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391B1 -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 Google Patents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391B1
KR100806391B1 KR1020030026803A KR20030026803A KR100806391B1 KR 100806391 B1 KR100806391 B1 KR 100806391B1 KR 1020030026803 A KR1020030026803 A KR 1020030026803A KR 20030026803 A KR20030026803 A KR 20030026803A KR 100806391 B1 KR100806391 B1 KR 10080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hotographing apparatus
flash
po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818A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3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기는 전방면측에 렌즈조립체가 설치되는 촬영기기 본체와, 그 촬영기기 본체의 전방면과 연결되는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생성시키며 촬영기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팝업(pop-up)위치와 촬영기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격납위치로의 팝업구동되는 플래시 본체와, 플래시 본체를 팝업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며, 팝업유닛은, 촬영기기 본체의 전방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촬영기기 본체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촬영기기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기기, 광발생부, 플래시 본체, 팝업유닛

Description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pop-up flash device }
도 1은 종래의 촬영기기 한 예를 도시해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를 도시해 보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본체가 팝업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도 2의 촬영기기의 측면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플래시 본체가 격납위치에 있을 때의 플래시 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는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의 팝업유닛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플래시 본체가 격납위치에 있을 때의 팝업유닛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팝업유닛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 촬영기기 210 : 촬영기기 본체
213 : 전방면 215 : 상부면
218 : 수납부 220 : 렌즈 조립체
230 : 플래시 장치 231 : 플래시 본체
235 : 광발생부 250 : 팝업유닛
251 : 메인 프레임 253 : 지지 플레이트
255 : 제 1 탄성부재 261 : 제 1 록킹부재
263 : 제 2 록킹부재 264 : 회동부재
265 : 제 2 탄성부재 264a : 제 1 복귀돌기
253a : 제 2 복귀돌기 267 : 영구자석
268 : 전자석 251c: 제 1 한정돌기
253b : 제 2 한정돌기
본 발명은 촬영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피사체의 촬상시 선택적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플래시 본체와, 그 플래시 본체를 팝업구동시키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가 설치된 촬영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캠코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카메라와 같은 촬영기기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생성하는 기구로서, 피사체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여 소정 광량의 조명광을 선택적으로 피사체에 조사하는 플래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래시 장치는 촬영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도 하지만,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캠코더와 같은 촬영기기에서는 휴대의 간 편화를 위해 팝업(Pop-up) 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세다. 상기 팝업구동은 플래시 본체가 촬영기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격납위치와, 촬영기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팝업위치로 승강회동되는 구동을 뜻하며, 이러한 팝업구동은 플래시 본체를 촬영기기 본체에 팝업구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팝업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캠코더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포함하는 캠코더/디지털 스틸 카메라 겸용 복합 촬영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촬영기기(100)는 촬영기기 본체(110)와, 플래시 장치(130)를 포함한다. 촬영기기 본체(110)는 피사체의 촬영시 상기 피사체와 대면하는 전방면(113)에 설치된 렌즈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렌즈 조립체(120)는 피사체와 대면하는 촬상렌즈(225;도 2 참조)와, 상기 촬상렌즈를 통해 촬영기기 본체(110) 내부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렌즈(미도시)와, 상기 외부광의 입사시간을 조절하는 셔터 및 조리개(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이때, 렌즈 조립체(120)는 그 일부가 촬영기기 본체(110)의 내측 전방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게 일반적이다. 한편, 플래시 장치(130)는 촬영기기 본체(110)의 전방면(113)과 연결되는 촬영기기 본체(110)의 상부면(115)의 전방측에 팝업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촬영기기(100)는 최근에 이르러 휴대 중에 사용이 용이하도록 점점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촬영기기(100)는 촬영기기 본체(110)의 전방내측에 렌즈 조립체(120)와, 상기 팝업유닛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기기 본체(110)의 전방부의 부피가 소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종래에서 사용하는 팝업유닛은 모터와, 소정의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기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촬영기기 본체(110)의 부피가 커져 촬영기기(100)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캠코더/디지털 스틸 카메라 겸용 복합 촬영기기와 같이, 촬영기기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렌즈 조립체(220)와, 캠코더용 렌즈 조립체(221;도 3 참조)에 의해 그 전장(L)이 다른 촬영기기보다 긴 광학부 몸체(111)를 구비하는 경우, 상술한 플래시 장치에 의해 그 두께(T)까지 두꺼워지기 때문에, 휴대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촬영기기 본체(110)의 두께(T)를 얇게 하는 기술이 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하면서도 촬영기기 본체의 소형화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촬영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기는, 촬상렌즈를 포함하는 다수의 렌즈와, 상기 다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및 셔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피사체와 대면하는 전방면에 설치되되,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일부가 내장되는 촬영기기 본체와,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체를 구비하 며, 상기 전방면과 연결되는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플래시 본체와,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시 본체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팝업유닛은, 그 구동시 상기 플래시 본체를 승강시켜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외부로 상기 발광체가 노출되는 팝업(pop-up)위치와,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발광체가 수납되는 격납위치에 상기 플래시 본체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전방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렌즈 조립체의 설치에 의해 그 설치공간에 제약이 많은 촬영기기 본체의 전방측을 피하여 촬영기기 본체의 후방측에 플래시 본체가 팝업구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촬영기기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렌즈 조립체보다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체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간격(h)만큼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Figure 112003015222728-pat00001
상기 d는 상기 촬상렌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광축방향을 따라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발광체까지의 수평거리이고, 상기 θ는 상기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 중 상기 촬영기기 본체에 가장 인접하게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축과 상기 촬 상렌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광축이 이루는 조명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촬영기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래시 본체를 승강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격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정유닛은,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호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 1 록킹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격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록킹부재와 분리가능하게 후크결합되도록 이동하는 제 2 록킹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가 상호 결합/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일측이 상기 제 2 록킹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회동시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가 상호 결합/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회동부재와, 상기 촬영기기 본체 및 상기 회동부재 각각에 상호 접근/이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구동에 대응하여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전원의 공급시 상기 영구자석과 동일한 자극을 가지도록 자화되어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전원공급의 중단시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에 접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구동시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의 후크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격납위치에 도달했을때 상기 영구자석으로 접근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들이 후크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의 후크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1 복귀돌기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상기 제 1 복귀돌기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2 복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귀돌기는,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복귀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석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200)는 촬영기기 본체(210)와, 플래시 장치(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촬영기기 본체(210)는 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광학부 몸체(211)를 포함하며, 그 광학부 몸체(211)의 전방면(213)에는 피사체의 촬상시 그 피사체와 마주하는 촬상렌즈(225)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렌즈 조립체(220)가 설치되고, 그 후방측에는 캠코더용 렌즈 조립체(221)가 설치된다. 이때, 렌즈 조립체(220)는 그 일부가 광학부 몸체(211)의 내측 전방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플래시 장치(230)는, 플래시 본체(231)와 팝업유닛(250;도 4 참조)을 포함한다.
플래시 본체(231)는 피사체 주변광의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피사체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광발생부(235)를 포함하며, 광발생부(235)는 순간적으로 점소등이 가능한 발광체(미도시)와, 그 발광체에서 생성된 조명광을 상기 피사체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래시 본체(231)는 후술될 팝업유닛(250)에 의해 광발생부(235)가 촬영기기 본체(210)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노출되는 팝업위치와, 촬영기기 본체(210) 내부에 수납되는 격납위치로의 팝업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발생부(235)는 팝업위치에 있을 때 촬영기기 본체(210)의 전방면과 연결되는 측면들 중 촬영기기 본체(210)의 상부면(215)에 배치되되, 상기 전방면(213)과 상부면(215)을 연결하는 모서리부(217)로부터 상기 촬상렌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광축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광발생부(235)에 의해 생성되어 피사체를 향해 조사되는 조명광이 모서리부(217)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소정 거리(d)만큼 촬영기기 본체(210)의 상부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Figure 112003015222728-pat00002
여기서, d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217)로부터 광발생부(235)까지의 수평거리이며, θ는 촬상렌즈(225)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광축(X1)에 나란한 광축(X2)과, 광발생부(235)에 의해 생성된 조명광들 중 촬영기기 본체(210)의 상부측면에 가장 인접하게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축(X3)이 이루는 조명각이다.
이에 의하면, 플래시 장치(230)가 촬영기기 본체(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렌즈 조립체(220)보다 촬영기기 본체(210)의 후방측에 배치됨으로서, 촬영기기 본체(210) 전방부의 두께를 종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비교적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구동관련 조작키(219) 등을 촬영기기 본체(210)의 상부면(215) 전방측에 대신 설치할 수 있음으로, 촬영기기 본체(210)의 공간활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 장치(230)를 종전보다 촬영기기 본체(210)의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면 할수록, 앞서 설명한 수식에 의해 광발생부(235)와 촬영기기 본체(210) 사이의 간격(h)이 점점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종래에 통용되던 팝업유닛을 사용할 경우 플래시 본체(231)의 팝업구동시 광발생부(235)를 보다 높은 곳에 배치하게 하기 위해 팝업유닛 자체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결국은 촬영기기 본체(210)의 소형화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팝업유닛과는 다른 형태의 팝업유닛을 사용하며, 이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장치(230)의 팝업유닛(250)은 메인 프레임(251)과, 지지 플레이트(253)와,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251)은 플래시 본체(231)가 수납되는 수납부(218;도 2 참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촬영기기 본체(2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지지 플레이트(253)는 메인 프레임(251)에 힌지결합되어 플래시 본체(231)를 승강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253)는 메인 프레임(251)과 지지 플레이트(253)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탄성부재(255)에 의해 플래시 본체(231)가 팝업되는 방향, 즉, 지지 플레이트(253)가 상승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고정유닛은 플래시 본체(231)가 격납위치에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253)가 회동된 상태에서, 제 1 탄성부재(255)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53)가 플래시 본체(231)가 팝업되도록 상승회동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유닛은, 제 1 록킹부재(263)와, 제 2 록킹부재(261)와,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제 1 록킹부재(263)는 지지 플레이트(253)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 2 록킹부재(261)는, 플래시 본체(231)가 격납위치에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253)가 회동된 상태에서, 제 1 록킹부재(26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촬영기기 본체(210) 내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메인 프레임(251)의 제 1 가이드 홈(251a)에 의해 그 왕복이동이 가이드된다. 그리고, 제 2 록킹부재(261)의 끝단에는 지지 플레이트(253) 일측에 와이어 형태로 설치된 제 1 록킹부재(263)와 지지 플레이트(253)의 관통공(253c)를 관통하여 후크결합되는 후크부(261a)가 형성된다.
구동유닛은 플래시 본체(231)가 격납위치에서 고정된 상태, 즉, 제 1 및 제 2 록킹부재(261)(263)가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253)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피사체의 주변광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록킹부재(261)(263)의 후크결합을 자동으로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유닛은 회동부재(264)와, 제 2 탄성부재(265)와, 영구자석(267) 및 전자석(268)을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266은 영구자석(267)과 회동부재(26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회동부재(264)는 메인 프레임(25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록킹부재(261)의 회동돌기(261b)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홈(264b)을 가진다. 상기 회동돌기(261b)는 메인 프레임(251)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251b)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가이드 되며, 회동부재(264)의 회동시 가동홈(264b)과의 간섭에 의해 제 2 가이드 홈(251b)을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살표(a,b)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2 록킹부재(261)를 왕복이동시킨다.
상기 제 2 탄성부재(265)는 메인 프레임(251)과 제 2 록킹부재(261)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제 2 록킹부재(261)는 메인 프레임(251)에 대해 탄력적으로 왕복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탄성부재(265)는 제 1 및 제 2 록킹부재(261)(263)의 후크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264)를 탄성가압한다.
상기 전자석(268) 및 영구자석(267)은 회동부재(264)와 메인 프레임(251)에 각각 상호 접근/이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전자석(268)은 전원이 인가될 경우 영구자석(267)의 자극과 동일한 자극으로 자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석(268)과 영구자석(267)은 다양한 형태로의 구성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석(268)이 메인 프레임(251)에 고정되고, 영구자석(267)이 회동부재(264)와 연결되어 전자석(268)으로의 전원 공급/차단에 대응하여 영구자석(267)과 전자석(268)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기장에 의해 회동부재(26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230)의 팝업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래시 본체(231)가 격납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전자석(268)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268)과 영구자석(267)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영구자석(267)이 전자석(26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c;도 6 참조)으로 이동하려 하게 된다. 즉, 영구자석(267)의 자기력에 의한 회동부재(264)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회동부재(264)는 제 2 탄성부재(265)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록킹부재(261)를 제 1 록킹부재(263)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a)으로 회동 하게 된다. 이렇게 제 2 록킹부재(261)와 제 1 록킹부재(263)의 결합이 해제되면 제 1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53)가 상향회동하게 되어 플래시 본체(231)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플래시 본체(231)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시 격납위치로 복귀될 경우, 플래시 본체(231)의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제 2 록킹부재(261)가 제 1 록킹부재(263)와 결합될 위치로 미리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복귀돌기(253a)(264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복귀돌기(253a)는 지지 플레이트(253)의 일측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복귀돌기(264a)는 회동부재(264)의 일측에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253)가 플래시 본체(231)를 팝업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호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이용한 제 2 록킹부재(261)의 복귀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래시 본체(231)가 팝업위치로 상승회동되면, 전자석(268)에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아울러, 지지 플레이트(253)의 회동에 의해 제 1 복귀돌기(253a)가 제 2 복귀돌기(264a)를 밀어주어 제 2 록킹부재(261)가 록킹위치에 배치되도록 회동부재(264)가 회동된다. 이와 같은 회동부재(264)의 회동은, 제 1 탄성부재(255)가 제 2 탄성부재(265)의 탄성력보다 큰 탄성력을 가질 경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에 의해 회동부재(264)가 회동됨에 따라 영구자석(267)과 전자석(268)이 접촉되는 방향(d)으로 영구자석(267)이 이동하 게 되며, 이에 따라, 이미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단순한 금속부재에 불과한 전자석(268)과 영구자석(267)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장에 의해 영구자석(267)은 전자석(268)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플래시 본체(231)가 격납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 플레이트(253)가 회동하게 되면, 이미 록킹위치로 이동된 상태인 제 2 록킹부재(261)에 제 1 록킹부재(263)가 자연스럽게 후크결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53)의 회동이 제 1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에 의해 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앞선 수학식 1에 기재된 위치에 광발생부(235)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지지 플레이트(253)의 회동이 일정 지점에서 멈출수 있도록 한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정유닛으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팝업유닛(250)은 플래시 본체(231)가 팝업위치로 상승하는 방향으로 지지 플레이트(253)가 회동될 때 도 7에 도시된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호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251c)(25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251c)는 촬영기기 본체(210), 즉, 메인 프레임(251)의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제 2 걸림돌기(253b)는 지지 플레이트(253)의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걸림돌기(251c)(253b)들은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253)와 메인 프레임(251)의 일측을 절곡시켜 형성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그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캠코더/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 술한 캠코더/디지털 스틸 카메라 이외에도, 디지털 스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다른 촬영기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조립체의 설치에 의해 그 설치공간에 제약이 많은 촬영기기 본체의 전방측을 피하여 촬영기기 본체의 후방측에 플래시 본체가 팝업구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촬영기기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촬상렌즈를 포함하는 다수의 렌즈와, 상기 다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및 셔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피사체와 대면하는 전방면에 설치되되,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일부가 내장되는 촬영기기 본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면과 연결되는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플래시 본체;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시 본체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팝업유닛은, 그 구동시 상기 플래시 본체를 승강시켜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외부로 상기 발광체가 노출되는 팝업(pop-up)위치와,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발광체가 수납되는 격납위치에 상기 플래시 본체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전방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렌즈 조립체보다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체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간격(h)만큼 상기 촬영기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Figure 112003015222728-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d는 상기 촬상렌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광축방향을 따라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발광체까지의 수평거리이고, 상기 θ는 상기 발광 체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 중 상기 촬영기기 본체에 가장 인접하게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축과 상기 촬상렌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광축이 이루는 조명각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촬영기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래시 본체를 승강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격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정유닛은,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호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 1 록킹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격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록킹부재와 분리가능하게 후크결합되도록 이동하는 제 2 록킹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가 상호 결합/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일측이 상기 제 2 록킹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회동시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가 상호 결합/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회동부재; 및
    상기 촬영기기 본체 및 상기 회동부재 각각에 상호 접근/이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구동에 대응하여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전원의 공급시 상기 영구자석과 동일한 자극을 가지도록 자화되어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전원공급의 중단시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에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구동시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의 후크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격납위치에 도달했을때 상기 영구자석으로 접근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들이 후크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의 후크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1 복귀돌기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상기 제 1 복귀돌기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2 복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복귀돌기는,
    상기 플래시 본체가 팝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복귀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석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기.
KR1020030026803A 2003-04-28 2003-04-28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KR100806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03A KR100806391B1 (ko) 2003-04-28 2003-04-28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03A KR100806391B1 (ko) 2003-04-28 2003-04-28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18A KR20040095818A (ko) 2004-11-16
KR100806391B1 true KR100806391B1 (ko) 2008-02-27

Family

ID=3737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803A KR100806391B1 (ko) 2003-04-28 2003-04-28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15B1 (ko) 2005-01-24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캠코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628B1 (ko) * 2007-08-02 201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6822A (ja) * 1990-10-31 1992-06-12 Canon Inc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091987A (ja) 1999-09-20 2001-04-06 Olympus Optical Co Ltd ストロボ装置付きカメラ
JP2002250962A (ja) 2001-02-26 2002-09-06 Sony Corp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
JP2002296648A (ja) 2001-03-30 2002-10-09 Sony Corp 被ポップアップ体の駆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6822A (ja) * 1990-10-31 1992-06-12 Canon Inc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091987A (ja) 1999-09-20 2001-04-06 Olympus Optical Co Ltd ストロボ装置付きカメラ
JP2002250962A (ja) 2001-02-26 2002-09-06 Sony Corp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
JP2002296648A (ja) 2001-03-30 2002-10-09 Sony Corp 被ポップアップ体の駆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18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4142B2 (ja) 移動端末
JP5269028B2 (ja) 電磁式レンズ駆動装置
RU2732363C1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модуль съемочной камеры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446101B2 (ja) 電子機器
US7384204B2 (en) Electronic camera
JP2005156975A (ja) レンズ移動装置
JP2009092866A (ja) 露光条件切替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KR100806391B1 (ko)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JP2009175365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デジタルカメラ
TW201304387A (zh) 致動器及具有該致動器之相機模組
JP2006279368A (ja) 撮像ユニット
JP2008122463A (ja) 閃光装置、並びに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6162443B2 (ja)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TW201418868A (zh) 相機用焦點平面快門、及具備前述快門的數位相機
JP5532704B2 (ja) 撮影用照明装置
JP2013097103A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12215797A (ja) シャッタ駆動装置、シャッタ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879540B2 (ja) 撮像装置
JP2012073479A (ja) 光照射装置、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08292776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619027B2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CN216531446U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6069838B2 (ja) 発光装置の収納構造
KR20150043192A (ko) 적외선 필터 교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JP4470418B2 (ja)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を備える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