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60Y1 -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60Y1
KR920003060Y1 KR2019900004181U KR900004181U KR920003060Y1 KR 920003060 Y1 KR920003060 Y1 KR 920003060Y1 KR 2019900004181 U KR2019900004181 U KR 2019900004181U KR 900004181 U KR900004181 U KR 900004181U KR 920003060 Y1 KR920003060 Y1 KR 920003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procket
parking
lift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424U (ko
Inventor
정회국
Original Assignee
정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국 filed Critical 정희국
Priority to KR2019900004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060Y1/ko
Publication of KR910018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렛트의 저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렛트 입출고 장치의 설치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5a도, 제5b도, 제5c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6도는 제4도의 "a부"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종래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2 : 주차실
10 : 리프트 11 : 리프트베이스
12 : 롤러 안내부 13 : 레일
14 : 모터 15 : 나사봉
20 : 시프트 21 : 롤체
22 : 가이드슈 23 : 외측 스프라켓
24 : 클러치 25 : 스프라켓
26 : 회전축 27 : 동력전달부
28 : 체인 30 : 파렛트
31 : 롤러 32 : 체인
본 고안은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층에 위치한 파렛트를 리프트에 설치한 구동장치만으로 입출고가 가능토록 파렛트와 리프트를 설치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자동차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주차시킬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대폭절감시킬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주차설비를 제공코져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중앙에 자동차를 적재한 승하강용 리프트가 승하강 될 승강로와, 그 양측에 좌우측 주차실로 구획되는 입체주차설비의 좌우측 주차실에 설치된 좌우측 파렛트(IL), (IR)를 중앙 승강로 측으로 횡행 시키도록 횡행 구동장치가 각각 설치되었는데, 이와같은 횡행 구동장치의 동작은 좌측 주차실용 파렛트(IL)의 횡행 구동과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의 횡행 구동 동작이 동일하므로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IR)의 횡행 동작만을 설명하기로한다.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IR)를 중앙 측으로 횡행 시키기 위해서는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 받침대(RF)상부에 설치된 횡행 구동부(A)와, 중앙승강로용 파렛트 받침대(MF), (MB)에 각각 설치된 중앙 승강로 횡행 구동부(C), (C')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되면, 우측주차실용 파렛트 받침대(RF)와 중앙 승강로용 파렛트 받침대(MF), (MB)에 설치된 각각이 모터(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체인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구동로울러(17), (17')가 회전되게 된다.
이때, 우측 주차실에 위치하고있던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의 전후방 횡행 레일(2)에는 상기 회동중인 구동로울러(17)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우측으로 회전중인 구동로울러(17), (17')의 회전에 의해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는 중앙 승강로측으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가 중앙 승강로측으로 이송을 완료하면 중앙 승강로 횡행 구동부(C)와, 우측주차실의 횡행 구동부(A)에 설치된 모터(5)의 구동을 정지시킨 뒤 리프트를 승하강 이송시켜 목적하는 바대로 자동차를 입출고 시킬수 있는 것이며 좌측 주차실의 파렛트(IL)의 동작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종래의 횡행 구동장치는 좌우측 주차실용 파렛트 받침대와 중앙 승강로측의 파렛트 받침대의 전후방에 각각의 횡행 구동부가 설치되어야 하였으며, 주차실측 파렛트 받침대 하단에는 횡행 구동부가 설치되지 않은측의 파렛트 받침대에 다수개의 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달축이 설치되어야 하는등 설치구조가 매우 복잡하였으며, 그로 말미암아 설치비용의 상승과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폐단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설비자체의 크기가 대형화 되는 문제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 보다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입체 주차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한 개의 구동장치에 의해 좌우 이송하면서 파렛트를 입출고시킬 수 있는 시프트를 리프트베이스에 설치하고 파렛트 하방에는 시프트의 스프라켓과 치합될 체인을 고정시켜서 시프트의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파렛트를 입출고 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체주차설비의 좌우측 주차실에 설치된 파렛트를 중앙승강로 측으로 횡행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제1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부판(16)과 리프트베이스(11)간을 지주(17)로서 연결하여 된 리프트(10)의 리프트 베이스(11)에는, 양측에 추후 설명할 파렛트(30)의 롤러(31)가 슬라이딩 안내될 롤러안내부(12)와, 그 내측면 소정위치에 한쌍의 레일(13)을 설치하면서 그 내측에는 소정 길이의 나사봉(15)을 구비한 모터(14)를 결합 설치하였다.
또한, 하방에 상기레일(13)과 형합되는 한쌍의 가이드 슈(22)를 결합시킨 틀체(21)의 전후방에는, 양측에 외측 스프라켓(23)이 결합되며 내측에 롤럿치(24)를 구비한 스프라켓(25)이 결합된 한쌍의 회전축(26)이 횡설되었고, 롤체(21) 중앙 하방에는 상기 나사봉(15)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되어 좌우 이동될 동력전달부(27)가 고정 되었으며, 상기 클럿치(24)를 가진 전후방 스프라켓(25)에는 체인(28)이 권회되고 그 체인의 양측말단부는 리프트베이스(11)상면에 고정시켜서 시프트(20)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2도와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은 파렛트(30)의 양측저면에 상기 리프트베이스(11)의 롤러 안내부(12)에 안내될 복수개의 롤러(31)를 설치하면서 그 내부양측에는상기 시프트의 상기 시프트의 외측 스프라켓(23)과 치합될 체인(32)을 고정 설치하였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3은 수평동작 되는 클럿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승강로(1)에 위치하고 있는 리프트(10)의 리프트베이스(11)상에는시프트(20)가 좌우 이송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차되어있지 않는 빈 주차실(2)에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리프트(10)를 상승시켜 목적하는 층에 리프트(10)가 도달토록 한다.
이때, 리프트(10)의 리프트베이스(11) 부분이 빈 주차실(2)의 파렛트(30)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위치토록 리프트(10)를 정지시킨다(도면 제5a도 참조).
그뒤, 제5b도와같이 리프트베이스(11)에 고정설치된 모터(14)를 동작시키게되면, 모터(14)의 선단부에 설치된 나사봉(15)이 회전되게 되며, 이 나사봉(15)은 시프트(20)의 저면에 고정된 동력전달부(27)를 나사식으로 관통 결합되어서 모터의 회전력 즉, 나사봉(15)이 회전함에 따라 시프트(20)는 리프트베이스(11)에 설치된 레일(13)을 따라 주차실(2)측으로 수평이송 하게된다(화살표 "A"방향으로).
이때, 틀체(21)내측의 클러치(24)에는 전원이 인가되지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틀체(21)내측의 스프라켓(25)과 클러치(24)는 서로 떨어져있는 상태이며(제6도참조), 틀체(21) 내측의 전후방 스프라켓(25)은 서로체인(28)으로 권회되면서, 그 체인(28)의 양측말단부가 리프트베이스(11)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5b도와 같이, 스프라켓(25)은 시프트(20)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화살표 "B"방향).
그리고 내측 스프라켓(25)과 동축(26)상에 결합된 외측스프라켓(23)은 상기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내측 스프라켓(25)과 클럿치(24)가 떨어져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측 스프라켓(23)은 공회전 상태인 것이다.
이와같이 외측스프라켓(23)이 공회전 상태이며 시프트(20)가 주차실(2)의 파렛트(30)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프트(10)를 상승시키게 되면, 시프트 톨체(21)에 설치된 양측 스프라켓(23)이 파렛트(30)저면에 고정 설치된 체인(32)에 서로 치합되게 됨과 동시, 파렛트(30) 양측 저면의 롤러(31)는 리프트베이스(11)의 롤러안내부(12)상에 얹혀진 상태가 된다.
그 뒤, 회전축(26)상에 설치된 클럿치(24)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클럿치(24)와 내측 스프라켓(25)이 서로 접착되게 되어 내측 스프라켓(25)과 외측스프라켓(23)이 동축(26)상에 설치되었으므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모터(14)를 역회전 시키게 되면 나사봉(15)또한 역회전하게되고, 나사봉(15)과 시프트(20)저면의 동력전달부(27)가 나사식으로 관통 결합되어서 나사봉(15)이 회전함에 따라 시프트(20)는 리프트베이스(11)에 설치된 레일(13)을 따라 주차실(2)측에서 승강로(1)측으로 수평 이송하게 된다.
이때 동일한 회전축(26)상에 축설된 내측 스프라켓(25)과 외측 스프라켓(23)중에서 외측 스프라켓(23)이 내측 스프라켓(25)보다 외경이 크고, 나사봉(15)이 파렛트(30)를 리프트(10)상에 적재시키기 위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나사봉(15)의 회전이송량과, 외측 스프라켓(23)의 외경과 내측 스프라켓(25)외경의 크리차이 만큼의 이송속도가 합산되어 신속하게 적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후방 내측 한쌍의 스프라켓(25)은 체인(28)에 의해 권회하면서 체인(28)의 양측말단부가 리프트베이스(11)상에 고정 설치되어서 나사봉(15)의 회전에 따라 시프트(20)가 이송하게 되면, 내측 스프라켓(25)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클럿치(24)에 의해 클럿치(24)와 일체가 된 내측 스프라켓(25)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외측 스프라켓(23)에는 파렛트(30)저면의 체인(32)이 치합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외측 스프라켓(23)이 회전함에 따라 파렛트(30)는 제5b도와 같이, 승강로(1)측의 리프트(10)상부에 얹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리프트(20)상에 파렛트(30)가 얹혀지게 되면 모터(14)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리프트(10)를 입고대기 층으로 하강 시킨 뒤, 리프트(10)상에 얹혀진 파렛트(30)에 자동차를 실어놓고 주차설비의 빈주차실(2)을 향해 리프트(10)를 이송한 뒤,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빈주차실에 자동차를 입고(주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리프트상에 파렛트를 입출고 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동장치를 설치하고, 이 구동장치에 의해 입출고되는 파렛트를 설치하므로해서 설치비용 및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파렛트를 입출고 시킬수 있는등의 특출한 효과를 지닌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입체 주차설비의 좌우측 주차실(2)에 설치된 파렛트(30)를 중앙승강로(1)측으로 수평 이송토록 하는것에 있어서, 양측에 롤러안내부(12)를 구비한 리프트 베이스(11)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한쌍의 레일(13)이 수평 설치되면서, 그 내측 중앙에는 선단부에 나사봉(15)이 부설된 모터(14)가 설치되었고, 하방에 상기 레일(13)과 형합될 한쌍의 가이드슈(22)와, 그 내측 중앙에 상기 나사봉(15)과 나사식으로 관통되는 동력전달부(27)가 고정설치된 틀체(21)전후방에는, 양측 말단부가 상기 리프트베이스(11)의 바닥면에 고정된 체인(27)이 권회된 스프라켓(25)과, 양측에 외측 스프라켓(23)을 한쌍의 회전축(26)을 횡설한 시프트(20)가 상기 레일(13)상에서 수평 이송토록 설치되었으며, 그리고, 상기 파렛트(30)의 양측 저면에는 상기 롤러안내부(12)에 안내될 롤러(31)와, 그 내측에 상기 외측 스프라켓(23)과 치합되어 수평이송될 체인(32)이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6)상에 축설된 스프라켓(25)에는 단속용 클럿치(2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 장치.
KR2019900004181U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920003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181U KR920003060Y1 (ko)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181U KR920003060Y1 (ko)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24U KR910018424U (ko) 1991-11-28
KR920003060Y1 true KR920003060Y1 (ko) 1992-05-21

Family

ID=1929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181U KR920003060Y1 (ko)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0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7B1 (ko) *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7B1 (ko) *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24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487B1 (ko) 주차시스템의 수평이송장치
US4395181A (en) Robot vehicle
US6168365B1 (en) Parking facility with movable pallets for carrying vehicles to storage locations
RU2514311C1 (ru) Парк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20050021067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JPH02144478A (ja) 立体駐車場
KR920003059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101285850B1 (ko)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JP2946009B2 (ja) 車の鉛直方向搬送装置
KR910007933Y1 (ko) 입체주차장치
JPH0447114B2 (ko)
KR200332656Y1 (ko) 다층형 주차타워
JP2677516B2 (ja) 立体駐車場
KR910001105Y1 (ko) 조립식 주차장의 차량이송장치
KR900000797Y1 (ko) 입체 주차장의 구동장치
KR900006910Y1 (ko) 입체식 주차장의 주차차량 자동운반 장치
KR900005580B1 (ko) 자동차의 입체식 자동 주차장치
CN209990216U (zh) 一种新型升降横移立体车库
KR930005201Y1 (ko) 로터리(rotary)식 주차장치
RU2074937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KR930002698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 장치
KR0157639B1 (ko)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KR20050122548A (ko) 다층형 주차설비
KR950009909Y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