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992A -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 Google Patents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992A
KR20190105992A KR1020180026847A KR20180026847A KR20190105992A KR 20190105992 A KR20190105992 A KR 20190105992A KR 1020180026847 A KR1020180026847 A KR 1020180026847A KR 20180026847 A KR20180026847 A KR 20180026847A KR 20190105992 A KR20190105992 A KR 20190105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load
easy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346B1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한성특장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특장차 filed Critical (주)한성특장차
Priority to KR102018002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7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 적재공간 바닥면에 이송수단를 설치하여 화물을 내부에 적재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꺼내는 상,하차를 위한 작업을 용이토록 한 탑차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의 바닥면에 모터에 의하여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체인틀과 바닥패널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적재함의 입구에는 위치되는 화물을 감지하는 화물감지센서에 의하여 이송수단을 일정거리만큼 이동시켜 화물을 순차적으로 상차하거나 하차시키도록 하고, 적재공간의 내측에는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장치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도착감지센서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Easy to load and unload cargo}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적재함의 적재공간으로 화물을 적재하는 탑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재함 적재공간 바닥면에 이송수단에 의하여 화물을 내부에 적재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꺼내는 상,하차를 위한 작업의 용이성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탑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차는 전방에 운행을 위한 차량과 그 후방으로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되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밀폐된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차량으로써, 적재함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외부의 기후 조건 변화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적재되는 화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반화물을 운반하는 일반탑차와 저온으로 보관되는 냉동기능이 구비된 냉동탑차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탑차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적재함의 입구에서 적재공간으로 화물을 올려놓는 1차 작업과 올려진 화물을 적재공간의 내부 안쪽에서부터 쌓기 위하여 옳겨야 하는 2차 작업이 필요하고, 적재된 화물을 꺼낼 경우에도 동일한 작업단계가 필요하여 화물의 상,하차를 위한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화물의 상,하차를 위해서는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반드시 필요하여 이로 인한 인건비가 상승 됨은 물론 작업자가 물건을 들고 옮기는 등의 고된 작업으로 작업자의 신체적인 고통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탑차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물의 상차와 하차시 자동으로 이동되어 화물의 적재과정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물의 상,하차가 용이하면서도 작업시간을 절감토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화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이동되는 화물이 유동이나 흐트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후방으로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탑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정회전과 역회전 양 방향으로 작동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체인틀과 바닥패널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형성하고, 적재함의 입구에는 화물을 감지하는 화물감지센서에 의해 구동장치를 동작시켜 이송수단을 전,후진으로 일정거리로 이동시켜 화물을 순차적으로 상차하거나 하차시키도록 하고, 적재공간의 내측에는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장치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도착감지센서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동장치의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인하여 이송수단을 전,후진 동작을 유,무선으로 송,수신되는 리모트컨트롤러의 조작으로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송수단의 마주하는 체인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은 체인의 내측에 결합축을 형성하고 그 결합축에 체인 간격과 대응하는 크기의 바닥패널을 측면이 밀착되어 틈새가 없도록 배열되게 결합하여 이송수단이 전,후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이송되는 화물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송수단이 작동기어가 위치된 코너부분에서 이동될 때 바닥패널 간의 경사면이 맞물림되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공간에 화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동되어 상,하차하는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화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넘어짐이나 흐트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화물 적재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동장치 및 이송수단에 이물질이나 과부하로 인한 오작동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적재작업을 위한 시간감축 및 유지보수에 따른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이송수단이 설치된 화물 운반용 탑차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탑차의 이송수단이 설치된 적재함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로 작동되는 이송수단의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와 이송수단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와 이송수단의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이송수단의 체인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체인틀에 바닥패널이 설치된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바닥패널의 회전구간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9는 본 발명의 쳐짐 방지를 위한 받침틀을 나타낸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받침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이송수단에 받침틀이 설치된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적재함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상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단계를 나타낸 작동도.
도14 내지 도16은 도13에 대한 적재물이 이동되는 과정의 상세도.
도17은 본 발명의 적재물이 도착감지센서로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18은 본 발명의 적재물이 하차되는 단계를 나타낸 작동도.
도19 내지 도21은 도18에 대한 적재물이 하차되는 과정의 상세도.
도22는 본 발명의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이송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탑차(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을 위한 차량(200)과 차량(200)의 후방으로 화물을 적재하도록 내부에 적재공간(310)이 형성된 적재함(300)으로 형성되어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상차 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꺼내도록 하차 작업이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적재함(300)의 바닥면 에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작동되는 구동장치(10)를 장착하고, 상기 구동장치(10)에 연결되는 체인틀(21)과 상기 체인틀(21)의 사이에 화물이 놓여질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바닥패널(22)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이 설치되어 구동장치(10)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장치(10)는 화물의 상차와 하차에 따라서 이를 감지하는 화물감지센서(30) 및 도착감지센서(40)에 의하여 구동장치(10)가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작동되어 이송수단(20)을 전,후진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하여 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구동장치(10)의 정회전과 역회전 작동을 위하여 또 다른 실시 예로 화물감지센서(30) 및 도착감지센서(40)를 형성하지 않고 이송수단(20)에 놓여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차량에 설치되는 버튼이나 무선으로 송,수신에 의하여 작동하는 리모트컨트롤러(50)를 사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10)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이송수단(20)은 화물의 상차시 적재함(300)의 입구 부분의 이송수단(20)에 화물이 위치되어 화물감지센서(30)가 화물을 감지하거나 작업자의 리모트컨트롤러(50)의 조작으로 다음 화물이 놓여질 수 있도록 이동되고, 이러한 화물의 상차 간격이 반복적으로 작동되어 화물 적재가 이루어지고, 화물의 하차시에는 적재함(300)의 입구 부분의 이송수단(20)에서 화물을 하차시키면 화물감지센서(30)가 비어있는 공간을 감지하거나 작업자의 리모트컨트롤러(50)의 조작으로 적재된 다음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하차간격이 반복적으로 작동되어 화물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10)는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작동되는 모터로써 이송수단(20)이 설치되는 적재함(300)의 하단에 별도의 설치함(400))에 형성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토록 하되, 탑차의 바퀴 위치구조상 후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0)의 외측에는 구동기어(11)를 형성하고 체인틀(21)의 외측에는 구동기어(12)와 연결되는 연결기어(23)을 형성하여 연결체인(13)으로 기어물림토록 하여 구동장치(10)의 작동으로 이송수단(20)이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구동장치(10)의 구동기어(11)와 이송수단(20)의 체인틀(21) 연결기어(23)는 3단기어로 형성하고, 연결체인(12)도 3단체인으로 형성하여 무게하중으로 인한 구동장치(10)의 과부하를 방지함은 물론 구동장치(10)의 구동력이 체인틀(21)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체인(13) 중 어느 한 부분이 끊어져도 동작이 멈추지 않고 작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0)의 체인틀(21)은 적재함(300)의 바닥면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화물적재를 위한 공간활용과 용이성을 위하여 두 개로 분할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인틀(21)이 두 개로 분할 형성될 경우에는 체인틀(21) 각각에 구동장치(10)가 설치되어 동시에 동작되거나 각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체인틀(21)의 구성은, 적재함 바닥면 일측에 형성도는 연결기어(23)에 의하여 회전되는 메인회전축(24)과 적재함 바닥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회전축(24)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보조회전축(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회전축과 보조회전축의 좌우 양측에는 다수 개의 링크가 연결핀으로 교차배열되어 연결된 체인(27)이 기어물림되도록 기어브라켓(26)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27)에 의하여 바닥패널(22)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브라켓(26)의 중앙에는 메인회전축 및 보조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부(26a)가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닥패널(22)이 기어에 물림된 체인(27)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패널(22)이 결합부(26a)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코너부분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체인(27)에 바닥패널(22)을 설치하기 위하여 체인(27)의 내측면에 두 개의 결합축(27a)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고, 바닥패널(22)의 양 측면에는 결합공(22a)이 형성되어 체인(27)의 결합축(27a)으로 바닥패널(22)이 결합되어 체인(27)과 바닥패널(22)이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바닥패널(22)은 간격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측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패널(22) 간의 사이에 틈새가 전혀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이송수단(20)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될 때 낭창거림 즉, 진동이나 화물이 놓여지는 충격으로 이송수단(20)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화물이 안전하게 적재함(300)의 적재공간(310) 내측으로 정확하게 이동되어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0)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될 때 바닥패널(22)이 체인틀(21)의 메인회전축(24)과 보조회전축(25)에서 회전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패널(22)의 수직으로 형성된 양 측면 하단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a)이 서로 밀착되면서 간섭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20)의 내측 즉, 구동장치(10)에 감김 상태로 위치된 체인(27)의 사이 공간에는 바닥패널(22)에 놓여지는 화물의 무게하중으로 인하여 체인(27)의 쳐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침틀(28)가 형성되어 이송수단(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틀(28)은 체인틀(21)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좌우 양측이 체인틀(21)과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프레임바(28a)와 상기 프레임바(28a)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바(28b)가 구성되어 이송수단(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체인(27)에 연결된 바닥패널(22)의 쳐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틀(28)의 연결바(28b) 사이에는 보강바(28c)를 더 구비하여 바닥패널(22)의 쳐짐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화물감지센서(30)는 적재함(300)의 입구 천장이나 측벽에 형성되어 화물이 이송수단(20)에 올려놓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일정거리만큼 이동되어지고, 이러한 상차 된 화물이 반복적으로 이동되어 적재공간(310)의 내부에 계속적으로 적재되면 적재공간(310)의 입구와 대응되는 내벽면이나 내벽면에 근접되는 측벽에 도착감지센서(40)에 의하여 맨 처음에 적재되어 이송된 화물이 도착감지센서(40)에 감지되면 구동장치(10)가 동작을 멈추게 됨과 동시에 구동장치(10)의 회전방향을 정회전에서 역회전으로 동작을 바꾸게 되고, 화물을 하차시에 이송수단(20)에 맨 나중에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면 화물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여구동장치(10)에 의하여 이송수단(20)이 후진되어 하차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하차 작업이 반복적인 하차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적재된 화물을 하나씩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화물감지센서(30)는 적재함(300)의 입구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감지센서(31)와 입구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감지센서(32)로 두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감지센서(31)는 상차되는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제2감지센서(32)는 하차되는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감지센서(31)는 이송수단(20)에 상차된 화물을 감지하여 구동장치(10)를 전회전으로 동작시켜 이송수단(20)을 전진되도록 작동하는 것이고, 상기 제2감지센서(32)는 화물을 하차시켜 화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구동장치(10)를 역회전으로 동작시켜 이송수단(20)을 후진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감지센서(31)와 제2감지센서(32)의 동작은 도착감지센서(40)에 의하여 작동이 전환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감지센서(31)에 의하여 상차되는 화물이 이송수단(20)의 전진이동으로 이송되어 맨 처음에 적재된 화물이 반복적인 화물 이송으로 적재공간(310)의 내측에 도착되면 도착된 화물을 도착감지센서(40)가 감지하여 제1감지센서(31)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제2감지센서(32)를 작동시키고 이때 화물의 하차를 위한 구동장치(1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게 되고, 제2감지센서(32)는 화물이 하차되어 감지되지 않게 되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0: 탑차 200: 차량
300: 적재함 310: 적재공간
10: 구동장치 11: 구동기어
12: 연결체인
20: 이송수단 21: 체인틀
22: 바닥패널 23: 연결기어
24: 메인회전축 25: 보조회전축
26: 기어브라켓 27: 체인
28: 받침틀
30: 화물감지센서 31: 제1감지센서
32: 제2감지센서
40: 도착감지센서
50: 리모트컨트롤러

Claims (9)

  1. 차량(200)의 후방으로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300)으로 이루어진 탑차(100)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300)의 바닥면에 정회전과 역회전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장치(10)와,
    상기 구동장치(10)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적재함(300)의 입구에 상,하차 되는 화물을 감지하여 구동장치(10)를 작동시키는 화물감지센서(30) 및 구동장치(1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시키는 도착감지센서(40)로 구성되어 화물이 자동으로 이송되어 상,하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2. 차량(200)의 후방으로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300)으로 이루어진 탑차(100)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300)의 바닥면에 정회전과 역회전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장치(10)와,
    상기 구동장치(10)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이동되어 화물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적재함(300)의 어느 일측에 구동장치(10)를 전,후진으로 작동시키는 리모트컨트롤러(50)로 구성되어 화물이 자동으로 이송되어 상,하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은 구동장치(10)에 의해 회전되어 전,후진으로 작동되는 체인틀(21)과 상기 체인틀(21)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패널(2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틀(21)은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동시에 이동되거나 선택에 따라 각각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틀(21)은 적재함 바닥면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장치(10)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회전축(24)과 상기 메인회전축(24)과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적재함 바닥면 타측에 형성되어 보조회전축(25)과 상기 메인회전축(24)과 보조회전축(25)의 좌우 양측에는 바닥패널(22)이 설치되는 체인(27)이 기어물림되는 기어브라켓(26)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27)의 내측면에는 두 개의 결합축(27a)이 형성되고, 바닥패널(22)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축(27a)이 결합되는 결합공(22a)이 형성되어 전,후진 이동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이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22)은 상면과 양 측면과 상기 양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면(22a)으로 형성되어 바닥패널(22)의 양 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설치간격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되면서 메인회전축(24)과 보조회전축(25)의 코너 부분에서 회전될 때 바닥패널(22) 간의 경사면(22a)이 서로 밀착되어 간섭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의 체인틀(21) 내측에는 화물이 놓여질 때 쳐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침틀(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감지센서(30)는 상차된 화물을 감지하여 다음 화물의 상차를 위하여 이송수단(20)을 적재공간(310) 내측으로 일정거리 전진시키는 제1감지센서(31)와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 이를 감지하여 다음 화물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이송수단(20)을 적재함(300)의 입구 방향으로 일정거리 후진시키는 제2감지센서(3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1020180026847A 2018-03-07 2018-03-07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10211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47A KR102113346B1 (ko) 2018-03-07 2018-03-07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47A KR102113346B1 (ko) 2018-03-07 2018-03-07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92A true KR20190105992A (ko) 2019-09-18
KR102113346B1 KR102113346B1 (ko) 2020-05-22

Family

ID=6807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47A KR102113346B1 (ko) 2018-03-07 2018-03-07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2695A1 (zh) * 2021-11-10 2023-05-19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集装箱货物装卸装置以及装卸方法
KR102610964B1 (ko) *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화물트럭용 다중 화물 적하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052B1 (ko) 2020-12-16 2022-04-29 황정은 화물이동장치가 장착된 적재함
KR102491124B1 (ko) 2021-07-26 2023-01-19 이종현 택배전용 화물차량의 택배화물 이동장치
KR102545504B1 (ko) 2022-02-18 2023-06-21 주식회사 디아이엠티 탑차 적재함용 화물지지장치
KR102553138B1 (ko) 2022-02-18 2023-07-10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탑차 적재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072A (ja) * 1992-05-01 1993-11-22 Denki Kogyo Co Ltd 貨物自動車
JP2816140B2 (ja) * 1996-12-17 1998-10-27 ナカオ工業株式会社 移動フロア装置
KR20050012436A (ko) * 2003-07-25 2005-02-02 주식회사 라이브맥 적재 및 이송을 위한 유동바닥 구조
KR101584337B1 (ko) *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072A (ja) * 1992-05-01 1993-11-22 Denki Kogyo Co Ltd 貨物自動車
JP2816140B2 (ja) * 1996-12-17 1998-10-27 ナカオ工業株式会社 移動フロア装置
KR20050012436A (ko) * 2003-07-25 2005-02-02 주식회사 라이브맥 적재 및 이송을 위한 유동바닥 구조
KR101584337B1 (ko) *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2695A1 (zh) * 2021-11-10 2023-05-19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集装箱货物装卸装置以及装卸方法
KR102610964B1 (ko) *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화물트럭용 다중 화물 적하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346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5992A (ko)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WO2015071951A1 (ja) 物品収納設備(article storage facility)
JP2009197417A (ja) 機械式駐車場
CN107963470B (zh) 一种货物自动码放装置
KR101697657B1 (ko) 자동 화물 시스템
CN112478542A (zh) 一种多层箱式穿梭车立体仓库
WO2022135140A1 (zh) 货物装卸控制方法、控制装置、货物装卸装置及仓储系统
CN111559602A (zh) 一种出料系统及出料方法
CN210504425U (zh) 物流派送系统
CN106966099A (zh) 自动取货和运输的装置
KR20190013331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CN109264553B (zh) 一种能够自动装卸货的货梯
CN208367796U (zh) 用于货柜的接货机构及包含其的货柜
KR100961711B1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EP3098185A1 (en) Height-extensible container-type warehouse
CN212832621U (zh) 升降机
CN212098597U (zh) 无人物流车厢
CN213201054U (zh) 仓储系统
CN112850228A (zh) 一种机械自动化搬运装置
KR102654603B1 (ko) 4방향 주행셔틀
CN221049561U (zh) 一种货物运输用卸货装置
CN217457356U (zh) 一种自动化冷链货梯系统
KR200327916Y1 (ko) 탑차용 화물 이송장치
KR102099149B1 (ko)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KR20190013330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