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354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354B1
KR100806354B1 KR1020050081953A KR20050081953A KR100806354B1 KR 100806354 B1 KR100806354 B1 KR 100806354B1 KR 1020050081953 A KR1020050081953 A KR 1020050081953A KR 20050081953 A KR20050081953 A KR 20050081953A KR 100806354 B1 KR100806354 B1 KR 10080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xt
data processing
colo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304A (ko
Inventor
송현종
차지혁
남기원
Original Assignee
송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종 filed Critical 송현종
Publication of KR2006011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3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저가 소란한 환경에서 PC를 통해 작업이나 게임을 하는 도중, 유저의 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정보를 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탑재로 인해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착신측 단말기 번호입력을 통한 통화 호출신호의 발생을 행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출신호에 대한 중계처리 및 문자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 및 통화 호출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문자데이터 또는 통화 호출정보를 별도의 문자데이터로 생성처리하여 전송하기 위한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화면 출력시켜 착신측 단말기의 수신상태를 출력하는 착신측 PC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등록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PC방에서 PC를 통한 작업이나 게임을 행하는 도중에도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메신저로 인터페이스시킬 수 있으므로 쉽게 어떤 발신자가 전화를 걸었는 지, 어떤 내용의 문자데이터가 도착했는 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착신 단말기로 특정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안되는 상황에서 착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컬러 문자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착신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OF A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패킷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6a, 16b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컬러문자, 동영상의 방송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컬러문자의 메신저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1,M2:발신측 모바일 단말기, M3,M4: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A1∼An:유저 PC, DPS:데이터처리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유저가 소란한 환경에서 PC를 통해 작업이나 게임을 하는 도중, 유저의 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 지 수신정보를 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탑재로 인해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원격 데이터 전송 시스템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유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저의 다양한 기호를 반영하여 최근에 급속하게 이동통신 관련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차세대 폰이 출시될 때마다 다양한 기능들을 내부에 탑재하고 있으므로 유저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세대 유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첨단화와 더불어 PC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에도 그 취향을 갖고 있는 바, 온라인 게임의 경우 서라운드 음향 효과를 위해 헤드폰을 사용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입체 음향이 출력된 상태에서 게임을 행하므로 현실감이 더욱 부여된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통상 가정이나 PC방등에서 이러한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세대를 거듭하면서 급속하게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유저가 온라인 게임 등을 즐기는 동안에는 해당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 호출신호나 SMS를 통한 문자데이터가 전송되어도 시끄러운 청각 환경에서는 이를 용이하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신세대의 경우에는 다양한 자신만의 개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서비스를 원하므로 자신만의 고유한 벨소리 등을 나타내기 위해 벨소리를 자신이 지정한 음악으로 출력되게 하는 서비스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자데이터의 경우에는 특정 문자에 특정한 색깔로 지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현재에는 전무한 것이 현실이었다. 물론, 착신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데이터의 색 전체를 변경시킬 수는 있지만, 발신자는 수신자의 단말기 화면에 출력되는 색상을 제어할 수는 없으며, 최근에는 MMS 폰을 통해 음악과 컬러문자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메일을 푸쉬방식으로 소망하는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여 출력시킬 수는 있으나, 이러한 멀티 메일은 웹에서 기생성된 양식의 화면에서 문자만을 입력하여 단일의 이미지 형태로 즉, JPG 등의 단일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므로 특정 문자의 색상을 변경시키거나 하는 기능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멀티메일의 경우에는 착신측 유저가 별도의 무선인터넷 비용을 들여가면서 그 내용을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메일이나 문자데이터의 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저가 발신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착신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발신자가 자신의 문자를 일부 컬러지정을 행할 수도 없음은 물론이고, 해당 문자메시지에 적합한 음악을 첨부하여 출력시킬 수도 없으므로 문자메시지 전송에 있어서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개성표현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 현 세대의 이동통신 문화에 있어서 이러한 문자메시지와 음악데이터의 결합이 필수적인 만큼 별도의 추가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문자메시지와 음악데이터를 동시에 출력시킬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가 소란한 환경에서 PC를 통해 작업이나 게임을 하는 도중, 유저의 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정보를 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패킷의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의 컬러색상지정 코드값 및 위치정보를 반송함으로서 별도의 비용 소요가 없어도 발신 유저가 소망하는 바대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를 특정 컬러로 지정 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자동 무선인터넷 접속 및 전송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상태에서, 발신 유저가 그 설정에 의해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 음악 코드값 및 무선인터넷접속 제어코드값을 함께 반송함으로써 착신 단말기는 해당 문자메시지의 수신과 함께 전송받은 음악코드값과 무선인터넷 접속제어 코드값을 통해 특정 서버에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해당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함으로써 착신 이동통신단말기가 문자메시지를 출력함과 동시에 음악데이터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러문자 전송을 중계하는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전송한 컬러문자 데이터를 서버에 일시 저장한 상태에서,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무선왑망을 매개로 해당 서버에 자동 접속되어 해당 문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버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편집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러문자를 편집/중계하는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 데이터를 서버에 일시 저장한 상태에서, 서버에서 임의의 컬러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편집하고,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무선왑망을 매개로 해당 서버에 자동 접속 되어 해당 컬러문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자가 컬러를 지정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가 특정 문장은 흰색바탕의 화면에서 출력 가능한 색상으로 지정하고, 특정 문장은 흰색 색상으로 지정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화면 배경색상을 변경하여 흰색으로 지정된 문장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러문자 전송 중계 및 케이블 방송으로의 출력을 위해 연계된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전송한 컬러문자 데이터 및 동영상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한 상태에서, 수신자에게 케이블 방송의 출력정보를 해당 케이블 방송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해당 케이블 방송데이터를 화면 출력하거나, TV를 통해 해당 케이블 방송의 문자 및 동영상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및 컬러지정값을 특정 수신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특정 수신자의 메신저 출력화면에 컬러로 지정된 문자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착신측 단말기 번호입력을 통한 통화 호출신호의 발생을 행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출신호에 대한 중계처리 및 문자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 및 통화 호출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문자데이터 또는 통화 호출정보를 별도의 문자데이터로 생성처리하여 전송하기 위한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화면 출력시켜 착신측 단말기의 수신상태를 출력하는 착신측 PC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등록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는 접속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웹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 내부의 프로토콜과 매칭시키기 위한 WEB 게이트웨이와;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버와;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WEB 게이트웨이, SMS 서버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착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의 등록정보 존 재여부에 따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접속모듈과;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온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접속감지 알고리즘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등록정보 전송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처리 알고리즘과;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전송 패킷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파일처리 알고리즘과; 통화호출 정보 또는 문자데이터의 전송파일을 리스트업하여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등록파일 설정 알고리즘과;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대기시키면서 관리하고, 차후 로그온 확인시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신저데이터 처리 알고리즘과; 각 유저로부터 업로드되는 전송 파일을 저장하고, 착신측 또는 발신측 유저의 설정에 따라 기등록된 프로필 정보를 각 유저별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온 상태를 파악하여, 해당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를 파일 변환하여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메신저의 로그온을 감지하여 데이터 전송 제어를 행하는 중앙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는 그 내부에 키조작에 의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의 자동 전송을 위한 키입력신호에 의해 해당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의 수 신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단일의 패킷으로 생성처리하고, 해당 패킷데이터를 기설정된 전송번호(데이터 처리서버의 번호) 또는 기등록된 SMS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 처리를 행하는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자동 전송기능이 설정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통화 호출신호나 문자데이터가 인가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해당 통화 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를 발신자 단말기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를 포함하는 단일의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해당 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그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통해 기등록된 메신저 ID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메신저 ID가 로그온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자동 전송기능이 설정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통화 호출신호나 문자데이터가 인가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해당 통화 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를 발신자 단말기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를 포함하는 단일의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에 접속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기설정된 데이터처리서버의 주소에 접속하는 과정과;
해당 패킷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그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통해 기등록된 메신저 ID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메신저 ID가 로그온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착신측 단말기 번호 입력을 통한 통화 호출신호의 발생을 행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출신호에 대한 중계처리 및 문자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각종 부가기능을 실행하는 지능망 교환기와;
착신측 단말기에 의해 데이터 인터페이스 설정 등록을 수행하며, 상기 지능망 교환기와 접속되어,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등록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데이터 처리서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지능망교환기에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등록하여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하는 과정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 또는 통화 호출신호가 전송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교환기가 해당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그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통해 기등록된 메신저 ID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메신저 ID가 로그온되었는 지를 판단하 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착신측 단말기 번호입력을 통한 통화 호출신호의 발생을 행하고, 데이터 처리서버에 특정 음악데이터 및 배경화면 데이터를 등록설정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출신호에 대한 중계처리 및 문자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 및 통화 호출신호를 인가받아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문자데이터 또는 통화 호출정보를 별도의 문자데이터로 생성처리하여 전송하기 위한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화면 출력시켜 착신측 단말기의 수신상태를 출력하는 착신측 PC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등록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발신자 모바일을 통해 미리 배경음악, 배경화면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정하고,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내부에 해당 배경음악, 배경화면 데이터를 포함시켜 처라하는 데이터 처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해당 착신측 인터페이스 데이터 수신시, 해당 데이터의 내부에 포함된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검색하여 배경화면 데이터 또는 배경음악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도록 처리하는 알고리즘이 더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데이터 처리서버에 특정 음악 및 배경화면 데이터가 등록설정되는 과정과;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자동 전송기능이 설정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통화 호출신호나 문자데이터가 인가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해당 통화 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를 발신자 단말기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를 포함하는 단일의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에 접속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기설정된 데이터처리서버의 주소에 접속하는 과정과; 해당 패킷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그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통해 기등록된 메신저 ID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메신저 ID가 로그온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패킷 데이터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등록된 배경음악과 배경화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배경음악, 화면 데이터를 포함한 통화호출데이터와, 문자데이터를 전송하 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문자지정신호, 특정 문자에 대한 칼러코드 지정, 칼러코드 지정을 행한 문자의 위치지정코드를 각각 발생시켜 문자데이터를 작성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문자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인가받아 칼러 지정코드 및 그 위치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데이터를 칼러 출력시키는 착신측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컬러 지정코드 및 위치데이터는 발신자 번호를 표시하는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컬러 지정코드 및 위치데이터는 문자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패킷데이터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문자지정신호, 특정 문자에 대한 컬러코드 지정, 컬러코드 지정을 행한 문자의 위치지정코드, 착신자 모바일번호 정보를 각각 발생시켜 문자데이터 패킷을 작성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문자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 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업로드받아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그 데이터 패킷의 내부에서 착신자 모바일 번호를 추출하여 문자데이터 수신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처리하여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처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문자데이터 수신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데이터 처리서버에 무선인터넷망을 매개하여 접속함으로써 수신된 문자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컬러 지정코드 및 그 위치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데이터를 컬러 출력시키는 착신측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처리서버로부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문자 수신정보의 내부에는 해당 서버의 URL값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며,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버와;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SMS 서버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발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컬러문자데이터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접속모듈과;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의 접속을 감지하기 위한 접속감지 알고리즘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컬러문자 데이터의 전송 중계에 따른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처리 알고리즘과; 업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 및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별도로 각각 저장하는 파일저장 알고리즘과; 상기 파일 저장 알고리즘으로부터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컬러문자 수신정보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수신측 통보 알고리즘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데이터를 저장하며, 해당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번호와의 접속경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컬러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저장하고,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데이터 수신여부를 통보하고, 서버의 URL 및 데이터 주소값을 통해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수신 데이터를 다운로드시키는 중앙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문자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기저장된 URL을 통해 무선인터넷을 구동시키고, 해당 URL 주소의 데이터 처리서버로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 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컬러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문자 수신데이터를 작성하는 과정과; 해당 데이터 패킷을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고, 확인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접속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 확인을 통해 기저장된 해당 발신자의 컬러문자 데이터 및 기타 첨부데이터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각 문자별 지정색상 코드값과, 지정 위치값을 이용하여 컬러 문자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문자 수신데이터를 작성하는 과정은 해당 데이터 내에 해당 서버의 URL값을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호입력을 행하고,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발신측 단말기와; 상 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문자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업로드받아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해당 문자데이터의 단어 및 어휘를 임의의 컬러코드값으로 지정하고, 해당 위치데이터를 컬러코드값과 매칭하는 편집을 행하며, 그 데이터 패킷의 내부에서 착신자 모바일 번호를 추출하여 문자데이터 수신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처리하여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처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문자데이터 수신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데이터 처리서버에 무선인터넷망을 매개하여 접속함으로써 수신된 문자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컬러 지정코드 및 그 위치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데이터를 컬러 출력시키는 착신측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그 내부에 다수의 특정 단어와, 해당 단어와 매칭되는 이모티콘이 저장되어져 있으며, 업로드된 문자데이터의 단어를 이모티콘이 연결된 단어와 비교하여 동일 단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동일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단어를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행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며,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버와;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SMS 서버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발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접속모듈와;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의 접속을 감지하기 위한 접속감지 알고리즘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문자 데이터의 전송 중계에 따른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처리 알고리즘과; 업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 및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별도로 각각 저장하는 파일저장 알고리즘과; 해당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해당 문자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및 어휘의 이격에 따라 각 단어나 어휘를 별개의 컬러로 임의 지정함으로써 컬러 문자데이터로 편집하는 파일편집 알고리즘과; 상기 파일 저장 알고리즘으로부터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컬러문자 수신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수신측 통보 알고리즘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데이터를 저장하며, 해당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번호와의 접속경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정 문자와 연결된 이모티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저장하고,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데이터 수신여부를 통보하고, 각 문자메시지의 단어 또는 어휘별로 임의의 컬러코드를 지정하고, 해당 컬러지정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컬러 문자로의 변환 편집을 행하며, 그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를 인식하여 해당 단어별 이모티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어를 연결된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토록 하고, 서버의 URL 및 데이터 주소값을 통해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수신 데이터를 착신자의 단말기(M3,M4)로 다운로드시키는 중앙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무선인터넷이나 SMS망을 통해 원격의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문자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데이터 패킷의 내부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문자데이터의 각 단어 및 어휘별로 임의의 컬러를 지정하고, 해당 컬러지정된 문자의 위치정보를 함께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문자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착신측 단말기 번호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착신측으로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문자메시지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문자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확인버튼의 키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을 감지하는 과정과;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저장된 컬러 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화면상에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를 이모티콘이 연결된 단어들과 비교하는 과정과; 해당 문자메시지의 단어중 어느 한 단어가 이모티콘이 연결된 단어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일치된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어를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호입력을 행하고, 내부에 기등록 단어와, 그 단어와 연결된 이모티콘 데이터를 내장하며,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단어를 등록 단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자동으로 일치된 단어에 대해 이모티콘 변환을 수행하고,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문자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 수신정보를 인가받아 화면 출력을 행하며, 내부에 기등록 단어와, 그 단어와 연결된 이모티콘 데이터를 내장하며,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단어를 등록 단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자동으로 일치된 단어에 대해 이모티콘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는 착신측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문자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문자메시지의 단어와, 이모티콘이 연결된 기등록 단어를 비교하는 과정과; 기등록 단어와 일치되는 단어를 자동으로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변경완료후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해당 데이터 패킷을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 패킷을 화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문자메시지의 단어를 이모티콘이 연결된 기등록 단어와 비교하는 과정과; 기등록 단어와 일치되는 단어를 자동으로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과; 그 상태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해당 문자에 대해 컬러 지정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해당 문장중에 암호화할 필요성이 있는 문장이 존재한다면, 해당 문장을 지정하여 흰색 컬러코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한 문장의 위치코드와 지정 컬러코드,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입력에 의해 문자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문자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내부에 탑재된 컬러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를 통해 해당 패킷으로부터 컬러코드 및 위치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컬러테이블을 통해 해당 문자데이터를 변경시키는 과정과; 해당 문자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과정과; 그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내에 포함된 바탕화면 변경 모드를 실행시키는 과정과; 전송받은 문자메시지 중에 흰색으로 지정된 문장이 바탕화변의 변경에 따라 화면 출력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과;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는 과정과; 해당 컬러문자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해당 문장중에 암호화할 필요성이 있는 문장이 존재한다면, 발신자를 해당 문장을 지정하여 흰색 컬러코드를 설정하여 흰색 컬러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컬러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문자 수신데이터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 확인을 통해 기저장된 해당 발신자의 컬러문자 데이터 및 기타 첨부데이터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각 문자별 지정색상 코드값과, 지정 위치값을 이용하여 컬러 문자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과; 해당 문자메시지 내에 암호화 문장이 포함된 경우라면,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바탕화면을 변경시켜 흰색으로 설정된 문장을 화면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전송된 문자메시지의 컬러코드를 판단하여, 흰색 컬러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만약 흰색 컬러코드가 포함된 경우라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 내에 암호가 포함되어 있음을 별도의 암호화 표시 아이콘을 착신자의 메시지 수신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문자지정신호, 특정 문자에 대한 컬러코드 지정, 컬러코드 지정을 행한 문자의 위치지정코드,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 착신자 모바일번호 정보를 각각 발생시켜 문자데이터 패킷을 작성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문자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업로드받아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 패킷을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케이 블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및 시간대정보를 인가받아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나, 각종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OSD로 출력시키기 위한 케이블 방송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방송 정보를 인가받아 화면 출력하는 착신측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인 경우에는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변경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하는 편집을 실행하도록 하며, 해당 발신자와 착신자 번호와 연계하여 문자메시지가 출력되는 방송 화면데이터를 캡쳐하여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해당 화면 캡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는 문자데이터, 동영상 및 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방송 화면에 출력시킬 때, 문자데이터와, 동영상/화상데이터를 각각 별도의 화면 영역에 출력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문자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고 방송화면에 함께 출력할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 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판단하여, 기설정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등록시키고, 해당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가 출력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시간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정보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해당 방송 화면 데이터를 캡쳐하는 과정과; 캡쳐된 방송화면 데이터를 각 착신자 및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착신자 또는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해당 방송 화면의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캡쳐 데이터를 다운로드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과정과; 특정 착신자와 메신저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전송할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특정 컬러코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의 컬 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메신저 서버를 매개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PC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PC가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를 확인하여 발신자를 확인하여 발신자 ID를 출력시키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문자데이터의 컬러코드와, 컬러 지정위치정보를 통해 문자데이터를 컬러로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내부에 탑재하고 있으면서 웹통신 모듈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컬러문자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컬러코드값을 지정 영역의 문장에 첨부하고, 해당 위치정보를 저장한 패킷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발신자 PC와; 상기 발신측 PC로부터 컬러 SMS 발송데이터에 의해 각 단어나 어휘, 문장별로 컬러를 지정한 문자데이터 및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 또는 각종 화상 및 동영상 정보를 업로드받고, 그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웹서버를 매개하여 접속되어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데이터나, 각종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OSD로 출력시키고, 해당 데이터가 출력되는 방송화면을 캡쳐하여 데이터처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메시지 출력 방송 정보를 전송받아 화면 출력하는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측 PC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과정과; 메신 저 입력창에 특정 문자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고 방송화면에 함께 출력할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PC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판단하여, 기설정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등록시키고, 해당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가 출력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시간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정보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는 해당 방송화면 데이터를 캡쳐하는 과정과; 상기 케이블 방송 서버가 해당 캡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캡쳐된 방송화면 데이터를 각 착신자 및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착신자 또는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해당 방송 화면의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캡쳐 데이터를 다운로드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 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유저가 소란한 환경에서 PC를 통해 작업이나 게임을 하는 도중, 유저의 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정보를 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신호출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통해 특정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특정 PC로 인터페이스 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중 한가지 방식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가 특정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시 특정 서버로 재송신하고, 그 특정 서버에서는 온라인 상에 메신저 로그온을 행하여 해당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가 가능한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호출 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는 데이터를 특정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져 있어야만 하고, 착신 유저의 설정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기설정된 서버로 전송하여야 한다.
또, 다른 하나의 방식은 이동통신 교환기(16)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중인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특정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측으로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먼저, 전자의 방식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가 특정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시 특정 서버로 재송신하고, 그 특정 서버에서는 온라인 상에 메신저 로그온을 행하여 해당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가 가능한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호출 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기등록하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유저의 PC(A1∼An)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 유저의 PC(A1∼An)에는 일반적인 공지의 메신저 기능을 가지며, 특정 서버로부터 전송되고,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M3,M4)로 인가된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의 도착정보 및 문자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기능이 더 포함된 전용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착신 유저의 PC(A1∼An)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종래의 기능을 포함하지만 종래의 어플리케이션은 아니며,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인터페이스받아 화면 출력 시키는 기능이 더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그 착신유저의 PC(A1∼An)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가 전송한 문자데이터 및 통화호출신호를 인터페이스하여 전송해야 한다. 이때,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그 내부에 자동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설정을 행하고, 그 설정에 따라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가 인가되었을 때, 기설정된 호출번호(예컨대, 기설정된 특정 모바일 단말기)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 또는 특정 SMS 서버(미도시)로 해당 호출신호 도는 문자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전송된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 모바일 단말기(미도시) 또는 SMS 서버를 그 내부에 포함하고, 메신저 서버가 내장된 데이터 처리서버(DPS)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측으로 무선인터넷을 통해 자동으로 접속하고, 그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자동 무선인터넷 접속에 대한 내용 역시도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되므로 SMS을 통해 해당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하는 통화 호출신호는 통화 호출정보를 나타내는 바, 해당 통 화 호출신호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인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와, 발신측 단말기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데이터이다. 따라서, 착신측 유저가 PC(A1∼An)를 통한 게임이나 작업중이었을 때, 그 착신측 유저의 PC(A1∼An)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온된 상태에서는 어떤 발신측 유저가 통화를 위한 호출신호를 발생하였는 지를 알 수 있으며, 해당 발신측 유저가 전송한 문자데이터를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무선 통화 호출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이 제공되는 바, 그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Base Station Transceiver; BTS)은 제 1 유저 및 제 2, 3, 4 유저가 각각 휴대하고 있는 제 1, 2, 3, 4 모바일 단말기(M1,M2,M3,M4)의 이동위치 부근에 다수개가 분포적으로 설치되고서, 어느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와 다른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2)가 이동하면서 음성통화 및 무선데이터의 전달/등록이 가능하도록 상대방측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음성 및 문자정보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이 구성되는 바, 그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과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A,14B)간을 중계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A,14B)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 신 기지국(10A,10B,10C,10D)의 정합기능과, 각 기지국 셀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는 예컨대,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M1)와 제 2 모바일 단말기(M2)가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서, 그 제 1 모바일 단말기(M1) 및 제 2 모바일 단말기(M2)의 상호 호접속을 시도하여 음성통화 및 문자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A)과 이동통신 중계국(12A) 및 이동통신 제어국(14)을 매개하여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M1)로부터의 호접속 시도신호를 인가받아 음성통화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어느 한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로부터 호접속시도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의 번호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3)의 번호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 내에 구비된 왑서버(WAPS) 또는 SMS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해당 통화 호출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로부터 전송된 인터페이스 정보 즉,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호 및 통화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에 따라, 해당 착신측 유저의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착신측 유저의 기등록된 메신저 ID에 따라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원격지에서 로그온된 상태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통화 호출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신측 유저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PC(A1∼An)를 통해 "010-123-4567 님으로부터 통화 호출신호가 접수되었습니다." 라는 통화 호출정 보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매개하여 화면 출력시킴으로써 어떤 발신측 유저가 통화를 위한 호출신호를 해당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로 인가하였는 지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착신측 유저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PC(A1∼An)를 통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로부터 NO. 7망을 통해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 내에 포함된 SMS서버를 매개하여 인터페이스되어 화면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로부터 어떤 내용의 문자데이터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로 인가되었는 지를 착신측 PC(A1∼An)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PC(A1∼An)를 통한 게임 또는 PC 작업을 행하는 도중,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가 원격지에 위치된 경우에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만 로그온된 상태라면 실시간으로 통화 호출정보 및 문자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에는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등록시키고,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해당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미리 등록된 유저별 메신저 ID를 통해 해당 메신저 ID의 로그온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라면, 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 처리한다.
따라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는 미리 인터페이스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인가된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기등록된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작성하고, 해당 서버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가 원격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식은 두가지 방식이 있으며,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기본적으로 통화 호출신호에 포함되는 발신측 단말기 번호 및 통화 호출신호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문자메시지 패킷의 형태로 생성하여 원격의 데이터 처리서버(DPS)의 내부에 포함된 SMS 서버(미도시)로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한 방식은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탑재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이 자동으로 왑망을 통해 특정 IP코드를 갖는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하여 통화 호출신호에 포함되는 발신측 단말기 번호 및 통화 호출신호임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게 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는 각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 번호 정보 및 신상정보, 메신저 ID 및 패스워드 등의 계정정보 등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1)에 저장되어져 있으며, 만약, 발신측 유저도 메신저를 설치한 회원인 경우라면 해당 발신측 유저의 프로필 정보 및 발신측 유저가 기등록한 정보를 별도로 제 2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하여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유저의 PC(A1∼An)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때 함께 전송토록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의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된 기본 정보는 예컨대, 성명이나 아이디, 인사말, 소속정보, 화상정보, 동영상 정보, 메일 어드레스 정보, 미니 홈페이지 정보 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DPS)는 그 내부에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를 포함한 통신모듈, 접속부, 인증센터, 중앙제어모듈, 데이터저장부, 접속모듈, 접속감지 알고리즘, 과금처리 알고리즘, 파일처리 알고리즘, 등록파일 설정 알고리즘, 메신저 데이터 처리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21)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는 접속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 23)는 웹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 내부의 프로토콜과 매칭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그러한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를 포함하고,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버(미도시)가 접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문자메시지의 형태나, 또는 상기 왑망을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 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상기 접속부(22)는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21)와 상기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 23), SMS 서버(미도시)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이다.
상기 접속모듈(30)은 상기 접속부(22)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착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의 등록정보 존재여부에 따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접속감지 알고리즘(32A)은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온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과금처리 알고리즘(32B)은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등록정보 전송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수단이며, 상기 파일처리 알고리즘(32C)은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전송 패킷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써, 예컨대 전송할 데이터가 통화 호출신호인 경우에는 수신한 발신측 데이터 및 통화호출 정보를 조합하여 "010-123-4567님으로부터 통화 호출신호가 00시 00분에 접수되었습니다."라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등록파일 설정 알고리즘(32D)은 통화호출 정보 또는 문자데이터의 전송파일을 리스트업하여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메신저데이터 처리 알고리즘(32E)은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대기시키면서 관리하고, 차후 로그온 확인시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알고리즘 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8)는 각 유저로부터 업로드되는 전송 파일을 저장하고, 착신측 또는 발신측 유저의 설정에 따라 기등록된 프로필 정보(화상, 동영상, 인사말, 메일주소, 아바타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각 유저별로 저장한다.
상기 중앙 제어모듈(26)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온 상태를 파악하여, 해당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를 파일 변환하여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메신저의 로그온을 감지하여 데이터 전송 제어를 행하는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기본적인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면서, 착신측 유저의 설정에 따라 통화 호출정보 및 수신한 문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3)는 키입력부(50)와, 표시부(52), 안테나, 듀플렉서(54), 수신부(56), 송신부(58), 음성처리부(64), 스피커(60), 마이크로폰(62), 메모리(66) 및, 제어부(6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키입력부(50)는 유저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 번호의 입력과, 문자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문자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을 갖추고 있는 바, 등록정보 설정모드의 실행에 따라 해당 유저의 등록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메시지의 코드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키 버튼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키입력부(50)는 등록정보 설정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버튼과, 상기 등록정보 설정모드 하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다수의 선택키 버튼 및 문자입력을 위한 입력키를 가지며, 호접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SEND 키는 호접속신호 발생 뿐만 아니라, 그 단말기가 왑망을 통해 기설정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후 입력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착신자의 등록정보 전송을 요구하는 시발점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대한 통화 호출정보 및 문자데이터의 자동 인터페이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예약 구동 설정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50)의 입력키는 등록정보를 직접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작성할 수 있는 한글입력 키버튼으로 사용되며,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입력버튼으로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52)는 상기 키입력부(50)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등록정보 설정모드 하에서의 등록정보 입력 및 그 첨부파일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호접속시 상대 모바일 단말기의 등록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52)는 상기 키입력부(50)의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메시지의 수신시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예약 구동 설정할 때, 그 예약 구동설정 정보를 화면 출력시킨다.
동 도면에서, 상기 듀플렉서(54)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부(56)는 상기 안테나와 듀플렉서(54)를 통해서 상대측 모바일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16)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며, 상기 송신부(58)는 상기 마이크로폰(62)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등록정보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64)는 상기 수신부(56)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60)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58)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66)는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수신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의 인터페이스 정보르 저장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어부(68)는 상기 키입력부(50)의 키조작에 의한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의 자동 전송을 위한 키입력신호에 의해 해당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부(56)를 통해 전송된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통화 호출정보 또는 문자데이터를 단일의 패킷으로 생성처리하고, 해당 패킷데이터를 기설정된 전송번호(데이터 처리서버의 번호) 또는 기등록된 SMS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8)의 내부에는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동으로 기등록된 서버로 전송 처리하기 위한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통화를 위한 발신측의 호출신호가 인가되거나, 문자데이터가 인가될 경우,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로 해당 통화 호출정보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이다. 그 첫 번째는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통화 호출신호나 문자데이터의 인가시, 자동으로 해당 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하여, 그 데이터 처리서버(DPS)를 매개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한, 두 번째 방식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자동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통화 호출신호나 문자데이터의 인가시, 자동으로 해당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전송 파일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데이터 처리서버(DPS)를 매개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며, 도 4a를 통해 구체적인 설 명한다.
세 번째 방식은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에 데이터 처리서버(DPS)를 접속하고,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 또는 착신측 유저의 PC(A1∼An)를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하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인가되는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를 통해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그 데이터 처리서버(DPS)를 매개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에는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 정보가 남지 않게 되며, 상세 내용은 도 4b를 통해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착신자는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탑재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에 메신저로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한다. 즉, 착신자는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탑재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에 예약 구동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발신자가 문자 메시지(또는 통화 호출신호)를 작성하고, 특정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게 되면, 해당 문자데이터는 NO.7망을 통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수신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그 제어부(68)에 설정된 바대로, 상기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해당 문자데이터와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조합한 패킷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자동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고, 기등록된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미리 생성한 패킷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유저번호에 따라,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ID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만약,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라면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패킷 데이터를 출력시키면서, 문자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고, 해당 발신자 정보를 화면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조작하여 통화 호출신호를 발생하면, 해당 통화 호출신호는 중계기를 경유하여,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수신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그 제어부(68)에 설정된 바대로, 상기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을 자동으로 구동시켜 해당 통화 호출신호와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조합한 패킷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자동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고, 기등록된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미리 생성한 패킷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유저번호에 따라,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ID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만약,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라면 데이터 처리서버 (DPS)는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패킷 데이터를 출력시키면서, 해당 패킷 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킴으로써 착신자는 어떤 발신자가 통화를 위한 호출신호를 발생시켰는 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SMS 서버(미도시)가 내부에 탑재된 지능망 교환기(도 1의 이동통신 교환기와 동일)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를 접속한 상태에서, 착신자가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망을 매개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하여 해당 착신자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한다.
그 상태에서, 발신자가 문자 메시지(또는 통화 호출신호)를 작성하고, 특정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게 되면, 해당 문자데이터는 NO.7망을 상기 지능망 교환기에 부가된 SMS 서버로 인가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는 해당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M3,M4)의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한 질의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행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자의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전송한다.
만약, 착신자가 미리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한 상태라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는 해당 문자데이터나 통화 호출신호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유저번호에 따라,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ID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만약,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라면 데이터 처리서버 (DPS)는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패킷 데이터를 출력시키면서, 문자데이터(또는 통화 호출정보)를 화면 출력시키고, 해당 발신자 정보를 화면 출력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측 유저의 설정에 따라 착신측 유저로의 문자데이터 또는 통화 호출신호의 전송시 기등록된 배경화면이나 배경음악을 지정하여 함께 착신측 메신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시스템은 착신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자동 무선인터넷 접속 및 전송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상태에서, 발신 유저가 그 설정에 의해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 음악 코드값 및 무선인터넷접속 제어코드값을 함께 반송함으로써 착신 단말기는 해당 문자메시지의 수신과 함께 전송받은 음악코드값과 무선인터넷 접속제어 코드값을 통해 특정 서버에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해당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함으로써 착신 이동통신단말기가 문자메시지를 출력함과 동시에 음악데이터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는 발신측 유저 및 착신측 유저가 모두 데이터 처리서버(DPS)에서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상태에서, 미리 발신측 유저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특정 배경화면 및 배경음악을 등록하여야 한다. 그 상태에서, 착신측 유저가 그 모바일 단말기(M3,M4)의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DTA)을 예약 설정하여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를 자동으로 메신저로 인터페이스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데이터 패킷의 내부에 배경음악 정보 또는 배경화면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해당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그 내부에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를 포함한 통신모듈, 접속부, 인증센터, 중앙제어모듈, 데이터저장부, 접속모듈, 접속감지 알고리즘, 과금처리 알고리즘, 파일처리 알고리즘, 등록파일 설정 알고리즘, 메신저 데이터 처리알고리즘, 배경화면/음악 지정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21)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는 접속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 23)는 웹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 내부의 프로토콜과 매칭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그러한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를 포함하고,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 버(미도시)가 접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문자메시지의 형태나, 또는 상기 왑망을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상기 접속부(22)는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21)와 상기 WEB 게이트웨이(WEB Gateway: 23), SMS 서버(미도시)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이다.
상기 접속모듈(30)은 상기 접속부(22)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착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의 등록정보 존재여부에 따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접속감지 알고리즘(32A)은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온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과금처리 알고리즘(32B)은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등록정보 전송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수단이며, 상기 파일처리 알고리즘(32C)은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전송 패킷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써, 예컨대 전송할 데이터가 통화 호출신호인 경우에는 수신한 발신측 데이터 및 통화호출 정보를 조합하여 "010-123-4567님으로부터 통화 호출신호가 00시 00분에 접수되었습니다."라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등록파일 설정 알고리즘(32D)은 통화호출 정보 또는 문자데이터의 전송파일을 리스트업하여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메신저데이터 처리 알고리즘(32E)은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 션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프로토콜을 변경시키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대기시키면서 관리하고, 차후 로그온 확인시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배경화면/음악지정 알고리즘(32F)은 발신자가 미리 특정 배경화면 및 음악데이터를 업로드한 상태에서 데이터 포함지정을 행하고, 차후 특정 착신자측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할 때, 해당 배경음악 및 배경화면이 해당 패킷 데이터에 함께 포함되도록 처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8)는 각 유저로부터 업로드되는 전송 파일을 저장하고, 착신측 또는 발신측 유저의 설정에 따라 기등록된 프로필 정보(화상, 동영상, 인사말, 메일주소, 아바타 정보를 포함한 정보, 배경음악 정보, 음악 정보)를 각 유저별로 저장한다.
상기 중앙 제어모듈(26)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온 상태를 파악하여, 해당 통화 호출신호 또는 문자데이터를 파일 변환하여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메신저의 로그온을 감지하여 데이터 전송 제어를 행하며, 해당 발신자 번호를 통해 발신자가 미리 저장한 배경화면 및 음악데이터를 복사하여 해당 데이터 패킷내부에 포함되게 처리하여 전송하는 제어수단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 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먼저 상기 발신측 유저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웹망이나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상태에서 특정 음악데이터 또는 특정 배경화면 데이터를 등록시킨다.
그 상태에서, 착신측 유저가 웹망이나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면, 그 상태에서, 발신자가 문자 메시지(또는 통화 호출신호)를 작성하고, 특정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게 되면, 해당 문자데이터는 NO.7망을 상기 지능망 교환기에 부가된 SMS 서버로 인가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는 해당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M3,M4)의 인터페이스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착신자가 미리 인터페이스 설정을 행한 상태라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는 해당 문자데이터나 통화 호출신호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유저번호에 따라,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 ID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만약, 해당 착신측 유저의 메신저가 로그온된 상태라면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발신측 유저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별도로 기등록된 배경음악이나 배경화면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등록된 배경음악이나 배경화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착신측 메신저로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 배경음악과 배경화면을 포함하여 패킷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해당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패킷 데이터를 출력시키면서, 문자데이터(또는 통화 호출정보)를 화면 출력시키고, 해당 발신자 정보를 포함한 배경음악 및 배경화면 데이터를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패킷의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의 컬러색상지정 코드값 및 위치정보를 반송함으로서 별도의 비용없이도 발신 유저가 소망하는 바대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를 특정 칼라로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별도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로, 그 발신측 문자데이터의 패킷내부에 컬러지정 코드 및 해당 컬러가 출력되는 문자의 위치코드를 함께 실어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없이도 발신 유저가 소망하는 바대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를 특정 칼라로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며, 바람직하게 발신번호를 표시 하는 패킷의 여유공간에 컬러지정 코드 및 해당 컬러가 출력되는 문자의 위치코드를 탑재하는 것이 좋다. 통상 수십 바이트의 여유 공간이 있으므로 그 공간을 활용하여 해당 코드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는 그 내부에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를 제어하는 제어부(68')가 구비되어져 있고, 칼라코드 데이터 및 위치지정 코드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66)가 구비되어져 있다. 기타 통상의 모바일 기능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상기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는 문자데이터의 내부 또는 발신자 표시를 위한 데이터 내부에 컬러코드 및 컬러문자의 위치데이터를 포함하여 패킷을 형성하고, 전송된 해당 패킷데이터로부터 컬러코드 및 컬러문자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를 지정된 컬러로 변환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프로세서이며,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M1,M2,M3,M4)에 탑재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8')는 상기 키입력부(50)로부터의 키신호에 따라 특정 문자데이터를 컬러지정 코드와 연결시키고, 해당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를 구동 제어하는 수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패킷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문자데이터의 패킷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헤더(H)와, 문자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Ca)와, 발신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Cb)로 이루어지는 바, 그 발신자 번호 데이터(Cb)의 내부에 칼라 위치와, 지정 칼라코드를 탑재한다. 그리고, 패킷의 최후단에는 데이터를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T)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측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M1)를 이용하여 문자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해당 문자에 대해 칼라 지정 코드를 선택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에는 칼라 테이블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발신측 유저는 해당 칼라 색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시키면서 코드선택을 행한다. 그리면 유저가 선택한 위치코드와 지정 칼라코드에 의해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를 구동시킴으로써 그 코드를 포함한 문자데이터 패킷이 생성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해당 문자데이터가 전송되면, 그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가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그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 내부에 탑재된 상기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65)는 해당 패킷으로부터 컬러코드 및 위치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칼러테이블을 통해 해당 문자데이터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해당 문자데이터를 화면 출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착신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자동 무선인터넷 접속 및 전송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상태에서, 발신 유저가 그 설정에 의해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 음악 코드값 및 무선인터넷접속 제어코드값을 함께 반송함으로써 착신 단말기는 해당 문자메시지의 수신과 함께 전송받은 음악코드값과 무선인터넷 접속제어 코드값을 통해 특정 서버에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해당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함으로써 착신 이동통신단말기가 문자메시지를 출력함과 동시에 음악데이터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제 3 실시예에서 칼라 코드를 문자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특정 음악코드 및 무선인터넷 자동접속을 위한 제어데이터와, 특정 무선인터넷 URL값을 함께 문자데이터에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착신측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M3,M4)를 통해 해당 문자데이터를 출력시키면 자동으로 특정 서버에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지정 음악을 출력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에는 해당 제어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접속 및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져 있다.
먼저, 발신측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M1)를 이용하여 문자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그 모바일 단말기(M1)에 기저장된 특정 음악을 선택하고 해당 문자데이터에 대해 해당 음악코드를 포함시키도록 키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 음악 지정/출력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음악코드를 포함한 문자데이터 패킷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M1)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특정 음악코드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음악 코드를 지정한 다음, 문자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단,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를 통해 음악코드 및 무선인터넷 자동 접속 제어코드가 포함된 문자데이터가 생성되면,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한다. 그러면, 그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가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그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 내부에 탑재된 상기 음악 생성/출력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무선인터넷 자동 접속코드를 통해 구동되어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특정 음악데이터 제공서버에 접속되어 해당 음악코드와 일치되늰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문자데이터의 출력과 더불어 해당 음악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컬러문자 전송을 중계하는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전송한 컬러문자 데이터를 서버에 일시 저장한 상태에서,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무선왑망을 매개로 해당 서버에 자동 접속되어 해당 문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버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편집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문자데이터를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중계하는 서버를 통해 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발신자로부터 착신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인 바,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직접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별도의 서버(DSP)에 전송할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다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를 통해 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보다 대용량의 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컬러 정보를 그 문자메시지 전송용량에 국한받지 않으면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는 각 단어 및 어휘별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컬러코드 및 해당 컬러코드가 설정된 위치를 별도로 지정하도록 하며, 해당 지정값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문자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고, 서버(DPS)로 전송케 하고, 중계를 위한 데이터처리서버(DPS)는 해당 수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무선인터넷망이나 SMS망인 NO.7망을 통해 해당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그 데이터 패킷내에서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3,M4)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문자메시지 수신에 대한 정보와, 해당 서버의 URL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키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저장된 문자메시지와 기타 데이터를 다운로드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발신측과 착신측사이의 데이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무선 통화 호출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이 제공되는 바, 그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Base Station Transceiver; BTS)은 제 1 유저 및 제 2, 3, 4 유저가 각각 휴대하고 있는 제 1, 2, 3, 4 모바일 단말기(M1,M2,M3,M4)의 이동위치 부근에 다수개가 분포적으로 설치되고서, 어느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와 다른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2)가 이동하면서 음성통화 및 무선데이터의 전달/등록이 가능하도록 상대방 측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음성 및 문자정보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이 구성되는 바, 그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과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A,14B)간을 중계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A,14B)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의 정합기능과, 각 기지국 셀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는 예컨대,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M1)와 제 2 모바일 단말기(M2)가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서, 그 제 1 모바일 단말기(M1) 및 제 2 모바일 단말기(M2)의 상호 호접속을 시도하여 음성통화 및 문자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A)과 이동통신 중계국(12A) 및 이동통신 제어국(14)을 매개하여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M1)로부터의 호접속 시도신호를 인가받아 음성통화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어느 한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로부터 컬러 SMS 발송 키신호를 조작하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가 기저장된 URL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되어, 각 단어나 어휘, 문장별로 컬러를 지정한 문자데이터 및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 또는 각종 화상 및 동영상 정보를 업로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 내에는 무선인터넷망을 형성하기 위한 왑서버(WAPS) 및 SMS 서버(미도시)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내에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컬러문자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정보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정보는 SMS망인 NO.7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부에는 해당 서버의 URL값을 더 포함케 함으로써 착신자가 확인키만을 조작하여도 자동으로 무선인터넷이 실행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일단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하게 되면 해당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서버가 전송하는 정보내에는 별도로 다운로드할 데이터 주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하에서 구동되는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 M4)의 내부에는 컬러 문자메시지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의 URL값을 연계하여 실행하고, 데이터 내부에 포함된 URL 값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무선인터넷을 구동시키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한다. 또한, 쌍방이 전송받은 컬러문자데이터를 정확하게 컬러의 형식으로 출력하기 위해서도 역시 컬러코드값을 인식하고, 해당 위치설정값에 따라 정확하게 컬러문자를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컬러문자를 출력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져 있어야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DPS)는 그 내부에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를 포함한 통신모듈, 접속부, 인증센터(AUC), 중앙제어모듈, 데이터저장부, 접속모듈, 접속감지 알고리즘, 과금처리 알고리즘, 파일저장 알고리즘, 수신측 통보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70)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는 접속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그러한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를 포함하고,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버(미도시)가 접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문자메시지의 형태나, 또는 상기 왑망을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컬러 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전송받게 된다.
상기 접속부(72)는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70)와 SMS 서버(미도시)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이다.
상기 접속모듈(75)은 상기 접속부(72)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발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측 단말기(M1,M2)로부터 전송된 컬러문자데이터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접속감 지 알고리즘(76A)은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의 접속을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과금처리 알고리즘(76B)은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컬러문자 데이터의 전송 중계에 따른 과금을 처리하는 수단이며, 상기 파일저장 알고리즘(76C)은 업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번호 및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를 별도로 각각 저장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상기 과금처리 알고리즘(76B)은 데이터의 업로드를 행하는 발신자와,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착신자 모두에게 과금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신측 통보 알고리즘(76D)은 상기 파일 저장 알고리즘(76D)으로부터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컬러문자 수신정보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알고리즘인 바, 예컨대 수신한 데이터가 컬러 문자데이터인 경우에는 발신측 모바일 정보 및 컬러문자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합하여 "010-123-4567님으로부터 컬러문자메시지가 00시 00분에 접수되었습니다."라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78)는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업로드된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데이터를 저장하며, 해당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번호와의 접속경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상기 중앙 제어모듈(80)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컬러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저장하고,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로 데이터 수신여부를 통보하고, 서버의 URL 및 데이터 주소값을 통해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수신 데이터를 다운로드시키는 제어수단이다.
상기한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 사이의 대용량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중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를 이용하여 착신자가 희망하는 시간에 문자데이터나 기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자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기저장된 URL을 통해 무선인터넷을 구동시키고, 해당 URL 주소의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하게 된다. 접속후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 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고, 컬러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등록시킨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문자 수신데이터를 작성하고, 해당 데이터 내에 해당 서버의 URL값을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를 확인하여 누가 문자데이터를 전송하였는 지를 확인한 후에, 확인버튼(미도시)을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에 첨부된 URL값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자동 접속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 확인을 통해 기저장된 해당 발신자의 컬러문자 데이터 및 기타 첨부데이터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다운로드시킨다. 그로인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각 문자별 지정색상 코드값과, 지정 위치값을 이용하여 컬러 문자를 화면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실행되는 본 발명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업로드된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착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착신자는 해 당 문자데이터가 일방적으로 전송되어 화면 출력되는 것이 아니고, 희망하는 시간에 다운로드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프라이버시를 더욱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처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컬러문자를 편집/중계하는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 데이터를 서버에 일시 저장한 상태에서, 서버에서 임의의 컬러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편집하고,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 수신여부를 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무선왑망을 매개로 해당 서버에 자동 접속되어 해당 컬러문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자가 컬러를 지정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컬러 문자메시지의 효과를 그대로 가지면서 문자데이터의 작성 시간을 감소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실시예로서, 발신자가 흑색으로 이루어진 일반 문자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하게 되면, 서버가 떨어져 있는 단어 및 어휘별로 임의의 색상을 지정하고, 착신자가 이를 다운로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본적인 구성이나, 동작에 있어서는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나, 제 6 실시예에서는 컬러문자를 전송하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컬러문자를 발신자가 직접 작성하 지 않아도 되므로 편의성이 높으며, 서버는 임의의 문자에 대한 컬러색상 지정을 행하는 편집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문자데이터의 이모티콘 편집 기능을 갖는다. 예컨대, 발신자가 모바일 단말기(M1,M2)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문자데이터의 문장이 "사랑하는 ????님의 눈동자는 별과 같아요."와 같다고 가정하면,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받은 서버는 임의대로 "사랑하는 ????님의 눈동자는 ☆과 같아요."와 같은 이모티콘(☆)을 첨부하는 편집을 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모티콘 편집 기능 역시도, 착신자가 별도의 지정을 행하지 않아도 서버에서 자동으로 편집하도록 함으로써, 그 전송할 문자데이터의 시각적인 효과는 매우 높아지고, 문자데이터를 작성하는 착신자의 작성 시간은 일반 문자데이터를 입력하는 시간과 동일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상기한 문자데이터의 컬러지정 기능과, 이모티콘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서버(DPS)가 포함되는 바, 그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내부에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를 포함한 통신모듈, 접속부, 인증센터(AUC), 중앙제어모듈, 데이터저장부, 접속모듈, 접속감지 알고리즘, 과금처리 알고리즘, 파일저장 알고리즘, 파일편집 알고리즘, 수신측 통보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81)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사이의 WAP Proxy 라 불리우는 접속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데이터를 서버가 해석 가능한 프 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그러한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를 포함하고, NO.7망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SMS 서버(미도시)가 접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문자메시지의 형태나, 또는 상기 왑망을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컬러 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전송받게 된다.
상기 접속부(82)는 상기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 81)와 SMS 서버(미도시)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의 내부 모듈과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이다.
상기 접속모듈(86)은 상기 접속부(82)로부터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발신측 유저의 단말기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발신측 단말기(M1,M2)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경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접속감지 알고리즘(88A)은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의 접속을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과금처리 알고리즘(88B)은 데이터 인터페이스 신호 발생시 문자 데이터의 전송 중계에 따른 과금을 처리하는 수단이며, 상기 파일저장 알고리즘(88C)은 업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번호 및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를 별도로 각각 저장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상기 과금처리 알고리즘(88B)은 데이터의 업로드를 행하는 발신자와,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착신자 모두에게 과금처리를 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일편집 알고리즘(88D)은 해당 발신측 단말기(M1,M2)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해당 문자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및 어휘의 이격에 따라 각 단어 나 어휘를 별개의 컬러로 임의 지정함으로써 컬러 문자데이터로 편집하는 알고리즘으로서, 그 파일편집 알고리즘(88D)은 각 단어 및 어휘에 특정 컬러코드값을 부여하고, 해당 단어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를 통해, 발신자는 일반 문자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송하였지만, 착신자는 컬러 문자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일편집 알고리즘(88D)은 데이터 저장부(9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특정 단어와, 각 단어별로 연결된 이모티콘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업로드한 문자데이터중 일부 단어를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행할 수 있는 바, "사랑하는 ????님의 눈동자는 별과 같아요."와 같은 문장을 업로드받아, "별"이라는 단어에 "☆"의 이모티콘이 연결된 경우,"사랑하는 ????님의 눈동자는 ☆과 같아요."와 같은 문장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측 통보 알고리즘(88E)은 상기 파일 저장 알고리즘(88D)으로부터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컬러문자 수신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알고리즘인 바, 예컨대 수신한 데이터가 컬러 문자데이터인 경우에는 발신측 모바일 정보 및 컬러문자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합하여 "010-123-4567님으로부터 컬러문자메시지가 00시 00분에 접수되었습니다."라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90)는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업로드된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데이터를 저장하며, 해당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번호와의 접속경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정 문자와 연결된 이모 티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중앙 제어모듈(92)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저장하고, 그 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데이터 수신여부를 통보하고, 각 문자메시지의 단어 또는 어휘별로 임의의 컬러코드를 지정하고, 해당 컬러지정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컬러 문자로의 변환 편집을 행하며, 그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를 인식하여 해당 단어별 이모티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어를 연결된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토록 하고, 서버의 URL 및 데이터 주소값을 통해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수신 데이터를 착신자의 단말기(M3,M4)로 다운로드시키는 제어수단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전송할 문자데이터를 작성하고,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무선인터넷이나 SMS망을 통해 원격의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문자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90)에 저장한 상태에서, 해당 데이터 패킷의 내부에 포함된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 번 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해당 문자데이터의 각 단어 및 어휘별로 임의의 컬러를 지정하고, 해당 컬러지정된 문자의 위치정보를 함께 설정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문자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착신측 단말기 번호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착신측으로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한다. 예컨대, 수신한 데이터가 컬러 문자데이터인 경우에는 발신측 모바일 정보 및 컬러문자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합하여 "010-123-4567님으로부터 컬러문자메시지가 00시 00분에 접수되었습니다."라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를 이모티콘이 연결된 단어들과 비교하여, 해당 문자메시지의 단어중 어느 한 단어가 이모티콘이 연결된 단어와 일치할 경우에는 해당 단어를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랑하는 ????님의 눈동자는 별과 같아요."와 같은 문장을 업로드받아, "별"이라는 단어에 "☆"의 이모티콘이 연결된 경우,"사랑하는 ????님의 눈동자는 ☆과 같아요."와 같은 문장으로 변경하는 편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부터 전송받은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착신자가 확인버튼 등의 키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된 문자메시지 수신정보의 내부에는 해당 서버의 URL값이 포함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접속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저장된 컬러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다운로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화면상에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특정 단어의 이모티콘 데이터로의 변경은 서버에 필수적으로 접속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고, 각 단말기 내부에 특정 단어와, 그 단어와 연결된 이모티콘 변경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라면 단말기 자체에서 자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a, 16b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자가 특정 문장은 흰색바탕의 화면에서 출력 가능한 색상으로 지정하고, 특정 문장은 흰색 색상으로 지정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화면 배경색상을 변경하여 흰색으로 지정된 문장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바탕화면은 흰색바탕으로 지정되어져 있으므로 흰색컬러로 지정된 문자데이터에 대해서는 화면상 출력된다고 하여도 해당 문 자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다양한 암호화 방법이 이동통신 기술에 존재하지만 이러한 암호화방법은 난수표에 의해 이루어진 방법이므로 매우 복잡하고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야 하며 프로세서나 CPU의 부하에 부담이 되고, 배터리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하게 컬러 문자를 지정하고, 배경화면을 변경시킴으로써 특정 문장에 대한 암호화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러한 기술의 기반은 문자데이터에 대해 컬러를 지정한다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어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의 바탕화면과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하여 일부 문장을 별도의 바탕화면 변경전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한 가지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대, 모바일 단말기 간의 직접 문자데이터 전송 방법이며,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중계 서버의 경유를 통해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물론, 이러한 두가지 방법 역시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전송하는 방법에서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두 방법의 내용이 전혀 다른 것은 아니다. 단지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서버에서 문자 수신정보를 착신측으로 전송할 때, 흰색 지정 문자가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 수신정보 전송시, 암호 문장이 포함되었음을 별도의 아이콘이나 이모티콘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도 16a는 모바일 단말기대 모바일 단말기간의 컬러 문자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발신측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M1)를 이용하여 문자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해당 문자에 대해 칼라 지정 코드를 선택한다. 만약, 해당 문장중에 암호화할 필요성이 있는 문장이 존재한다면, 발신자를 해당 문장을 지정하여 흰색 컬러코드를 설정하여 흰색 컬러로 변경 설정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는 컬러 테이블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발신측 유저는 해당 컬러 색상테이블을 이용하여 화면을 통해 컬러를 출력시켜가면서 코드선택을 행한다. 그리면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는 선택한 문장의 영역, 즉 위치코드와 지정 컬러코드,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입력에 의해 문자데이터 패킷이 생성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발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해당 문자데이터가 전송되면, 그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가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그 착신측 유저의 모바일 단말기(M3,M4) 내부에 탑재된 칼라 문자 패킷 형성/출력 프로세서(미도시)는 해당 패킷으로부터 컬러코드 및 위치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컬러테이블을 통해 해당 문자데이터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해당 문자데이터를 화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착신자는 전송받은 문자메시지 내에 암호화 문장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그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사용자 설정내에 포함된 바탕화면 변경 모드를 실행시킴으로써 바탕화면의 색상을 어두운 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전송받은 문자메시지 중에 흰색으로 지정된 문장이 존재한다면 바탕화변의 변경에 따라 해당 흰색 지정 문자가 화면으로 인식 가능하게 출력되게 될 것 이다.
도 16b는 중계 서버를 매개하여 암호화 문장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만약, 해당 문장중에 암호화할 필요성이 있는 문장이 존재한다면, 발신자를 해당 문장을 지정하여 흰색 컬러코드를 설정하여 흰색 컬러로 변경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기저장된 URL을 통해 무선인터넷을 구동시키고, 해당 URL 주소의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하게 된다. 접속후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고, 컬러문자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등록시킨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문자 수신데이터를 작성하고, 해당 데이터 내에 해당 서버의 URL값을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전송된 문자메시지의 컬러코드를 판단하여, 흰색 컬러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흰색 컬러코드가 포함된 경우라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문자메시지 내에 암호가 포함되어 있음을 착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별도의 암호화 표시 아이콘 예컨대, ??, ??등의 표시아이콘을 착신자에게 발송할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는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를 확인하여 누가 문자데이터를 전송하였는 지, 해당 문자메시지에는 암호화 문장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 후에, 확인버튼(미도시)을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에 첨부된 URL값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자동 접속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번호 확인을 통해 기저장된 해당 발신자의 컬러문자 데이터 및 기타 첨부데이터를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다운로드시킨다. 그로인해, 상기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의 내부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각 문자별 지정색상 코드값과, 지정 위치값을 이용하여 컬러 문자를 화면 출력시키게 된다.
만약, 해당 문자메시지 내에 암호화 문장이 포함된 경우라면, 착신자를 모바일 단말기(M3,M4)의 바탕화면을 변경시켜 흰색으로 설정된 문장을 화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중요한 문장이나, 프라이버시를 특히 확보해야되는 문장의 경우, 타인에게 해당 문장의 화면출력을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연인끼리의 문장 전송에 있어서도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컬러문자 전송 중계 및 케이블 방송으로의 출력을 위해 연계된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전송한 컬러문자 데이터 및 동영상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한 상태에서, 수신자에게 케이블 방송의 출력정보를 해당 케이블 방송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해당 케이블 방송데이터를 화면 출력하거나, TV를 통해 해당 케이블 방송의 문자 및 동영상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자가 케이블 방송 서버와 연계된 데이터 처리서버로 문자데이터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해당 데이터 처리서버가 문자데이터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하고, 해당 데이터의 출력시간이나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메시지의 착신자 및 발신자에게 이를 통보함으로써 해당 시간대에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케이블 방송 화면상에 문자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해당 프로그램정보를 발신자 및 착신자에게 신속하게 전송하는 기술이 전무하였으며,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의 출력 기술이 전무하였으므로 문자데이터가 어느 프로그램의 어느 시점에 출력되는 지를 알지 못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낮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별도의 중계서버를 통해 과금은 물론이고, 대용량 데이터의 용량 변경 편집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의 출력 시간대나 프로그램 정보를 발신자 및 착신자에게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높은 기술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무선 통화 호출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이 제공되는 바, 그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Base Station Transceiver; BTS)은 제 1 유저 및 제 2, 3, 4 유저가 각각 휴대하고 있는 제 1, 2, 3, 4 모바일 단말기(M1,M2,M3,M4)의 이동위치 부근에 다수개가 분포적으로 설치되고서, 어느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와 다른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2)가 이동하면서 음성통화 및 무선데이터의 전달/등록이 가능하도록 상대방측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음성 및 문자정보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이 구성되는 바, 그 이동통신 중계국 (12A,12B,12C,12D)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과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A,14B)간을 중계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A,14B)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중계국(12A,12B,12C,12D)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A,10B,10C,10D)의 정합기능과, 각 기지국 셀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는 예컨대,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M1)와 제 2 모바일 단말기(M2)가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서, 그 제 1 모바일 단말기(M1) 및 제 2 모바일 단말기(M2)의 상호 호접속을 시도하여 음성통화 및 문자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A)과 이동통신 중계국(12A) 및 이동통신 제어국(14)을 매개하여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M1)로부터의 호접속 시도신호를 인가받아 음성통화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어느 한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M1)로부터 컬러 SMS 발송 키신호를 조작하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가 기저장된 URL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 접속되어, 각 단어나 어휘, 문장별로 컬러를 지정한 문자데이터 및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 또는 각종 화상 및 동영상 정보를 업로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에는 웹서버(WEBS)를 매개하여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데이터나, 각종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OSD(On Screen Display)로 출력시키기 위한 케이블 방송서버(CBS)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CBS)로부터 해당 데이 터가 출력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출력 시간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1,M2,M3,M4)로 전송처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인 경우에는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변경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하는 편집을 실행하도록 하며, 해당 발신자와 착신자 번호와 연계하여 문자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캡쳐하여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해당 화면 캡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컬러문자, 동영상의 방송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도 17로 설명한 방송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바, 동 도면에는 TV 화면(100)이 출력되고, 그 TV 화면(100)에는 메인 방송 프로그램의 출력화면(102)이 지정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는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메시지를 출력시키는 OSD 영역(104)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측방에는 동영상 및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역(106)이 마련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 스템은 발신자가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과 방송화면에 함께 출력할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지정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기저장된 URL을 통해 무선인터넷을 구동시키고, 해당 URL 주소의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하게 된다. 접속후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판단하여, 기설정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시킨다. 그리고 해당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CB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CBS)는 해당 데이터를 등록시키고, 해당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가 출력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시간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정보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 화면을 캡쳐하여 각 발신자 및 착신자 정보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만약,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 또는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부터 해당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이루어지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캡쳐화면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컬러문자의 메신저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및 컬러지정값을 특정 수신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특정 수신자의 메신저 출력화면에 컬러로 지정된 문자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M1,M2)를 소유한 발신자가 그 모바일 단말기(M1,M2)에 구비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컬러 문자데이터를 지정하여 원격의 착신자 PC로 전송하여 해당 PC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해당 컬러문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 및 PC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컬러코드에 대한 컬러테이블데이터를 각기 동일하게 공유하고 있어야 하며, 위치 지정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 착신측 PC의 화면(110)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채팅중에 상기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1,M2)로부터 전송된 컬러문자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착신자(112)가 문장(112a)을 입력하게 되면, 발신자(114)는 모바일 단말기(M1,M2)를 이용하여 컬러 지정한 문자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며, 예컨대 특정 문장(114a)을 빨강색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고, 다른 문장(114b)을 파란색으로 지정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자가 모바일 단말기(M1,M2)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다음, 특정 착신자와 메신저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발신자는 전송할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의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M1,M2)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기저장된 URL을 통해 무선인터넷을 구동시키고, 해당 URL 주소의 메신저 서버(미도시)를 매개하여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PC로 전송 처리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C(미도시)는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를 확인하여 발신자를 확인하여 발신자 ID를 출력시키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문자데이터의 컬러코드와, 컬러 지정위치정보를 통해 문자데이터를 컬러로 화면 출력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컬러문자 전송 중계 및 케이블 방송으로의 출력을 위해 연계된 서버를 매개로, 발신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한 컬러문자 데이터 및 동영상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한 상태에서, 수신자에게 케이블 방송의 출력정보를 해당 케이블 방송서버의 URL 정보와 함께 통보하여, 수신자의 확인신호에 의해 해당 케이블 방송데이터를 화면 출력하거나, TV를 통해 해당 케이블 방송의 문자 및 동영상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내부에 탑재하고 있으면서 웹통신 모듈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컬러문자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컬러코드값을 지정 영역의 문장에 첨부하고, 해당 위치정보를 저장한 패킷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발신자 PC(A1∼An)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측 PC(A1∼An)로부터 컬러 SMS 발송데이터에 의해 각 단어나 어휘, 문장별로 컬러를 지정한 문자데이터 및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 또는 각종 화상 및 동영상 정보를 업로드받는 데이터 처리서버(DPS)가 제공되는 바, 그 데이터 처리서버(DPS)에는 웹서버(WEBS)를 매개하여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데이터나, 각종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OSD(On Screen Display)로 출력시키기 위한 케이블 방송서버(CBS)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CBS)로부터 해당 데이터가 출력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출력 시간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처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발신자의 PC(A1∼An)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인 경우에는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변경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하는 편집을 실행하도록 하며, 해당 발신자와 착신자 번호와 연계하여 문자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캡쳐하여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해당 화면 캡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발신자가 발신측 PC(A1∼An)를 이용하여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그 메신저 입력창에 특정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고 방송화면에 함께 출력할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지정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PC(A1∼An)의 내부에 설치된 컬러문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PC(A1∼An)의 내부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데이터를 웹서버를 통해 연결된 해당 URL 주소의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접속하게 된다. 접속후 상기 발신측 PC(A1∼An)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상기 발신측 PC(A1∼An)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판단하여, 기설정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시킨다. 그리고 해당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CB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CBS)는 해당 데이터를 등록시키고, 해당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가 출력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시간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해당 정보를 발신측 PC(A1∼An) 및 착 신측 모바일 단말기(M3,M4)로 전송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CBS)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DPS)로 전송하고, 그 데이터 처리서버(DPS)는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접속한 착신자의 모바일 단말기(M3,M4)로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간단하게 PC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컬러문자데이터와, 각종 동영상, 화상데이터를 방송 화면에 출력 가능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서버는 해당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착신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편리하게 방송 출력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은 PC방에서 PC를 통한 작업이나 게임을 행하는 도중에도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를 메신저로 인터페이스시킬 수 있으므로 쉽게 어떤 발신자가 전화를 걸었는 지, 어떤 내용의 문자데이터가 도착했는 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착신 단말기로 특정 통화 호출신호 및 문자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안되는 상황에서 착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컬러 문자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착신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커 뮤니케이션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문자메시지의 작성 및 그 전송과, 특정 문자지정신호, 특정 문자에 대한 컬러코드 지정, 컬러코드 지정을 행한 문자의 위치지정코드,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 착신자 모바일번호 정보를 각각 발생시켜 문자데이터 패킷을 작성하는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문자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신망 정합을 통해 중계처리를 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기, 중계국을 포함한 중계수단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업로드받아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 패킷을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케이블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및 시간대정보를 인가받아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나, 각종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OSD로 출력시키기 위한 케이블 방송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방송 정보를 인가받아 화면 출력하는 착신측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인 경우에는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변경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하는 편집을 실행하도록 하며, 해당 발신자와 착신자 번호와 연계하여 문자메시지가 출력되는 방송 화면데이터를 캡쳐하여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해당 화면 캡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는 문자데이터, 동영상 및 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방송 화면에 출력시킬 때, 문자데이터와, 동영상/화상데이터를 각각 별도의 화면 영역에 출력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33.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문자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고 방송화면에 함께 출력할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판단하여, 기설정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등록시키고, 해당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가 출력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시간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정보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는 해당 방송 화면 데이터를 캡쳐하는 과정과;
    캡쳐된 방송화면 데이터를 각 착신자 및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착신자 또는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해당 방송 화면의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캡쳐 데이터를 다운로드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
  35.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과정과;
    특정 착신자와 메신저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전송할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특정 컬러코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의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메신저 서버를 매개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측 PC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PC가 해당 문자 수신데이터를 확인하여 발신자를 확인하여 발신자 ID를 출력시키고, 해당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기설치된 컬러문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문자데이터의 컬러코드와, 컬러 지정위치정보를 통해 문자데이터를 컬러로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
  36.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내부에 탑재하고 있으면서 웹통신 모듈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컬러문자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컬러코드값을 지정 영역의 문장에 첨부하고, 해당 위치정보를 저장한 패킷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발신자 PC와;
    상기 발신측 PC로부터 컬러 SMS 발송데이터에 의해 각 단어나 어휘, 문장별로 컬러를 지정한 문자데이터 및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정보 또는 각종 화상 및 동영상 정보를 업로드받고, 그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웹서버를 매개하여 접속되어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데이터나, 각종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OSD로 출력시키고, 해당 데이터가 출력되는 방송화면을 캡쳐하여 데이터처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서버와;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 메시지 출력 방송 정보를 전송받아 화면 출력하는 착신자 모바일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37. 발신측 PC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과정과;
    메신저 입력창에 특정 문자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문자데이터를 일정 영역씩 지정하여 해당 지정영역에 대한 컬러를 설정하고 방송화면에 함께 출력할 화상 및 동영상데이터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PC가 해당 컬러문자데이터 및 화상, 동영상 등의 첨부 데이터와, 컬러설정 코드값, 컬러 설정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데이터 처리서버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업로드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상기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가 업로드한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판단하여, 기설정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소용량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케이블 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등록시키고, 해당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화상데이터가 출력될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시간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해당 정보를 발신측 모바일 단말기 및 착신측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 용한 데이터처리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방송서버는 해당 방송화면 데이터를 캡쳐하는 과정과;
    상기 케이블 방송 서버가 해당 캡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캡쳐된 방송화면 데이터를 각 착신자 및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착신자 또는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해당 방송 화면의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가 캡쳐 데이터를 다운로드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방법.
KR1020050081953A 2005-05-03 2005-09-02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KR100806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7308 2005-05-03
KR1020050037308 2005-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304A KR20060115304A (ko) 2006-11-08
KR100806354B1 true KR100806354B1 (ko) 2008-02-27

Family

ID=3765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953A KR100806354B1 (ko) 2005-05-03 2005-09-02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916B1 (ko) * 2006-11-28 2013-03-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합 ip 메시지 시스템하에서의 특정 디바이스 메시지송수신 시스템
KR101120737B1 (ko) * 2010-08-11 2012-03-22 (주)지둘소프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20130143268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입력 시스템, 단말, 콘텐츠 입력 방법 및 입력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7730208B (zh) 2013-02-21 2021-11-05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在计算机游戏应用执行期间的游戏中实行移动电话呼叫和/或消息收发操作的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88A (ko) * 2001-09-18 2003-04-10 김흥조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악편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KR100584149B1 (ko) 2005-03-10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작성시 문자 기호 변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88A (ko) * 2001-09-18 2003-04-10 김흥조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악편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KR100584149B1 (ko) 2005-03-10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작성시 문자 기호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304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257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41319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479087B1 (ko)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 화상통화 제공방법
US20110171934A1 (en)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on group,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esence server for the same
KR10080635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JP4054806B2 (ja) プレゼンスサーバ、移動機、プレゼンス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レゼンス情報管理方法
JP4000597B2 (ja) 携帯電話機
US20110307835A1 (en) Method for displaying thumbnail group on idle scree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4256A (ko)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JP5255890B2 (ja) 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205815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제어 방법
KR101349156B1 (ko)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42210B1 (ko)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2554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지 수신 음악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KR100692385B1 (ko) 무선 인터넷 메신저에서의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JP2008117028A (ja) 電子メール作成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40000086A (ko) 배경화면이 있는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방법
KR100742211B1 (ko)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JP5873314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40032677A (ko) 이미지 바탕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9105686A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50002693A (ko) 특정 웹 유알엘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통화 음성데이터저장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