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341A - 기계식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341A
KR19990071341A KR1019980013960A KR19980013960A KR19990071341A KR 19990071341 A KR19990071341 A KR 19990071341A KR 1019980013960 A KR1019980013960 A KR 1019980013960A KR 19980013960 A KR19980013960 A KR 19980013960A KR 19990071341 A KR19990071341 A KR 1999007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ow
storage
lift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조 모리
Original Assignee
사카이 하지메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이 하지메,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카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1999007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열의 격납실, 반송대차, 리프트 사이에서 트레이를 효율적으로 수수(授受)할 수 있고 자동차의 입출고를 원활하고도 신속히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복수의 격납실(3) 중에서 적어도 1곳은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정하여,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2)상에 탁재하여 선회암(11)의 단순한 선회동작을 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와, 제1, 제2의 열간에 설치되어 훅(21)의 단순한 직진동작을 하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로 구성되며,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반송대차(2)와 제1열과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 하고,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에 의하여 제1, 제2열간에서 트레이(4)를 수수 하도록 한다. 또 R, L 양사이드 제1열의 중앙에 2기의 리프트 5R, 5L을 설치하고 이들 리프트5R, 5L과 반송대차(2)와의 사이에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트레이(4)를 수수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장치
본 발명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가늘고 긴 평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계식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주차장치는 트레이 반송용의 반송대차(搬送臺車)가 왕복주행하는 반송로와, 그 양측을 따라 배열되어 각각 트레이를 배치하는 복수의 격납실을 구비하고, 반송대차상에 트레이 이송장치를 탑재하여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출납하도록 되어 있다
도13에 트레이 이송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본원 출원인이 개시한 일본국 특공평 7-33734호 공보의 발명이다. 이 트레이 이송장치는 반송대차(71)에 있어서 그 폭방향의 중심위치에 선회중심이 설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선단(先端)이 격납실(73)측으로 소요 치수 만큼 돌출된 길이를 갖는 선회암(81)과, 선회암(81)의 선단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82)와, 선회암(81)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로서 감속기가 붙은 구동모터(83)를 구비하여 선회암(81)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결합부재(82)를 트레이(74) 하면(下面)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착된 앵글모양의 가이드부재(75)에 결합, 이탈시켜 반송대차(71)와 각 격납실(73)과의 사이에서 트레이(74) 수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승입부(承入部)와 각 격납층과의 사이에는 통상 리프트가 1기(1基) 설치되어 이 리프트와 격납층의 반송대차와의 사이에 있어서도 같은 형태로 트레이 이송장치의 선회암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트레이가 수수되어 반송대차에서 리프트로 수수된 트레이는 자동차의 승입부로 이송되고, 리프트에서 반송대차로 수수된 트레이는 격납실로 이송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주차장치에서는 반송로의 양측 또는 한측에 격납실을 2열로 인접시켜 배열함으로써, 자동차 수용대수의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이 경우 반송대차와 제1, 제2열의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할 수 있는 트레이 이송기구를 필요로 한다. 그 한 예가 특개평 7- 13920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도13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응용한 것으로써,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모터를 탑재한 장치 본체(91)와, 기단(起端)을 제1모터측의 출력축(出力軸)에 고정시킨 제1암(92)과, 일단은 제1암(92) 선단의 회전축(93)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트레이 뒷면에 배치된 가이드부재에 결합하는 롤러(94)를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한 제2암(95)과, 트레이의 이송시에 제1암(92), 제2암(95)이 서로 떨어지는 신장상태(伸張狀態)의 자세가 되도록 두 암 즉, 제1암(92), 제2암(95)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암작동수단(96)과, 트레이 이송시롤러(94)를 수평이동시켜 롤러(94)를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결합·이탈시키는 시프트(shift)수단(97)을 구비한다.
자동차의 출고시에,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1암(92)이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동작에 의하여 암 작동수단(96)이 작동한다. 제1암(92)에 상하로 겹쳐져 접힌 상태로 된 제2암(95)이 제1암(9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암(92)에서 떨어지는 신장상태로 되고, 제2암(95) 선단의 롤러(94)가 앞쪽 또는 구석쪽의 격납실에 있는 트레이(74) 뒷면의 가이드부재에 다다른다. 그리고 롤러(94)가 시프트수단(97)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여 가이드부재에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제1암(92)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암이 제1암(92)에 상하로 겹쳐져 접힌 상태로 되어, 트레이(74)가 앞쪽 또는 구석쪽의 격납실에서 인출(引出)되어 반송대차상으로 이송된다. 자동차의 입고시는 반송대차상의 차재(車載) 트레이가 상기와 반대 동작에 의하여 앞쪽 또는 구석쪽의 격납실(73)측에 인입되어 이송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후자(後者)의 트레이 이송장치에서는 반송대차와 제1, 제2열의 각 격납실의 사이로 트레이를 이송하는 데에 두 암을 전부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두 암이 늘어났을 때에 상당한 길이가 된다. 이 때문에 선단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트레이 이송장치 전체의 강성(剛性)을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도13의 트레이 이송장치와 비교하여 장치가 크고 복잡하게 된다. 또한 암의 동작이 복잡하게 되어, 그 만큼 트레이를 바꿔 태우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에 격납실층과 자동차의 승입부 사이의 트레이 이송은 통상1기의 리프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격납실층의 반송대차에서 리프트로 트레이가 수수되어 리프트로 이송되어 버리면, 예를 들어 출고의 지시에 의하여 그 격납실층에서 트레이를 반송하라는 요구가 계속되어도 리프트로 이송중인 트레이가 그 격납실층에 되돌아와 반송대차가 격납실로 되돌려지기까기 반송대차는 대기하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반송대차의 가동효율이 좋지 않고 격납실, 반송대차, 리프트사이에 있어서 트레이의 수수에 원활성이 없고, 자동차의 입출고를 신속히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계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단순하고도 신속한 동작의 트레이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복수열의 격납실, 반송대차, 리프트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자동차의 입고, 출고를 원활하고 신속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계식 주차장치의 일부를 생락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주차장치의 제1, 제2열의 격납실 및 그 곳에 배 치된 트레이의 일부가 생략된 평면도,
도 3은 상기 주차장치의 제2열의 격납실 및 트레이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주차장치에 구비된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주차장치의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상기 주차장치의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상기 주차장치의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이용되는 훅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상기 주차장치의 자동차 출고(出庫)준비에 있어서 동작예 를 시계열(時系列)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상시 주차장치의 자동차 출고 운전에 있어서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상기 주차장치의 자동차 입고(入庫) 또는 출고 운전에 있어 서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상기 주차장치의 자동차 입고 또는 출고 운전에 있어서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상기 주차장치의 자동차 입고 또는 출고 운전에 있어서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기계식 주차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트레이 이송장 치의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기계식 주차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별도의 트레이 이송장치의 일부 생략 사시도,
도 15는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반송로(搬送路) 1O1 : 한 쌍의 레일(rail)
2 : 자주식 반송대차(自走式 搬送臺車)
3 : 격납실(格納室) 301 : 한 쌍의 횡행레일(橫行 rail)
4 : 자동차 적재용 트레이(tray)
401 : 가이드부재(guide 部材) 402 : 결합핀(結合 pin)
51R, 5L : 리프트(lift)
51 : 횡행레일(橫行 rail) 52 : 승강부재(昇降部材)
G : 가이드 레일(Guide rail) 6R, 6L : 승강로(昇降路)
l0 :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移送裝置)
11 : 선회암(旋回 arm) 12 : 결합부재(結合部材, 롤러(roller))
13 : 선회구동장치(旋回驅動裝置)
20 :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 21 : 훅(hook)
22 : 훅 플레이트(hook plate) 23 :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24 : 환공(丸孔) 25 : 장공(長孔)
26 : 구동장치(驅動裝置) 27 : 스프로켓(sprocket)
28 : 롤러 체인(roller chain) 29 : 구동모터(驅動 motor)
30 : 프레임(frame) 31 :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32 :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 32G : 가이드부(guide 部)
33 : 보조 프레임(補助 frame)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계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반송로의 양측 또는 한측의 격납실의 열수를 N으로 한 경우, 적어도 (N-1)곳은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치하고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에 탑재하여 선회암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반송대차와 제l열의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와, 제1열의 격납실과 그 외측의 격납실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훅의 직진동작에 의해 제1열의 격납실과 그 외측의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의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2기의 리프트를 반송로의 앙측에서 상호로 대향하는 제1열의 격납실분의 스페이스상에 설치하여 이들 리프트와 반송대차와의 사이에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의하여 트레이를 수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단순하고도 신속한 동작의 트레이 이송기구를 실현하고, 복수열의 격납실, 반송대차, 리프트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 자동차의 입고, 출고를 신속히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1 기재의 기계식 주차장치는 반송로의 측방에 인접하는 각 격납실의 열수를 N으로 하였을 때 (N-1)곳의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치하고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상으로 그 폭방향의 중심위치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시켜 선단부가 제1열의 격납실측에 소요치수 만큼 돌출하는 길이를 구비하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각 트레이의 하면에 배치된 가이드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하는 선회구동장치를 구비하는 반송대차와 제1열의 격납실의 사이에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 및 제1열과 그 외측열의 각 격납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트레이와 결합 가능한 훅과 그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제1열의 격납실과 그 외측의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구성함과 아울러 반송로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열의 한 격납실분의 스페이스상에 각각 리프트의 승강로를 설정하고, 2기의 리프트를 각각 트레이용의 횡행레일을 배치한 승강부재의 그 승강구동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1열에 대하여 외측의 격납실에서 자동차를 출고하는 경우는 제1,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의 연계동작에 의하여 그 자동차의 앞에 있는 트레이를 그 열의 빈 격납실에 넣기 위하여,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반송대차에 싣는다. 그리고 반송대차를 빈 격납실의 앞까지 주행시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빈 격납실에 트레이를 격납한다. 이 조작을, 끌어 낼 자동차 트레이가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제1열로 올 때 까지 반복한다. 이 경우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는 반송대차가 주행 이동중에 조작하여 작동시킨다. 꺼내어진 자동차의 트레이가 제1열에 오면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반송대차상에 싣고, 꺼내어진 측의 리프트위치까지 주행시켜, 그 리프트의 앞에서 정지하고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 그 리프트에 실린다. 거기서 리프트는 승강이동하여 입출고층에 정지하고 출고가능 상태로 된다.
또 자동차를 소정의 격납실에 입고시키는 경우는 상기와 역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2 기재의 기계식 주차장치는 청구항1의 구성에서 리프트의 승강로를 제1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 설정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로의 양단에서 2기의 리프트까지의 반송대차의 이동거리가 균등하게 되고 격납실 전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3 기재의 기계식 주차장치는 청구항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서 훅의 구동장치가 한 쌍의 스프로켓과 이들 스프로켓 사이에 감겨진 체인과 한 쪽이 스프로켓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훅을 체인에 고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를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1에서 도12까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계식 주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주차장치는 지하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격납실층은 각각 도l에 나타내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1에 있어서 1은 반송로로서 가늘고 긴 평면의 짧은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향하여 설정되어 있다. 이 반송로(l)상에는 한 쌍의 레일(101)이 부설(敷設)되어 있다. 또 이 레일(10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반송대차용의 급전부(給電部)가 배치되어 있다.
2는 트레이(4)를 반송하는 자구식 반송대차로서, 반송로(1)의 한 쌍의 레일(101)상에 배치되어 반송대차(2) 구비되었으나 도시되지 않은 집전부(集電部)와 레일(101)의 집전부와의 접속에 의하여 급전되어 한 쌍의 레일(101)상을 왕복구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3은 반송로(1)의 양측을 따라서 2열씩 배열된 격납실로서 각각 한쌍의 횡행레일(301)을 구비하여 이들 한 쌍의 횡행레일(301)의 위에 트레이(4)가 차륜을 싣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로(1)를 경계로 우측 한쪽의 사이드를 R사이드, 좌측의 다른쪽 사이드를 L사이드로 한다. 그리고 다시 반송로(1)의 R, L양사이드에서 반송로(1)에 인접하는 내측의 격납실(3)의 열을 제1열, 그 외측의 격납실(3)의 열을 제2열로 칭하여 구별한다.
또 여기서 이용되는 트레이(4)에는 도2,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면의 소정의 위치에, 후술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결합부재(12)에 결합 가능한 앵글상의 가이드부재(401)가 붙어 있다. 또 반송로(1)의 R, L 양사이드의 제2열에 배치된 트레이(4)에는 그 하면측의 외측에 상당하는 측부의, 트레이(4)의 전후방향 중간부 소정의 위치에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핀(402)이 트레이(4)의 전후방향을 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1에 있어서 5R, 5L은 각각 각 격납실층과 자동차 승입부를 연락하는 리프트이고 6R, 6L은 각각 승강로이다. 이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R, L 양사이드의 제1열의 격납실(3)중 그 배열방향(길이방향) 중앙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한 격납실분의 스페이스상에 각각 리프트의 승강로 6R, 6L을 설정하고, 2기의 리프트 5R, 5L은 각각 트레이(4)용의 한 쌍의 횡행레일(51)을 배치한 승강부재(52)와 그 승강구동장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승강부재(52)에는 특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앞측(반송로(1)측)에 트레이(4)의 잠금 장치, 그 구석측에 트레이(4)의 엔드 스토퍼(end stopper)를 각각 구비하여 한 쌍의 횡행레일(51)상에 실린 트레이(4)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승강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지(周知)의 감속기가 부착된 구동모터, 스프로켓,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구동체인 등을 구비하고 구동체인에 연결한 승강간(乘降杆)을 가이드 레일G내로 승강구동하여 한 쌍의 승강부재(52)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운용상 도1에 있어서 우측의 리프트 5R은 이 리프트5R이 설치되어 있는 반송로(1)의 일방, 즉 R사이드에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4)의 전용리프트로 설정하고, 좌측의 리프트 5L은 이 리프트 5L이 설치되어 있는 반송로(1)의 일방 즉 L사이드에 배치된 트레이(4)의 전용 리프트로서 설정되어 사용된다.
10은 반송대차(2)에 탑재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서 선회암(11)과 선회암(11)의 결합부재(12)와 선회암(11)의 선회구동장치(13)를 구비하고 반송대차(2)와 R, L 양사이드의 제1열의 각 격납실(3)과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있어서 선회암(11)은 그 선회중심이반송대차(2)의 폭방향 중앙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암(11)은 선회동작에 있어서 그 선단이 R, L양사이드의 제1열의 격납실(3)측에 소요 치수만큼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선회암(11)의 결합부재(12)는 롤러이고, 선회암(11)의 선단상면에 축지(軸支)되어 있다.
선회암(11)의 선회구동장치(13)는 직결형(直結型) 서버 모터(servo motor)로서 그 회전축에 선회암(11)이 붙어 있고, 선회암(11)의 선회동작에 있어서 펄스 신호에 의한 선회암(11)의 선회정지위치가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도1에 있어서 20은 각각 R, L양사이드의 각 제2열의 각 격납실(3)에 설치되고 제1열의 각 격납실(3)과의 사이에도 걸쳐지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로서 도2, 도3,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에 대하여 그 결합핀(402)에 결합 가능한 훅(21)과, 그 구동장치(26)를 구비하여 제1, 제2열의 각 격납실(3)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도록 되어 있다.
훅(21)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훅 플레이트(20)로 이루어지고 이들 훅 플레이트(22)가 트레이(4)의 결합핀(402)을 양측에서 협지(挾持)가능하도록 구동장치(26)에 붙어 있다. 또 한 쌍의 훅 플레이트(22)간은 가이드 플레이트(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가이드 플레이트(23)에는 한쪽 끝에 환공(24), 다른 끝에 장공(25)을 가지며 한 쪽의 훅 플레이트(22)는 환공(24)측으로 축지됨과 함께 다른쪽의 훅 플레이트(22)는 장공(25)측에서 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양 훅 플레이트(22)간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구동장치(26)는 도3,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프로켓(27)과, 이 스프로켓(27)간에 감겨지는 롤러 체인(28)과, 한 쪽의 스프로켓(27)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29)를 구비하며, 이들은 프레임(30)상에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30)은 도4,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각통형(角筒形)의 베이스 프레임(31)과, 베이스 프레임(31)상에 가운데가 빈공간을 형성하여 배치되고 상면에 베이스 프레임(31)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릿상(slit 狀)의 가이드부(32G)가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32)과, 베이스 프레임(31)의 한쪽끝 연장상에 배치된 상형(箱形)의 보조프레임(33)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레임(30)은 도1 또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격납실(3)에 있어서 한 쌍의 횡행레일(301)간의 소정의 위치에 각 횡행레일(301)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설치상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31)의 끝단이 제2열의 격납실(3)의 구석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베이스 프레임(31)의 다른쪽 끝, 즉 연장되는 보조 프레임(33)이 제1열의 격납실(3)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열, 제2열의 각 격납실(3)간에 걸쳐있는 배치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로켓(27)의 한쪽은 도4 또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의 일단(격납실(3)의 구석측)에 축지되어 베이스 프레임(31)측과 가이드 프레임(32)측에 결쳐져 회전가능하게 붙어 있다. 한 쌍의 스프로켓(27)의 타방은 도4에 나타내는 베이스 프레임(31)의 타단, 즉보조프레임(33)에 일방의 스프로켓(27)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축지됨과 아울러 구동측 스프로켓(27)으로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의 측면에 고정된 구동모터(29)에 연결되어 작동된다.
롤러 체인(28)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내와 가이드 프레임(32)내를 통하여 양 스프로켓(27)간에 감겨져 양 프레임(31), (32)간에 회전가능하도록 붙어 있다. 또 롤러 체인(28)에는 그리스(grease)가 도포되면서 그 동작중 기름방울이 낙하하지만, 이 프레임(31)의 구조로 인하여 기름방울이 각통형의 베이스 프레임(31)내에 모이기 때문에 하방의 격납실에 격납되어 있는 자동차에 기름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훅(21)(한 쌍의 훅 플레이트(22))는 각각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롤러 체인(28)에 인접하는 링크 플레이트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도4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2)의 가이드부(32G)상에 세워져 있다. 훅(21)이 가이드부(32G)의 안내에 의하여 일방의 스프로켓(27)에서 타방의 스프로켓(27)까지 직진 왕복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반송대차(2)상의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와 R, L 양사이드의 제2열의 각 격납실(3)과 제1열의 격납실(3)측에 걸쳐 설치된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로 트레이 이송기구를 구성한다.
다음에 이 기계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이송기구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는 반송로(1)상에 있어서 R, L 양사이드의 제l열의 격납실(3) 또는 각 리프트5R, 5L(이 동작 설명중에서 이하 단지 제1열이라 함)에서 트레이(4)를 반송대차(2)상으로 끌어내는 트레이 인출동작과, 트레이(4)를 반송대차(2)에서 제1열의 격납실(3)또는 각 리프트 5R, 5L(이 동작 설명중에서 이하 단지 제1열이라 함)로 보내는 트레이 송출(送出)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트레이 인출동작은 우선 선회구동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그 회전축이 회전하고, 선회암(11)이 반송로(1)와 평행한 초기 정지위치에서 R사이드 또는 L사이드의 제1열을 향하여 선회하여 간다. 선회암(l1)의 선단이 제1열 안으로 들어가고, 선회암(11) 전체가 제1열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위치까지 선회되면 결합부재(12)가 트레이(4) 하면의 가이드부재(401)의 끝단에 들어간다. 결합부재(12)가 가이드부재(401)를 따라 이동하고, 선회암(11)의 선회와 함께 트레이(4)가 한 쌍의 횡행레일(301)상을 따라 선회암(11)의 선회방향으로 인출(引出)되어 반송대차(2)상에 인입되어 간다. 선회암(11)이 트레이(4)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위치까지 선회한 시점에서 결합부재(12)는 트레이(4)의 가이드부재(401)의 종단(終端)근처까지 가고, 거기서부터는 계속되는 선회암(11)의 선회에 따라 결합부재(12)가 가이드 부재(401)상을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하여 선회암(11)이 소정의 선회각도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정지되어 트레이(4)가 반송대차(2)상으로 완전히 옮겨진다.
이에 대하여 트레이(4)의 송출동작은 선회암(11)이 되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선회에 의하여 반송대차(2)에서 트레이(4)를 송출하여 제1열로 옮긴다.
도1에 있어서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는 제2열의 각 격납실(3)에서 그 앞열, 즉 제1열의 격납실(3) 또는 각 리프트 5R, 5L (이 동작 설명중에서, 이하 단지 제1열이라 함)로부터 트레이(4)를 송출하는 트레이 송출동작과, 그 반대로 제1열의 격납실(3) 또는 각 리프트 5R, 5L(이 동작설명중에서 이하 단지 제1열이라 함)로부터 제2열의 격납실(3)로 트레이(4)를 인출하는 트레이 인출동작을 행한다.
트레이 송출동작의 경우 제2열의 격납실(3)상의 트레이(4)에 대하여그 하면측의 결합핀(402)에 결합중인 훅(21)이 그 구동장치(26)에 의하여 작동된다. 즉 구동모터(29)에 의해 스프로켓(27)이 회전구동되어 롤러 체인(28)이 회전되면 훅(21)이 롤러 체인(28)의 회전방향, 이 경우 격납실(3)의 구석측에서 앞측을 향하여 직진이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트레이(4)가 한 쌍의 횡행레일(301)상을 제 2열의 격납실(3)로부터 제1열로 가로이동된다. 트레이(4)가 제1열로 완전히 옮겨지는 동시에, 도4중 2점쇄선(2点 鎖線)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훅(21)의 한 쌍의 훅플레이트(22)가 구동측의 스프로켓(27)상을 타고 그 주회궤도(周回軌道)에 들어가 거기서 양 훅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3)의 장공(25)에 의해 선행하고 훅 플레이트(22)가 후속의 훅 플레이트(22)로부터 떨어져 둘 사이가 벌어진다. 이 상태에서 구동장치(26)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행하는 훅 플레이트(22)와 결합핀(402)의 결합이 풀어지고 제1열로 옮겨진 트레이(4)가 반송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즉 반송대차(2)상의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한 트레이(4)의 인출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트레이 인출동작의 경우는 그 반대로, 열려진 상태의 훅(21)이 그 구동장치(26)의 반전동작(反轉動作)에 의하여 작동된다. 즉 구동모터(29)의 반전에 의하여 스프로켓(27)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롤러 체인(28)도 역시 반전구동되어 훅(21)이 제2열의 격납실(3)의 앞쪽에서 구석측으로 향하여 직진이동된다. 이 구동개시 때에 스프로켓(27)상에서 열려져 있던 훅(21)은 닫혀지고, 트레이(4)의 결합핀(402)을 협지(挾支)하면서 결합한다. 훅(21)의 이동에 의하여 트레이(4)는 제1열에서 제2열의 격납실(3)로 인출된다. 트레이(4)는 제2열의 격납실(3)상으로 되돌려지면 하면측의 결합핀(402)이 훅(21)에 의하여 협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장치(26)의 동작이 정지된다.
다음에 이 트레이 이송기구의 기본 동작에 의한 기계식 주차정치의 입고 운전 또는 출고 운전의 동작에 대하여 도8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 주차장치의 운용상 각 격납실층에 있어서 반송로(1)의R, L 양 사이드 각 격납실(3)중 적어도 하나는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정하여 둔다.
여기에서는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에 있어서 지하 3 층의 R사이드, 제2열의 한쪽 끝에 위치하는 격납실(3)(이하, 지정된 격납실(3)이라 함)상의 트레이(4)(도8중 사선부분)를 꺼내어 자동차의 승입부로 이송시키고, 계속해서 다른 격납실(3)의 트레이(4)를 꺼내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의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예비 운전으로써 반송대차(2)가 반송로(1)상을 지정된 격납실(3)을 향하여 이동하고, 지정된 격납실(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여기서 반송대차(2)상의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트레이 인출동작에 의하여 지정된 격납실(3)의 앞열 즉, 제1열의 격납실(3)상의 트레이(4)가 반송대차(2)상으로 인출되어 실린다. 이와 동시에 지정된 격납실(3)에서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의 트레이 송출동작에 의하여 지정된 격납실(3)에서 트레이(4)가 그 앞열 즉, 제1열의 격납실(3)로 송출된다. 계속해서 반송대차(2)상에서 트레이(4)가 제1 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가 결합한 채로, 반송로(1)상에서 반송대차(2)가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3)의 앞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반송대차(2)상의 제1 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트레이 송출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2)에서 그 빈 격납실(3)로 옮겨진다.
이와 같은 입고 또는 출고준비를 거쳐서 실제의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에 있어서는 도9의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대차(2)는 반송로(1)상을 지정된 격납실(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며 거기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트레이 인출동작에 의하여 지정된 격납실(3)에서 미리 제1열의 격납실(3)에 옮겨진 트레이(4)가 반송대차(2)상에 실린다. 그래서 지정 장소의 트레이(4)를 실은 반송대차(2)는 반송로(1)상을 2기의 리프트5R, 5L의 사이까지 이동한다.
한편 지금까지 R사이드의 리프트 5R은 입고 또는 출고의 지시에 따라 운전중(또는 대기중)인데, 여기서는 도10 (l),(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가 자동차의 승입부까지 이송된 후, 지하2층으로 하강되고 있다. 여기서 트레이(4)는 리프트 5R에서 반송대차(2)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수수된다. 또 L사이드의 리프트 5L은 입고 또는 출고의 지시에 따라서 운전중(또는 대기중)인데, 여기서는 트레이(4)가 지하1층의 반송대차(2)에서 리프트 5L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수수된 후 자동차의 승입부로 이송된다.
그런데 도11의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사이드의 리프트 5R 이 지하3층까지 하강되면 여기서 도9의 (5) 또는 도11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가 반송대차(2)에서 R사이드의 리프트 5R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수수된다.
또한 그 동안 L사이드의 리프트5L은 입고 또는 출고의 지시에 따라서 운전중(또는 정지중)인데, 여기에서는 트레이(4)가 자동차의 승입부까지 이송된 후 지하1층으로 하강하여, 거기서 리프트 5L에서 반송대차(2)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수수되고 있다.
계속해서 도12의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사이드의 리프트 5R은 상승하여 트레이(4)가 자동차의 승입부까지 이송되고 거기서 자동차의 입출고가 이루어진다.
이 때, 같은 지하3층에서 자동차의 입고 지시 또는 출고 지시에 의하여, 예를 들면 L사이드 제1열의 격납실(3)의 트레이(4)를 반송하라는 요구가 나오는 경우 도9의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대차(2)는 R사이드의 리프트 5R에 수수된 트레이(4)의 반송을 기다릴 것 없이 L사이드의 트레이(4)의 격납실(3)까지 이동되고, 거기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트레이 인출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가 꺼내어진다. 그런데 다시 반송대차(2)가 2기의 리프트5R, 5L사이까지 이동한 도9의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기서 트레이(4)가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l0)의 트레이 송출동작에 의하여 반송대차(2)에서 L사이드의 리프트 5L로 수수되어 진다. 그리고 자동차의 승입부까지 이송된다.
R사이드의 리프트 5R에서는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가 종료되면 도12의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가 지하3층까지 되돌아 간다. 거기서 트레이(4)가 리프트 5R에서 반송대차(2)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수수되어, 반송대차(2)가 반송로(1)상을 지정된 격납실(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제l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트레이 송출장치에 의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2)에서 제1열의 격납실(3)로 실린다. 또한 이 트레이(4)를 제2열에 넣을 경우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의 트레이 인출동작이 이루어진다.
또 그 동안 L사이드의 리프트 5L은 입고 또는 출고의 지시에 따라서 운전중(또는 대기중)이고 여기서는 도12의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하1층의 제2열의 격납실(3)에서 트레이(4)가 리프트5L로 제2트레이 가로 이송장치(20)에 의해 수수되어, 자동차의 승입부까지 이송되어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각 격납층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열의 격납실(3)에 자동차를 넣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제1,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 (20)의 연계동작에 의하여 미리 그 격납실(3)을 비워두어 입고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입고준비에서 실제의 입고에 있어서 트레이(4)가 한 쪽의 리프트 5R 또는 5L에서 반송대차(2)상으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꺼내어간 후, 반송대차(2)의 이동에 의하여 입고 장소인 격납실(3)까지 반송되어 거기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l0)에 의하여 격납실(3)에 실린다. 이에 계속하여 출고 또는 입고가 있는 경우 반송대차(2)와 양쪽의 리프트 5R, 5L과의 연계에 의하여 연속하여 트레이(4)가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반송로(1)의 양측에 있어서 2열씩 복수의 격납실(3)을 배열하고 적어도 그 한 곳에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치하여 두어,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2)상에 탑재하여 선회암(11)의 단순한 선회동작을 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와 제1, 제2열의 격납실(3)간에 설치한 훅(21)의 단순한 수직동작을 하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에 의하여 구성하고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하여 반송대차(2)와 제l열의 각 격납실(3)의 사이에서 트레이(4)의 수수를 하면서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에 의하여 제1, 제2열의 각 격납실(3)에서 트레이(4)의 수수를 한다. 또한 반송로(1)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열의 격납실분의 스페이스상에 2기의 리프트5R, 5L을 설치하여 이들 리프트 5R, 5L과 반송대차(2)와의 사이에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에 의한 트레이(4)의 수수를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격납실(3), 반송대차(2), 리프트5R, 5L 사이에서 트레이(4)의 수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열의 격납실(3)에서 자동차를 꺼내는 경우에도 제1, 제2의 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 (20)의 연계동작에 의하여 미리 그 앞열, 즉 제1열의 격납실(3)을 비워서 그곳으로 트레이(4)를 이송시켜 두는 출고 준비를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출고 준비에 의하여 실체의 출고시에는 원활하고도 신속하게 트레이(4)를 이동 장소인 격납실(3)에서 반송대차(2)상으로 꺼내어 리프트 5R, 5L로 반송하여 실을 수 있고, 자동차의 출고를 단시간에 할 수 있다.
또 제1 또는 제2열의 격납실(3)에 자동차를 넣었을 경우라도 제1,제2의 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 (20)의 연계동작에 의해 미리 그 격납실(3)을 비워 두어 입고 준비를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입고 준비에 의해 실제의 입고에 있어서는 원활하고도 신속하게 트레이(4)를 한 쪽의 리프트5R 또는 5L에서 반송대차(2)상으로 꺼내고, 입고 장소인 격납실(3)까지 반송하여 실을 수 있으며, 자동차의 입고를 단시간에 할 수가 있다.
또 같은 격납실층에서 출고를 하면서도 출고 또는 입고가 계속하여 있는 경우라도, 2기의 리프트 5L, 5R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연속해서트레이(4)를 격납실(3)에서 반송대차(2)상으로 꺼내어 리프트 5R, 5L로 반송하여 실을 수 있어, 연속하는 자동차의 입출고를 단시간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2기의 리프트 5R, 5L은 R, L 양 사이드의 제1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로(1)의 양단에서 2기의 리프트 5R, 5L까지 반송대차(2)의 이동거리가 균등하게 되어 격납실(3) 전체에서 트레이(4)의 수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한 쪽의 리프트 5R을 R사이드에 배치된 트레이(4)의 전용리프트에 설정하고, 다른 쪽의 리프트 5L을 L사이드에 배치된 트레이)4)의 전용리프트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격납실(3), 반송대차(2), 2개의 리프트 5R, 5L 이들간의 트레이(4)의 수수를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10)의 선회암(11)의 단순한 선회동작과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의 훅(21)의 단순한 직진동작으로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이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l0)를 선회암(11)과 결합부재(12)와 선회구동장치(13)로 구성하고,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20)를 훅(21)과 그 구동장치(26)로서의 한 쌍의 스프로켓(27)과 롤러 체인(28)과 구동모터(29)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 이송기구 전체로서 간단한 장치구성에 의한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실용적인 효과도 크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로(1)의 양측에 복수의 격납실(3)을 2열씩 배열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3열 이상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열수를 N으로하면 (N-1)곳의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치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한측 일방을 단열(單列), 반대쪽을 복열(複列)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리프트를 R, L양사이드, 제1열의 중앙에 서로 대향되어 설치되어 있지만, 제1열의 임의의 위치에 대향시키거나 대향시키지 않고 분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주차장치의 규모가 큰 경우는 3기 이상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반송대차(2)의 가동효과를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반송로의 양측 또는 한측에 격납실의 열수를 N으로 한 경우 적어도(N-1)곳의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정하고,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상에 탑재하여 선회암의 단순한 선회동작을 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와, 제l열과 그 외측의 임의 각 격납실간에 설치되며 훅의 단순한 직진동작을 하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의한 구성으로서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의하여 반송대차와 제1열의 격납실의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하도록하고,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의하여 제1열과 그 외측열의 각 격납실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하도록 한다. 또한 반송로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열의 한 격납실분의 스페이스상에 2기의 리프트를 설치하고, 이들 리프트와 반송대차와의 사이에서 제l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의한 트레이 수수를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단순하고도 신속한 동작의 트레이 이송기구를 실현하도록 한다. 또한 복수열에 걸쳐 각 격납실, 반송대차, 리프트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자동차의 입고시간 출고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반송로상을 왕복주행하며 자동차 적재용 트레이를 반송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로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반송로에 인접하는 내측의 열을 제1열로하여 복수열에 걸쳐 배열하고 각각에 트레이를 배치한 복수의 격납실과,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트레이 이송기구와, 자동차의 승입부와 격납실층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이송하는 리프트(lift)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반송로의 측방에 인접하는 격납실의 열수를 N으로 했을 때 (N-1)개의 트레이가 없는 빈 격납실을 설치하고,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상에 그 폭방향의 중심위치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배치하고 선단부가 제1열의 격납실측으로 소요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각 트레이의 하면에 배설된 가이드부재에 결합가능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하는 선회구동장치를 구비하여 반송대차와 제1열의 격납실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1트레이 가로이송장치와,
    제1열과 그 외측열의 각 격납실간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트레이와 결합가능한 훅과 그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제1열의 격납실과 그 외측의 격납실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의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반송로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열의 한 격납실분의 스페이스상에 각각 리프트의 승강로를 설정하고,
    2기의 리프트를 각각 트레이용의 횡행레일을 배치한 승강부재와 그 승강구동장치로 구성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의 승강로가 제1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 중앙에 설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트레이 가로이송장치에 있어서, 훅의 구동장치가 한 쌍의 스프로켓과 이들 스프로켓간에 감겨지는 체인과, 일방의 스프로켓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훅을 체인에 고정하고 있는 기계식 주차장치.
KR1019980013960A 1998-02-26 1998-04-20 기계식 주차장치 KR19990071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520198A JP3936793B2 (ja) 1998-02-26 1998-02-26 機械式駐車装置
JP10-045201 1998-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41A true KR19990071341A (ko) 1999-09-27

Family

ID=1271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960A KR19990071341A (ko) 1998-02-26 1998-04-20 기계식 주차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36793B2 (ko)
KR (1) KR19990071341A (ko)
CN (1) CN1109798C (ko)
HK (1) HK1022339A1 (ko)
TW (1) TW43781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1338A (zh) * 2012-11-27 2013-06-19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升降横移式停车设备
CN103147604A (zh) * 2012-11-27 2013-06-12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半地坑停车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7810U (en) 2001-05-28
JPH11247485A (ja) 1999-09-14
HK1022339A1 (en) 2000-08-04
CN1109798C (zh) 2003-05-28
CN1227302A (zh) 1999-09-01
JP3936793B2 (ja)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1341A (ko) 기계식 주차장치
JP2002114314A (ja) 立体自動倉庫
US20230243173A1 (en) Automated parking floor conveyor systems
KR100305918B1 (ko) 입체주차설비및그입출고방법
JPH0396579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86370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3051000B2 (ja) 立体駐車装置
JP3012578B2 (ja) 無人駐車兼コンテナー収納システム
JP2578023B2 (ja) スラットコンベア移送受渡式の平面往復駐車装置
JP3942083B2 (ja) 縦列型バース付き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JPH06158896A (ja) 車の鉛直方向搬送装置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657829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及びその入出庫方法
JP2880115B2 (ja) 機械式駐車場
JP2890226B2 (ja) 駐車装置
JP4065631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3638221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H0751568Y2 (ja) 立体駐車場
JPH07217247A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
KR970065928A (ko)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JP2742739B2 (ja) 立体駐車設備
JP3447889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S5846987B2 (ja) 水平循環式駐車設備
JP2992789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横送り装置
JP2003072674A (ja) 船舶用自動車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