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105A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105A
KR20080017105A KR1020087001483A KR20087001483A KR20080017105A KR 20080017105 A KR20080017105 A KR 20080017105A KR 1020087001483 A KR1020087001483 A KR 1020087001483A KR 20087001483 A KR20087001483 A KR 20087001483A KR 20080017105 A KR20080017105 A KR 2008001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pressing force
contact member
movab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고시카와
가쓰야 이마이
히사시 후카이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5) 및 고정부재(6)와, 가동부재(5)를 고정부재(6)를 향하여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힌지장치에 있어서, 가동부재(5)의 고정부재(6)와의 대향면(5b)에 수용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이 수용 오목부(11)에 구체(8)를 가동부재(5)의 둘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고정부재(6)의 가동부재(5)와의 대향면에는, 제 1 캠부(13a)를 형성한다. 가동부재(5)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서 캠부(13a)에 구체(8)가 부딪쳤을 때, 캠부(13a)는, 코일스프링의 가압력을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한다. 이 회동 가압력은, 구체(8)를 수용 오목부(11)의 제 1 타격부(11a)에 고속으로 부딪혀서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DEVICE}
이 발명은, 클릭음(Clicking sound)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힌지장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또한 접근 이간(離間)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고정부재측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부재의 고정부재와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구체(Spherical body)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재의 가동부재와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캠면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구체와 캠면은, 가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회동각도 범위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각각 부딪친다. 서로 부딪친 구체와 캠면은, 코일스프링의 가압력(Biasing force)을 회동 가압력(Rotational biasing force)으로 변환한다. 이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가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회동 위치까지 회동하게 됨과 함께, 해당 회동 위치에 유지된다.
고정부재는, 힌지장치의 다른 부재, 또는 힌지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상자체(Housing)의 통부(Tubular portion) 등에 대해서 소정의 미소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동부재가 상기 소정의 회동각도 범위내에 위치 하면, 구체와 캠면에 의해서 변환된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미소 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그 결과, 다른 부재 또는 통부와 고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타격부(Hitting portion)가 서로 고속으로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1-15272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2-181031호 공보
클릭음을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다른 부재 또는 통부와 고정부재를 미소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하거나, 각각 타격부를 형성하거나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클릭음을 발생할 수 없는 힌지장치의 일부를 설계 변경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변경만으로는 클릭음을 발생할 수 없고, 고정부재나 다른 부재를 대폭으로 설계 변경하여 다시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제조비가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회동축선을 따라서 접근 이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Biasing means)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의 대향면의 한 쪽에는,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서 다른 쪽의 대향면에 부딪혀지는 접촉부재(Abutment member)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제 1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를 통하여 제 1 둘레방향으로 회동 가압(Rotationally biased)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대향면에 수용 오목부(Receiving recess)가 형성되고, 이 수용 오목부에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의 가동 범위 중 한 쪽의 한계 위치를 규정하는 것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하는 제 1 타격부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재 및 상기 수용 오목부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각각 두 개 설치되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캠부가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의 타단부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의 가동 범위의 다른 쪽의 한계 위치를 규정하는 것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하는 제 2 타격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작용방향이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과 역방향인 제 2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2 캠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제 2 타격부에 부딪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상기 접촉부재 및 상기 수용 오목부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각각 두 개 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각각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한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가 위치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과 함께 작용시켜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제 1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3 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의 타단부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의 가동 범위의 다른 쪽의 한계 위치를 규정하는 것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하는 제 2 타격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작용 방향이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과 역방향인 제 2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고, 이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제 2 타격부에 부딪히게 하는 제 2 캠부와, 상기 돌출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상기 제 2 회동 가압력과 함께 작용시켜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제 2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4 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상기 특징 구성을 갖는 이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재와 제 1 캠부가 부딪치는 것에 의해,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제 1 둘레방향을 향하는 제 1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 접촉부재가 수용 오목부내를 제 1 둘레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타격부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클릭음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것은,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와의 대향면 중의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한편으로, 접촉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좋다. 따라서, 클릭음이 발생하지 않는 종래의 힌지장치에 간단한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해당 힌지장치를 클릭음이 발생하는 힌지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가 이용된 휴대전화기의 일례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휴대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상기 실시형태의 도 5와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가동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X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용 오목부, 구체 및 걸어맞춤 오목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A)은 구체가 고정부재의 대향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은 구체가 제 2 접점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C)은 구체가 수용 오목부의 제 2 타격부에 부딪쳤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D)은 가동부재가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이용되고 있는 가동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X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수용 오목부, 한 쌍의 구체 및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4(A)는 고정된 구체가 제 2 접점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B)는 이동 가능한 구체가 제 2 접점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C)는 이동 가능한 구체가 제 2 타격부에 부딪쳤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D)는 가동부재가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힌지장치 1' : 힌지장치
5 : 가동부재 5b : 대향면
6 : 고정부재 6b : 대향면
7 : 코일스프링(가압수단) 8 : 구체(접촉부재)
9 : 구체(접촉부재 ; 돌출부) 11 : 수용 오목부
11a : 제 1 타격부 11b : 제 2 타격부
12 : 수용 오목부 12a : 제 1 타격부
12b : 제 2 타격부 13a : 제 1 캠부
13b : 제 2 캠부(제 4 캠부) 14a : 제 1 캠부(제 3 캠부)
14b : 제 2 캠부
이하,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A)를 나타낸다. 이 휴대전화기(A)는, 송화부(B) 및 수화부(C)를 구비하고 있다. 송화부(B)의 일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통부(B1,B1)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통부(B1,B1)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키고, 또한 축선방향에 서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수화부(C)의 일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통부(C1,C1)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통부(C1,C1)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키고, 또한 축선방향에 서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연결통부(C1,C1)는, 연결통부(B1,B1)와 동일축선상에 연결통부(B1)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1조의 연결통부(B1,C1) 및 다른 1조의 연결통부(B1,C1)는, 후술하는 힌지장치(1,1)에 의해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서 송화부(B)와 수화부(C)가 회동축선(L){연결통부(B1,C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송화부(B)와 수화부(C)는 서로 회동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여기에서는 송화부(B)가 위치 고정되고, 수화부(C)가 송화부(B)에 대해서 회동하는 것으로 한다. 수화부(C)의 송화부(B)에 대한 회동범 위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접은 위치(Folded position)와, 이 접은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예를 들면, 160°)만큼 떨어진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화위치와의 사이로 제한되어 있다. 접은 위치는, 수화부(C)의 앞면(Cf)이 송화부(B)의 앞면(Bf)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규정되고, 통화위치는, 송화부(B)와 통화위치로 회동한 수화부(C)와의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서로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수화부(C)의 회동범위는, 16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보다 커도 작아도 좋다.
다음에, 수화부(C)를 송화부(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장치(1)는, 제 1 힌지부재(2), 제 2 힌지부재(3) 및 힌지축(4)을 가지고 있다. 제 1 힌지부재(2)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일단부가 개구(Open)하며, 타단부에 바닥부(2a)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2a)의 중앙부에는, 축선을 회동축선(L)과 일치시킨 관통구멍(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2b)에는, 축선을 회동축선(L)과 일치시킨 힌지축(4)의 기단부(Basal end portion)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 통해져 있다. 이 힌지축(4)은, 기단부에 형성된 머리부(4a)가 바닥부(2a)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그 이상 제 1 힌지부재(2)의 바닥부(2a)측으로부터 개구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환언하면, 바닥부(2a)가 머리부(4a)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제 1 힌지부재(2)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바닥부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힌지부재(2)가 힌지축(4)에 대하여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제 2 힌지부재(3)는,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 1 힌지부재(2)의 개구부의 단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힌지부재(3)의 중앙부에는, 축선을 회동축선(L)과 일치시킨 관통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3a)에는, 힌지축(4)의 선단부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제 2 힌지부재(3)가 제 1 힌지부재(2)에 힌지축(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힌지부재(3)의 관통구멍(3a)에는, 힌지축(4)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춤시켜도 좋다. 그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힌지축(4)을 제 1 힌지부재(2)의 관통구멍(2b)에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시켜도 좋다. 또한, 제 2 힌지부재(3)는, 힌지축(4)의 선단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앞쪽으로의 빠짐방지가 있는 것이면, 힌지축(4)의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해도 좋다.
제 1 힌지부재(2)는, 수화부(C)의 연결통부(C1)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제 2 힌지부재(3)는, 송화부(B)의 연결통부(B1)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제 1 힌지부재(2)와 제 2 힌지부재(3)는, 힌지축(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통부(B1,C1)가 힌지장치(1)의 제 1, 제 2 힌지부재(2,3) 및 힌지축(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아가서는 송화부(B)와 수화부(C)가 힌지장치(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힌지부재(2)는, 수화부(C)에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힌지부재(2)는, 수화부(C)와 일체로 회동한다. 한편, 제 2 힌지부재(3)는, 송화부(B)에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힌지부재(3)는, 수화부(B)와 함께 위치 고정되어 있다.
힌지축(4)의 제 1 힌지부재(2)와 제 2 힌지부재(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 간부에는, 가동부재(5) 및 고정부재(6)가 외부 삽입되어 있다. 가동부재(5)는 제 1 힌지부재(2)측에 배치되고, 고정부재(6)는 제 2 힌지부재(3)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부재(5)는,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앙부에는 축선을 회동축선(L)과 일치시킨 관통구멍(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5a)에는, 힌지축(4)의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Slidably)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재(5)는, 제 1 힌지부재(2)의 개구부측의 단부에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동축선(L)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5)는, 수화부(C)가 송화부(B)에 대해서 회동하면, 수화부(C) 및 제 1 힌지부재(2)와 일체로 회동한다. 따라서, 수화부(C)가 접은 위치 및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가동부재(5)의 위치도 각각 접은 위치 및 통화위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고정부재(6)의 중앙부에는, 축선을 회동축선(L)과 일치시킨 관통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a)에는, 힌지축(4)의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6)는, 힌지축(4)에 대해서 회동 가능, 또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고정부재(6)는, 제 2 힌지부재(3)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과 함께, 후술하는 코일스프링(7)에 의해서 고정부재(6)에 꽉 눌러져 있어, 힌지축(4) 및 제 2 힌지부재(3)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회동하지도 않으며, 이동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고정부재(6)는, 힌지축(4)에 고정해도 좋고, 혹은 제 2 힌지부재(3)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고정부재(6)는, 제 2 힌지부재(3)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있으므로, 송화부(B)와 함께 위치 고정되어 있다.
힌지축(4)의 바깥둘레면과 제 1 힌지부재(2)의 안둘레면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가압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7)의 일단부는 제 1 힌지부재(2)의 바닥부(2a)에 부딪치고, 타단부는 가동부재(5)에 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7)은, 가동부재(5)를 고정부재(6)측을 향해 힘을 가하여, 고정부재(6)에 후술하는 한 쌍의 구체(8,9)를 통하여 눌러대고 있다. 이 결과, 고정부재(6)가 제 2 힌지부재(3)에 꽉 눌러지며, 또한 힌지축(4)의 머리부(4a)가 제 1 힌지부재(2)의 바닥부(2a)에 꽉 눌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힌지부재(2), 제 2 힌지부재(3), 힌지축(4), 가동부재(5), 고정부재(6), 코일스프링(7) 및 구체(8,9)가 분리 불가능하게 유닛화되어 있다.
도 4 및 도 6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5)의 고정부재(6)와의 대향면(5b)에는, 한 쌍의 수용 오목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수용 오목부(11,12)는,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원둘레상에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오목부(11,12)는,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한 쌍의 수용 오목부(11,12)는, 서로 동일 형상, 동일 치수를 가지고 있고, 회동축선(L)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있다. 수용 오목부(11,12)의 안둘레면 중, 개구측{고정부재(6)측}의 단부는, 회동축선(L)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원통면 중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의 일단부가 제 1 타격부(11a,12a)가 되고, 타단부가 제 2 타격부(11b,12b)가 되어 있다.
각 수용 오목부(11,12)에는, 구체(돌출부)(8,9)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구 체(8,9)는, 서로 동일 치수를 가지고 있고, 수용 오목부(11,12)의 안둘레면의 개구측의 안지름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구체(8,9)는, 그것들과 수용 오목부(11,12)와의 직경 차이의 분만큼 수용 오목부(11,12)내를 가동부재(5)의 둘레방향{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전동가능(Rollable}이며, 제 1 타격부(11a,12a)에 각각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제 1 둘레방향으로의 이동한계위치가 규정되고, 제 2 타격부(11b,12b)에 각각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제 1 둘레방향과 역방향인 제 2 둘레방향으로의 이동한계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구체(8,9)의 바깥지름은, 수용 오목부(11,12)의 깊이의 대략 2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체(8,9)의 대략 절반이 수용 오목부(11,12)로부터 고정부재(6)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구체(8,9)가 고정부재(6)의 가동부재(5)와의 대향면에 부딪치고 있다. 구체(8,9)가 수용 오목부(11,12)내의 어느 개소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도 구체(8,9)의 회동축선(L) 방향으로의 위치, 즉 수용 오목부(11,12)로부터의 돌출량이 일정 불변이도록 하기 위해서, 수용 오목부(11,12)의 바닥면의 구체(8,9)에 접촉하는 부분은, 회동축선(L)과의 이루는 각이 직각인 평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 오목부(11,12)의 안둘레면 중 바닥부측의 단부는, 구체(8,9)가 제 1, 제 2 타격부(11a,12a;11b,12b)에 부딪쳤을 때, 구체(8,9)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 오목부(11,12)의 안둘레면 중 바닥부측의 단부가, 구체(8,9)의 반지름에서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원호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8,9)가 수용 오목부(11,12)내를 고속으로 이동하여 제 1 타격부(11a,12a) 또는 제 2 타격부(11b,12b)에 부딪치면, 충격음이 발생한다. 이것이 클릭음이며, 클릭음을 확실히 발생시키는 것과 함께, 구체(8,9)및 제 1, 제 2 타격부(11a,12a;11b,12b)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구체(8,9) 및 가동부재(5)는, 강철 등의 금속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6)의 가동부재(5)와의 대향면(6b)에는,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13,1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13,14)는, 동일 형상, 동일 치수를 가지고 있고, 회동축선(L)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형을 이루고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13,14)의 안둘레면 중, 개구측(가동부재(5)측)의 단부는, 단면 대략 4반분(四半分)의 원호형상을 이루는 볼록곡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13,14)의 각 볼록곡면 중, 고정부재(6)의 둘레방향{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제 1 캠부(13a,14a)가 되고, 타단부가 제 2 캠부(13b,14b)가 된다. 제 1 캠부(13a,14a)는, 고정부재(6)의 대향면(6b)과 제 1 접점(13c,14c)에서 매끄럽게 접하고 있고, 제 2 캠부(13b,14b)는, 고정부재(6)의 대향면(6b)과 제 2 접점(13d,14d)에서 각각 매끄럽게 접하고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13,14)는, 수용 오목부(11,12)가 배치된 원둘레와 동일 원둘레상에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13,14)는, 가동부재(5)가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제 1 회동각도 범위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구체(8,9)가 코일스 프링(7)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 1 캠부(13a,14a)에 각각 꽉 눌러지며, 가동부재(5)가 제 1 회동각도 범위로부터 둘레방향에 소정각도만큼 떨어진 소정의 제 2 회동각도 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구체(8,9)가 코일스프링(7)의 이 가압력에 의해서 제 2 캠부(14b,13b)에 각각 꽉 눌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내용을 더 자세하게 서술하면,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로부터 접은 위치로 향하는 방향(제 1 둘레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은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15°) 만큼 앞쪽의 위치에 이르면, 구체(8,9)가 제 1 접점(13c,14c)에 각각 부딪친다. 이하, 이때의 가동부재(5){수화부(C)}의 위치를 제 1 접촉위치라고 한다. 가동부재(5)가 제 1 접촉위치로부터 접은 위치측으로 조금이라도 회동하면, 구체(8,9)가 제 1 캠부(13a,14a)에 부딪친다. 이 때, 제 1 캠부(13a,14a)가, 제 1 접점(13c,14c)으로부터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원둘레에 따라서 걸어맞춤 오목부(13,14)의 중심측을 향함에 따라서 대향면(6b)으로부터 서로 떨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구체(8,9)가 제 1 캠부(13a,14a)에 접촉하면,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이 구체(8,9) 및 제 1 캠부(13a,14a)에 의해서 제 1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구체(8,9)가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내를 통화위치로부터 접은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1 타격부(11a,12a)에 부딪혀진다. 구체(8,9)가 제 1 타격부(11a,12a)에 부딪친 후에는, 가동부재(5)가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 구체(8,9)를 통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동 가압되고, 접은 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한편,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로 회동했을 때도, 구체(8,9)가 제 1 캠부(13a,14a)에 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 해서 수화부(C)의 앞면(Cf)이 송화부(B)의 앞면(Bf)에 부딪혀져, 수화부(C) 및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에 유지된다. 접은 위치와 제 1 접촉위치와의 사이가 제 1 회동각도 범위이다.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로 향하는 방향(제 2 둘레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도, 통화위치로부터 접은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와 같이,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의 소정각도(예를 들면 15°)만큼 앞쪽의 제 2 접촉 위치에 이르면, 구체(8,9)가 제 2 접점(14d,13d)에 각각 부딪친다. 가동부재(5)가 제 2 접촉위치로부터 통화위치측으로 조금이라도 회동하면, 구체(8,9)가 제 2 캠부(14b,13b)에 각각 부딪치게 되고,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이 구체(8,9)와 제 2 캠부(14b,13b)에 의해서 제 2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 구체(8,9)가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내를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2 타격부(11b,12b)에 각각 부딪혀진다. 그 후, 가동부재(5)가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 구체(8,9)를 통하여 회동 가압되며, 통화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부재(5) 및 수화부(C)가 통화위치에 유지된다. 통화위치와 제 2 접촉위치와의 사이가 제 2 회동각도 범위이다.
한편, 힌지장치(1)에 있어서는, 구체(8)가 제 1, 제 2 캠부(13a,13b)에 동시에 부딪치는 것과 함께, 구체(9)가 제 1, 제 2 캠부(14a,14b)에 동시에 부딪치는 것, 및 구체(8)가 제 1, 제 2 캠부(14a,14b)에 동시에 부딪치는 것과 함께, 구체(9)가 제 1, 제 2 캠부(13a,13b)에 동시에 부딪치는 것 중 모두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힌지장치(1)를 휴대전화기(A)의 연결통부(B1,C1)에 조립해 넣기 전에는 드러낼 수 있지만, 조립해 넣은 후에는 드러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1)에 있어서, 지금, 가동부재(5){수화부(C)}가 접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에는, 구체(8,9)가 제 1 타격부(11a,12a)에 각각 부딪치는 것과 함께, 제 1 캠부(13a,14a)에 각각 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5)를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제 1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접은 위치로부터 제 1 회동각도 범위내에서 이간한 가동부재(5)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하면, 가동부재(5)는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접은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가동부재(5)가 제 1 각도범위를 지나면, 구체(8,9)가 고정부재(6)의 대향면(6b)에 접촉한다. 따라서, 그 후에는, 구체(8,9)와 대향면(6b)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저항하여 가동부재(5)를 통화위치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마찰저항에 의해, 구체(8,9)는,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로부터 제 2 접촉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제 1 타격부(11a,12a)에 각각 꽉 눌러져 있다.
도 11(A)은, 가동부재(5)의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구체(8,9)가 각각 제 2 접점(14d,13d) 근방에 이르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가동부재(5)를 통화위치측을 향하여(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향하여) 더 회동시키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8,9)가 제 2 접점(14d,13d)에 각각 접촉한다. 그 후, 가동부재(5)가 더 회동하여 제 2 회동각도 범위내에 위치하면, 구체(8,9)가 제 2 캠부(14b,13b)에 각각 접촉한다. 그러면, 구체(8,9)가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재(5)에 대해서 통화위치측으로 급속 이동하게 되어,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타격부(11b,12b)에 각각 부딪혀진다. 이것에 의해서, 충격음, 즉 클릭음이 발생한다. 구체(8,9)가 제 2 타격부(11b,12b)에 부딪친 후, 가동부재(5)가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 구체(8,9)를 통하여 통화위치측에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부재(5)는 통화위치에 이르러 정지한다.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에 이르렀을 때,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8,9)가 제 2 캠부(14b,13b)에 각각 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5)는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통화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구체(8,9)가 제 1 타격부(11a,12a)로부터 제 2 타격부(11b,12b)에 부딪칠 때까지 이동하는 사이 뿐만 아니라, 그 후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에 이르러도, 구체(8,9)가 제 2 캠부(14b,13b)에 각각 부딪치고 있는 것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 2 캠부(14b,13b)의 회동축선(L) 방향에서의 길이는, 구체(8,9)의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내에 있어서의 가동거리{제 1, 제 2 타격부(11a(12a),11b(12b))간의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의 간격}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가동부재(5)를 접은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부재(5)가 제 2 회동각도 범위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구체(8,9)가 제 2 타격부(11b,12b) 및 제 2 캠부(14b,13b)에 각각 부딪치고 있으므로, 가동부재(5)는 제 2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물론, 가동부재(5)를 제 2 회동각도 범위내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 가동부재(5)는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통화위치까지 되돌려진다. 가동부재(5)가 제 2 회동각도 범위를 지나면, 구체(8,9)가 고정부재(6)의 대향면(6b)에 접촉한다. 따라서, 그 후에는, 구체(8,9)와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의 각 바닥면과의 사이, 또는 구체(8,9)와 대향면(6b)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저항하여 가동부재(5)를 통화위치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마찰저항에 의해, 구체(8,9)는, 제 2 회동각도 범위를 나오고 나서 제 1 접점(13c,14c)에 이르기까지, 제 2 타격부(11b,12b)에 꽉 눌러져 있다.
구체(8,9)가 제 1 접점(13c,14c)에 접촉한 후, 가동부재(5)를 접은 위치측을 향하여 더 회동시키면, 구체(8,9)가 제 1 캠부(13a,14a)에 부딪친다. 이 결과, 구체(8,9)에 제 1 회동 가압력이 작용하여, 그것에 의해서 구체(8,9)가 가동부재(5)에 대해서 접은 위치측으로 급속 이동하게 되고, 제 1 타격부(11a,12a)에 각각 부딪혀진다. 이것에 의해서, 충격음, 즉 클릭음이 발생한다. 구체(8,9)가 제 1 타격부(11a,12a)에 부딪친 후에는, 가동부재(5)가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 구체(8,9)를 통하여 접은 위치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부재(5)는 접은 위치에 이르러 정지하는 것과 함께, 접은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구체(8,9)가, 제 2 타격부(11b,12b)로부터 제 1 타격부(11a,12a)에 부딪칠 때까지 이동하는 사이 뿐만 아니라, 그 후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에 이르러도 구체(8,9)가 제 1 캠부(13a,14a)에 각각 부딪치고 있는 것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 1 캠부(13a,14a)의 회동축선(L)방향에서의 길이는, 구체(8,9)의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내에 있어서의 가동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장치(1)에 있어서는, 구체(8,9)를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에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클릭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특별한 부재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가동부재(5)에 설치된 한 쌍의 오목부에 한 쌍의 구체가 각각 이동 불가능하게 수용된 종래의 힌지장치이면, 한 쌍의 오목부를 제 1, 제 2 수용 오목부(11,12)로 변경하는 만큼의 간단한 설계 변경에 의해서 해당 종래의 힌지장치를 이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1)로 변경할 수 있어,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힌지장치(1)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부재(5') 및 한 쌍의 구체(8,9)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동부재(5')에 있어서는, 고정부재(6)와의 대향면(5b)에 제 2 수용 오목부(12)를 대신하여 지지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오목부(15)는, 제 1 수용 오목부(11)와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둘레상에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 오목부(15)는, 그 중심이 제 1 수용 오목부(11)의 중심에 대해 제 1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지지 오목부(15)에는, 구체(9)가 위치 고정하여 유지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지금,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측으로 회동하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9)가 제 2 접점(13d)에 부딪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에는, 구체(8)가 제 1 타격부(11a)에 부딪치고 있고,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에서의 수용 오목부(11)의 중심에 대해 구체(8)의 제 1 수용 오목부(11)내에 있어서의 가동 거리의 반분의 거리 d1만큼 둘레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따라서, 구체(8)는, 제 2 접점(14d)에 대해 거리 d1만큼 앞에 위치하고 있다. 그 상태로부터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측으로 약간이라도 이동하면, 구체(9)가 제 2 캠부(13b)에 부딪친다. 그렇게 하면,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이, 구체(9)와 제 2 캠부(13b)에 의해서 제 4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제 4 회동 가압력은, 구체(9)를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로 향하는 방향(제 2 둘레방향)에 회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지금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캠부(13b)가 제 4 캠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가동부재(5)가, 제 4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통화위치측으로 회동하게 되면, 그것에 따라 구체(8)가 통화위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8)가, 도 14(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거리 d1만큼 통화위치측으로 이동하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8)가 제 2 접점(14d)에 접촉한다.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측으로 더 회동하여 구체(8)가 제 2 캠부(14b)에 부딪치면, 구체(8)가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재(5)에 대해 통화위치측으로 거리 2d1만큼 급속히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타격부(11b)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구체(8)가 제 2 타격부(11b)에 부딪친 후에는, 제 2 회동 가압력과 제 4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가동부재(5)가 소정 거리 d2만큼 회동하게 되어 통화위치에 이르러, 해당 통화위치에 유지된다.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구체 8이 제 2 접점(14d)으로부터 거리(2d1+d2)만큼 이동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구체 9는 제 2 접점(13d)으로부터 거리(d1+d2)만큼 이동하고 있어, 구체 8이 구체 9보다 둘레방향에 거리 d1만큼 많이 이동하고 있다. 게다가, 제 2 캠부(13b,14b)가 바깥쪽에 볼록원호면 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으므로, 구체 8은 구체 9보다 가동부재(5)로부터 고정부재(6)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부재(5)는, 구체 9 측으로부터 구체 8 측을 향함에 따라서 고정부재(6)에 접근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힌지장치에서는, 가동부재(5)를 회동축선(L)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동부재(5)의 경사량은, 매우 작은 것이며, 예를 들면 관통구멍(5a)에 힌지축(4)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치수차, 즉 관통구멍(5a)의 안지름과 힌지축(4)의 바깥지름과의 사이의 치수차에 의해서 가동부재(5)의 경사량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따라서, 가동부재(5)를 경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특별히 변경하여 채용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14(B)에 나타내는 상태일 때에는, 가동부재(5)가 구체 8 측으로부터 구체 9 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고정부재(6)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고, 도 14(C)에 나타내는 상태일 때에는, 가동부재(5)가 구체 9 측으로부터 구체 8 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고정부재(6)에 접근하도록 경사하고 있지만, 어느 경우의 경사량도 도 14(D)에 나타내는 상태일 때의 경사량보다 작다.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로부터 접은 위치측으로 회동하게 될 때에는, 가동부재(5)를 제 2 회동 가압력 및, 제 4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접은 위치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로부터 둘레방향으로 거리(d1+d2)만큼 회동하면, 구체 9가 제 2 캠부(13b)로부터 탈출한다. 따라서, 그 다음은 가동부재(5)를 제 2 회동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가동부재(5)가 거리 d1만큼 더 회동하면, 구체 8이 제 2 캠부(14b)로부터 탈출한다. 따라서, 그 후에는 구 체(8,9)와 대향면(6b)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저항하여 가동부재(5)를 접은 위치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구체 8과 대향면(6b)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의해서 구체 8이 제 2 타격부(11b)에 꽉 눌러져 있다.
구체 9가 제 1 접점(14c)을 접은 위치측에 통과하여 제 1 캠부(14a)에 부딪치면, 코일스프링(7)의 가압력이 구체 9 및 제 1 캠부(14a)에 의해서 제 3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제 3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로부터 접은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된다. 따라서, 이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캠부(14a)가 제 3 캠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구체 9가 제 1 접점(14c)에 부딪친 위치로부터 가동부재(5)가 거리 d1만큼 접은 위치측으로 회동하면, 구체 8이 제 1 접점(13c)에 부딪친다.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측으로 더 회동하면, 구체 8이 제 1 캠부(13a)에 부딪친다. 그러면, 구체 8이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거리 2d1만큼 이동하여 제 1 타격부(11a)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구체 8이 제 1 타격부(11a)에 부딪친 후에는, 제 1 회동 가압력과 제 3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가동부재(5)가 거리 d2만큼 회동하게 되어 접은 위치에 이르러, 해당 접은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구체 9가 제 1 접점(14c)에 부딪치고, 또한 구체 8이 대향면(6b)에 부딪치고 있을 때, 및 구체 9가 제 1 접점(14c)으로부터 거리 d1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구체 8이 제 1 접점(13d)에 부딪치고 있을 때도, 가동부재(5)가 경사지지만, 그 경사량은, 가동부재(5)가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경사량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다.
가동부재(5)가 접은 위치로부터 통화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동부재(5)가 거리(d1+d2)만큼 이동하면, 구체 9가 제 1 캠부(14a)로부터 탈출하여 대향면(6b)에 부딪치게 되어, 가동부재(5)가 거리 d1만큼 더 회동하면, 구체 8도 대향면(6b)에 부딪치게 된다. 그 후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통화위치에 이른다.
도 15는,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힌지장치(1')에 있어서는, 가동부재(5)의 일단부가 수화부(C)의 연결통부(C1)에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가동부재(5)의 타단부{고정부재(6)측의 단부}가 송화부(B)의 연결통부(B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통부(B1,C1)가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정부재(6)는, 연결통부(B1)에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힌지부재(2,3) 및 힌지축(4)이 이용되지 않고, 고정부재(6)가 가동부재(5)에 연결통부(B1,C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재(6)는, 연결통부(B1)의 바닥부(B2)에 스페이서(S)를 통하여 부딪혀져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7)은, 가동부재(5)와 연결통부(B1)에 설치된 덮개(D)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한편,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대해 적당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부재(5)에 구체(8,9)를 설치하여, 고정부재(6)에 걸어맞춤 오목부(13,14)를 설치하고 있지만, 가동부재(5)에 걸어맞춤 오목부(13,14)를 설치하고, 고정부재(6)에 구체(8,9)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오목부(11,12)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회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늘어나는 타원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게다가,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캠부(13a,14a) 및 제 2 캠부(13b,14b)를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지만, 경사진 평면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이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나 휴대식의 게임 등의 휴대기기의 제 1 상자체와 제 2 상자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회동축선에 따라서 접근 이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의 대향면의 한 쪽에는,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서 다른 쪽의 대향면에 부딪혀지는 접촉부재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제 1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를 통하여 제 1 둘레방향으로 회동 가압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대향면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수용 오목부에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소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의 가동범위 중의 한쪽의 한계위치를 규정하는 것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하는 제 1 타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 및 상기 수용 오목부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각각 두 개 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캠부가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의 타단부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의 가동범위의 다른 쪽의 한계 위치를 규정하는 것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하는 제 2 타격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작용방향이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과 역방향인 제 2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2 캠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제 2 타격부에 부딪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 및 상기 수용 오목부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각각 두개 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각각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가 위치 고정하여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과 함께 작용시켜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제 1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3 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타단부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의 가동범위의 다른 쪽의 한계 위치를 규정하는 것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하는 제 2 타격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촉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작용방향이 상기 제 1 회동 가압력과 역방향인 제 2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고, 이 제 2 회동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제 2 타격부에 부딪히게 하는 제 2 캠부와, 상기 돌출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상기 제 2 회동 가압력과 함께 작용시켜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제 2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가압력으로 변환하는 제 4 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87001483A 2005-07-12 2006-07-10 힌지장치 KR20080017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2852 2005-07-12
JP2005202852 2005-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05A true KR20080017105A (ko) 2008-02-25

Family

ID=3763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483A KR20080017105A (ko) 2005-07-12 2006-07-10 힌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81283B2 (ko)
JP (1) JP4473306B2 (ko)
KR (1) KR20080017105A (ko)
CN (1) CN101223373B (ko)
WO (1) WO2007007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3486D0 (en) * 1998-02-20 1998-04-15 Upf Group Plc A hinge assembly
US20090320239A1 (en) * 2008-06-26 2009-12-3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fold hing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2207128A (zh) * 2010-03-30 2011-10-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套筒及应用该套筒的铰链结构
KR101690794B1 (ko) 2010-10-11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KR101775155B1 (ko) * 2010-12-01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위블 힌지 장치
TWI539889B (zh) * 2014-12-01 2016-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樞接模組與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5493B2 (ja) 1999-11-25 2008-11-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830746B2 (ja) * 2000-09-29 2006-10-1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4021175B2 (ja) * 2000-12-11 2007-1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7047599B2 (en) 2000-12-11 2006-05-23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assembly
JP3825627B2 (ja) 2000-12-14 2006-09-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器
JP4141651B2 (ja) * 2001-02-28 2008-08-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4226828B2 (ja) * 2002-02-21 2009-02-1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2003239945A (ja) * 2002-02-21 2003-08-27 Sugatsune Ind Co Ltd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2003343543A (ja) * 2002-05-31 2003-12-03 Sugatsune Ind Co Ltd ヒンジ装置
WO2004090355A1 (ja) * 2003-04-03 2004-10-21 Sugatsune Kogyo Co., Ltd. 機器ケースの開閉装置及び2軸ヒンジ装置
JP4488490B2 (ja) * 2004-01-09 2010-06-2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3373B (zh) 2010-05-19
US20090139056A1 (en) 2009-06-04
JP4473306B2 (ja) 2010-06-02
WO2007007705A1 (ja) 2007-01-18
CN101223373A (zh) 2008-07-16
JPWO2007007705A1 (ja) 2009-01-29
US7681283B2 (en)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5627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器
KR100840056B1 (ko) 힌지장치
KR20080017105A (ko) 힌지장치
KR100807489B1 (ko) 힌지장치
KR100861179B1 (ko) 이축 힌지장치
JP4486962B2 (ja) 二軸ヒンジ装置
KR20050004259A (ko) 힌지장치
JP4488490B2 (ja) ヒンジ装置
JP4853350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4522778B2 (ja) ヒンジ装置
JP4523036B2 (ja) 二軸ヒンジ装置
JP4468237B2 (ja) 携帯電話機
JP2006266447A (ja)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4554454B2 (ja) ヒンジ装置
JP2008215537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4226828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5134654B2 (ja) ヒンジ装置
JP4954027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機器
JP2006046583A (ja) ヒンジ装置
JP4500279B2 (ja) ヒンジ装置
JP4509888B2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