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271B1 -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271B1
KR102079271B1 KR1020190057248A KR20190057248A KR102079271B1 KR 102079271 B1 KR102079271 B1 KR 102079271B1 KR 1020190057248 A KR1020190057248 A KR 1020190057248A KR 20190057248 A KR20190057248 A KR 20190057248A KR 102079271 B1 KR102079271 B1 KR 10207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go
frame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Original Assignee
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 filed Critical 이훈
Priority to KR102019005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는 측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일측면 중 어느 하나에 커버(112)가 힌지결합된 몸체(110); 상기 커버(112)를 회전시켜 몸체(11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개폐모터(115a)와, 상기 커버(112)와 상기 몸체(11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113)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라켓(115b)과, 상기 개폐모터(115a)와 상기 스프라켓(115b)을 연결하는 체인(115c)으로 이루어진 개폐유닛(115); 상기 커버(112)가 설치된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 내로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가압부(120); 상기 가압부(120)가 설치된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상기 가압부(12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연결부재(131)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30); 상기 몸체(110)의 커버(112)가 설치된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30)과 함께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이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110)에 마련된 접촉센서(146)와의 접촉시 상기 개폐유닛(115)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140);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에 위치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의 일측을 들어올려 상기 몸체(11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승강유닛(150); 및 상기 승강유닛(150)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150)의 작동시 상기 몸체(110)의 기울어짐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무게추(16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A container freight un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사용시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물을 한꺼번에 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화물(예컨데, 고철이나, 곡물, 석탄, 목재 등등)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운반하기 위해선 일반트럭보다는 컨테이너 단위로 운송되고 있다. 각종 화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그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개 길쭉하게 연장된 육면체의 형태를 띈다.
통상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 사용률을 최대화하여 물류와 배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할 때에는 상황에 맞는 적재 규칙에 입각하여 화물을 컨테이너의 내부에서부터 최대한 밀집되도록 겹쳐 쌓는다.
이때, 적재되는 화물이 가령 고철이나 석탄 또는 골재 등일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도어를 개방하고, 굴삭기나 집게장치(그라플) 등의 장비를 이용하거나 인력을 투입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고 있다.
즉, 컨테이너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종래에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화물을 파지한 후 이를 일일이 컨테이너 내부로 옮겨야 하는 방식으로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적재에 따른 작업이 불편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굴삭기나 그라플과 같은 중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 등이 필요하므로 화물의 적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인건비가 상승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내에 화물을 쉽고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하역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는 측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일측면 중 어느 하나에 커버가 힌지결합된 몸체;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몸체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몸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개폐모터와, 상기 커버와 상기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개폐모터와 상기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개폐유닛; 상기 커버가 설치된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로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설치된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가압부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상기 몸체의 커버가 설치된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몸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에 마련된 접촉센서와의 접촉시 상기 개폐유닛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 및 프레임의 일측을 들어올려 상기 몸체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의 작동시 상기 몸체의 기울어짐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무게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내에 화물을 쉽고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에 사용된 무게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는 컨테이너(C) 내에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을 한번에 쉽고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역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적재작업시 발생하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100)는 컨테이너(C) 내부에 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일측면 중 어느 하나에 커버(112)가 힌지결합된 몸체(110)와, 상기 커버(112)를 회전시켜 몸체(11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개폐유닛(115)과, 상기 커버(112)가 설치된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 내로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가압부(120)와, 상기 가압부(120)가 설치된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상기 가압부(12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연결부재(131)로 이루어진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130)과, 상기 몸체(110)의 커버(112)가 설치된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30)과 함께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이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110)에 마련된 접촉센서(146)와의 접촉시 상기 개폐유닛(115)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140)와,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에 위치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의 일측을 들어올려 상기 몸체(11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승강유닛(150)과, 상기 승강유닛(150)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150)의 작동시 상기 몸체(110)의 기울어짐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무게추(1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일측이 화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컨테이너(C)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함체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상기 컨테이너(C) 내측으로 삽입되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C) 내측으로 삽입되는 전방에는 힌지축(1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커버(112)를 통해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게 구성되고, 후방에는 가압부(120)의 가압판(122)이 몸체(110)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개방된 상측을 통해 화물을 몸체(110) 내로 투입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 내로 화물을 투입시에는 상기 커버(112)가 몸체(110)의 개방된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을 밀폐하도록 하고 컨테이너(C) 내로 화물을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커버(112)를 회동시켜 전방이 개방되도록 한다.
개폐유닛(115)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커버(112)를 회전시켜 몸체(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개폐모터(115a)와, 상기 커버(112)와 상기 몸체(11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113)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라켓(115b)과, 상기 개폐모터(115a)와 상기 스프라켓(115b)을 연결하는 체인(115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라켓(115b)과 상기 개폐모터(115a) 베벨기어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마련된 개폐모터(115a)의 구동에 따라 상기 체인(115c)이 순환되면서 스프라켓(115b)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몸체(110)에 대해 상기 커버(112)가 회전되도록 하여 몸체(110)의 일측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유닛(115)은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접촉센서(146)의 접촉유무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115a)가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센서(146)의 비접촉시에는 상기 개폐모터(115a)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11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가압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위치되어 일단이 상기 몸체(110) 내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개방된 양 측면 중 커버(112)가 설치되지 않은 몸체(110)의 타측 즉,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 내에 수용되는 화물을 커버(112)에 의해 개방된 몸체(110)의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110)는 컨테이너(C) 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을 일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부(120)는 상기 몸체(110) 내에 일시 보관되는 화물을 가압하여 몸체(110) 내에서 컨테이너(C) 내부로 화물이 한꺼번에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몸체(110) 내로 슬라이딩되어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가압판(122)과, 상기 가압판(122)의 후방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실린더(124)와, 상기 가압판(122)의 후방 양측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6)와, 상기 몸체(110) 내의 화물을 가압시 상기 가압판(122)과, 상기 슬라이딩부재(126)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128) 및 상기 실린더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압력공급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판(122)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몸체(110) 내부의 가로 폭 보다 작게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124)는 상기 가압판(122)을 후방에서 가압하여 화물이 상기 커버(112)가 설치된 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몸체(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압판(122)의 후방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6)가 가압판(122)과 직교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6)는 상기 실린더(124)의 구동시 슬라이딩되는 가압판(122)이 화물과 접촉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중을 제공하며, 상기 안내부재(128)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6)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딩부재(12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126)의 상측에 롤러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력공급부(129)는 상기 실린더(124)와 튜브(129a)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124) 내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압력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실린더(124)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 및 상기 가압부(120)의 하부에는 프레임(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복수개의 연결부재(131)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을 띄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 및 가압부(12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받침부재(140)는 상기 프레임(130)과 함께 상기 몸체(11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0)의 커버(112)가 설치된 전방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40)는 경우에 따라 몸체(110)로 접힐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이 상기 몸체(110)와 힌지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재(140)는 상기 몸체(110)가 컨테이너(C) 내로 진입시 몸체(110)측으로 회동되어 접힐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C)와의 접촉시 마찰을 최소화하고 받침부재(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14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바퀴(14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40)는 상기 몸체(110) 내의 화물을 컨테이너(C) 내에 이동 적재한 후 인출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140)의 일측에는 일정각도 회전되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스토퍼(144)가 형성되고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스토퍼(144)와 접촉되어 받침부재(1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돌출턱(114)이 구비된다.
덧붙여, 상기 받침부재(140)가 회동되는 위치의 몸체(110)에는 접촉센서(146)가 설치되어 상기 접촉센서(146)와 접촉시 신호가 상기 개폐모터(115a)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유닛(115)이 구동되도록 하여 몸체(110)의 일측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승강유닛(15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유닛(150)은 수직하게 기립설치 되는 것으로 하부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상부는 상기 몸체(110) 또는 프레임(130)과 결합되어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몸체(110)와 프레임(130)의 일측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150)은 공압실린더로서, 실린더는 지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 내로 슬라이딩되는 로드는 일측이 상기 몸체(110) 또는 프레임(130)과 결합되어 실린더의 구동시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면서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무게추(160)는 승강유닛(150)이 설치된 프레임(130)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150)의 구동시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이 무게추(160)가 위치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하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승강유닛(1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이 무게추(160)가 위치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몸체(110) 내에 임시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이 원활하게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유닛(150)이 설치된 몸체(110)의 타측 하부측에 무게를 제공하여 승강유닛(150)이 설치된 몸체(110)의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무게추(160)는 적재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에는 무게추(160)를 상기 프레임(13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화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무게추(160)를 상기 프레임(130)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에 지면과 이격되도록 판 형상의 플레이트(161)를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131)의 상측에 레일(162)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163)를 설치하여 무게추(16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63)는 일측이 모터(1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132) 위를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131) 상측에 모터(164)를 고정시키고 상기 모터(164)와 연결되게 스크류(165)를 설치한 다음 상기 스크류(165)를 슬라이더(163)와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165)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163)가 전후진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100)는 컨테이너(C) 내부에 화물을 쉽고 간편하면서 빠른 시간 내에 하역작업(상차 작업)을 마무리 지을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를 이용한 하역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양한 중장비를 이용하여 몸체(110)의 수용공간 내에 화물을 임시로 적재한다.
이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 적재된 몸체(110)의 전방측으로 컨테이너를 위치시킨 다음 승강유닛(150)을 구동시켜 실린더의 로드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10) 및 프레임(130)의 일측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재(140)가 지면과 이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 내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이 많거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프레임(130)의 일측에 설치된 무게추(160)를 이동시켜 상기 승강유닛(150)의 구동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를 이동시켜 몸체(110)가 컨테이너(C)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재(140)는 컨테이너(C)가 이동되면서 일측을 가압하여 몸체(110)로 절첩되기 때문에 몸체(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이 컨테이너(C)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0)에 설치된 커버(112)는 상기 받침부재가 절첩되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된 접촉센서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유닛이 작동되면서 커버가 오픈된 상태이며, 컨테이너(C) 내로 삽입시 몸체(110)가 컨테이너(C) 내부와 접촉되면서 컨테이너(C)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몸체(110)의 하단에는 마찰롤러(1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C) 내부에서 몸체(110)의 이동시 컨테이너(C)가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C) 내로 몸체(110)가 유입된 다음에는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20)를 구동시켜 몸체(110)내의 화물이 컨테이너(C)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압부(120)의 실린더를 구동시켜 로드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가압판(122)이 몸체(110) 내에 수용된 화물을 컨테이너(C) 내로 가압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등 한번의 동작으로 컨테이너(C) 내에 대용량의 화물을 쉽고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는 몸체(110) 내에 화물을 임시 적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도착시 컨테이너(C) 내로 몸체(110) 내의 화물을 한꺼번에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등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화물 하역장치 110 : 몸체
112 : 커버 113 : 힌지축
114 : 돌출턱 115 : 개폐유닛
115a : 개폐모터 115b : 스프라켓
115c : 체인 116 : 마찰롤러
120 : 가압부 122 : 가압판
124 : 실린더 126 : 슬라이딩부재
128 : 안내부재 129 : 압력공급부
129a : 튜브 130 : 프레임
131 : 연결부재 140 : 받침부재
142 : 바퀴 144 : 스토퍼
146 : 접촉센서 150 : 승강유닛
160 : 무게추 161 : 플레이트
162 : 레일 163 : 슬라이더
164 : 모터 165 : 스크류
C : 컨테이너

Claims (3)

  1. 측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일측면 중 어느 하나에 커버(112)가 힌지결합된 몸체(110);
    상기 커버(112)를 회전시켜 몸체(11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개폐모터(115a)와, 상기 커버(112)와 상기 몸체(11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113)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라켓(115b)과, 상기 개폐모터(115a)와 상기 스프라켓(115b)을 연결하는 체인(115c)으로 이루어진 개폐유닛(115);
    상기 커버(112)가 설치된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 내로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가압부(120);
    상기 가압부(120)가 설치된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상기 가압부(12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연결부재(131)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30);
    상기 몸체(110)의 커버(112)가 설치된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30)과 함께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이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110)에 마련된 접촉센서(146)와의 접촉시 상기 개폐유닛(115)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140);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에 위치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110) 및 프레임(130)의 일측을 들어올려 상기 몸체(11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승강유닛(150); 및
    상기 승강유닛(150)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150)의 작동시 상기 몸체(110)의 기울어짐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무게추(16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몸체(110) 내로 슬라이딩되어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가압판(122)과,
    상기 가압판(122)의 후방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실린더(124)와,
    상기 가압판(122)의 후방 양측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판과 직교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6)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6) 일부분을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롤러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몸체(110) 내의 화물을 가압시 상기 가압판(122)과 상기 슬라이딩부재(126)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128), 및
    상기 실린더(124)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압력공급부(129)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7248A 2019-05-16 2019-05-16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KR10207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48A KR102079271B1 (ko) 2019-05-16 2019-05-16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48A KR102079271B1 (ko) 2019-05-16 2019-05-16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15A Division KR102079269B1 (ko) 2019-09-26 2019-09-26 화물 적재가 용이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271B1 true KR102079271B1 (ko) 2020-02-19

Family

ID=696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248A KR102079271B1 (ko) 2019-05-16 2019-05-16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7236A1 (en) * 2007-03-05 2014-05-29 SA Recycl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JP2016185846A (ja) * 2015-03-27 2016-10-27 エムアンドケーアシストエンジニア株式会社 搬入装置
KR20170001829A (ko) * 2015-06-25 2017-01-05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쓰레기 운반함
KR101785437B1 (ko) * 2017-05-15 2017-10-16 이선희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7236A1 (en) * 2007-03-05 2014-05-29 SA Recycl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JP2016185846A (ja) * 2015-03-27 2016-10-27 エムアンドケーアシストエンジニア株式会社 搬入装置
KR20170001829A (ko) * 2015-06-25 2017-01-05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쓰레기 운반함
KR101785437B1 (ko) * 2017-05-15 2017-10-16 이선희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EP2128053B1 (en) Container tilting apparatus
US6364153B1 (en) Waste container with displaceable panel closure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US3521780A (en) Truck-mounted lifting device
CN108002290B (zh) 一种基于丝杠的柜式货物装卸升降机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079271B1 (ko)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KR102079269B1 (ko) 화물 적재가 용이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US3876088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goods vehicles
KR102529417B1 (ko) 한국형 기동화 플랫폼 pls트럭 시스템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20110057734A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20200101775A (ko) 핸드 파렛트 트럭
CN210654582U (zh) 一种集装箱
KR20090110571A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KR101065389B1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GB816128A (en) Improvements in the handling of bulk materials
US3485392A (en) Hoisting apparatus for transport vehicles
KR19980071881A (ko) 지게차용 포크장치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CN207955439U (zh) 一种货车及上下料装置
CN112722882A (zh) 钢筋平移分仓入库及定向转运机构
CN207374207U (zh) 一种运输车厢
CN210680510U (zh) 建筑用砖自卸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