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549B1 -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549B1
KR101710549B1 KR1020100114242A KR20100114242A KR101710549B1 KR 101710549 B1 KR101710549 B1 KR 101710549B1 KR 1020100114242 A KR1020100114242 A KR 1020100114242A KR 20100114242 A KR20100114242 A KR 20100114242A KR 101710549 B1 KR101710549 B1 KR 10171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tent
external electronic
processing speed
administ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145A (ko
Inventor
한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5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5Shortest path evaluation based on throughput or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0Rout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전자 기기 사이의 관리자 권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처리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처리속도와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처리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더 높은 처리속도를 갖는 전자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자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Methods of controlling the connection on network}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의 연결 설정에 관한 것이다.
얼마전, 비영리산업협회인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인증을 시작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는 와이파이(WiFi)에 P2P 방식을 접목한 것으로 AP(Acess Points)없이도 기기간 상호 인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가능케 한다.
주지하는 바처럼, 와이파이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주변의 AP를 이용해서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등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말한다.
이와 비교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가장 큰 장점은 이동 통신망이 없어도 다른 와이파이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보안 기술인 WPA2도 지원한다. IEEE 802.11b/g/n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속도는 300Mbps급 이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친숙한 와이파이 환경과 300Mbps에 이르는 높은 전송속도, 120미터(m)에 걸친 커버리지 등의 장점을 고려해,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기기 연결시 관리자 권한을 설정하거나 리스트 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전자 기기 사이의 관리자 권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처리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처리속도와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처리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더 높은 처리속도를 갖는 전자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자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설정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intent 값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intent 값과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intent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ntent 값의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처리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속도의 비교 결과, 더 높은 처리속도를 갖는 전자 기기의 intent 값을 증가시켜 관리자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에서 검색된 외부 기기를 리스트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우선순위 목록을 읽어들여 검색된 외부기기와 비교하는 단계, 검색된 외부기기를 상기 우선순위 목록을 기준으로 리스트되는 순서를 결정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목록은 검색된 외부기기의 리스트 순서를 정의하는 리스트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리스트업 방법은 상기 우선순위 목록을 입력받아 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업 방법은 검색된 외부기기로부터 처리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처리속도와 상기 전자 기기의 처리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더 높은 처리속도를 갖는 전자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로부터 intent 값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intent 값과 상기 전자 기기의 intent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ntent 값의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처리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속도의 비교 결과, 더 높은 처리속도를 갖는 전자 기기의 intent 값을 증가시켜 관리자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에서 정의하는 바처럼 'intent' 값에 따라 관리자를 설정하지만, 데이터 처리 속도에 기반해서 intent 값을 조정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해 퍼포먼스(performance)를 최대한 높일 수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여러 외부기기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검색된 경우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순서에 따라서 검색된 외부기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외부기기를 찾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기능적 블럭을 보여준다.
도 2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할 때, 관리자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할 때, 우선 순위에 따라 검색된 전자기기를 리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우선순위 목록을 설정할 때 사용되는 UI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 형태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실시예를 서로 결합하거나 구성 요소를 일부 변경해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으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기능적 블럭을 보여준다.
도 1에서,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로, 전자 기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MP, 네비게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예로, LCC TV, PDP TV, 프린터, 스피커, 데스크탑 등이 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써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주변의 다른 전자 기기(100)를 검색하고,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연결한다. 예로, 통신부(110)는 자신의 식별번호(예로, SSID)를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다른 전자 기기는 상기 식별번호에 기반해서 자신의 식별번호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만일, 전자 기기가 휴대폰이라고 하면, 식별번호는 USIM 번호가 이용될 수 있다.
리스트업 생성부(120)는 사용자가 저장부(140)에 저장해 놓은 우선순위 목록을 참조로 리스트를 생성해서 화면에 출력한다. 우선순위는 연결된 기기들을 화면에 보여줄 때, 표시되는 순서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이 가장 먼저 표시가 되거나, 리스트 상 1번 위치에 배치된다. 리스트는 텍스트 기반일 수 있고, 또는 아이콘 기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권한 설정부(13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기기를 연결할 때, 관리자 권한 설정을 누가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관리자는 기기간 연결 요청을 수릭하거나 제한하고, 공유 권한을 설정하는 등의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통제 기능을 수행한다. 권한 설정부(130)는 다른 기기를 연결할 때, 기기 사이의 하드웨어 정보를 참조로 관리자를 설정할 수 있는데, CPU의 처리속도가 높은 쪽이 관리자로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거나, 필요한 데이터, 예로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우선순위를 기록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관리자 설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통해서 전자 기기를 상호 연결해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에, 그룹 관리를 위한 관리자 설정이 필요하다. 관리자로 설정된 전자 기기는 다른 전자 기기를 그룹에 연결하거나, 다른 전자 기기간 요청을 수락해 이를 처리하는 일련의 관리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서, S110 단계에서, 전자 기기(10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주변의 전자 기기를 검색한다.
다음 S120 단계에서, 전자 기기(10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검색된 다른 전자 기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intent' 값과 자신의 식별 번호(예로, SSID)가 포함된 연결 요청 메시지를 검색된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해서, 다른 전자 기기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 응답 메시지에는 'intent' 값과 자신의 식별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S130 단계에서, 전자 기기(100)는 권한 설정부(130)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획득한 'intent' 값과 자신의 'intent'값을 비교해서 높은 intent'값을 갖는 전자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한다(S140).
만일, 두 기기의 'intent' 값이 동일한 경우에, 전자 기기(100)는 다른 전자 기기에 데이터 처리 속도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로 , 데이터 처리 속도는 CPU의 데이터 처리 속도일 수 있다. 이에 응답해서, 다른 전자 기기(100)는 자신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담은 응답 메시지를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데, 이때, 양자가 사용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의 표기를 통일화된 방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전자 기기는 표준화된 규격에 맞춰 자신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규격화해서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 처리 속도를 획득한 후, 전자 기기는 자신의 데이터 처리 속도와 비교를 실시한다(S150).
비교 결과, 전자 기기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다른 전자 기기의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높은 경우에 전자 기기는 자신의 'intent'값을 증가시키고, 만일 데이터 처리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intent' 값을 조정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두 기기 중 어느 하나는 'intent' 값이 조정되고, 이에 따라 S140 단계를 진행시켜, 둘 중 'intent' 값이 높은 쪽의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토콜에서 정의하는 바처럼 'intent' 값에 따라 관리자(또는 그룹 오너)를 설정하지만, 데이터 처리 속도에 기반해서 intent 값을 조정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해 퍼포먼스(performance)를 최대한 높일 수가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기기 연결시 검색된 기기를 리스트업(list-up)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장치 검색이 이뤄진 후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검색이 이뤄진 후, 리스트업 생성부(120)는 저장부(140)에 기억된 우선순위 목록을 읽어 들인다(S210 단계). 이 우선순위 목록은 기기(예로, TV)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우선순위 목록을 설정하는 UI가 TV(100)에서 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사용자가 TV(100)에서 우선순위 목록 설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에 도 4에서 예시하는 UI가 화면에 표시된다.
도 4에서, UI(520)는 아이콘들(521a∼521h)과 선택을 위한 박스(523)를 포함해서 화면에 표시된다.
UI(520)에 배치된 아이콘들(521a∼521h)은 TV(1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를 보여준다. 또는, 아이콘들(521a∼521h)은 이전에 TV(100)와 연결된 적이 있었던 외부기기를 보여줄 수도 있다.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와 이전에 TV(100)와 연결된 적이 있었던 외부 기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씩을 포함한 것 일 수 있다.
그리고, 아이콘들(521a∼521h)은 하이라이트 박스(미도시) 안에 표시될 수가 있다. 하이라이트 박스는 각 아이콘들(521a∼521h)에 대응하게 각각 표시되며, 아이콘을 감싸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하이라이트 박스는 선택된 아이콘과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로, 선택된 아이콘의 하이라이트 박스는 녹색이나,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의 하이라이트 박스는 회색일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박스는 외부 기기의 연결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 하이라이트 박스가 파란색이면, 외부 기기가 이전에 연결된 적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며, 하이라이트 박스가 검정색이면, TV(100)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를 나타낸다.
한편, 아이콘들(521a∼521h)은 TV 제조업자에 의해 TV 출고시 저장부(140)에 기록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TV(100)를 펌웨어하는 과정에서 획득해 저장부(140)에 기록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아이콘들(521a∼521h)은 주기적으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들(521a∼521h)에 각각 배치된 박스(523)를 선택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아이콘들(521a∼521h) 각각에 배당된 번호를 리모컨을 이용해서 선택함으로써, 아이콘들(521a∼521h)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박스(523)는 'V'표 체크된다.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아이콘 선택 순서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1번 아이콘(521a), 3번 아이콘(521c), 8번 아이콘(521h)의 순서로 아이콘들을 선택한 경우에, 우선 순위는 선택된 순서에 따라 1번은 1번 아이콘(521a)에 대응하는 '핸드폰'일 수 있고, 2번은 3번 아이콘(521c)에 대응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고, 3번은 8번 아이콘(521h)에 대응하는 노트북일 수 있다.
이처럼, UI(520)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을 이용해서 리스트업 우선 순위를 결정한 다음에, 사용자는 완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우선순위 목록이 저장부(140)에 기록된다.
한편, 도 5는 우선순위 목록을 설정하는 다른 UI 모습을 보여준다.
도 5에서, UI(530)는 두 화면으로 제공되는데, 화면상 좌측편에 배치되는 제1 화면(531)은 도 4에서 상술한 UI와 동일하게, 아이콘들과 선택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바처럼, 아이콘들을 선택함으로써, 리스트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상 우측편에 배치되는 제2 화면(533)은 제1 화면(531)을 통해서 선택된 리스트업 우선순위를 보여준다. 사용자가 제1 화면(531)에서 제공하는 아이콘들을 통해서, 첫번째로 1번 아이콘(531a)에 대응하는 '핸드폰'을 선택하고, 두번째로 4번 아이콘(531d)에 대응하는 'TV'를 선택하고, 세번째로 2번 아이콘(531b)에 대응하는 '데스탑 컴퓨터'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3번 아이콘(531c)에 대응하는 'BD 플레이어'를 선택했다고 하면, 제2 화면(533)에서는 선택된 순서에 따라서 리스트업된 우선순위 목록을 보여준다. 제2 화면(533)에서 우선순위 목록을 보여줄 때,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같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된 기기를 쉽게 알아 볼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처럼, 사용자는 리스트업되는 순서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목록을 결정해서 이를 저장부(140)에 기록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리스트업 생성부(120)는 저장부(140)로부터 우선순위 목록을 읽어 들인 후, 이를 현재 TV(1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연결된 외부기기와 비교를 한다(S220).
비교 결과, 우선순위 목록에 기록된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순위 목록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외부기기의 리스트 순서를 결정한다. 예로, 검색된 외부기기가 "폰" "PC" "이이폰"이라고 가정하면, 리스트업 생성부(120)는 우선순위 목록에 따라서 "폰"을 첫번째에 배치하고, 다음으로 "PC"를 배치하고, 마지막으로 "이어폰"을 리스트에 배치시켜, 리스트를 생성한다(S230).
그리고, 생성된 리스트를 TV(100)의 화면에 출력시킨다(S240).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외부기기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검색된 경우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순서에 따라서 검색된 외부기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외부기기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통신부;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의 전자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인텐트(intent) 값을 상호 교환하고, 상기 인텐트 값이 큰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도록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텐트 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로 현재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속도가 큰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속도가 큰 기기의 인텐트 값을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텐트 값은, 각 기기의 제조시 초기 설정되고,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가 다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관리자로 설정된 경우,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의 우선순위 목록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의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 순서로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삭제
  5. 전자 기기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외부의 전자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인텐트(intent) 값을 상호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된 인텐트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인텐트 값이 큰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된 인텐트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인텐트 값이 큰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텐트 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로 현재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속도가 큰 기기를 관리자로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속도 정보가 큰 기기의 인텐트 값을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텐트 값은, 각 기기의 제조시 초기 설정되고,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114242A 2010-11-17 2010-11-17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KR10171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42A KR101710549B1 (ko) 2010-11-17 2010-11-17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42A KR101710549B1 (ko) 2010-11-17 2010-11-17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45A KR20120053145A (ko) 2012-05-25
KR101710549B1 true KR101710549B1 (ko) 2017-02-27

Family

ID=4626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42A KR101710549B1 (ko) 2010-11-17 2010-11-17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5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3005B2 (ja) * 2005-04-12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優先接続装置、優先接続方法及び優先接続プログラム
KR20090009021A (ko) * 2007-07-19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유닛 선택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45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0130B2 (en) Method for creating Wi-Fi P2P group
KR101663011B1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JP5937095B2 (ja) デジタル機器における無線ネットワークの連結方法及びその装置
EP27161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nectivity settings via social networks
US2017004870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70482A1 (en) Wi-fi direct connection method
KR102150659B1 (ko) 위치 정보에 기반한 디바이스 검색 방법 및 장치
US111263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23159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20160242033A1 (en)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20103567A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에서의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CN102932401A (zh) 使用Wi-Fi Direct形成Wi-Fi P2P组的方法和设备
JP6184105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3857975B1 (en) Mobi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US980758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042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W201537936A (zh) 無線通訊裝置,程式及無線通訊方法
JP6090150B2 (ja)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70047035A (ko) 외부 장치와의 무선 p2p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KR101719568B1 (ko) 스테이션 기기 및 그 무선 통신 방법과 모바일 기기 및 그 무선 통신 방법
JP2015119426A5 (ko)
US20230269789A1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JP6350691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888381B2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ccess point
KR101710549B1 (ko) 네트워크의 연결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