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135B1 - 디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 - Google Patents

디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135B1
KR100842135B1 KR1020077003314A KR20077003314A KR100842135B1 KR 100842135 B1 KR100842135 B1 KR 100842135B1 KR 1020077003314 A KR1020077003314 A KR 1020077003314A KR 20077003314 A KR20077003314 A KR 20077003314A KR 100842135 B1 KR100842135 B1 KR 10084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arbon atoms
amino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099A (ko
Inventor
타케시 카키모토
히사토 카메카와
유타카 치바
토시유키 코노
유미 코바야시
나오후미 토무라
나츠코 아라키
마사코 요시다
요지 아오키
신이치 반바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3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reduction of nitrogen-to-oxygen or nitrogen-to-nitrogen bonds
    • C07C209/42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reduction of nitrogen-to-oxygen or nitrogen-to-nitrogen bonds by reduction of nitrogen-to-nitroge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4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from amines with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6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3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3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4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4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5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15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11/16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44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1Y being a hydrogen or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3/00Derivatives of thio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33/02Mono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07C333/04Mono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having nitrogen atoms of thiocarbamic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0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That Contain Two Or More Ring Oxygen Atom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작물의 병원균에 대해서 넓은 병해방제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심각화되고 있는 내성균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와 그 제조법 및 해당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제이다.
Figure 112007012612801-pct00243
[식 중에서, R1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내며, R2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R3,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내거나, 혹은 서로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를 포함한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R6,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내며, A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Q는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디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DIAMINE DERIVATIVE,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AND FUNGICIDE COMPRISING DIAMINE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 디아민 유도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병해 방제가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완수하는 역할은 커서, 여러 가지의 살균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살균 활성이나 유용 작물에 대한 해에 있어서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또 최근, 농원예용 살균제의 다용에 의해 약제에 대한 내성균이 출현하여, 기존의 약제로는 충분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환경 문제로부터 안전하고 저농도로 유해균을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살균제가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화합물과는 다른 디아민 유도체가 유해 생물 방제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WO03008372에 개시되어 있다. WO03008372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는 벼 도열병에만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에 반해, 본 발명 화합물의 디아민 유도체는 큰폭으로 병해 방제 영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구조도 공보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과는 다르다.
(특허 문헌 1) WO003008372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각종 작물의 병원균에 대하여 넓은 병해 방제 영역을 나타내며, 더욱이 현재 심각해지고 있는 내성균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농원예용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디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여러 가지를 합성하고, 그 생리 활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이 넓은 병해 방제 영역을 가지며, 극히 뛰어난 살균 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유용 작물에 대해서 아무런 해를 미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식 (1)(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1
[식 중, R1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아릴알킬기,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헤테로환알킬기를 나타내고, R2와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 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실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아릴알킬기,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헤테로환알킬기를 나타내고, R3과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아릴알킬기,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헤테로환알킬기를 나타내거나, 혹은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3~6의 탄화수소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으며, R6, R7, R8 및 R9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 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이며, 단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가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 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실기를 나타내고, A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Q는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디아민 유도체.
[2]. 상기[1]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3]. 식 (2)(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2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A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 (3)(화학식 3)
(화학식 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3
[식 중, Q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4]. 식 (2)(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 (4)(화학식 4)
(화학식 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4
[식 중, Q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5]. 식 (5)(화학식 5)
(화학식 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5
[식 중, R5, R6, R7, R8, R9, R10 및 Q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 (6)(화학식 6)
(화학식 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6
[식 중, R1, R2, R3, R4 및 A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6]. 식 (5)(화학식 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 (7)(화학식 7)
(화학식 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7
[식 중, R1, R2, R3, R4 및 A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7]. 식 (8)(화학식 8)
(화학식 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8
[식 중,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Q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 (9)(화학식 9)
(화학식 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09
[식 중, R1 및 A는 [1]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과 관련되는 디아민 유도체는, 폭넓은 살균 스펙트럼을 가지며, 극히 뛰어난 살균 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유용 작물에 대하여 아무런 해를 미치지 않기 때문에, 농원예용 살균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디아민 유도체는, 토마토 역병, 감자 역병,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도열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병해에 더하여, 피시움속균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작물에 약해를 일으키는 일 없이, 침달성, 잔효성, 내우성이 뛰어난 특징을 더욱 겸비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표적인 치환기의 예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6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탄소수 2~6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로서는, 시클로프로페닐기, 시클로부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탄소수 2~6의 알키닐기로서는, 에티닐기, 프로피닐기, 부티닐기, 펜티닐기, 헥시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환으로서는, 적어도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중 어느 한 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을 나타내고, 예로서는 푸란, 티오펜, 옥사졸, 피롤, 1H-피라졸, 3H-피라졸, 이미다졸, 티아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이소티아졸, [1, 2, 3]옥사디아졸, [1, 2, 4]옥사디아졸, [1, 3, 4]옥사디아졸, 푸라잔, [1, 2, 3]티아디아졸, [1, 2, 4]티아디아졸, [1, 2, 5]티아디아졸, [1, 3, 4]티아디아졸, 1H-[1, 2, 3]트리아졸, 2H-[1, 2, 3]트리아졸, 1H-[1, 2, 4]트리아졸, 2H-[1, 2, 4]트리아졸, 1H-테트라졸, 5H-테트라졸, 2, 3-디히드로-1H-피롤, 2, 5-디히드로-1H-피롤, 3, 4-디히드로-2H-피롤, 피롤리딘, 2, 3-디히드로푸란, 2, 5-디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푸란, 2, 3-디히드로티오펜, 2, 5-디히드로티오펜, 테트라히드로티오펜, 피라졸리딘, 피리딘, 피란, 티오피란,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1, 2, 3]트리아진, [1, 2, 4]트리아진, [1, 3, 5]트리아진, 2H-[1, 2, 3]옥사디아진, 2H-[1, 2, 4]옥사디아진, 2H-[1, 2, 5]옥사디아진, 2H-[1, 2, 6]옥사디아진, 4H-[1, 2, 3]옥사디아진, 4H-[1, 2, 4]옥사디아진, 4H-[1, 2, 5]옥사디아진, 4H-[1, 2, 6]옥사디아진, 4H-[1, 3, 4]옥사디아진, 4H-[1, 3, 5]옥사디아진, 2H-[1, 2, 3]티아디아진, 2H-[1, 2, 4]티아디아진, 2H-[1, 2, 5]티아디아진, 2H-[1, 2, 6]티아디아진, 4H-[1, 2, 3]티아디아진, 4H-[1, 2, 4]티아디아진, 4H-[1, 2, 5]티아디아진, 4H-[1, 2, 6]티아디아진, 4H-[1, 3, 4]티아디아진, 4H-[1, 3, 5]티아디아진, 2, 3-디히드로피리딘, 3, 4-디히드로피리딘, 1, 3-디옥산, 1, 4-디옥산, 피페리딘, 3, 4-디히드로-2H-피란, 3, 6-디히드로-2H-피란, 테트라히드로피란, 3, 4-디히드로-2H-티오피란, 3, 6-디히드로-2H-티오피란,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 모르폴린, 피페라진, 크로만, 크로멘, 이소벤조푸란, 인돌리진, 인돌, 3H-인돌, 디히드로인돌, 이소인돌, 1H-인다졸, 2H-인다졸, 퓨린, 퀴놀린, 이소퀴놀린, 4H-퀴놀리진, 프탈라진, 나프틸리딘, 키녹살린, 키나졸린, 신놀린, 카르바졸, 아크리딘, 페나진, 페난트롤린,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인돌린,이소인돌린, 벤조푸란, 디히드로벤조푸란, 벤조티오펜, 벤조[c]티오펜, 벤조[c]이소티아졸, 벤조[c]이소옥사졸, 디히드로벤조티오펜, 벤조옥사졸, 벤조이소옥사졸, 벤즈이미다졸, 벤조티아졸, 벤조이소티아졸, 1H-벤조트리아졸, 2H-벤조트리아졸, 벤조[1, 4]디옥산, 2, 3-디히드로벤조[1 , 4]디옥산, 벤조[1, 3]디옥솔, β-카볼린, 벤조[1, 2, 5]옥사디아졸, 벤조[1, 2, 5]티아디아졸, 프테리딘, 이미다조[1, 2-a]피리딘, 이미다조[1, 2-a]피리미딘, 피라졸로[1, 5-a]피리미딘, [1, 2, 4]트리아졸로[1, 5-a]피리미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으며, 아실기로서는, 아세틸기 등의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벤조일기 등의 아릴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탄소수 1~6의 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또는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브로모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또는 부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디플루오로메톡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톡시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콕시기,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또는 부틸티오기 등의 알킬티오기,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기, 디플루오로메틸티오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틸티오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티오기, 메탄술피닐기, 에탄술피닐기, 프로판술피닐기 또는 부탄술피닐기 등의 알킬술피닐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피닐기, 디플루오로메탄술피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탄술피닐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술피닐기, 메탄술포닐기, 에탄술포닐기, 프로판술포닐기 또는 부탄술포닐기 등의 알킬술포닐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기, 디플루오로메탄술포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탄술포닐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술포닐기, 메탄술폰아미드기, 에탄술폰아미드기, 프로판술폰아미드기 또는 부탄술폰아미드기 등의 알킬술폰아미드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아미드기, 디플루오로메탄술폰아미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탄술폰아미드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술폰아미드기, 메틸아미노기, 페닐아미노메틸기, 또는 아미노메틸기 등의 아미노메틸기를,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아미드기를,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의 할로겐 원자, 아세틸기 또는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를 예시할 수 있으며,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지 않는다.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아릴알킬기,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의 헤테로환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또는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브로모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또는 부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디플루오로메톡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톡시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콕시기,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또는 부틸티오기 등의 알킬티오기,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기, 디플루오로메틸티오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틸티오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티오기, 메탄술피닐기, 에탄술피닐기, 프로판술피닐기 또는 부탄술피닐기 등의 알킬술피닐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피닐기, 디플루오로메탄술피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탄술피닐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술피닐기, 메탄술포닐기, 에탄술포닐기, 프로판술포닐기 또는 부탄술포닐기 등의 알킬술포닐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기, 디플루오로메탄술포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탄술포닐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술포닐기, 메탄술폰아미드기, 에탄술폰아미드기, 프로판술폰아미드기 또는 부탄술폰아미드기 등의 알킬술폰아미드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아미드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아미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탄술폰아미드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술폰아미드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푸란, 티오펜, 옥사졸, 피롤, 1H-피라졸, 3H-피라졸, 이미다졸, 티아졸, 이소옥사졸, 이소티아졸, 테트라히드로푸란, 피라졸리딘, 피리딘, 피란, 피리미딘, 피라진 등의 헤테로환을, 메틸아미노기, 페닐아미노메틸기, 또는 아미노메틸기 등의 아미노메틸기를,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아미드기를,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의 할로겐원자, 아세틸기 또는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를 각각 예시할 수 있다.
식 (3), 식 (6)및 식 (9)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X로 나타내는 이탈기로서는, 염소 원자로 대표되는 할로겐 원자, 메톡시기 및 에톡시기로 대표되는 알콕시기, 페녹시기로 대표되는 아릴옥시기, 아세틸옥시기 및 벤조일옥시기로 대표되는 아실옥시기, 메톡시카르보닐옥시기로 대표되는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페닐카르보닐옥시기로 대표되는 아릴카르보닐옥시기,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이미다졸기 등을 각각 예시할 수 있다.
식 (1)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규 화합물이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반응식 (1)(화학식 1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0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A는 식 (2)(화학식 2)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Q 및 X는 식 (3)(화학식 3)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응식 (1)에 있어서, 식 (2)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3)으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보닐화합물과 무용매 혹은 용매중, 무염기 혹은 염기 및 트리알킬알루미늄 등의 금속 시약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반응에 이용되는 염기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산화알칼리금속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수산화알칼리토금속류,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의 수소화알칼리금속류,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의 알칼리금속알코올레이트류, 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산화물류,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탄산염류, 인산3칼륨, 인산3나트륨, 인산1수소2칼륨, 인산1수소2나트륨 등의 인산염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등의 아세트산염류,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이미다졸,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등의 유기염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염기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유기염기류를 이용한 경우에는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염기를 사용할 때, 반응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 디메틸술폭시드(DMSO), 1, 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DMI), 1-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1, 2-디메톡시에탄(DME),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반응에 이용되는 금속 시약으로서는 Grignard 시약과 알킬아민으로 만들어지는 할로겐화알킬아미노마그네슘(Bodroux 반응), 수소화알루미늄리튬,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 시약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금속 시약을 사용할 때, 반응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1, 2-디메톡시에탄(DME),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78~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8~100℃,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식 (3)으로 나타내는 카르보닐화합물의 당량은 식 (2)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1~2 당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 당량이다.
반응식 (1)의 식 (2)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은, 반응식 (2)(화학식 1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1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A는 식 (2)(화학식 2)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R11은 t-부틸기 또는 치환해도 좋은 벤질기를 나타낸다.]
반응식 (2)에 있어서, 식 (10)으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산과 반응시키거나, 수소 첨가 반응에 의해, 식 (2)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산으로서는,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 질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수소 첨가 반응은 적당한 용매중, 촉매 존재하, 상압하 혹은 가압하에서, 수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필라듐-카본 등의 필라듐 촉매, 필라듐니 등의 니켈 촉매, 코발트 촉매, 루테늄 촉매, 로듐 촉매, 백금 촉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수분부터 96시간 범위에서 각각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반응식 (2)의 식 (10)으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은, 반응식 (3)(화학식 1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2
[식 중, R1, R2, R3, R4, A 및 X는 식 (6)(화학식 6)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R5, R6, R7, R8, R9, R10 및 R11은 식 (10)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응식 (3)에 있어서, 식 (11)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6)으로 나타내는 공지의 아미노산 유도체와 무용매 혹은 용매중, 무염기 혹은 염기 및 트리알킬알루미늄 등의 금속 시약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0)으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염기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유기 염기류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금속 시약으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시약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경우의 유기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11)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1~4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반응식 (3)의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7)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염화티오닐, 옥살릴클로라이드, 포스겐, 옥시염화인, 3염화인, 5염화인, 브롬화티오닐, 3브롬화인, 디에틸아미노황트리플루오라이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등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의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7)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나 페놀, 니트로페놀 등의 페놀류와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의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7)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클로로포름산메틸, 클로로포름산페닐 등의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와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의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7)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등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의 식 (11)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은, 시판되고 있는 것 이외는, 예를 들면, 가브리엘법, 델핀법, 시아노기나 아미드, 이민, 옥심 등의 환원과 같은 공지의 아민 합성법이나 테트라헤드론아시메트리(Tetrahedron Asymmetry), 제11권, 제 1907페이지(2000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식 (10)으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는, 반응식 (4)(화학식 1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3
[식 중, R1, R2, R3, R4 및 A는 식 (7)(화학식 7)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R5, R6, R7, R8, R9, R10 및 R11은 식 (10)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응식 (4)에 있어서, 식 (11)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7)로 나타내는 공지의 아미노산 유도체와 무용매 혹은 용매중,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0)으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축합제로서는, N, 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ㆍ염산염, 2-클로로-1, 3-디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축합제의 사용량은 식 (7)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해서, 1~3 당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1.5 당량이다.
또한 이 경우의 유기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 (7)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사용량은 식 (11)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1~2 당량, 바람직하게는 1~1.2 당량이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반응식 (4)의 식 (7)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대응하는 아미노산을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 O-메틸-O-(p-니트로페닐)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류 등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의 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4)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염화티오닐, 옥살릴클로라이드, 포스겐, 옥시염화인, 3염화인, 5염화인, 브롬화티오닐, 3브롬화인, 디에틸아미노황트리플루오라이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등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의 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4)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나 페놀, 니트로페놀 등의 페놀류와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의 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4)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클로로포름산메틸, 클로로포름산페닐 등의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와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의 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4)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등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식 (1)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식 (5)(화학식 1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4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A는 식 (2)(화학식 2)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Q는 식 (3)(화학식 3)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반응식 (5)에 있어서, 식 (2)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4)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무용매 혹은 용매중,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축합제로서는, N, 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ㆍ염산염, 2-클로로-1, 3-디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축합제의 사용량은 식 (4)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해서, 1~3 당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1.5 당량이다.
또한 이 경우의 유기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 (4)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사용량은 식 (2)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1~2 당량, 바람직하게는 1~1.2 당량이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식 (1)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식 (6)(화학식 1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5
[식 중, R5, R6, R7, R8, R9, R10 및 Q는 식 (5)(화학식 5)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R1, R2, R3, R4, A 및 X는 식 (6)(화학식 15)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응식 (6)에 대하여, 식 (5)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6)으로 나타내는 공지의 화합물과 무용매 혹은 용매중, 무염기 혹은 염기 및 트리알킬알루미늄 등의 금속 시약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염기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유기 염기류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금속 시약으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시약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경우의 유기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5)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1~4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식 (1)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식 (7)(화학식 1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6
[식 중, R5, R6, R7, R8, R9, R10 및 Q는 식 (5)(화학식 5)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R1, R2, R3, R4 및 A는 식 (7)(화학식 7)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응식 (7)에 있어서, 식 (5)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7)로 나타내는 공지의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무용매 혹은 용매중,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축합제로서는, N, 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ㆍ염산염, 2-클로로-1, 3-디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축합제의 사용량은 식 (7)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해서, 1~3 당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1.5 당량이다.
또한, 이 경우의 유기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 (7)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사용량은 식 (5)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에 대해 1~2 당량, 바람직하게는 1~1.2 당량이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식 (1)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식 (8)(화학식 17)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있다.
(화학식 1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7
[식 중,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Q는 식 (8)(화학식 8)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R1 및 A는 식 (9)(화학식 9)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응식 (8)에 있어서, 식 (8)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을 식 (9)로 나타내는 공지의 화합물과 무용매 혹은 용매중, 무염기 혹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염기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유기 염기류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유기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 (9)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8)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1~4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반응 시간은 0.01~5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5시간이다.
반응식 (8)의 식 (8)로 나타내는 아민 유도체 및 그 염은, 반응식 (9)(화학식 1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8
[식 중,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Q는 식 (8)(화학식 8)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A는 식 (9)(화학식 9)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R1은 t-부틸기 또는 치환해도 좋은 벤질기를 나타낸다.]
반응식 (9)에 있어서,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산과 반응시키거나 수소 첨가 반응에 의해, 식 (8)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산으로서는,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 질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수소 첨가 반응에 촉매로서는, 반응식 (2)에서 나타내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식 (9)로 나타내는 반응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식 (1)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수분내지 96시간 범위에서 각각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반응식 (8)의 식 (9)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대응하는 알코올류를 포스겐, 트리포스겐 등의 포스겐류, 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 등의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 등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는,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부제탄소가 존재하며, 광학 이성체, 디아스테레오 이성체, 라세미체 및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런 종의 모든 이성체 및 그 혼합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살균제란, 세균, 진균류, 바이러스 등의 병원이 되는 미생물(병원체)을 사멸시키는 약제이며, 그러한 것으로는, 부패 방지, 곰팡이 방지용 등의 공업용 살균제, 농원예용 살균제, 의료용ㆍ소독용 살균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디아민 유도체는 특히 농원예용 살균제로서 매우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인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제란, 식물 병원균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농작물을 방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약제이며, 조균류(Oomycetes), 자낭균류(Ascomycetes), 불완전 균류(Deuteromycetes), 담자균류(Basidiomycetes), 근부병균류(Plasmodiophoromycetes)에 속하는 균 및 그 외의 병원균에 기인하는 야채, 과수, 벼, 곡류, 화훼, 잔디 분야를 포함한 다종 다양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병해명(균명)을 비한정적인 예로서 열거한다. 예를 들면, 벼의 도열병(Pyricularia oryzae), 깨씨무늬병(Cochliobolus miyabeanus), 문고병(Rhizoctonia solani), 키다리병(Gibberella fujikuroi), 피시움속균에 의한 모종 입고병(Pythium graminicola 등), 보리 흰가루병(Erysiphe graminis f.sp.hordei; f.sp.tritici), 반엽병(Pyrenophora graminea), 망반병(Pyrenophora teres), 붉은 곰팡이병(Gibberella zeae), 녹병(Puccinia striiformis; P.graminis; P. recondita; P. hordei), 설부병(Typhula sp. ; Micronectriella Nivalis), 깜부기병(Ustilago tritici; U.Nuda), 안문병(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엽고병(Septoria tritici), 밀껍질마름병(Leptosphaeria Nodorum), 피시움속균에 의한 갈색설부병(Pythium iwayamai 등), 포도 노균병(Plasmopara viticola),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ator), 흑두병(Elsinoe ampelina), 만부병(Glomerella cingulata), 녹병(Phakopsora ampelopsidis), 사과 흰가루병(Podosphaera leucotricha), 흑성병(Venturia inaequalis), 반점 낙엽병(Alternaria mali), 적성병(Gymnosporangium yamadae), 모닐리아병(Sclerotinia mali), 부란병(Valsa mali), 배의 흑반병(Alternaria kikuchiana), 흑성병(Venturia Nashicola), 적성병(Gymnosporangium haraeanum), 서양 배의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복숭아의 회성병(Sclerotinia cinerea), 흑성병(Cladosporium carpophilum), 포몹시스 부패병(Phomopsis sp.), 역병(Phytophthora sp.), 감의 탄소병(Gloeosporium kaki), 낙엽병(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Nawae), 오이류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역병(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Nicotianae, Phytophthora drechsleri), 흰가루병(Sphaerotheca fuliginea), 탄소병(Colletotrichum lagenarium), 덩굴마름병(Mycosphaerella melonis), 토마토의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모종 입고병(Pythium vezans, Rhizoctonia solani), 윤문병(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Cladosporium fulvam), 근부병(Pythium myriotylum, Pythium dissotocum), 가지의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oarum),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갈색 부패병(Phytophthora capsici), 십자화과 야채의 흑반병(Alternaria japonica), 백반병(Cerocosporella barassicae), 뿌리 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노균병(Peronospora brassicae), 파의 백색 역병(Phytophthora porri), 녹병(Puccinia allii), 대두의 줄기 역병(Phytophthora megasperma), 노균병(Peronospora manshurica),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흑두병(Elsinoeglycines), 흑점병(Diaporthe phaseololum), 강낭콩의 탄소병(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땅콩의 흑삽병(Mycosphaerella personatum), 갈반병(Cercospora arachidicola), 완두의 흰가루병(Erysiphe pisi), 노균병(Peronospora pisi), 감자의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하역병(Alternaria solani), 차나무 떡병(Exobasidium reticulatum), 백성병(Elsinoe leucospila), 담배의 적성병(Alternaria longipes),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탄소병(Colletotrichum tabacum), 사탕무의 갈반병(Cercospora beticola), 노균병(Peronospora schachtii), 장미의 흑성병(Diplocarpon rosae), 노균병(Peronospora sparsa), 역병(Phytophthora megasperma), 흰가루병(Sphaerotheca pannosa), 국화의 갈반병(Septoria chrysanthemi-indici), 흰녹병(Puccinia horiana),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딸기의 흰가루병(Sphaerotheca humuli),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과실 부패병(Pythium ultimum), 오이, 토마토, 딸기, 포도 등의 회색 곰팡이병(Botrytis cinerea),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잔디의 브라운 패치병(Rhizoctonia solani), 달러 스팟병(Sclerotinia homoeocarpa), 큐브라리아 엽고병(Curvularia geniculata), 녹병(Puccinia zoysiae), 헬민트스포리움 엽고병(Cochiliobolus sp.),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벼의 도열병(Pyricularia oryzae),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소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설부갈색 소립균핵병(Typhula incarnata), 설부흑색 소립균핵병(Typhula ishikariensis), 설부 대립균핵병(Sclerotinia borealis), 페어리 링(Marasmius oreades, 등.), 피시움병(Pythium aphanidermatum 등) 등을 들 수 있다.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는, 특히 포도 노균병균(Plasmopara viticola), 오이류 노균병균(Pseudoperonospora cubensis), 감자나 토마토의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잔디의 피시움 병균(Pythium aphanidermatum 외) 등을 대표로 하는 많은 알균류에 강력한 살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 Plasmopara속, Pseudoperonospora속, Peronospora속, Pythium속의 병원균이 일으키는 다종의 식물의 역병, 노균병, 모종 입고병, 피시움병 등에 매우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벼의 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에 강력한 살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벼의 도열병에도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식 (1)로 나타내는 활성화합물은, 식물 병원균을 방제하는데 필요한 활성화합물의 농도에 있어서, 식물체에 대하여, 양호한 화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체의 지상부에 대한 약제 처리, 대목 및 종자에 대해서의 약제 처리, 토양 처리 등에 의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 화합물인 식 (1)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는, 다른 살균제나 살충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등의 농약, 토양 개량제 또는 비효성 물질과의 혼합 사용은 물론, 이들과의 혼합 제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고체 또는 액체의 희석제를 포함하는 담체와 혼합한 조성물의 형태로 시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담체는 처리해야 할 부위로의 유효 성분의 도달을 도우며, 또한 유효 성분 화합물의 저장, 수송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배합되는 합성 또는 천연의 무기 또는 유기물질을 의미한다.
적당한 고체 담체로서는,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벤토나이트 등의 점토류, 규조토, 백토, 탈크, 버미큘라이트, 석고, 탄산칼슘, 실리카겔,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물질, 대두가루, 톱밥, 소맥분 등의 식물성 유기물질 및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적당한 액체 담체로서는, 톨루엔, 자일렌, 쿠멘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로신, 광유 등의 파라핀계 탄화수소류,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계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타놀,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및 물 등을 들 수 있다.
한층 더 본 발명 화합물의 효력을 증강하기 위해서, 제제의 제형, 적용 장면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 다음과 같은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보조제로서는, 유화, 분산, 확전, 습윤, 결합 및 안정화 등의 목적으로는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유산염 및 폴리옥시알킬렌알킬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알킬티오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블록폴리머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칼슘, 왁스 등의 활제, 이소프로필히드로디엔포스페이트 등의 안정제, 그 외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세인, 아라비아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이상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유효 성분량은, 통상 분제에서는 0.5~20중량%, 유제에서는 5~50중량%, 수화제에서는 10~90중량%, 입제에서는 0.1~20중량% 및 플로어블 제제에서는 10~90중량%이다. 한편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의 담체의 양은, 통상 분제에서는 60~99중량%, 유제에서는 40~95중량%, 수화제에서는 10~90중량%, 입제에서는 80~99중량% 및 플로어블 제제에서는 10~90중량%이다. 또한, 보조제의 양은, 통상 분제에서는 0.1~20중량%, 유제에서는 1~20중량%, 수화제에서는 0.1~20중량%, 입제에서는 0.1~20중량% 및 플로어블 제제에서는 0.1~20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다른 살균제 및/또는 살충제의 1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 화합물과 다른 살균제 및/또는 살충제의 혼합 조성물로서 사용해도 좋고, 또는, 본 발명 화합물과 다른 살균제 및/또는 살충제를 농약 처리시에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시험예로 본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N-[1,1-디메틸-2-[(4-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아미드(화합물 번호 14)
2-[(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0.24g, 1.49mmol)의 THF 용액(3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25g, 1.54mmol)를 실온에서 가하고,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아미노-2-메틸프로필)4-메틸벤조산아미드(0.25g, 1.21mmol)를 실온에서 가하여 12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1:1)에서 정제를 실시해, 목적물 0.29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69%).
[실시예 2]
N-[2-메틸-1-(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발레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40)
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발레르산(2.54g, 11.69mmol)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1.90g, 11.72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4-메틸벤조산아미드염산염(2.00g, 7.79mmol), 트리에틸아민(0.87g, 8.60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12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해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2.8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8%).
[실시예 3]
N-[2-메틸-1-(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페닐아세트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0)
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페닐아세트산(2.93g, 11.66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1.90g, 11.72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 N-[2-(S)-아미노-3-메틸부틸]4-메틸벤조산아미드염산염(2.00g, 7.79mmol), 트리에틸아민(0.87g, 8.60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12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해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3.0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7%).
[실시예 4]
N-[2-메틸-1-(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2-(R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테트라히드로푸란-3-일)아세트아미드(화합물 번호 69)
2-(R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테트라히드로푸란-3-일)아세트산(1.44g, 5.87mmol), N-[2-(S)-아미노-3-메틸부틸]4-메틸벤조산아미드염산염(1.26g, 4.89mmol),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0.64g, 6.36mmol),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1.30g, 6.36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0ml)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0.59g, 5.87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의 결정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를 실시하여 목적물 1.23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56%).
[실시예 5]
N-[2-메틸-1-(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4-펜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6)
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4-펜틴산(0.50g, 2.3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41g, 2.50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4-메틸벤조산(0.27g, 1.10mmol), 이어서 이미다졸(0.22g, 3.20mmol)을 가하여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루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가한 후, 5 %시트르산 수용액, 물,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20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3%).
[실시예 6]
N-[2-메틸-1-(S)-[[(2-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아미드(화합물 번호 143)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51g, 2.49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5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40g, 2.49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2-메틸벤조산아미드염산염(0.58g, 2.27mmol)과 트리에틸아민(0.34g, 3.41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10ml)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농축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20ml)에 용해하여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55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60%).
[실시예 7]
N-[2-메틸-1-(R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151)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50g, 2.46mmol)의 THF 용액(5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41g, 2.53mmol)를 실온에서 가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RS)-아미노-3-메틸부틸]4-메틸벤조산아미드염산염(0.64g, 2.49mmol), 트리에틸아민(0.29g, 2.87mmol)를 실온에서 가하여 12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를 실시하여 목적물 0.62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62%).
[실시예 8]
N-[1-(S)-[[(2-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196)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30g, 1.58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0ml)에-15℃에서 N-메틸모르폴린(0.17ml, 1.58mmol)을 가하여 동온도에서 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22ml, 1.73mmol)를 가하였다. 5분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2-클로로벤조산아미드염산염(0.40g, 1.44mmol)과 트리에틸아민(0.29g, 2.88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ml)을 가하여 동온도에서 20분간 교반 후, 실온에서 되돌렸다. 반응액을 물,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5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1%).
[실시예 9]
N-[1-(S)-[[(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05)
N-[2-(S)-아미노-3-메틸부틸]4-클로로벤조산아미드염산염(0.50g, 1.80mmol), 3-메틸-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59g, 2.70mmol),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0.33g, 2.88mmol),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60g, 2.88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20ml)에 트리에틸아민(0.27g, 2.70mmol)을 실온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생성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의 침전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3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6%).
[실시예 10]
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3-메틸-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74)
(a)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76, 0.93g, 2.05mmol), 10%필라듐온카본(0.14g, 15중량%), 진한 염산(3ml)의 메탄올 용액(50ml)을, 수소 분위 기하, 4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기를 질소 치환 후, 촉매를 세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2N 염산수에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로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물 0.67g을 황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수율 87%).
(b)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3-메틸-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74)
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0.27g, 0.76mmol), 트리에틸아민(0.09g, 0.91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30ml)에 빙냉하에서 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12g, 0.84mmol)를 적하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n-헥산과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08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25%).
[실시예 11]
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76)
(a)N-[3-메틸-2-(R)-[(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2-( 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4.66g, 18.54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0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3.01g, 18.54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1-(R)-(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 1,1-디메틸에틸에스테르(2.50g, 12.36mmol)를 실온에서 가하여 5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2.51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7%).
(b)N-[2-(R)-아미노-3-메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N-[3-메틸-2-(R)-[(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2.50g, 5.74mmol)의 아세트산에틸 용액(30ml)에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30ml)을 실온에서 가하여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로 추출하여,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로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물 1.83g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6%).
(c)N-[3-메틸-2-(R)-[(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76)
N-[2-(R)-아미노-3-메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1.80g, 5.37mmol), 트리에틸아민(0.61g, 5.91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0ml)에 빙냉하에서 4-메틸벤조일클로라이드(0.91g, 5.91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0ml)을 적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액을 물로 세정 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무기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n-헥산에 의해 결정화시키는 것으로, 목적물 1.1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8%).
[실시예 12]
N-[3-메틸-2-(S)-[(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81)
(a)N-[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4.51g, 17.94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2.91g, 17.94mmol)를 실온에서 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1-(S)-(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1,1-디메틸에틸에스테르(2.42g, 11.96mmol)를 실온에서 가하여 5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2.9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57%).
(b)N-[2-(S)-아미노-3-메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N-[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2.73g, 6.27mmol)의 아세트산에틸용액(30mL)에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용액(30mL)을 실온에서 가하여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로 추출해서,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에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목적물 1.89g을 엷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0%)
(c)N-[3-메틸-2-(S)-[(4-메틸벤조일)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281)
4-메틸벤조산(1.00g, 7.33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1.19g, 7.33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1.89g, 5.64mmol)를 가하여 반응액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1.25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4%).
[실시예 13]
N-[2-(S)-메틸-1-(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부틸]3-메틸-2-(S)-[(메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306)
N-[2-(S)-메틸-1-(S)-[[(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부틸]2-(S)-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염산염(0.50g, 1.35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에 메틸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15g, 1.59mmol), 트리에틸아민(0.36g, 3.56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12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35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66%).
[실시예 14]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01)
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0.46g, 2.44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2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40g, 2.44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벤조푸란-2-카르복시산아미드(0.50g, 2.02mmol)를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20mL)에 용해해서,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59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0%).
[실시예 15]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아미드(화합물 번호 599)
(a)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S)-아미노프로피온산아미드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아미드(화합물 번호 12, 1.71g, 4.10mmol)의 아세트산에틸용액(5mL)에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용액(11mL)을 실온에서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로 추출해서, 얻어진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에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해서,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목적물 1.24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5%).
(b)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아미드(화합물 번호 599)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S)-아미노프로피온산아미드(0.23g, 0.72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mL)에 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10g, 0.79mmol)를 더하였다. 반응액에 트리에틸아민(0.08g, 0.79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mL)을 적하해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물로 순차세정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 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를 실시하여, 목적물 0.28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6%).
[실시예16]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온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05)
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온산(2.80g,13.78mmol), N-[2-(S)-아미노-3-메틸부틸]벤조푸란-2-카르복시산아미드(2.26g, 9.18mmol),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1.69g, 14.69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3.03g, 14.69mmol), 트리에틸아민(1.39g, 13.78mmol)을 더하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생성한 디시클로헥실우레아의 결정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 후에, 여과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를 실시하여, 목적물 3.39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6%).
[실시예 17]
N-[2-(R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1-메틸]에틸][3-메틸-2-(S)-[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49)
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55g, 2.55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41g, 2.55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RS)-아미노프로 필]벤조푸란-2-카르복시산아미드 염산염(0.50g, 1.96mmol), 이미다졸(0.44g, 6.47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n-헥산의 혼합 용액으로 세정하여, 목적물 0.60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73%).
[실시예 18]
N-[3-메틸-2-(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75)
벤조푸란-2-카르복시산(1.73g, 10.68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실온에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1.76g, 10.68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3.41g, 10.17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n-헥산의 혼합 용액으로 세정하여 목적물 3.60g을 엷은 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74%).
[실시예 19]
N-[[2-(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72)
(a)N-[3-메틸-2-(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부틸]2-(S)-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
N-[3-메틸-2-(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부틸]2-(S)-[(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86, 3.40g, 7.09mmol), 10% 팔라듐온카본(0.51g, 15중량%), 진한 염산(3mL)의 메탄올용액(50mL)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4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기를 질소치환 후, 촉매를 세라이트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2N염산수에 용해시켜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로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목적물 1.82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4%).
(b)N-[[2-(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72)
N-[3-메틸-2-(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부틸]2-(S)-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0.80g, 2.32mmol), 트리에틸아민(0.26g, 2.55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31g, 2.55mmol)를 빙냉하에서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58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58%).
[실시예 20]
N-[1-(S)-[[(퀴놀린-2-카르보닐)아미노]메틸]-2-(S)-메틸부틸]2-(S)-(메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695)
3-메틸-2-[(메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30g, 1.71mmol), N-[2-(S)-아미노-3-메틸펜틸]퀴놀린-2-카르복시산아미드(0.46g, 1.70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에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EDC:0.33g, 1.72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5시간 교반 후에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물로 세정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해서 분리한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이용하여 세정하여 목적물 0.51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0%).
[실시예 21]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2-디메틸프로필] [3-메틸-2-(S)-[N-(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11)
3-메틸-2-(S)-[(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47g, 2.50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38g, 2.50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3,3-디메틸부틸]벤조푸란-2-카르복시산아미드(0.50g, 1.92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74g을 백색 결정으로 서 얻었다(수율 89%).
[실시예 22]
N-[2-메틸-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프로필][3-메틸-2-(S)-[N-(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69)
3-메틸-2-(S)-[(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40g, 2.11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32g, 1.94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벤조푸란-2-카르복시산아미드(0.40g, 1.62mmo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식염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33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49%)
[실시예 23]
N-[2-메틸-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프로필][3-메틸-2-(S)-[N-(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72)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39g, 1.92mmol), N-[2-(S)-아미노-3-메틸부틸]벤조푸란-2-카르복시산아미드염산염(0.50g,1.77mmol),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0.21g, 2.12mmol),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44g, 2.12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트리에틸아민(0.35g, 3.54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생성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의 침전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38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50%).
[실시예 24]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비닐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79)
(a)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19.53g, 43.83mmol)의 아세트산에틸용액(100mL)에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117mL)을 실온에서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로 추출해서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로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해서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목적물 12.63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3%).
(b)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비닐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79)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0.46g, 1.34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에 트리에틸아민(0.41g, 4.02mmol)을 더하였다. 반응액에 비닐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17g, 1.61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을 빙냉하에서 적하해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로 순차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46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3%).
[실시예 25]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테트라하이드로푸란-2-메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83)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0.46g, 1.34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에 O-[테트라하이드로푸란-2-메틸]O-[4-니트로페닐]카보네이트(0.43g, 1.61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을 빙냉하에서 적하해서, 실온에서 5일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로 순차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52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2%).
[실시예 26]
N-[1-(S)-[[(벤조푸란-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에틸티오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790)
N-[1-(S)-[(벤조옥사졸-2-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 (S)-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 염산염(0.30g, 0.79mmol), 에틸티오카르보닐클로라이드(0.10g, 0.80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5mL)에 트리에틸아민(0.24g, 2.37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mL)을 5℃에서 더하였다.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해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물로 세정한 후에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이용하여 세정하여 목적물 0.21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60%).
[실시예 27]
N-[2-메틸-1-(S)-[[[(1,4-벤조디옥산)-2-(RS)-카르보닐]아미노]메틸]프로필][3-메틸-2-(S)-[N-(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897)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37g, 1.83mmol), N-[2-(S)-아미노-3-메틸부틸]1,3-벤조디옥산-2-(RS)-카르복시산아미드염산염(0.50g, 1.66mmol),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0.20g, 1.99mmol),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41g, 1.99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0mL)에 트리에틸아민(0.33g, 3.32mmol)을 실온에서 더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생성한 디시클로헥실우레아의 침전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71g을 백색 반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5%).
[실시예 28]
N-[1-(S)-[(벤조옥사디아졸-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927)
(a)N-[2-(S)-(2,2-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틸프탈이미드
N-[(1-히드록시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1,1-디메틸에틸(30.00g, 147.58mmol), 프탈이미드(21.72g, 147.58mmol), 트리페닐포스핀(42.36g, 162.34mmo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300mL)에 아조디카르복시산디에틸(DEAD)(28.32g, 162.34mmo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50mL)을 빙냉하에서 적하하였다. 반응액을 서서히 온도상승시켜,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해서, 백색 고체 45.91g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고체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정제를 실시하여 목적물 34.40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70%).
(b)N-[2-(S)-아미노-3-메틸]부틸프탈이미드 염산염
N-[2-(S)-(2,2-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틸프탈이미드(23.05g, 69.34mmol)의 아세트산에틸현탁액(50mL)에 실온에서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용액(150mL, 염화수소로서 600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백색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해서 얻어진 결정을 아세트산에틸(100mL)로 덧옷 세정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감압하에서 건조해서 목적물 16.74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c)N-[2-메틸-1-(S)-[(프탈이미드-1-일)메틸]프로필[3-메틸-2-(S)-[N-(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17.06g,83.95mmol) 의 디클로로메탄용액(350mL)에 실온에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11.62g, 83.95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실온에서 N-[2-(S)-아미노-3-메틸]부틸프탈이미드 염산염(15.00g, 64.58mmol), 이미다졸(14.42g, 213.11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백색 결정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18.67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69%, 융점 240.9℃).
(d)N-[1-(S)-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
N-[2-메틸-1-(S)-[(프탈이미드-1-일)메틸]프로필[3-메틸-2-(S)-[N-(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10.00g, 23.95mmol)의 에탄올 용액(250mL)에 실온에서 히드라진 수화물(2.52g, 50.30mmol)을 가하여 가열 환류 하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 되돌려,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제거해서, 에탄올로 세정하였다. 여과 세정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해서,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불용의 백색 침전을 세라이트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5% 구연산 수용액으로 추출해서 추출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였다. 빙냉하에서 수층을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12이상으로 조정해서,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을 실시하여, 목적물 5.88g을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85%, 융점106.3℃).
(e)N-[1-(S)-[(벤조옥사디아졸-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927)
N-[1-(S)-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0.50g, 1.99mmol), 트리에틸아민(0.26g, 2.57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에 벤조옥사디아졸-4-카르보닐클로라이드(0.37g, 2.03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을 5℃에서 더하였다. 실온에 되돌린 후, 5시간 교반한 후에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물로 세정한 후에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이용하고 세정하여 목적물 0.60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8%).
[실시예 29]
N-[1-(S)-[[(6-클로로피리딘-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951)
3-메틸-2-(S)-[(1-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20g, 0.99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0.16g, 0.99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6-클로로피리딘-2-카르복시산아미드(0.20g, 0.83mmol)를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20mL)에 용해해서,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포화식염수로 순차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20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56%).
[실시예30]
N-[1-(S)-[[(티오펜-2-카르보닐)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3-메틸-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아미드(화합물 번호 1018)
3-메틸-2-(S)-[(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0.52g, 2.42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10mL)에 -15℃에서 N-메틸모르폴린(0.27mL, 2.42mmol)을 더하였다. 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0.33mL, 2.58mmol)를 적하해서, -15℃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N-[2-(S)-아미노-3-메틸부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0.40g, 1.61mmol)과 트리에틸아민(0.33g, 3.22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5mL)을 -15℃에서 가하여,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20mL)에 용해해서, 물,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목적물 0.54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2%).
이하에 중간체의 제조법을 참고예로서 제시한다.
[참고예 1]
N-[1-(S)-(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1,1-디메틸에틸에스테르
N-[1-(S)-(히드록시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1,1-디메틸에틸에스테르(25.00g, 122.98mmo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250mL)에 프탈이미드(18.10g, 123.02mmol), 트리페닐포스핀(35.50g, 135.35mmol)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교반 후, 아조디카르복시산 디에틸에스테르(23.60g, 135.51mmo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10mL)을 적하하여 빙냉하에서 1시간, 다시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 후, 건조하였다. 얻어진 N-[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틸]프탈이미드의 백색 고체에 에탄올(500mL), 히드라진1수화물(13.1g, 261.69mmol)를 가하여 100℃에서 2시간 환류하였다. 석출한 프탈로일히드라지드의 백색 결정을 여과 제거해서, 반응 용액을 하룻밤 방치한 후, 다시 석출한 프탈로일히드라지드를 여과 제거하였다. 용매를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였다. 잔사에 디클로로메탄(500mL)을 더하고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0mL)으로 세정하여 유기층을 5% 구연산 수용액(500mL)으로 추출 후, 수층을 디클로로메탄(500mL)으로 세정하였다. 수산화나트륨(10.40g)을 이용하여 수층을 pH12로 조정 후, 디클로로메탄(500mL)으로 추출,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0mL)으로 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목적물 21.95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8%).
[참고예 2]
N-[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4-시아노 벤조산아미드
N-[1-(S)-(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1,1-디메틸에틸에스테르(2.00g, 9.89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20mL)에 트리에틸아민(2.00g, 2.76mL)을 가하여 0℃에서서 빙냉하였다. 반응액에 4-시아노벤조일클로라이드(2.59g, 14.84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20mL)을 적하해서, 실온에 되돌린 후,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 을 물, 5%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n-헥산과 아세트산에틸을 이용하여 재결정해서, 목적물 3.05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3%).
[참고예 3]
N-[2-(S)-아미노-3-메틸부틸]4-시아노 벤조산아미드 염산염
N-[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틸]4-시아노벤조산아미드(2.85g, 8.60mmol)를 아세트산에틸(10mL)에 용해해서,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용액(13mL)을 더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석출한 염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 여과하여 뽑아내고, 건조시켜 목적물 2.03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8%).
[참고예 4]
N-[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벤조푸란카르복시산아미드
벤조푸란-2-카르복시산(15.0g, 92.5mmol)의 디클로로메탄용액(300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15.8g, 97.6mmol)을 실온에서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에 N-[1-(S)-(아미노메틸)-2-메틸프로필]카르밤산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19.7g, 92.5mmol)를 가하여 5시간 교반 후에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5% 구연산 수용액, 물,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로 순차세정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무기염을 여과해서 분리한 후, 감압농축하 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이용하여 재결정시켜, 목적물 26.9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4%).
[참고예 5]
N-[3-메틸-2-(S)-아미노부틸]벤조푸란카르복시산아미드 염산염
N-[3-메틸-2-(S)-[(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벤조푸란카르복시산아미드(28.2g, 77.5mmol)를 아세트산에틸(50mL)에 용해해서, 4N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200mL)을 가하여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염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 여과하여 뽑아낸 후, 건조시켜 목적물 20.8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5%).
이하에 실시예 1~30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는 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표1에 나타낸다. 또한, 그 중의 몇 개의 물성치를 표2에 나타낸다. 또한, 표1 중에 기재된 Me는 메틸기를, Et는 에틸기를, nPr는 노말프로필기를, iPr는 이소프로필기를, nBu는 노말부틸기를, iBu는 이소부틸기를, sBu는 세컨더리부틸기를, tBu는 터셔리부틸기를, neoPen은 2,2-디메틸프로필기를, 2-EtHex는 2-에틸헥실기를, MOE는 메톡시에틸기를, cPr-CH2는 시클로프로필메틸기를, cHex-CH2는 시클로헥실메틸기를, CF3는 트리플루오르메틸기를, CF3CH2는 2,2,2-트리플루오르에틸기를, ClCH2는 클로로메틸기를, CH3CHCl은 클로로에틸기를, CCl3CH2는 2,2,2-트리클로로에틸기를, CCl3C(Me)2 는 2,2,2-트리클로로-1,1-디메틸에틸기를, 2-BocAE는 2-(N-터셔리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기, POCEt는 1-(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에틸기를, 1-Me- 1-MeS-Et는 1-메틸-1-메틸티오에틸기를, Ph는 페닐기를, 4-MePh는 4-메틸페닐기를, Bn은 벤질기를, α-Me-Bn은 α-메틸벤질기를, 1-NP는 1-나프틸기를, 2-NP는 2-나프틸기를, cPen은 시클로펜틸기를, cHex는 시클로헥실기를, Ac는 아세틸기를, Bz는 벤조일기를, vinyl은 에티닐기를, allyl은 2-프로페닐기를, propargyl은 2-프로피닐기를, 2-THF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기를, 3-THF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기를, THF-2-CH2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기를, THF-3-CH2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메틸기를, 2-TP는 티오펜-2-일기를, 4-Py는 피리딘-4-일기를, Pyr-2-CH2는 피롤리딘-2-일 메틸기를, Boc-Pyr-2-CH2는, (N-터셔리부틸옥시카르보닐피롤리딘)-2-일메틸기를, (-)Ment는 (1R, 2S, 5R)-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1-일기를, (+)Ment는 (1S, 2R, 5S)-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1-일기를, 3-furanyl-CH2는 (푸란-3-일)메틸기를, 4, 5-DEP-2-CH2는 (4,5-디에톡시피리미딘-2-일)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식(1)에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는,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부제탄소가 존재해서, 광학 이성체, 디아스테레오이성체, 라세미체 및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로서 존재하여 얻을 수 있다.
표1-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19
표1-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0
표1-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1
표1-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2
표1-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3
표1-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4
표1-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5
표1-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6
표1-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7
표1-1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8
표1-1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29
표1-1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0
표1-1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1
표1-1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2
표1-1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3
표1-1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4
표1-1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5
표1-1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6
표1-1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7
표1-2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8
표1-2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39
표1-2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0
표1-2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1
표1-2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2
표1-2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3
표1-2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4
표1-2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5
표1-2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6
표1-2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7
표1-3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8
표1-3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49
표1-3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0
표1-3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1
표1-3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2
표1-3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3
표1-3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4
표1-3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5
표1-3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6
표1-3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7
표1-4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8
표1-4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59
표1-4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0
표1-4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1
표1-4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2
표1-4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3
표1-4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4
표1-4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5
표1-4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6
표1-4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7
표1-5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8
표1-5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69
표1-5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0
표1-5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1
표1-5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2
표1-5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3
표1-5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4
표1-5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5
표1-5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6
표1-5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7
  표1-6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8
표1-6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79
표1-6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0
표1-6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1
표1-6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2
표1-6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3
표1-6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4
표1-6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5
표1-6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6
표1-6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7
표1-7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8
표1-7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89
표1-72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0
표1-73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1
표1-74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2
표1-75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3
표1-76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4
표1-77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5
표1-78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6
표1-79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7
표1-80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8
표1-81
Figure 112007012612801-pct00099
표1-82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0
표1-83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1
표1-84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2
표1-85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3
표1-86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4
표1-87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5
표2-1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6
표2-2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7
표2-3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8
표2-4
Figure 112007012612801-pct00109
표2-5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0
표2-6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1
표2-7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2
표2-8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3
표2-9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4
표2-10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5
표2-11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6
표2-12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7
표2-13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8
표2-14
Figure 112007012612801-pct00119
표2-15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0
표2-16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1
표2-17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2
표2-18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3
표2-19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4
표2-20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5
표2-21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6
표2-22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7
표2-23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8
표2-24
Figure 112007012612801-pct00129
표2-25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0
표2-26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1
표2-27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2
표2-28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3
표2-29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4
표2-30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5
표2-31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6
표2-32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7
표2-33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8
표2-34
Figure 112007012612801-pct00139
  표2-35
Figure 112007012612801-pct00140
표2-36
Figure 112007012612801-pct00141
표2-37
Figure 112007012612801-pct00142
표2-38
Figure 112007012612801-pct00143
표2-39
Figure 112007012612801-pct00144
표2-40
Figure 112007012612801-pct00145
표2-41
Figure 112007013255232-pct00244
표2-42
Figure 112007013255232-pct00245
표2-43
Figure 112007013255232-pct00246
표2-44
Figure 112007013255232-pct00247
표2-45
Figure 112007013255232-pct00248
표2-46
Figure 112007013255232-pct00249
표2-47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0
표2-48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1
표2-49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2
표2-50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3
표2-51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4
표2-52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5
표2-53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6
표2-54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7
표2-55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8
표2-56
Figure 112007013255232-pct00259
표2-57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0
표2-58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1
표2-59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2
표2-60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3
표2-61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4
표2-62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5
표2-63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6
표2-64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7
표2-65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8
표2-66
Figure 112007013255232-pct00269
표2-67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0
표2-68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1
표2-69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2
표2-70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3
표2-71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4
표2-72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5
표2-73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6
표2-74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7
표2-75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8
표2-76
Figure 112007013255232-pct00279
표2-77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0
표2-78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1
표2-79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2
표2-80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3
표2-81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4
표2-82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5
표2-83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6
표2-84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7
표2-85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8
표2-86
Figure 112007013255232-pct00289
표2-87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0
표2-88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1
표2-89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2
[제제예 및 시험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된 살균제의 제제예 및 살균활성 시험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부」라고 된 것은 「중량부」또는 「 중량% 」를 의미한다.
제제예 1( 분제 )
화합물 번호 38의 화합물 2부 및 클레이 98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해서, 유효성분 2% 를 함유하는 분제를 얻었다.
제제예 2( 수화제 )
화합물 번호 54의 화합물 10부, 카올린 70부, 화이트카본 18부 및 알킬벤젠술폰산칼슘 2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하여 균일조성의 미세분말형태의, 유효성분 10% 를 함유한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3( 수화제 )
화합물 번호 152의 화합물 20부, 알킬벤젠술폰산칼슘 3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5부 및 백토 72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해서, 균일조성의 미세분말형태의, 유효성분 20% 를 함유한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4( 수화제 )
화합물 번호 159의 화합물 50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1부, 화이트카본 5부 및 규조토 44부를 혼합분쇄해서, 유효성분 50% 를 함유하는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5( 플로어블제 )
화합물 번호 163의 화합물 5부, 프로필렌글리콜 7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4부, 디옥틸술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2부, 및 물 82부를 샌드그라인더로 습식분쇄해 서, 유효성분 5%를 함유하는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6( 플로어블제 )
화합물 번호 167의 화합물 10부, 프로필렌글리콜 7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2부, 디옥틸술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2부, 및 물 79부를 샌드그라인더로 습식분쇄해서, 유효성분 10%를 함유하는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7( 플로어블제 )
화합물 번호 307의 화합물 25부, 프로필렌글리콜 5부, 폴리옥시에틸렌올레산에스테르 5부, 폴리옥시에틸렌디아릴에테르설페이트 5부, 실리콘계소포제 0.2부, 및 물 59.8부를 샌드그라인더로 습식분쇄해서, 유효성분 25%의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8( 분제 )
화합물 번호 681의 화합물 2부 및 클레이 98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해서, 유효성분 2%를 함유하는 분제를 얻었다.
삭제
삭제
제제예 10( 수화제 )
화합물 번호 693의 화합물 20부, 알킬벤젠술폰산칼슘 3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5부 및 백토 72부를 균일하게 혼합분쇄해, 균일조성의 미세분말형태의 유효성분 20%를 함유한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11( 수화제 )
화합물 번호 715의 화합물 50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1부, 화이트카본 5부 및 규조토 44부를 혼합분쇄해서, 유효성분 50%를 함유하는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12( 플로어블제 )
화합물 번호 686의 화합물 5부, 프로필렌글리콜 7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4부, 디옥틸술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2부, 및 물 82부를 샌드그라인더로 습식분쇄해서, 유효성분 5%를 함유하는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13( 플로어블제 )
화합물 번호 872의 화합물 10부, 프로필렌글리콜 7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2부, 디옥틸술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2부, 및 물 79부를 샌드그라인더로 습식분쇄해서, 유효성분 10%를 함유하는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14( 플로어블제 )
화합물 번호 846의 화합물 25부, 프로필렌글리콜 5부, 폴리옥시에틸렌올레산에스테르 5부, 폴리옥시에틸렌디알릴에테르설페이트 5부, 실리콘계소포제 0.2부, 및 물 59.8부를 샌드그라인더로 습식분쇄해서, 유효성분 25%의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살균제가 나타내는 효과를 시험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사용한 비교약제는, WO03008372호 명세서에 있어서, 농원예용 살균제로서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이며, 공시화합물과 동일하게 조제하여 시험에 제공하였다.
비교 화합물
(화학식 19)
Figure 112007012612801-pct00195
시험예 1 토마토 역병에 대한 방제 효과
아세톤에 용해한 화합물을 250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해서, 복엽이 4장 펼쳐진 토마토모종(품종:세카이이치, 직경 7.5cm 비닐포트에 1개)에 1 포트당 10mL 살포하였다. 바람 건조 후, 18℃의 습실(12시간 명암 광사이클)로 옮겨, 토마토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의 유주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였다. 접종 4일 후에 소엽 4장의 발병 면적률을 조사해서,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조사시에서의 무처리구의 발병 면적률은 60% 이상이었다.
A:발병 면적률 5% 미만
B:발병 면적률 5%~50% 미만
C:발병 면적률 50% 이상
표3-1
Figure 112007012612801-pct00196
표3-2
Figure 112007012612801-pct00197
표3-3
Figure 112007012612801-pct00198
표3-4
Figure 112007012612801-pct00199
표3-5
Figure 112007012612801-pct00200
표3-6
Figure 112007012612801-pct00201
표3-7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3
표3-8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4
표3-9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5
표3-10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6
표3-11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7
표3-12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8
표3-13
Figure 112007013255232-pct00299
시험예 2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
아세톤에 용해한 화합물을 250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해서, 본엽 1매째가 전개한 오이모종(품종:사가미한파쿠, 직경 7.5cm 비닐 포트에 2개)에 한 포트당 10mL 살포하였다. 바람 건조 후, 온실 내에 설치한 습실로 옮겨, 오이 노균병균(Pseudoperonospora cubensis)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접종하였다. 접종 7일 후에 본엽의 발병 면적률을 조사해서,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조사시에서의 무처리구의 발병 면적률은 60~80% 였다.
  A:발병 면적률 5% 미만
B:발병 면적률 5%~50% 미만
C:발병 면적률 50% 이상
표4-1
Figure 112007012612801-pct00209
표4-2
Figure 112007012612801-pct00210
표4-3
Figure 112007012612801-pct00211
표4-4
Figure 112007012612801-pct00212
표4-5
Figure 112007012612801-pct00213
표4-6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0
표4-7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1
표4-8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2
표4-9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3
표4-10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4
표4-11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5
표4-12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6
시험예 3 포도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
 1/2000a포트로 생육시킨 포도 모종(품종:카베르네소비뇽)의 전개잎을 잘라내, 직경 32mm의 리프 디스크를 제작하였다. 아세톤에 용해시킨 화합물을 250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해서, 리프 디스크를 3시간 침지시켰다. 약액으로부터 꺼내 바람 건조 후, 포도노균병균(Plasmopara viticola)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접종하였다. 18℃, 12시간 명암 광사이클로 배양해서, 접종 10일 후에 리프 디스크의 발병 면적률을 조사해서,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조사시에서의 무처리구의 발병 면적률은 60~70% 였다.
   A:발병 면적률 5% 미만
   B:발병 면적률 5%~50% 미만
   C:발병 면적률 50% 이상
표5-1
Figure 112007012612801-pct00221
표5-2
Figure 112007012612801-pct00222
표5-3
Figure 112007012612801-pct00223
표5-4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7
표5-5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8
표5-6
Figure 112007013255232-pct00309
표5-7
Figure 112007013255232-pct00310
표5-8
Figure 112007013255232-pct00311
시험예 4 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
아세톤에 용해한 화합물을 250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해서, 4잎째가 전개한 벼(품종:츠키미모치, 직경 6cm 비닐포트에 50개 심음)에 1포트당 10mL 살포하였다. 바람 건조 후, 25℃의 습실(12시간 명암 광사이클)로 옮겨, 벼 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분생포자 현탁액을 분무접종하였다. 접종 7~10일 후에 포트 전체의 병반수를 조사해서,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조사시에서의 무처리구의 포트당 병반 수는 60개 이상이었다.
   A:병반수 5개 미만         
   B:병반수 6~50개 미만      
   C:병반수 50개 이상
표6
Figure 112007013255232-pct00312
시험예 5 피시움속균에 대한 균사신장저해
포테이토덱스트로스 한천배지(이하 PDA)를 40℃에서 식힌 후, 아세톤에 용해시킨 화합물을 100ppm이 되도록 첨가해서, 직경 9cm 샬레에 15mL 부어 식혀 굳혔다. 미리 PDA상에 생육시킨 피시움속균(Pythium aphanidermatum)의 균사선단에 직경 6mm의 코르크볼러로 구멍을 뚫어, 균총면을 아래로 하여 약제 함유 PDA에 이식 하였다. 25℃암소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균사신장직경을 측정해서,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A:약제 무처리구에 대한 저해율 95% 이상
   B:약제 무처리구에 대한 저해율 50~95% 미만
   C:약제 무처리구에 대한 저해율 50% 미만
표7-1
Figure 112007012612801-pct00230
표7-2
Figure 112007013255232-pct00313
표7-3
Figure 112007013255232-pct00314
표7-4
Figure 112007013255232-pct00315

Claims (11)

  1. 식(1)(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8009472824-pct00234
    [식 중에서, R1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페닐알킬기 또는 나프틸알킬기, 또는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 상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복소환 알킬기를 나타내며, R2와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페닐알킬기 또는 나프틸알킬기, 또는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복소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과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페닐알킬기 또는 나프틸알킬기, 또는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복소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혹은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3~6의 탄화수소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R6, R7, R8 및 R9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이며, 다만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가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아실기를 나타내고, A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며, Q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또는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디아민 유도체.
  2. 제1항에 있어서,
    R3과 R4 중 적어도 하나가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6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또는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페닐알킬기 또는 나프틸알킬기, 또는 적어도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중 하나를 1종류 이상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복소환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복소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혹은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3~6의 탄화수소환을 형성해도 좋은 디아민 유도체.
  3. 제2항에 있어서,
    R10이 수소원자인 디아민 유도체.
  4. 제3항에 있어서,
    R2 및 R5가 수소원자인 디아민 유도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용 살균제.
  7. 식(2)(화학식2)
    (화학식 2)
    Figure 112007012612801-pct00235
    [식 중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A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3)(화학식 3)
    (화학식 3)
    Figure 112007012612801-pct00236
    [식 중에서, Q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8. 식(2)(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4)(화학식 4)
    (화학식 4)
    Figure 112007012612801-pct00237
    [식 중에서, Q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식(5)(화학식 5)
    (화학식 5)
    Figure 112007012612801-pct00238
    [식 중에서, R5, R6, R7, R8, R9, R10 및 Q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 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6)(화학식 6)
    (화학식 6)
    Figure 112007012612801-pct00239
    [식 중에서, R1, R2, R3, R4 및 A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식(5)(화학식 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7)(화학식 7)
    (화학식 7)
    Figure 112007012612801-pct00240
    [식 중에서, R1, R2, R3, R4 및 A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식(8)(화학식 8)
    (화학식 8)
    Figure 112007012612801-pct00241
    [식 중에서, R2, R3, R4, R5, R6, R7, R8, R9, R10 및 Q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식(9)(화학식 9)
    (화학식 9)
    Figure 112007012612801-pct00242
    [식 중에서, R1 및 A는 제1항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X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20077003314A 2004-07-21 2005-07-19 디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 KR100842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3208 2004-07-21
JPJP-P-2004-00213208 2004-07-21
JP2005019032 2005-01-27
JPJP-P-2005-00019032 2005-01-27
PCT/JP2005/013233 WO2006009134A1 (ja) 2004-07-21 2005-07-19 ジアミ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殺菌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099A KR20070034099A (ko) 2007-03-27
KR100842135B1 true KR100842135B1 (ko) 2008-06-27

Family

ID=3578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314A KR100842135B1 (ko) 2004-07-21 2005-07-19 디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70244153A1 (ko)
EP (1) EP1770085A4 (ko)
JP (1) JP4520991B2 (ko)
KR (1) KR100842135B1 (ko)
CN (1) CN1984880B (ko)
AR (1) AR050258A1 (ko)
AU (1) AU2005264473A1 (ko)
BR (1) BRPI0513584A (ko)
CA (1) CA2574217A1 (ko)
IL (1) IL180397A0 (ko)
MX (1) MX2007000737A (ko)
TW (1) TW200607789A (ko)
WO (1) WO2006009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0836B2 (ja) * 2005-07-25 2010-11-17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殺虫殺菌組成物
JP2007145816A (ja) * 2005-10-27 2007-06-1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07145817A (ja) * 2005-10-27 2007-06-1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及びその用途
WO2007083394A1 (ja) * 2006-01-19 2007-07-26 Mitsui Chemicals, Inc. ジアミン誘導体を含む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5200425B2 (ja) * 2006-06-23 2013-06-05 住友化学株式会社 農薬活性微生物製剤
CA2665933C (en) * 2006-08-18 2016-01-05 Sequoia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ytochrome p450
JP2008291023A (ja) * 2007-04-27 2008-12-0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とその用途
WO2008136385A1 (ja) * 2007-04-27 2008-11-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アミド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8291013A (ja) 2007-04-27 2008-12-0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およびその植物病害防除用途
JP2008291012A (ja) 2007-04-27 2008-12-0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ならびにその植物病害防除用途
US9321727B2 (en) * 2011-06-10 2016-04-26 Hoffmann-La Roche Inc. Pyridine derivatives as agonists of the CB2 receptor
USRE49816E1 (en) 2014-01-10 2024-01-30 Cornell University Dipeptides as inhibitors of human immunoproteasomes
EP3193904A4 (en) 2014-08-18 2018-04-11 Cornell University Dipeptidomimetics as inhibitors of human immunoproteasomes
CN105638696B (zh) * 2014-12-02 2018-03-16 中化农化有限公司 含有双酰胺类杀虫剂的农药组合物及其应用
CN107567438B (zh) * 2015-03-03 2021-06-29 拜尔哈文制药股份有限公司 利鲁唑前药及其用途
JP2016222655A (ja) * 2015-06-03 2016-12-28 日本曹達株式会社 アミジン化合物および殺菌剤
EP3362754B1 (en) 2015-10-15 2021-12-22 Cornell University Proteasom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11050558B (zh) * 2017-09-13 2022-05-27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杀微生物的喹啉(硫代)羧酰胺衍生物
EP3694605A4 (en) 2017-10-11 2021-10-27 Cornell University PEPTIDOMIMETIC PROTEASOME INHIBI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25A (ja) * 1993-04-28 1995-01-13 Kumiai Chem Ind Co Ltd アミノ酸アミド誘導体及び農園芸用殺菌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645A (en) * 1992-08-13 1995-02-14 G. D. Searle & Co. Substituted tyrosyl diamine amide compounds
DE69406083T2 (de) * 1993-04-28 1998-02-26 Kumiai Chemical Industry Co Aminosäureamide, bakterizide für gartenbau und landwirtschaft sowie herstellungverfahren
WO1995023784A1 (de) * 1994-03-03 1995-09-08 Basf Aktiengesellschaft Carbamoylcarbonsä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ungizide
TW328945B (en) * 1995-08-30 1998-04-01 Basf Ag Carbamoylcarboxamides
US7312245B2 (en) * 2001-07-18 2007-12-25 Mitsui Chemical, Inc. Diam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oducing the diamine derivatives, and fungicides containing the diamine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25A (ja) * 1993-04-28 1995-01-13 Kumiai Chem Ind Co Ltd アミノ酸アミド誘導体及び農園芸用殺菌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09134A1 (ja) 2008-07-31
CN1984880B (zh) 2010-09-22
CA2574217A1 (en) 2006-01-26
CN1984880A (zh) 2007-06-20
AU2005264473A1 (en) 2006-01-26
JP4520991B2 (ja) 2010-08-11
EP1770085A1 (en) 2007-04-04
US20070244153A1 (en) 2007-10-18
WO2006009134A1 (ja) 2006-01-26
KR20070034099A (ko) 2007-03-27
AR050258A1 (es) 2006-10-11
IL180397A0 (en) 2007-06-03
EP1770085A4 (en) 2010-09-22
TW200607789A (en) 2006-03-01
BRPI0513584A (pt) 2008-05-13
MX2007000737A (es)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135B1 (ko) 디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균제
JP5034142B2 (ja) 植物病害防除剤組成物
KR100190298B1 (ko) 치환된 발린아미드 유도체
KR0167336B1 (ko) 살진균제, 및 치환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TW200916444A (en) Pyrazole carboxylic acid derivative,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fungicide
US4841088A (en) Iodopropargyl carbamate derivative, a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fung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JP2894362B2 (ja) 置換アミノ酸アミド誘導体類、それらの製造および使用
BRPI0617777A2 (pt) composto de amida, composição, método para controlar doenças de plantas e uso
US5869427A (en) Substituted thiophene derivative and plant disease control agent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HU205539B (en) Fung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acrylic acid ester derivatives as active ingredi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ingredients
KR100196342B1 (ko) 치환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JP3982886B2 (ja) 置換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防除剤
EP0014167B1 (fr) Produits dérivés de l&#39;aniline ayant une activité antifongique ainsi qu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JP2683141B2 (ja) シクロプロパノイルアミノ酸アミド誘導体
JPH09301974A (ja) 置換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菌剤
JPH01160956A (ja) N−置換ジクロロマレイミド類
JP5360244B2 (ja) 植物病害防除剤組成物
JP2010077090A (ja) イソキサゾ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殺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