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553B1 - 다단식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다단식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553B1
KR100823553B1 KR1020060105864A KR20060105864A KR100823553B1 KR 100823553 B1 KR100823553 B1 KR 100823553B1 KR 1020060105864 A KR1020060105864 A KR 1020060105864A KR 20060105864 A KR20060105864 A KR 20060105864A KR 100823553 B1 KR100823553 B1 KR 10082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llet
main body
diameter splin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재식
Original Assignee
민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재식 filed Critical 민재식
Priority to KR102006010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본체에 수용되는 하부주차위치와 본체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로부터 자동차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하부파레트와; 하부파레트의 상방으로 다단을 이루며 배치되어, 하부파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주차위치와 본체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로부터 자동차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파레트와; 하부파레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체인과 한 쌍의 하부체인을 구동하는 하부구동스프로킷을 가지며, 하부파레트를 하부주차위치와 출차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하부구동부와; 상부파레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두 쌍의 상부체인과 하부구동스프로킷과 동축을 이루며 두 쌍의 상부체인을 구동하는 상부구동스프로킷을 가지며, 상부파레트를 상부주차위치와 출차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상부구동부와; 하부구동스프로킷과 상부구동스프로킷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클러치에 의해 연결된 상부구동스프로킷과 하부구동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자동차를 다단으로 주차시키거나, 다단으로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 시키는 것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어 과도한 동력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및 출차 시 효율적으로 동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위치에 주차되는 차량을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호 자동차의 주차 및 출차 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식 주차설비{MULTI FLOOR PARK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주차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파레트 중 제1상부파레트 영역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상부파레트를 구동하는 상부구동부, 클러치 및 메인구동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주차설비의 하부구동부, 상부구동부, 클러치 및 메인구동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와 메인구동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래크, 피니언 및 피니언구동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와 메인구동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구동스프로킷과 하부구동스프로킷 영역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차설비 3 : 본체
7 : 하부파레트 10 : 상부파레트
20 : 하부구동부 23 : 하부구동스프로킷
30 : 상부구동부 43 : 제1상부체인
44 : 제1주체인 45 : 제1보조체인
47 : 제2상부체인 48 : 제2주체인
49 : 제2보조체인 50 : 상부구동스프로킷
60 : 상부피동스프로킷 70 : 클러치
71 : 하부내경스플라인부 72 : 상부내경스플라인부
76 : 외경스플라인축 77 : 이송부
77a : 래크 78 : 피니언
79 : 피니언구동부 80 : 메인구동부
본 발명은, 다단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주차되는 자동차를 각 단에 주차된 차량과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구조를 개선한 다단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산업의 발달과 자동차가 생활에 필요한 필수품으로 인식되면서 자동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자동차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주차공간은 부족해지고 있어 주차공간의 확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공간의 확충을 위해서 도심 지역에는 빌딩형태의 대규모 주차설비를 마련하거나, 건물 지하에 지하주차장을 마련하고 있다. 반면, 대규모 주차설 비가 불가능한 주택지역과 같은 곳에는 기계식 2단 주차설비가 설치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주차설비 중 빌딩형태의 대규모 주차설비는 엘리베이터 방식 또는 다수로 주차된 자동차 중 어느 하나를 출차하기 위해 주차설비를 회전하는 로터리 방식이 사용된다. 그리고, 기계식 2단 주차설비는 상하로 이동되는 주차대를 설치하여 상, 하부에 2대의 차량을 주차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주차설비 중 로터리방식의 경우, 출차위치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려면 전체 주차설비에 구동력을 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좌우측에 각각 4단으로 마련된 총 8대의 자동차가 주차되는 로터리방식의 주차설비는 우측 최상단의 자동차를 좌측 최하단의 출차위치로 이동시키려면 전체 주차설비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우측 최상단의 자동차를 좌측 최하단의 위치로 좌측 최하단의 자동차는 우측 최상단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기계실 2단 주차설비는 상부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하기 위해 하부에 주차된 자동차가 주차대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에 주차된 자동차를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자동차를 다단으로 주차시키거나, 다단으로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 시키는 것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다단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자동차의 주차 및 출차 시 하부에 주차된 자동차에 간섭되지 않는 다단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하부주차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자동차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하부파레트와; 상기 하부파레트의 상방으로 다단을 이루며 배치되어, 상기 하부파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주차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자동차가 출차되는 상기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파레트와; 상기 하부파레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체인과 상기 한 쌍의 하부체인을 구동하는 하부구동스프로킷을 가지며, 상기 하부파레트를 상기 하부주차위치와 상기 출차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하부구동부와; 상기 상부파레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두 쌍의 상부체인과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두 쌍의 상부체인을 구동하는 상부구동스프로킷을 가지며, 상기 상부파레트를 상기 상부주차위치와 상기 출차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상부구동부와;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의 보스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하부내경스플라인부와;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의 보스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상부내경스플라인부와; 상기 하부내경스플라인부와 상기 상부내경스플라인부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과; 상기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을 지지하며,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를 갖는 한 쌍의 이송부와; 상기 한 쌍 의 래크 사이에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래크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피니언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구동부는, 상기 외경스플라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체인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폐루프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주체인과; 상기 한 쌍의 주체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체인 보다 상측으로 길이가 연장된 폐루프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은, 상기 주체인과 상기 보조체인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내경스플라인부가 형성된 스프로킷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은 상기 외경스플라인축의 축선 방향으로 동축을 이루며 평행 배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파레트는, 상기 주체인과 결합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보조체인과 결합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상부파레트의 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자동차가 세 대가 주차될 수 있는 3단식 주차설비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2단식 주차설비 또는 3단식을 초과하는 주차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주차설비(1)는 본체(3)와, 본체(3)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파레트(7)와, 하부파레트(7)의 상방으로 2단을 이루며 배치되는 상부파레트(10)와, 하부파레트(7)를 왕복 이동시키는 하부구동부(20)와, 상부파레트(10)를 왕복 이동시키는 상부구동부(30 : 도 3참조)와, 하부구동부(20)와 상부구동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70 : 도 3참조)와, 하부구동부(20)와 상부구동부(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구동부(80 : 도 3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구동부(20)와 상부구동부(30)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입력하는 입력부(90 : 도 8참조)와, 입력부(90)의 신호에 기초하여 클러치(70) 및 메인구동부(8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91 : 도 8참조)를 더 포함한다.
본체(3)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다단식 주차설비(1)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3)는 전술한 1개의 하부파레트(7)와, 하부파레트(7) 상부로 적층되는 두 개의 상부파레트(10)를 수용한다. 본체의 일측에는 하부파레트(7)를 자동차(100)가 주차되는 하부주차위치와 자동차(100)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로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상부파레트(10)를 승강 이동 및 수평 이동하여 자동차(100)가 주차되는 상부주차위치 및 자동차(100)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부(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3)에는 상부주차위치에 위치한 상부파레트(10)를 지지하는 지지롤러(9)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롤러(9)의 다른 역할은 본체(3)의 개방부(5)를 따라 상승한 상부파레트(10)가 상부주차위치로 안내되도록 상부파레트(10)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3) 내부에는 후술할 하부구동스프로킷(23)과 상부구동스프로킷(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럭(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피동스프로킷(25)과 상부피동스프로킷(6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축(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레트(10)는 하부파레트(7)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파레트(12)와, 제1상부파레트(12)와 위치하는 제2상부파레트(14)를 포함한다.
제1상부파레트(12)에는 후술할 제1상부체인(43)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17) 및 제2연결부(18)와, 제1연결부(17) 및 제2연결부(18)를 연결하며 제1상부파레트(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상부파레트(12)에 포함된 제1연결부(17), 제2연결부(18) 및 이동가이드부(19)의 구성은 제2상부파레트(14)에도 동일하게 포함되는 구성이다. 단, 제2상부파레트(14)에 포함된 제1연결부(17), 제2연결부(18) 및 이동가이드부(19)의 구성은 후술할 제2상부체인(47)에 각각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동부(20)는 하부파레트(7)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체인(21)과, 한 쌍의 하부체인(21)을 구동하는 한 쌍의 하부구동스프로킷(23)과, 한 쌍의 하부체인(21)과 맞물리는 한 쌍의 하부피동스프로킷(25)을 포함한다. 하부구동부(20)는 하부파레트(7)를 자동차(100)가 주차되는 하부주차위치와 자동차(100)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를 수평 이동하도록 한다.
상부구동부(30)는 상부파레트(10)의 양측을 지지하는 두 쌍의 상부체인(40)과, 두 쌍의 하부체인(21)을 구동하는 한 쌍의 상부구동스프로킷(50)과, 두 쌍의 상부체인(40)과 맞물리는 상부피동스프로킷(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피동스프 로킷(60)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상부구동스프로킷(50)을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체인(40)은 본체(3)의 양측에 마련되는 폐루프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주체인(44,48)과, 한 쌍의 주체인(44,48)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주체인(44,48) 보다 상측으로 길이가 연장된 폐루프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체인(45,49)을 포함한다.
한편, 상부체인(40)은 제1상부파레트(12)의 제1연결부(17)와 연결되는 제1주체인(44)과 제1상부파레트(12)의 제2연결부(18)와 연결되는 제1보조체인(45)을 갖는 제1상부체인(43)과, 제2상부파레트(14)의 제1연결부(17)와 연결되는 제2주체인(48)과 제2상부파레트(14)의 제2연결부(18)와 연결되는 제2보조체인(49)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상부체인(47)은 제1상부체인(43) 보다 상측으로 길이가 연장된 사각형의 폐루프 형상을 갖는다.
상부구동스프로킷(50)은 전술한 하부구동스프로킷(23)과 동축을 이루며 주체인(44,48)과 보조체인(45,49)에 동시에 맞물려서 주체인(44,48)과 보조체인(45,49)을 동시에 구동한다. 여기서, 전술한 상부피동스프로킷(60)은 상부구동스프로킷(50)의 수직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 주체인(44,48)과 보조체인(45,49)에 각각 두 쌍으로 배치되는 제1상부피동스프로킷(62)과, 상부구동스프로킷(50)과 동일한 형상으로 주체인(44,48)과 보조체인(45,49)과 동시에 맞물리며 상부구동스프로킷(50)의 수평 방향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피동스프로킷(64)을 포함한다.
상부구동스프로킷(50)은 제1상부체인(43)을 구동하는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과, 제2상부체인(47)을 구동하는 제2상부구동스프로킷(57)을 포함한다.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은 제1주체인(44)과 제1보조체인(45)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54)과, 한 쌍의 제1스프로킷(54) 사이를 연결하며 후술할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가 형성된 제1스프로킷본체(55)를 포함한다. 즉,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은 제1스프로킷본체(55)를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54)이 마련되어 제1주체인(44)과 제1보조체인(45)에 동시에 맞물리는 것이다.
제2상부구동스프로킷(57)은 전술한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2상부구동스프로킷(57)은 제2주체인(48)과 제2보조체인(49)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제2스프로킷(58)과, 한 쌍의 제2스프로킷(58) 사이를 연결하며 후술할 제2상부내경스플라인부(74)가 형성된 제2스프로킷본체(5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 제1상부피동스프로킷(62) 및 제2상부피동스프로킷(64)은 제1주체인(44)과 제1보조체인(45)이 사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며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상부구동스프로킷(57), 제1상부피동스프로킷(62) 및 제2상부피동스프로킷(64)은 제2주체인(48)과 제2보조체인(49)이 사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며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클러치(7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하부구동스프로킷(23)의 중심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상부구동스프로킷(50)의 중심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와,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76)과,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76)을 지지하며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77a)를 갖는 한 쌍의 이송부(77)와, 한 쌍의 래크(77a) 사이에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래크(77a)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78)과, 피니언(78)을 구동하는 피니언구동부(79)를 포함한다. 클러치(70)는 하부구동스프로킷(23)과 상부구동스프로킷(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는 하부구동스프로킷(23)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는 이송부(77)의 이동에 의해 외경스플라인축(76)과 맞물린다.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는 상부구동스프로킷(5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는 이송부(77)의 이동에 의해 외경스플라인축(76)과 맞물린다.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는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의 제1스프로킷본체(55)에 형성된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와, 제2상부구동스프로킷(57)의 제2스프로킷본체(59)에 형성된 제2상부내경스플라인부(74)를 포함한다.
한편,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는 외경스플라인축(76)의 축선 상에 동축으로 이루며 배치되고, 외경스플라인축(76)이 관통 이동될 수 있도록 외경스플라인축(76)보다 (+)공차를 주어 끼워맞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경스플라인축(76)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체(3)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 하부구동스프로킷(23)과 상부구동스프로킷(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외경스플라인축(76)은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 또는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외경스플라인축(7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를 관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보다 (-)공차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경스플라인축(76)은 이송부(77)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부(77)의 이동에 의해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맞물리거나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를 관통하여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에 맞물린다. 즉, 외경스플라인축(76)에는 이송부(77)를 사이에 두고 이송부(77)의 가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압부(7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경스플라인축(76)은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 또는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에 맞물린 후 메인구동부(80)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송부(77)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 외경스플라인축(76)의 일측에 상호 대향 배치된다. 각 이송부(77)의 외주에는 래크(77a)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부(77)는 이송부(77)에 마련된 래크(77a)와 맞물린 피니언(78)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7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부(77)는 각각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를 관통하여 상부내경스플라인부(72)에 연결되도록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송부(77)의 양단은 외경스플라인축(76)에 돌출 형성된 가압부(76a)에 밀착된다. 이송부(77)는 가압부(76a)를 가압하여 외경스플라인축(76)을 이동시킨다.
피니언(78)은 한 쌍의 래크(77a) 사이에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피니언(78)은 피니언구동부(79)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피니언(78)이 피니언구동부(79)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 이송부(77)가 본체(3)의 대향된 내벽면 쪽으로 이동하며, 반면 피니언(7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 이송부(77)가 본체(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피니언구동부(79)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클러치(7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 중 래크(77a), 피니언(78) 및 피니언구동부(79)를 제외한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클러치(70)는 외경스플라인축(76)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77b)를 포함하고 있다.
이송부(77)는 외경스플라인축(76)의 일영역에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송부(7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외경스플라인축(76)의 가압부(76a)를 가압한다. 이송부(76)에는 이송부(76)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77c)과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77c)은 유압실린더(77b)에 수용된다. 유압실린더(77b)에는 피스톤(77c)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77b)에 유압을 공급하는 한 쌍의 유압관(77d)이 연결되어 있다.
메인구동부(80)는 클러치(70)에 의해 연결된 상부구동스프로킷(50)과 하부구동스프로킷(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한다. 메인구동부(80)는 클러치(70)에 의해 하부구동스프로킷(23)과 상부구동스프로킷(5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외경스플라인축(76)에 동력을 제공하여 외경스플라인축(76)을 회전시킨다. 메인구동부(80)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메인구동부(80)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유압모터(미도시)를 갖는 유압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즉, 메인구동부(80)는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와 같은 유압유닛을 사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메인구동부(80)는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체를 전달받은 유압모터가 작동유체를 분기관(83)을 경유하여 각각의 외경스플라인축(76)에 마련된 임펠러(Impeller)로 이송하여 외경스플라인축(76)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90)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하부파레트(7), 제1상부파레트(12)와 제2상부파레트(14) 중 어느 하나를 작동하도록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부(90)에서 입력된 신호는 클러치(70)와 메인구동부(80)의 작동을 ON 또는 OFF하는 제어부(93)로 전송된다.
제어부(93)는 입력부(9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클러치(70)와 메인구동부(80)의 작동을 ON 또는 OFF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93)는 입력부(90)로부터 제1상부파레트(12)를 출차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전송 받으면 피니언구동부(79)를 구동하여 이송부(77)를 이동시킨다. 이송부(77)의 이동에 의해 외경스플라인축(76)은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를 관통하여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와 맞물린다. 그리고, 메인구동부(80)는 구동하여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와 맞물린 외경스플라인축(76)을 회전시켜 제1상부파레트(12)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구동부(3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93)는 제2상부파레트(14)를 이동시킬 때는 제2상부내경스플라인부(74)와 외경스플라인축(76)을 맞물리도록 클러치(70)를 작동시키고, 상부구동부(30)를 구동시키도록 외경스플라인축(76)을 회전가능하게 메인구동부(8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주차설비(1)의 하부파레트(7), 제1상부파레트(12) 및 제2상부파레트(14)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100)를 하부파레트(7)에 주차하기 위해 입력부(90)에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93)는 입력부(9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니언구동부(79)를 작동시킨다. 피니언구동부(79)는 이송부(77)에 마련된 래크(77a)와 맞물린 피니언(78)을 회전시킨다. 피니언(78)의 회전에 의해 각각 이송부(77)는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부(77)의 이동에 의해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76)은 본체(3)의 양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맞물린다. 제어부(93)는 외경스플라인축(76)과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가 맞물리면 외경스플라인축(76)을 회전시키도록 메인구동부(80)를 작동시킨다. 외경스플라인축(76)이 회전하면 하부구동스프로킷(23)이 회전하며, 이에 맞물린 하부체인(21)이 이동되어 하부파레트(7)는 하부주차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자동차(100)를 제1상부파레트(12)에 주차하기 위해 입력부(90)에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93)는 입력부(9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니언구동부(79)를 작동시킨다. 피니언구동부(79)는 이송부(77)에 마련된 래크(77a)와 맞물린 피니언(78)을 회전시킨다. 피니언(78)의 회전에 의해 각각 이송부(77)는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부(77)의 이동에 의해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76)은 본체(3)의 양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를 통과하여 한 쌍의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와 맞물린다. 제어부(93)는 외경스플라인축(76)과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가 맞물리면 외경스플라인축(76)을 회전시키도록 메인구동부(80)를 작동시킨다. 외경스플라인축(76)이 회전하면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이 회전하고, 제1상부구동스프로킷(53)의 한 쌍의 제1스프로킷(54)에 맞물린 제1주체 인(44)과 제1보조체인(45)은 동시에 이동한다. 제1주체인(44)과 제1보조체인(45)이 이동하면 제1주체인(44)과 제1보조체인(45)에 연결된 제1상부파레트(12)는 상부주차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2상부파레트(14)의 작동과정은 전술한 제1상부파레트(12)의 작동과정과 동일하다. 단, 제2상부파레트(14)의 작동 시에는 외경스플라인축(76)이 하부내경스플라인부(71)와 제1상부내경스플라인부(73)를 통과하여 제2상부내경스플라인부(74)와 맞물린다.
이에, 자동차를 다단으로 주차시키거나, 다단으로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것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어 과도한 동력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및 출차 시 효율적으로 동력을 사용할 수 있는 다단식 주차설비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위치에 주차되는 차량을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호 자동차의 주차 및 출차 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구동스프로킷과 상부체인의 추가로 설치하여 자동차가 주차되는 주차공간을 확장이고, 이에 따라 주차설비의 이용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단으로 설치된 주차설비에 추가로 한 쌍의 상부구동스프로킷과 한 쌍의 상부체인을 추가로 설치하여 4단식 주차설비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를 다단으로 주차시키거나, 다단으로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 시키는 것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어 과도한 동력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및 출차 시 효율적으로 동력을 사용 할 수 있는 다단식 주차설비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위치에 주차되는 차량을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호 자동차의 주차 및 출차 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구동스프로킷과 상부체인의 추가로 설치하여 자동차가 주차되는 주차공간을 확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설비의 이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3단으로 설치된 주차설비에 추가로 한 쌍의 상부구동스프로킷과 한 쌍의 상부체인과 상부파레트를 추가로 설치하여 4단식 주차설비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적어도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하부주차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자동차가 출차되는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하부파레트와;
    상기 하부파레트의 상방으로 다단을 이루며 배치되어, 상기 하부파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주차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자동차가 출차되는 상기 출차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파레트와;
    상기 하부파레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체인과 상기 한 쌍의 하부체인을 구동하는 하부구동스프로킷을 가지며, 상기 하부파레트를 상기 하부주차위치와 상기 출차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하부구동부와;
    상기 상부파레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두 쌍의 상부체인과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두 쌍의 상부체인을 구동하는 상부구동스프로킷을 가지며, 상기 상부파레트를 상기 상부주차위치와 상기 출차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상부구동부와;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의 중심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하부내경스플라인부와;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의 중심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상부내경스플라인부와;
    상기 하부내경스플라인부와 상기 상부내경스플라인부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과;
    상기 한 쌍의 외경스플라인축을 지지하며,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를 갖는 한 쌍의 이송부와;
    상기 한 쌍의 래크 사이에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래크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피니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동부는, 상기 외경스플라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인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폐루프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주체인과,
    상기 한 쌍의 주체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체인 보다 상측으로 길이가 연장된 폐루프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은,
    상기 주체인과 상기 보조체인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내경스플라인부가 형성된 스프로킷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하부구동스프로킷은 상기 외경스플라인축의 축선 방향으로 동축을 이루며 평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레트는,
    상기 주체인과 결합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보조체인과 결합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상부파레트의 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주차설비.
KR1020060105864A 2006-10-30 2006-10-30 다단식 주차설비 KR10082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64A KR100823553B1 (ko) 2006-10-30 2006-10-30 다단식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64A KR100823553B1 (ko) 2006-10-30 2006-10-30 다단식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553B1 true KR100823553B1 (ko) 2008-04-22

Family

ID=3957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864A KR100823553B1 (ko) 2006-10-30 2006-10-30 다단식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715B1 (ko) 2011-10-13 2014-05-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듀플렉스식 다세대주택 주차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941A (ko) * 1987-10-06 1989-06-17 박수은 기계식 주차설비의 빠렛트 이송방법 및 장치
JPH04312681A (ja) * 1991-04-10 1992-11-04 Taiyo Fishery Co Ltd 多段型立体駐車装置
JPH06108682A (ja) * 1992-09-25 1994-04-19 Japan Steel Works Ltd:The 立体的な駐車方法および立体駐車装置
JPH11241521A (ja) 1998-02-23 1999-09-07 Nabco Ltd 駐車設備のパレット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941A (ko) * 1987-10-06 1989-06-17 박수은 기계식 주차설비의 빠렛트 이송방법 및 장치
JPH04312681A (ja) * 1991-04-10 1992-11-04 Taiyo Fishery Co Ltd 多段型立体駐車装置
JPH06108682A (ja) * 1992-09-25 1994-04-19 Japan Steel Works Ltd:The 立体的な駐車方法および立体駐車装置
JPH11241521A (ja) 1998-02-23 1999-09-07 Nabco Ltd 駐車設備のパレット昇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715B1 (ko) 2011-10-13 2014-05-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듀플렉스식 다세대주택 주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905B1 (ko) 유체압 엘리베이터
CN104179357B (zh) 墙板自动安装装置
KR100823553B1 (ko) 다단식 주차설비
CN102343384B (zh) 一种双动力驱动的数控弯管机
KR101831200B1 (ko) 핫 스탬핑용 가열로의 이송장치
CN211572658U (zh) 一种砌墙机
CN112374420A (zh) 一种用于仓储物流四向穿梭式搬运机器人
CN102398310B (zh) 混凝土搅拌运输车的搅拌筒的操纵系统
CN204081524U (zh) 墙板自动安装装置
KR100775588B1 (ko) 주차설비
JP3905904B2 (ja) タワー式物品貯蔵倉庫の昇降駆動装置
CN210508566U (zh) 一种液压驱动的双层车库升降装置
JP2006132706A (ja) 油圧システムの冷却装置
CN111794121A (zh) 一种桥梁栏杆安装设备
CN213087543U (zh) 一种工地简易厕箱
CN214567013U (zh) 一种便于装卸的物流箱
CN100458089C (zh) 多层升降停车架
CN110043090B (zh) 一种并联智能停车库
JPH08118086A (ja) プレス機械の駆動装置
WO2021068353A1 (zh) 一种桶装水自动售卖机
KR100766225B1 (ko) 업 다운 구조를 갖는 수평순환식 주차장치
KR20190013330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CN220925341U (zh) Z型连续式提升机
JP2004276067A (ja) ツイン油圧プレス装置
KR20010094535A (ko) 주차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