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01A -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 Google Patents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01A
KR20050090801A KR1020040016049A KR20040016049A KR20050090801A KR 20050090801 A KR20050090801 A KR 20050090801A KR 1020040016049 A KR1020040016049 A KR 1020040016049A KR 20040016049 A KR20040016049 A KR 20040016049A KR 20050090801 A KR20050090801 A KR 2005009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ocking lever
pop
loc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801A/ko
Priority to US11/059,320 priority patent/US20050200745A1/en
Priority to CNB2005100521419A priority patent/CN100461830C/zh
Priority to EP05101752A priority patent/EP1584976B1/en
Priority to DE602005001014T priority patent/DE602005001014T2/de
Priority to JP2005066161A priority patent/JP2005258441A/ja
Publication of KR2005009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Pop-up) 장치는, 플래시 본체가 촬상기기 본체에 수납될 때 플래시 본체와 촬상기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록킹돌기를 구비한 상태로 플래시 본체와 촬상기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록킹레버와, 플래시 본체를 팝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체와, 플래시 본체의 수납시 록킹 레버를 고정시키고 플래시 본체의 팝업 시작시 록킹 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록킹레버는, 플래시 본체의 팝업시, 제 1 탄성체에 의해 팝업되려는 플래시 본체와 록킹돌기의 접촉에 의해 제 2 위치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면, 록킹 레버를 원복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체와, 록킹레버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링크부재들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Flash Pop-up devic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피사체의 촬상시 피사체를 향하여 조명광을 조사하는 플래시 본체를 팝업시키는 팝업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캠코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카메라와 같은 촬상기기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생성시키는 기기로서, 피사체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여 소정 광량의 조명광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광발생부를 구비하는 플래시 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래시 장치는 촬상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도 하지만 휴대의 간편화를 위해 팝업(Pop-up) 구동 가능하게 촬상기기에 설치되는 추세이다. 상기 팝업구동은 플래시 본체가 촬상기기 본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촬상기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팝업위치로 승강회동되는 구동을 뜻하며, 이러한 팝업구동은 플래시 본체를 촬상기기 본체에 팝업구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팝업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팝업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팝업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플래시 본체를 회동시킴으로써 팝업구동시키는 팝업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팝업장치의 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2003-0026803호에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플래시 본체를 팝업을 위해 선택적으로 플래시 본체를 록킹시키기 위해 한 쌍의 록킹부재가 링크연결되도록 마련하여야 하고, 록킹부재들의 원복을 위해 별도의 탄성체를 사용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촬상기기의 제조공수 및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는, 플래시 본체가 촬상기기 본체에 수납될 때 상기 플래시 본체와 상기 촬상기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록킹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플래시 본체가 결합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플래시 본체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촬상기기 본체와 상기 플래시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록킹 레버; 상기 플래시 본체를 팝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시 상기 록킹 레버를 고정시키고,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 시작시 상기 록킹 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시, 상기 제 1 탄성체에 의해 팝업되려는 상기 플래시 본체와 상기 록킹돌기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록킹 레버를 원복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체와, 록킹레버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링크부재들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돌기는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의 완료시 상기 결합부재와 후크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이동시 상기 플래시 본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상기 결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를 상기 제 2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경사면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3 위치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4 위치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플래시 본체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핀과 접촉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 4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 2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촬상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복귀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복귀편은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플래시 본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팝업되는 상기 플래시 본체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를 상기 제 1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록킹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시 상기 록킹레버를 고정시키고,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시 상기 록킹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촬상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록킹레버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래시 본체와 상기 록킹 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위치에 설치되는 팝업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팝업 프레임은 몰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팝업장치를 구비하는 촬상기기의 일례를 도시해 보인 것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팝업장치를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팝업장치는, 플래시 본체(210)와, 팝업 프레임(230)과, 록킹레버(240)와, 고정부재(260)와, 탄성체(250)를 포함한다.
플래시 본체(210)는 조명광을 생성시키는 광발생부(220)를 포함하며, 광발생부(220)의 렌즈측을 둘러싸는 전방커버(211)와, 광발생부(220)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커버(218)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래시 본체(210)는 후술될 팝업 프레임(230)에 힌지결합되어 촬상기기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커버(21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힌지돌기(215)가 후술될 팝업 프레임(23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215) 중 적어도 일측에는 복귀돌기(216)가 더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플래시 본체(210)의 전방커버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통공(212)이 관통형성되며, 그 관통공(212)의 내측에는 후술될 록킹돌기(245)와 후크결합될 결합부재로서 고정핀(214)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핀(214)은 탄성체로 형성되어, 록킹돌기(245)와 결합되는 위치(P3:도 5 참조)로부터 록킹돌기(245)로부터 분리되는 위치(P4:도 5참조) 사이에서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하다.
팝업 프레임(230)은 촬상기기 본체(100)에 고정되며, 상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힌지돌기(231)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돌기(231)는 플레시 본체(210)의 힌지돌기(215)와 힌지샤프트(23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팝업 프레임(230)은 몰드, 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재의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판형 금속재를 프레스 작업하여 종래의 팝업 프레임을 형성시킴에 따라 힌지돌기가 팝업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야 하는 등 종래 팝업 프레임의 설계제약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팝업 프레임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발생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35는 플래시 본체(210)의 팝업시 플래시 본체(210)의 복귀돌기(216)가 회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피홈으로서, 이러한 도피홈 역시 다이캐스팅에 의해 팝업 프레임이 형성되기 때문에 팝업 프레임(230) 상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샤프트(233)에는 플래시 본체(210)를 팝업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코일형상의 탄성체(25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레버(240)는 플래시 본체(210)의 수납시 플래시 본체(210)의 전방커버(211)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돌출형성되는 록킹돌기(245)를 포함하며, 팝업 프레임(230)의 상면에 힌지핀(2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록킹레버(240)의 회동은 록킹돌기(245)와 고정핀(214)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제 1위치(P1:도 5참조)와, 록킹돌기(245)와 고정핀(214)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 2 위치(P2: 도 5 참조)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록킹돌기(2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본체(210)의 팝업구동시 접촉되는 접촉면(246)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접촉면은, 플래시 본체(210)의 수납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핀(214)이 삽입되는 결합홈(247)과, 그 결합홈(247)의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경사면(249)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247)의 상단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 경사면(248)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제 1 경사면(248)의 경사각과 고정핀(214)의 탄성력은 록킹돌기(245)와 고정핀(214)이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214)이 유동되어 록킹돌기(245)와 고정핀(214)이 분리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경사면(248)(249)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은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260)는 록킹레버(240)를 일정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록킹레버(240)의 회동을 구속하는 수동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록킹레버(240)의 회동을 구속하는 자동식으로 그 구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식 고정부재(260)가 사용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록킹레버(240)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연결핀(243)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핀(243)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솔레노이드(260)가 상기 고정부재로서 사용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70은 플래시 본체(210)의 수납여부를 확인하는 검출센서로서, 이러한 검출센서(270)의 검출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260)의 구동이 제어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플래시 본체(210)가 수납된 후 록킹돌기(245)와 고정핀(214)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60)는 자화되어 연결핀(243)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록킹레버(24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60)의 자화가 해제되면, 록킹레버(240)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플래시 본체(210)를 상승시키는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214)이 상승되면서 록킹돌기(24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214)에 의한 록킹돌기(245)의 이동은 록킹돌기(245)의 결합홈(247) 상단면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48;도 4참조)을 따라 연결핀(243)이 상승함에 따른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245)와 고정핀(214)의 결합이 해제된 이후에는, 플래시 본체(210)는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위치까지 완전히 상승한다. 이때, 플래시 본체(210)의 힌지돌기(215)에 돌출형성된 복귀돌기(216)가 록킹레버(240)의 복귀편(241)과 접촉되어 록킹레버(240)는 원위치(P1)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록킹레버(240)를 어느 일측으로 탄성가압해야 하는 종래의 탄성체(미도시)의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록킹레버(240)의 구성이 보다 간단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래시 본체(210)가 팝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플래시 본체(210)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검출센서(270)에 의해 플래시 본체(210)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검출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260)가 자화되어 록킹레버(240)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플래시 본체(210)가 계속해서 하강하게 되면, 록킹돌기(245)가 관통공(212)을 경유하여 고정핀(214)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고정핀(214)은 록킹돌기(245)의 접촉면(246) 중 제 2 경사면(249;도 4 참조)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핀(214)은 화살표 b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된다. 플래시 본체(210)가 계속해서 하강하여 고정핀(214)이 결합홈(247)과 마주하게 되면, 제 4 위치(P4)에 위치하도록 변형된 고정핀(2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핀(214)이 결합홈(247)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플래시 본체(210)는 수납된 상태에서 촬상기기 본체(100)에 고정됨으로써 플래시 본체(210)의 수납동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록킹레버와 솔레노이드가 촬상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고정핀이 플래시 본체에 설치되는 것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래시 본체의 팝업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레버가 회동되어 고정핀과 록킹돌기의 결합이 해제되고, 플래시 본체의 수납시 고정핀의 탄력적인 유동에 의해 고정핀과 록킹돌기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면, 그 설치위치들은 상호 바뀌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록킹레버의 회동을 구속하는 방법으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 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록킹레버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개시된 형태외에 다른 형태의 고정방법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록킹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로서 탄성체로 형성된 고정핀이 사용된 점만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고정핀을 대신하여 록킹돌기의 접촉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개의 록킹레버로서 플래시 본체의 팝업구동을 구속할 수 있고, 록킹레버의 원복을 위한 종래의 탄성체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조의 촬상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보다 더욱 슬림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 촬상기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팝업장치를 구비하는 촬상기기의 일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팝업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플래시 팝업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록킹돌기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플래시 팝업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촬상기기 본체 200 : 플래시 팝업장치
210 : 플래시 본체 212 : 관통공
216 : 복귀돌기 230 : 팝업 프레임
240 : 록킹 레버 241 : 복귀편
249 : 연결핀 245 : 록킹돌기
247 : 결합홈 248 : 제 1 경사면
249 : 제 2 경사면 250 : 탄성체
260 : 솔레노이드 270 : 검출센서

Claims (7)

  1.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플래시 본체를 촬상기기 본체에 팝업(Pop-up)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본체가 상기 촬상기기 본체에 수납될 때 상기 플래시 본체와 상기 촬상기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록킹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플래시 본체가 결합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플래시 본체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촬상기기 본체와 상기 플래시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록킹 레버;
    상기 플래시 본체를 팝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시 상기 록킹 레버를 고정시키고,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 시작시 상기 록킹 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시, 상기 제 1 탄성체에 의해 팝업되려는 상기 플래시 본체와 상기 록킹돌기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돌기는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의 완료시 상기 결합부재와 후크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이동시 상기 플래시 본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상기 결합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를 상기 제 2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3 위치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4 위치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플래시 본체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핀과 접촉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 4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 2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촬상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복귀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복귀편은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플래시 본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팝업되는 상기 플래시 본체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를 상기 제 1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록킹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시 상기 록킹레버를 고정시키고, 상기 플래시 본체의 팝업시 상기 록킹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촬상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록킹레버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본체와 상기 록킹 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플래시 본체의 수납위치에 설치되는 팝업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팝업 프레임은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KR1020040016049A 2004-03-10 2004-03-10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KR20050090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49A KR20050090801A (ko) 2004-03-10 2004-03-10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US11/059,320 US20050200745A1 (en) 2004-03-10 2005-02-17 Pop-up flash for photographing apparatus
CNB2005100521419A CN100461830C (zh) 2004-03-10 2005-02-25 摄像装置用弹出式闪光器
EP05101752A EP1584976B1 (en) 2004-03-10 2005-03-07 Camera with pop-up flash unit
DE602005001014T DE602005001014T2 (de) 2004-03-10 2005-03-07 Kamera mit herausspringendem Blitzgerät
JP2005066161A JP2005258441A (ja) 2004-03-10 2005-03-09 撮像機器のフラッシュポップアッ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49A KR20050090801A (ko) 2004-03-10 2004-03-10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01A true KR20050090801A (ko) 2005-09-14

Family

ID=34910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49A KR20050090801A (ko) 2004-03-10 2004-03-10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00745A1 (ko)
EP (1) EP1584976B1 (ko)
JP (1) JP2005258441A (ko)
KR (1) KR20050090801A (ko)
CN (1) CN100461830C (ko)
DE (1) DE602005001014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7162B2 (en) 2007-08-02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101242623B1 (ko) * 2006-11-30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208B2 (ja) * 2003-03-28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324742A (zh) * 2007-06-13 2008-12-17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闪光灯弹出结构
JP5217941B2 (ja) * 2008-11-18 2013-06-19 ソニー株式会社 成形部品及び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2011013641A (ja) * 2009-07-06 2011-01-20 Sony Corp 移動体の移動機構及び撮像装置
KR20110093081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CN102608837B (zh) * 2011-01-20 2014-12-10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闪光灯模块及影像撷取装置
JP6272037B2 (ja) * 2014-01-1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17047116A1 (ja) * 2015-09-14 2017-03-23 ヤマハ株式会社 耳形状解析装置、情報処理装置、耳形状解析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379423B2 (en) * 2017-01-16 2019-08-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capt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9751C3 (de) * 1985-11-22 2000-06-29 Asahi Optical Co Ltd Einäugige Spiegelreflexkamera
JP3411729B2 (ja) * 1995-08-15 2003-06-0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内蔵カメラ装置
US6434333B2 (en) * 1997-05-01 2002-08-13 Minolta Co., Ltd. Driving mechanism using shape-memory alloy
US6351609B1 (en) * 1999-06-25 2002-02-2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uilt-in retractable flash of a camera
JP4054154B2 (ja) * 2000-01-05 2008-0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ム装置
JP2002148690A (ja) * 2000-11-08 2002-05-22 Canon Inc カメラ
JP2002250962A (ja) * 2001-02-26 2002-09-06 Sony Corp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
JP2003101834A (ja) * 2001-09-19 2003-04-04 Sony Corp カメラ装置
JP4506208B2 (ja) * 2003-03-28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6952527B2 (en) * 2004-01-06 2005-10-04 Mustek Systems Inc. Apparatus for releasing flash device automatically
US6920285B1 (en) * 2004-01-06 2005-07-19 Mustek Systems Inc. Flash device
KR20050091119A (ko) * 2004-03-10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TWI263108B (en) * 2004-10-01 2006-10-01 Asia Optical Co Inc Flash device having ejecting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23B1 (ko) * 2006-11-30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7747162B2 (en) 2007-08-02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101335628B1 (ko) * 2007-08-02 201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1830C (zh) 2009-02-11
EP1584976B1 (en) 2007-05-02
EP1584976A1 (en) 2005-10-12
DE602005001014D1 (de) 2007-06-14
US20050200745A1 (en) 2005-09-15
JP2005258441A (ja) 2005-09-22
CN1667487A (zh) 2005-09-14
DE602005001014T2 (de)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58441A (ja) 撮像機器のフラッシュポップアップ装置
KR101156680B1 (ko) 스트로보 팝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US8277133B2 (en) Focal plane shutter for cameras
US7747162B2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101188256B1 (ko)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JP6512780B2 (ja) 撮像装置
JP5207580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20100166418A1 (en) Camera accessory coupling apparatus
TWI443436B (zh) 閃光燈模組及影像擷取系統
JP2594824Y2 (ja) カメラの後蓋開閉装置
JP3571469B2 (ja) カメラ
JP4891757B2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3058350U (ja) 一眼レフカメラのサブミラーの上昇位置検出装置
JP2002023223A (ja) カメラ
JP4474032B2 (ja) 撮像装置
JP2005284091A (ja) 閃光装置設置機構及び撮像装置
JP2008139459A (ja) 撮影装置
JP4562886B2 (ja) カメラ
JP6494225B2 (ja) 撮像装置
KR200297206Y1 (ko) 카메라의백커버개폐장치
US6527461B2 (en) Lens cover assembly for a folding camera
JPH10322577A (ja) 電子カメラ
JP2006222902A (ja) 撮像装置
KR20060037046A (ko) 카메라 커버의 작동에 따라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072326A (ja) レンズバリア付き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