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95B1 -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095B1
KR102622095B1 KR1020210056406A KR20210056406A KR102622095B1 KR 102622095 B1 KR102622095 B1 KR 102622095B1 KR 1020210056406 A KR1020210056406 A KR 1020210056406A KR 20210056406 A KR20210056406 A KR 20210056406A KR 102622095 B1 KR102622095 B1 KR 10262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vehicle
unit
exi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146A (ko
Inventor
김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큐브
Priority to KR102021005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본 발명은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주차설비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격납 컨베이어에는 해당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각각 구비된다.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10-0403484호를 살펴보면,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동력발생장치(501, 502)를 이용하여 차량의 승하강 및 좌우이송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의 경우, 동력전달 및 변환 과정이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승강엘리베이터와 좌우변환에 복잡한 동력변환과 동력전달장치들이 수반됨에 따라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기술의 경우, 차량의 프론트 바퀴 및 리어 바퀴 하부와 스토퍼가 밀착되는 경우, 바퀴의 고무 재질에 의해 스토퍼의 밀착면에 강한 마찰력이 형성됨에 따라 원활한 차량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348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은 수평멤버 및 수직멤버에 의하여 좌우측이송로가 다층구조로 구성된 주차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동력이 컨트롤 장치를 통해 좌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과정을 제어하는 클러치장치, 타이밍장치, 차량의 입고부, 이송부 및 출차부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식 승하강 견인과 컨베이어 벨트식 수평 이송을 위한 장치들이 내장된 차량이송장치부 및 상기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로 구성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전후좌우 멤버들로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가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에 접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는 좌측 및 우측 구동 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되는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의 동력 입출력 제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와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501, 150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거리를 제어하는 입출 제어부(10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되는 차량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출 이동부(15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2000) 및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의 전방에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가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밀착 시 차량이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 바퀴가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스토퍼(7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700)와 상기 프론트 바퀴의 밀착면은 상기 스토퍼(700)와 상기 프론트 바퀴 간 마찰력이 감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요철이 있는 하측유니트(551)와 상측유니트(551a)가 일체로 끼워 맞추어진 컨베이어유니트(u)들과 핀구멍(580)을 통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들에는 체결공(57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77)에는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구동핀(579)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700)는 스토퍼 하우징(701), 상기 스토퍼 하우징(701)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702) 및 상기 회전축(702)에 마련되는 회전롤러(703)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의해 차량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된 상기 회전롤러(703)가 차량의 이동 방향에 상응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차량의 입출고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장치, 차량을 좌우로 이송하게 하는 장치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들이 각각 구성되면서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이송 팔레트를 이용한 차량 입고 방식에 비해 소요 시간 및 소모 동력이 대폭 축소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차량의 전륜측 바퀴가 안착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보다 후륜측 바퀴가 안착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을 훨씬 넓게 형성함으로써 차량 별 다양한 축거(wheelbase)를 범용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스프로킷 및 슬라이더 간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좌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우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 및 입출 이동부(1500)의 다층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설치상태 중 클러치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가 프론트측 및 리어측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 각각 구동 스프로킷과 체결 및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700)의 각도 조정부를 통해 회전축(702)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종 별 주차위치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통해 실제 차량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스프로킷 및 슬라이더 간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좌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우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 및 입출 이동부(1500)의 다층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설치상태 중 클러치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가 프론트측 및 리어측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 각각 구동 스프로킷과 체결 및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700)의 각도 조정부를 통해 회전축(702)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종 별 주차위치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을 통해 실제 차량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은 수평멤버 및 수직멤버에 의하여 좌우측이송로가 다층구조로 구성된 주차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동력이 컨트롤 장치를 통해 좌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과정을 제어하는 클러치장치, 타이밍장치, 차량의 입고부, 이송부 및 출차부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식 승하강 견인과 컨베이어 벨트식 수평 이송을 위한 장치들이 내장된 차량이송장치부 및 상기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로 구성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전후좌우 멤버들로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가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에 접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는 좌측 및 우측 구동 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되는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의 동력 입출력 제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와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501, 150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거리를 제어하는 입출 제어부(10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되는 차량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출 이동부(1500) 및 상기 입출 제어부(10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2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501)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와,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502)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2a)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502b) 중에서, 상기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502b)의 폭이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 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이나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은 통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H빔과 같은 구조강이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차량 하중 지지 및 제어장치들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에 마련되는 각 컨베이어 벨트(501, 601)의 회동은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하며, 전후좌우멤버들에 의하여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으로부터 연장된 아웃프레임(520)에 의하여 다층구조로 구성된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가 구동된다.
본 발명에서 도 17에 도시한 것은 실제 차량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측과 우측에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가 배치되며, 중앙에는 차량을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승하강장치(2000)가 설치된다.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상부에는 차량을 적재하는 차량적재부(3000)가 설치되며, 이 차량적재부(3000)의 하부에는 좌측 및 우측 구동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하는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벨트(501, 601)로 적재된 차량이 좌우로 임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 및 배출을 위한 핵심 부분으로써, 정면중앙부에 구동모터(M)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하여 출력축(11)으로 출력하도록 하고, 구동모터(M)의 후방에 회전 감지 센서부(12)가 마련되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출력축(11)에 설치되어 전달된 동력을 입출 제어부(1000)의 컨베이어 벨트에 변환 전달하는 제1 치차(13),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치차(14)들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치차(13)에는 좌우측에 설치된 입출제어부용 구동축(15, 16)에 동력전달수단(101)에 의하여 동력 전달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2 치차(14)에도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전달수단(102)에 의하여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에 연결된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좌측 및 우측 구동스프로킷(560, 660)에 전달되도록 좌측 및 우측 레버(201,201a)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레버(201,201a)에 대한 동작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좌측 및 우측 유공압실린더부(203, 204)로 구성된 제어기구부를 포함하는 입출 제어부(1000)로 구성된다.
제어기구부는 좌측 및 우측 유공압실린더(203, 204)의 작동로드(203a, 204a)와 연결된 좌측 및 우측 레버(201, 201a)가 핀(206, 206a)을 중심으로 작동로드의 전후진동작에 의하여 작동레버의 선단부(202, 202a)와 연결된 시프트포크(205,205a)가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의 구동축을 향하여 전후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좌우측으로 차량을 이송하거나 출차 시 중앙의 적재부와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해당 공간에 차량의 휠 하부가 걸리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좌측 및 우측 유공압실린더(203, 204)의 작동로드(203a, 204a)와 연결된 좌측 및 우측 레버(201, 201a)의 중앙부근에 좌측 및 우측 타이밍 벨트(220, 220a)의 일단을 연결하고, 이 타이밍벨트(220, 220a)의 타단은 좌측 및 우측 아이들 치차(221, 221a), (222)(222a)를 거쳐 좌측 및 우측 인터록킹 벨트(223, 223a)의 좌측 및 우측 시프트레버(224, 224a)에 연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는 중공의 원통형구조인 억셉트 치차(303, 303a)와 싱크로나이져(304, 304a)가 서로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 가능하도록 하되, 억셉트 치차(303, 303a)의 내측면나사홈(305)에 싱크로나이져(304, 304a)의 외측나사돌기(306)가 서로 맞물림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싱크로나이져(304, 304a)의 선단에는 센터링축(307)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억셉트 치차(303, 303a)의 내측 후면부(308)는 스프링(309)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시프트포크의 전후진동작에 연동하여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좌우측에 대한 동력전달을 차량의 진행과 맞추어 진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와 입출 이동부(1500)의 컨베이어 벨트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살펴보면, 요철이 있는 하측유니트(551)와 상측유니트(551a)가 일체로 맞물린 컨베이어유니트(u)들이 핀구멍(580)에 의하여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형태로 구성하며, 이 컨베이어유니트들에는 체결공(57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77)에는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구동 핀(579)이 삽입되어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회동으로 컨베이어에 실린 차량이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 컨베이어 벨트(501)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 우측 컨베이어 벨트(502)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2a)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 리어 컨베이어 벨트(502b)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에 있어서,
각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502b)에 해당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의 길이(d2)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601a)에 해당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의 길이(d1)에 비해 길이가 훨씬 길게 형성된다. 이는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601b)의 폭이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601a)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축거(wheelbase)가 짧은 경차에서부터 축거가 긴 대형차에 이르기까지 모든 차종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601b)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가 앞서 살펴본 형상과 다르게 다수의 부분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컨베이어구동롤러(578) 또한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601b)의 부분 수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모든 컨베이어구동롤러(578)가 함께 작동되는 것이 아닌, 차량의 축거에 따라 실제 리어측 휠이 안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컨베이어구동롤러(578)만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토퍼(700)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의 전방에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가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밀착 시 차량이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걸림턱 역할을 함과 동시에, 프론트 바퀴가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정확히 위치 및 안착되도록 하며, 특히 스토퍼(700)와 프론트 바퀴 간 마찰력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700)의 각도 조정부를 통해 회전축(702)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살펴보면, 스토퍼(700)는 스토퍼 하우징(701), 스토퍼 하우징(701)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702) 및 회전축(702)에 마련되어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703)로 구성된다.
이때, 회전롤러(703)는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며, 입출 이동부(1500)에 의해 차량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송되는 경우 프론트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프론트 바퀴와의 마찰력이 제거되도록 한다.
차량의 바퀴는 고무재질이기 때문에, 스토퍼(700)에 회전롤러(703)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스토퍼(700)의 밀착면에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측방 이동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롤러(703)가 차량의 이송 방향에 상응하도록 회전하면서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스토퍼(700)는 도 15와 같이, 프론트 바퀴와 회전롤러(703)가 밀착되는 순간, 프론트 바퀴의 하부와 회전롤러(703)가 이루는 각도를 센싱한 후,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최대한의 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회전축(702)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차의 경우 휠 사이즈가 16인치에서 17인치로 작게 형성되고, 대형 SUV의 경우 크게는 23인치 까지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종류에 따라, 차량 크기에 따라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서로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정부에서는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센싱한 후, 만약 최대한으로 밀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회전축(702)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최대한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스토퍼(700)는 프론트 바퀴가 회전롤러(703)에 밀착되는 순간, 회전롤러(703)에 가해지는 밀착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이 전진하여 프론트 바퀴가 스토퍼(700)의 회전롤러(703)를 과도하게 미는 경우 회전축(702)이 이탈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회전축(702)과 연결된 댐퍼가 프론트 바퀴로부터 가해지는 밀착력을 일부 상쇄시킴으로써 회전축(702)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와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502b) 사이에는 차량진입감지스위치(580)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진입감지 스위치(580)는 차량 진입 시 차량 바퀴의 압력을 감지하여 메인컨트롤러에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의 전방에 마련된 스토퍼(700)가 유공압실린더(582)에 의해 수직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가 스토퍼(700)에 접하면서 차량의 전진이 제한됨에 따라, 프론트 바퀴 및 리어 바퀴가 각각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정확히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수평멤버 및 수직멤버에 의하여 좌우측이송로가 다층구조로 구성된 주차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동력이 컨트롤 장치를 통해 좌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과정을 제어하는 클러치장치, 타이밍장치, 차량의 입고부, 이송부 및 출차부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식 승하강 견인과 컨베이어 벨트식 수평 이송을 위한 장치들이 내장된 차량이송장치부 및 상기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로 구성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전후좌우 멤버들로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가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에 접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는 좌측 및 우측 구동 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되는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의 동력 입출력 제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와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501, 150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거리를 제어하는 입출 제어부(10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되는 차량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출 이동부(15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2000); 및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의 전방에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가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밀착 시 차량이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 바퀴가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스토퍼(7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700)는,
    스토퍼 하우징(701);
    상기 스토퍼 하우징(701)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702); 및
    상기 회전축(702)에 마련되는 회전롤러(703); 및
    프론트 바퀴와 회전롤러(703)가 밀착되는 순간, 프론트 바퀴의 하부와 회전롤러(703)가 이루는 각도를 센싱한 후,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최대한의 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회전축(702)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롤러(703)와 상기 프론트 바퀴의 밀착면은, 상기 회전축(702)이 상기 프론트 바퀴 간 마찰력이 감쇄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마련하며,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의해 차량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된 상기 회전롤러(703)가 차량의 이동 방향에 상응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의 상측단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의 하측 유니트(551)의 외측저면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요철이 있는 하측유니트(551)와 상측유니트(551a)가 일체로 끼워 맞추어진 컨베이어유니트(u)들과 핀구멍(580)을 통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들에는 체결공(57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77)에는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구동핀(579)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4. 삭제
KR1020210056406A 2021-04-30 2021-04-30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KR10262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06A KR102622095B1 (ko) 2021-04-30 2021-04-30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06A KR102622095B1 (ko) 2021-04-30 2021-04-30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46A KR20220149146A (ko) 2022-11-08
KR102622095B1 true KR102622095B1 (ko) 2024-01-09

Family

ID=8404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06A KR102622095B1 (ko) 2021-04-30 2021-04-30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730A (ja)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輪止め及び輪止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756A (ja) * 1992-07-31 1994-04-05 Toyo Umpanki Co Ltd 車両の移送装置
KR100403484B1 (ko) 2000-10-20 2003-10-30 백윤강 주차타워시스템
KR101319810B1 (ko) * 2008-12-30 2013-10-17 백윤강 다층구조의 기계식 주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730A (ja)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輪止め及び輪止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46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10B1 (ko) 다층구조의 기계식 주차시스템
US7008164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US6168365B1 (en) Parking facility with movable pallets for carrying vehicles to storage locations
KR102622095B1 (ko)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KR101893284B1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US5024314A (en) Escalator system with convertible steps for wheel chair
KR20220149145A (ko)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KR100403484B1 (ko) 주차타워시스템
JP3830406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停止制御装置
KR0151104B1 (ko) 무인반송차
JP3122441B1 (ja) 昇降装置
KR20190013330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JP2004060156A (ja) 駐車装置の入出庫方法及び駐車装置
KR200220622Y1 (ko) 편측지지 차량이송로봇
KR200184334Y1 (ko) 다중 엘리베이터식 주차설비
JP2591903B2 (ja) 駐車場設備
JP3210559B2 (ja) 搬送機の車輪止め装置
KR200247117Y1 (ko) 후륜 끌기형 차량이송로봇
JP2001146852A (ja) 駐車装置
KR20000008131U (ko) 횡행식 주차설비의 승강 파레트 가이드 장치
KR20180009134A (ko) 스마트 다층구조 주차시스템
JPH0776950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456079B2 (ja) 車の昇降搬送設備
KR19990071341A (ko) 기계식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