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56B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56B1
KR100840056B1 KR1020027014242A KR20027014242A KR100840056B1 KR 100840056 B1 KR100840056 B1 KR 100840056B1 KR 1020027014242 A KR1020027014242 A KR 1020027014242A KR 20027014242 A KR20027014242 A KR 20027014242A KR 100840056 B1 KR100840056 B1 KR 10084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losed position
open position
rotating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945A (ko
Inventor
고시카와신이치로
사사키아키라
스도히로시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하시테쿠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하시테쿠니카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금속제의 회전부재(4)의 키홈(41)의 둘레방향의 양 끝단부에는, 수지제의 구동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접촉돌기(54, 54)를 삽입한다. 이 접촉돌기(54, 54)사이에, 수용통부의 키부(B3)를 삽입한다. 접촉돌기(54, 54)사이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키부(B3)의 폭보다 약간 넓힌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화부를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에 회전할 때에, 접촉돌기(54, 54)와 키부(B3)가 충돌하여, 클릭음이 발생한다. 더구나, 접촉돌기(54, 54)와 키부(B3)는 모두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키부(B3)가 조기 에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되고,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에 있어서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힌지장치는 힌지본체와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본체와 회전부재는, 송화부와 수화부에는 각각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힌지본체와 회전부재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의 송화부와 수화부가 힌지장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부재는 힌지본체에 코일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에 의해서 접촉시켜지고 있다. 도 18(A) 및 도 19(A)는 힌지본체(a)와 회전부재(b)와의 접촉면을 각각 나타낸다. 힌지본체(a)의 접촉면에는, 단면사다리꼴 형상의 세개의 끼워맞춤 오목부 (a1,a2,a3)가 둘레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부재(b)의 접촉면에는, 두개의 끼워맞춤 볼록부(b1, b2)가 형성되어 있다. 두개의 끼워맞춤 볼록부(b1, b2)는, 예를 들면 수화부를 닫힘위치 근방까지 회전시키면, 끼워맞춤 오목부(a1, a2)에 끼워 넣어진다[도 18(B)에 끼워맞춤 볼록부(b1)가 끼워맞춤 오목부(a1)에 끼워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들의 경사면에 의해서 가 압수단의 가압력이 회전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회전가압력에 의해 수화부가 닫힘위치까지 고속으로 회전시켜져서 송화부의 표면에 힘좋게 충돌시켜진다. 이 결과, 클릭음이 발생한다. 또한, 수화부를 열림위치 근방까지 회전시키면, 끼워맞춤 볼록부(bl, b2)가 끼워맞춤 오목부(a3, a1)에 각각 끼워 넣어져, 수화부의 기초끝단부를 송화부의 기초끝단부에 충돌시킨다. 따라서, 수화부를 열림위치에 회전시킨 경우에도, 클릭음이 발생한다(일본국 특개평 7-11831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수화부를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회전시킬 때, 수화부를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저속으로 회전시키면, 수화부는 송화부에 단순히 접촉할 뿐이고, 힘 좋게 충돌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릭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는 힌지장치를 일본국 특원평 11-376023호(일본국 특허공개 2001-152728)에서 먼저 제안하고 있다. 이 전의 제안에 관한 힌지장치는 힌지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가동부재는 코일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에 의해서 회전부재에 접촉시켜지고 있다. 회전부재와 가동부재와의 각 접촉면에는, 끼워맞춤 오목부와 끼워맞춤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부와 끼워맞춤 볼록부는 수화부가 닫힘위치 근방에 달하면, 서로 끼워 맞춤하여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닫힘방향으로의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한편, 수화부가 열림위치근방에 달하면, 서로 끼워 맞춤하여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열림방향으로의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수화부를 닫힘위치 근방 또는 열림위치 근방에 위치시키면, 수화부는 가압수단 의 가압력에 의해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급속회전시켜진다.
또한, 수화부와 회전부재에는, 송화부와 수화부와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늘어나는 접촉오목부와 접촉볼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오목부와 접촉볼록부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회전부재가 수화부에 추종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다. 다만,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은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약간 넓혀져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는 수화부에 대하여 접촉오목부와 접촉볼록부와의 폭의 차에 대응하는 미소각도만큼 상대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힌지장치에서는, 수화부를 닫힘위치 근방 또는 열림위치 근방까지 회전시켜, 끼워맞춤 오목부와 끼워맞춤 볼록부를 끼워맞춤시키면, 회전부재가 가압수단에 의해 수화부에 대하여 미소각도만큼 급속회전시켜진다. 그 결과, 접촉오목부와 접촉볼록부와의 둘레방향의 일측면끼리가 고속으로 충돌한다. 따라서, 송화부를 저속으로 회전시키었다고 해도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의 제안에 관한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수화부가 송화부에 대하여 회전하면, 가동부재가 회전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고, 가동부재의 끼워 맞춤볼록부가 회전부재와의 접촉면상을 미끄럼접촉한다. 이 때문에, 가령 회전부재를 수지로 형성하면, 회전부재가 조기에 마모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회전부재를 금속으로 구성하여, 그 조기마모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부재를 금속으로 구성하면, 수화부의 케이싱을 수지로 성형한다고 하는 최근의 요망에 따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수화부가 회전하여 닫 힘위치 또는 열림위치에 위치하면, 그 때에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측면이 수화부의 접촉볼록부에 맞부딪친다. 이 경우, 회전부재가 금속제이고, 수화부가 수지제이면, 접촉볼록부가 조기에 마모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수화부의 케이싱을 수지로 성형할 수 없었던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기기본체와 덮개체를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한쪽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회전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 중 어느 한쪽이나 다른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재와, 상기 힌지본체와 상기 회전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덮개체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바깥둘레에는, 접촉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의 상기 회전부재가 연결된 다른쪽에는, 상기 접촉오목부에 삽입되는 접촉볼록부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선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구동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에서 떨어지고, 또한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가압수단에 의해 닫힘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중의 한쪽의 돌기가 상기 접촉볼록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의 상기 회전부재가 연결된 상기 다른쪽이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가압수단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중의 다른쪽의 돌기가 상기 접촉볼록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른쪽이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사이에 상기 접촉볼록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중의 적어도 상기 접촉볼록부에 맞부딪치는 부분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사이의 둘레방향의 간격이, 상기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소정의 약간 양만큼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기기본체와 덮개를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한쪽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회전축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한쪽이나 다른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재와, 상기 힌지본체와 상기 회전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덮개체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바깥둘레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의 상기 회전부재가 연결된 다른 쪽에는, 상기 접촉볼록부가 삽입되는 접촉오목부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선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구동부재의 바깥둘레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의 둘레방향의 양 끝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가압수단에 의해 닫힘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중의 한 쪽의 돌기가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에서의 한쪽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덮개체와 중의 상기 회전부재가 연결된 상기 다른쪽이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가압수단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 중의 다른쪽의 돌기가 상기 접촉오목부의 다른쪽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른쪽이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가 상기 접촉오목부에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중의 적어도 상기 접촉오목부의 측면에 맞부딪치는 부분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측면사이의 간격이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소정의 약간 양만큼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재전체가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가압수단이 상기 회전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힌지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회전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의 사이에는, 상기 덮개체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해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상기 회전부재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부와, 상기 덮개체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상기 회전부재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2 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X-X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6의 Y-Y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Y 화살표시도이다.
도 6은 힌지장치를 휴대전화기의 삽입통부에 삽입한 상태로 나타내는 도 3의 X-X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힌지장치를 휴대전화기의 삽입통부에 삽입한 상태로 나타내는 도 4의 X-X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동 힌지장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C-C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9(D)는 도 9(B)의 D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휴대전화기의 삽입통부에 힌지장치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삽입통부의 단면도 및 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휴대전화기의 삽입통부에 힌지장치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삽입통부의 단면도 및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가 사용된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수화부를 열림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B)는 그 측면도, 도 12(C)는 도 12(B)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실시 형태의 도 5와 같은 도면이다.
도 15는 동 실시 형태의 도 10과 같은 도면이다.
도 16은 동 실시의 형태의 도 11과 같은 도면이다.
도 17은 동 실시의 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의 힌지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8(A)은 그 평면도, 도 18(B)은 도 18(A)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의 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9(A)는 그 평면도, 도 19(B)는 도 19(A)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를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 이외에도,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의 사이를 서로 회전 가능한 기기본체와 덮개체와의 사이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1)가 사용된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 휴대전화기는 마이크로폰, 각종의 조작버튼(어느 것이나 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된 송화부(기기본체)(A)와,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및 액정표시부(C) 등이 설치된 수화부 (B)를 가지고 있고, 송화부(A)와 수화부(B)는 힌지장치(1)에 의해 회전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송화부(A)의 수화부(B)측의 끝단부에는, 수지제의 한 쌍의 수용통부 (A1, A1)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수용통부(A1, A1)는, 그 축선을 회전축선(L)과 일치시켜서 좌우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수화부(B)의 송화부(A)측의 끝단부에는, 수지제의 한 쌍의 수용통부(B1, B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수용통부 (B1, B1)는 수용통부(A1)와 동일한 안지름 및 동일한 바깥지름을 갖고 있고, 각 수 용통부(B1, B1)의 안쪽의 끝단면에 거의 접촉하고, 또한 축선을 회전축선(L)과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수용통부(A1, B1)에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회전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회전범위는,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앞면(도 12(B)에 있어서 좌측의 면)끼리가 서로 접촉한 닫힘위치와, 도 12에 나타내는 열림위치(닫힘위치에서 160°정도 회전한 위치)와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2조의 수용통부(A1, B1)에 동일한 힌지장치 (1)를 삽입하고 있지만, 수용통부(A1, B1)의 한쪽의 조에만 힌지장치(1)를 삽입하고, 다른 쪽의 조에는 다른 힌지장치 또는 수용통부(A1, B1)를 단순히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받이를 삽입하더라도 좋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통부(A1)의 안둘레면에는 한 쌍의 키부(A2, A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부(A2, A2)는 수용통부(A1)의 축선을 따라 일끝단에서 다른 끝단까지 늘어나 있고, 수용통부(A1)의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다른쪽의 수용통부(B1)의 안둘레면에는, 고리형상돌출부 (B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형상돌출부(B2)는 수용통부(A1)와 반대쪽의 끝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통부(B1)의 안둘레면에는, 한 쌍의 키부(접촉볼록부)(B3, B3)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부(B3, B3)는, 고리형상돌출부(B2)에서 수용통부(B1)의 축선방향의 거의 중앙부까지 늘어나 있고, 수용통부(B1)의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키부(B3, B3)는 송화부(A)와 수화부(B) 가 이루는 각도를, 열림위치에 있어서의 양자가 이루는 각도보다 약간 크게 하면, 예를 들어 거의 170°로 하면, 키부(A2, A2)와 일직선상에 나란히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키부(B3)는 둘레방향의 폭 및 높이가 키부(A2)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힌지장치(1)에 관해서 설명하면, 도 3, 도 4 및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장치(1)는 힌지본체(2), 가동부재(3), 회전부재(4), 구동부재 (5), 연결축(6) 및 코일스프링(7)(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힌지본체(2)는 일끝단(도 6, 7에서 오른쪽 끝단)에 바닥부(21)를 가지고, 다른 끝단이 개구한 유저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바깥지름은 수용통부(A1, B1)의 안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힌지본체(2)의 바깥둘레면에는, 한쌍의 키홈(22, 22)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홈(22, 22)은 힌지본체(2)의 축선에 따라 그 일끝단에서 다른 끝단까지 늘어나 있고, 힌지본체(2)의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본체(2)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통부(A1)에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키홈(22, 22)에 키부(A2, A2)가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송화부(A)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구나, 힌지본체(2)는 그 왼쪽 끝단에서 전체길이의 1/4 정도의 길이의 부분은 수용통부(B1) 중의 수용통부(A1)측의 끝단부(키부(B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용통부(A1)와 수용통부(B1)가 힌지본체(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아가서는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힌지본체(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부재(3)는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원판부(31)와, 이 원판부(31)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32,32)를 갖고 있다. 원판부(31)는 힌지본체(2)의 다른 끝단부(도 6, 7에서 왼쪽 끝단부)안둘레에 미끄럼 운동 자유자재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32, 32)는 원판부(31)의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힌지본체(2)의 다른 끝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3, 23)에 각각 미끄럼 운동 자유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3)가 힌지본체(2)에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부재(4)는 금속제의 원판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축선을 회전축선(L)과 일치시키고, 또한 힌지본체(2)의 개구부측의 끝단면에 대하여 거의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4)는 가동부재(3)와 대향하고 있다. 회전부재(4)의 바깥둘레면에는, 한 쌍의 키홈(접촉오목부)(41, 4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홈(41, 41)은 회전부재(4)를 그 축선방향에 횡단하고, 또한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키홈(41)의 둘레방향의 폭은 키부(B3)보다 대폭 크게 설정되어, 깊이는 키부(B3)와 거의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구동부재(5)는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축선을 회전축선(L)과 일치시킨 원판부(51)와, 이 원판부(51)의 회전부재(4)와 반대쪽의 끝단면 중앙부에서 앞쪽으로 늘어나는 통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원판부(51)는 회전부재(4)와 동일한 바깥지름을 갖고 있고, 회전부재(4)의 좌측(가동부재(3)와 반대쪽)의 끝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원판부(51)의 바깥둘레면에는, 한 쌍의 키홈 (53, 5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홈(53, 53)은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각 키홈(53, 53)에는 키부(B3, B3)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키홈(53)의 둘레방향의 폭은 키부(B3)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약간 넓어져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5)는 수용통부(B1)에 대하여, 나아가서는 수화부(B)에 대하여 키홈(53)과 키부(B3)와의 폭의 차 분량에 해당하는 미소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다. 물론, 수용통부(B1)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키부(B3)의 측면이 키홈(53)의 측면에 맞부딪친 후는 구동부재(5)가 수화부(B)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원판부(51)의 회전부재(4)와의 대향면의 바깥둘레측에는, 2개한 쌍의 접촉돌기(54, 54)가 두 쌍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돌기(54, 54)는 키홈(53)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접촉돌기(54)의 바깥둘레면은 원판부 (51)의 바깥둘레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고, 접촉돌기(54)의 안둘레면의 곡률반경은 키홈(53)의 바닥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더구나, 두개의 접촉돌기(54, 54)의 둘레방향에서의 바깥쪽의 측면사이의 거리는 회전부재(4)의 키홈(41)의 둘레방향의 폭과 같고, 접촉돌기(54)의 길이(회전축선(L)방향에서의 길이)는, 회전부재(4)이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촉돌기(54, 54)는 한 개의 키홈(41)에서의 둘레방향의 양 끝단부에 각각 삽입가능하고, 삽입상태에서는 접촉돌기(54, 54)의 둘레방향의 서로 떨어진 끝단면이 키홈(41)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5)가 회전부재(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회전부재(4)도 상기 미소각도를 제외하면 수화부(B)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돌기(54, 54)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안쪽의 측면사이의 거리는 키홈(53)의 둘레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키홈(53)이 마치 접촉돌기(54)의 길이의 분만큼 길어진 것 같은 상황을 드러내는 것이 되고, 한 쌍의 돌기(54, 54)의 안쪽의 각 측면사이에도 키부(B3)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가 수용통부(B1)에 의해 강력하게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재(5)의 통부(52)는 고리형상돌출부(B2)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통부(52)의 선단부 바깥둘레에는, 고리형상으로 늘어나는 끼움지지돌출부 (55)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끼움지지돌출부(55)에서 더욱 앞쪽으로 늘어나는 테이퍼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부(52)에는, 그 선단면에서 원판부(51)까지 늘어나는 복수(이 실시의 형태의 경우, 4개)의 슬릿(5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7)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통부(52)의 선단부가 그 기초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고리형상돌출부(55) 및 테이퍼부(56)가 지름이 확대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재 (5)를 앞으로 하여 힌지장치(1)를 수용통부(A1)로부터 수용통부(B1)에 삽입하면, 우선 테이퍼부(56)가 고리형상돌출부(B2)의 안쪽의 끝단면과 안둘레면과의 교차부에 맞부딪친다. 그 상태에서 힌지장치(1)를 더욱 삽입하면, 삽입에 따라 테이퍼부 (56) 및 끼움지지돌출부(55)가 지름이 줄어든다. 그리고, 끼움지지돌출부 (55)가 고리형상돌출부(B2)의 내부를 통과하면, 끼움지지돌출부(55)가 지름이 확대되어 원래의 바깥지름이 된다. 그 결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지지돌출부(55)와 원판부(51)가 고리형상돌출부(B2)를 회전축선(L)방향으로 끼워 지지한 다. 이에 따라, 힌지장치(1)가 회전축선(L)방향에 대하여 수용통부(B1)에 위치 고정되고, 나아가서는 힌지장치(1)가 수용통부(A1,B1)(송화부(A), 수화부(B))에 회전축선(L)방향으로 위치 고정되어 있다.
또, 힌지장치(1)가 수용통부(B1)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부재 (5)의 통부(52)가 고리형상돌출부(B2)의 안둘레면에 거의 빈틈이 없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수용통부(A1, B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본체(2)를 수용통부(B1)에 끼워맞춤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반대로, 힌지본체(2)를 수용통부(B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경우에는, 통부(52)를 고리형상돌출부에 빈틈을 갖고 끼워맞춤시키더라도 좋다.
연결축(6)은 그 축선을 회전축선(L)과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고,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61)와, 이 머리부(61)의 일끝단면 중앙부에 형성된 단면원형의 축부(62)와, 이 축부(62)의 선단면에 형성된 단면 정사각형형상의 고정부(63)와, 이 고정부(63)의 선단면에 형성된 단면원형의 조임부 (64)를 가지고 있다. 물론, 연결축(6)의 각 부 61∼64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6)의 축부(62)는 힌지본체(2)의 바닥부(21)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24)을 회전 가능하게 또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관통함과 동시에, 힌지본체(2)의 내부를 관통하고, 또한 가동부재(3)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33)을 회전 가능하게, 또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축부(62)의 길이는 힌지본체(2)의 길이보다 조금 길어져 있다. 따라서, 머리부(61)를 바닥부(21)에 접촉시키면, 축부(62)의 선단부가 힌지본체(2)로부터 조금 돌출하고, 고정부(63) 및 조임부(64)가 힌지본체(2)의 개구부측 끝단부로부터 돌출한다. 고정부(63)에는 회전부재(4)의 중앙부에 형성된 단면정사각형형상의 삽입통과구멍(42)이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조임부(64)에는 구동부재(5)의 원판부(51)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5a)이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조임부(64)를 조이는 것에 의해, 구동부재(5)가 조임부(64)로부터 빠짐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더구나, 구동부재(5)가 회전부재(4)에 맞부딪치고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4)도 고정부(63)에 빠짐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연결축(6)의 머리부(61)와 회전부재(4)가 힌지본체(2)를 끼워 지지하는 것 같은 상황을 드러내고(조그마한 빈틈은 존재한다), 그것에 의해, 전체가 일체화되어 있다.
힌지본체(2)의 안둘레와 연결축(6)의 축부(61)의 바깥둘레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7)은 회전축선(L)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그 일끝단이 힌지본체(2)의 바닥부(21)에 맞부딪치고, 다른 끝단이 가동부재(3)에 맞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7)은 그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재(3)를 회전부재(4)에 접촉시키고 있다.
가동부재(3)의 회전부재(4)와의 접촉면에는, 금속제의 한 쌍의 볼(8, 9)이 회전자유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볼(8, 9)은 회전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볼(8, 9)에 대해서는, 그들 대신에, 예를 들면 반구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돌기를 가동부재(3)에 고정하더라도 좋다.
한편, 회전부재(4)의 가동부재(3)와의 접촉면에는, 도 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오목부(43, 44)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오목부(43, 44)는 한 쌍의 볼(8, 9)이 배치된 원주와 동일원주상에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화부(B)를 통해 회전부재(4)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볼(8, 9)이 어느 하나의 구동오목부(43, 44)에 끼워 넣어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부(B)가 송화부(A)에 맞부딪쳐진 닫힘위치로부터 거의 160°정도 회전하여 도 12(B)에 나타내는 열림위치에 회전하면, 볼(8, 9)이 구동오목부(44, 43)에 각각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 볼(8, 9)은 구동오목부(43, 44)사이에서는 그들과 구동오목부(43, 44)사이에 그들과 동일원주상에 형성된 가이드홈(45, 46)내를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오목부(43, 44)의 깊이는 볼(8, 9)반경보다 약간 얕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4)의 직경선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동오목부(43, 44)의 곡율반경은 볼(8, 9)의 반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한편, 회전부재(4)의 둘레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구동오목부(43, 44)의 곡율반경은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8, 9)의 반경보다 대폭으로 커져 있고, 볼(8, 9)이 구동오목부(43, 44)의 중앙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어긋나면, 구동오목부(43, 44)의 바닥면이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을, 회전부재(4)를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한다. 요컨대, 구동오목부(43, 44)의 바닥면은 코일스프링(4)의 가압력을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캠면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도 9(A)에 있어서, 각 구동오목부(43, 44)의 바닥면 중, 그 둘레방향의 중앙으로부터 화살표 X방향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 1 캠면(제 1 캠부)(43a, 44a)으로 하고, 화살표 Y 방향측에 위 치하는 부분을 제 2 캠면(제 2 캠부)(43b, 44b)으로 하면, 수화부(B)의 액정표시부 (C)가 설치된 전면이 송화부(A)의 조작버튼이 설치된 전면에 맞부딪친 닫힘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볼(8,9)이 제 1 캠면(43a,44a)에 각각 맞부딪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이 제 1 캠면(43a, 44a)에 의해 회전부재 (4)를 도 9(A), (C)의 화살표 X방향(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된다. 반대로, 수화부(B)가 닫힘위치로부터 160°정도 회전한 열림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볼(8, 9)이 제 2 캠면(44b, 43b)에 각각 맞부딪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용수철(7)의 가압력이 제 2 캠면(43b, 44b)에 의해 회전부재(4)를 화살표 Y방향(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내용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3), 코일스프링(7), 볼(8, 9), 제 1 캠면(43a, 44a) 및 제 2 캠면(43b, 44b)에 의해서 회전가압수단(1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1)를 휴대전화기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12에 나타내는 열림위치에서 더욱 열림위치측으로 10°정도 회전한 위치, 즉 수화부(B)가 닫힘위치로부터 170°정도 회전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것에 의해, 수용통부 (A1)의 키부(A2)와 수용통부(B1)의 키부(B3)를 일직선상에 나란하게 한다. 한편, 힌지장치(1)에 대해서는, 볼(8, 9)을 구동오목부(43, 44)의 거의 중앙부에 각각 위치시킴과 동시에, 키홈(22, 41, 53)을 일직선상에 나란하게 한다. 그 후,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홈(22, 41, 53)의 둘레방향의 위치를 키부(A2, B3)와 합치시키고, 힌지장치(1)를, 구동부재(5)를 먼저 하여 수용통부(A1)측에서 수용통부(A1, B1)에 순차 삽입한다.
힌지장치(1)를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키부(A2)가 키홈(22)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힌지본체(2)가 수용통부(A1)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춤한다. 더구나, 힌지본체(2)의 일부가 수용통부(B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통부(A1, B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나아가서는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키부(B3)가 키홈(53)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구동부재(5)가 수용통부(B1)에 소정의 미소각도를 제외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춤한다. 그 결과, 회전부재(4)가 미소각도를 제외하고 수화부(B)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동부재(5)의 원판부(51)와 끼움지지돌출부 (55)가 수용통부(B1)의 고리형상돌출부(B2)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힌지장치(1)가 수용통부(A1, B1)에 고정되고, 송화부(A)와 수화부(B)가 분리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힌지장치(1)를 수용통부(A1, B1)에 삽입하면, 수화부(B)를 10°정도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켜서 열림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후,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사이에 스토퍼(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수화부(B)가 열림위치를 넘어서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다. 그것에 의해, 힌지장치(1)의 부착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힌지장치(1)가 조립해 넣어진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지금, 수화부(B)가 닫힘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닫힘위치에 있어서는, 회전가압수단(10)에 의해, 요컨대 제 1 캠면(43a, 44a)에 의해,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이 회전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회전가압력에 의해, 회전부재(4)가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가압되고, 구동부재(5)를 통해 수화부(B)가 같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화부(B)가 송화부(A)에 맞부딪친 닫힘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닫힘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수화부(B)를 열림위치로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수화부(B)를 수동에 의해 열림위치측(도 9에 있어서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볼(8, 9)이 제 1 캠면(43a, 44a)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수화부(B)를 회전가압수단(1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된다. 수화부(B)를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키부(B3)가 키홈(53)의 닫힘위치측을 향하는 측면에 맞부딪친다. 이 결과, 회전부재가 수화부(B)와 같이 9(A)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회전부재(4)의 회전에 따라 볼(8, 9)이 구동오목부(43, 44)로부터 빠져나가면, 회전가압수단(10)의 회전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화부(B)에 대해서는, 가이드홈(45, 46)내를 전동하는 볼(8, 9)의 회전마찰에 저항하여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된다. 수화부(B)가 열림위치근방에 달하여 볼(8, 9)이 제 2 캠면(44b, 43b)에 각각 접촉하면, 회전가압수단(10)의 회전가압력에 의해, 회전부재(4)가 키부(B3)와 키홈(53)과의 폭의 차의 분만큼 열림위치측으로 급속히 회전시켜진다. 그 결과, 키홈(53)의 두개의 측면 중, 열림위치측을 향하는 측면이 키부(B3)에 충돌한다. 그것에 의하여 클릭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화부(B)가 저속회전하였다고 해도, 클릭음을 확실히 발생시킬 수 있다. 더구나, 금속제의 회전부재(4)가 키부(B3)에 맞부딪치는 일없이, 수지제의 접촉돌기(54)가 키부(B3)에 맞부딪치기 때문에, 수화부(B) 및 그 수용통부(B1)를 수지로 형성하였다고 해도, 키부(B3)가 조기에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후, 회전부재(4)를 통해 수화부(B)가 열림위치까지 회전시켜지면, 스토퍼에 맞부딪쳐 정지하여, 그 이상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그것에 의하여, 수화부(B)가 열림위치로 유지된다.
반대로, 열림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수화부(B)를 닫힘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수화부(B)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회전각도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인 회전당초는 수화부(B)를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와 같이, 수화부(B)를 회전가압수단(1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된다. 수화부(B)가 닫힘위치근방에 달하여, 볼(8, 9)이 구동오목부(43, 44)의 제 1 캠면(43a, 44b)에 접촉하면, 회전가압수단(10)의 회전가압력에 의해 회전부재(4)가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급속히 회전시켜진다. 이 결과, 회전부재(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부재(5)도 화살표 X방향으로 급속히 회전시켜지고, 키홈(53)의 닫힘위치측을 향하는 측면이 수용통부(B1)의 키부(B3)의 측면에 맞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그 후, 회전부재(4)가 가압수단(7)에 의해서 닫힘위치측으로 더욱 회전시켜지고, 수화부(B)가 닫힘위치에 달하면, 송화부(A)에 맞부딪쳐 정지하여, 그 이상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수화부(B)가 닫힘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 13∼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상기의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 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통부(A1)에 키부(A2)를 대신하는 키홈(A3)이 형성되고, 수용통부(B1)의 안둘레면에는, 키부(B3)를 대신하는 키홈(접촉오목부)(B4)이 형성되어 있다. 키홈 (B4)은 그 둘레방향의 폭 및 깊이 중 어느 한쪽이 키홈(A3)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더구나, 키홈(B4)은 고리형상돌출부(B2)로부터 수용통부(B1)의 수용통부 (A1)측의 단면까지 늘어나 있다.
한편, 힌지장치(1')의 힌지본체(2)의 바깥둘레면에는, 한 쌍의 키홈(22, 22)을 대신하여, 한 쌍의 키부(25, 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부(25, 25)가 수용통부(A1)의 키홈(A3, A3)에 각각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힌지본체(2)가 수용통부 (A1)에, 나아가서는 송화부(A)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키부(25)는 힌지본체(2)가 수용통부(B1)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힌지본체(2)를 통해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부재(4)의 바깥둘레면에는, 한 쌍의 키홈(41)을 대신하여, 바깥둘레면에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키부(접촉볼록부)(47, 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부(47)의 둘레방향의 폭은 키홈(B4)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구동부재(5)의 원판부(51)의 바깥둘레면에는, 한쌍의 키홈(53, 53)을 대신하여, 바깥둘레면에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키부(지지돌기)(58, 58)가 형 성되어 있다. 키부(58)의 바깥둘레면은 키부(47)의 바깥둘레면과 동일한 곡율반경을 가지고 있다. 각 키부(58)의 회전부재(4)측을 향하는 단면의 양측부에는, 회전부재(4)측에 돌출하는 한 쌍의 걸어맞춤돌기 (59, 59)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돌기(59, 59)의 바깥둘레면은 키부(58)의 바깥둘레면과 동일한 곡율반경으로 되어 있다. 더구나, 한쌍의 걸어맞춤돌기(59, 59)의 둘레방향의 간격은 키부 (47)의 둘레방향의 폭과 같이 되어 있고,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길이는 회전부재 (4)의 같은 방향이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걸어맞춤돌기(59, 59)사이에 키부(B47)가 빈틈없이 끼워 넣어져, 키부(47)의 양 측면에 한 쌍의 걸어맞춤돌기(59, 59)가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재(5)가 회전부재(4)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돌기(59, 59)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측에 위치하는 측면은, 키부(58)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과 각각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키부(58)는 걸어맞춤돌기(59, 59)의 길이의 분만큼 오래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키부(58)의 둘레방향의 폭(한 쌍의 걸어맞춤돌기(59, 59)의 서로 떨어진 측면사이의 폭)는 키홈(B4)의 폭보다 약간 좁아져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5) 및 회전부재(4)는 수용통부(B1)에 대하여 키부(58)와 키홈(B4)과의 폭의 차의 분에 대응하는 미소각도만큼 회전가능하고,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수화부(B)가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에 회전하면, 키부(58) 및 각 걸어맞춤돌기(59, 59)가 키홈(B4)의 측면에 고속으로 충돌한다. 이것에 의해, 클릭음이 발생한다. 더구나, 구동부재 (5)가 수지로 형성되고, 따라서 키부(58) 및 걸어맞춤돌기(59)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통부(B1)의 키부(B4)가 조기에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그 밖의 본체와 덮개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기기본체(A)와 덮개체(B)를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와의 한쪽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본체(2)와,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와의 회전축선(L)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 중 어느 한쪽이나 다른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재(4)와,
    상기 힌지본체와 상기 회전부재(4)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B)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4)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덮개체(B)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4)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가압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4)의 바깥둘레에는, 접촉오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 중의 상기 회전부재(4)가 연결된 다른쪽 (B)에는, 상기 접촉오목부(41)에 삽입되는 접촉볼록부(B3)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재(5)가 상기 회전부재(4)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선(L)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구동부재(5)에는, 상기 회전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에 떨어지고, 또한 상기 접촉오목부(41)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5)를 상기 회전부재(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접촉돌기(54, 54)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4)가 상기 회전가압수단(10)에 의해 닫힘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4, 54)중의 한쪽의 돌기(54)가 상기 접촉볼록부 (B3)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중의 상기 회전부재(4)가 연결된 상기 다른쪽(B)이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고, 상기 회전부재(4)가 상기 회전가압수단(l0)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54, 54)중의 다른쪽의 돌기(54)가 상기 접촉볼록부(B3)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른쪽(B)이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4, 54)사이에 상기 접촉볼록부(B3)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4, 54)중의 적어도 상기 접촉볼록부(B3)에 맞부딪치는 부분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4, 54)사이의 둘레방향의 간격이, 상기 접촉볼록부 (B3)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5) 전체가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압수단(10)이 상기 회전부재(4)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힌지본체(2)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는 상기 회전축선 (L)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3)와, 이 가동부재(3)를 상기 회전부재(4)에 접촉시키는 가압수단(7)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4)와 상기 가동부재 (3)와의 사이에는, 상기 덮개체(B)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수단(7)의 가압력을, 상기 회전부재 (4)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부(43a, 44a)와, 상기 덮개체(B)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수단(7)의 가압력을, 상기 회전부재(4)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2 캠부(43b, 44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기기본체(A)와 덮개체(B)를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와의 한쪽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본체(2)와,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와의 회전축선(L)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중의 어느 한쪽이나 다른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재(4)와,
    상기 힌지본체(2)와 상기 회전부재(4)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B)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4)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덮개체(B)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향한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4)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가압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4)의 바깥둘레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볼록부(47)가 형성되고,
    상기 기기본체(A)와 상기 덮개체(B)중의 상기 회전부재(4)가 연결된 다른쪽 (B)에는, 상기 접촉볼록부(47)가 삽입되는 접촉오목부(B4)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재(5)가 상기 회전부재(4)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선(L)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구동부재(5)의 바깥둘레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돌기(58)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58)의 둘레방향의 양 끝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4)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접촉볼록부(47)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5)를 상기 회전부재(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접촉돌기(59, 59)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4)가 상기 회전가압수단(10)에 의해 닫힘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9, 59) 중의 한쪽의 돌기(59)가 상기 접촉오목부에(B4)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본체 (A)와 상기 덮개체(B)중의 상기 회전부재(4)가 연결된 상기 다른쪽(B)이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고, 상기 회전부재(4)가 상기 회전가압수단(10)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회전시켜질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9, 59)중의 다른쪽의 돌기(59)가 상기 접촉오목부(B4)의 다른쪽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른쪽(B)이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켜지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9, 59)가 상기 접촉오목부 (B4)에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9, 59)중의 적어도 상기 접촉오목부(B4)의 측면에 맞부딪치는 부분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59, 59)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측면사이의 간격이 상기 접촉오목부(B4)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5)전체가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압수단(10)이 상기 회전부재(4)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힌지본체(2)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회전축선 (L)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3)와, 이 가동부재(3)를 상기 회전부 재(4)에 접촉시키는 가압수단(7)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4)와 상기 가동부재 (3)와의 사이에는, 상기 덮개체(B)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수단(7)의 가압력을, 상기 회전부재(4)를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부(43a, 44a)와, 상기 덮개체(B)가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수단(7)의 가압력을, 상기 회전부재(4)를 닫힘위치측에서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2 캠부(43b, 44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27014242A 2001-02-28 2002-02-27 힌지장치 KR100840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54684 2001-02-28
JP2001054684A JP4141651B2 (ja) 2001-02-28 2001-02-28 ヒン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945A KR20020093945A (ko) 2002-12-16
KR100840056B1 true KR100840056B1 (ko) 2008-06-19

Family

ID=1891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242A KR100840056B1 (ko) 2001-02-28 2002-02-27 힌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2411B2 (ko)
EP (1) EP1365639B1 (ko)
JP (1) JP4141651B2 (ko)
KR (1) KR100840056B1 (ko)
CN (1) CN1233208C (ko)
DE (1) DE60233641D1 (ko)
TW (1) TW576079B (ko)
WO (1) WO2002069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2210B2 (en) 2001-02-23 2005-03-29 James P. Hearn Sternum fixation device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3986794B2 (ja) 2001-10-19 2007-10-03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3343543A (ja) * 2002-05-31 2003-12-03 Sugatsune Ind Co Ltd ヒンジ装置
EP1614913A4 (en) * 2003-04-03 2008-06-11 Sugatsune Kogyo DEVICE BOX OPENING / CLOSING DEVICE AND ARTICULATED 2 AXIS DEVICE
TW572125U (en) * 2003-05-30 2004-01-1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mechanism
JP4488490B2 (ja) * 2004-01-09 2010-06-2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20060196009A1 (en) * 2004-07-20 2006-09-07 Fijitsu Limited Hinge device
CN100403754C (zh) * 2004-08-11 2008-07-16 奇美通讯股份有限公司 可调整上模块与下模块使用角度的电子装置
CN2745325Y (zh) * 2004-11-06 2005-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KR100672467B1 (ko) 2005-02-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
CN101218440A (zh) * 2005-07-04 2008-07-09 日本电气株式会社 铰链结构和具有铰链结构的便携式终端,以及铰链单元
JP4554454B2 (ja) * 2005-07-05 2010-09-2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4473306B2 (ja) * 2005-07-12 2010-06-0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CN1959135B (zh) * 2005-11-04 2011-06-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JP4500279B2 (ja) * 2006-03-06 2010-07-14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20070234514A1 (en) * 2006-04-05 2007-10-11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a multi-stage positioning function
CN101136949B (zh) * 2006-08-28 2010-07-28 比亚迪精密制造有限公司 转轴固定结构
US20080115325A1 (en) * 2006-11-17 2008-05-22 Shin Zu Shing Co., Ltd. Dual-axis hinge assembly
TW200920237A (en) * 2007-10-17 2009-05-01 Jarllytec Co Ltd Embedded rotating shaft structure
TWM345150U (en) * 2008-06-12 2008-11-21 Protorsion Hinge Co Ltd Pivot structure for auxiliary positioning of washer
KR101690794B1 (ko) 2010-10-11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JP5727775B2 (ja) * 2010-12-14 2015-06-03 加藤電機株式会社 流体ダンパーヒンジ
CN102840220A (zh) * 2011-06-21 2012-12-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4791374B (zh) * 2015-03-31 2017-11-1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旋转机构
WO2017212535A1 (ja) * 2016-06-07 2017-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の筐体および樹脂キャップ
JP2018179298A (ja) * 2017-04-13 2018-11-1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ヒンジ装置
US11795747B2 (en) * 2021-06-28 2023-10-24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door hin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0727A (ja) * 1987-12-02 1989-06-13 Ilmasti Oy 屋内施設の空気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3468A (en) 1981-01-26 1982-07-31 Hitachi Ltd Automatic sorting device of leukocyte
JPS57123468U (ko) * 1981-01-27 1982-07-31
NL8403514A (nl) 1984-11-19 1986-06-16 Nkf Groep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langswaterdicht maken van de kabelziel van een telecommunicatiekabel.
JPH0311453Y2 (ko) * 1985-01-31 1991-03-19
JPH0678705B2 (ja) * 1989-10-31 1994-10-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扉等用ダンパー
JP2526490B2 (ja) 1993-06-23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JP3721244B2 (ja) * 1997-05-15 2005-11-30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体の開閉装置
JP3816202B2 (ja) * 1997-07-31 2006-08-3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3489668B2 (ja) * 1999-05-31 2004-01-2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JP4175493B2 (ja) * 1999-11-25 2008-11-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830746B2 (ja) * 2000-09-29 2006-10-1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825627B2 (ja) * 2000-12-14 2006-09-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器
US6785936B2 (en) * 2001-02-26 2004-09-07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device
TW482229U (en) * 2001-07-17 2002-04-01 Hinge Basestrong Co Ltd Rotating axle structure with lift and close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0727A (ja) * 1987-12-02 1989-06-13 Ilmasti Oy 屋内施設の空気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1651B2 (ja) 2008-08-27
US6832411B2 (en) 2004-12-21
TW576079B (en) 2004-02-11
WO2002069683A1 (fr) 2002-09-06
DE60233641D1 (de) 2009-10-22
KR20020093945A (ko) 2002-12-16
US20040025297A1 (en) 2004-02-12
JP2002261466A (ja) 2002-09-13
EP1365639B1 (en) 2009-09-09
CN1233208C (zh) 2005-12-21
CN1457628A (zh) 2003-11-19
EP1365639A4 (en) 2006-10-11
EP1365639A1 (en) 200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056B1 (ko) 힌지장치
KR100807489B1 (ko) 힌지장치
KR20020097228A (ko) 힌지장치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US20050225093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704418B1 (en) Hinge device
US20050032559A1 (en) Hinge device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JP4486962B2 (ja) 二軸ヒンジ装置
KR20080017105A (ko) 힌지장치
WO2006008955A1 (ja) ヒンジ装置
KR100639069B1 (ko) 힌지장치
JP4488490B2 (ja) ヒンジ装置
JP2003239945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4954027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機器
JP2004108453A (ja) ヒンジ装置
JP4226828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5134654B2 (ja) ヒンジ装置
KR200321556Y1 (ko) 힌지장치
JP2003269439A (ja) ヒンジ並びに電動ヒンジ及び携帯機器
JP2007132451A (ja) 携帯機器及び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