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598B1 - 전자 기기, 우선접속 장치, 우선접속 방법, 및 우선접속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우선접속 장치, 우선접속 방법, 및 우선접속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598B1
KR100870598B1 KR1020060008232A KR20060008232A KR100870598B1 KR 100870598 B1 KR100870598 B1 KR 100870598B1 KR 1020060008232 A KR1020060008232 A KR 1020060008232A KR 20060008232 A KR20060008232 A KR 20060008232A KR 100870598 B1 KR100870598 B1 KR 10087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priority
communication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207A (ko
Inventor
노리유끼 하라다
히로시 간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기간의 무선 접속에 관한 것으로, 접속처의 기기에 우선순위를 매겨 접속처를 선택하고, 각 기기가 갖는 기능의 이용성을 향상시킨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휴대 전화기(4))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기기(61∼6N))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근거리 무선 통신부(10))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데이터베이스(18))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프로세서(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Figure R1020060008232
블루투스, 우선도, 데이터베이스, GPS, 휴대전화기

Description

전자 기기, 우선접속 장치, 우선접속 방법, 및 우선접속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PRIORITY CONNECTION DEVICE, PRIORITY CONN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IORITY CONNECTION PROGRAM}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휴대 전화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데이터베이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기기수의 등록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데이터베이스의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데이터베이스의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 기기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제1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제2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2 기기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3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3 기기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제4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1 실시예인 기기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제2 실시예인 기기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제3 실시예인 기기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제4 실시예인 기기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제5 실시예인 기기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제6 실시예인 경유처 기기의 사전 등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기기간의 통신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우선 접속 장치)
4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61, 62, 63…6N : 기기
8 : 프로세서(제어부)
1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2 : 기기 등록 접수부
14 :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
16 : 접속 기기수 접수부
18 : 데이터베이스(등록부)
182 : 기기 등록부
184 :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
186 : 접속 기기수 등록부
612, 622, 632…6N2 : 근거리 무선 통신부
614, 624, 634…6N4 : 통지부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490호(단락 번호0008, 0018, 0024, 도 1 등)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48100호(단락 번호0025, 0038, 도 1, 도 2 등)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와의 기기간 접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나 그 기기를 휴대하는 유저의 이동 등을 나타내는 동적인 정보로서, 예를 들면, 접속 기기와의 거리나, 그 위치나, 시각이나, 또한, 접속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화 상태 등을 우선순위 정보에 이용하여, 접속 기기의 선택 및 접속에 이용되는 전자 기기의 동적 우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Bluetooth(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에 의해서 기기간을 접속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능에 의한 기기간의 무선 접속은, 휴대 전화기로부터 퍼스널 컴퓨터(PC)에의 데이터 전송 등의 정보의 활용이나, 휴대 전화기와 헤드셋 등과 같이 한쪽에 없는 기능을 다른 쪽에서 보완하는 등, 기기의 편리성의 향상 등에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가 유저의 주변에 다수 존재해도, 이들 기기간의 접속처의 선택에 대해서는 개별로 설정하는 것이 부득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에 관하여, Bluetooth 모듈을 탑재한 긴급 통보 장치와, 이 긴급 통보 장치와 Bluetooth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휴대 전화기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과 함께, 이 무선 네트워크에 가입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로부터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그 휴대 전화기에 통보를 시도하는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로부터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것을 상대방으로서 한정하고, 그 상대방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이 존재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 가입하고 있는 근방의 휴대 전화기와의 접속을 시도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미리 설정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상대방을 검색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어느 쪽의 것도 기기간의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에 관한 것으로, 기기의 이동이나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수신 신호 레벨이나 위치나 시각 등의 동적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복수의 기기로부터 접속처로 되는 기기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다종의 기기로부터 접속처를 선택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그것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서는, 유저가 그 휴대 전화기를 파지나 조작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화나 착신 확인 등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불합리하다.
또한, 휴대 전화기를 매개로 하여 긴급 통보가 가능한 것(특허 문헌 1)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순으로, 최초로 접속된 휴대 전화기로부터 접속을 시도하 는 구성에서는, 그 휴대 전화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낮거나, 또는 전지 잔량이 적거나, 또는 통신 중인 경우 등이 발생하면, 통보가 도중에서 끊기거나, 통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기간의 무선 접속에 관한 것으로, 접속처의 기기에 우선순위를 매겨 접속처를 선택하고, 각 기기가 갖는 기능의 이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기간의 무선 접속에 관한 것으로, 접속처의 기기의 선택 요소인 우선순위에, 기기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기기의 위치나, 시각이나, 또한, 접속처의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화 상태 등의 동적 정보를 선택 요소로서 참조함으로써, 기기의 이용성을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의 긴급 발신에 관한 것으로, 주위의 통신기기로부터 최적인 기기를 선택하고, 그 통신기능을 활용함으로써, 긴급 발신의 신뢰성의 향상에 공헌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위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측면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 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자 기기와 다른 1 또는 복수의 기기와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자 기기에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전자 기기에는, 접속처인 복수의 기기에 대하여, 우선도가 부여되고, 그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가 우선순위 리스트로서 등록부에 등록된다. 그래서, 이 등록부의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전자 기기는, 다른 기기를 통하여 정보의 수수나 조작 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일례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기기로부터,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예를 들면,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강도나 비트 에러 레이트의 낮음}에 의해 접속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일례로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접속하여 통신함으로써 얻어지는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화 상태에 의해, 접속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등에 의해 접속처의 기기가 선택되므로, 접속의 신뢰성이 높아져, 정보의 수수 등에 유익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에 의해 얻어지는 수신 신호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지 잔량에 따라서, 상기 휴대 전화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통화 상태에 따라서, 상기 휴대 전화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를 등록하고, 이 기기수에 따른 수의 기기와 동시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우선도에 의한 접속처가 단일 또는 복수로 되므로, 이용성이 높은 기기에 대한 접속성을 높일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상기 전자 기기의 이동처인 1 또는 복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각 위치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고, 이 우선순위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유저와 함께 이동하는 전자 기기와 접속처를 위치 정보에 의해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가장 이용성이 높은 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1 또는 복수의 시간 정보와 함께, 각 시간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고, 이 우선순위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자 기기와 접속처를 시간 정보에 의해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그 시간대에 있어서 가장 이용성이 높은 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기기는,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 기기,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가전 기기, 자동차 등의 이동 기기, 시계, 내비게이션 장치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이면 어느 쪽의 것이라도 되고, 가장 이용성이 높은 기기와 접속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 호에 의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1개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등록부와,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는, 휴대 전화기 등,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각종 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는, 전자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통신기기로서 등록부에 등록한다. 긴급 발신에 앞서서, 등록된 기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신 상태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을 감시하고, 긴급 발신시에는 상기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긴급 발신 및 그 통신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우선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전자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 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미 설명한 전자 기기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우선순위 리스트에 등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의 동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는 우선 접속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처리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부에 등록하는 처리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속 방법에 의해, 우선순위 리스트에 등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부에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속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의해, 우선순위 리스트에 등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의 접속이 컴퓨터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우선 접속 장치의 일례로서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2)이 구축되어 있다. 이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2)에서는,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4)가 설치되고, 이 휴대 전화기(4)와 마찬가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로서 예를 들면, 기기(61, 62, 63…6N)가 설치되어 있다. 즉, 휴대 전화기(4)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처는 복수의 기기(61, 62, 63…6N)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이다. 각 기기(61, 62, 63…6N)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기기,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가전 기기, 자동차 등의 이동 기기, 시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또는 GPS 탑재 기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기기이며, 이 경우, 휴대 전화기(4)와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 접속이 가능하면 어떠한 기기라도 된다. 또한, 기기(61, 62, 63…6N)는,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 전화기(4)에 대하여 접 속 가능한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4)의 접속처는, 기기(61, 62, 63…6N)로부터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 수신 신호의 레벨, 가정이나 직장 등의 체재 위치, 시각 등의 동적인 정보에 의해, 이들 기기(61, 62, 63…6N)로부터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로서, 특정한 기기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의미로부터 휴대 전화기(4)의 접속처는 동적이며, 고정적이지 않다.
휴대 전화기(4)에는, 프로세서(8), 근거리 무선 통신부(10), 기기 등록 접수부(12),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 접속 기기수 접수부(16), 데이터베이스(18), 시각 관리부(20), 위치 검출부(22), 전화 무선 통신부(24), 표시부(26), 음성 입력부(28), 음성 출력부(30) 등이 구비되어 있다.
프로세서(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0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된 제어부로서, 후술하는 동적 우선 접속 제어, 통화 제어, 표시 제어, 접속처 정보의 등록 처리나 검색 처리,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 측위(測位) 제어, 계시(計時) 제어, 각종 제어 정보 등의 표시 제어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는, 안테나(32)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로서 예를 들면, Bluetooth 통신 규격 등에 의한 전자파나, 그 밖의 통신 규격에 의한 전송 매체에 의해, 접속처인 기기(61, 62, 63…6N)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된다. 휴대 전화기(4)와 접속처의 기기(61, 62, 63…6N)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되고, 데이터 수수나 음성의 수수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로부터 소정 시간마다 무선 신호가 발생되고, 그 수신 신호에 의해 소정 시간마다 접속처의 기기와의 통신에 의한 검색이 행해지고, 그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프로세서(8)에 취입된다.
기기 등록 접수부(12)에는, 유저 인터페이스(UI)(34)로부터 부가되는 접속처 기기로서 예를 들면, 기기(61, 62, 63…6N)의 기기 어드레스 등의 등록 지시가 접수된다. UI(34)는, 키보드나 표시부(26)에 표시된 커서나 아이콘 등으로 구성된다.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는, 위치나 시간 등의 정보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나, 위치나 시간 등의 정보에 의존하지 않는 우선순위 리스트가 접수되고, 또한, 접속 기기수 접수부(16)에는, 접속 기기수가 접수된다. 또한, UI(34)로부터 프로세서(8)에 조작 정보 등이 입력된다.
데이터베이스(18)에는, 접속처 정보, 위치 정보로서 지명이나 지도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음과 함께, 기기 등록부(182),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 등이 설정되고, 대응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기기 등록부(182)에는 접속처의 기기(61, 62, 63…6N)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Bluetooth 규격을 기초로 한 기기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우선순위 리스트로서 우선도가 매겨진 기기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또한,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에는 동시에 접속되는 접속 기기수 N(=1 또는 n, 단, n=2, 3…)이 저장된다.
시각 관리부(20)에는 타이머 등이 설치되고, 접속처의 선택 정보로서의 시각이 관리된다. 이 시각 정보는, 유저의 행동 양식이나 이동 에리어의 시간적인 접속처의 접속 정보로서 이용된다.
위치 검출(부2)2에는, 전체 지구 측위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나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기(4)의 이동 위치로서 지명이나 지도 정보 등의 위치 정보가 검출된다. 이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8)에 취입되어,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된다.
전화 무선 통신부(24)는, 통상의 전화 회선과 접속되어, 전화국을 통하여 상대편 전화기와의 통화에 이용된다. 즉, 음성 입력부(28)에 가해진 음성이 프로세서(8)를 통하여 전화 무선 통신부(24)로부터 송신되고, 전화 무선 통신부(24)의 착신 음성이 음성 출력부(30)로부터 출력된다.
표시부(26)에는 접속처 정보나 착신 통지 등의 각종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이 표시부(26)에는 커서나 아이콘이 표시되고, UI(34)로부터 부가되는 조작 정보를 통하여 커서의 이동이나 아이콘에 의한 정보 선택이 행해진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61)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612) 및 통지부(614), 기기(62)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622) 및 통지부(624), 기기(63)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632) 및 통지부(634), …‥기기(6N)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6N2) 및 통지부(6N4)가 구비되어 있다. 통지부(614, 624, 634, …6N4)는, 표시부 및/또는 음성 통지부로 구성되고, 착신 통지나 상대편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기기(61)에는 송수화부(616)가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612)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4)와의 음성 통화 등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기기(6N)에도 송수화부(6N6)가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6N2)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4)와의 음성 통화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2)에 따르면, 기기 등록 접수부(12)의 지시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로부터 무선 신호를 기기(61∼6N)로 송신함으로써, 그 존재를 기기(61∼6N)로부터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응답 신호, 즉, 수신 신호에 의해 확인하고, 응답이 있던 기기(61∼6N)의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기기와의 통신의 동기를 취하는 것에 의해, 기기(61∼6N)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해 감시된다. 또한, 등록되는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휴대 전화기와의 통신의 동기를 취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화 상태를 전자 기기에 통지해 받음으로써, 등록된 휴대 전화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전지 잔량, 통화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의 지시에 기초하여, 우선순위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등록할 수 있다. 이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에 관하여,
a 임의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b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c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이 있고, 또한, 이 등록은 임의이다.
임의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a)은, 유저가 희망하는 원하는 기기(61∼6N)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대하여, 접속 순위를 등록하는 것이다. 유 저나 휴대 전화기(4)의 근방에 존재하여, 이용성이 높은 기기의 등록에 대하여 순위매김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b)은, 유저나 휴대 전화기(4)의 이동처에 대응하고, 위치 정보를 파라미터 정보에 이용함으로써, 기기(61∼6N)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대하여, 접속 순위를 등록하는 것이다. 유저나 휴대 전화기(4)의 이동 위치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이용성이 높은 기기의 등록에 대하여 순위매김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c)은, 유저나 휴대 전화기(4)의 시간마다 대응하여, 시간 정보를 파라미터 정보에 이용함으로써, 기기(61∼6N)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대하여, 접속 순위를 등록하는 것이다. 유저나 휴대 전화기(4)의 행동 형태 등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이용성이 높은 기기의 등록에 대하여 순위매김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외에, 접속 기기수 접수부(16)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기(61∼6N)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대하여, 동시에 접속해야 할 기기수의 등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순위매김을 행하면, 선택되는 기기를 단일로 하는 일 없이, 복수의 기기를 동시에 접속시킴으로써, 인식성이나 편리성이 향상한다.
우선순위 리스트에 등록된 기기(61∼6N)로부터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하는 일례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 신호 레벨의 감시에 의해, 가장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기기와의 접속도 가능하다. 또한, 일례로서, 등록된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그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화 상태를 통지해 받음으로써, 전지 잔량이 있고, 통화 상태가 아닌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여, 그 중에서도 가장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휴대 전화기와의 접속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속 형태에 의해, 접속의 신뢰성의 향상이나, 통화의 양해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화나 메일의 통신에 관하여, 휴대 전화기(4)로부터 기기(61∼6N)의 통지부(614, 624…6N4)에의 착신 통지, 메일 표시뿐만 아니라, 송수화부(616, 6N6)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매개로 한 송수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4)와 우선 접속되는 기기(61∼6N)로부터의 통신이나 제어에 관하여, 기기(61∼6N)로부터 정형문의 메일 송신, 휴대 전화기(4)의 매너 모드 등의 각종 모드 설정이나 그 해제 등의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미 설명한 휴대 전화기(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4)와 동일 부분 또는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휴대 전화기(4)는, 제1 및 제2 케이스부(36, 38)를 구비하고, 힌지부(40)에서 이들 케이스부(36, 38)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케이스부(36)에는 이미 설명한 프로세서(8), 근거리 무선 통신부(10), 기기 등록 접수부(12),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 접속 기기수 접수부(16), 데이터베이스(18) 등이 탑재되고, 케이스부(38)에는 표시부(26), 안테나(32, 42) 등이 탑재되어 있다. 안테나(42)는 전화 무선 통신부(24)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에 이용된다. 이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4)에서는, 이미 설명한 UI(34)가 복수의 키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키에는 예를 들면, 커서 키(44)나 문자 키(46)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18)의 저장 정보에 대하여,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등록된 우선순위 리스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에 등록된 접속 기기수의 등록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위치 정보를 파라미터로 한 우선순위 리스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시간 정보를 파라미터로 한 우선순위 리스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예에 대하여, 도 3의 (a)에 도시하는 등록예에서는, 접속처의 제1∼제3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 「3」이 설정되고, 제1 우선도「1」에는 예를 들면, 기기(61)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제2 우선도「2」에는 예를 들면, 기기(62)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제3 우선도「3」에는 예를 들면, 기기(6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우선순위 리스트의 다른 등록예에 대하여, 도 3의 (b)에 도시하는 등록예에서는, 제1 및 제2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가 설정되고, 제1 우선도「1」에는 예를 들면, 기기(61)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제2 우선도「2」에는 2개의 기기로서 예를 들면, 기기(62, 6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가 동일 우선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속 기기수의 등록예에 대하여, 도 4의 (a)에 도시하는 등록예에서 는, 접속수로서 「1」이 등록되고, 이 접속수 「1」은, 접속처의 기기수가 1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하는 등록예에서는, 접속수로서 「2」가 등록되고, 이 접속수 「2」는, 접속처의 기기수가 2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위치 정보를 파라미터로 한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예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등록예에서는, 접속처의 제1 및 제2 상위 우선도 I, II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가 등록되고, 상위 우선도 I에는 자택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반경 10〔m〕의 범위가 설정되고, 상위 우선도 II에는 다른 위치로서 예를 들면, 자택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반경 10〔m〕 이외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상위 우선도 I에는 하위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 「3」이 등록되고, 그 상위 우선도 II에는 하위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가 등록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의 「1」에는 예를 들면, 기기(61)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I의 「2」에는 예를 들면, 기기(62)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I의 「3」에는 예를 들면, 기기(6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II의 「1」에는 예를 들면, 기기(62)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II의 「2」에는 예를 들면, 기기(61, 6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가 동일 우선순위로 등록되어 있다.
또한, 시간 정보를 파라미터로 한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예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등록예에서는, 접속처의 제1 및 제2 상위 우선도 I, II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가 등록되고, 상위 우선도 I에는 예를 들면, 7:00∼23:00의 시간대가 등록되고, 상위 우선도 II에는 그 이외의 시간 폭이 등록되어 있다. 상위 우선도 I에는 하위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 「3」이 등록되고, 그 상위 우선도 II에는 하위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정보 「1」, 「2」가 등록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의 「1」에는 예를 들면, 기기(61)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I의 「2」에는 예를 들면, 기기(62)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I의 「3」에는 예를 들면, 기기(6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II의 「1」에는 예를 들면, 기기(62)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 II의 「2」에는 예를 들면, 기기(61)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기기와의 제1 등록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기기의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등록 처리에서는, 사전에 접속처의 기기(61, 62…6N)의 검색이 행해지고(스텝 S11), 그 검색의 결과, 등록의 대상인 기기가 존재하면, 그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어드레스의 등록이 행해진다(스텝 S12). 이 기기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의 기기 어드레스로서,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된다.
이 기기 등록 후, 위치에도 시간에도 의존하지 않는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할지의 여부의 문의가 발행되고(스텝 S13), 그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처리가 실행되고(스텝 S14),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 N의 등록에 대하여 문의를 행한다(스텝 S15).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텝 S15로 이행한다. 그리고, 기기수 N의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N=1이 등록되고(스텝 S16), 기기수 N의 등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기기수 N(=n)를 등록한다(스텝 S17).
이 등록 처리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4)에 예를 들면, 기기(61, 62, 63)(도 1)의 등록을 행하는 경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 전화기(4)의 기기 등록 접수부(12)에서는 기기 등록의 지시를 접수하고, 그 지시는 기기 등록 접수부(12)로부터 프로세서(8)에 가해져서, 프로세서(8)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로 전달된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해 무선 신호가 발생되어,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61, 62, 63…6N)의 검색이 행해진다. 이 검색은, 기기(61∼6N)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의해 존재가 확인된다. 이 결과, 접속처인 기기로서 예를 들면, 기기(61, 62, 63)가 검색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로부터 프로세서(8)에 각 기기(61, 62, 6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기기 어드레스가 통지된다. 통지를 접수한 프로세서(8)에 의해, 각 기기(61, 62, 63)를 나타내는 기기 어드레스가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된다.
임의 등록(스텝 S14)에서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 위치나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이 요구되고,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는 그것을 프로세서(8)에 통지하고, 프로세서(8)는,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로부터 기기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그 기기 어드레스를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 통지한다. 이 경우, 표시부(26)에 그것을 표시한다. UI(34)로부터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를 통하여 기기 어드레스에 우선순위를 매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순위를 매긴다.
임의의 우선순위 리스트
우선순위 등록기기
제1 우선 기기(61)의 기기 어드레스
제2 우선 기기(62)의 기기 어드레스
제3 우선 기기(63)의 기기 어드레스
또한, 예를 들면,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순위를 매겨도 된다.
임의의 우선순위 리스트
우선순위 등록기기
제1 우선 기기(61)의 기기 어드레스
제2 우선 기기(62)의 기기 어드레스 기기(63)의 기기 어드레스
이러한 우선순위 리스트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를 거쳐 프로세서(8)에 통지되고, 프로세서(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저장된다.
그리고, 기기수 N의 등록 처리(스텝 S15, S17)에서는, 접속처의 기기수 N=n의 등록을 행한다. 이 등록은, 접속 기기수 접수부(16)에 통지된다. 접속 기기수로서 예를 들면, N=2로 등록된다. 이 N=2는, 접속 기기수 접수부(16)를 통하여 프로세서(8)에 통지되고, 데이터베이스(18)의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에 등록된다. 접속처의 기기수 N을 등록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5, S16), 강제적으로 디폴트값으로서 N=1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기기와의 제1 접속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기의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접속 처리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를 판독하고(스텝 S2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를 동작시켜,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61∼6N)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접속된다(스텝 S22). 이 접속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계측되고(스텝 S23),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61∼6N)의 수신 신호 레벨이 프로세서(8)에 취입된다. 접속 중인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 중인 수신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 결과를 프로세서(8)에 통지하고, 또한, 접속할 수 없는 기기는 무시한다.
접속처를 선택하기 위해, 프로세서(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가 검색되고,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24).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25),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 중에서 우선도가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61∼6N)가 선택되고, 만일 동일한 우선도에 복수의 기기 어드레스가 존재하여, 그 중에서 몇 개인가의 기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가 선택되고, 그 기기를 접속하는 것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접속처로서,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61∼6N)에 접속된다(스텝 S26).
또한,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27),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가 선택되고, 그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다(스텝 S28).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는, 미접속 상태에 있는 기기를 자동 접속하는 것으로, 접속하려고 하는 기기 어드레스와는 다른 기기와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접속을 해제한 후,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기기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휴대 전화기와의 제2 접속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기기의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경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기(61∼6N)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61∼6N)로서 설명한다. 이 접속 처리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를 판독하고(스텝 S20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를 동작시켜,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61∼6N)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접속된다(스텝 S202). 이 접속에 의해, 통신을 행함으로써,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61∼6N)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그 휴대 전화기(61∼6N)의 전지 잔량, 통화 상태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서 수신되어, 프로세서(8)에 취입된다(스텝 S203). 접속 중인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 중인 통신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 통화 상태가, 그 접속시, 또는 이들의 상태가 변할 때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어, 프로세서(8)에 취입된다. 또한, 접속할 수 없는 휴대 전화기는 무시한다.
접속처를 선택하기 위해, 프로세서(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가 검색되고,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204).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205),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 중에서 우선도가 높은 N=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61∼6N)가 선택되고, 만일 동일한 우선도에 복수의 기기 어드레스가 존재하여, 그 중에서 몇 개인가의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통화 상태가 아니고, 전지 잔량이 충전을 재촉하는 레벨이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61∼6N)가 선택되고, 그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것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접속처로서, 그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61∼6N)에 접속된다(스텝 S206).
또한,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207), 통화 상태가 아니고, 전지 잔량이 충전을 재촉하는 레벨이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61∼6N)가 선택되고, 그 휴대 전화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접속처로서, 그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61∼6N)에 접속된다(스텝 S208).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는, 미접속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기를 자동 접속하는 것으로, 접속하려고 하는 기기 어드레스와는 다른 휴대 전화기와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접속을 해제한 후, 통화 상태가 아니고, 전지 잔량이 충전을 재촉하는 레벨이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휴대 전화기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기기와의 제2 등록 방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포함하는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미 설명한 등록 처리(도 7)에서는, 기기 어드레스의 등록 후, 임의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고 있지만, 이 등록 처리(도 10)는, 기기 등록(스텝 S11, S12:도 7) 후, 또는,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스텝 S14:도 7) 후,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경우이다.
그래서, 이 등록 처리에서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는,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할지의 여부가 접수된다(스텝 S31). 이러한 등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로부터 그 등록 요구가 프로세서(8)에 통지되고,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이 행해진다(스텝 S32). 이 경우, UI(34)로부터 지명 등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면, 이 지명이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 통지됨과 함께, 표시부(26)에 표시되고, 그것을 유저가 확인한다. 이 지명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8)에 통지되고, 프로세서(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8)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가 판독되거나, 전화 무선 통신부(24)와 접속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가 판독되어,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통지된다. 이 지도 정보는 표시부(26)에 표시되고, 유저는, 지도 상에 우선순위 리스트에 등록하고 싶은 에리어를 커서 지시 등에 의해 선택한다. 그 에리어의 등록에는 예를 들면,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 r의 거리 범위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자택을 중심으로, 반경 r=10〔m〕 내의 경우에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순위를 설정하면 된다.
자택으로부터 반경 r=1O〔m〕내
우선순위 등록기기
제1 우선 기기(61)의 기기 어드레스
제2 우선 기기(62)의 기기 어드레스
제3 우선 기기(63)의 기기 어드레스
또한, 자택을 중심으로, 반경 r=반경10〔m〕 이외의 경우에는,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순위를 설정하면 된다.
자택으로부터 반경 r=1O〔m〕이외
우선순위 등록기기
제1 우선 기기(62)의 기기 어드레스
제2 우선 기기(61)의 기기 어드레스
제3 우선 기기(63)의 기기 어드레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로부터 프로세서(8)에 통지됨과 함께, 프로세서(8)에 등록 지시가 발행되고,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저장된다(스텝 S32).
이 위치마다의 우선 순위를 매긴 기기 등록 후,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 N의 등록에 대하여 문의가 행해지고(스텝 S33),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텝 S3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기기수 N의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N=1이 등록되고(스텝 S34), 기기수 N= n의 등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기기수 N=n을 등록한다(스텝 S35). 이 경우, 우선도마다 접속 기기수 N이 등록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기기와의 제3 접속 방법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를 구비한 경우의 기기의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접속 처리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를 판독하고(스텝 S4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를 동작시켜,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61∼6N)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접속된다(스텝 S42). 이 접속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계측되고(스텝 S43),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61∼6N)의 수신 신호 레벨이 프로세서(8)에 취입된다. 접속 중인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 중인 수신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 결과를 프로세서(8)에 통지하고, 또한, 접속할 수 없는 기기는 무시한다.
접속처를 선택하기 위해, 프로세서(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가 검색되고,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44).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45),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 중에서 우선도가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61∼6N)가 선택되고, 만일 동일한 우선도에 복수의 기기 어드레스가 존재하여, 이들 중에서 몇 개인가의 기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61∼6N)가 선택되고, 그 기기를 접속하는 것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접속처로서,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61∼6N)에 접속된다(스텝 S46).
또한,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47),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가 선택되고, 그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다(스텝 S48).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는, 미접속 상태에 있는 기기를 자동 접속하는 것으로, 접속하려고 하는 기기 어드레스와는 다른 기기와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접속을 해제한 후,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기기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기기와의 제3 등록 방법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포함하는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미 설명한 등록 처리(도 7)에서는, 기기 어드레스의 등록 후, 임의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고 있지만, 이 등록 처리(도 12)는, 기기 등록(스텝 S11, S12:도 7),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스텝 S14:도 7), 또는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스텝 S32:도 10) 후,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등록 처리에서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는,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할지의 여부가 접수된다(스텝 S51). 이러한 등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로부터 그 등록 요구가 프로세서(8)에 통지되고,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이 행해진다(스텝 S52). 이 경우, UI(34)로부터 시간 정보가 입력되면, 이 시간이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에 통지됨과 함께, 표시부(26)에 표시되고, 그것을 유저가 확인한다. 이 시간 정보는 프로세서(8)에 통지되고,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그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된다(스텝 S52). 예를 들면, 시간대 7:00∼23:00인 경우에는,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순위를 설정하면 된다.
시간대: 7:00∼23:00
우선순위 등록기기
제1 우선 기기(61)의 기기 어드레스
제2 우선 기기(62)의 기기 어드레스
제3 우선 기기(63)의 기기 어드레스
또한, 시간대 7:00∼23:00 이외의 경우에는,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순위를 설정하면 된다.
시간대: 7:00∼23:00 이외
우선순위 등록기기
제1 우선 기기(62)의 기기 어드레스
제2 우선 기기(61)의 기기 어드레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는 우선순위 리스트 접수부(14)로부터 프로세서(8)에 통지됨과 함께, 프로세서(8)에 등록 지시가 발행되고,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저장된다(스텝 S52).
이 시간마다의 우선 순위를 매긴 기기 등록 후,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 N의 등록에 대하여 문의가 행해지고(스텝 S53),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텝 S5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기기수 N의 등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N=1이 등록되고(스텝 S54), 기기수 N=n의 등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기기수 N=n을 등록한다(스텝 S55). 이 경우, 우선도마다 접속 기기수 N이 등록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4)(도 1)와 기기와의 제4 접속 방법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를 구비한 경우의 기기의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접속 처리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를 판독하고(스텝 S6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를 동작시켜,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61∼6N)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접속된다(스텝 S62). 이 접속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계측되고(스텝 S63),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61∼6N)의 수신 신호 레벨이 프로세서(8)에 취입된다. 접속 중인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 중인 수신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 결과를 프로세서(8)에 통지하고, 또한, 접속할 수 없는 기기는 무시한다.
접속처를 선택하기 위해, 프로세서(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가 검색되고,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64).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65),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 중에서 우선도가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61∼6N)가 선택되고, 만일 동일한 우선도에 복수의 기기 어드레스가 존재하여, 이들 중에서 몇 개인가의 기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61∼6N)가 선택되고, 그 기기를 접속하는 것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접속처로서,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61∼6N)에 접속된다(스텝 S66).
또한, 시간대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로부터 접속 기기수 N이 판독되고(스텝 S67),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N=1 또는 복수의 기기가 선택되고, 그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통지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0)가,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다(스텝 S68).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는, 미접속 상태에 있는 기기를 자동 접속하는 것으로, 접속하려고 하는 기기 어드레스와는 다른 기기와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접속을 해제한 후,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기기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다음으로, 접속 이벤트의 생기에 의한 접속 처리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접속 이벤트의 생기에 의한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휴대 전화기(4)에서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 전화 착신이나 메일 착신 등의 접속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스텝 S71). 접속 이벤트가 생기하면, 전화 무선 통신부(24)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프로세서(8)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가 검색되고, 우선순위 리스트의 존재를 확인한다(스텝 S72).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이 없으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의 접속 기기수 N에 따른 수의 기기에 접속한다(스텝 S73). 이 처리는,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기 어드레스의 판독(스텝 S2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한 접속(스텝 S22), 수신 신호 레벨의 계측(스텝 S23),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27),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28)의 처리이다.
또한, 우선순위 리스트가 있으면, 그 우선순위 리스트를 검색하고, 그 우선순위 리스트가,
a 임의 등록의 우선순위 리스트
b 위치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
c 시간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그 우선순위 리스트에 따른 접속이 행해진다(스텝 S74).
이 우선순위 리스트에 따른 접속(스텝 S74)에 대하여, 임의 등록의 우선순위 리스트인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플로우차트(도 8)의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25), 우선도가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26)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위치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인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플로우차트(도 11)의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45), 위치마다 우선도가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46)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시간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인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플로우차트(도 13)의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65), 시간마다 우선도가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66)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들의 휴대 전화기(4)와 접속된 기기(61) 등에 착신 통지가 통지부(614) 등에 표시되어 통지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기기(6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재하여 송수화부(616)를 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1의 우선 접속 장치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한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4)를 예시했지만, 휴대 전화기 이외의 전자 기기(60)로서 구성하고, 다른 기기(61∼6N)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우선 접속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자 기기(60)로서는, 다른 기기(61∼6N)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기, 가전 기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우선순위 리스트, 수신 신호 레벨에서의 우선성 등의 등록 및 접속을 행할 수 있어, 정보의 수수나 이벤트의 통지 등의 처리에 활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도 1의 우선 접속 장치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4)에는, 스케줄 관리부(48)가 구비되고, 역일(曆日) 정보와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UI(34)로부터 등록된 스케줄 표시나 예고 알람의 통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 통지 정보는, 표시부(26)에 표시됨과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부(10)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기기(61∼6N)로부터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의 접속에 의해 통지된다.
다음으로, 접속 이벤트의 생기로서 예를 들면, 스케줄 예고의 생기에 의한 접속 처리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스케줄 예고의 생기에 의한 접속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휴대 전화기(4)에서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 스케줄 표시나 예정 통지가 생기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스텝 S81). 스케줄 표시나 예정 통지의 경우에는, 스케줄 관리부(48)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프로세서(8)에서는, 데이터베이스(18)의 검색에 의해, 우선순위 리스트의 존재를 확인한다(스텝 S82).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이 없으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접속 기기수 등록부(186)의 접속 기기수 N에 따른 수의 기기에 접속한다(스텝 S83). 이 처리는,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기 어드레스의 판독(스텝 S2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에 의한 접속(스텝 S22), 수신 신호 레벨의 계측(스텝 S23),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27),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28)의 처리이다.
또한, 우선순위 리스트가 있으면, 그 우선순위 리스트를 검색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우선순위 리스트가, 임의 등록의 우선순위 리스트인지, 위치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인지, 시간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인지의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그 우선순위 리스트에 따른 접속이 행해진다(스텝 S84).
이 우선순위 리스트에 따른 접속(스텝 S84)에 대하여, 임의 등록의 우선순위 리스트인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플로우차트(도 8)의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25), 우선도가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26)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위치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인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플로우차트(도 11)의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45), 위치마다, 우선도가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46)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시간에 의존하는 우선순위 리스트인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플로우차트(도 13)의 접속 기기수 N의 판독(스텝 S65), 시간대마다, 우선도가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접속(스텝 S66)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 접속에 의해, 접속된 기기에는, 스케줄 표시나 예정 통지가 행해지고, 유저는 신변에 있는 기기로부터 그 내용을 알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도 20은,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8은, 이동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고정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이동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와 고정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쌍방을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도 20에 있어서, 도 1의 우선 접속 장치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Bluetooth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부터 Bluetooth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통보하는 구성이다. 그 긴급 통보를 경유시키는 통신기기의 전지 잔량, 수신 신호 레벨, 공중 회선망과의 제휴 등, 통보를 경유시키는 기기로서 적정한가의 여부를 선택 요소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기, 차량 탑재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기기, 텔레비전 수상기, 손목 시계, 냉장고 등의 가전 기기라도 된다. 또한, 통신기기는 휴대 전화기, 고정 전화기 등,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2)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luetooth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이미 설명한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402)와, 이 휴대 전화기(402)로부터 발행되는 긴급 통보를 경유시키는 복수의 통신기기(711, 712…71N)를 구비하고, 각 통신기기(711∼71N)에 이동 통신부(702)를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통신기기(721, 722…72N)에 고정 통신부(704)를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부(702)를 구비하는 각 통신기기(711∼71N), 고정 통신부(704)를 구비하는 통신기기(721∼72N)의 쌍방을 이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환언하면, 도 18에 도시하는 시스템은 휴대 전화기 등의 통신기기군으로부터 긴급 발신의 경유기로서 최적인 통신기기를 선택하는 예이고, 도 19에 도시하는 시스템은 고정 전화기 등의 통신기기군으로부터 긴급 발신의 경유기로서 최적인 통신기기를 선택하는 예이며,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시스템은 이동 전화기 및 고정 전화기를 포함하는 통신기기군으로부터 긴급 발신의 경유기로서 최적인 통신기기를 선택하는 예이다. 여기서, 고정 통신부(704)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에 의한 통신기능부이다. 그리고, 이들 통신기기(711∼71N) 또는 통신기기(721∼72N)로부터 통신처가 선택되고, 그 통신처와의 긴급 발신이 행해지는 구성이다.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2)에 있어서, 통신기기(711∼71N)는, 휴대 전화기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 통신기능을 구비한 기기이고, 통신기기(721∼72N)는 고정 전화기나 공중 전화기 등의 거치형의 전화기이며, Bluetooth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 발신이 가능한 기기이면 된다.
동적 우선 접속 시스템(2)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402)에는, 프로세서(404), 이동 통신부(406), Bluetooth(BT) 통신부(408), 유저 인터페이스(UI)부(410), 데이터베이스(412), 전원 관리부(414), 안테나(416, 4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휴대 전화기(402)에 있어서, 프로세서(40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긴급 통보에 최적인 기기로부터의 발신을 실현하기 위한 최적인 기기의 검출이나 발신을 제어한다.
이동 통신부(406)는, 이동 통신망의 검색이나, 접속이나 절단 등의 통신 제어나 통신을 행한다. BT 통신부(408)는, 통신기기(711∼71N)나, 통신기기(721∼72N)의 검색이나, 접속이나 절단 등의 통신 제어나 통신을 행한다.
또한, UI부(410)는, 유저로부터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의 등록을 접수하는 기기 등록부(420)나, 유저로부터의 긴급 발신을 접수하는 긴급 발신 접수부(4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기기 등록부(420)에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등록함과 함께, 등록된 통신기기(711∼71N), 또는 통신기기(721∼72N)마다 수신한 전지 잔량(고정 전화기인 경우, 전원공급이 없고, 전지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지 잔량, 전원공급이 있으면, 전지 잔량은 충분한 상태로 하여 수신된다)이나 수신 신호 레벨(고정 전화기인 경우로, 무선 통신으로 공중망과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수신 신호 레벨, 유선 통신으로 공중망과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공중망과 접속할 수 있는지를 감시하거나 하여, 접속할 수 있는 경우, 수신 신호 레벨을 양호로 하여 수신된다)을 등록한다.
데이터베이스(412)는,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통신기기의 어드레스나, Bluetooth 통신에 의해, 통신기기(711∼71N), 또는 통신기기(721∼72N)와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각 통신기기(711∼71N), 또는 통신기기(721∼72N)의 전지 잔량이나 수신 신호 레벨 등을 등록한다.
전원 관리부(414)는, 휴대 전화기(402)에 탑재되어 있는 전지에 대하여, 전지 잔량을 관리함과 함께, 그 상태를 프로세서(404)에 통지한다.
도 18 및 도 20에 있어서, 통신기기(711∼71N)에는, 프로세서(705), BT 통신부(706), 이동 통신부(702), 전원 관리부(708), 안테나(730, 732)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로서의 프로세서(705)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BT 통신부(706), 이동 통신부(702) 등의 제어를 행한다. 휴대 전화기(402)의 프로세서(404)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711∼71N)에 정기적으로 통신을 확립시켜 일시적으로 자동 접속하거나, 접속 대기 상태로부터 자동 접속함으로써, 또는 접속 중이면, 그 접속에 의해, 이들의 통신기기에 전지 잔량과 수신 신호 레벨을 타진하여 그 결과를 수신하고, 또한, 긴급 발신시에는, 휴대 전화기(402)의 전지 잔량이 적은 경우나 수신 신호 레벨이 낮은 경우, 그 정보로부터, 전지 잔량이 많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711∼71N)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그 통신기기를 경유처로 이용하여 긴급 발신한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 통신기기(721∼72N)에는, 프로세서(705), BT 통신부(706), 고정 통신부(704), 전원 관리부(708), 안테나(730, 732)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로서의 프로세서(705)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BT 통신부(706), 고정 통신부(704) 등의 제어를 행한다. 휴대 전화기(402)의 프로세서(404)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721∼72N)에 정기적으로 통신을 확립시켜 일시적으로 자동 접속하거나, 접속 대기 상태로부터 자동 접속함으로써, 또는 접속 중이면, 그 접속에 의해, 이들의 통신기기에, 전지 잔량이나 수신 신호 레벨을 타진하여, 그 결과를 수신하고, 긴급 발신시에는, 휴대 전화기(402)의 전지 잔량이 적은 경우나 수신 신호 레벨이 낮은 경우, 그 결과로부터, 전지 잔량이 많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721∼72N)에 자동 접속하여, 그 통신기기를 경유처로 이용하여 긴급 발신한다.
휴대 전화기(402)와 각 통신기기(711∼71N, 721∼72N)와의 통신을 정기적으로 행하여, 일시적인 접속을 함으로써, 예를 들면, 핸즈프리 프로파일로 접속함으로써, 각 통신기기(711∼71N, 721∼72N)의 전지 잔량 레벨이나 수신 신호 레벨을 타진하여, 그 검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404) 경유로 데이터 베이스(412)에 통신기기(711∼71N, 721∼72N)마다의 전지 잔량 레벨이나 수신 신호 레벨을 정기적으로 보존한다. 이러한 정기적인 통신에 있어서, 통신할 수 없는 통신기기는 무시한다.
유저가 긴급 호출을 발신하면, UI부(410)의 긴급 발신 접수부(422)로부터 프로세서(404)에 그 발신이 통지된다. 프로세서(404)는, 자기(自機)인 휴대 전화기(402)의 전지 잔량 레벨이나 수신 신호 레벨을 전원 관리부(414)나 이동 통신부(406)에 타진하여, 각각 양호한 상태이면, 휴대 전화기(402)로부터 긴급 통보의 발신을 행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402)의 전지 잔량 레벨이나 수신 신호 레벨이 낮은 상태이면, 데이터베이스(412)에 주위의 통신기기(711∼71N, 721∼72N)의 전지 잔량 레벨이나 수신 신호 레벨을 조회하고, 전지 잔량 레벨이 부족하지 않은 통신기기 중에서, 수신 신호 레벨이 가장 양호한 통신기기를 선출하고, 그 통신기기에의 접속을 BT 통신부(408)에 지시함으로써, 그 접속 후, 그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을 행한다.
선출한 통신기기가 어떠한 이유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를 선출하고, 그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긴급 발신을 행한다. 또한, 그 통신기기가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에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를 선출하여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할 수 있으면, 그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Bluetooth 통신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402)를 예시했지만, Bluetooth 통신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는, 차량 탑재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기기, 텔레비전 수상기, 손목 시계, 냉장고 등의 가전 기기라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1,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도 23은,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1은, 이동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2는, 고정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이동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와 고정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쌍방을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도 23에 있어서, 도 18∼도 20의 우선 접속 장치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740) 및 통신기기(751∼75N, 761∼76N)에서는 전원 관리부(414, 708)를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통신기기(751, 761)에는 위치 정보 부여부(7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정보 부여부(734)는, 통신기기(751, 76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그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705)에 부여한다. 위치 정보 부여부(734)는, 이미 설명한 GPS 등의 위치 정보의 취득을 행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705)로부터 BT 통신부(706)를 거쳐 전자 기기(740)의 BT 통신부(408)에 통지되고, 데이터베이스(412)에 등록되어 있는 통신기기(751∼75N, 761∼76N)마다 위치 정보 측정 기능의 유무가 등록된다.
이러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의 유무를 데이터베이스(412)에 등록하면, 긴급 통신의 경유처의 판단 항목으로 하고, 우선적으로 경유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위치 정보 부여 기능을 갖는 통신기기(751, 761)에 대하여, 이들을 경유처로 선출할지의 여부, 또는, 우선 경유처로 할지, 비 우선 경유처로 할지의 지정 판단 항목을 온디맨드로 지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4,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도 26은,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4는, 이동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5는, 고정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이동 통신부 구비하는 통신기기와 고정 통신부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쌍방을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도 26에 있어서, 도 18∼도 20의 우선 접속 장치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742)에는 전원 관리부(414)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통신기기(771, 781)에는 전원 관리부(708) 및 위치 정보 부여부(734)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관리부(708)의 기능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고, 또한, 위치 정보 부여부(734)의 기능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전지 잔량 레벨이나 위치 측정 기능의 유무를 데이터베이스(412)에 등록하면, 이들을 판단 항목에 이용하여 경유처를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에 의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휴대 전화기(4)와 기기(61∼65)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기(61)는,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610)로서, 자동차 등에 탑재된다. 기기(62)는 텔레비전 수상기(TV)(620), 기기(63)는 냉장고(630), 기기(64)는 손목 시계(640), 기기(65)는 노트 퍼스널 컴퓨터(PC)(650)로서, 이들이 접속처로서 상정되어 있다.
이들 등록되어 있는 각 기기(61∼65)에 휴대 전화기(4)로부터의 착신 통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1)∼(4)의 각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는 내비게이션 장치(610), TV(620), 냉장고(630)의 기기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로서,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순위매김이 행해져, 접속이 확립된다. 즉, 도 8의 스텝 S21∼S24, 스텝 S27, S28에 의한 접속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거실에 설치된 TV(620)의 화면(72) 상에 착신 정보(74)가 표시되고, 부엌에서는 냉장고(630)의 디스플레이(76)에 착신 정보(78)가 표시되고, 자동차 주행 중인 내비게이션 장치(610)의 화면(80)에 착신 정보(82)가 표시된다. 이 경우의 착신 정보(74, 78, 82)는 예를 들면, 「메일 착신」 및 「발신자명…」 등이다.
(2) 임의 등록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제1 우선으로서 TV(620), 제2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및 내비게이션 장치(610)가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제1 우선의 접속처로서 TV(620)에 착신 정보(74), 제2 우선의 접속처로서 손목 시계(640)의 디스플레이(84)에 착신 정보(86), 내비게이션 장치(610)에 착신 정보(82)가 표시된다. 즉, 거실이나 부엌에서 TV(620)에 착신 정보(74)가 표시되고, 자동차 주행 중인 내비게이션 장치(610)의 표시부(80)에 착신 정보(82)가 표시되고, 옥외에서는, 손목 시계(640)에 착신 정보(86)가 표시된다.
(3)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자택인 경우에는, 제1 우선으로서 노트 PC(650) 및 손목 시계(640)가 등록되고, 자택 이외인 경우에는, 제1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제2 우선으로서 노트 PC(650)가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자택에서는 노트 PC(650)의 표시부(87)에 착신 정보(88)가 표시되고, 자택 이외에서는, 손목 시계(640)에 착신 정보(86)가 표시된다.
(4)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7:00∼24:00의 시간대에서는, 제1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제2 우선으로서 노트 PC(650)가 등록되고, 24:00∼7:00의 시간대에는 등록은 없다.
이러한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7:00∼24:00에서는, 손목 시계(640)에 착신 정보(86), 노트 PC(650)에 착신 정보(88)가 표시되고, 24:00∼7:00에서는, 휴대 전화기(4)의 표시부(26)에만 착신 정보(89)가 표시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휴대 전화기(4)와 기기(61∼65)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에 있어서, 도 2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등록되어 있는 각 기기(61∼65)에 휴대 전화기(4)로부터의 스케줄 예고를 나타내는 예고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5)∼(8)의 각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5)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는 내비게이션 장치(610), TV(620), 냉장고(630)의 기기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로서, 우선순위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순위매김이 행해져, 접속이 확립된다. 즉, 도 8의 스텝 S21∼S24, 스텝 S27, S28에 의한 접속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거실에 설치된 TV(620)의 화면(72) 상에 예고 정보(90)가 표시되고, 부엌에서는 냉장고(630)의 디스플레이(76)에 예고 정보(92)가 표시되고, 자동차 주행 중인 내비게이션 장치(610)의 화면(80)에 예고 정보(94)가 표시된다. 이들 예고 정보(90, 92, 94)는 예를 들면, 「14시, 상점가 세일, 15분전」 등이다.
(6) 임의 등록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제1 우선으로서 TV(620), 제2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및 내비게이션 장치(610)가 등록되어 있다.
그래서, 스케줄 예고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 우선의 접속처로서 TV(620)에 예고 정보(90), 제2 우선의 접속처로서 손목 시계(640)에 예고 정보(96), 내비게이션 장치(610)에 예고 정보(94)가 표시된다. 즉, 거실이나 부엌에서 TV(620)에 예고 정보(90)가 표시되고, 자동차 주행 중인 내비게이션 장치(610)에 예고 정보(94)가 표시되고, 옥외에서는, 손목 시계(640)에 예고 정보(96)가 표시된다. 이 경우의 예고 정보(90, 94, 96)는 예를 들면, 「19시, 서클 시간, 현재 15분전」 등이다.
(7)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자택인 경우에는, 제1 우선으로서 노트 PC(650) 및 손목 시계(640)가 등록되고, 자택 이외인 경우에는, 제1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제2 우선으로서 노트 PC(650)가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자택에서는 노트 PC(650)에 예고 정보(100)가 표시되고, 자택 이외에서는, 손목 시계(640)에 예고 정보(96)가 표시된다. 이 경우, 손목 시계(640)나 노트 PC(650)에 예고 정보(96, 100)가 표시되지 않는 것은,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한다. 이 경우의 예고 정보(96, 100)는 예를 들면, 「12시, 티켓 판매 개시, 현재 15분전」 등이다.
(8)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는, 7:00∼24:00의 시간대에서는, 제1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제2 우선으로서 노트 PC(650)가 등록되고, 24:00∼7:00의 시간대에는 등록은 없다.
이러한 시간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의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7:00∼24:00에서는, 손목 시계(640) 및 노트 PC(650)에 예고 정보(96, 100)가 표시되고, 24:00∼7:00에서는, 휴대 전화기(4)에만 예고 정보(102)가 표시된다. 이 경우의 예고 정보(96, 100)는 예를 들면, 「14시, 모임, 현재 15분전」 등이다. 휴대 전화기(4)의 예고 정보(102)는 예를 들면, 「7시 기상, 현재 15분전」이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에 의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휴대 전화기(4)와 기기(64, 65)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 있어서, 도 2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접속된 기기(64, 65)측으로부터 휴대 전화기(4)의 설정 모드의 변경 등의 제어를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다. 이 경우의 동적인 자동 접속에 대하여, 예를 들면, 직장에서는, 제1 우선으로서 노트 PC(650) 및 손목 시계(640)가 등록되고, 직장 이외에서는, 제1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제2 우선으로서 노트 PC(650)가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 접속에 의해, 직장에서는 노트 PC(650)로부터 휴대 전화기(4)의 예를 들면, 매너 모드의 설정 또는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직장 이외에서는, 손목 시계(640)로부터 휴대 전화기(4)의 예를 들면, 매너 모드의 설정 또는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화상(104, 106)에는, 제어 내용인 「매너 모드 설정 해제」가 표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에 의한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휴대 전화기(4)와 기기(64, 65)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에 있어서, 도 2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예는, 기기(64, 65)측으로부터 휴대 전화기(4)에 정형문 메일을 송신시키는 경우이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우선순위 리스트 등록부(184)에 위치마다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다. 이 경우의 동적인 자동 접속에 대하여, 예를 들면, 직장에서는, 제1 우선으로서 노트 PC(650) 및 손목 시계(640)가 등록되고, 직장 이외에서는, 제1 우선으로서 손목 시계(640), 제2 우선으로서 노트 PC(650)가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 접속에 의해, 직장에서는 노트 PC(650)로부터 휴대 전화기(4)에 정형문의 메일을 송신하고, 직장 이외에서는, 손목 시계(640)로부터 휴대 전화기(4)에 정형문 메일을 송신한다. 이 경우, 화상(108, 110)에는, 정형문 메일의 정형문의 일례인, 「지금 돌아갑니다」가 표시되어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에 의한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휴대 전화기(4)와 접속되는 기기로서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791, 792, 793)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에 있어서, 도 2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기(4)로부터 전화를 휴대 전화기(791, 792, 793)에 발신시키는 경우이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8)의 기기 등록부(182)에 휴대 전화기(791, 792, 793)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로서, 정기적으로 휴대 전화기(4)는 휴대 전화기(791, 792, 793)와 접속하고, 그 접속에 의해, 휴대 전화기(791, 792, 793)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이들의 휴대 전화기(791, 792, 793)의 전지 잔량, 통화 상태가 통지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4)로부터 긴급 통보를 발행하는 경우에, 휴대 전화기(4)가 충분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없거나, 또는, 기지국과의 통신에 필요로 되는 전지 잔량이 없는 경우에는, 통화 상태가 아니고, 전지 잔량이 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휴대 전화기(791, 792, 79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기(4)와 접속되어, 긴급 통보가 발행한다.
이 경우, 이들 휴대 전화기(791, 792, 793)에 대하여,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791)에서는, 전지 잔량: 소(少), 수신 신호 레벨: 저(低), 통화 상태: 무(無), 휴대 전화기(792)에서는, 전지 잔량: 유(有), 수신 신호 레벨: 고(高), 통화 상태: 무, 휴대 전화기(793)에서는, 전지 잔량: 유, 수신 신호 레벨: 저, 통화 상태: 무인 경우를 상정하면, 휴대 전화기(792)가 선택되게 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기(4)로부터의 긴급 통보가 휴대 전화기(792)를 경유시켜 발행되게 된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기간의 우선 접속 장치에 의한 제6 실시예에 대하여,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휴대 전화기(4)에 대한 경유처 기기의 사전 등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휴대 전화기(4)에 사전 등록된 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에 있어서, 도 3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1) 통신기기의 사전 등록
휴대 전화기(4)에는, 사전 등록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긴급 통보의 경유처 기기의 등록을 행한다. 즉, 휴대 전화기(4)가 긴급 통보에 상응하지 않는 상태 예를 들면, 수신 신호 레벨이 낮고, 전지 잔량 레벨이 낮은 등의 경우를 상정하고, 긴급 통보의 경유처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4)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등록한다. 도 32에 있어서, 599는 등록 내용의 일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경유처의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4)의 근방에 위치하는 휴대 전화기 등의 기기의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이 어드레스의 선택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긴급 통보의 경유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한 기기에만 긴급 통보의 발신을 허용하면, 미등록 기기가 긴급 통보의 경유처로 되는 일이 없어, 긴급 통보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2) 통상 시의 통신 확인
휴대 전화기(4)에 각종 통신기기를 등록한 경우에, 정기적으로, 주위에 등록한 어드레스에 맞는 통신기기가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행한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등록한 어드레스에 맞는 통신기기로서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791, 792)나, 그 밖의 통신기기(794)가 있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긴급 통보의 경유처의 선정 항목에 관한 정보로서 전지 잔량 레벨, 수신 신호 레벨, 긴급 발신 시의 위치 정보 부여 기능의 유무 등을 타진한다. 휴대 전화기(791, 792)나, 그 밖의 통신기기(794)로부터 정보로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정보의 통지를 받고, 그 변경을, 등록된 통신기기의 어드레스마다 등록하여, 통신기기를 선택하는 경우에 참조한다.
(3) 긴급 통보
사건, 사고, 재해, 조난 등의 긴급 통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4)로부터 긴급 통보의 조작을 계기로 하여, 정보를 기억한 통신기기 중의 긴급 통보에 최적인 상태 예를 들면, 고정 통신의 기능이 있거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전지 잔량 레벨이 높고, 위치를 측정할 수 있고 위치를 통지할 수 있는 등을 참조하여 통신기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통신기기를 통하여 긴급 통보를 행하면 된다.
통신 중에 긴급 통보가 도중에서 끊긴 경우에는, 등록되어 있는 통신기기에 대하여 재선택을 행하고, 선택된 동일 또는 다른 통신기기에 자동 접속하여 재발신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런데, 등록되어 있는 통신기기의 자동 선택에 대하여, 판단 지표인 수신 신호 레벨이나, 전지 잔량 레벨이나, 위치 측정 통지 기능 등의 각 지표에 가중치 부여를 행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 가중치 부여를 사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특수한 경우로서 예를 들면, 귀나 눈이 부자유스러운 사람 등, 자기의 위치를 통지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위치를 통지할 수 있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또는, 그 밖의 경우에는, 전지 잔량 레벨, 수신 신호 레벨의 쌍방이 높은 경우를 제1 우선, 전지 잔량 레벨이 낮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경우를 제2 우선, 전지 잔량 레벨이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낮은 경우를 제3 우선으로 하는 등, 우선 설정의 지표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긴급사태의 통지이면, 전지 잔량은 어느 정도 있으면 된다고 하는 설정이나, 긴급 사태의 통지를 구두로 행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전지 잔량 레벨이 필요한 등, 개개의 상황에 따라서 커스터마이즈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 우선 접속 장치, 우선 접속 방법, 우선 접속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의 각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여러 가지 레벨이나 배리에이션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고,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기기로부터,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접속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3)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에 의해 얻어지는 수신 신호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4)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지 잔량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5)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통화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6)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를 등록하고, 이 기기수에 따른 수의 기기와 동시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7)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상기 전자 기기의 이동처인 1 또는 복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각 위치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고,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8)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1 또는 복수의 시간 정보와 함께, 각 시간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고,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9)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기기는,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기기,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가전 기기, 자동차 등의 이동 기기, 시계, 내비게이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0)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등록부와,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고정 통신의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에는, 고정 통신의 기능의 유무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2) 부기 10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위치 측정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는지의 여부를 긴급 경유처의 선택 판단 요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3) 부기 10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긴급 경유처의 선택 판단 요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4) 부기 10에 기재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긴급 경유처의 우선순위 매김에 이용함과 함께, 우선순위 매김을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5)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등록부와,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부기 16) 부기 15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고정 통신의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에는, 고정 통신의 기능의 유무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부기 17) 부기 15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위치 측정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는지의 여부를 긴급 경유처의 선택 판단 요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부기 18) 부기 15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긴급 경유처의 선택 판단 요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부기 19) 부기 15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 잔량, 상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위치 측정 기능을 긴급 경유처의 우선순위 매김에 이용함과 함께, 우선순위 매김을 임의로 설정 가능에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부기 20)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자 기기와 접속되는 기기측에 전자 기기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전자 기기가 갖는 정보를 접속처에서 알 수 있다.
(부기 21) 부기 20에 기재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부기 22)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우선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전자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장치.
(부기 23)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우선 접속 장치로서,
상기 기기가, 상기 전자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장치.
(부기 24)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는 우선 접속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처리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부에 등록하는 처리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방법.
(부기 25) 부기 24에 기재된 우선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기기로부터,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접속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자동 접속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방법.
(부기 26) 부기 24에 기재된 우선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를 등록하는 처리와,
상기 기기수에 따른 수의 기기와 동시에 접속하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방법.
(부기 27) 부기 24에 기재된 우선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상기 전자 기기의 이동처인 1 또는 복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각 위치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는 처리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방법.
(부기 28) 부기 24에 기재된 우선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1 또는 복수의 시간 정보와 함께, 각 시간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는 처리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방법.
(부기 29)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우선 접속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처리와,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처리와,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우선 접속 방법.
(부기 30)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의 우선 접속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처리와,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처리와,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우선 접속 방법.
(부기 31)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부에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
(부기 32) 부기 31에 기재된 우선 접속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기기로부터,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접속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자동 접속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
(부기 33) 부기 31에 기재된 우선 접속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동시에 접속하는 기기수를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기기수에 따른 수의 기기와 동시에 접속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
(부기 34) 부기 31에 기재된 우선 접속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상기 전자 기기의 이동처인 1 또는 복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각 위치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
(부기 35) 부기 31에 기재된 우선 접속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1 또는 복수의 시간 정보와 함께, 각 시간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
(부기 36)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우선 접속 프로그램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스텝과,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스텝과,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우선 접속 프로그램.
(부기 37)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의 우선 접속 프로그램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스텝과,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통신 상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를,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스텝과,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통화 상태가 아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우선 접속 프로그램.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와의 기기간 접속에 관한 것으로, 접속처의 기기에 우선성을 갖게 함과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한 선택성을 갖게 한 것에 의해, 가장 이용성이 높고,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1 또는 복수의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여, 각 기기가 갖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1)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특정한 기기와 다른 복수의 기기를 미리 설정된 우선도에 따라서 등록된 기기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유저의 가장 이용성이 높은 기기와의 접속을 할 수 있어, 각 기기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2)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특정한 기기와 다른 복수의 기기를 미리 설정된 우선도 외에 수신 신호 레벨이나, 위치적이나, 또한, 접속처의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는,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나,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이나, 통화 상태 등의 동적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간을 자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 유저의 위치나 활동 형태에 따라, 유저가 보다 이용성이 높은 기기와의 접속을 할 수 있고, 그 기기가 구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각 기기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고, 상기 기기의 동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동적 정보 및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기기로부터,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동적 정보인,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접속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정보인,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에 의해 얻어지는 수신 신호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정보인, 그 휴대 전화기의 전지 잔량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는 상기 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정보인, 그 휴대 전화기의 통화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접속처로서 1 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선택하고, 이 휴대 전화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상기 동적 정보인, 상기 전자 기기의 이동처인 1 또는 복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각 위치 정보마다 우선도가 부여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등록하고, 그 우선순위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긴급 발신 시에 경유 가능한 기기로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를 등록함과 함께, 상기 1 또는 복수의 통신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전지 잔량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레벨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을, 상기 통신기기마다 등록하는 등록부와,
    긴급 발신시, 상기 전지 잔량이 많고, 상기 수신 신호 레벨이 높은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이 통신기기를 경유시켜 긴급 발신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우선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전자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의 동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동적 정보 및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 제어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장치.
  9.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는 우선 접속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부에 등록하는 처리와,
    상기 처리의 전 또는 후에 상기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처리와,
    상기 기기의 동적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동적 정보 및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방법.
  10.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1 또는 복수의 기기에 우선도를 부여하고, 이 우선도에 의해 분류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리스트를 등록부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전 또는 후에 상기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의 동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적 정보 및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제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접속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60008232A 2005-04-12 2006-01-26 전자 기기, 우선접속 장치, 우선접속 방법, 및 우선접속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70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4950 2005-04-12
JP2005114950 2005-04-12
JP2005323867A JP4983005B2 (ja) 2005-04-12 2005-11-08 電子機器、優先接続装置、優先接続方法及び優先接続プログラム
JPJP-P-2005-00323867 200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207A KR20060108207A (ko) 2006-10-17
KR100870598B1 true KR100870598B1 (ko) 2008-11-25

Family

ID=3708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232A KR100870598B1 (ko) 2005-04-12 2006-01-26 전자 기기, 우선접속 장치, 우선접속 방법, 및 우선접속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53207B2 (ko)
JP (1) JP4983005B2 (ko)
KR (1) KR100870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7542B1 (fr) * 2003-07-11 2006-03-17 Axces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d'etablir de maniere rapide une communication entre un lecteur et une pluralite d'objets communicants
JP2007158447A (ja) * 2005-11-30 2007-06-21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JP4933292B2 (ja) * 2006-02-28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無線通信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US20070238475A1 (en) * 2006-03-30 2007-10-11 Goedken Terrance J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priority list
US7747223B2 (en) * 2007-03-29 2010-06-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TW200908669A (en) * 2007-08-15 2009-02-16 Cotron Corp Stereo bluetooth headset
KR101236910B1 (ko) 2007-10-09 201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관련된 동작을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119869B2 (ja) 2007-11-08 2013-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DE102007060609A1 (de) * 2007-12-13 2009-06-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Anzeige einer Information
JP4331233B2 (ja) 2007-12-26 2009-09-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WO2009096032A1 (ja) * 2008-01-31 2009-08-06 Pioneer Corporation 情報通知装置、情報通知方法、情報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029458B2 (ja) * 2008-03-26 2012-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EP2498509B1 (en) 2008-04-07 2018-08-15 Koss Corporation Wireless earphone that transitions between wireless networks
US8005057B2 (en) * 2008-04-22 2011-08-23 Sunway Technology Development Limited Data communications between short-range enabled wireless devices over networks and proximity marketing to such devices
US8073498B2 (en) * 2008-04-30 2011-12-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device
JP5035166B2 (ja) * 2008-07-28 2012-09-26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端末、基地局の通信方法、通信端末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
KR101542379B1 (ko) 2008-08-28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사용자별 시청 환경 설정 방법
KR101478030B1 (ko) * 2009-01-29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 검색 및 연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CN102369562B (zh) * 2009-02-03 2014-04-16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在事件后与基础设施的语音连接
JP2010192993A (ja) 2009-02-16 2010-09-02 Panasonic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優先度変更方法
US8688059B2 (en) * 2009-04-24 2014-04-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base station with internal clock correction
WO2011021886A2 (en) 2009-08-21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IL201129A (en) * 2009-09-23 2014-02-27 Verint Systems Ltd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ameras according to location measurements
US20110111697A1 (en) * 2009-11-06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shar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WO2011054076A1 (en) 2009-11-06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shar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US8930129B2 (en) * 2009-11-18 2015-01-06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multiple user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1098863A1 (en) * 2010-02-09 2011-08-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for transmission of a content package
DE102010028449A1 (de) * 2010-04-30 2011-1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freisprecheinrichtung
KR101664222B1 (ko) * 2010-07-27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와 주변 기기 간 단말 기능 전이 장치 및 방법
KR20120020532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5585327B2 (ja) * 2010-09-10 2014-09-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2060681A1 (en) * 2010-11-03 2012-05-10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device switching by identifying nearby devices with short range communication means
KR101710549B1 (ko) * 2010-11-17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JP5644449B2 (ja) 2010-12-06 2014-12-24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装置の登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47146A (ja) * 2011-01-11 2012-08-02 Jvc Kenwood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における接続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34348B2 (ja) * 2011-01-11 2014-06-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における自動接続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923802B2 (en) * 2011-05-11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Home network roaming management for eCall-only subscribers
US8989697B2 (en) * 2011-05-11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registration for in-vehicle emergency call service
US8849237B2 (en) * 2011-05-11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registration for in-vehicle emergency call service
US8775533B2 (en) * 2011-05-20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Auto connect in peer-to-peer network
CN103582873B (zh) 2011-06-05 2017-07-14 苹果公司 用于显示从多个应用接收到的通知的系统和方法
US8634771B2 (en) * 2011-06-15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Simple peer-to-peer network formation
KR20130025749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신호 세기에 기초한 보안 관리 방법
EP2787655B1 (en) * 2011-11-30 2018-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9736764B2 (en) * 2012-07-11 2017-08-1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Bluetooth phone reconnection strategy
JP5527388B2 (ja) * 2012-11-15 2014-06-18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電話システム、無線電話端末、固定電話端末、および電話制御方法
US9060241B2 (en) * 2012-11-19 2015-06-16 Htc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senting digital items thereof
JP6079473B2 (ja) * 2013-06-25 2017-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無線給電システム、車両側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携帯機器
JP6261913B2 (ja) * 2013-08-29 2018-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
US10813142B2 (en) * 2013-10-11 2020-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of paging mobile devices
US9729380B1 (en) * 2013-10-28 2017-08-08 Google Inc. Displaying content items based on device status
KR102114178B1 (ko) * 2014-01-02 2020-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825944B2 (en) * 2014-01-24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cure cryptoprocessor for authorizing connected device requests
KR20150092645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361084B2 (ja) * 2014-03-13 2018-07-25 アイコム株式会社 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2015188184A (ja) * 2014-03-27 2015-10-29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ビーコン装置、および、ビーコン装置の制御方法
US11343335B2 (en) * 2014-05-29 2022-05-24 Apple Inc. Message processing by subscriber app prior to message forwarding
US10097619B2 (en) * 2014-06-24 2018-10-09 Google Llc Cross-device notifications
DE102014212990A1 (de) 2014-07-04 2016-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erstellen einer Sprachverbindung zwischen dem Fahrer eines einspurigen Fahrzeugs und einer Notrufzentrale
US9838858B2 (en) 2014-07-08 2017-12-05 Rapidso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l management
WO2016008077A1 (zh) * 2014-07-14 2016-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互联的方法及装置
DE202015006066U1 (de) 2014-09-02 2015-12-14 Apple Inc. Kleinere Schnittstellen zur Handhabung von Benachrichtigungen
WO2016036545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size notification interface
JP6463050B2 (ja) * 2014-09-08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10216351B2 (en) 2015-03-08 2019-02-26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JP6533085B2 (ja) 2015-03-31 2019-06-19 Line株式会社 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51391B1 (en) 2015-05-20 2016-09-20 Ebay Inc. Wireless device pairing management
US10237193B2 (en) 2015-09-30 2019-03-19 Apple Inc. Prioritizing short-range wireless packets for time-sensitive applications
US9659484B1 (en) 2015-11-02 2017-05-23 Rapidsos, Inc. Method and system for situational awareness for emergency response
JP2019505117A (ja) 2015-12-17 2019-02-21 ラピッドエスオーエス,インク. 効率的な緊急呼出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9986404B2 (en) 2016-02-26 2018-05-29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amongst groups of devices based on shared data
CA3023982A1 (en) 2016-05-09 2017-11-16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JP2017055462A (ja) * 2016-12-26 2017-03-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22284B2 (ja) 2017-03-31 2021-01-2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10701542B2 (en) 2017-12-05 2020-06-30 Rapidsos, Inc. Social media content for emergency management
US10805786B2 (en) 2018-06-11 2020-10-13 Rapidsos, Inc.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11917514B2 (en) 2018-08-14 2024-02-27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managing multimedia for emergency response
US10977927B2 (en) 2018-10-24 2021-04-13 Rapidsos, Inc. Emergency communication flow management and notification system
US11218584B2 (en) 2019-02-22 2022-01-04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mergency response
US11146680B2 (en) 2019-03-29 2021-10-12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AU2020254292A1 (en) 2019-03-29 2021-11-04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228891B2 (en) 2019-07-03 2022-01-18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medical communications
US11330664B1 (en) 2020-12-31 2022-05-10 Rapidso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emergency data and providing a map view
KR20230138821A (ko) * 2022-03-24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95A (ko) * 2001-11-08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에서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106B2 (ja) * 1986-06-30 1995-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ドレス電話機
JP2615912B2 (ja) * 1988-09-22 1997-06-04 ミノルタ株式会社 静電荷現像用トナー
JP4277411B2 (ja) * 2000-02-23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及びマルチキャスト通信方法、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並びに、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フレーム数の自動設定方法
JP3805990B2 (ja) * 2001-02-05 2006-08-0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法
KR100861538B1 (ko) 2001-04-19 2008-10-02 히데키 무로야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
JP2003015735A (ja) * 2001-07-05 2003-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監視・通報装置
JP2003022490A (ja) * 2001-07-06 2003-01-24 Toyota Motor Corp 緊急通報装置
US6957045B2 (en) * 2001-10-26 2005-10-18 Ixi Mobile (Israel) Ltd.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devices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JP3911162B2 (ja) * 2002-01-18 2007-05-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携帯電話の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3229970A (ja) * 2002-02-05 2003-08-1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通報システム
JP4045536B2 (ja) 2002-05-27 2008-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4111790B2 (ja) * 2002-09-18 2008-07-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JP3707462B2 (ja) * 2002-09-18 2005-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ローカル無線通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103588B2 (ja) * 2002-12-27 2008-06-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無線通信端末の検査装置
JP4218435B2 (ja) * 2003-06-16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子機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5033672A (ja) * 2003-07-10 2005-02-03 Nissan Motor Co Ltd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JP4186736B2 (ja) * 2003-07-16 2008-11-2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70415B2 (ja) * 2003-08-05 2010-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4431652B2 (ja) * 2004-04-01 2010-03-17 特定非営利活動法人リアルタイム地震情報利用協議会 地震情報伝達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95A (ko) * 2001-11-08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에서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3207B2 (en) 2010-12-14
US20060229014A1 (en) 2006-10-12
JP2006319946A (ja) 2006-11-24
JP4983005B2 (ja) 2012-07-25
KR20060108207A (ko)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98B1 (ko) 전자 기기, 우선접속 장치, 우선접속 방법, 및 우선접속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EP3334134B1 (en) In-vehicle handsfree apparatus
US7203479B2 (en) Using a mobile station for productivity tracking
US8532573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06001140A1 (ja)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た無線品質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05530601A (zh) 位置显示方法及其移动通信装置
JP442139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ならびに通信方法
JP3678210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16321B2 (ja) 電子機器
JP4592452B2 (ja) 携帯情報端末システム、管理サーバ、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20036871A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US20100248700A1 (en) Mobile terminal
JP5551358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JP2011205547A (ja) 情報表示装置
JP2005130187A (ja) 移動通信端末
KR1014558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JP200328368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端末
JP20022910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KR101129165B1 (ko) Dlna를 이용한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및 알림 방법
JP2002034080A (ja) 無線携帯端末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386292B1 (ko) 무선 랜 카드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통신방법
JP2012109757A (ja) 通信端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
US10180918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and method for managing the use of a peripheral in connection with an upcoming event
WO2004068888A2 (en) Transmitting, collecting, and follow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KR1010857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