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337B1 -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337B1
KR101584337B1 KR1020140089645A KR20140089645A KR101584337B1 KR 101584337 B1 KR101584337 B1 KR 101584337B1 KR 1020140089645 A KR1020140089645 A KR 1020140089645A KR 20140089645 A KR20140089645 A KR 20140089645A KR 101584337 B1 KR101584337 B1 KR 10158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late
container
cover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원종운
권용장
김학성
김경태
강성욱
양근율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에 화물을 상하역할 때 작업자가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에 오르내리지 않고 간편하게 화물을 한번에 일괄적으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Loading/unloading device for freight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에 화물을 상하역할 때 작업자가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에 오르내리지 않고 간편하게 화물을 한번에 일괄적으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하역할 때 별도로 화물을 하역장소에 하역한 후 이를 운반하기 위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이 구비된 차량이 사용된다.
즉, 화물 운송 탑차나 컨테이너는 화물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후면에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 직사각형의 밀폐 적재함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탑차나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작업자가 탑차나 컨테이너의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고 나가고를 반복하면서 화물을 적재하고 있다.
또는, 화물을 하역장소에 하역한 후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화물차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에 이동시킨 후 적재하였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에 화물을 하역할 때 별도로 화물을 하역장소에 하역한 후 이를 운반하기 위한 차량의 적재함으로 옮겨야 하는데, 이때에도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로 이동시킨 다음 적재하여야 함으로써, 화물의 하역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차량이 상당한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206호 (2012.07.1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46326호 (2010.05.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부에 화물을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부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화물을 일괄적으로 상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다수개의 플레이트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일괄적으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상하역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다수개의 플레이트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일괄적으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상하역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의 중앙부에는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동부가 설치되고, 플레이트부의 양측부에는 자유회전하는 가이드로울러가 설치됨으로써, 이동부에 의해 화물이 이송될 때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어 안전하게 화물의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부에 다수개가 배열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부는 중앙부에 제1설치홀이 형성되고, 폭방향 양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2설치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ㅎ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의 제1설치홀 상에 위치되게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제2설치홀 상에 위치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설치홀의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일측부에는 드럼모터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구동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드럼모터와 구동로울러 각각의 양측부에는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모터 및 구동로울러에 구비된 스프라켓을 서로 연결시키는 구동체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체인은 플레이트부의 커버부재에 형성된 장공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체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설치홀에 결합 고정되되, 커버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부에 화물을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부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화물을 일괄적으로 상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다수개의 플레이트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일괄적으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상하역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다수개의 플레이트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일괄적으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상하역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의 중앙부에는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동부가 설치되고, 플레이트부의 양측부에는 자유 회전하는 가이드로울러가 설치됨으로써, 이동부에 의해 화물이 이송될 때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어 안전하게 화물의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를 보인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이동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를 보인 결합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이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100)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설치되어 화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설치되어 이동부(210)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의 하단 양측부를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제1설치홀(114)이 형성되고, 제1설치홀(114)이 형성된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2설치홀(116)이 형성된 플레이트(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2)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부에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되게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112)의 상부가 커버되도록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안착된 고정되는 커버부재(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20)는 중간부에 한 쌍의 장공(122)이 형성되고, 이 장공(122)이 형성된 외측부에 위치되게 다수개의 통공(1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장공(122)은 플레이트(112)의 제1설치홀(114)에 위치되게 화물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되고, 통공(124)은 플레이트(112)의 제2설치홀(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10)는 플레이트(112)의 제1설치홀(114)에 설치되되, 화물이 진행하는 방향의 제1설치홀(114) 일측부에는 드럼모터(212)가 구비되고, 이 드럼모터(212)가 설치된 제1설치홀(114)의 타측부에는 구동로울러(2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모터(212)의 양측부와 구동로울러(214)의 양측부 각각에는 구동체인(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스프라켓(212a)(214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스프라켓(212a)(214a)은 커버부재(120)에 형성된 장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드럼모터(212)와 구동로울러(214)에 각각 구비된 스프라켓(212a)(214a)을 서로 연결시키는 구동체인(220)은 커버부재(120)에 형성된 장공(122)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모터(212)의 작동에 의해 구동로울러(214)와 서로 연결된 구동체인(220)이 회전하면서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진입하는 화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112)의 제1설치홀(114) 측면에는 커버부재(120)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체인(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120)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체인(220)의 하부를 지지부재(230)가 지지하여 화물을 이동시킬 때 화물의 무게에 의해 구동체인(220)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10)는 플레이트(112)의 제2설치홀(116)에 자유 회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312)가 설치되되, 이 가이드로울러(312)는 커버부재(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124)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진입한 화물을 구동체인(220)에 의해 이동시킬 때 화물의 하부 양측부를 가이드로울러(312)가 지지하여 안전하게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2)의 일측부, 즉 화물이 진입하는 방향에는 화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등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화물이 진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럼모터(212)를 작동시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제일 안쪽에 위치한 타측부, 즉 화물이 진입하는 타측부에는 감지센서 등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플레이트(112)를 거쳐 진입한 화물을 감지하여 더 이상 화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순차적으로 적재함 및 컨테이너의 내측부터 플레이트(112)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100)는 먼저, 외부에 설치된 도크 플레이트(410)를 통하여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화물을 운반하여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진입하게 되면 드럼모터(212)가 작동하여 구동체인(220)의 회전에 의해 화물이 이웃하는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플레이트(112)를 통하여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화물을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진입한 화물은 이동부(21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함 및 컨테이너의 안쪽부터 순차적으로 화물이 적재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체인(220)의 회전에 의해 화물을 이동시킬 때 가이드로울러(312)가 화물의 하부 양측부를 지지함으로써, 자유 회전하는 가이드로울러(312)에 의해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체인(2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화물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플레이트(112)를 순차적으로 거쳐 적재함 및 컨테이너의 내측에 화물을 일괄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 및 컨테이너의 내측에 적재된 화물을 내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물을 적재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드럼모터(212)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체인(22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 및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을 순차적으로 밖으로 이동시켜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화물을 적재할 때와 동일하게 가이드로울러(312)는 화물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화물을 이동시켜 내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의 적재함 및 컨테이너의 내측 바닥부에 다수개의 플레이트(112)를 설치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상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화물의 상하역작업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자동으로 상하역이 이루어지게 되어 화물의 상하역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110 : 플레이트부
112 : 플레이트 114 : 제1설치홀
116 : 제2설치홀 120 : 커버부재
122 : 장공 124 : 통공
210 : 이동부 212 : 드럼모터
212a, 214a : 스프라켓 214 : 구동로울러
220 : 구동체인 230 : 지지부재
310 : 가이드부 312 : 가이드로울러

Claims (8)

  1.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부에 다수개가 배열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플레이트부는 중앙부에 제1설치홀이 형성되고, 폭방향 양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2설치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의 제1설치홀 상에 위치되게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제2설치홀 상에 위치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설치홀의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일측부에는 드럼모터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구동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드럼모터와 구동로울러 각각의 양측부에는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모터 및 구동로울러에 구비된 스프라켓을 서로 연결시키고 플레이트부의 커버부재에 형성된 장공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1설치홀 측면에는 커버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체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설치홀에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커버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화물이 진입하는 방향에는 화물을 감지하고 드럼모터를 작동시키는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화물이 진입하는 타측부에는 화물을 감지하여 드럼모터를 정지시키는 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89645A 2014-07-16 2014-07-16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158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45A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45A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337B1 true KR101584337B1 (ko) 2016-01-25

Family

ID=5530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645A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33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52B1 (ko) * 2016-05-18 2017-05-16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시설의 로내대차 이송장치
CN109606232A (zh) * 2019-01-29 2019-04-12 浙江飞碟汽车制造有限公司 载货汽车用柔性平台装置
KR20190105992A (ko) * 2018-03-07 2019-09-18 (주)한성특장차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20190141948A (ko) 2018-06-15 2019-12-26 이돈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102300767B1 (ko)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KR102314145B1 (ko)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102314141B1 (ko)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KR102314132B1 (ko)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502346B1 (ko) 2022-07-25 2023-02-23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611906B1 (ko) * 2023-09-07 2023-12-08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JP7477133B2 (ja) 2019-09-25 2024-05-01 株式会社矢野特殊自動車 車両用荷台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789U (ja) * 1991-09-18 1993-04-06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のコンテナ積卸し装置
KR20100046326A (ko) 2008-10-27 2010-05-0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화물 상하차용 컨베이어
KR101166206B1 (ko) 2010-05-28 2012-07-20 박만복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789U (ja) * 1991-09-18 1993-04-06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のコンテナ積卸し装置
KR20100046326A (ko) 2008-10-27 2010-05-0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화물 상하차용 컨베이어
KR101166206B1 (ko) 2010-05-28 2012-07-20 박만복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52B1 (ko) * 2016-05-18 2017-05-16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시설의 로내대차 이송장치
KR20190105992A (ko) * 2018-03-07 2019-09-18 (주)한성특장차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102113346B1 (ko) * 2018-03-07 2020-05-22 (주)한성특장차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20190141948A (ko) 2018-06-15 2019-12-26 이돈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CN109606232A (zh) * 2019-01-29 2019-04-12 浙江飞碟汽车制造有限公司 载货汽车用柔性平台装置
JP7477133B2 (ja) 2019-09-25 2024-05-01 株式会社矢野特殊自動車 車両用荷台構造
KR102300767B1 (ko)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KR102314145B1 (ko)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102314141B1 (ko)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KR102314132B1 (ko) 2021-07-02 2021-10-19 임풍석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502346B1 (ko) 2022-07-25 2023-02-23 주식회사 스피드플로어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611906B1 (ko) * 2023-09-07 2023-12-08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1166206B1 (ko)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KR101521777B1 (ko) 고속 화물 열차의 상,하역 컨베이어 시스템
KR101873546B1 (ko) 중량물 이송 대차
KR100713967B1 (ko) 비접촉 화물 검사 및 컨테이너 운반을 위한 다기능 이동플랫폼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KR20150098508A (ko) 무인 자동 운반장치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101965209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633912B1 (ko) 차량용 화물 하역장치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JP5107160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110000864A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20160040756A (ko) 트럭 탑재용 덤프장치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KR102079269B1 (ko) 화물 적재가 용이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KR101605480B1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2099149B1 (ko)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KR102079271B1 (ko)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KR101449458B1 (ko) 원료 공급 장치
CN207416655U (zh) 一种散装货物自卸车厢
KR200334624Y1 (ko) 포크형 이재장치가 구비된 무인대차
KR100878656B1 (ko) 차량 부품을 위한 자동적재장치
JPS6015306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