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069B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069B1
KR100639069B1 KR1020000081885A KR20000081885A KR100639069B1 KR 100639069 B1 KR100639069 B1 KR 100639069B1 KR 1020000081885 A KR1020000081885 A KR 1020000081885A KR 20000081885 A KR20000081885 A KR 20000081885A KR 100639069 B1 KR100639069 B1 KR 100639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ylinder
hinge
support
fixing
hin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704A (ko
Inventor
고시카와신이치로
Original Assignee
스가츠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츠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츠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2개의 지지통부(支持筒部; 11, 21) 중,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통부(11)의 외측의 단부(端部)에는 저부(底部; 11a)를 형성한다.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통부(21)의 내주면에는 고정요부(係止凹部; 43)를 형성한다. 이 고정요부(43)의 지지통부(11)측을 향하는 단면을 고정면(係止面; 44)으로 한다. 힌지체(3)의 단부에는 고정편(係止片; 45)을 마련한다. 이 고정편(45)은 그 선단부(先端部)가 힌지체(3)의 직경방향의 내측을 향하도록 탄성변형함으로써, 키홈(41)의 저면을 통과한다. 그 후, 고정편(45)은 그 선단부가 힌지체(3)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탄성적으로 복귀변형함으로써, 고정요부(43)에 끼워진다. 그리고, 고정편(45)은 그 선단면이 고정면(44)에 맞닿음으로써, 힌지체(3)가 지지통부(2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한다.
지지통부, 힌지체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2개의 지지통부와, 이것에 삽입하기 전의 힌지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전화기본체 및 커버체의 일부에 적용된 힌지체를 커버체가 열린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4(B)는 동 실시형태의 전화기본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5(B)는 동 실시형태의 커버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힌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힌지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동 힌지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동 힌지체의 한 쪽의 힌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정면도, 도 9(B)는 그 정단면도, 도 9(C)는 그 평면도, 도 9(D)는 그 좌측면도, 도 9(E)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힌지체의 가동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A)는 그 정면도, 도 10(B)는 그 정단면도, 도 10(C)는 그 평면도, 도 10(D)는 그 평단면도, 도 10(E)는 그 좌측면도, 도 10(F)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동 힌지체의 다른 쪽의 힌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A)는 그 좌측면도, 도 11(B)는 그 정단면도, 도 11(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쪽의 힌지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X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노트형 PC 등의 기기본체(機器本體)와 이를 개폐하는 회전체(回轉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힌지장치는 기기본체 및 회전체에 각각 마련된 지지통부(支持筒部)와 힌지체를 구비하고 있어서, 힌지체의 한 단부(端部)와 다른 단부가 기기본체의 지지통부와 회전체의 지지통부에 각각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본체와 회전체가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힌지체를 지지통부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기기본체 및 회전체의 각 지지통부의 축선(軸線)을 일치시킨다. 그 후, 힌지체를 한 쪽의 지지통부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힌지체의 한 단부를 한 쪽의 지지통부를 관통시켜 다른 쪽의 지지통부로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힌지체를 이와 같이 하여 지지통부에 삽입한 경우에는, 힌지체가 지지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힌지체가 지지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쪽의 지지통부의 한 단부에 저부(底部)를 형성하는 한편, 이 저부와 대향(對向)하는 힌지체의 한 단부에 저부를 관통하는 축부(軸部)를 형성한다. 그리고, 저부를 관통하여 지지통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축부의 선단부(先端部)에 스톱링(stop ring) 등의 스토퍼부재를 끼움으로써, 힌지체가 지지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힌지체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스토퍼부재가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스토퍼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부품수 및 제조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부를 관통한 축부 및 스토퍼부재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저부를 한 쪽의 지지통부의 내측의 단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한 쪽의 지지통부를 다른 쪽의 지지통부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하면 힌지체가 삽입되는 다른 쪽의 지지통부의 외측의 개구부(開口部)가 노출되어 버린다. 이렇기 때문에, 그 개구부를 장식커버(decorative cover) 등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하였으므로 장식커버의 부분만큼 부품수가 증가됨과 동시에 장식커버의 부착공정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한층 더 커져 버린다. 더구나, 장식커버로 다른 쪽의 지지통부의 개구부를 가린다고 하여도, 장식커버와 지지통부와의 사이에는 이들의 경계를 표시하는 선이 드러나기 때문에, 미관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기본체 및 회전체에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각각 마련된 지지통부와, 각 지지통부에 한 단부와 다른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그것에 의하여 상기의 기기본체와 회전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체를 구비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통부 중의 한 쪽의 지지통부(이하, 이 한 쪽의 지지통부를 제1지지통부라고 칭하고, 다른 쪽의 지지통부를 제2지지통부라고 칭함)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체의 사이에 상기 힌지체가 상기 제1지지통부로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기구(係止機構)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의 고정기구가 상기의 제1지지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요부(係止凹部)와 상기의 힌지체에 그 직경방향으로 변위(變位)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의 힌지체의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변위하여 상기의 고정요부에 끼우는 고정부(係止部)를 가지며, 상기의 고정부는 상기의 제1지지통부의 축선방향을 향하는 상기의 고정요부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의 힌지체가 상기의 제1지지통부로부터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의 고정부의 기단부(基端部)가 상기의 힌지체에 일체로 마련되고, 선단부가 상기의 힌지체의 직경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전체가 탄성변형(彈性變形) 가능한 고정편(係止片)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제1, 제2지지통부 중, 한 쪽의 지지통부는 그 한 단부에 저부를 가지며 다른 단부가 개구(開口)되어 있고, 다른 지지통부는 양 단부가 개구되어 있어, 상기의 고정기구는 힌지체가 상기의 한 쪽의 지지통부측으로부터 상기의 다른 쪽의 지지통부측을 향하여 상기의 2개의 지지통부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의 한 쪽의 지지통부가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2개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의 다른 쪽의 지지통부가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2개씩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의 한 쪽의 2개의 지지통부는 각각의 저부를 외측으로 위치시켜서 축선방향으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게 하고, 상기의 다른 쪽의 2개의 지지통부는 축선방향으로 서로 떨어지면서도 또한 상기의 한 쪽의 2개의 지지통부의 내측으로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게 하여, 서로 인접하는 2쌍의 지지통부에 상기의 힌지체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기기본체 및 상기의 회전체가 각각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와 커버체이어도 되며, 다른 것이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전화(A)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휴대전화(A)는 전화기본체(기기본체; B)와 커버체(회전체; C)를 구비하고 있다.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는 좌우 한 쌍의 힌지장치(1A, 1B)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장치(1A, 1B)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본체(B)의 한 단부(커버체(C)측의 단부)에는 한 쌍의 지지통부(11, 1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통부(11, 12)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키면서 또한 축선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통부(11, 12)는 내측(서로 인접하는 측)의 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외측의 단부가 저부(11a, 12a)에 의해 각각 막혀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C)의 전화기본체(B)측의 단부에는 양단이 개구된 한 쌍의 지지통부(21, 2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통부(21, 22)는 지지통부(11, 12)와 동일한 내경(內徑) 및 외경(外徑)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키면서 또한 축선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한 쌍의 지지통부(21, 22)는 지지통부(11, 12)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외측의 간격이 한 쌍의 지지통부(11, 12)의 내측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한 쪽의 지지통부(21)는 지지통부(11)와 그 내측에서 인접하고, 다른 쪽의 지지통부(22)는 지지통부(12)와 그 내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통부(21, 22) 사이에는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23)는 외경 및 내경이 지지통부(21, 22)와 동일한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양 단부가 지지통부(21, 22)에 각각 이어져 있다.
서로 인접하는 지지통부(11, 21; 12, 22)에는 힌지체(3, 3)의 한 단부와 다른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 힌지체(3, 3)를 개입되게 하여 지지통부(11, 21; 12, 22)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아가서는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통부(11, 21) 및 힌지체(3)에 의하여 힌지장치(1A)가 구성되고, 지지통부(12, 22) 및 힌지체(3)에 의하여 힌지장치(1B)가 구성되어 있다.
힌지장치(1A)의 힌지체(3)는 지지통부(21)측으로부터 지지통부(11)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저부(11a)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 되고, 지지통부(11)측으로부터 지지통부(21)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다음의 고정기구(4)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 되어 있다. 힌지장치(1B)의 힌지체(3)도 지지통부(22)측으로부터 지지통부(12)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저부(12a)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 되고, 지지통부(12)측으로부터 지지통부(22)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고정기구(미도시)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 되어 있다. 힌지장치(1B)의 고정기구는 힌지장치(1A)의 고정기구(4)와는 좌우대칭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힌지장치(1A)의 고정기구(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부(21)의 내주면에는 그 축선을 따라서 한 단에서 다른 단까지 뻗는 키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힌지체(3)의 외주면에 키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부(42)가 키홈(41)에 끼워짐으로써 힌지체(3)의 다른 단부가 지지통부(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키홈(41)의 저면(底面)에는 키홈(41)을 따라 뻗는 고정요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요부(43)는 키홈(41)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지지통부(11)측의 단부가 개방되고 반대측의 단부가 막혀 있다. 이 막힌 단부의 단면이 지지통부(21)의 축선방향으로부터 지지통부(11)측을 향하는 고정면(44)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요부(43)의 지지통부(11)측의 단부에 대해서는 막아 두어도 된다.
상기 키부(42)의 지지통부(11)에서 떨어진 단부에는 고정편(4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편(45)은 키부(42)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또한 힌지체(3)의 원주방향에서는 키부(42)와 동일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편(45)은 지지통부(1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힌지체(3)의 직경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고, 그 높이(힌지체(3)의 외주면으로부터 고정편(45)의 선단까지의 높이)는 고정 요부(43)의 깊이(지지통부(2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또, 고정편(45)의 선단면은 힌지체(3)를 그 선단부가 저부(11a)에 거의 접촉하기까지 지지통부(21)로부터 지지통부(11)로 삽입할 때, 고정면(44)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고정편(45)은 그 선단부가 힌지체(3)의 직경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전체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힌지체(3)를 그 지지통부(21)로부터 삽입하면 고정편(45)이 키홈(41)의 저면에 접촉되고, 힌지체(3)의 삽입에 따라 힌지체(3)의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고정편(45)의 선단이 고정요부(43)에 달하면 고정편(45)이 힌지체(3)의 직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고정요부(43)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고정편(45)이 고정요부(43)로 들어간 상태에서는, 힌지체(3)가 지지통부(11)측으로부터 지지통부(21)측을 향하여 빠져나가려고 하면, 고정편(45)의 선단면이 고정면(44)에 맞닿는다. 이에 의하여, 힌지체(3)가 지지통부(2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힌지장치(1A, 1B)에 의하여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부(11, 12) 사이에 지지통부(21, 22)를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각 통부(筒部; 11∼22)의 축선을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힌지체(3)을 연결부(23)측으로부터 지지통부(21) 및 지지통부(11)로 순차 삽입한다. 물론, 이 경우에는 키부(42) 및 고정편(45)을 후방측으로 하여, 이들과 역방향에서 지지통부(21, 11)로 순차 삽입한다. 다른 쪽의 힌지체(3)도 마찬가지로 연결부(23)측으로부터 지지통부(22) 및 지지통부(12)로 순차 삽입한다. 힌지체(3)의 선 단이 저부(11a)(12a)에 거의 접촉될 때까지 힌지체(3)를 삽입하면 , 고정편(45)이 고정요부(43)로 들어가 고정면(44)과 맞물린다. 이에 의하여, 힌지체(3)가 지지통부(11)(12)측으로부터 지지통부(21)(22)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힌지장치(1A, 1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힌지장치(1A, 1B)에 있어서는, 힌지체(3)를 지지통부(11, 21; 12, 22)에 단지 삽입하는 것만으로 족하고, 스톱링 등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만큼의 부품수 및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 외측에 배치된 지지통부(11, 12)의 외측 단부가 저부(11a, 12a)에 의하여 막혀 있기 때문에 장식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그만큼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식커버를 장착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힌지장치(1A, 1B)의 제조비를 저감할 수 있다. 더구나, 장식커버가 사용되어 있지 않고, 지지통부(11, 12)의 외측 단부가 저부(11a, 12a)에 의하여 막혀있지 않기 때문에, 지지통부(11, 12)의 외측에 그것과 장식커버의 경계를 표시하는 선이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미관을 향상킬 수 있다. 또, 지지통부(21, 22)의 내측의 개구부가 열린 채이기는 하지만, 이것은 커버체(C)로 전화기본체(B)를 닫은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힌지체(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힌지장치(1A)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6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체(3)는 한 쌍의 힌지부재(5, 6), 가동부재(7) 및 이를 연결하는 연결축(8)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한 쪽의 힌지부재(5)는 지지통부(2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6 ∼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圓筒部; 51)를 가지고 있다. 이 원통부(51)는 지지통부(1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지지통부(11)측의 한 단(이하, 선단이라고 칭하고 다른 단을 후단이라고 칭함)이 개구되어 있고, 후단부에 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1)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의 키부(42)가 형성되고, 또한 키부(42)에서 후방을 향하여 고정편(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부재(5)는 지지통부(21)에 회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커버체(C)와 일체로 회동한다. 또한, 원통부(51)에는 그 선단면에서 후단면까지 뻗는 한 쌍의 가이드홈(53, 53)이 원주방향으로 180° 떨어져서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53, 53)이 형성됨으로써 원통부(51)의 원주벽부(圓周壁部)가 2개로 분할되어 있다. 저부(52)의 중앙부에는 상기의 연결축(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지지공(支持孔; 54)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힌지부재(6)는 지지통부(1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6 ∼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부(1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부(圓板部; 61)를 가지고 있다. 이 원판부(61)의 저부(11a)측의 단면에는 이것을 횡단하도록 직경 선상을 뻗는 키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부(62)에 대응하는 키홈(11b)이 상기의 저부(11a)에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키홈(11b)에 키부(62)가 삽입됨으로써, 힌지부재(6)가 지지통부(11)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화기본체(B)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힌지부재(6)에는 그 원판부(61)의 한 단면의 중앙부로부터 키부(62)까지 관통하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연결공(連結孔; 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연결축(8)은 도 6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이루는 두부(頭部; 81)와, 이 두부(81)의 한 단면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주축부(主軸部; 82)와, 이 주축부(82)의 선단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고정축부(83)와, 이 고정축부(83)의 선단면에 형성된 코킹부(caulking part; 84)를 동일 축선상에 가지고 있다. 주축부(82)의 두부(81)측의 단부는 상기의 힌지부재(5)의 지지공(54)에 상대회동(相對回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고정축부(83)는 힌지부재(6)의 연결공(63)에 회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축부(83)가 연결공(63)에 삽입된 후 코킹부(84)가 코킹됨으로써, 힌지부재(6)가 주축부(82)의 선단면에 눌린 상태로 고정축부(8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힌지부재(5, 6)는 연결축(8)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상대회동하면 힌지부재(5, 6)가 상대회동한다.
상기의 가동부재(7)는 도 6 ∼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재(6)측의 단부에 원형의 단판부(端板部; 71)를 가지고 있다. 이 단판부(71)의 중앙부에는 관통공(貫通孔; 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72)에는 연결축(8)의 주축부(82)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단판부(71)에는 힌지부재(5)측을 향하여 뻗는 한 쌍의 가이드 암(guide arm; 73, 73)이 원주방향으로 180° 떨어져서 배치 형성되어 있다. 단판부(71) 및 가이드 암(73, 73)의 외경은 지지통부(1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며, 지지통부(11)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가이드 암(73, 73)은 힌지체(5)의 가이드홈(53, 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7)는 힌지 부재(5)에 대하여는 가이드홈(53)의 길이방향(지지통부(11, 21)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또한 회동 불가능하고, 힌지부재(6)에 대하여는 지지통부(11, 21)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또한 회동 가능하다.
연결축(8)의 주축부(82)에는 탄성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9)이 외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9)은 그 한 단부가 힌지부재(5)의 저부(52)에 맞닿으며, 다른 단부가 가동부재(7)의 단판부(71)에 맞닿음으로써, 힌지부재(5)의 저부(52)를 연결축(8)의 두부(81)에 눌려지게 하는 한편, 가동부재(7)의 단판부(71)를 힌지부재(6)의 원판부(61)에 눌려지게 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부(61)와 단판부(71)의 접촉면 사이에는 맞물림기구(係合機構; 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맞물림기구(100)는 상기의 코일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체(C)를 전화기본체(B)에 대하여 소정의 회동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를 조립할 때에 이들을 조립위치로 유지시키는 기능과, 커버체(C)가 전화기본체(B)에 맞닿아 그 앞면을 덮는 닫힘위치 및 이 닫힘위치에서 소정의 각도(예컨대 160°정도)만 회동한 열림위치로 유지시키는 기능의 양자(兩者)를 가지고 있다.
우선, 전자(前者)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도 11 ∼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부(61)의 가동부재(7)측의 단면에는 한 쌍의 맞물림요부(101, 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요부(101, 101)는 직경방향으로 뻗고, 원주방향으로 180°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단판부(71)의 힌지부재(6)측의 단면에는 맞물림돌출부(102, 102)가 원주방향으로 180° 떨어져서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돌출부(102)는 맞물림요부(101)와 거의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맞물림요부(101)에 맞물림 가능하다. 맞물림돌출부(102)가 맞물림요부(10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부재(6)와 가동부재(7)가 적당하게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부재(5, 6)가 가동부재(7)를 개재하여 적당하게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에 의하여, 힌지부재(5)의 키부(42) 및 고정편(45)과 힌지부재(6)의 키부(62)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의 키부(42) 및 고정편(45)이 끼워진 키홈(41) 및 고정요부(43)와, 키부(62)가 끼워진 키홈(11b)과는,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이루는 각을 소정의 각도로 하면,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열림위치에서의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이루는 각도보다 약간 큰 170° 정도의 각도로 하면, 키홈(41) 및 고정요부(43)와 키홈(11b)과의 위치관계가, 맞물림돌출부(102)가 맞물림요부(101)에 맞물린 상태에서의 키부(42) 및 고정편(45)과 키부(62)와의 위치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함과 동시에, 맞물림돌출부(102)를 맞물림요부(101)에 맞물리게 하고 그 상태에서 키부(42)와 키홈(41)의 위치를 맞추면, 힌지체(3)를 지지통부(21)로부터 지지통부(11)에 단지 삽입하는 것만으로, 키부(42) 및 고정편(45)을 키홈(41) 및 고정요부(43)에 끼울 수 있음과 동시에 키부(62)를 키홈(11b)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힌지체(3)가 지지통부(11, 21)에 맞닿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체(C)를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달성하 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맞물림요부(101)의 양측에는 맞물림요부(101)를 따라서 뻗는 맞물림요부(103, 104)가 각각의 한 측부를 맞물림요부(101)의 측부와 서로 겹치게 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쪽의 맞물림요부(101)의 양측에 형성된 맞물림요부(103, 104)와 다른 쪽의 맞물림요부(101)의 양측에 형성된 맞물림요부(103, 104)는 점대칭(点對稱)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돌출부(102, 102)가 맞물림요부(101, 101)에 끼워진 상태(이 상태에서는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가 이루는 각도가 거의 170°로 되어 있음)로부터 커버체(C)를 닫힘위치측을 향하는 방향(도 13에서 화살표 X방향)으로 약 10° 회동시키면, 커버체(C)가 열림위치로 위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열림위치에서는 맞물림돌출부(102, 102)의 한 쪽의 측부가 맞물림요부(103, 103)의 측부에 얹힌다. 이 결과, 코일스프링(9)이 커버체(C)를 가동부재(7) 및 힌지부재(5)를 매개로 하여 닫힘위치측으로부터 열림위치측을 향하는 방향(도 13에서 화살표 Y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런데, 전화기본체(B)와 커버체(C)는 조립완료후에는 이들의 사이에 마련된 스토퍼부(미도시)에 의하여 동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체(C)는 열림위치를 유지한다.
커버체(C)를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시켜 닫힘위치로 위치시키면, 맞물림돌출부(102, 102)의 다른 쪽의 측부가 맞물림요부(104, 104)의 측부에 얹힌다. 이 결과, 커버체(C)가 코일스프링(9)에 의하여 열림위치측으로부터 닫힘위치측을 향하는 방향(도 13에서 화살표 X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런데, 닫힘위치에서는 커버체(C)가 전화기본체(B)에 맞닿아 있어서, 그 이상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커버체(C)는 닫힘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요부(43)를 커버체(C)의 지지통부(21, 22)에 형성하고 있지만, 전화기본체(B)의 지지통부(11, 12)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키부(42)와 고정편(45)을 원주방향의 동일 개소에 형성하고 있지만, 원주방향의 다른 개소에 형성하여도 된다.
더구나, 탄성변형 가능한 고정편(45)을 대신하여, 힌지체(3)의 힌지부재(5)에 그 외주면으로부터 출몰(出沒) 가능한 고정부재를 마련하고, 이 고정부재를 탄성부재에 의하여 힌지(3)의 직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힘을 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기기본체 및 회전체에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각각 마련된 지지통부와, 각 지지통부에 한 단부와 다른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그것에 의하여 상기의 기기본체와 회전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체를 구비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통부 중의 한 쪽의 지지통부(이하, 이 한 쪽의 지지통부를 제1지지통부라고 칭하고, 다른 쪽의 지지통부를 제2지지통부라고 칭함)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체의 사이에 상기 힌지체가 상기 제1지지통부로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부품수와 조립공정수를 감소시 켜 제품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체가 삽입되는 지지통부의 외측 개구부가 저부에 의해 막혀져 있으므로 별도의 장식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6)

  1. 기기본체 및 회전체에 서로의 축선(軸線)을 일치시켜 각각 마련된 지지통부(支持筒部)와, 각 지지통부에 한 단부(端部)와 다른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기기본체와 회전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체를 구비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통부 중의 한 쪽의 지지통부(이하, 이 한 쪽의 지지통부를 제1지지통부라고 칭하고, 다른 쪽의 지지통부를 제2지지통부라고 칭함)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체의 사이에 상기 힌지체가 상기 제1지지통부로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기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가 상기 제1지지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요부(凹部)와 상기 힌지체에 그 직경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힌지체의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고정요부에 끼우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지지통부의 축선방향을 향하는 상기 고정요부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힌지체가 상기 제1지지통부로부터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기단부(基端部)가 상기 힌지체에 일체로 마련되고,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힌지체의 직경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전체가 탄성변형 가능한 고정편(係止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지지통부 중, 한 쪽의 지지통부는 그 한 단부에 저부(底部)를 가지고 다른 단부가 개구(開口)되어 있으며, 다른 지지통부는 양 단부가 개구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구는 힌지체가 상기 한 쪽의 지지통부측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지지통부측을 향하여 상기의 2개 지지통부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지지통부가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2개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쪽의 지지통부가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2개씩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한 쪽의 2개의 지지통부는 각각의 저부를 외측으로 위치시켜서 축선방향으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게 하고, 상기 다른 쪽의 2개의 지지통부는 축선방향으로 서로 떨어지면서도 또한 상기 한 쪽의 2개의 지지통부의 내측으로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게 하여, 서로 인접하는 2쌍의 지지통부에 상기의 힌지체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기본체 및 상기의 회전체가 각각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와 커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00081885A 1999-12-28 2000-12-26 힌지장치 KR100639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56699A JP3734659B2 (ja) 1999-12-28 1999-12-28 ヒンジ装置
JP1999-372566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704A KR20010062704A (ko) 2001-07-07
KR100639069B1 true KR100639069B1 (ko) 2006-10-27

Family

ID=1850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885A KR100639069B1 (ko) 1999-12-28 2000-12-26 힌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43088B2 (ko)
EP (1) EP1113136B1 (ko)
JP (1) JP3734659B2 (ko)
KR (1) KR100639069B1 (ko)
CN (1) CN1159889C (ko)
AT (1) ATE328179T1 (ko)
DE (1) DE60028334D1 (ko)
HK (1) HK1035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627B2 (ja) * 2000-12-14 2006-09-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器
JP4021184B2 (ja) * 2001-12-06 2007-1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チ付きヒンジ
US7065834B2 (en) * 2003-06-09 2006-06-27 Southco, Inc. Bistable hinge with dampening mechanism
JP2005090641A (ja) * 2003-09-18 2005-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ンジ構造及び通信装置
CN2757504Y (zh) * 2004-12-03 2006-02-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JP5401776B2 (ja) * 2007-09-25 2014-01-2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2251720A (zh) * 2011-07-07 2011-11-23 浙江佑安高科消防系统有限公司 一种闭门器的扭矩传递连接结构
CN102392569A (zh) * 2011-08-04 2012-03-28 杭州银都餐饮设备有限公司 新型四自由度限位的冰箱门轴套
CN108796386B (zh) * 2018-06-15 2021-01-05 酒泉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高抗蠕变耐蚀材料及利用该材料制备打壳锤头的方法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223A (en) * 1956-02-14 Loose-pin butt-hinge
FR2570429B1 (fr) * 1984-09-19 1986-12-05 Plastic Omnium Cie Dispositif de charniere inviolable, notamment pour le montage articule d'un couvercle sur une cuve de bac roulant
US4847950A (en) * 1986-08-01 1989-07-18 Von Duprin, Inc. Self retained axle pin assembly for shear application
JP2534114Y2 (ja) * 1991-09-30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電子機器の構造
CA2107500C (en) * 1993-10-01 2006-01-31 Harry Raymond Miller Combination toilet seat
JP2526490B2 (ja) 1993-06-23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SE507149C2 (sv) * 1996-08-29 1998-04-06 Ericsson Telefon Ab L M Gångjärnsanordning
JP3818407B2 (ja) 1997-05-14 2006-09-0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US6345097B1 (en) * 1998-12-07 2002-02-05 Qualcomm Incorporated Cam retainer for flip-style portable phone
JP4175493B2 (ja) * 1999-11-25 2008-11-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43088B2 (en) 2003-04-08
HK1035621A1 (en) 2001-11-30
EP1113136A2 (en) 2001-07-04
CN1159889C (zh) 2004-07-28
KR20010062704A (ko) 2001-07-07
ATE328179T1 (de) 2006-06-15
EP1113136B1 (en) 2006-05-31
CN1302144A (zh) 2001-07-04
US20010004786A1 (en) 2001-06-28
DE60028334D1 (de) 2006-07-06
JP2001182416A (ja) 2001-07-06
JP3734659B2 (ja) 2006-01-11
EP1113136A3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936B2 (en) Hinge device
KR100639069B1 (ko) 힌지장치
KR100807489B1 (ko) 힌지장치
KR20040044485A (ko)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US7059018B2 (en) Hinge with catch
EP1184532A1 (en) Hinge device
CN101092987A (zh)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WO2002069683A1 (fr) Dispositif de charnière
JP4625321B2 (ja)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100375701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EP1103688A2 (en) Hinge device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JP2006170255A5 (ko)
KR100397358B1 (ko) 힌지
US20050102798A1 (en) Hinge for portable terminal
KR100528353B1 (ko) 올바른 카드 보다 두께가 작은 잘못된 카드가 삽입되는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지닌 카드 슬롯 어셈블리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EP1074685A2 (en) Hinge assembly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KR100476994B1 (ko) 힌지장치
JP3545363B2 (ja) ヒンジ装置
KR10053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중 힌지구조
KR20020057815A (ko) 스냅피트 힌지
JP3930352B2 (ja) ヒンジ
KR200321555Y1 (ko)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