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538B1 -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538B1
KR100861538B1 KR20037013646A KR20037013646A KR100861538B1 KR 100861538 B1 KR100861538 B1 KR 100861538B1 KR 20037013646 A KR20037013646 A KR 20037013646A KR 20037013646 A KR20037013646 A KR 20037013646A KR 100861538 B1 KR100861538 B1 KR 10086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connection
information
user
electronic devices
s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701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920A (ko
Inventor
히데키 무로야
니시야수하루
Original Assignee
히데키 무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키 무로야 filed Critical 히데키 무로야
Publication of KR2004000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링크기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끼리의 상호접속을 원활하게 행함과 아울러 상황 및/또는 용도에 맞추어서 동적으로 기기의 조합을 바꾸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통신부; 미리 정해진 이용신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테이블;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 내의 정보와 비교하여 이용 신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신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한다.

Description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 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PPARATUSES USING RADIO LINK, METHOD FOR CREATING USABLE SCENE TABLE FOR APPARATUS CONNECTION,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 상호접속용 이용신 테이블 작성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을 대신해서 복수의 전자장치 간을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규격이 정해져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링크로서 Bluetooth(상표)가 알려져 있다. 이 무선링크는 이동체와 고정의 전자장치 간, 또는, 각각의 사이의 케이블의 대체를 의도한 단거리 무선링크이다. 주된 특징은 강고하고 단순하며 저소비전력 및 저비용이라는 점이다.
상기 무선링크의 도달범위는 10m정도이고, 개별의 부실의 안이나 사람이 몸에 부착하여 지지되어 있는 기기끼리, 또는, 손이 닿을 정도의 범위의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무선링크기능을 PDA(휴대정보단말)에 가지게 한 경우, 예컨대, 이 PDA를 가지고서 회의실에 들어가면 그 회의실에 설치하여 둔 고정 프린터(또는, 모뎀) 등의 존재를 인식한다. 프린터설정 등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단말의 전자메일의 내용이나 문서를 자유롭게 프린트출력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무선링크기능을 휴대전화와 PDA에 가지게 한 경우, PDA에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홈페이지를 보게 되면 가방 안의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링크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있다.
또한, 상기 무선링크기능을 휴대전화와 디지털 카메라에 가지게 한 경우, 디디털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무선링크로 휴대전화에 접속하여 인터넷으로 화상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링크는 기본적으로 모든 탑재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는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링크 상의 룰(rule)(프로파일)이, 해당하는 무선링크 탑재기기의 유닛본체에 사전에 인스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희망하는 접속의 프로파일이 인스톨되어 있어도 이것은 고정적이고, 복수의 무선링크 탑재기기의 접속을 동적으로 바꾸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도 16(a)(b) 참조].
예컨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헤드셋으로 전화를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실외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자택에 있어서 보다 값싼 공중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모뎀을 이용하고 싶을 때에는 프로파일을 재설정해야만 한다. 또한, 휴대전화로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자택에 있는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해서는 프로파일을 재설정해야만 한다. 종래의 장치/시스템은 이와 같이 재설정이 이용자에게 무리하게 부담을 주게 되고, 무선링크의 소중한 편리성이 손상되어버린다. 본래에는 실외에서는 휴대전화를 통해서 통화를 하지만 자택에서는 공중회선을 통해서 행하도록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이 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선링크기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끼리의 상호접속을 원활하게 행함과 아울러 상황 및/또는 용도에 맞추어서 동적으로 기기의 조합을 바꿀 수 있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 상호접속용 신(scene) 테이블(table) 작성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는 무선통신부; 소정의 이용신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메모리;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 내의 정보와 비교하여 이용신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신 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방법은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 취득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용신을 판정하는 스텝;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이용신에 있어서의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 및 취득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상호접속용 이용신 테이블 작성방법은 무선통신부, 미리 정해진 이용신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테이블, 복수의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의 우선순위를 기억하는 우선순위 기준테이블,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기기 상호접속장치를 준비하는 스텝; 상기 기기 상호접속장치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스캔하여 그 일람을 표시하는 스텝; 상기 일람으로부터 상기 이용신을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전자기기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에 등록하는 스텝; 상기 일람 내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는 스텝; 상기 우선순위 기준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스텝; 및 작성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에 격납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매체는 컴퓨터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는 무선통신부; 미리 정해진 이용신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테이블;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전자기기의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령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방법은 브라우저를 기동하는 스텝;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전자기기의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령하는 스텝; 상기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 및 취득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매체는 컴퓨터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이다.
매체에는, 예컨대,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광자기디스크, CD(CD-ROM, Video-CD를 포함), DVD(DVD-Video, DVD-ROM, DVD-RAM을 포함), ROM 카트리지, 배터리백업을 부착한 RAM 메모리 카트리지, 플래시 메모리 카트리지, 불휘발성 RAM 카트리지 등을 포함한다.
매체는 어떠한 물리적수단에 의해 정보(주로 디지털데이터, 프로그램)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컴퓨터, 전용 프로세서 등의 처리장치에 소정의 기능을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요컨데, 어떠한 수단으로서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장치[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용신의 설명도이다. 도 2(a)는 「자택」을 나타내고, 도 2(b)는 「회사」를 나타낸다.
도 3은 전자기기의 등록절차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절차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이용신 테이블의 예이다.
도 6은 특정 전자기기 등록화면의 예이다. 도 6(a)는 「자택」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6(b)는 「회사」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이용신「모바일」에 있어서의 특정 전자기기 등록화면의 예이다.
도 8은 커뮤니케이터에 있어서의 메뉴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9는 커뮤니케이터에 있어서의 현재의 접속상황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0은 커뮤니케이터에 있어서의 모바일설정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1은 커뮤니케이터에 있어서의 자택설정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2는 커뮤니케이터에 있어서의 신규 로케이션(location)(신)작성의 표시 화면의 예이다.
도 13은 커뮤니케이터에 있어서의 로케이션(신) 편집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처리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은 종래의 무선링크의 접속 이미지도[도 16(a)(b)],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뮤니케이터의 접속이미지도[도 16(c)]이다.
발명의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장치(커뮤니케이터)/방법(전자기기 상호접속방법)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커뮤니케이터의 기능블록도이다. 처리부(1)는 약 10m(100m정도의 경우도 있다)의 유효범위 내를 스캔하여 거기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리스트를 작성함과 아울러 메모리(테이블)(1a) 및 데이터베이스(1b)를 참조하여 전자기기끼리의 상호접속을 행한다. 처리부(1)는 테이블과 실제의 상황이 다를 때에 테이블을 수정한다. 스캔의 결과는 표시부(2)에 표시되고, 이것을 보고서 이용자는 각 전자기기의 접속을 팝업 커맨드(pop up command)에서 지시하거나 수정정보 등을 입력부(3)로부터 입력한다. 또한, 처리부(1)는 음성인식부(1c), 사전부(1d)를 포함하고, 음성에 의한 조작도 가능하다. 표시부(2)에는 각 전자기기의 상황이 표시되고, 여기서 집중관리할 수 있다. 우선순위 기준메모리(1e)는 복수의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 룰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의 우선순위를 기 억한다.
처리부(1)는 무선통신모듈(4)을 통해서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다른 전자기기는 도시하지 않지만 각각 무선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모듈(4)은 8mm정도의 원칩(one chip)이고, 그 출력이 작은 것이므로 소비전력도 매우 작다(송신시: 20mW~30mW, 대기시: 0.3mW). 또한,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위하여 통상의 무선 LAN과 같은 항시 접속은 아니고 특별한 접속을 행한다. 무선모듈의 데이터전송속도는 최대 1Mbps이다. 무선모듈은 송신할 때에 그 주파수를 짧은 주기로 변화시키는 주파수 호핑을 행하고, 다른 무선통신에 대한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혼신이나 잡음에 의한 영향을 경감하고 있다. 사용주파수대역은 2.4GHz대이다. 무선모듈을 탑재하는 전자기기에는 각각 고유의 디바이스(device) 어드레스(adress)가 주어진다.
Bluetooth(상표)로서 알려져 있는 무선링크에서는 각 전자기기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의 역할을 가진다. 마스터, 슬레이브 간에 통신을 행할 때에는 마스터의 고유 어드레스와 클럭값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호핑패턴을 산출하여 주파수의 주기를 행하고 있다. 또한, 통신을 개시하는 최초의 단계에서는 슬레이브에 마스터의 고유 어드레스와 클럭값을 전달하여 호핑패턴의 동기를 도모할 필요가 있으므로 통신개시의 단계에서는 조회절차 또는 페이징절차가 실시된다. 이들에 관해서 또한 후술한다. 또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관계는 어디까지나 주파수호핑에 의한 통신채널의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고, 실제 통신의 내용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는다.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관계는 1대1 뿐만 아니라 1개의 마스터에 7개의 슬레이브가 동시에 접속할(정확하게 말하면 통신채널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의 커뮤니케이터는 터치패널식 액정화면을 가지는 소형 단말이다. 예컨대, PDA에 구현되어 여러가지의 환경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환경(「자택」에 상당하는)이나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환경(「회사」에 상당하는)에서 사용된다. 커뮤니케이터(10)는 주위를 스캔하여 유효범위 내에 있는 전자기기를 리스트업하고, 현재의 환경이 무엇인지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서 전자기기를 최적으로 상호접속한다. 예컨대, 도 2(a)의 자택에서는 휴대전화(12)를 사용하여 통화할 때, 휴대전화(12)를 모뎀(16)에 접속하여 공중회선을 이용함으로써 값싼 통화요금의 공중회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b)의 회사에서는 휴대전화(12)를 사용하여 통화할 때, 공중회선을 이용하지 않지만 노트북(13)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때에는 LAN 액세스 포인트(21)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커뮤니케이터(10)는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을 환경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터(10)의 처리부(1)에 이용신 메모리(1a)와, 프로파일 및 드라이버 데이터베이스(1b)가 설치되어 있다. 이용신 메모리(1a)에는 각 환경(이용신)마다 각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상태가 미리 설정되어있다. 프로파일 및 드라이버 데이터베이스(1b)에는 각 전자기기의 프로파일 및 드라이버가 격납되어 있다. 프로파일은 무선통신모듈(4)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프로토콜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정한 것이다. 프로파일에는 기본적인 통신을 행하기 위한 것과, 어플리케이션에 가까운 레벨의 이용목적에 따라서 다른 것이 있다. 드라이버는 각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커뮤니케이터(10)는 1> 테이블을 작성 및 수정하는 기능과, 2>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자기기끼리의 상호접속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우선, 1>의 기능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 커뮤니케이터(10)가 주변에 있는 전자기기를 스캔하여 그 리스트를 작성한다.
조회절차 또는 페이징절차에 따라서 커뮤니케이터(10)의 통신범위 내에 어떠한 전자기기가 존재하는지 조사한다. 조회절차는 통신범위 내에 어떠한 전자기기가 존재하는지를 마스터인 커뮤니케이터(10)가 모르는 경우에 실시하는 절차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가 동보(同報) 버킷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이것을 수신한 슬레이브 기기가 자기에 관한 정보를 반송한다. 페이징절차는 마스터가 통신범위 내에 특정 기기가 존재하는 것을 알고 있어서 특정 기기에 접속하는 경우의 절차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로부터 특정 슬레이브 기기 방향의 버킷을 연속으로 송신하고, 상대의 슬레이브 기기가 이것에 응답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이상의 어떠한 절차에 있어서도 전자기기의 식별에 액세스 코드가 이용된다.
커뮤니케이터(10)는 조회절차 또는 페이징절차에 따라서 통신범위 내의 전자기기를 스캔한다. 스캔의 결과, 예컨대, 도 6(a)(b)와 같이 표시된다. 화면에는 현재접속가능한 무선링크기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 무선링크의 액세스 포인트 등의 ID, 명칭, 기능, 제한 등이 표시된다.
S2: 커뮤니케이터(1)가 이용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용상황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전자기기를 등록한다.
커뮤니케이터(10)는 여러 장소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택에서 사용되거나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사에서 사용된다. 각각의 장소에 있어서 커뮤니케이터(10)에 접속되는 전자기기는 다름과 아울러 동일 전자기기이여도 접속의 상대나 접속의 상황, 사용방법이 다르다. 예컨대, 자택에서는 휴대전화(12)로부터의 발신은 모뎀(16)을 경유하여 공중회선에 접속되지만 회사에서는 휴대전화(12)로부터의 발신은 LAN 액세스 포인트(또는, 휴대전화회사의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등)에 접속된다.
커뮤니케이터(10)는 이와 같은 다른 환경마다의 최적의 기기의 상호접속을 실현하는 것이다. 전자기기를 이용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호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커뮤니케이터(10)가 자신의 설치되어 있는 장소(신)가 어디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전자기기의 등록은 그 때문이다.
미리 가정되는 몇개의 신에 있어서 그 신 고유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기기가 존재한다. 예컨대, 도 2(a)(b)에 있어서 공중회선에 접속되는 모뎀(16)은 자택 고유의 것이고, LAN에 접속되는 LAN 액세스 포인트(21)는 회사 고유의 것이다. 만약 모뎀(16)이 있으면 그 신은 자택이고, LAN 액세스 포인트(21)가 있으면 그 신은 회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 고유의 전자기기를 특정 전자기기로 칭한다. 특정 전자기기는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모뎀(16)과 텔레비젼(15)이 동시에 존재할 때에 그 신을 자택으로 판단하고, LAN 액세스 포인트(21)와 프린터(20)가 동시에 존재할 때에 그 신을 자택으로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복수의 특정 전자기기를 설정하여 이들에게 우선순위를 주어도 좋다. 예컨대, 모뎀(16)과 프린터(20)가 동시에 존재할 때, 모뎀(16)을 우선하여 그 신을 자택으로 판단한다.
도 2(a)(b)의 환경에서 커뮤니케이터(10)가 전자기기의 스캔을 행하면 도 6(a)(b)와 같은 전자기기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도 6(a)와 같이 「자택」의 특정 전자기기로서 모뎀을 선택하고, 도 6(b)와 같이 「회사」의 특정 전자기기로서 LAN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도 7(a)(b)는 신「모바일」의 설정절차를 나타낸다. 「모바일」은 미리 가정된 「자택」「회사」 등의 각 신 이외에 대응한다. 임의의 장소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모바일」은 반드시 설정해야만 한다. 도 7(a)(b)에서는 휴대전화와 PHS에 체크되어 휴대전화 및/또는 PHS를 발견하였을 때에 「모바일」로 판정된다. 또한, 도 7(b)에 있어서 「모바일 우선」에 체크되어 있지만 이것은 상기 특정 전자기기의 설정을 우선한다라는 의미이다. 이것에 대해서 「스캔 우선」은 스캔을 행하여 발견된 전자기기의 접속을 우선한다라는 의미이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설정된 이용장소나 상황을 「이용신」이라 한다. 「이용신」은, 예컨대, 자택, 회사, 자동차 내, 영화관 등 유형적인 이용장소나 상황으로서 표시된다. 「이용신」은 원래 커뮤니케이터(10) 출하시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과, 커뮤니케이터(10)를 사용하는 자기자신이 설정하여 이름붙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 있다. 각 「이용신」에 포함되지 않는 이용장소나 상황은 상기 「모바일」로서 설정한다.
커뮤니케이터(10)는 모순되지 않는 「이용신」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등록시에 간이 검증기능을 갖는다. 「이용신」의 등록이후, 전자기기의 상황에 변화가 있는 경우, 신 확인시, 이용신 테이블은 업데이트된다.
S3: 그 신에 동시에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 룰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미리 준비되어 있는 DB에 조합시켜서 그 접속의 우선순위를 자동적으로 규정한다. 우선순위는 신에 있어서가 아니고, 신에 있어서의 각 전자기기에 규정된다.
커뮤니케이터(10)가 자동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각 전자기기의 상호접속 룰테이블을 이용신마다 작성하다. 또한, 이 룰작성에 관해서 커뮤니케이터(10)측이 충분한 정보를 가지지 않은 경우, 후술의 인터넷 섹션에서 해당 기기의 정보를 입수하는 준비를 한다. 이 때, 커뮤니케이터(10)는 상호접속의 드라이버의 유무나 프로파일에 관해서도 체크를 행하고, 필요하면 드라이버나 프로파일을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상기 룰은 네트워크의 속성(통신에 드는 비용, 통신속도, 네트워크 상의 거리, 경유 네트워크의 종류 등), 제품속성(화면의 크기와 음질 등) 등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가장 값싼 공중회선을 이용할 수 있을 때, 헤드셋(11)으로부터의 통화는 공중회선을 우선한다. 복수의 통신로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송신을 행하는 경우는 요금이 싼 쪽을 선택하고, 요금이 동일하면 전송속도가 빠른쪽을 선택한다. 수신을 행할 때, 요금에 관계없이 전송속도가 빠른쪽을 선택한다. 높은 보안이 필 요한 때, 유선통신으로 포인트-포이트접속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을 때, 인터넷을 선택한다
예컨대,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만이면 휴대전화에 표시하고, 수신한 데이터가 그래픽을 포함할 때, 노트북에 표시한다. 동영상이면 텔레비젼에 표시한다. 또한, 작은 화상은 휴대전화에 표시하고, 큰 화상은 노트북에 표시한다. 또한, 흑백화상은 휴대전화에 표시하고, 칼라화상은 노트북에 표시한다. 수신한 데이터가 음성데이터이면 헤드셋 또는 휴대전화에 출력한다. 음성데이터가 스테레오일 때는 헤드셋에 출력한다.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에는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속성이나 제품속성, 리더나 멤버의 이름 등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속성은 통신에 드는 비용, 통신속도, 네트워크 상의 거리, 경유 네트워크의 종류 등이 있다. 제품속성은 화면의 크기와 음질 등이 있다. 이들의 기준은 우선순위 기준메모리(1e)에 미리 격납된다.
또한, 미리 자동차 내, 영화관 등이라는 유형적인 우선순위집을 준비하여 두어도 좋다.
상기 룰에는 본 커뮤니케이터(10)가 신별로 추천하는 룰과, 본 커뮤니케이터 (10)를 사용하는 자가 상기 네트워크속성이나 제품속성을 선택하는 룰이 있다.
또한, 본 커뮤니케이터(10)를 사용하는 자는 룰의 예외를 자기자신이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할 수 있다.
또 5에 이용신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이 이용신 테이블은 커뮤니케이터 (10)를 자택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표내 의 ◎,O,△,×는 접속의 우선도를 나타낸다. 이 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 가능하다.
ㆍ휴대전화(12)로부터의 발신은 모뎀(16)을 경유하여 공중회선에 접속된다.
ㆍ헤드셋(11)을 사용하여 모뎀(16)을 경유하여 전화를 건다. 이 때, 커뮤니케이터(10)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다.
ㆍ모뎀(16)을 경유하여 커뮤니케이터(10)에서 메일을 수신한다. 그 표시를 텔레비젼(15) 상에 행한다.
ㆍ디지털 카메라(14)의 화상을 텔레비젼(15)에 표시한다.
ㆍ디지털 카메라(14)의 화상을 노트북(13)에서 조정하고, 그 후 모뎀(16) 경유로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동적 이용테이블이나 이것을 커스터마이즈한 것을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은 것이여도 화면 상에서 기기의 상호접속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2>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자기기끼리의 상호접속을 행하는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S10: 이용장소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특정 전자기기를 스캔한다.
조회절차 또는 페이징절차에 따라서 커뮤니케이터(10)의 통신범위 내에 S2에서 설정한 전자기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신을 특정한다.
커뮤니케이터(10)는 「이용신」이 보여지지 않은 경우, 「모바일」의 설정을 기동. 또는, 새로운 스캔을 행하여 접속가능한 전자기기 단말을 확인한 경우, 이용신의 설정을 촉구하는 화면을 기동한다.
S11: 특정된 신에 대응하는 이용신 테이블을 판독하고, 그 후의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기다린다
상기 스캔에 기초하여 이용신 메모리(1a)로부터 테이블을 판독한다.
판독된 테이블에 따라서 커뮤니케이터(10))가 통신가능한 각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한다.
S12: 통신 등의 푸시형 서비스가 있었을 때, 전자기기로부터의 상황을 이용자에게 전달한다.
S13: 화면 상의 조작 또는 음성에 의한 조작으로 거기서 이용가능한 전자기기를 확인하고, 이것과 접속가능한 기기를 확인후, 접속의 요구를 출력한다.
S14: 다른 커뮤니케이터(10)와 테이블의 교환을 행한다.
다른 커뮤니케이터(10)가 커뮤니케이터(10)의 통신범위 내에 또 하나이상 존재하는 경우는 각 커뮤니케이터(10)는 다른 커뮤니케이터(10)와 테이블의 교환을 행하고, 커뮤니케이터(10)가 가지는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미 복수의 커뮤니케이터 (10)와 통신을 하여 테이블을 갱신한 커뮤니케이터(10)가 새로 통신하는 커뮤니케이터(10)에 대해서 통합하여 그 갱신을 끝낸 테이블을 송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이들의 커뮤니케이터(10)는 당연히 계층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커뮤니케이터(1)에 계층적으로 기기가 접속되어 있던 경우, 수신측의 커뮤니케이터(10)에도 계층적으로 기기가 접속된다.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터(10)가 「마스터」로서 접속을 확립하지만 접속종료 후, 어느 하나의 기기를 「마스터」로 설정하면 상기 커뮤니케이 터(10)는 그 작업으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항상 자기자신이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순회함에 관해서 차례차례 우선순위변경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일일이 우선순위 변경요구를 받지 않는 「사일런트(silent)」라는 설정과 우선순위 변경요구를 받는 「어셉터블(acceptable)」이라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통신을 제한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전자기기와는 통신이 불가능 또는 제한된다. 예컨대, 어느 전자기기가 어느 전자기기와도 통신을 행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프라이버트(private)」한 전자기기로서 설정하여 둔다. 어느 전자기기와 통신을 행하여도 좋은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퍼블릭(public)」한 전자기기로서 설정하여 둔다. 또한, 통신상대를 제한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프로텍티드 (protected)」한 전자기기로서 설정하여 둔다. 프로텍티드한 전자기기는 어느 그룹에 속하는 전자기기만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설정은 일시적인 것인지 영속적인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상대의 제한은 리더(마스터)를 대표로 하는 것이므로 일괄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어느 리더를 프라이버트로 설정하면 그 리더가 관리하는 멤버도 모두 프라이버트로 된다라는 것이다.
또한, 커뮤니케이터(10)의 기능이 어느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통신의 형태는 다르다. 3개의 유형이 있다.
1> 우선, 제일 간단한 경우는 모든 전자기기에 커뮤니케이터(10)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만약 마스터(리더)가 존재하지 않는 전자기기만이여도 개개의 전자기기와 주고받기를 행하여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작성한 테이블에 따라서 테이블을 가지는 마스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이용자측의 전자기기와 각 신의 전자기기는 p2p(peer to peer)로 통신을 행한다.
리더에는 커뮤니케이터(10)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만 리더 이외의 기기인 멤버에는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2개의 형태가 있을 수 있다.
2> 하나는 「리모트컨트롤 프로파일」이라 불리우는 프로파일, 또는, 「리모트컨트롤 드라이버」라 불리우는 드라이버가 멤버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프로파일/드라이버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통신에 관한 코멘트나 파라미터를 받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프로파일/드라이버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대와의 통신을 제3자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리더로부터 통신처 및 통신경로, 통신형태 등의 지시를 프로파일/드라이버 경유로 받아서 각 멤버는 p2p로 통신을 행한다.
3> 리더에는 커뮤니케이터(10)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만 멤버에는 탑재되어있지 않은 경우의 또하나의 형태는 p2p로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리더 경유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이다. 프로파일에 의해서 또한, 리더가 능동적으로 관리 하의 멤버와 통신을 행하여 그 내용을 리더끼리로 전송하는 경우와, 리더가 TCP/IP에 있어서의 Proxy서버의 역할을 행하여 멤버 간이 투과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뮤니케이터(1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 용이하게 실현가능함과 아울러 그 때에 장소(신)마다 최적의 기기의 조합이 가능하다.
ㆍ휴대전화의 메모리 다이얼을 이용하여 헤드셋으로부터 공중회선을 통해서 전화를 행한다.
ㆍ헤드셋으로 음성지시를 출력하고, 공중회선을 통해서 인터넷의 검색을 행하고, 그 결과를 본 발명에 관한 커뮤니케이터(10)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ㆍ디지털 카메라의 화상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커뮤니케이터(10)의 화상에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데이터의 썸네일을 표시하여 확인하고, 그 후 공중회선을 통해서 소정의 화상데이터를 송신하다.
ㆍ디지털 카메라의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커뮤니케이터(10)의 화면 상에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데이터의 썸네일을 표시하여 확인하고, 그 후 소정의 화상데이터를 프린터에 보내서 인쇄한다.
ㆍ통신범위 밖에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통신범위 내에 있는 전자기기를 통해서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을 중개한다.
커뮤니케이터(10)의 조작화면의 다른 예를 도 8~도 13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 중에 있어서 「로케이션」으로 있는 것은 「신」인 것이다.
도 8은 커뮤니케이터(10)의 기본메뉴화면(100)을 나타낸다.
도 9는 현재의 접속상황화면(101)을 나타낸다. 화면(101)은 아이콘표시이다. 화면(101)의 설정버튼으로 멤버(전자기기)의 설정 및 설정변경[화면(102),(103)]이 가능하다. 동일하게 재접속 버튼으로 재접속이 가능하다[화면(105),(106)]. 동일하게 표시버튼으로 접속상황의 표시[화면(107),(108)]가 가능하다.
도 10은 모바일 설정화면(110)을 나타낸다. 모바일 설정은 최초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것은 도 7에 대응한다.
도 11은 자택설정화면(120)을 나타낸다. 이것은 도 6(a)에 대응한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의 「키멤버(key member)」 는 로케이션(신)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도 12는 신규 로케이션(신) 작성화면(130)을 나타낸다. 신규 로케이션을 작성할 때, 기존의 로케이션의 내용을 고려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키멤버(특정 전자기기)의 등록을 행한다[화면(133)].
도 13은 로케이션(신)의 편집화면(140)을 나타낸다. 로케이션명이나 숏컷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뮤니케이터의 접속이미지를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형태1의 변형예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 신과 로케이션을 구별하지 않았지만 이들에 다른 의미를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신은 상기와 같이 「회의실」「자택」「회사」와 같이 정의된 것이고, 로케이션은 지금 현재의 장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자택」의 차고에 주차하여 둔 차 중에 커뮤니케이터가 있는 경우, 「자택」의 기기에다가 「차」 안의 기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과 로케이션을 나눔으로써 더욱 동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2.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한 디지털 가전 등의 전자기기를 리모콘 조작하기 위해 서 각 전자기기에 짜넣어진 소프트웨어로서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를 탑재하는 것이 고려된다. 상기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리모콘 조작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뮤니케이터를 연동시켜도 좋다.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에 보존된 사진을 ADSL 경유로 친구에게 보내는 경우, 도 15와 같은 절차를 행한다.
ㆍ우선, 바로옆의 커뮤니케이터(10)에 들어가 있는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로 무선통신모듈 경유로 디지털 카메라(14)의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여 디지털 카메라(14)에 대해서 화상을 ADSL 경유로 보내고 싶다라는 내용을 통지한다 (S20). 이 조작은 통상의 리모콘과 마찬가지의 절차로 행한다.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14a)는 기기를 설정ㆍ관리하기 위한 화면을 커뮤니케이터(10)에 제공하는 것이고, 예컨대, WWW 서버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커뮤니케이터(10)의 브라우저(10a)에 기기 관리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ㆍ지령을 받는 디지털 카메라(14)가 그 지령에 따라서 동작한다(S23).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14)가 ADSL 터미널 어댑터(도시않함)를 통해서 지정된 어드레스에 화상을 보낸다.
ㆍ이 동작을 목적한대로 행하도록 커뮤니케이터(10)가 브라우저 상의 조작과 연동하여 각 기기의 접속을 관리한다. 예컨대, 이용자가 바로옆의 커뮤니케이터 (10)로 디지털 카메라(14)에 상기 지령을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행하면 커뮤니케이터(10)는 자동적으로 디지털 카메라(14)를 ADSL 터미널 어댑터에 접속한다(S21). 또한, 지령이 종료하면 커뮤니케이터(10)는 자동적으로 양자 간의 통신으로부터 이 탈한다(S22). 또한, 디지털 카메라(14)로부터 ADSL 터미널 어댑터에 모든 화상이 송신되면 디지털 카메라(14)와 ADSL 터미널 어댑터의 통신을 종료시킨다(S24).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의하면 통상의 리모콘으로 조작하도록 간단하게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1의 이용신 메모리(1a), 우선순위 기준메모리(1e)를 사용함으로써 각 신마다 최적의 상호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커뮤니케이터(10)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1의 요소[이용신 메모리(1a), 프로파일 및 드라이버 데이터베이스(1b), 음성인식부(1c), 사전부 (1d), 우선순위 기준메모리(1e), 표시부(2), 입력부(3), 무선통신모듈(4)]도 포함된다. 또한, 발명의 실시형태1의 방법은 우선순위의 적용을 포함하고, 모두 도 14, 도 15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신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무선링크기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끼리의 상호접속을 원활하게 행함과 아울러 상황 및/또는 용도에 맞추어서 동적으로 기기의 조합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단은 반드시 물리적수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수단의 기능이 2개이상의 물리적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또는, 2개이상의 수단 의 기능이 1개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Claims (24)

  1. 무선통신부;
    복수의 이용신(scene) 각각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상기 이용신마다의 정보 및 현재의 이용신이 상기 복수의 이용신 중 어느 하나인지를 특정하기 위한 해당 이용신에 고유의 하나 또는 복수의 특정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메모리;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 내의 특정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이용신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신 메모리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이용신마다의 정보 중에서, 판정된 이용신에 대응하는 것을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음성 사전부 및 이 음성사전부를 참조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신 메모리는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 서 이용신 고유의 전자기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프로토콜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정하는 프로파일 및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드라이버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상기 프로파일, 드라이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판정된 이용신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에서 발견할 수 없었을 때, 미리 정해진 다른 이용신의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용신은 복수의 장소에 적용되는 모바일신이고, 이 모바일신은 우선하여 설정되어 상기 이용신 메모리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이용신을 판정할 수 없었을 때, 판정된 이용신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에서 발견할 수 없었을 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황에서, 해당 이용신의 설정을 촉구하는 화면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통신을 포함하는 푸시형 서비스의 통지를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기기로부터 받았을 때, 그 사실을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통신범위 내에 다른 기기 상호접속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기기 상호접속장치와 이용신 메모리의 내용을 교환하고, 상기 이용신 메모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기억하는 우선순위 기준메모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일람을 표시하고, 상기 일람에 포함되며, 또한 그 이용신을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전자기기를,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이용신 메모리에 등록하고, 상기 우선순위 기준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일람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이용신 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할 때에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상호접속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기준메모리는 상기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로서 통신에 드는 비용, 통신속도, 네트워크 상의 거리, 경유 네크워크의 종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속성, 및 화면의 크기와 음질을 포함하는 제품속성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이동에 수반하여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우선순위 변경요구를 받지 않는 제1설정과, 외부로부터 우선순위 변경요구를 받는 제2설정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통 해서 통신범위 밖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 내의 정보와 비교하여 이용신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신 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밖에 존재하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을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16.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
    취득한 정보를 현재의 이용신(scene)이 복수의 이용신 중 어느 하나인지를 특정하기 위한 해당 이용신에 고유의 하나 또는 복수의 특정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용신을 판정하는 스텝;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이용신마다의 정보 중에서 판정된 이용신에 대응하는 것을 취득하는 스텝; 및
    취득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리더가 관리 하의 전자기기와 통신을 행하고, 그 내용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리더 경유로 통신을 행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방법.
  17. 삭제
  18. 무선통신부, 미리 정해진 이용신(scene)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테이블, 복수의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의 우선순위를 기억하는 우선순위 기준테이블,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기기 상호접속장치를 준비하는 스텝;
    상기 기기 상호접속장치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스캔하여 그 일람을 표시하는 스텝;
    상기 일람으로부터 상기 이용신을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전자기기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에 등록하는 스텝;
    상기 일람 내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는 스텝;
    상기 우선순위 기준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스텝; 및
    작성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에 격납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상호접속용 이용신 테이블 작성방법.
  19. 제16항에 기재된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20. 무선통신부, 미리 정해진 이용신(scene)에 있어서 존재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이용신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신 테이블, 복수의 전자기기 간의 상호접속의 우선순위를 기억하는 우선순위 기준테이블,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기기 상호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기기 상호접속장치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스캔하여 그 일람을 표시하는 스텝;
    상기 일람으로부터 상기 이용신을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전자기기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에 등록하는 스텝;
    상기 일람 내의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는 스텝;
    상기 우선순위 기준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스텝; 및
    작성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테이블에 격납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전자기기의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령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용신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한 후, 무선링크로부터 이탈하는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지령을 받은 상기 전자기기에 의한 처리를 완료하였을 때, 상호 접속한 전자기기 간의 통신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브라우저를 기동하는 스텝;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전자기기의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령하는 스텝;
    상기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 및
    취득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컴퓨터에,
    브라우저를 기동하는 스텝;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전자기기의 기기 관리화면 제공부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령하는 스텝;
    상기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 및
    취득된 상기 전자기기의 상호접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상호 접속하는 스텝을 추가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20037013646A 2001-04-19 2002-04-18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 KR100861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1517 2001-04-19
JPJP-P-2001-00121517 2001-04-19
PCT/JP2002/003867 WO2002087165A1 (fr) 2001-04-19 2002-04-18 Appareil et procede permettant de connecter des appareils a liaison radioelectrique, procede permettant de creer un tableau de situations exploitables pour une connexion d'appareils, et support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920A KR20040002920A (ko) 2004-01-07
KR100861538B1 true KR100861538B1 (ko) 2008-10-02

Family

ID=1897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13646A KR100861538B1 (ko) 2001-04-19 2002-04-18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48404A1 (ko)
EP (2) EP1811720B1 (ko)
JP (1) JP3932281B2 (ko)
KR (1) KR100861538B1 (ko)
CN (1) CN1227868C (ko)
CA (1) CA2444090C (ko)
WO (1) WO2002087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977B2 (en) * 1998-12-18 2007-06-19 Emc Corporation Messaging mechanism employing mailboxes for inter processor communications
JP3848235B2 (ja) * 2002-10-04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153438A (ja) * 2002-10-29 2004-05-27 Fujitsu Ltd 通信装置、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080316B2 (ja) * 2002-12-10 2008-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端末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4221908A (ja) * 2003-01-14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制御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可能な撮影画像出力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液晶プロジェクタ、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US20050010417A1 (en) * 2003-07-11 2005-01-13 Holmes David W. Simplified wireless device pairing
US7257372B2 (en) * 2003-09-30 2007-08-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luetooth enabled hearing aid
US8639819B2 (en) 2004-02-05 2014-01-28 Nokia Corporation Ad-hoc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4983005B2 (ja) 2005-04-12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優先接続装置、優先接続方法及び優先接続プログラム
JP4829563B2 (ja) * 2005-08-03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20070094279A1 (en) * 2005-10-21 2007-04-26 Nokia Corporation Service provision in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JP2008085789A (ja) * 2006-09-28 2008-04-10 Olympus Corp モバイル機器システムおよびモバイル機器
JP5138949B2 (ja) * 2007-02-07 2013-02-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ゲートウェイ装置
KR20090124588A (ko) * 2008-05-30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 연결방법 및 이를 적용한블루투스 기기
JP2010011064A (ja) * 2008-06-26 2010-01-14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
US8935436B2 (en) * 2009-02-18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trigger to support multiple user interfaces, environments, and/or virtual machines
BRPI1013143A2 (pt) 2009-08-21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para gerar informacoes de atividade de interacao em um segundo aparato, metodo para usar informacoes de atividade de interacao em um segundo aparelho, aparelho para gerrar informacoes de atividade de interacao, e aparelho para usar informacoes de atividade de interacao
US8612636B2 (en) 2009-08-2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JP2012244624A (ja) * 2012-04-16 2012-12-10 Kyocera Corp 仲介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KR101884351B1 (ko) * 2012-04-24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자동제어방법
JP6300855B2 (ja) * 2016-03-24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61539B2 (en) * 2017-03-31 2019-04-16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Separate clock synchronous architecture
US10986483B2 (en) * 2017-08-30 2021-04-20 Rakuten, Inc.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US11343752B2 (en) * 2017-08-30 2022-05-24 Rakuten Group, Inc.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CN107957687B (zh) * 2017-11-30 2021-07-09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互联设备功能的控制方法及装置
JP6584553B2 (ja) * 2018-02-28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577A (ko) * 1999-01-29 2000-08-25 포만 제프리 엘 인접 구역에서의 서비스 발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4830A (ja) 1996-03-13 1997-09-19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
US6477581B1 (en) * 1996-04-09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motion sensitive computer connection
US6523696B1 (en) * 1996-10-15 2003-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FI104866B (fi) * 1997-10-29 2000-04-14 Nokia Mobile Phones Ltd Paikallisverkko
US6175860B1 (en) * 1997-11-26 2001-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multi-rate wireless/wired computer network
DE59813674D1 (de) * 1998-05-02 2006-09-14 Micronas Gmbh Lokales Kommunikationsgerät
US6912580B1 (en) * 1999-01-27 2005-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shadow briefcase in servers supporting moving embedded clients
JP2000268047A (ja) * 1999-03-17 2000-09-29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0341208A (ja) * 1999-05-31 2000-12-08 Toshiba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4172120B2 (ja) * 1999-06-2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通信端末装置
JP2001069265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ウザー搭載の携帯端末装置
US6868385B1 (en) * 1999-10-05 2005-03-15 Yomobi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ignals based upon speech recognition
US7260638B2 (en) * 2000-07-24 2007-08-21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in a wireless network
US6718395B1 (en) * 2000-10-10 2004-04-06 Computer Access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inquiry response for synchroniz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US7093017B1 (en) * 2000-10-24 2006-08-15 Litepoint, Corp.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facilitating user interface roaming in an interface roaming network framework
US20020147766A1 (en) * 2001-04-04 2002-10-10 Marko Vanska Operating user profiles with distributed profile model using a hybrid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577A (ko) * 1999-01-29 2000-08-25 포만 제프리 엘 인접 구역에서의 서비스 발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2087165A1 (ja) 2004-11-25
CN1227868C (zh) 2005-11-16
CA2444090A1 (en) 2002-10-31
KR20040002920A (ko) 2004-01-07
CN1504032A (zh) 2004-06-09
EP1811720A3 (en) 2007-10-10
WO2002087165A1 (fr) 2002-10-31
EP1383278A4 (en) 2006-02-22
CA2444090C (en) 2011-06-14
JP3932281B2 (ja) 2007-06-20
EP1811720A2 (en) 2007-07-25
US20040148404A1 (en) 2004-07-29
EP1811720B1 (en) 2011-05-25
EP1383278A1 (en)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538B1 (ko)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기 상호접속장치 및 방법, 기기상호접속용 신테이블 작성방법 및 기록매체
KR101475525B1 (ko) 이동식 셀룰러 인핸서
JP4114814B2 (ja)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CN1883186B (zh) 移动无线存在及状况管理系统及方法
CN1866258B (zh) 数据共享系统和数据共享方法
US5909183A (en) Interactive appliance remot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CN101611613B (zh) 基于位置和公司服务等级约定来限制电子设备功能的使用
EP1324550B1 (en) Portable terminal with combined direct short haul radio and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US89344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among personalized and shared resources with a personalized portable device
US20050245233A1 (en) Establishing a home relationship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 sever in a wireless network
JP200809247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1502494A (ja) アドレス可能な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9088603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1047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238330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サービス移行方法
JP2004104531A (ja) 内線電話システム
JP4981299B2 (ja) PTT(PushToTalk)システム、携帯電話機、PTTサーバ
JP2008210397A (ja)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4925940B2 (ja) 携帯端末装置、マナーモード設定方法、マナー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80635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CN114071652A (zh) 一种绑定关系的建立方法以及相关设备
EP1542442A1 (en) Communication system
JP4477079B2 (ja) 携帯電話装置
JP4036656B2 (ja) サービス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制御装置のサービス制御方法及びサービス制御装置の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
CN104052783A (zh) 用于网络中的装置的应用程序连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