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639B1 -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639B1
KR0157639B1 KR1019920013589A KR920013589A KR0157639B1 KR 0157639 B1 KR0157639 B1 KR 0157639B1 KR 1019920013589 A KR1019920013589 A KR 1019920013589A KR 920013589 A KR920013589 A KR 920013589A KR 0157639 B1 KR0157639 B1 KR 015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exit
chain
rollers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458A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이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1992001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639B1/ko
Publication of KR94000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복열식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주차건물의 내부중앙에 형성된 이동통로에 입출고용승강장치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한다음, 승강장치의 엘리베이터의 입출고용선반을 이용하여 이동통로 좌,우측에 다층 복열상으로 설치한 각 주차격납실에 자동차를 입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입출고용선반과 주차용 격납선반 자체를 다수개의 로울러들로 구성하고, 각 로울러들은 두개의 체인기어를 각각 축설하여 체인으로 지그재그상으로 연설하므로서 어느하나의 체인기어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모든 로울러들이 같은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도록하는 구성수단으로 입출고용선반 또는 주차용 격납선반에 있는 자동차를 입출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의 설치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입출고용선반의 평면도.
제4도와 제5도는 본 발명의 입체 주차건물의 양측에 다층 복열상태로 설치되는 주차용 격납선반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입출고용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단면한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입출고용선반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입고하는 작동 상태도.
제9도의 (a)(b)도는 자동차 입고시 입출고용선반과 주차용 격납선반의 회전력 전달작동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입출고용선반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출고하는 작동 상태도.
제11도의 (a)(b)도는 자동차 출고시 입출고선반과 주차용 격납선반의 회전력 전달작동 상태도.
제12도는 본 발명으로 자동차를 입출고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통로 2 : 주차격납실
3 : 자동차 4 : 입출고용 승강장치
5a,b : 상,하부 레일 6 : 엘리베이터
7 : 주차용 격납선반 8 : 안내레일
9 : 입출고용선반 10 : 선회 구동부
11 : 트러스트 베어링 12 : 원형레일
13 : 선회바퀴 14 : 로울러
15 : 구동모우터 16 : 피동체인기어
18a,b : 기어 19a,b : 중간기어
20a,b : 클러치 브라켓트 22a,b : 실린더
24a,b : 체인기어 25a,b : 연동기어
본 발명은 주차용 격납실이 다층 복열식으로된 하나의 입체주차 건물에 하나의 입출고용 승강장치를 구비하는 수단으로 자동차를 다층 복열상으로 주차시킬 수 있도록한 다층 복열식 입체주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입체 주차건물을 건축함에 있어 입출고용 승강장치 자체가 좌,우(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마련하고, 이 이동통로 양측에 다층상의 주차용 격납선반을 복열상으로 다수 형성하는 수단으로 하나의 입체주차 건물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댓수의 자동차를 격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창출한 것이며, 나아가 자동차의 입출고 과정을 승강장치의 입출고용 선반의 자체기능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으로 입출고 작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다층 복열식으로 구성된 각각의 주차용 격납선반과 입출고용 선반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입출고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상호적으로 인계인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차의 입출고 작동을 자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상 또는 반지하식으로 건축된 하나의 입체 주차건물의 주차용 격납실을 다층 복열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최소의 공간을 이용하여 최대의 주차수용 효율을 얻는데 있으며, 또 하나의 승강장치로서 다층 복열상으로 구성된 주차용 격납실 어느곳이든지 원하는 격납실으로 부터의 입출고작동을 자체적이면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서 주차 수용율에 비하여 입체주차건물의 건설비를 현격하게 절감시킴과 아울러 주차장치의 운전비는 물론, 유지관리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을 두고 창출한 것이다.
현대문명의 산업발달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집중화가 도래(到來)되고 있으며, 이로인하여 도시는 자동차 홍수시대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도시는 날로 불어나는 자동차의 주차공간 확보가 시급한 시정이고, 이때문에 좁은 공간에 많은 댓수의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입체주차 건물과 그 장치의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종래의 입체 주차건물이나 그 장치는 대체로 수직순환방식(Merry Ground Type)과 엘리베이터방식(Elevator Type)으로 대별되고 있으나, 이들 전ㆍ후자의 방식 모두가 하나의 입체주차건물 내부에 2열상으로 주차격납공간을 마련할 수 밖에 없어 기존의 대형 주차건물에 비하여 조금나은 주차수용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보다 효율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왜냐하면, 입체주차건물의 건설비에 비하여 일일(一日) 주차수용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형순환식(Level parking)도 있으나, 이는 일일 주차수용율을 견주기 이전에 넓은 면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활용면에서의 입체 주차장치로는 부적합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모든 입체주차장치에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주차 수용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차수용 댓수와 비교할때 입체주차 건물의 건설비와 그 장치의 설치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운전 및 유지관리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하는데 역점을 두고 창출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입체주차건물(P)의 중앙에는 승강장치 이동통로(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양쪽으로는 다수열로 구성된 주차격납실(2)들이 다층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승강장치 이동통로(1) 상에는 최저층의 주차격납실에서부터 최상층의 주차격납실에 까지 자동차(3)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입출고용승강장치(4)가 수직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이 승강장치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4곳의 코너 후레임이 승강용 레일(4a)을 구성하고있고, 또 입체주차건물(P)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상으로 길게 놓여진 상,하부 레일(5a)(5b)을 타고 주행하는 이동대차(4b)(4c)가 입출고용 승강장치(4) 상,하단에 결착되어 있다.
상기의 상,하부측 이동대차(4b)(4c)는 자체동력으로 좌,우로 왕복하는 기능을 갖고 같은방향, 같은속도로 움직이는 것이다.
입출고용 승강장치(4)의 내측에는 승강용 레일(4a)을 타고 상,하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Elevator)(6)가 설치되며, 이 엘리베이터는 상부측 이동대차(4b)에 병설되어진 원치장치(4d)의 케이블(또는 체인등)(4e)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출고용 승강장치(4)의 승강용레일(4a) 외면측으로는 다수개씩의 안내휠(4f)이 부착되어지며, 이들 활주휠들은 주차격납실(2)의 주차용 격납선반(7)의 선단 저면부에 수평상으로 길게 고정설치된 안내레일(8)을 타고 이동통로(1)를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8)은 주차격납실(2)을 구성하는 각 주차용 격납선반(7)에 격측 상태로 설치하여 입출고용 승강장치(4)의 왕복 작동의 원활성을 부여하면서 안내레일(8)의 설치갯수를 줄여 설비비를 절감토록 하였다. 따라서, 상,하부측 이동 대차(4b)(4c)를 작동시켜 입출고용 승강장치(4)를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엘리베이터(6)도 상 또는 하측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하여 자동차(3)의 입출고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엘리베이터(6)에는 승강용레일(4a)을 타고 활주하는 활주휠(6a)이 부착되어있으며, 저부의 후레임상에는 입출고용선반(9)을 선회작동시키는 선회구동부(10)가 고정상태로 설치되어진다.
선회구동부(10) 내부에는 모우터(10a), 감속장치(10b) 그리고, 선회측(10c)로 구성되며, 감속장치(10b)의 출력축에 축착된 구동체인기어와 선회축(10c) 하단부의 연동체인기어를 체인으로 연설하여 선회축(10c)을 좌 또는 우측으로 선택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고, 또 선회축(10c)은 선회구동부(10) 상면의 지지대(10d)를 관통하여 입출고용선반(9)의 회전지지대(9a)의 중심부에까지 연출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선회축(10c)의 회전에 따라 입출고용선반(9)이 회전운동을 가하게 된다.
선회구동부(10)의 지지대(10d)와 입출고용선반(9)의 회전지지대(9a) 사이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트러스트베어링(11)이 게재되어 있으며, 또 선회구동부(10) 상면에 설한 원형레일(12)은 그 상부측의 회전지지대(9a) 저부에 부착된 선회바퀴(13)를 안내하고 있다.(제6도 참조)
상기의 입출고용선반(9)은 다수개의 로울러(14)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설되는데, 이들 로울러 자체의 길이는 자동차(대개 대형승용차 기준)의 전폭을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설치갯수는 자동차의 전장을 충분히 수용하는 크기면 족하다.
로울러(14)의 일측축에는 두개를 1쌍으로 하는 체인기어(14a)(14b)가 똑같이 축착되며, 이들 체인들은 체인(14c)이 지그재그상으로 연설되어 어느 하나의 로울러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모든 로울러(14)들이 다같이 동일방향 동일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입출고용선반(9)의 회전지지대(9a) 상에 별도로 설치한 구동모우터(15)의 체인기어(15a)와 다수의 로울러(14)중 설정된 어느하나의 로울러의 축을 연장시켜 그 연장단에 축착된 피동체인기어(16)를 체인(17)으로 연설하여 주면, 구동모우터(15)의 정,역 회전동력이 입출고용선반(9)의 각 로울러(14)를 동일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각 로울러(14)중 양측끝에 위치한 로울러의 타측축에는 주차용격납선반(7)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18a)(18b)가 축설되어 있으며, 이들 기어(18a)(18b)에 맞물린 상태로서 기어를 타고 이동하면서 클러치 작동을 하는 중간 기어(19a)(19b)가 그 로울러의 타측축에 유착된 클러치 브라켓트(20a)(20b)에 부착되어 있다.
클러치 브라켓트(20a)(20b)의 자유단은 입출고용선반의 저부에 힌지(21a)(21b) 결합된 공압 또는 유압용 실린더(22a)(22b)의 피스톤(23a)(23b) 선단과 핀축(23)으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입체주차건물(P)의 주차격납실(2)을 구성하는 각 주차격납선반(7)은 입출고용선반(9)과 같은 규격을 가지며, 다수개의 로울러(24)들로 구성되고, 또 각 로울러의 일측축에도 두개가 1쌍으로된 체인기어(24a)(24b)가 축착되어 있으며, 이들 각 체인기어는 체인(24c)들이 지그재그상으로 연설되어 있다.(제4,5도 참조)
또한 각 주차격납선반(7)의 입출고단 예컨대, 이동통로(1)측에 위치한 선단측의 로울러 타측축에는 연동기어(25a)(25b)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주차격납선반(7)의 저부는 막음판이 설치되어 격납판 자동차등에서 발생되는 오물등이 밑에층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물청소시 배수를 위한 배수배출덕트를 설치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원리된 본 발명의 기술구성으로 자동차를 입,출고 하는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입체주차건물(P)의 입출고로(B)는 최저층의 주차격납실(2)보다 약간 낮은 상태로 구성하여 엘리베이터(6)의 입출고용선반(9)위에 자동차(3)가 얹혀졌을때 그의 선회작동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입출고로(B)를 통해 진입한 자동차(3)는 입구측으로 이동하여 대기하고 있는 입출고용선반(9)위로 진입하는데(제2도의 가상선 표시참조) 이때의 입출고용 선반(9)은 입출고로(B)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며, 입고(또는 출고)의 초기는 자동차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여 자동차(3)를 입출고용선반(9)위에 주차시킨다음, 핸드브레이크를 조작하고 하차한다.
이때 입출고용선반(9)위로 진입하는 자동차는 로울러(14)를 타고 지나가기 때문에 약간의 요동은 있으나, 앞바퀴 또는 뒷바퀴들은 동일한 로울러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자동차는 입출고용선반위에 똑바르게 주차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된다.
위와같은 상태에서 자동차(3)를 비어있는 주차격납실(2)에 입고시키고자 할 경우, 예로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구측으로부터 4번째역 8층 부분(S)의 주차격납실에 입고시키고자 할때에는 먼저 상,하부측 이동대차(4b)(4c)를 동시에 작동시켜 입출고용 승강장치(4)을 4번째열 위치로 진행시킨 다음(화살표 X표시참조), 입출고용 승강장치(4)는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치장치(4d)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6)를 8층위치까지 상승시킨다음(화살표 Y표시참조), 입고작동을 개시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입출고용 승강장치(4)를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원치장치(4d)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6)를 상승시키게되면 입출고용 승강장치(4)가 4번째열 위치로가는 동안에 엘리베이터는 화살표 Z방향으로 상승하는 상태로 8층위치에 도달하게되므로서 이 방법이 입출고를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택한 위치의 주차격납실(2)에 엘리베이터(6)가 정지되었을때에는 그 주차격납실의 주차용 격납선반(7)과 입출고용선반(9)이 상호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입고시키는데, 제8도와 제9도의 도시에서와같이 자동차를 우측의 주차격납실에 입고시킬때에는 도면상 우측에 설치한 실린더(22a)를 작동시켜 피소톤(23a)을 출현작동시키면 클러치브라켓트(20a)는 로울러의 타측축을 기점으로하여 회동하게되며, 이때 클러치브라켓트(20a)에 부착되고 기어(18a)에 치합되어있는 중간기어(19a)는 기어(18a)의 이빨과 맞물린 상태로 이동하여 주차용 격납선반(7)의 로울러(24)중 선단의 로울러 타측축에 축착된 연동기어(25a)와도 맞물린상태가 되면 실린더(22a)는 작동을 멈추게되고, 이와동시에 구동모우터(15)가 시계방향(정회전방향)으로 체인기어(15a)를 회전시키게되면 체인(17)으로 연설된 피동체인기어(16)도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며, 이에따라 입출고용선반(9)의 각 로울러(14)들도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며, 또 이 정회전방향의 회전력은 우측끝단의 로울러의 타측축에 축착된 기어(18a)에 전달되었다가 중간기어(19a)에 의하여 주차용 격납선반(7)의 연동기어(25a)에도 정회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결국 주차용 격납선반(7)의 각 로울러(24)들도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입출고용 선반(7)위에 주차되어있는 자동차(3)는 로울러(14)의 정회전 작용에 의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주차용 격납선반(9)으로 진입하게되며, 자동차가 완전히 진입완료된 시점에 이르러서는 구동모우터(15)가 정지신호를 받아 정지하게된다.
상기와같이 자동차의 입고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실린더(22a)가 작동하여 피스톤(23a)을 몰입작동시켜 주므로서 핀축(23)으로 연결된 클러치브라켓트(20a)는 중간기어(19a)를 연동기어(25a)와 이격시켜 주면서 원위치로 돌아가 다음 작동을 대기하고 있게되며, 입고작업을 마친 엘리베이터(6)도 다음의 입출고작업을 대기하고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동차를 출고하고자 할 경우를 제10도와 제11도의 도시예로 설명하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주차격납실(2)의 주차용 격납선반(7)에 입고된 자동차(3)를 출고시키고자 할때에도 먼저 엘리베이터(6)를 이동시켜 출고코자하는 위치의 주차용 격납선반(7)과 입출고용선반(9)을 수평하게 위치시킨다음, 좌측의 실린더(22b)를 작동시켜 피스톤(23b)의 출현작동으로 클러치브라켓트(20b)의 중간기어(19b)를 주차용 격납선반(7)의 연동기어(25b)와 맞물려준후 구동모우터(15)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며, 이 정회전력이 주차용 격납선반(7)의 각 로울러(24)에 전달되므로 그 위에 주차되어있는 자동차는 로울러들의 회전작동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입출고용선반(9)위로 이동하게되며, 자동차의 출고작동이 완전히 진행된 시점에서는 구동모우터(15)가 정지함과 더불어 실린더(22b)도 작동하여 피스톤(23b)을 몰입시키게 되므로서 중간기어(19b)는 연동기어(25b)에서 이격되어 다음 작업을 대기하고 있게되는 것이며, 입출고용선반(9)으로 출고된 자동차는 입출고용 승강장치(4)와 엘리베이터(6)의 이동 및 하강작동으로 입출고로(B)에 이동하였다가 선회 구동부(10)의 모우터(10a), 감속장치(10b)에 의해 회전하는 선회축(10c)에 의하여 원형레일(12)을 타고 선회하는 회전지지대(9a)가 입출고용선반(9)을 입출고로(B)에 길이방향으로 위치시켜 주므로서 자동차(3)를 입체주차건물(P)에서 완전하게 출고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구동모우터(15)를 정회전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자동차를 입고 및 출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구동모우터(15)를 역회전방향으로 작동시키더라도 입출고용선반(9)과 주차용 격납선반(7)의 각각의 로울러(14)(24)들을 역회전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고작업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자동차가 입출고용선반에 전진방향으로 진입하거나 후진방향으로 진입하는것에 구애받지 않을뿐 아니라, 주차용 격납선반에 진입 또는 출고시킬때에도 자동차의 앞,뒤 방향에 관계없이 주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입출고용승강장치 자체를 입체주차건물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하는 구성수단으로 하나의 입체주차 건물내부에 다층상의 주차격납실을 다수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주차수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입체주차건물의 원설비를 대폭 절감케하는 효과가 있으며, 엘리베이터에 장착되는 입출고용선반의 각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하나의 감속모우터를 장설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실린더와 중간기어의 설치로 자동차의 입출고작동을 이루도록 하였으므로 회전력 전달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특히 본 발명은 입출고용선반과 주차용 격납선반을 다수개의 로울러로 구성하고, 그 다수의 로울러들이 어느 하나가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다같이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므로서 자동차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체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입출고작동에 따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모든 장치들이 입체주차건물의 자동콘트롤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입출고작동이 통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다층 단열식으로된 기존의 입체주차장치에 비하여 주차수용효과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신규의 발명이다.

Claims (1)

  1. 입체 주차건물의 중앙에 이동통로를 마련하고, 이 이동통로 양측에 다층상태의 주차격납실을 복열상으로 구성한 다음 이동통로 상,하부에 고정실치한 상,하부 레일을 활주하는 상,하부측 이동대차에 입출고용 승강장치를 설치하고, 이의 내측에는 원치장치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승강용 레일을 타고 승강작동하는 입출고용선반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승강자유롭게 설치하여 다층복열상으로 구성된 각 주차격납실의 주차용격납선반에 자동차를 자체적으로 입출고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모우터, 감속장치 및 선회축으로 구성된 선회구동부를 구비하고, 선회축은 입출고용선반의 회전지지대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회전지지대의 선회바퀴는 원형레일을 타고 활주케하는 구성으로 입출고용 선반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선회구동부를 구비하되, 입출고용선반은 다수의 로울러로 구성되며, 각 로울러의 일측축에는 두 개를 한 쌍으로 하는 체인 기어를 축설하고, 이들 각 체인기어들은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되는 체인에 의해 연설되어 각 로울러중 어느 하나의 로울러의 연장단에 축착된 연동체인이 구동모우터의 체인기어에 연결된 체인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출고용선반의 양측 끝에 설치된 로울러의 타측축에 두 개의 기어를 축설하고, 이들 기어에는 양측의 힌지에 결합된 실린더와, 그 피스톤 선단이 핀축으로 유착된 클러치브라켓트의 중간기어가 치합 상태로 이동하면서 기어의 회전력을 주차용 격납선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주차격납실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용격납선반은 다수개의 로울러를 구성하고, 각 로울러의 일측축에 두 개가 1쌍인 체인기어를 각각 축설하고 이들 체인기어들을 체인으로 지그재그 상으로 연설하고 선단측 로울러 타측축에는 연동기어를 축설하여 입출고용선반의 중간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열식 입체주차장치.
KR1019920013589A 1992-07-29 1992-07-29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KR015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589A KR0157639B1 (ko) 1992-07-29 1992-07-29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589A KR0157639B1 (ko) 1992-07-29 1992-07-29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458A KR940002458A (ko) 1994-02-17
KR0157639B1 true KR0157639B1 (ko) 1998-11-16

Family

ID=1933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589A KR0157639B1 (ko) 1992-07-29 1992-07-29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482A (zh) * 2019-04-18 2019-06-28 鲁东大学 一种立体小型停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458A (ko)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3618A (ja) 車のような物体を収容するための機械化した全自動制御装置
CA2045669A1 (en) Mechanical car-parking facility
CN104695746A (zh) 一种取车器及其使用方法
CN112282462B (zh) 具有平层装置和回转功能的横移台车存取车辆的方法
CN109235981B (zh) 一种立体停车库及停车系统
CN101289903A (zh) 车位升降伸缩式立体车库
KR0157639B1 (ko)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KR20180085902A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CN207194552U (zh) 一种新型升降横移类车库
KR20060048886A (ko) 다층형 주차설비
JPH0390781A (ja) 多層式自動車駐車場
CN101967897B (zh) 绿色环保休闲式智能停车库
US2930496A (en) Storage apparatus
CN201763023U (zh) 绿环休闲式智能停车库
CN201588425U (zh) 一种立体车库
RU233174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уровневая стоянка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винтовое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оставной ходовой винт
JPH0447114B2 (ko)
US2190086A (en)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CN210067575U (zh) 一种立体停车场
CN2272475Y (zh) 一种部分可置入地面的单元式组合车库
KR102629268B1 (ko) 양방향 회전승강 주차장치
KR900005580B1 (ko) 자동차의 입체식 자동 주차장치
RU2238381C2 (ru) Многоэтажна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KR940005914Y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입체식 주차장치의 입, 출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