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835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835B1
KR100857835B1 KR1020070045934A KR20070045934A KR100857835B1 KR 100857835 B1 KR100857835 B1 KR 100857835B1 KR 1020070045934 A KR1020070045934 A KR 1020070045934A KR 20070045934 A KR20070045934 A KR 20070045934A KR 100857835 B1 KR100857835 B1 KR 10085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otection
breakdown voltage
internal circuit
power supply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608A (ko
Inventor
아츠시 와타나베
야스히사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Abstract

본 발명은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갖는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반도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고내압 트랜지스터(21)를 구비한 내부 회로(16)와 내부 회로(16)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구비하며,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을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과 대략 같게 하고,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직렬 접속하였다.
고내압 트랜지스터, 내압값, 정전 보호 소자, 반도체 장치, 소형화, 내부 회로, 반도체 장치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에 설치된 제1 정전 보호 회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장치 11 : 입출력 단자
12 : 전원 단자 13 : 접지 단자
14 : 저항체 16 : 내부 회로
17 : 제1 정전 보호 회로 18 : 제2 정전 보호 회로
21 : 고내압 트랜지스터 22, 23 : 정전 보호 소자
29 : 기생 다이오드 36 : 저농도 N형 확산층
37-1, 37-2 : P웰층 38-1, 38-2 : 드레인 영역
39-1, 39-2 : 소스 영역 41-1, 41-2 :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
42 : LOCOS 산화막 43-1, 43-1 : 게이트 산화막
45-1, 45-2 : 게이트 46 : 절연막
46A-1∼46C-1, 46A-2∼46C-2, 46D : 개구부
47-1∼49-1, 47-2∼49-2, 56 : 전극 53 : N웰층
54 : 급전용 컨택층 55 : 채널 스토퍼층
D1∼D6 : 깊이 M1 : 두께
본 발명은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내부 회로와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는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내부 회로와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도 3 참조)가 있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반도체 장치(100)는, 입출력 단자(101)와, 전원 단자(102)와, 접지 단자(103)와, 저항체(104)와, 내부 회로(106) 및 정전 보호 소자(107, 108)를 갖는다.
내부 회로(106)는 고내압 트랜지스터(109)를 갖는다. 내부 회로(106)는 저항체(104)를 통하여 입출력 단자(1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부 회로(106)는 전원 단자(102) 및 접지 단자(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107)는 입출력 단자(101)와 접지 단자(103)와의 사이에 배치 되어 있으며, 입출력 단자(101) 및 접지 단자(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107)는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이다. 정전 보호 소자(107)는 고내압 트랜지스터(109)의 내압값과 대략 같은 내압을 갖는다. 정전 보호 소자(107)는 입출력 단자(101)에 정전기 등의 서지 전압(이상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서지 전류에 의해 내부 회로(106)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 보호 소자(108)는 전원 단자(102)와 접지 단자(10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원 단자(102) 및 접지 단자(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108)는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이다. 정전 보호 소자(108)는 고내압 트랜지스터(109)의 내압값과 대략 같은 내압값을 갖는다. 정전 보호 소자(108)는 정전 보호 소자(107)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108)는 전원 단자(102) 및 접지 단자(103)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 3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전 보호 소자(107)는 P형 반도체 기판(111)에 형성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107)는 저농도 N형 확산층(113-1, 113-2)과, 소스 영역(114)과, 드레인 영역(115)과,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116)과, LOCOS 산화막(118)과, 게이트 산화막(119)과, 게이트(121)와, 절연막(122) 및 전극(124∼126)을 갖는다.
저농도 N형 확산층(113-1, 113-2)은 P형 반도체 기판(111)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저농도 N형 확산층(113-1, 113-2)은 소스 영역(114) 및 드레인 영 역(115)보다 불순물 농도가 낮은 확산층이다.
소스 영역(114)은 저농도 N형 확산층(113-1)에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영역(115)은 저농도 N형 확산층(113-2)에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영역(115)은 소스 영역(114)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116)은 소스 영역(114)과 인접하도록 P형 반도체 기판(111)에 형성되어 있다.
LOCOS 산화막(118)은 P형 반도체 기판(111), 소스 영역(114), 드레인 영역(115)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116)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산화막(119)은 P형 반도체 기판(1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121)는 게이트 산화막(119) 상으로부터 게이트 산화막(119)에 인접하는 LOCOS 산화막(118) 상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122)은 LOCOS 산화막(118) 및 게이트(121)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122)은 소스 영역(114)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116)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22A)와, 게이트(12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22B)와, 드레인 영역(115)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22C)를 갖는다.
전극(124)은 개구부(122A)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124)은 일단부가 소스 영역(114)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116)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접지 단자(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125)은 개구부(122B)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125)은 일단부가 게이트(121)와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접지 단자(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126)은 개구부(122C)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126)은 일단부가 드레인 영역(115)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입출력 단자(1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9-11610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107, 108)에서는 저농도 N형 확산층(113-2)과 P형 반도체 기판(111)과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PN 접합부(E)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PN 접합부(E)의 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정전 보호 소자(107, 108)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반도체 장치(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고내압 트랜지스터(21)를 갖는 내부 회로(16)와, 상기 내부 회로(16)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10)로서, 상기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복수 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을 상기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과 대략 같게 하고, 상기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직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1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복수 개 설치하고,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을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과 대 략 같게 하고,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직렬 접속함으로써 고내압 트랜지스터(109)의 내압값과 대략 같은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107)의 P형 반도체 기판(111)에서의 점유 영역과 비교하여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P형 반도체 기판(35)에서의 점유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 부호는 어디까지나 참고이며, 이로 인해 본원 발명이 도시한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는, 입출력 단자(11)와, 전원 단자(12)와, 접지 단자(13)와, 저항체(14)와, 내부 회로(16)와, 제1 정전 보호 회로(17) 및 제2 정전 보호 회로(18)를 갖는다.
입출력 단자(11)는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입출력 단자(11)는 저항체(14)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단자(11)는 저항체(14)를 통하여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 단자(12)는 전원 전위로 되어 있으며,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지 단자(13)는 접지 전위로 되어 있으며,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체(14)는 입출력 단자(11) 및 내부 회로(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체(14)는 입출력 단자(11)에 서지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서지 전류가 내부 회로(16)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회로(16)는 고내압 트랜지스터(21)를 갖는다. 내부 회로(16)는 저항체(14)를 통하여 입출력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부 회로(16)는 전원 단자(12) 및 접지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에 설치된 제1 정전 보호 회로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 1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도전형을 P형, 제2 도전형을 N형이라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의 설명을 한다. 또한, 후술하는 정전 보호 소자(22, 23)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정전 보호 소자(22)의 구성 요소의 부호에 -1을 붙이고, 정전 보호 소자(23)의 구성 요소의 부호에 -2를 붙인다. 단,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공통의 구성 요소인 저농도 N형 확산층(36), LOCOS 산화막(42) 및 절연막(46)은 제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정전 보호 회로(17)는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인 P형 반도체 기판(35)에 형성되어 있으며, 정전 보호 소자(22, 23)(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와, 제2 도전형 확산층인 저농도 N형 확산층(36)과, N웰층(53)과, 급전용 컨택층(54)과, 채널 스토퍼층(55) 및 전극(56)을 갖는다.
정전 보호 소자(22)는 저농도 N형 확산층(36)과, 제1 도전형 웰층인 P웰층(37-1)과, 제2 도전형 드레인 영역(38-1)과, 제2 도전형 소스 영역(39-1)과, 제1 도전형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과, LOCOS 산화막(42)과, 게이트 산화막(43-1)과, 게이트(45-1)와, 절연막(46) 및 전극(47-1, 48-1, 49-1)을 갖는다.
저농도 N형 확산층(36)은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P형 반도체 기판(35) 및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형성 영역에 인접하는 P형 반도체 기판(35)에 형성되어 있다. 저농도 N형 확산층(36)은 드레인 영역(38-1) 및 소스 영역(39-1)에 포함되는 N형 불순물 농도보다 불순물 농도가 낮은 확산층이다. P웰층(37-1)과 P형 반도체 기판(35)과의 사이에 형성된 저농도 N형 확산층(36)의 두께(M1)는 예를 들어 2.0μm로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영역(38-1) 및 소스 영역(39-1)의 N형 불순물 농도가 1.0×1018cm-3인 경우, 저농도 N형 확산층(36)의 N형 불순물 농도는 예를 들어 1.0×1015cm-3로 할 수 있다.
P웰층(37-1)은 정전 보호 소자(22)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저농도 N형 확산층(36)에 형성되어 있다. P웰층(37-1)은 저농도 N형 확산층(36)에 P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게이트 산화막(43-1)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P웰층(37-1)의 깊이(D1)는 예를 들어 1μm∼10μm로 할 수 있다.
드레인 영역(38-1)은 P웰층(37-1)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영역(38-1)은 P웰층(37-1)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드레인 영역(38-1)의 N형 불순물 농도는 예를 들어 1.0×1018cm-3로 할 수 있다. 드레인 영 역(38-1)의 깊이(D2)는 예를 들어 0.1μm∼0.5μm로 할 수 있다.
소스 영역(39-1)은 P웰층(37-1)에 형성되어 있다. 소스 영역(39-1)은 드레인 영역(38-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소스 영역(39-1)은 P웰층(37-1)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소스 영역(39-1)의 N형 불순물 농도는 예를 들어 1.0×1018cm-3로 할 수 있다. 소스 영역(39-1)의 깊이(D3)는 예를 들어 0.1μm∼0.5μm로 할 수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은 P웰층(37-1)에 형성되어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은 소스 영역(39-1)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은 P웰층(37-1)에 P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LOCOS 산화막(42)은 드레인 영역(38-1), 소스 영역(39-1)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P웰층(37-1), 드레인 영역(38-1), 소스 영역(39-1)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산화막(43-1)은 P웰층(37-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산화막(43-1)은 그 주위가 LOCOS 산화막(42)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게이트(45-1)는 게이트 산화막(43-1) 상으로부터 게이트 산화막(43-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LOCOS 산화막(42) 상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46)은 정전 보호 소자(22)의 형성 영역에 형성된 LOCOS 산화막(42) 및 게이트(45-1)와, 정전 보호 소자(23)의 형성 영역에 형성된 LOCOS 산화막(42) 및 게이트(45-2)와,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형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LOCOS 산화막(4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22)의 형성 영역에 형성된 절연막(46)에는 소스 영역(39-1)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6A-1)와, 게이트(45-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6B-1)와, 드레인 영역(38-1)을 노출시키는 개구부(46C-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형성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절연막(46)에는 급전용 컨택층(54)을 노출시키는 개구부(46D)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47-1)은 개구부(46A-1)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47-1)은 그 일단부가 소스 영역(39-1)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전극(48-1) 및 정전 보호 소자(23)에 설치된 전극(49-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48-1)은 개구부(46B-1)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48-1)은 그 일단부가 게이트(45-1)와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전극(47-1) 및 정전 보호 소자(23)에 설치된 전극(49-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49-1)은 개구부(46C-1)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49-1)은 그 일단부가 드레인 영역(38-1)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입출력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23)는 저농도 N형 확산층(36)과, 제1 도전형 웰층인 P웰층(37-2)과, 제2 도전형 드레인 영역(38-2)과, 제2 도전형 소스 영역(39-2)과, 제1 도전형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과, LOCOS 산화막(42)과, 게이트 산화막(43-2)과, 게이트(45-2)와, 절연막(46) 및 전극(47-2, 48-2, 49-2)을 갖는다.
P웰층(37-2)은 정전 보호 소자(23)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저농도 N형 확산층(36)에 형성되어 있다. P웰층(37-2)은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 및 전극(47-2)을 통하여 접지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P웰층(37-2)은 접지 전위로 되어 있다. P웰층(37-2)은 저농도 N형 확산층(36)에 P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게이트 산화막(43-2)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P웰층(37-2)의 깊이(D4)는 예를 들어 1μm∼10μm로 할 수 있다.
드레인 영역(38-2)은 P웰층(37-2)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영역(38-2)은 전극(49-2)과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영역(38-2)은 전극(49-2)을 통하여 정전 보호 소자(22)에 형성된 소스 영역(39-1),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 및 게이트(4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영역(38-2)은 P웰층(37-2)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드레인 영역(38-2)의 N형 불순물 농도는 예를 들어 1.0×1018cm-3로 할 수 있다. 드레인 영역(38-2)의 깊이(D5)는 예를 들어 0.1μm∼0.5μm로 할 수 있다.
소스 영역(39-2)은 P웰층(37-2)에 형성되어 있다. 소스 영역(39-2)은 드레인 영역(38-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소스 영역(39-2)은 전극(47-2)과 접속되어 있다. 소스 영역(39-2)은 전극(47-2)을 통하여 접지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영역(39-2)은 접지 전위로 된다. 소스 영역(39-2)은 P웰층(37-2)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소스 영역(39-2)의 N형 불순물 농도는 예를 들어 1.0×1018cm-3로 할 수 있다. 소스 영역(39-2)의 깊이(D6)는 예를 들어 0.1μm∼0.5μm로 할 수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은 P웰층(37-2)에 형성되어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은 소스 영역(39-2)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은 P웰층(37-2)에 P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LOCOS 산화막(42)은 드레인 영역(38-2), 소스 영역(39-2)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P웰층(37-2), 드레인 영역(38-2), 소스 영역(39-2)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산화막(43-2)은 P웰층(37-2)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산화막(43-2)은 그 주위가 LOCOS 산화막(42)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게이트(45-2)는 게이트 산화막(43-2) 상으로부터 게이트 산화막(43-2)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LOCOS 산화막(42) 상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정전 보호 소자(23)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46)에는 소스 영역(39-2)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을 노출시키는 개구부(46A-2)와, 게이트(45-2)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6B-2) 및 드레인 영역(38-2)을 노출시키는 개구부(46C-2)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47-2)은 개구부(46A-2)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47-2)은 그 일단부가 소스 영역(39-2) 및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접지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48-2)은 개구부(46B-2)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48-2)은 그 일단부가 게이트(45-2)와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접지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 다.
전극(49-2)은 개구부(46C-2)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49-2)은 그 일단부가 드레인 영역(38-2)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정전 보호 소자(22)에 설치된 전극(47-1, 48-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정전 보호 소자(22, 23)는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구체적으로는, N채널형 MOSFET 정전 보호 소자(도 2 참조))이다. 정전 보호 소자(22, 23)(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는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1 정전 보호 회로(17)에 설치된 정전 보호 소자(22, 23)는 입출력 단자(11)에 정전기 등의 서지 전압(이상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서지 전류에 의해 내부 회로(16)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자이다.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은 내부 회로(16)에 설치된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과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입출력 단자(11)와 내부 회로(16)와의 사이에 저항체(14)를 설치하는 경우,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은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보다 조금 크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항체(14)에 의해 내부 회로(16)에 서지 전류가 잘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정전 보호 소자(22, 23)에 지배적으로 서지 전류가 흘러 내부 회로(16)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단자(11)와 내부 회로(16)와의 사이에 저항체(14)가 없는 경우,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은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보다 조금 작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은 제품이 보장하는 사양 전압보다 크고, 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보다 조금 작게 하면 된다. 이 경우, 내부 회로(16)보다 이전에 정전 보호 소자(22, 23)가 브레이크 다운되기 때문에 서지 전류가 정전 보호 소자(22, 23)에만 흐르므로 내부 회로(16)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전 보호 소자(22, 23)(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를 설치하고,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내압값의 총합을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과 대략 같게 하고,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직렬 접속함으로써 고내압 트랜지스터(109)의 내압값과 대략 같은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107)(하나의 정전 보호 소자)의 P형 반도체 기판(111)에서의 점유 영역보다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P형 반도체 기판(35)에서의 점유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1 정전 보호 회로(17)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보호 소자(22, 23)로서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정전 보호 소자(22, 23)로서 다이오드형 정전 보호 소자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 대신 다이오드형 정전 보호 소자를 사용한 경우에도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접지 전위로 된 P형 반도체 기판(35)(도시하지 않음)과 P웰층(37-1, 37-2)과의 사이에 저농도 N형 확산층(36)을 형성함으로써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과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게 되기 때문 에,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 41-2) 사이에서의 쇼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N웰층(53)은 저농도 N형 확산층(36)에 형성되어 있다. N웰층(53)은 P웰층(37-1, 3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N웰층(53)은 저농도 N형 확산층(36)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급전용 컨택층(54)은 저농도 N형 확산층(36)의 외주 부근에 형성된 N웰층(53)에 형성되어 있다. 급전용 컨택층(54)은 N웰층(53)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급전용 컨택층(54)은 전극(56)과 접속되어 있다. 급전용 컨택층(54)은 전극(56)을 통하여 전원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농도 N형 확산층(36)은 전원 전위로 된다.
채널 스토퍼층(55)은 정전 보호 소자(22)와 정전 보호 소자(2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LOCOS 산화막(42)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 N웰층(53)에 형성되어 있다. 채널 스토퍼층(55)은 N웰층(53)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채널 스토퍼층(55)은 필드 반전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다.
전극(56)은 절연막(46)에 형성된 개구부(46D)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56)은 일단부가 급전용 컨택층(54)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전원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접지 전위로 된 P형 반도체 기판(35)(도시하지 않음)과 전원 단자(12)에 접속된 저농도 N형 확산층(36)과의 사이에 기생 다이오드(29)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정전 보호 회로(17)의 ESD 내량을 향상시킬 수 있 다.
제2 정전 보호 회로(18)는 전원 단자(12)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정전 보호 소자(22, 23)(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를 직렬 접속한 것 이외에는 제1 정전 보호 회로(17)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정전 보호 회로(18)는 전원 단자(12) 및 접지 단자(13)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와 같이 전원 단자(12)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정전 보호 소자(22, 23)(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를 직렬 접속함으로써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내압값과 대략 같은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108)(하나의 정전 보호 소자)의 P형 반도체 기판(111)에서의 점유 영역보다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P형 반도체 기판(35)에서의 점유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2 정전 보호 회로(18)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지 전위로 된 P형 반도체 기판(35)(도시하지 않음)과 전원 단자(12)에 접속된 저농도 N형 확산층(36)과의 사이에 기생 다이오드(29)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정전 보호 회로(18)의 ESD 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에 따르면, 정전 보호 소자(22, 23)(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의 내압값의 총합을 고내압 트랜지스터(21)의 내압값과 대략 같게 하고, 정전 보호 소자(22, 23)를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함으로써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내압값과 대략 같은 종래의 정전 보호 소자(107)(하나의 정전 보호 소자)의 P형 반도체 기판(111)에서의 점유 영역보다 정전 보호 소자(22, 23)의 P형 반도체 기판(35)에서의 점유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1 정전 보호 회로(17)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므로,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보호 소자(22, 23)로서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정전 보호 소자(22, 23)로서 다이오드형 정전 보호 소자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반도체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P형 반도체 기판(35)과 P웰층(37-1, 37-2)과의 사이에 저농도 N형 확산층(36)을 형성함으로써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과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41-1, 41-2) 사이에서의 쇼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제1 및 제2 정전 보호 회로(17, 18)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전원 단자(12)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의 ESD 내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정전 보호 회로(17, 18)에 각각 두 개의 정전 보호 소자(정전 보호 소자(22, 23))를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정전 보호 회로(17, 18)에 각각 3개 이상의 정전 보호 소자(정전 보호 소자(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정전 보호 소자)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출력 단자(11)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3개 이상의 정전 보호 소자를 직 렬 접속하고, 전원 단자(12)와 접지 단자(13)와의 사이에 3개 이상의 정전 보호 소자를 직렬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전 보호 소자(22, 23)로서 N채널형 MOSFET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1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N채널형 MOSFET 정전 보호 소자 대신 P채널형 MOSFET 정전 보호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제1 도전형이 P형, 제2 도전형이 N형인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갖는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갖는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고내압 트랜지스터를 갖는 내부 회로와, 상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정전 보호 소자를 복수 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의 내압값의 총합을 상기 고내압 트랜지스터의 내압값과 같게 하고, 상기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정전 보호 소자를 직렬 접속하고 있으며,
    상기 정전 보호 소자는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이고,
    상기 MOSFET형 정전 보호 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웰층과, 상기 제1 도전형 웰층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소스 영역, 제2 도전형 드레인 영역 및 제1 도전형 백 게이트 급전용 영역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1 도전형 웰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제2 도전형 확산층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에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를 상기 제2 도전형 소스 영역 및 상기 제2 도전형 드레인 영역의 불순물 농도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을 접지 전위로 하고, 상기 제2 도전형 확산층을 전원 전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70045934A 2006-06-29 2007-05-11 반도체 장치 KR100857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0227A JP2008010667A (ja) 2006-06-29 2006-06-29 半導体装置
JPJP-P-2006-00180227 200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608A KR20080001608A (ko) 2008-01-03
KR100857835B1 true KR100857835B1 (ko) 2008-09-10

Family

ID=3887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934A KR100857835B1 (ko) 2006-06-29 2007-05-11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00180B2 (ko)
JP (1) JP2008010667A (ko)
KR (1) KR100857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6450B2 (ja) * 2008-08-13 2013-09-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285373B2 (ja) * 2008-09-29 2013-09-11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半導体装置
JP5525736B2 (ja) * 2009-02-18 2014-06-18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34092B2 (ja) * 2010-03-26 2014-12-03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半導体集積回路
US8492866B1 (en) 2012-01-09 2013-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solated Zener diode
CN103579232A (zh) * 2012-08-10 2014-02-12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一种平面栅型mos管及其制造方法
JP2014056972A (ja) * 2012-09-13 2014-03-27 Ricoh Co Ltd 静電破壊保護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0235A (ja) 1997-11-19 1999-06-02 Mitsumi Electric Co Ltd 静電保護装置
JP2001339044A (ja) * 2000-05-26 2001-12-07 Mitsum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の静電保護回路
JP2002141467A (ja) * 2000-10-30 2002-05-17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
JP2005340380A (ja) 2004-05-25 2005-12-08 Toshiba Corp 静電保護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8510A (en) * 1973-02-21 1974-03-19 Us Army Temperature compensated zener diode for transient suppression
US3934209A (en) * 1974-04-23 1976-01-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voltage DC coupled amplifier
US4081718A (en) * 1975-05-20 1978-03-28 Nec Sylvania Corporatio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ing a backswing booster
JPS6014582B2 (ja) * 1979-10-22 1985-04-15 株式会社 八幡電機製作所 高電圧発生回路
US4342967A (en) * 1980-05-01 1982-08-03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High voltage, high frequency amplifier
NL8103572A (nl) * 1981-07-29 1983-02-16 Philips Nv Drijverschakeling.
DE3731393A1 (de) * 1987-09-18 1989-04-06 Bosch Gmbh Robert Hochspannungsschalter
JP3375659B2 (ja) * 1991-03-28 2003-02-10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静電放電保護回路の形成方法
US5416351A (en) * 1991-10-30 1995-05-16 Harris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H05347386A (ja) * 1992-02-21 1993-12-27 Sony Corp 半導体装置
JP3052648B2 (ja) * 1993-02-21 2000-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H09312399A (ja) * 1995-07-14 1997-12-02 Seiko Instr Inc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241244B2 (ja) 1995-10-20 2001-12-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5671111A (en) * 1995-10-30 1997-09-23 Motorola, Inc.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03054B1 (ko) * 1995-12-02 1999-06-15 윤종용 개선된 정전기 방전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US5986832A (en) * 1996-06-13 1999-11-16 Vtc Inc. Write driver with Schottky diodes to improve switching rate and reliability
JP3270364B2 (ja) * 1997-07-28 2002-04-02 エヌイーシー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静電保護回路
US5962979A (en) * 1998-08-24 1999-10-05 Lutron Electronics Co., Inc. Asymmetrical bus capacitors
JP4025474B2 (ja) * 1998-11-04 2007-12-19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増幅回路
TW457690B (en) * 1999-08-31 2001-10-01 Fujitsu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4037029B2 (ja) * 2000-02-21 2008-01-2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455902B1 (en) * 2000-12-06 2002-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CMOS ESD circuit with subcollector/trench-isolated body mosfet for mixed signal analog/digital RF applications
JP4519333B2 (ja) * 2001-01-19 2010-08-04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パルスac式除電装置
JP3981886B2 (ja) * 2003-03-11 2007-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整流回路
US6867640B2 (en) * 2003-07-01 2005-03-15 Ami Semiconductor, Inc. Double-sided extended drai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integrated overvoltage and reverse voltage protection circuit that uses the same
JP2005064106A (ja) * 2003-08-08 2005-03-10 New Japan Radio Co Ltd Esd保護素子
JP4458814B2 (ja) * 2003-11-05 2010-04-28 三洋電機株式会社 静電破壊保護装置
US7358572B2 (en) * 2005-09-30 2008-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diation tolerant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networks
JP2007227697A (ja) * 2006-02-24 2007-09-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装置
KR100713935B1 (ko) * 2006-04-14 2007-05-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 및 정전기방전 보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0235A (ja) 1997-11-19 1999-06-02 Mitsumi Electric Co Ltd 静電保護装置
JP2001339044A (ja) * 2000-05-26 2001-12-07 Mitsum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の静電保護回路
JP2002141467A (ja) * 2000-10-30 2002-05-17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
JP2005340380A (ja) 2004-05-25 2005-12-08 Toshiba Corp 静電保護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10667A (ja) 2008-01-17
US20080001229A1 (en) 2008-01-03
KR20080001608A (ko) 2008-01-03
US7800180B2 (en) 201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835B1 (ko) 반도체 장치
KR100341379B1 (ko) 보호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KR100719010B1 (ko) 정전 파괴 보호 장치
JP4209433B2 (ja) 静電破壊保護装置
JP3144330B2 (ja) 半導体装置
JP2006074012A (ja) 双方向型静電気放電保護素子
US20080073721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670678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SD protective transistor
KR20020079565A (ko) 과전압 보호회로
US823260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H07193195A (ja) Cmos集積回路装置
US6455895B1 (en) Overvoltage protector having same gate thickness as the protected integrated circuit
JP2007019413A (ja) 保護回路用半導体装置
US683359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6583475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796426B1 (ko) 반도체 장치
US10741542B2 (en) Transistors patterned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nd methods of fabrication
JP2009187987A (ja) 半導体装置
WO2014196223A1 (ja) 半導体チップおよび半導体装置
JP2012028380A (ja) 半導体装置
KR100591125B1 (ko) 정전기적 방전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게이트 접지 엔모스트랜지스터
CN107204328B (zh) 具有esd保护元件的半导体装置
KR20010029964A (ko) 반도체 집적회로용 입출력 보호 장치
JP2022084984A (ja) 半導体装置
KR20100076261A (ko) 이미지 센서의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