | 2002-09-06 |
KR20020069497A (ko) | 2002-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1101B1 (ko) |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카메라 장치 | |
US5066967A (en) | Single-lens reflex camera with built-in flash | |
US6351609B1 (en) | Built-in retractable flash of a camera | |
JP2008180815A (ja) |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 |
US7384204B2 (en) | Electronic camera | |
JPH0572792B2 (ko) | ||
JP2002350925A (ja) | カメラの絞り切換え装置 | |
JP2003307769A (ja) |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 | |
JP2011013539A (ja) | 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 |
JPH11326992A (ja) |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 |
JP2000131731A (ja) | 電子スチルカメラ | |
JP2003101834A (ja) | カメラ装置 | |
JP2005202096A (ja) | カメラ | |
JP4470418B2 (ja) |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を備える撮像装置 | |
JP4017151B2 (ja) | ストロボ内蔵カメラ | |
JP2009188838A (ja) | 光学機器 | |
US20030219245A1 (en) | Exposure control system and camera having same | |
JPH0436508B2 (ko) | ||
JP4586458B2 (ja) | 撮像装置 | |
JP2002040539A (ja) | ストロボ内蔵カメラ | |
JP2733612B2 (ja) | ストロボ内蔵カメラ | |
JP2572034B2 (ja) | カメラ | |
JP2016109706A (ja) | 撮像装置 | |
JPH0334737Y2 (ko) | ||
JPH0253038A (ja) | ストロボ内蔵カメラ及び該カメラに装着される外付けストロボ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