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330A -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330A
KR20190013330A KR1020170097786A KR20170097786A KR20190013330A KR 20190013330 A KR20190013330 A KR 20190013330A KR 1020170097786 A KR1020170097786 A KR 1020170097786A KR 20170097786 A KR20170097786 A KR 20170097786A KR 20190013330 A KR20190013330 A KR 20190013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ving
housing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231B1 (ko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17009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 E04H6/183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car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륜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차 시스템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을 주차 시스템의 출입구 또는 주차공간 또는 운반장치로 이송시켜주는 차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양쪽 측면으로 외부와 통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모서리에 통로의 바닥면 및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 및 충격방지 롤러를 각각 설치한 하우징을 구성하고, 하우징의 내부 한쪽에는 이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볼스크루의 스크루축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1기어박스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볼스크루의 스크루축을 회전되게 지지해주는 지지판을 제1구동모터와 제1기어박스 사이에 설치하고, 볼스크루는 제1기어박스와 지지판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양쪽에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외주홈을 각각 형성한 스크루축과, 외주홈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너트와, 스크루축의 회전에 의해서 외주홈과 한 쌍의 이동너트의 내주홈 사이를 따라 한 쌍의 이동너트의 내부에서 각각 왕복 이동하여 한 쌍의 이동너트를 스크루축의 외주홈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하는 다수의 볼을 포함하며, 한 쌍의 이동너트 외면에는 같이 직선 이동하도록 랙기어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직선 이동하는 랙기어에 치합되어서 아이들 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를 랙기어의 한쪽에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에 일부 구간만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축을 중심으로 아이들 기어에 치합되는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설치하고, 구동기어에는 암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동기어가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만큼 암이 회전하여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고, 암에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다수의 받침롤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Vehicle transport device for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량을 주차 시스템의 주차공간에 신속하게 주차 시키거나 주차시스템의 출입구로 신속하게 빼내어 주며, 부품의 유지보수 및 화재 안전성이 좋은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주차 시스템은 한정된 장소에 많은 수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 시키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차 시스템은 다수개의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 빌딩 또는 주차 타워와 같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에 설치되며 차량을 내부 공간으로 넣고 빼기 위한 운반 및 운송 매커니즘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차 시스템들은 대부분 소위 파레트라 불리는 차량 받침대를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 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을 주차하기 위하여 구조물 입구 근처의 바닥에 정지하면 입구가 개방된다. 그리고, 구조물 안쪽 바닥에 파레트가 위치되어 운전자는 반드시 이 파레트 상의 정해진 위치까지 운전해야 한다. 이후, 운전자는 입구 밖으로 나와서 입구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주차를 지시하면 승강기와 같은 운반 메커니즘이 차량을 싣고 있는 파레트를 운반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 메커니즘이 빈 주차공간으로 파레트와 함께 상기 차량을 밀어 넣음으로써 주차가 완료된다. 그래서, 구조물내의 모든 주차공간들에는 파레트들이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파레트를 이용하는 상용 주차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차량을 주차 시스템에 넣거나 빼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주차 시스템 내에 넣는 경우, 먼저 운반 메커니즘은 빈 주차공간으로 이동한 후 빈 파레트를 가지고 입구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더욱이, 주차 시스템이 차량을 연속적으로 주차공간에 넣어야만 하는 경우, 앞서 설명된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시간 소비가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들을 내부 주차공간으로부터 빼내는 경우, 첫 번째 차량을 빼내고 나서 후속 차량을 빼내기에 앞서 운반 메커니즘은 첫 번째 차량의 빈 파레트를 해당 주차공간에 넣어야만 했었다. 이와 같이 파레트를 넣고 빼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차량을 주차시스템에 넣거나 빼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주차 시스템 입구에서 대기 시간이 길어져 주차 시스템 입구가 혼잡해지고 운전자들의 불편이 야기되었다.
둘째, 주차공간마다 파레트가 설치되며, 이러한 파레트를 위한 부대 시설이 요구되므로 주차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커졌다. 따라서 오동작이 많이 발생했고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비쌌다.
셋째, 파레트가 이동할 때마다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파레트는 차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러한 큰 파레트가 주차공간에 넣어지고 빼어질 때 진동과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에, 특허문헌1은 차량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주차될 차량이 인입되는 제1 플랫폼과 차량의 주차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플랫폼과 상기 제1 플랫폼 및 제2 플랫폼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운반대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는 각각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운반대를 이동시키는 구동 휠, 상기 구동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한 쌍씩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암, 상기 암을 펼쳐진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유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암은 상기 유압 장치에 의해서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펼쳐진 위치에서 차량의 바퀴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암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바퀴와 접하는 상기 암의 표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에 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다수의 롤러가 2 이상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시스템의 차량 이송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유압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호스, 유압탱크 등의 부품 즉 유지보수가 어려운 부품이 사용되었다.
또한, 오랜 기간 사용 시 누유 및 이물질과 누유 접촉에 따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0622553호(2006년 9월 4일.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 시스템의 주차공간에 신속하게 주차 시키거나 주차시스템의 출입구로 신속하게 빼내어 주며, 부품의 유지보수 및 화재 안전성이 좋은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륜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차 시스템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을 주차 시스템의 출입구 또는 주차공간 또는 운반장치로 이송시켜주는 차량 이송 장치에 있어서, 내부 양쪽 측면으로 외부와 통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모서리에 통로의 바닥면 및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 및 충격방지 롤러를 각각 설치한 하우징을 구성하고, 하우징의 내부 한쪽에는 이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볼스크루의 스크루축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1기어박스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볼스크루의 스크루축을 회전되게 지지해주는 지지판을 제1구동모터와 제1기어박스 사이에 설치하고, 볼스크루는 제1기어박스와 지지판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양쪽에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외주홈을 각각 형성한 스크루축과, 외주홈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너트와, 스크루축의 회전에 의해서 외주홈과 한 쌍의 이동너트의 내주홈 사이를 따라 한 쌍의 이동너트의 내부에서 각각 왕복 이동하여 한 쌍의 이동너트를 스크루축의 외주홈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하는 다수의 볼을 포함하며, 한 쌍의 이동너트 외면에는 같이 직선 이동하도록 랙기어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직선 이동하는 랙기어에 치합되어서 아이들 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를 랙기어의 한쪽에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에 일부 구간만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축을 중심으로 아이들 기어에 치합되는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설치하고, 구동기어에는 암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동기어가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만큼 암이 회전하여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고, 암에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다수의 받침롤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볼스크루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랙기어와 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 및 구동기어를 통해 암을 회전시켜, 차량의 전,후륜을 간편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효과가 있다.
즉, 차량을 주차 시스템의 주차공간에 신속하게 주차 시키거나 주차시스템의 출입구로 신속하게 빼내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유압호스, 유압탱크 등의 부품보다 관리가 쉬운 볼스크루 및 랙기어 등의 부품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부품의 유지보수가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오랜 기간 사용 시 종래의 유압호스, 유압탱크 등에서 누유 및 이물질과 누유 접촉에 따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줄어드는 즉, 화재 안전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랙기어에 의해서 하나의 암만 회전되기 때문에, 4개의 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모터의 구동력 전달이 종래보다 좋은 효과가 있다.
즉, 차량의 전,후륜을 종래보다 신속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이송 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부재가 종래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충격방지 롤러에 의해 차량 이송 장치의 안정적인 직진 주행 및 차량 이송 장치 이동 시 제1,2,3플랫폼의 통로에서 발생되는 부딪히는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 시스템에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륜을 암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때 발생되는 마찰을 다수의 받침롤러의 굴림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받침롤러의 굴림을 이용하여 암으로 차량의 전,후륜을 서서히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루축이 제1,2회전축과 제1,2회전축을 연결해주는 커플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크루축을 하우징에 설치시 부피를 줄여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에 일부 구간에서만 치합되도록 구동기어의 톱니 수를 형성하여 암의 회전 구간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암으로 차량의 전,후륜을 불필요하게 많이 들어올리거나 암을 불필요하게 하우징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볼스크루의 상세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100)는 차량(1)이 출입하는 출입구(2a)에 설치된 제1플랫폼(3) 및, 상기 차량(1)이 주차되는 다수 주차공간(2b)에 설치된 제2플랫폼(4) 및, 상기 차량(1)을 출입구(2a) 또는 주차공간(2b)을 향해 운반하는 운반장치(2c)에 설치된 제3플랫폼(5) 및 상기 제1,2,3플랫폼(3)(4)(5)에 각각 형성된 통로(3a)(4a)(5a)가 포함된 주차 시스템(2)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차량 이송 장치(100)는 차량(1)의 전,후륜(1a)(1b)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차 시스템(2)의 통로(3a)(4a)(5a)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1)을 주차 시스템(2)의 출입구(2a) 또는 주차공간(2b) 또는 운반장치(2c)로 이송시켜줄 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이송 장치(100)는 내부 양쪽 측면으로 외부와 통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통로(3a)(4a)(5a)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12)가 설치된 하우징(1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주차 시스템(2)의 통로(3a)(4a)(5a)에 이동롤러(12)가 설치된 하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통로(3a)(4a)(5a)에서 삽입공간(11)이 형성된 상부가 노출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한쪽이 개방된 사각통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몸체(10a)와, 상기 몸체(10a)에 상호 결합되는 사각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덮개(10b)로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된 상기 몸체(10a)와 덮개(10b) 사이에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이동롤러(12) 주변으로 모서리에 통로(3a)(4a)(5a)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충격방지 롤러(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한쪽에는 이동롤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20)는 하우징(10)의 내부 한쪽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21)(2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20)는 하우징(10)의 내부 한쪽에 나란하게 설치되어서 제2구동모터(21)(21')의 구동력을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기어박스(22)(2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20)는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과, 상기 이동롤러(12) 주변의 다른 이동롤러(12)의 제2롤러축(12b)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스프로켓(23)(24)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20)는 제1,2스프로켓(23)(24)에 치합 연결되어서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이 회전하면 다른 이동롤러(12)의 제2롤러축(12b)을 회전시키는 체인(25)이 포함된다.
즉, 상기 체인(25)은 제2구동모터(21)(21')의 구동력을 이동롤러(12)의 제2롤러축(12b)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30)(30')가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30)(30')의 구동력을 볼스크루(33)(33')의 스크루축(33a)(33a')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1기어박스(31)(31')가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볼스크루(33)(33')의 스크루축(33a)(33a')을 회전되게 지지해주는 지지판(32)(32')이 제1구동모터(30)(30')와 제1기어박스(31)(31')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루(33)(33')는 제1기어박스(31)(31')와 지지판(32)(32')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양쪽에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각각 형성한 스크루축(33a)(33a')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축(33a)(33a')은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각각 형성한 제1,2회전축(33a-1)(33a-2)(33a'-1)(33a'-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스크루축(33a)(33a')은 제1,2회전축(33a-1)(33a-2)(33a'-1)(33a'-2)을 각각 연결해주는 커플러(33d)(33d')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루(33)(33')는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가 포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주홈(33b-1)(33b'-1)(33b''-1)(33b'''-1)은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마주보도록 상기 스크루축(33a)(33a')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루(33)(33')는 스크루축(33a)(33a')의 회전에 의해서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과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주홈(33b-1)(33b'-1)(33b''-1)(33b'''-1) 사이를 따라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부에서 각각 왕복 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를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하는 다수의 볼(33c)(33c')(33c'')(33c''')이 포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는 서로 밀착된 다수의 볼(33c)(33c')(33c'')(33c''')이 왕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 외면에는 같이 직선 이동하도록 랙기어(34)(34')(34'')(3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직선 이동하는 랙기어(34)(34')(34'')(34''')에 치합되어서 아이들 기어축(35a)(35a')(35a'')(35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가 상기 랙기어(34)(34')(34'')(34''')의 한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일부 구간만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축(36a)(36a')(36a'')(36a''')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치합되는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구동기어(36)(36')(36'')(3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36)(36')(36'')(36''')는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일부 구간에서만 치합되도록 톱니 수를 형성하여 암(40)(40')(40'')(40''')의 회전 구간을 결정해준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36)(36')(36'')(36''')에는 암(40)(40')(40'')(40''')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기어(36)(36')(36'')(36''')가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만큼 암(40)(40')(40'')(40''')이 회전하여 하우징(10)의 삽입공간(11)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암(40)(40')(40'')(40''')에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다수의 받침롤러(41)(41')(41'')(41''')가 설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받침롤러(41)(41')(41'')(41''')는 암(40)(40')(40'')(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이 출입구(2a)의 제1플랫폼(3)에 위치되면, 상기 제1플랫폼(3)의 통로(3a)에 미리 한 쌍으로 설치된 차량 이송 장치(100)의 제1구동모터(30)(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박스(31)(31')는 제1구동모터(30)(30')의 구동력을 볼스크루(33)(33')의 스크루축(33a)(33a')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는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크루축(33a)(33a')의 회전에 의해서 다수의 볼(33c)(33c')(33c'')(33c''')이 상기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과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주홈(33b-1)(33b'-1)(33b''-1)(33b'''-1) 사이를 따라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부에서 각각 왕복 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가 회전하지 않고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로 밀착된 상기 다수의 볼(33c)(33c')(33c'')(33c''')이 굴림 운동하여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를 밀게 되며,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는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제1,2회전축(33a-1)(33a-2)(33a'-1)(33a'-2)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 외면에 설치된 랙기어(34)(34')(34'')(34''')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크루축(33a)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와 랙기어(34)(34')는 서로 가까워지며, 스크루축(33a')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와 랙기어(34'')(34''')도 서로 가까워진다.
그러면, 상기 랙기어(34)(34')(34'')(34''')의 한쪽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35)(35')(35'')(35''')도 직선 이동하는 상기 랙기어(34)(34')(34'')(34''')에 치합되어서 아이들 기어축(35a)(35a')(35a'')(35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6)(36')(36'')(36''')도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일부 구간만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축(36a)(36a')(36a'')(36a''')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치합되는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6)(36')(36'')(36''')에 일체로 형성된 암(40)(40')(40'')(40''')도 상기 구동기어(36)(36')(36'')(36''')가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만큼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서로 이웃한 상기 암(40)(40')(40'')(40''')은 서로 마주보도록 회전을 하게 되면서 하우징(10)의 삽입공간(11)에서 노출된다.
그러면 상기 암(40)(40')(40'')(40''')에 설치된 다수의 받침롤러(41)(41')(41'')(41''')는 차량(1)의 전,후륜(1a)(1b)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1)의 전,후륜(1a)(1b)을 들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받침롤러(41)(41')(41'')(41''')는 차량(1)의 전,후륜(1a)(1b)에 밀착시키는 암(40)(40')(40'')(40''')의 외력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차량(1)의 전,후륜(1a)(1b)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게 된다
즉, 상기 차량(1)은 차량 이송 장치(100)의 암(40)(40')(40'')(40''')에 의해 출입구(2a)의 제1플랫폼(3)에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반장치(2c)의 제3플랫폼(5)이 출입구(2a)에 위치되면서 상기 출입구(2a)의 문이 열린다.
여기서, 상기 제1,3플랫폼(3)(5)의 통로(3a)(5a)는 연결된다.
그 다음, 상기 차량 이송 장치(100)의 구동부재(20)를 구동시켜 이동롤러(12)를 회전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재(20)의 제2구동모터(21)(21')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박스(22)(22')는 제2구동모터(21)(21')의 구동력을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롤러축(12a)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23)도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제1스프로켓(23)과 체인(25)으로 치합 연결된 제2스프로켓(24)도 회전을 하게 되면서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 주변 다른 이동롤러(12)의 제2롤러축(12b)도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구동모터(21)(21')의 구동력이 체인(25)을 통해 이동롤러(12)의 제2롤러축(12b)에 전달된다.
그래서, 상기 차량 이송 장치(100)의 이동롤러(12)는 제1,3플랫폼(3)(5)의 통로(3a)(5a)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차량(1)은 출입구(2a)에서 운반장치(2c)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충격방지 롤러(13)는 제1,3플랫폼(3)(5)의 통로(3a)(5a) 측면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면서, 차량 이송 장치(100)의 직진 주행을 도와주고 상기 통로(3a)(5a)에서 발생되는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해준다.
즉, 상기 차량(1)은 좌,우로의 흔들림과 부딪히는 충격전달 없이 출입구(2a)에서 운반장치(2c)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운반장치(2c)는 차량(1)을 주차 시스템(2)의 빈 주차공간(2b) 쪽으로 이동시켜서, 제3플랫폼(5)의 통로(5a)와 제2플랫폼(4)의 통로(4a)를 연결시킨다.
그 다음, 상기 차량 이송 장치(100)의 구동부재(20)를 구동시켜 이동롤러(1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차량 이송 장치(100)의 이동롤러(12)는 제2,3플랫폼(4)(5)의 통로(4a)(5a)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차량(1)은 운반장치(2c)에서 빈 주차공간(2b)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충격방지 롤러(13)는 제2,3플랫폼(4)(5)의 통로(4a)(5a) 측면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면서, 차량 이송 장치(100)의 직진 주행을 도와주고 상기 통로(4a)(5a)에서 발생되는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해준다.
즉, 상기 차량(1)은 좌,우로의 흔들림과 부딪히는 충격전달 없이 운반장치(2c)에서 빈 주차공간(2b)으로 이송된다.
그래서, 상기 차량(1)이 주차공간(2b)에 완전히 위치되면 차량 이송 장치(100)의 제1구동모터(30)(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박스(31)(31')는 제1구동모터(30)(30')의 구동력을 볼스크루(33)(33')의 스크루축(33a)(33a')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는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크루축(33a)(33a')의 회전에 의해서 다수의 볼(33c)(33c')(33c'')(33c''')이 상기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과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주홈(33b-1)(33b'-1)(33b''-1)(33b'''-1) 사이를 따라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부에서 각각 왕복 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가 회전하지 않고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로 밀착된 상기 다수의 볼(33c)(33c')(33c'')(33c''')이 굴림 운동하여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를 밀게 되며,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는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제1,2회전축(33a-1)(33a-2)(33a'-1)(33a'-2)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 외면에 설치된 랙기어(34)(34')(34'')(34''')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축(33a)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와 랙기어(34)(34')는 서로 멀어지며, 스크루축(33a')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와 랙기어(34'')(34''')도 서로 멀어진다.
그러면, 상기 랙기어(34)(34')(34'')(34''')의 한쪽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35)(35')(35'')(35''')도 직선 이동하는 상기 랙기어(34)(34')(34'')(34''')에 치합되어서 아이들 기어축(35a)(35a')(35a'')(35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6)(36')(36'')(36''')도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일부 구간만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축(36a)(36a')(36a'')(36a''')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치합되는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6)(36')(36'')(36''')에 일체로 형성된 암(40)(40')(40'')(40''')도 상기 구동기어(36)(36')(36'')(36''')가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만큼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서로 이웃한 상기 암(40)(40')(40'')(40''')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회전을 하게 되면서 하우징(10)의 삽입공간(11)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암(40)(40')(40'')(40''')에 설치된 다수의 받침롤러(41)(41')(41'')(41''')는 차량(1)의 전,후륜(1a)(1b)에 밀착되지 않으면서 상기 차량(1)의 전,후륜(1a)(1b)을 주차공간(2b)의 제2플랫폼(4)에 내려놓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받침롤러(41)(41')(41'')(41''')는 차량(1)의 전,후륜(1a)(1b) 하중에 의한 외력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차량(1)의 전,후륜(1a)(1b)을 용이하게 내려놓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100)에 의한 차량(1)의 주차가 완료된다.
물론, 상기 차량(1)을 주차공간(2b)에서 출입구(2a)로 다시 빼낼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차량 1a : 전륜
1b : 후륜 2 : 주차 시스템
2a : 출입구 2b : 주차공간
2c : 운반장치 3 : 제1플랫폼
3a : 통로 4 : 제2플랫폼
4a : 통로 5 : 제3플랫폼
5a : 통로 10 : 하우징
11 : 삽입공간 12 : 이동롤러
12a : 제1롤러축 12b : 제2롤러축
13 : 충격방지 롤러 20 : 구동부재
21,21' : 제2구동모터 22,22' : 제2기어박스
23 : 제1스프로켓 24 : 제2스프로켓
25 : 체인 30,30' : 제1구동모터
31,31' : 제1기어박스 32,32' : 지지판
33,33' : 볼스크루 33a,33a' : 스크루축
33a-1,33a'-1 : 제1회전축
33a-1-1,33a'-1-1 : 외주홈
33a-2,33a'-2 : 제2회전축
33a-2-1,33a'-2-1 : 외주홈
33b,33b',33b'',33b''' : 이동너트
33b-1,33b'-1,33b''-1,33b'''-1 : 내주홈
33c,33c',33c'',33c''' : 볼
33d,33d' : 커플러
34,34',34'',34''' : 랙기어
35,35',35'',35''' : 아이들 기어
35a,35a',35a'',35a''' : 아이들 기어축
36,36',36'',36''' : 구동기어
36a,36a',36a'',36a''' : 구동기어축
40,40',40'',40''' : 암
41,41',41'',41''' : 받침롤러
100 : 차량 이송 장치

Claims (4)

  1. 차량(1)의 전,후륜(1a)(1b)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차 시스템(2)의 통로(3a)(4a)(5a)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1)을 주차 시스템(2)의 출입구(2a) 또는 주차공간(2b) 또는 운반장치(2c)로 이송시켜주는 차량 이송 장치에 있어서,
    내부 양쪽 측면으로 외부와 통하는 삽입공간(11)을 형성하고, 모서리에 통로(3a)(4a)(5a)의 바닥면 및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12) 및 충격방지 롤러(13)를 각각 설치한 하우징(10)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한쪽에는 이동롤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20)를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30)(30')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제1구동모터(30)(30')의 구동력을 볼스크루(33)(33')의 스크루축(33a)(33a')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1기어박스(31)(31')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나란하게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볼스크루(33)(33')의 스크루축(33a)(33a')을 회전되게 지지해주는 지지판(32)(32')을 제1구동모터(30)(30')와 제1기어박스(31)(31')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볼스크루(33)(33')는 제1기어박스(31)(31')와 지지판(32)(32')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양쪽에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각각 형성한 스크루축(33a)(33a')과, 상기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와, 상기 스크루축(33a)(33a')의 회전에 의해서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과 한 쌍의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주홈(33b-1)(33b'-1)(33b''-1)(33b'''-1) 사이를 따라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의 내부에서 각각 왕복 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를 스크루축(33a)(33a')의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하는 다수의 볼(33c)(33c')(33c'')(33c''')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이동너트(33b)(33b')(33b'')(33b''') 외면에는 같이 직선 이동하도록 랙기어(34)(34')(34'')(34''')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직선 이동하는 랙기어(34)(34')(34'')(34''')에 치합되어서 아이들 기어축(35a)(35a')(35a'')(35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를 상기 랙기어(34)(34')(34'')(34''')의 한쪽에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일부 구간만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축(36a)(36a')(36a'')(36a''')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치합되는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구동기어(36)(36')(36'')(36''')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36)(36')(36'')(36''')에는 암(40)(40')(40'')(40''')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구동기어(36)(36')(36'')(36''')가 일부 구간에서만 회전하는 만큼 암(40)(40')(40'')(40''')이 회전하여 하우징(10)의 삽입공간(11)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암(40)(40')(40'')(40''')에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다수의 받침롤러(41)(41')(41'')(4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20)는 하우징(10)의 내부 한쪽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21)(21')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한쪽에 나란하게 설치되어서 제2구동모터(21)(21')의 구동력을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기어박스(22)(22')와,
    상기 이동롤러(12)의 제1롤러축(12a)과 상기 이동롤러(12) 주변의 다른 이동롤러(12)의 제2롤러축(12b)에 각각 구비된 제1,2스프로켓(23)(24)에 치합 연결되어서, 제2구동모터(21)(21')의 구동력을 상기 제2롤러축(12b)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체인(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축(33a)(33a')은 나사선이 서로 반대인 외주홈(33a-1-1)(33a-2-1)(33a'-1-1)(33a'-2-1)을 각각 형성한 제1,2회전축(33a-1)(33a-2)(33a'-1)(33a'-2)과,
    상기 제1,2회전축(33a-1)(33a-2)(33a'-1)(33a'-2)을 각각 연결해주는 커플러(33d)(3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36)(36')(36'')(36''')는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35)(35')(35'')(35''')에 일부 구간에서만 치합되도록 톱니 수를 형성하여 암(40)(40')(40'')(40''')의 회전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1020170097786A 2017-08-01 2017-08-01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10217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786A KR102170231B1 (ko) 2017-08-01 2017-08-01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786A KR102170231B1 (ko) 2017-08-01 2017-08-01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30A true KR20190013330A (ko) 2019-02-11
KR102170231B1 KR102170231B1 (ko) 2020-10-26

Family

ID=6537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786A KR102170231B1 (ko) 2017-08-01 2017-08-01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65B1 (ko) * 2020-12-22 2022-04-26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자동차 주차용 리프팅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99Y1 (ko) * 1999-07-31 2000-02-15 이금철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KR20020016085A (ko) * 2000-08-24 2002-03-04 박달영 무파레트식 주차설비용 슬라이더 장치
KR100622553B1 (ko) 2005-05-09 2006-09-13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1393610B1 (ko) * 2013-07-05 2014-05-09 황기복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99Y1 (ko) * 1999-07-31 2000-02-15 이금철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KR20020016085A (ko) * 2000-08-24 2002-03-04 박달영 무파레트식 주차설비용 슬라이더 장치
KR100622553B1 (ko) 2005-05-09 2006-09-13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1393610B1 (ko) * 2013-07-05 2014-05-09 황기복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65B1 (ko) * 2020-12-22 2022-04-26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자동차 주차용 리프팅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31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87B1 (ko) 파레트형 주차설비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KR20190013331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20080051394A (ko) 주차시스템의 수평이송장치
KR20070053257A (ko) 파킹 장치
KR20190105992A (ko)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20190013330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20190013329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US20040134756A1 (en) Transfer system
CN113148533A (zh) 一种工业用的智能装卸货物的机器人装置
CN111532945A (zh) 一种实现推车自动进出的物流设备
KR102608146B1 (ko) 주차기의 타이어 스톱퍼장치
JPH02144478A (ja) 立体駐車場
KR102608144B1 (ko) 주차기의 타이어 정렬장치
US20230243173A1 (en) Automated parking floor conveyor systems
CN214651061U (zh) 一种具有移动段的输送装置
KR102622095B1 (ko)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CN110526080B (zh) 一种提升装置和雷管生产系统
KR200281464Y1 (ko) 주차설비의 파레트 이송용 치형 핀
JPH0978876A (ja) 駐車設備のパレット横送り装置
KR920003059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20000013170A (ko) 주차 설비의 펠릿 이송장치
KR101928857B1 (ko) 덤프트럭용 적재함 덮개장치
JP2003064899A (ja) 車両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9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129

Effective date: 2020091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