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59Y1 -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59Y1
KR920003059Y1 KR2019900004180U KR900004180U KR920003059Y1 KR 920003059 Y1 KR920003059 Y1 KR 920003059Y1 KR 2019900004180 U KR2019900004180 U KR 2019900004180U KR 900004180 U KR900004180 U KR 900004180U KR 920003059 Y1 KR920003059 Y1 KR 920003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art
sprocket
shift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423U (ko
Inventor
정회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문엔터프라이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문엔터프라이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문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201990000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059Y1/ko
Publication of KR910018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렛트의 저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5도는 제3도의 "a부" 확대 단면도.
제6a도, 제6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차설비의 정면도와 평면도.
제7도는 종래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2 : 주차실
10 : 리프트 20 : 카트
21 : 롤러 안내부 22 : 레일
23 : 나사봉 24, 26 : 모터
25 : 구동 스프라켓 30 : 파렛트
31 : 롤러 32 : 체인
40 : 시프트 41 : 회전축
42 : 내측 스프라켓 43 : 클럿치
44 : 외측 스프라켓 45 : 체인
46 : 가이드슈 47 : 동력 전달구
본 고안은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실에 위치한 파렛트를 카트에 설치한 구동장치만으로 입출고가 가능토록 파렛트와 카트를 설치하여 수직이송 장치와 수평이송 장치가 복합된 수평이송거리가 긴 주차빌딩이나 무인자동창고에 적합하도록 하므로서, 좁은 공간에 많은 자동차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주차시킬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시킬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주차설비를 제공코져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중앙에 자동차를 적재한 승하강용 리프트가 승하강될 승강로와, 그 양측에 좌우측 주차실로 구획되는 입체주차설비의 좌우측 주차실에는 횡행 구동장치에 의해 중앙 승강로 측으로 횡행 이송되는 좌우측 파렛트(IL), (IR)가 설치되었는데, 이와같은 횡행 구동장치의 동작은 좌측 주차실용 파렛트(IL)의 횡행 구동과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IR)의 횡행 구동동작과 구조가 동일하므로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IR)의 횡행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IR)를 중앙 승강로측으로 횡행 시키기 위해서는 우측 주차실용 파렛트 받침대(RF)상부에 설치된 횡행 구동부(A)와, 중앙승강로용 파렛트 받침대(MF), (MB)에 각각 설치된 중앙승강로 횡행 구동부(C), (C')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되면, 우측주차실을 파렛트 받침대(RF)와 중앙 승강로용 파렛트 받침대(MF), (MB)에 설치된 각각이 모터(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체인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구동로울러(17), (1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우측 주차실에 위치하고 있던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의 전후방 횡행 레일(2)에는 상기 회동중인 구동로울러(17)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우측으로 회전중인 구동로울러(17), (17')의 회전에 의해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는 중앙 승강로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우측주차실용 파렛트(IR)가 중앙 승강로측으로 이송을 완료하면 중앙 승강로 횡행 구동부(C)와, 우측주차실의 횡행 구동부(A)에 설치된 모터(5)의 구동을 정지시킨 뒤, 리프트를 승하강 이송시켜 목적하는 바대로 자동차를 입출고 시킬수 있는 것이며 좌측 주차실의 파렛트(IL)의 동작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종래의 횡행 구동장치는 좌우측 주차실용 파렛트 받침대와 중앙 승강로측의 파렛트 받침대의 전후방에 각각의 횡행 구동부가 설치되어야 하였으며, 주차실측 파렛트 받침대 하단에는 횡행 구동부가 설치되지 않은 파렛트 받침대의 다수개의 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달축이 설치되어야 하는등 설치구조가 매우 복잡하였으며, 그로 말미암아 설치비용의 상승과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폐단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됨으로서 설비자체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 보다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입체 주차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구동장치로서 수평이송은 물론이고, 파렛트를 입출고 시킬수 있는 시프트를 카트에 설치하고 파렛트 하방에는 시프트의 스프라켓과 치합될 체인을 고정시켜서 시프트의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파렛트를 신속하게 입출고 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체 주차설비의 승강로에서 리프트(10)가 승하강되고, 수평이송용 구동장치를 가진 카트(20)가 주차층의 수평이송로에서 수평이송하면서 주차실(2)의 파렛트(30)를 입출고 하는것에 있어서; 제1도와 같이, 상기 카트(20)의 전후방에는 롤러 안내부(21)가 돌출되고 그 내측 바닥 전길이에 걸쳐 한쌍의 레일(22)이 고정설치되면서, 그 중앙에는 소정길이의 나사봉(23)을 가진 모터(24)와, 구동 스프라켓(25)을 구비한 시프트 이송용 모터(26)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상기 카트(20)의 레일(22)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될 시프트(50)의 하방에는 상기 레일(22)과 형합 안내되는 가이드슈(46)와, 그 중앙에 상기 나사봉(23)이 나사식으로 관통되는 동력 전달구(47)를 고정 설치 하면서, 상기 시프트(40)의 양측에는 내측에 클럿치(53)를 부설한 내측 스프라켓(42)과 외부양측에 외측 스프라켓(44)이 한쌍의 회전축(41)으로 축설되었으며, 상기 양측 내측 스프라켓(42)을 권회한 체인(45)은 카트 바닥에 설치된 모터(26)의 구동 스프라켓(25)과 권회 되었다.
그리고, 제2도에서와 같이 파렛트(30)의 양측 저면에는 상기 카트(20)의 롤러 안내부(21)에 안내될 복수개의 롤러(31)를 설치하면서, 그 내부양측에는 상기 시프트(40)의 외측 스프라켓(44)과 치합될 체인(32)을 고정 설치하였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3은 수평동작되는 클럿치(43)를 안내하는 안내구이고, 25a는 체인(45)을 지지안내하는 아이들 스프라켓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a도, 제6b도에서 보는바와같이 승강로(1)의 주차 대기층에 위치하고 있는 리프트(10)를 주차를 원하는 층으로 상승시킨 뒤 정지 시킨다.
이때 리프트(10)에는 자동차를 적재한 파렛트(30)가 실려있는 상태이다.
그 뒤, 수평이송 장치인 카트(20)가 승강로를 따라 상승한 리프트(10)측으로 이송되도록 카트(20)의 모터(27)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27)의 회전력에 의해 롤러(28)가 회전하면서 수평이송로(4)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a)을 따라 리프트(10) 전방으로 수평이동한 뒤 멈추게 된다.
그 뒤 제4a도, 제4b도, 제4c도에서와 같이 카트(20)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수평이송되는 시프트(40)의 모터(24)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24)의 나사봉(23)이 회전하게되며, 이 나사봉(23)에는 시프트(40)에 고정된 동력전달구(47)가 나사식으로 관통되어서, 시프트(40)가 카트(20)바닥의 레일(22)을 따라 수평이송 하게된다. (화살표 "A"방향)
이때, 제5도에서와 같이 시프트(40)내측의 클럿치(43)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 스프라켓(42)과 클럿치(43)는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이며, 양측 내측 스프라켓(42)과 카트(20)바닥의 구동스프라켓(25)과 체인(45)으로 권회되어서 내외측 스프라켓(42), (44)이 공회전 상태인 것이다.
이와같이 내외측 스프라켓(42), (44)이 공회전 상태인 시프트(40)를 리프트(10)에 실린 파렛트(30)하방으로 수평이송시켜 외측 스프라켓(44)과 파렛트(30)하방의 체인(32)과 치합상태가 되면 나사봉(23)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클럿치(43)에 전원을 인가하여 내측 스프라켓(42)과 클럿치(43)가 접착되게 한다.
그 뒤 나사봉(23)을 가진 모터(24)와, 양측 내측 스프라켓(42)과 구동스프라켓(25)을 체인(45)로 권회하고 있는 모터(26)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하면, 나사봉(23)의 회전에 위해 시프트(40)가 제4c도와 같이 카트(20)측으로 "B"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동시에 외측 스프라켓 회동용 모터(26)의 회전력에 의해 파렛트(30)저면에 고정된 체인(32)과 치합된 외측 스프라켓(44)이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시프트(40)상부에 파렛트(30)가 얹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나사봉(23)의 회전에 의한 시프트(40)의 후퇴동작과 내측 스프라켓(42)보다 외경이 큰 외측 스프라켓(44)의 파렛트(30)이송방향이 동일하게 작용토록 각각의 모터(26), (24)가 동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리프트(10)에 적재된 파렛트(30)가 신속하게 카트(20)상에 실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카트(20)상에 파렛트(30)를 적재한 뒤, 빈 주차실(2)에 자동차가 적재된 파렛트(30)를 입고 시킬수 있도록 수평이송로(4)를 통해 카트(20)를 이송시킨 뒤, 상기 리프트(10)에서 카트(20)상으로 파렛트(30)를 적재시키던 역순으로 시프트(40)를 동작시켜 주차실(2)에 자동차를 적재한 파렛트(30)를 입고 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수평이송로에서 수평이송하는 카트상에 신속하게 파렛트를 입출고 시킬수 있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시프트와, 이 시프트에 의해 입출고되는 파렛트를 설치하므로해서, 파렛트의 신속한 입출고가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과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시킬수 있는등의 특출한 효과를 지닌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입체 주차설비의 승강로에서 리프트(10)가 승하강되고 주차층의 수평이송로상에서 카트(20)가 이송하면서 주차실에 파렛트(30)를 입출고 시키는것에 있어서; 상기 카트(20)의 전후방에는 롤러안내부(21)가 돌출되고 그 내측 바닥전길이에 걸쳐 한쌍의 레일(22)이 고정설치되면서, 그 중앙에는 소정길이의 나사봉(23)을 가진 모터(24)와, 구동스프라켓(25)을 구비한 시프트 이송용 모터(26)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상기 카트(20)의 레일(22)에 설치되어 수평이송될 시프트(40)의 하방에는 상기 레일(22)과 형합 안내되는 한쌍의 가이드슈(26)와, 그 중앙에 상기 나사봉(23)이 나사식으로 관통되는 동력 전달구(47)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시프트(40)의 양측에는 내측에 클럿치(43)를 부설한 내측 스프라켓(42)과, 외부 양측에 외측 스프라켓(44)을 한쌍의 회전축(41)으로 축설한 뒤, 상기 양측 내측 스프라켓(42)과 카트바닥에 설치된 모터(25)의 구동스프라켓(25)을 체인(45)으로 권회하였고; 그리고, 파렛트(30)의 양측저면에는 상기 롤러안내부(21)에 안내될 복수개의 롤러(31)와, 내측에는 상기 외측 스프라켓(44)과 치합될 체인(32)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정장치.
KR2019900004180U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920003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180U KR920003059Y1 (ko)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180U KR920003059Y1 (ko)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23U KR910018423U (ko) 1991-11-28
KR920003059Y1 true KR920003059Y1 (ko) 1992-05-21

Family

ID=1929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180U KR920003059Y1 (ko) 1990-04-09 1990-04-09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7B1 (ko) *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7B1 (ko) *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23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487B1 (ko) 주차시스템의 수평이송장치
KR20040031357A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19980018736A (ko)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apparatus for turning articles in storage structures)
KR920003059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20190013331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JPH02144478A (ja) 立体駐車場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20050021067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KR20050001072A (ko) 승강 이동식 빌라형 주차장치
JP2946009B2 (ja) 車の鉛直方向搬送装置
JPH0734699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050008152A (ko) 승강 이동식 주차장치
WO1997048865A1 (fr) Systeme de parking a etages multiples et procede permettant d'y faire entrer ou d'en faire sortir des voitures
KR910007933Y1 (ko) 입체주차장치
JP2977479B2 (ja) 自転車の多層式駐輪設備
JPH08128221A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597308B2 (ja) 機械式立体格納庫
JP3069716B2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車両搬送用の台車
JP3483016B2 (ja) 物品保管装置
KR930002698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 장치
JPH0751568Y2 (ja) 立体駐車場
JP2003064899A (ja) 車両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駐車場
KR200332656Y1 (ko) 다층형 주차타워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50041232A (ko) 주차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