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951B1 - 통장인쇄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통장인쇄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951B1
KR100870951B1 KR1020070046412A KR20070046412A KR100870951B1 KR 100870951 B1 KR100870951 B1 KR 100870951B1 KR 1020070046412 A KR1020070046412 A KR 1020070046412A KR 20070046412 A KR20070046412 A KR 20070046412A KR 100870951 B1 KR100870951 B1 KR 10087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book
passbook
adapter
print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632A (ko
Inventor
미노루 오오츠카
히데카즈 타케네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통장에 고객이 희망하는 무늬 등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통장인쇄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쇄되어야 할 통장 P를 끼워 맞추는 오목부(12a)를 형성한 통장지지부(12)와, 상기 오목부(12a)에 돌설하여 통장 P의 철하는 부Pb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통장규제부(11a)와, 통장 P의 선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2 통장규제부(11b)를 설치한다.
통장, 통장인쇄용 어댑터, 통장규제부

Description

통장인쇄용 어댑터{ADAPTER FOR PRINTING BANKBOOK}
도 1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를 사용하는 통장인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사용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CC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사용 개념도(통장장착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통장을 편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를 사용한 통장인쇄 시스템의 동작 플로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b,1c,1d,1e,1f 통장인쇄용 어댑터(어댑터) 11 : 표면부
11a : 제1 통장규제부 11b : 제2 통장규제부
11c : 단테두리 12 : 통장지지부
12a : 오목부 13 : 다이 페이퍼
13a : 관통구멍 P : 통장
Pa : 인쇄 영역 Pb : 철하는 부
Pc : 통장 아래 페이지
본 발명은 금융기관에서 사용되는 통장의 표지에 고객이 희망하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통장인쇄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 널리 사용되는 자동거래 장치로, 고객에 대하여 통장을 발행할 수 있는 통장발행 기능을 갖추고, 고객이 지참한 사진이나 일러스트 등의 화상을 이미지 스캐너로 읽어내어, 통장의 표지에 컬러 인쇄하여 발행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또한 일반적인 민간용으로 PC가 보급되고, 또한 저렴한 칼라프린터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PC로 작성한 자료나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화상등을 콤팩 디스크 매체에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콤팩 디스크매체의 식별(관리)목적으로서, 상기 칼라프린터를 이용하여 표면에 정보인쇄한다. 그러나, 콤팩 디스크매체는 강체(비가요성)이기 때문에, 만곡 반송할 수 없어 전용의 콤팩 디스크트레이를 이용하여 인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참조).
콤팩 디스크(광디스크)로의 인쇄에 대해서는, 광디스크가 세트가능한 오목부를 설치한 반송용 트레이가 있다. 이 오목부는, 도넛 형상의 12cm 광디스크용과 8cm 광디스크용, 또한 장방 형상을 이루는 카드 사이즈 광디스크용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132730호(단락 0018, 0027)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112458호(단락 0022, 0023, 도 7)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9699호(단락0049)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자동거래 장치로 통장의 표지에 컬러 인쇄하기 위해, 장치내에 컬러 인쇄 기능을 보유시키게 된다. 그러나, 통장으로의 인자의 대부분은 「흑색문자」인쇄로 충분하며, 표지등에 컬러 인쇄한다고 해도 통장발행 빈도가 낮기 때문에 컬러 인쇄 기능을 부가시키지 않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또한 컬러 인쇄 기능을 부가시키면 장치의 대형화가 되어 채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강체(비가요성)인 콤팩 디스크매체(광디스크)로, 도넛 형상의 광디스크와 장방 형상을 이루는 카드 사이즈 광디스크로의 인쇄도 가능한 트레이가 있다. 특히, 도넛 형상의 광디스크는 중앙의 결합 구멍으로 트레이에 대한 삽입 위치는 결정되고, 장방 형상을 이루는 카드 사이즈 광디스크라도, 중앙의 결합 구멍으로 세트 위치가 결정된다. 그러나, 중앙에 결합 구멍을 가지지 않는 통장과 같은 책자형상을 가지는 매체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며, 저렴한 설비로 통장에 고객이 희망하는 무늬 등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통장인쇄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되어야 할 통장을 끼워 맞추는 오목부를 형성한 통장지지부와, 상기 오목부에 돌설하여, 상기 통장의 철하는 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통장규제부와, 상기 통장의 선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2 통장규제부를 설치한다.
이하, 도면을 따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사용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를 사용하는 통장인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통장인쇄용 어댑터(이후, 간단히 어댑터라고 칭한다)이며, 2는 금융기관이 관리하고 유지하는 퍼스널 컴퓨터(이후, PC라고 칭한다)이며, 처리해야 할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키보드부(21),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컬러 디스플레이(이후, 표시부라고 칭한다)(22) 및 제어부(23)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PC(2)에는 외부장치와의 접속구를 가지고, 예를 들면 이미지 스캐너(3)나 후술하는 프린터(4)가 접속되며, 또한 외부의 정보기록 매체(5)의 삽입을 받아, 그 정보기록 매체(5)안에 전자적으로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231)가 있으며, 화상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프로그램이나 정보기록 매체(5)로부터 읽어낸 정보나 이미지 스캐너(3)가 읽어낸 화상정보를 격납한다.
이미지 스캐너(3)는 사진(5a)에 대하여, 컬러 이미지 판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부호 4는 PC(2)와 회선접속된 전술의 프린터이며, 소정의 조작에 의해 문자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인쇄출력할 수 있다. 이 프린터(4)의 인쇄방식으로서는, 잉크젯 방식 또는 열전사 방식으로 하지만, 피인쇄 매체로서 광디스크로의 인쇄가 가능한 수평반송 방식으로 한다. 또한 이미지 스캐너(3)와 프린터(4)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 등은 프린터(4)안 및 PC(2)안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미지 스캐너 기능과 프린터 기능, 또한 정보기록 매체(5)로부터 직접적으로 정보를 받아 들일 수 있는 다기능 프린터라도 좋고, 또한, 널리 시판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은 어댑터의 일례에서, 도 1a는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AA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있어서의 BB단면도이다.
P는 인쇄되는 통장으로, 도 1a에서는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윗쪽에는 인쇄 영역Pa가 설정되며, 또 중앙부에는 철하는 부Pb가 있다. 또 통장 P의 네 귀퉁이는 R(아르)형상으로 되어 있다.
어댑터(1)는, 표면부(11), 통장지지부(12), 다이 페이퍼(13)의 3층을 각각 고정한 상태로 구성된다. 통장지지부(12)에는 통장 P의 양면 페이지 사이즈의 오목 부(12a)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이 페이퍼(13)와 표면부(11)로 둘러싸는 것으로, 통장 P를 편지꽂이 모양으로 유지한다. 11a는 통장 P의 좌우 양면 페이지 대략 하반부를 덮는 제1 통장규제부이며, 11b는 통장 P의 상단측의 2개의 각부를 덮는 제2 통장규제부이다. 제2 통장규제부(11b)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장 P의 상단의 모서리부를 덮도록 비스듬히 오목부(12a) 측에 돌설하고 있다. 이 표면부(11)측에 의해 통장 P를 어댑터(1)에 고정할 수 있다. 또 표면부(11)는 투광부재를 사용하여, 통장 P의 삽입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부호 14는 어댑터(1)의 프린터의 수납 방향을 목시 유도하기 위한 지시 마크이며, 화살표나 문자정보나 도시 정보로서 어댑터 표면에 표시되고 있다. 또한, 지시 마크(14)는 통장지지부(12)위에 인쇄해 두고, 투광부재인 표면부(11)를 투과하여 보이도록 해도 된다.
어댑터(1)의 기본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이며, 외형은 A4사이즈(가로 210mm, 세로 297mm), 두께 3mm정도이다. 또한, 사용하는 프린터에 따라 외형 사이즈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오목부(12a)는, 어댑터(1)의 표면에서 닫은 통장의 전체 두께의 대략 절반에 상당하는 깊이 H(예를 들면 1.5mm정도)를 가지고, 벌린 통장 사이즈(예를 들면 가로 폭 140mm, 세로폭 175mm)에 간극(예를 들면 0.5mm)을 추가한 크기이다. 또한 오목부(12a) 주위, 다시 말해, 통장 P가 끼워 맞추는 부위의 주위 전체면은 동일평면으로 하여, 프린터(4)에 의한 인쇄, 반송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하는 통장 P에 따라 오목부(12a)의 사이즈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사용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CC단면 화살표를 나타내고, 도 5는 통장인쇄용 어댑터에 통장을 장전할 때의 CC단면 화살표를 나타낸다.
통장 P를 중앙페이지에서 벌려, 인쇄 영역Pa면을 윗면측을 향해서, 무늬를 인쇄하지 않는 통장 아래 페이지Pc쪽, 다시 말해,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D의 방향에서, 어댑터(1)의 다이 페이퍼(13)와 통장지지부(12)와 제1 통장규제부(11a)에 의해 형성된 봉투모양의 오목부(12a)에, 통장 P를 꽂아 고정한다. 제1 통장규제부(11a)의 통장 P와의 단테두리(11c)는 곡선형이며, 통장 P의 철하는 부Pb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게함으로써, 통장 P를 봉투모양의 오목부(12a)로 밀어넣는 힘을 감소시킨다. 이 단테두리(11c)의 곡선의 중심은 통장 P의 삽입 방향측으로 함으로써, 통장 P의 양단으로부터 봉투모양의 오목부(12a)로 이끌리므로 장착이 쉬워진다.
부호 13a는 다이 페이퍼(13)에 구멍을 뚫은 관통구멍이며, 통장 P를 어댑터(1)에 장착할 때 및 분리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 본 도면에서는 양손의 집게 손가락이 각각 이면측으로부터 들어가는 크기로, 나란히 2개 설치하고 있다.
도 5는 통장을 어댑터에 장착할 때의 공정도이기도 하며 통장 P를 중앙 페이지에서 벌려, 도 5a의 화살표 D의 방향에서 통장 P를 어댑터(1)의 오목부(12a)에 끼워 삽입하고, 제1 통장규제부(11a)의 하측까지 밀어넣는다. 다음에 어댑터(1)의 관통구멍(13a)을 이용하여, 도 5b의 화살표 E방향에서 집게 손가락을 삽입하여 통장 P를 윗쪽으로 휘게 해서 그 상태를 유지하고, 계속해서 통장 P의 표면측에서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엄지 손가락으로 통장 상단의 모서리부를 제2 통장규제부(11b)의 하측에 삽입한다.
통장 P의 휨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다시 말해, 집게 손가락을 관통구멍(13a)에서 빼내면, 도 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통장규제부(11b)가 통장 P의 모서리부의 떠오르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통장 P를 어댑터(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도 5b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집게 손가락을 꽂아 넣어 통장 P를 윗쪽으로 휘게 하여, 제2 통장규제부(11b)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에 도 5a의 반화살표 D방향으로 통장 P를 어댑터(1)에서 뽑아 분리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통장 P의 양단의 모서리부를 소량 변형시키게 되지만 인쇄 영역Pa의 범위외이면 문제는 없다. 또한 성형에 있어서는 지시 마크(14)나 문자정보나 도시정보를 포함하여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통장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중앙부에 철하는 부Pb가 위치하고, 도시한 오른 쪽 절반 부분이 인쇄 영역Pa를 가지는 위쪽 페이지 측이며, 아래 페이지 측 Pc에는 후술하는 자기 스트라이프Ms가 설치된다. 오목부(12a)의 깊이 H와 끼워 맞추는 통장 P의 두께 t는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인쇄하는 데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장 P의 중앙 페이지를 벌린다고 해도, 통장 P를 구성하는 가운데 종이 매수에 의해 두께 t는 변화되므로, 인쇄하는 통장 P의 가운데 종 이 매수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리는 페이지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으로 대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통장인쇄용 어댑터를 사용한 통장인쇄의 동작을, 도 7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챠트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리무버블 매체로서 USB메모리, 광디스크 또는 디지털 카메라 그것으로부터의 화상판독도 가능하지만, 통장 P에 인쇄하는 화상정보로서 「칼라사진」이 반입되었을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S는 동작 스텝을 의미한다.
S1.금융기관의 창구에서 새통장의 발행 처리가 행해지면, 텔러가 통장 P를 손에 들고 고객을 호출한다. 또한 자동거래 장치(ATM)가 통장발행하는 경우에는, 통장표지에 사진 프린트하는 서비스 안내 표시를 행한다.
S2.통장 P를 손에 든 텔러는, 고객에 대하여 통장표지로의 화상인쇄를 희망하는 지 여부를 구두로 확인한다. 여기에서, 고객이 불필요하다는 선택했을 경우나, 사진이나 정보기록 매체를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나중에도 가능함을 알린 후, 최종 스텝으로 진행시킨다.
S3.고객이 사진(5a)을 제시하여 표지로의 인쇄를 희망하면, 텔러는 PC(2) 및 이미지 스캐너(3), 또한 프린터(4)를 기동시켜서, 우선, 이미지 스캐너(3)에 의해 사진(5a)의 이미지 데이터를 PC(2)에 입력하는 조작을 행한다. 또한, 이것들의 이미지 화상의 입력 조작은 PC(2)의 지시로 동작하지만, 이미지 스캐너(3)측에서 해도 된다.
S4.제어부(23)에 의해, 화상 입력이 종료하면 표시부(22)에 입력한 이미지 화상이 컬러 표시된다.
S5.표시된 이미지 화상에 대하여 편집 희망을 문진한다. 다시 말해, 고객에 대하여 화상의 확대나 부분 절단, 또한 배색(색상, 색채등)을 수정할지, 또는 초상화로 대체할 지를 묻는다. 또한, 화상수정할 필요가 없으면 스텝S7로 진행시킨다.
S6.텔러 조작에 의해 고객이 희망하는 화상이 되도록 이미지 화상에 수정을 가한다. 이들의 화상수정 기능은 범용 칼라프린터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세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S7.텔러는 어댑터(1)를 빼내어, 통장 P를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D방향에서 오목부(12a) 안으로 끼워 넣는다. 이 때, 제2 통장규제부(11b)의 하측에 통장좌우의 모서리부가 이끌리도록 한다.
S8.텔러는, 오목부(12a)에 통장 P가 끼워 넣어진 어댑터(1)를 프린터(4)에 장착하는 동시에, 프린터(4)에 정보(여기에서는 화상정보가 된다)의 인쇄 지시를 발신한다.
S9.프린터(4)는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인쇄 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 (41)에 격납함과 동시에 어댑터(1)의 흡입 반송을 개시한다. 이 흡입 반송 시에는 어댑터(1)의 선단을 도시하지 않은 광학적검지수단 등으로 검출하여, 반송 관리된다.
S10.프린터(4)는 인쇄 개시 위치까지 반송하면, 기억부(41)에 격납한 인쇄 정보의 출력을 개시한다. 프린터(4)는 소정의 컬러 레벨에 따라 인쇄 헤드(43)에 배치하고 있는 컬러 잉크의 노즐을 제어하여 컬러 인쇄한다.
S11.통장 P로의 인쇄가 종료하면, 프린터(4)는 PC(2)에 대하여 인쇄 종료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23)는 기억부(231)로부터 배출시간 정보를 판독하고, 이 시간이 경과하면 어댑터(1)의 배출 지시를 한다. 프린터(4)는 이 배출 지시를 받으면 어댑터(1)를 자동적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어댑터(1)의 배출시간은 통장표지의 재질과 잉크의 호환성에 의한 정착성이나 속건성에 의해 적절히 정하고 있다.
S12.배출된 어댑터(1)를 프린터(4)로부터 빼낸다. 계속해서, 통장 P를 반화살표 D방향으로 뽑아, 인쇄 양부(良否)를 목시 확인한다.
S13.인쇄 상황이 양호하면, 고객에게 통장 P를 반환한다. 이 때, 맡아둔 사진(5a)을 동시에 반환하는 것은 물론이다. 텔러가 키보드부(21)로부터 처리 종료를 의미하는 입력을 행하면, 제어부(23)는 인쇄 정보(화상)를 소거하고, PC(2)를 대기 상태로 한다.
다음에 어댑터의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8, 도 9는 통장인쇄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8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로부터 설명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어댑터와 다른 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호 15는 표시창이며, 통장 P를 고정하는 편지꽂이 형상의 오목부(12a)를 형성하는 제1 통장규제부(11a)에 삽입되는 통장 P의 자기 스트라이프Ms의 위치 및 형상과 대략 동일위치 및 형상을 표현한 것이다. 이 표시창(15)은 제1 통장규제부(11a)에 관통구멍으로서 설치해도 되고, 그 외 다른 착색띠로 해도 된다.
통장 P를 어댑터(1b)에 세트할 때, 반투명의 제1 통장규제부(11a)로부터 들 여다 볼 수 있는 통장 P의 자기 스트라이프Ms가, 어댑터(1b)의 제1 통장규제부(11a)의 표시창(15)과 겹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통장 P를 어댑터(1b)에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하는 경우가 없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호 13b는 장공이며,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2개의 관통구멍(13a)을 결합시켜서, 1개의 장공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텔러의 손가락의 길이에 자유도가 늘어나거나 통장 P의 대략 중앙부를 한 쪽의 손가락(예를 들면 가운데 손가락)로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통장 P의 장착이나 분리를 할 수 있다.
도 9a는,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특히 제1 통장규제부(11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장 P의 철하는 부Pb를 규제하는 부분만이 띠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통장 아래 페이지Pc측을 노출시키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통장 아래 페이지Pc측에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로 되어 있으므로, 사무용 클립 등이 움푹 들어가도 노출 구멍(15a)으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9b는,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이 페이퍼(13)측에 관통구멍(13c)을 설치한 것이며, 오목부(12a)로부터의 통장 삽입시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들어가도, 다이 페이퍼(13)의 뒷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도 10a는,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앞의 실시예에서는 통장 P의 모서리부 만을 제2 통장규제부(11b)로 규제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통장 P의 상단측의 전체 가로 폭영역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노출 구멍(15b)의 크기를 통장 아래 페이지Pc보다 작게 하고 있으므로, 통장 아래 페이지Pc측의 규제가 확실하게 된다. 또한 관통구멍(13b)은 앞의 실시예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제2 통장규제부(11e)가 통장 상단측을 덮으므로, 고객이 들고온 통장 P에 다소의 변형이 있어도 반송이나 인쇄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10b는,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이 페이퍼(13)에 탄성변형부(13c)를 설치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ㄷ자형으로 파인 홈을 설치함으로써, 다이 페이퍼(13)의 뒤쪽에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면 화살표 E방향으로 휘어, 통장 P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장에 직접적으로 손가락이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져, 거래 기록 직후라도 이 인쇄면을 손가락으로 더럽히는 경우는 없다. 또한 통장 P의 지지 면적이 증가하므로, 프린터(4)의 인쇄방식이 임펙트식이어도 인자음 등의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면부, 통장지지부, 다이 페이퍼의 3층(피스)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1피스 혹은 2피스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시 말해, 통장지지부와 다이 페이퍼를 일체 구성으로 하는 경우나 표면부를 그 일체구성한 기본재의 일부에 부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본재 자체를 플라스틱으로 한정하지 않고 탄성부재로 제작해도 되고, 종이로 제작해도 된다.
또한, 관통구멍(13a), 장공(13b), 탄성변형부(13c) 및 제1 통장규제부(11a, 11d) 및 제2 통장규제부(11b, 11e, 11f)의 어느 조합이어도 된다.
본원 발명은, 통장에 고객이 희망하는 무늬 등의 정보를 저렴한 설비로 인쇄 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인쇄되어야 할 통장을 끼워 맞추는 오목부를 형성한 통장지지부와, 상기 오목부에 돌설하여, 상기 통장의 철하는 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통장규제부와, 상기 통장의 선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2 통장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장규제부 및 제2 통장규제부는 통장인쇄용 어댑터의 표면부와 동일평면 모양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장규제부 및 제2 통장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춘 상기 통장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장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춘 상기 통장의 철하는 부에만 걸어 맞추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장규제부의 단테두리는 곡선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장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춘 상기 통장의 철하는 부를 포함한 절반 이상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장규제부의 표면에, 상기 통장에 설치된 자기 스트라이프의 위치를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장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의 일측면 중, 상기 통장의 모서리부에 걸어 맞추는 위치에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장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의 일측면 중, 상기 통장의 상단부에 걸어 맞추는 위치에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장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통장을 덮는 부분이 투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통장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장지지부에 형성한 상기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것에 의 해, 끼워 맞추고 있는 상기 통장을 장착 분리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밀어 올림은,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관설한 관통구멍으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밀어 올림은, 상기 오목부 저면의 일부를 탄성변형 시킴으로써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15. 통장을 지지하는 다이 페이퍼와,
    상기 통장이 펼쳐진 상태에서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통장지지부와,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통장이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통장규제부를 설치하고,
    상기 다이 페이퍼와 상기 통장지지부와 상기 통장규제부를 3층으로 포갠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인쇄용 어댑터.
KR1020070046412A 2006-05-29 2007-05-14 통장인쇄용 어댑터 KR100870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48632 2006-05-29
JP2006148632A JP4904926B2 (ja) 2006-05-29 2006-05-29 通帳印刷用アダプタ及び通帳印刷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632A KR20070114632A (ko) 2007-12-04
KR100870951B1 true KR100870951B1 (ko) 2008-12-01

Family

ID=3885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412A KR100870951B1 (ko) 2006-05-29 2007-05-14 통장인쇄용 어댑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04926B2 (ko)
KR (1) KR100870951B1 (ko)
TW (1) TWI3341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1175B2 (ja) * 2015-02-26 2019-10-16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カードプリンタ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のアタッチメントを用いた印字方法
JP6537367B2 (ja) * 2015-06-24 2019-07-03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カードプリンタ用アタッチメントを用いた印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82A (ja) * 1990-05-11 1992-01-22 Fujitsu Ltd 媒体印字装置における媒体吸入機構
JP2001067520A (ja) 1999-08-26 2001-03-16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契約システム
JP2001069339A (ja) 1999-08-30 2001-03-16 Toppan Printing Co Ltd オリジナル画像付き通帳の作成方法及びこの通帳
JP2003072179A (ja) 2001-09-07 2003-03-12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付き通帳作製システム及びこの通帳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674A (en) * 1980-02-20 1981-09-16 Nec Corp Pass book printing device
US5494544A (en) * 1993-02-19 1996-02-27 Dynetics Engineering Coporation Automatic verified embossed card package production methods
JPH0725095A (ja) * 1993-07-09 1995-01-27 Shinko Seisakusho Co Ltd プリンタ
JP2004009699A (ja) * 2002-06-11 2004-01-15 Seiko Epson Corp 記録媒体搬送用トレイ
JP2004042391A (ja) * 2002-07-10 2004-02-12 Canon Inc 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搭載手段
JP4826283B2 (ja) * 2006-02-24 2011-11-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帳印刷用アダプタ及びそれを使用する通帳印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82A (ja) * 1990-05-11 1992-01-22 Fujitsu Ltd 媒体印字装置における媒体吸入機構
JP2001067520A (ja) 1999-08-26 2001-03-16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契約システム
JP2001069339A (ja) 1999-08-30 2001-03-16 Toppan Printing Co Ltd オリジナル画像付き通帳の作成方法及びこの通帳
JP2003072179A (ja) 2001-09-07 2003-03-12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付き通帳作製システム及びこの通帳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34110B (en) 2010-12-01
TW200744022A (en) 2007-12-01
JP2007317115A (ja) 2007-12-06
JP4904926B2 (ja) 2012-03-28
KR20070114632A (ko)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4876B2 (en) Modular print engines and modular print engine components
US5949058A (en) Recording medium holder, recording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card-type recording medium feeding method
US7267498B2 (en) Six-sided printing method
KR100870951B1 (ko) 통장인쇄용 어댑터
JP2006321593A (ja) 画像形成装置
JP4826283B2 (ja) 通帳印刷用アダプタ及びそれを使用する通帳印刷システム
JP5974499B2 (ja) 記録装置、制御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KR101159084B1 (ko) 통장 인쇄용 어댑터 및 그것을 사용하는 통장 인쇄 시스템
JP5304687B2 (ja) 印刷装置、印刷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JP5377378B2 (ja) 帳票発行システム
KR20080032598A (ko) 통장 인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인쇄되는 통장
JP7351773B2 (ja) 電子機器
JP5481243B2 (ja) 帳票発行システム
JP2007094482A (ja) 無人取引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22080841A (ja) プリンタ
JP2008107384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83081A (ja) 通帳取扱装置
JP5748099B2 (ja) 電子機器
JP3579831B2 (ja) データ読み取り方法
JP2021138519A (ja) 印刷装置
JP2019199074A (ja) 銀行通帳
JP4072139B2 (ja) 磁気カードからのデータ読み取り方法および通帳プリンタ
JP2001026160A (ja) 通帳取扱装置
JPH04197658A (ja) 記録装置
JPH117566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