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769B1 -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769B1
KR100835769B1 KR1020077022200A KR20077022200A KR100835769B1 KR 100835769 B1 KR100835769 B1 KR 100835769B1 KR 1020077022200 A KR1020077022200 A KR 1020077022200A KR 20077022200 A KR20077022200 A KR 20077022200A KR 100835769 B1 KR100835769 B1 KR 10083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main body
filter
suction
suction gr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173A (ko
Inventor
노부히로 오구라
세이이찌 고가
마사즈미 마끼노
진 요시다
모리노부 이이지마
다께시 와따나베
가즈히로 시무라
마사노리 아꾸쯔
요시노부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61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71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61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710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필터 청소를 보다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닥면에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37)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37)을 현수 끈(50a 내지 50d)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현수 끈(50a 내지 50d)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으로서의 제1 및 제2 유닛과, 상기 흡입 그릴 수납시에, 이 흡입 그릴(37)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37)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현수 끈(50a 내지 50d)을 풀어내어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1a)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롱라이프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으로서의 제1 및 제2 유닛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에 의해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흡입 그릴, 현수 끈, 공기 조화기 본체, 송풍기, 모터, 냉매 배관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현수 볼트를 이용하여 실내의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설치되는 구성인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종류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공기 조화기 본체 바닥면(건물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면)에 흡입 그릴이 설치되고, 이 흡입 그릴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 그릴에 설치된 필터는 정기적으로 작업원 등의 손에 의해 제거되고, 청소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 장치에는, 흡입 그릴에 설치되는 필터 이외의 필터(예를 들어 롱라이프 필터)를 수용한 필터 챔버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27525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11-101497호 공보
그러나 작업원 등은 필터 청소를 행하기 위해, 공기 조화기 본체로부터 흡입 그릴에 배치된 필터를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천정면 근처에서 그때마다 행해야만 해 매우 번잡할 뿐만 아니라, 흡입 그릴을 제거할 때에는 대(台) 등의 위에 올라가 작업하기 때문에 안전성의 면으로부터도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필터 챔버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필터를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천정면 근처에서 그때마다 행하는 것은 매우 번잡할 뿐만 아니라, 대 등의 위에 올라가 작업해야만 해 안전성의 면으로부터도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필터 청소를 보다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 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어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흡입 그릴 승강시에, 상기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어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어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키는 강하 및 상승 동작을 n회(n ≥ 2)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설치되는 천정 현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롱라이프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 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상기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이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을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 중 상기 사이드 커버에 의해 덮이는 부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 챔버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되는 사방 프레임과, 상기 롱라이프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을 갖고, 이 사방 프레임과 필터 프레임 사이에 상기 현수 끈을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 그릴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현수 끈이 연결되는 현수 끈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 연결부가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어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풀어내어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승강 수단에 현수 끈을 풀어내어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청소를 작업원 등이 보다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롱라이프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이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이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므로, 필터 챔버를 장착해도 흡입 그릴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롱라이프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이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이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므로, 필터 챔버를 장착해도 흡입 그릴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일예로서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2는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3은 마찬가지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1)는 공기 조화기 본 체(1a)의 양측에 사이드 커버(45)가 배치되고,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하부(바닥부)에 바닥 패널(14)과 흡입 그릴(37)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부가 흡입 그릴(37)의 수납부로서 구성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 본체(1a)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1a)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는 천정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3)에 걸쳐져 실내 천정판(5)의 하면에 설치 및 고정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는 취출구(41)가 마련된 전방면으로부터 차례로 열교환기(15), 송풍기(13)가 배치되고, 또한 이것 외에도 전장 박스(11), 냉매 배관(29) 등의 각종 기기류가 대부분 간극 없이 수납되어 있다.
송풍기(1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대의 송풍기 유닛(21 내지 24)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1대의 모터(25)로 구동되는 회전축(27) 상에 고정 및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1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튜브형의 열교환기이고, 공기 조화기 본체(1a) 내에 경사져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15)에는 냉매 배관(29)이 접속되고, 이 냉매 배관(29)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밖으로 도출되어 실외기(도시하지 않음)의 압축기, 감압 장치, 실외 열교환기 등에 접속된다.
열교환기(15)의 하방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31)이 설치되고, 이 드레인 팬(31)의 하면에는 판금제 패널(33)이 설치된다. 드레인 팬(31)의 드레인 저장부(31a)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튜브(32)를 거쳐서 드레인 펌프 유닛(35)이 접속되고, 이 드레인 펌프 유닛(35)에 수 용되는 드레인 펌프는 드레인 저장부(31a)에 수집된 드레인을 퍼올려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밖으로 배출한다.
송풍기(13)의 하방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흡입 그릴(37)이 설치되고, 이 흡입 그릴(37)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39)가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기(13)가 구동되면 흡입 그릴(37) 및 필터(39)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공기 조화기 본체(1a) 내로 흡입되고, 이 공기는 열교환기(15)로 열교환된 후 취출구(41)를 통해 실내로 취출된다. 중간 구획판(43)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대략 중앙을 횡단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이고, 송풍기(13)는 이 중간 구획판(43)으로 구획된 실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가 설치되고, 이들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에 연결된 복수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을 거쳐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현수 끈(50a 내지 50d)이 풀려지거나, 혹은 권취 복귀됨으로써 소정의 범위에서 승강하고, 흡입 그릴(37)을 내린 위치에서 이 흡입 그릴(37)에 적재된 필터(39)를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현수 끈(50a 내지 50d)의 각각 및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현수 끈(50)」,「현수 끈 연결부(38)」로 표기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키는 승강 기구는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고정된 2개의 유닛(60), 즉 제1 및 제2 유닛(60a, 60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각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설치된 후 홀더(62)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고정된다. 제1 유닛(60a)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우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한 변(37A)(도4 참조)을 지지하는 2개의 현수 끈(50a, 50b)이 연결된다. 한편 제2 유닛(60b)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좌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37B)(도4 참조)을 지지하는 남은 2개의 현수 끈(50c, 50d)이 연결된다.
도6은 제1 유닛(60a)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60a)은 1개의 현수 끈(50)이 권취된 2개의 보빈(70)과, 보빈(7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71)를 보빈(70)마다 1개씩 구비하고, 구동 모터(71)가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보빈(70)을 구동함으로써 2개의 현수 끈(50)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유닛(60a)은 구동 모터(71)에 의한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예를 들어 MPU)(7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 회로(72)는 제어 동작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보빈(70)에는 보빈(7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회전 검출기(75)가 설치되고, 보빈(70)의 회전량이 제어 회로(72)에 출력된다.
또한, 제어 회로(72)로부터 복수의 신호선(73)이 인출되고, 제1 유닛(60a)의 하우징면 외측에 형성된 유닛측 커넥터(74)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닛측 커넥터(74)는 제1 유닛(60a)의 하우징 중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설치될 때에, 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 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설치된 본체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함으로써 제1 유닛(60a)과 공기 조화기 본체(1a)가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즉, 제1 유닛(60a)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설치됨으로써 공기 조화기 본체(1a)측의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제1 유닛(60a)측의 제어 회로(72)가 서로 통신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유닛(60b)의 구성은 상기 제1 유닛(60a)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원이 흡입 그릴(37)[필터(39)]을 승강시킬 때에는, 우선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의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흡입 그릴(37)의 승강 지시를 부여한다.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제어 회로가 이 지시를 수신하면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 제어 회로(72)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 회로(72)가 구동 모터(71)를 회전 구동(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이 풀려지거나, 혹은 권취되어 흡입 그릴(37)이 승강하게 된다.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제어 회로(72)는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킬 때에, 흡입 그릴(37)이 작업 위치에 정지하도록 회전 검출기(75)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현수 끈(50)의 풀림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위치는 작업원이 흡입 그릴(37)에 적재된 필터(39)를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위치이고, 바닥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1 미터 정도의 높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 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즉, 흡입 그릴(37)의 설치 위치]으로부터 작업 위치까지의 거리가 미리 제어 회로(72)에 설정되어 있고, 제어 회로(72)는 이 거리만큼 현수 끈(50)이 풀려지도록 보빈(70)을 회전시키고 있다.
한편, 흡입 그릴(37)의 상승시에는, 제어 회로(72)는 흡입 그릴(37)을 강하시켰을 때에 현수 끈(50)을 풀어낸 만큼만 권취 복귀시키도록 회전 검출기(75)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 모터(71)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그릴(37)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수납할 수 있다.
그런데, 흡입 그릴(37)이 횡폭 방향[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횡폭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강하되거나, 2개의 구동 모터(71)의 각각에 의한 현수 끈(50)의 풀림량 혹은 권취 복귀량이 다른 것 등에 의해 흡입 그릴(37)을 상승시켜 수납할 때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의 수평 방향(천정면에 대해 수평인 방향)의 높이가 정렬되지 않고 횡폭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가 되는 일이 있다. 또한, 흡입 그릴(37)의 승강시에 흡입 그릴(37)이 진동하는 등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7)이 요동하고,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끼워지지 않고, 흡입 그릴(37)의 모서리 등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 패널(14)에 걸린 상태가 되는 일도 있다. 특히, 이들 현상은 흡입 그릴(37)의 횡폭이 길면 길수록[즉, 흡입 그릴(37)의 종횡비가 클수록] 현저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을 수납할 때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 중 어느 하나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다른 쪽의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 하지 않는 경우에는 흡입 그릴(37)의 수평 방향의 경사가 큰 것으로 하고, 이 경사를 수정하기 위한 동작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동작 처리시에 있어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도달한 후에, 일단 이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키고, 다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시키는 등의 강하 및 상승 제어를 반복함으로써 흡입 그릴(37)의 요동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확실하게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흡입 그릴(37)의 수납시의 동작 처리를 도7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흡입 그릴(37)의 수납시에 상기 제어 회로(7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72)는 2개의 구동 모터(71)의 각각을 구동하여 현수 끈(50)을 권취 복귀시키고 있는 경우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 중 한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등 하여 어느 하나의 구동 모터(71)가 로크되고, 이 로크에 기인하는 로크 전류가 검출되면(스텝 S1) 제어 회로(72)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기동하여 카운트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된 카운트 시간(Ct) 동안에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한 것에 기인하는 다른 구동 모터(71)에서의 로크 전류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2).
이 카운트 시간은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로서 허용되는 정도에 따라서 설정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7)의 횡폭을 W로 하고, 횡폭 방향의 경사각을 θ로 한 경우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의 각각의 높이 방향의 어긋남량(L)은 약 L = θ × W가 된다. 한편, 구동 모터(71)의 단위 시간당 현수 끈(50)의 권취 복귀량을 S라 하면, 어긋남량(L)을 권취 복귀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T)은 약 T = L/S가 된다.
즉, 흡입 그릴(37)의 허용되는 경사각, 즉 어긋남량을 Lt로 한 경우에는 카운트 시간 Ct = Lt/S가, 카운트해야 하는 시간으로서 제어 회로(72)에 설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텝 S2의 판별에 있어서, 다른 쪽의 구동 모터(71)에서의 로크 전류가 검출되지 않고,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스텝 S2 : 아니오), 제어 회로(72)는 2개의 구동 모터(71) 각각을 정지하고(스텝 S3), 계속해서 접촉하고 있는 측의 구동 모터(71)만을 구동하여 현수 끈(50)을 풀어내고, 이 접촉하고 있는 측의 변을 소정 거리(M)만큼 강하시키고(스텝 S4), 처리 순서를 스텝 S1로 복귀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변(37A, 37B)의 높이 방향의 어긋남량(L')은 L' = │L - M│(│x│는 값 x의 절대치를 나타냄)으로 감소하고, 또한 이들 스텝 S1 내지 S4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어긋남량(L')이 허용되는 어긋남량(Lt) 이하로 하고,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양 변(37A, 37B)의 높이 방향의 어긋남량(L)이 허용되는 어긋남 량(Lt) 이하가 되면 상기 스텝 S2의 판별 결과가 예로 되고, 제어 회로(72)는 처리 순서를 스텝 S5로 진행하여 흡입 그릴(37)을 확실하게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스텝 S1 내지 S4의 동작으로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가 수정되지만,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바닥 패널(14)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제어 회로(72)는 흡입 그릴(37)을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하기 위해, 구동 모터(71)를 회전 구동하여 흡입 그릴(37)을 제1 소정 거리(예를 들어 1미터)만큼 전체적으로 일단 하강시킨 후(스텝 S5), 다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기까지, 즉 스텝 S5에서 강하시킨 제1 소정 거리만큼 흡입 그릴(37)을 상승시켜(스텝 S6) 흡입 그릴(37)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시킨다.
이 스텝 S5, S6의 동작에 의해 흡입 그릴(37)이 일단 강하됨으로써 그 자세가 수정되고, 다시 상승시킴으로써 흡입 그릴(8)이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수납되지만, 자세의 수정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또 바닥면에 걸린 상태가 되는 일도 있다. 그래서, 확실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제어 회로(72)는 다시 흡입 그릴(37)을 제2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킨 후(스텝 S7), 다시 이 제2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켜(스텝 S8) 흡입 그릴(37)을 바닥면에 접촉시킨다. 이때에는, 흡입 그릴(37)과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끝의 접촉(스텝 S6에 있어서의 접촉)에 의해 흡입 그릴(37)의 상승시의 요동이 억제되고, 또한 다시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킬 때의 내 린 폭(제2 소정 거리)을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흡입 그릴(37)의 요동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입 그릴(37)은 그 진동이 충분히 억제된 상태에서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거의 확실하게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되게 된다.
또한, 완전 폐쇄 상태에서 흡입 그릴(37)을 수납하기 위해 흡입 그릴(37)을 하강 및 상승시키는 반복 횟수는 1회로 한정되지 않고, 이 반복 횟수를 많게 함으로써(예를 들어 3회 등) 보다 확실하게 흡입 그릴(37)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원은 흡입 그릴(37)을 작업 위치까지 강하시켜 필터(39)를 제거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 본체(1a)가 설치되어 있는 천정면 근처에서의 필터(39)의 제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키는 제1 및 제2 유닛(60a, 60b)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내장[즉, 케이싱(12A) 내에 수납]하는 것은 아니고,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의 외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유닛측 커넥터(74)에 의해 공기 조화기 본체(1a)와 통신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유닛(60a, 60b)의 유지 보수시 등에 있어서 이들 유닛의 제거 및 설치가 용이해진다.
게다가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수납할 때에 흡입 그 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도달한 후, 일단 이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키고, 다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시키는 등의 강하 및 상승을 복수회 반복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흡입 그릴(37)의 요동을 억제하여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수납할 때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 중 어느 하나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다른 쪽의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한 쪽의 변만을 일단 강하시키고, 다시 흡입 그릴(37) 전체[양 변(37A, 37B)]를 상승시키는 등의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납시에 있어서의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흡입구에 필터 챔버(9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필터 챔버(90)는 롱라이프 필터를 추가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고, 예를 들어 흡입 그릴(37)에는 비교적 교환 사이클이 빠른 필터가 배치되는 데 반해, 필터 챔버(90)에는 비교적 교환 사이클이 긴 필터(롱라이프 필터)(100)가 배치된 다. 이 필터(100)로서는, 1회용 필터 이외에 광재생 탈취 필터, 상온 재생 탈취 필터 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챔버(90)의 하면에 흡입 그릴(37)이 장착되고, 이 흡입 그릴(37)이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끈(50)을 거쳐서 승강 가능하게 현수 지지되어 있다.
즉, 흡입 그릴(37)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가 설치되고, 이들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에 연결된 복수(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을 거쳐서 흡입 그릴(37)이 필터 챔버(90)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현수 끈(50a 내지 50d)이 풀려지거나, 혹은 권취 복귀됨으로써 소정의 범위에서 승강하고, 흡입 그릴(37)을 내린 위치에서 이 흡입 그릴(37)에 적재된 필터(39)를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도14)을 풀어내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키는 승강 기구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양단부에 설치하여 고정된 2개의 유닛(60), 즉 제1 및 제2 유닛(60a, 60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각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설치된 후, 홀더(62)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고정된다. 제1 유닛(60a)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우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한 변(37A)(도14 참조)을 지지하는 2개의 현수 끈(50a, 50b)이 연결된다. 한편 제2 유닛(60b)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좌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37B)(도14 참조)을 지지하는 남은 2개의 현수 끈(50c, 50d)이 연결된 다.
필터 챔버(90)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흡입구에 장착 가능한 판금제의 사방 프레임(91)과, 필터(100)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92)으로 개략 구성된다.
이 사방 프레임(91)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방향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인 판금제의 프레임 부재(91a, 91b)와, 짧은 방향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인 판금제의 프레임 부재(91c, 91d)로 구성되고, 이 사방 프레임(91)의 대략 중앙에는 짧은 방향을 따라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구획 부재(93)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필터 챔버는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인 판금제의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방 프레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와 같이 폭이 넓은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길이 방향(폭방향)의 프레임 부재가 강도 부족이 되어 휘어지기 쉬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 부재(93)가 설치되므로 강도 상승이 도모되어 수송시 등에 필터 챔버(90)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은 해소된다.
필터 프레임(92)은,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필터 프레임(92a)과, 내측 필터 프레임(92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은 사방 프레임(91)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사방 프레임(91)의 짧은 방향을 따라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2종류의 크기의 필터(100)가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도16의 상태에서는 한 쌍의 내측 필터 프레임(92b) 사이에 작은 필터(1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큰 필터(10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외측 필터 프레임(92a)에 나사(92c)를 거쳐서 연결된 내측 필터 프레임(92b)을 제거하고, 한 쌍의 외측 필터 프레임(92a) 사이에 큰 필터(100)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 프레임(91)과 외측 필터 프레임(92a)의 간극(S)에 흡입 그릴(37)을 현수하는 현수 끈(50)이 통과된다. 이 간극(S)은 현수 끈(50)뿐만 아니라, 적어도 현수 끈(50)을 계지하는 현수 끈 연결부(38)가 통과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이 현수 끈 연결부(38)의 바로 위에 제1 유닛(60a)[또는 제2 유닛(60b)]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흡입 그릴(37)을 현수하는 복수의 현수 끈(5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S)을 사방 프레임(91)과 외측 필터 프레임(92a) 사이에 갖게 하였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흡입구에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 이 필터 챔버(90)가 현수 끈(50)이나 현수 끈 연결부(38)와 간섭하지 않고, 이에 의해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제2 실시 형태), 혹은 필터 챔버(90)를 장착하지 않아도(제1 실시 형태), 동일 구조의 승강 기구를 이용하여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챔버(90)의 사방 프레임(91)의 내측 치수(L1)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내측 치수(L2)와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제2 실시 형태), 혹은 필터 챔버(90)를 장착하지 않아도(제1 실시 형태), 동일 구조의 흡입 그릴(37)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6에 있어서는, 이 흡입 그릴(37)을 상승시키면 흡입 그릴(37)의 주연부 상면이 사방 프레임(91)에 접촉하여 흡입 그릴(37)을 수평이고 또한 필터 챔버(90)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유닛(60a, 60b)은 보빈(70)의 회전 정지의 검지에 의해 흡입 그릴(37)이 수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따라서,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제2 실시 형태), 혹은 필터 챔버(90)를 장착하지 않아도(제1 실시 형태), 흡입 그릴(37)의 수용시에는 현수 끈(50)의 권취량이 변화될 뿐이고, 본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승강 기구의 제어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어에 어떠한 처리를 변경하지 않고, 흡입 그릴(37)을 필터 챔버(90)에 접촉하는 위치에 거의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챔버(90)를 장착한 경우라도 흡입 그릴(37)이 승강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원은 흡입 그릴(37)을 작업 위치까지 강하시켜 필터(39)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 본체(1a)가 설치되어 있는 천정면 근처에서의 필터(39)의 제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기구인 제1 유닛(60a)과 제2 유닛(60b)의 각각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 외측에 설치하여 고정되고(도5 또는 도12 참조), 사이드 커버(45)에 덮이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각이 사이드 커버(45)의 내측에 1개씩 배치된 구성 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제어 회로(72)(도6 참조)로부터 인출된 신호선(73)을,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고, 이 신호선(73)의 선단부에 설치된 유닛측 커넥터(74)를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유닛(60a)과 제2 유닛(60b)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 또는 필터 챔버(90)로 접촉한 것을 회전 검출기(75)(도6 참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기 조화기 본체(1a) 또는 필터 챔버(90) 중 흡입 그릴(37)이 수납되는 부위에 흡입 그릴(37)이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적절한 수만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혹은 구동 모터(71)의 구동 전류를 검출하고, 보빈(70)의 회전 정지에 수반하는 과도 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을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으로 현수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현수 끈의 수는 임의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등의 공기 조화 장치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공기 조화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4는 흡입 그릴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승강 기구를 수납한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유닛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공기 조화기 본체에 의한 흡입 그릴 수납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흡입 그릴 수납시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수정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흡입 그릴 수납시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수정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필터 챔버 장착시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필터 챔버 장착시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2는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챔버를 그 주변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챔버를 그 주변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챔버를 그 주변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흡입 그릴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은 흡입 그릴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
1a : 공기 조화기 본체
11 : 전장 박스
13 : 송풍기
14 : 바닥 패널
15 : 열교환기
31 : 드레인 팬
37 : 흡입 그릴
38, 38a 내지 38d : 현수 끈 연결부
39, 100 : 필터
45 : 사이드 커버
50, 50a 내지 50d : 현수 끈
60a : 제1 유닛
60b : 제2 유닛
70 : 보빈
72 : 제어 회로
74 : 유닛측 커넥터
75 : 회전 검출기
90 : 필터 챔버
91 : 사방 프레임
91a 내지 91d : 프레임 부재
92 : 필터 프레임

Claims (6)

  1. 삭제
  2.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상기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이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고,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이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 중 상기 사이드 커버에 의해 덮이는 부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챔버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되는 사방 프레임과, 상기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을 갖고, 이 사방 프레임과 필터 프레임 사이에 상기 현수 끈이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현수 끈이 연결되는 현수 끈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 연결부가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77022200A 2003-11-30 2004-11-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0835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6115 2003-11-30
JP2003436115A JP4417102B2 (ja) 2003-11-30 2003-11-30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436116A JP4417103B2 (ja) 2003-11-30 2003-11-30 空気調和装置
JPJP-P-2003-00436116 2003-11-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417A Division KR100801384B1 (ko) 2003-11-30 2004-11-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173A KR20070107173A (ko) 2007-11-06
KR100835769B1 true KR100835769B1 (ko) 2008-06-05

Family

ID=346356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417A KR100801384B1 (ko) 2003-11-30 2004-11-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20077022200A KR100835769B1 (ko) 2003-11-30 2004-11-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417A KR100801384B1 (ko) 2003-11-30 2004-11-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701099B1 (ko)
KR (2) KR100801384B1 (ko)
WO (1) WO2005052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53B1 (ko) * 2007-03-29 2008-07-17 신정훈 승강릴에서의 복수드럼 와이어 감김 편차 조절장치
KR100946652B1 (ko) 2008-01-21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3954029B (zh) * 2014-05-20 2016-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天井机面板和天井机
JP6945616B2 (ja) * 2017-03-14 2021-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WO2019244396A1 (ja) * 2018-06-19 2019-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4183814A (zh) * 2021-12-03 2022-03-15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室内机、室内机的相关设备和室内机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351A (ja) * 1995-02-28 1996-09-13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9287812A (ja) *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脱臭抗菌エアフィル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250B2 (ja) * 1987-08-18 1995-10-04 株式会社興人 カチオン性ビニルモノマ−の安定化法
JP2923150B2 (ja) * 1992-11-2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T768500E (pt) * 1995-10-13 2004-02-27 Sanyo Electric Co Dispositivo de controlo de elevacao para grelha de succao de ar
JPH1047750A (ja) * 1996-08-02 1998-02-20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11101497A (ja) * 1997-09-29 1999-04-13 Sanyo Electric Co Ltd 天吊型空気調和装置
JPH11325554A (ja) * 1998-05-11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4711545B2 (ja) * 2001-05-31 2011-06-29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351A (ja) * 1995-02-28 1996-09-13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9287812A (ja) *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脱臭抗菌エアフィルター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87812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평8-23335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1099A1 (en) 2006-09-13
EP1701099B1 (en) 2017-10-18
KR20070107173A (ko) 2007-11-06
KR100801384B1 (ko) 2008-02-05
EP1701099A4 (en) 2009-06-17
WO2005052456A1 (ja) 2005-06-09
KR20060105761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392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258659B1 (ko) 공기조화기의실내유닛
ES2207662T3 (es) Controlador de elevacion de una rejilla de aspiracion de aire.
JP491074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835769B1 (ko)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11407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356042B2 (ja) 空気調和機
CN101493249B (zh) 空调室内单元的控制方法
JP427100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384301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417102B2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421896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319487B2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JP350726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417103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234989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3760449B2 (ja) 空気調和機
CN100386570C (zh) 顶棚埋设型空调机
KR102003608B1 (ko) 천장형 에어컨 필터 청소장치
JP2005077057A (ja) 自動昇降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KR2008004556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10832273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518055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463802B1 (ko) 제습기
JP2005016767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