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437B1 -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437B1
KR101785437B1 KR1020170059867A KR20170059867A KR101785437B1 KR 101785437 B1 KR101785437 B1 KR 101785437B1 KR 1020170059867 A KR1020170059867 A KR 1020170059867A KR 20170059867 A KR20170059867 A KR 20170059867A KR 101785437 B1 KR101785437 B1 KR 10178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infection
wheel
uni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이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희 filed Critical 이선희
Priority to KR102017005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출입 가능한 차량 소독부를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차량 소독부의 내부에 차륜 세척 수단 및 소독액 분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며, 차량의 소독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소독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뿐 아니라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전염균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신속히 거점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또는 해체시 도로 통행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해체시 보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Movable and assemblable vehicle disinfection booth}
본 발명은,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출입 가능한 차량 소독부를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차량 소독부의 내부에 차륜 세척 수단 및 소독액 분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며, 차량의 소독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소독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뿐 아니라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전염균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신속히 거점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또는 해체시 도로 통행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해체시 보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직까지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나 소 또는 닭과 같은 가축에는 질병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그 일 예로 구제역과 조류 인플루엔자와 같은 가축 질병이 유행하게 되면 농가는 물론 산업 전반에 커다란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가축의 질병은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빠르게 지역간 국가간 확산되어 물자의 교역 및 관련 산업에도 많은 피해를 미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질병 발생시 타지역으로의 전파를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몇 해전 겨울 국내에서는 구제역과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인하여 경제적 피해가 매우 컸다. 특히 구제역으로 인하여 살처분 보상금과 예방 백신 접종 등 정부가 지출해야 할 피해액이 수조원에 달해 범 국가적으로 커다란 손실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질병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수십만 수의 동물을 땅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담당자들의 심리적, 육체적 고통의 이중고를 겪어야 했다.
따라서 구제역이나 조류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질병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국가기관이나 지방 자치단체별로 질병통제를 위하여 도로 측면에 고압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통행차량을 소독하고 있으며, 각 가축사육 농장에서는 농장 출입구에 차량 소독장치나 분무기 등을 설치하여 차량과 출입자에 대하여 철저히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소독장치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66245호의 '차량용 소독장치'와 공개특허 제10-2013-0020479호의 '농장 및 부화장 차량 소독을 위한 밀폐형 전자동 차량 소독 시스템' 및 공개특허 제10-2001-0095630호의 '농축산 차량용 소독시스템' 등 다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0-0366245호의 '차량용 소독장치'는 가축질병 방역을 위한 차량용 소독장치로 조립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요구성 부위는 바닥부, 양측면부, 천정부, 소독액 탱크와 모터가 내장된 케이스, 방풍커튼부, 출입자용 소독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과 양측면부, 지붕부에는 차량이 진행하는 장축방향으로 각각 2-3개의 소독액 공급라인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차량이 진입하면 감지센서 에 의하여 자동으로 소독액이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13-0020479호의 '농장 및 부화장 차량 소독을 위한 밀폐형 전자동 차량 소독 시스템'은 버튼방식에 의해 차량 소독실의 자동문을 개폐시키고, 차량 소독실에는 분무 노즐이 설치되고, 곡면으로 처리된 차량 소독실의 콘크리트 바닥을 포함하여, 분무 소독 버튼을 누르면 차량 분무 소독기를 통해 소독액분무가 시작되어 일정 시간 후 완료되고, 상기 소독이 이루어진 후 타이머에 의해 다시 자동문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제20-0366245호의 '차량용 소독장치'와 제10-2013-0020479호의 '농장 및 부화장 차량 소독을 위한 밀폐형 전자동 차량 소독 시스템'은 소독액을 차량에 분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시시템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독액이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소독장치는 차량 소독 이전에 차량 하부에 묻어 있는 흙 등과 같은 부산물을 사전에 제거하는 구성이 없어 이들의 부산물을 모두 소독액으로 제거하면서 소독을 실시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소독의 실효성도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KR 20-0366245 (등록번호) 2004.10.21. KR 10-2013-0020479 (공개번호) 2013.02.27. KR 10-2001-0095630 (공개번호) 2001.11.07.
본 발명은, 차량이 출입 가능한 차량 소독부를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차량 소독부의 내부에 차륜 세척 수단 및 소독액 분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소독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소독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뿐 아니라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전염균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신속히 거점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설치 또는 해체시 도로 통행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해체시 보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진출입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이동 바퀴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전방 도어와, 좌측 벽체부, 우측 벽체부, 바닥부, 지붕부 및 차량 진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후방 도어로 이루어지는 차량 소독부;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전방 도어 후단에 구비되어 진입 차량의 바닥면과 측면부로 물을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차륜 세척 수단; 상기 차량 소독부 내의 상기 좌측 벽체부와, 상기 우측 벽체부 및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는 소독액 분무 수단; 상기 차량 소독부의 일측에 상기 차량 소독부와 내측 도어를 통해 연통되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출입하여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대인 소독실; 상기 차량 소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도어 또는 상기 후방 도어의 개폐를 결정하며, 상기 차륜 세척 수단 또는 상기 소독액 분무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이동 바퀴; 상기 받침 프레임의 복수 개소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이 상기 이동 바퀴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전방 도어의 전단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전방 센서;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전방 도어의 후단 또는 상기 후방 도어의 전단에 구비되어 차량의 완전 진입을 감지하는 내부 센서;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후방 도어의 후단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출을 감지하는 후방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전방 센서로부터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전방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내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완전 진입이 감지되먼 상기 전방 도어를 폐쇄하며, 상기 후방 센서로부터 차량의 완전 진출이 감지되면 상기 후방 도어를 폐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륜 세척 수단 또는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차륜 세척 수단 인근에 구비되어 차량의 차륜을 감지하는 차륜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차륜 감지 센서에 차량의 차륜이 상기 차량 소독부에 위치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소독부를 구동한다.
본 발명은, 상기 대인 소독실에 구비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대인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대인 감지 센서로부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입실이 감지되면 상기 소독액 분무 수단을 구동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동 바퀴는 휠 브라켓의 연직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바퀴의 휠 브라켓과 상기 받침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구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체결구는 상기 받침 프레임에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부와 육각머리부로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의 내부에서 상기 육각머리부의 길이 방향 단부까지 내측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머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는 다각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 장치는 U자 형상의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요홈에 삽설되는 끼움 부재 및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설되되 일단부는 상기 나사부에 삽설되는 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끼움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끼움 부재를 상기 내측 중공부 방향으로 당기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휠 브라켓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측 벽체부, 상기 우측 벽체부, 상기 지붕부는 복수의 벽체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며, 각 벽체의 상호 접하는 단부는 측면 블럭이 구비되어 각 측면 블럭이 결합됨으로써 각 벽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지붕부의 하단에는 하단 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의 상단에는 상단 블럭이 구비되어서 상기 하단 블럭과 상기 상단 블럭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붕부와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가 결합되되, 상기 하단 블럭은 하방으로 상부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내측으로 상기 상단 블럭이 인입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의 하단에는 받침 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하부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레일의 내측으로 상기 받침 블럭이 인입된다.
본 발명은, 차량이 출입 가능한 차량 소독부를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차량 소독부의 내부에 차륜 세척 수단 및 소독액 분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바퀴에 묻은 이물질을 통한 전염균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차량의 완전 진입 후 소독을 실시함으로써 세척과 소독을 이원화하여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소독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소독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뿐 아니라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전염균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신속히 거점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설치 또는 해체시 도로 통행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해체시 보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림 방지용 안전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진출입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이동 바퀴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스토퍼 및 기타 구성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체결구, 안전장치 및 스토퍼의 요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체결구 및 안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전방 도어(101)와, 좌측 벽체부(110), 우측 벽체부(120), 바닥부(140), 지붕부(130) 및 차량 진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후방 도어(102)로 이루어지는 차량 소독부(100), 차량 소독부(100)의 전방 도어(101) 후단에 구비되어 진입 차량의 바닥면과 측면부로 물을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차륜 세척 수단(150), 차량 소독부(100) 내의 좌측 벽체부(110)와 우측 벽체부(120) 및 바닥부(140)에 구비되는 소독액 분무 수단(160), 차량 소독부(100)의 일측에 차량 소독부(100)와 내측 도어를 통해 연통되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출입하여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대인 소독실(200), 차량 소독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 도어(101) 또는 후방 도어(102)의 개폐를 결정하며, 차륜 세척 수단(150) 또는 소독액 분무 수단(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반(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식으로 설치 운영되는 것으로서, 이동 및 조립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여야 하나, 이동 및 조립 이전에 본 발명의 주 목적인 차량 세척 및 소독의 기능을 위한 구성을 우선적으로 설명하고 이후 이동 및 조립 구성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차량 소독부(100)는, 차량이 진입하여 차체 및 차륜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밀폐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 소독부(100)는 차량의 진출입 및 밀폐를 위하여 전후단에 각각 전방 도어(101) 및 후방 도어(102)가 구비되며, 전방 도어(101) 및 후방 도어(102)를 포함, 차량의 진입시 외부와 밀폐하기 위하여 좌측 벽체부(110), 우측 벽체부(120), 지붕부(130) 및 바닥부(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 소독부(100)의 입구측, 즉, 전방 도어(101)의 인접한 후방에는 차량의 차륜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차륜 세척 수단(150)이 구비되고, 차량 소독부(100) 내의 차륜 세척부의 후방에는 차량의 차체 및 가축을 소독할 수 있도록 소독액 분무 수단(160)이 구비된다.
한편, 차량 소독부(100)가 차량을 소독하는 동안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의복 및 신체를 소독하기 위하여, 차량 소독부(100)의 일측 외부에는 차량 소독부(100)의 내부와 내측 도어를 통해 연통되는 대인 소독실(200)이 구비된다.
또한, 차량 소독부(100)의 일측 다른 외부에는 차량 소독부(100) 및 대인 소독실(200) 등의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들이 구비된 기계실, 즉, 제어반(3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 소독부(100)는, 차량 진입시 전방 도어(101)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전방 도어(101)의 전단에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전방 센서가 구비되고, 차량의 진입이 완료된 후 전방 도어(101)를 폐쇄하여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부 센서가 후방 도어(102)의 전단에 구비된다. 또한, 차량의 진출이 완료된 후 후방 도어(102)를 폐쇄하기 위한 후방 센서가 후방 도어(102)의 후단에 구비된다.
또한, 차량 진입시 차륜 세척 수단(150)을 구동하기 위한 차륜 감지 센서가 차륜 세척 수단(150)의 인근에 구비되거나 또는 차륜 세척 수단(150) 자체에 구비된다.
한편, 차량 소독부(100)는 차륜 세척 수단(15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 및 소독액 분사 수단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을 정화할 수 있도록 바닥부(140)에 복수의 통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바닥부(140)의 통공을 통과한 세척수 및 소독액을 포집할 수 있도록 별도의 포집 수단(미도시)이 바닥부(14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포집된 세척수 및 소독액은 외부에 마련된 폐수 집수 탱크 및 폐수 정화조로 유입시켜 정화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 소독부(100)의 좌측 벽체부(110), 우측 벽체부(120) 및 지붕부(130)는 비교적 투명 재질의 폴리글라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광에 의한 살균 효과를 통해 차량 소독부(100) 내부에 곰팡이 등 각종 유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방 도어(101) 및 후방 도어(102)는 지붕부(130)로부터 바닥면으로 내려오는 셔터 수단으로 설치 구비될 수 있으나, 양측면 또는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셔터 수단에 비해 스크린도어의 개폐시간이 빨라 윤용 효율이 상승되고,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접촉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오염물 및 소독액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방 도어(101)의 전단 또는 후방 도어(102)의 전단에는 진입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차량 인식 시스템(미도시)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적을 통해 출입 이력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질병을 체계적으로 관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소독 필증 등의 확인서를 교부하여 차량 운전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방 도어(101)의 전단 및 후방 도어(102)의 전단에는 차량의 진입시 '대기', '진입', '감속', '정지', '운전자 하차', '진출' 등의 유도 메시지를 표출할 수 있도록 전광판 등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차륜 세척 수단(150)은, 차량 소독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전방 도어(101)의 인접한 후단에 구비되어서 차량 소독부(100)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륜 주위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차륜 세척 수단(150)은, 차량 소독부(100)의 내부에 전방 도어(101)의 인접한 후단의 바닥면,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에 구비되어 차륜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한다. 바닥면에 설치된 차륜 세척 수단(150)은 상부 방향으로 강한 압력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차륜 하단 및 차량 하체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며,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에 설치된 차륜 세척 수단(150)은 측면 방향, 즉 차량의 바퀴 방향으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휠, 타이어, 차량 옆면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한다. 이때,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에 설치되는 차륜 세척 수단(150)은 차량의 차륜 부위에 세척수를 집중 분사할 수 있도록 하단부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차륜 세척 수단(150)은 여러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혹시 모를 사각 지대의 이물질까지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닥면에 설치된 차륜 세척 수단(150)은 로드셀(미도시) 형태 또는 공지의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된 차륜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고, 제어반(300)은 차륜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차륜 세척 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차륜 세척 수단(150)은 차량이 완전 진입하여 전방 도어(101)가 폐쇄되기 전까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륜이 차륜 세척 수단(150)을 통과하더라도 차량의 적재함이 아직 차륜 세척 수단(150)의 상부 또는 측면부에 위치되고 있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차량의 적재함 측면부 및 하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륜 세척 수단(150)에는 세척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히팅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반(300)은 동절기 등 추운 시간대에 히팅 수단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독액 분무 수단(160)은, 차량 소독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 전체 면에 소독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좌측 벽체부(110), 우측 벽체부(120) 전반에 걸쳐 복수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독액 분무 수단(160)은 차량의 차체 및 적재함 내부로 미스트 형태의 소독액을 분무함으로써 병원균의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소독액 분무 수단(160)은 지붕부(130) 및 바닥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적재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바로 소독액을 분무함으로써 소독 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독액 분무 수단(160)은 차량이 완전 진입하여 전방 도어(101)가 밀폐된 후 구동되어야 하며,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대인 소독실(200)에 진입한 후 소독액의 분무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독액 분무 수단(160)에도 차륜 세척 수단(150)과 마찬가지로 히팅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반(300)은 동절기 등 추운 시간대에 히팅 수단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소독부(100)의 내부 일측에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내부로 소독액이 집중하여 분무될 수 있도록 이들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차내 분무 장치(16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내 분무 장치(161)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내부로 빠르게 들어갈 수 있도록 송풍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대인 소독실(200)은, 차량 소독부(100)의 일측 외부에 차량 소독부(100)와 내측 도어를 통해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대인 소독실(200)에는 피부 및 의복을 소독할 수 있도록 소독액이 분무되고, 간단한 세면 장치 또는 별도의 샤워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대인 소독실(200)의 내부 일측에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출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대인 감지 센서 또는 내측 도어 개폐 센서가 구비되며, 제어반(300)은 이러한 대인 감지 센서 또는 내측 도어 개폐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대인 소독실(200)의 내부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입실한 것이 확인되면 소독액 분무 수단(160)을 구동시킨다.
제어반(300)은, 차륜 세척 수단(150), 소독액 분무 수단(160), 전방 도어(101), 후방 도어(102)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차량 세척부의 일측에 대인 소독실(200)과 다른 외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반(300)은 기계실의 형태로서,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 기기와, 히팅 보일러, 약재 탱크, 세척수 저장 탱크 등과 같은 차량 소독에 필요한 장치나 자재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반(300)은, 차량이 진입함에 따른 소독의 과정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전방 도어(101)의 전단에 설치된 전방 센서로부터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전방 도어(101) 일측의 전광판에 '정지' 문구를 표출하여 차량을 정차시킨다. 이후 차량이 정지하면 전방 도어(101)를 개방하고 전방 도어(101) 일측의 전광판에 '진입' 문구를 표출하여 차량을 진입시킨다. 그리고 차륜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값이 전송되면 차륜 세척 장치를 구동시켜 차륜 및 차량 하부의 세척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량이 차량 소독부(100) 내부로 점점 진입하면 차량 세척부 내부의 내부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아 후방 도어(102)의 전단에 설치된 전광판에 '천천히' 또는 '정지' 문구를 표출하여 차량을 차량 소독부(100) 내부로 완전 진입하도록 유도한다. 내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완전 진입이 감지되면 전방 도어(101)를 폐쇄하고 후방 도어(102)의 전단 전광판에 '운전자 및 동승자 하차' 문구를 표출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대인 소독실(200)로 입실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대인 소독실(200)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입실이 감지되면 소독액 분무 장치를 구동하여 차량 전반에 걸쳐 소독액이 분무될 수 있도록 한다. 소독액 분무 장치의 구동이 종료되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알람, 램프,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하여 퇴실을 알리고, 후방 도어(102)의 전단 전광판에 '진출' 문구를 표출하며 후방 도어(102)를 개방하여 차량이 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후방 도어(102)의 후단에 설치된 후방 센서로부터 차량의 완전 진출이 감지되면 후방 도어(102)를 폐쇄하여 차량 소독부(100)가 외부와 밀폐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반(300)은 운전자가 차량에 승차하기 전 소독 필증 등의 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소독 필증 등의 확인서 발급을 위한 키오스크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의 이동 및 조립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 소독부(100), 대인 소독실(200), 제어반(300) 등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 소독부(100)에 대인 소독실(200) 및 제어반(300)을 결합하는 형태로 본 발명의 밀폐형 소독 부스가 완성된다.
이러한 차량 소독부(100), 대인 소독실(200), 제어반(300)의 이동을 위한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소독부(100)의 이동 및 조립 구성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 소독부(100)는 바닥부(140) 또는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170)과, 받침 프레임(170)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받침 프레임(17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이동 바퀴(180)와, 받침 프레임(170)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받침 프레임(170)이 이동 바퀴(18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스토퍼(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프레임(170)은, 바닥부(140) 또는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하단에 결합되는 H빔 형태의 철골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 프레임(170)의 상단에는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가 각각 결합되고, 받침 프레임(170)의 내측으로는 바닥부(140)가 결합된다.
바닥부(140)는 받침 프레임(170)의 내측에 용접, 나사 결합 등으로 완전 결합되며, 좌측 벽체부(110) 또는 우측 벽체부(120)에 맺혀 하방으로 낙하하는 세척수 또는 소독액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테두리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는 복수의 벽체(111, 121)가 결합된 형태로서, 이러한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를 구성하는 하나의 벽체(111, 121)는 폴리 글라스로 형성되는 벽체면과 벽체면 상부 테두리의 상단 블럭(112, 122), 측면 테두리의 측면 블럭(113, 123), 하부 테두리의 받침 블럭(114, 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복수의 벽체(111, 121)가 상호 측면을 접하도록 연속하여 결합된다. 즉, 복수의 벽체(111, 121)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되, 측면 블럭(113, 123)이 상호 접하도록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데, 측면 블럭(113, 123)에는 우레탄 코팅이 되어 있어 소독액 또는 세척수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가 하단의 받침 프레임(170)에 결합될 때 받침 프레임(170)에는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하단 받침 블럭(114, 124)이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하부 레일(115, 125)이 형성되어서, 하부 레일(115, 125)의 내측으로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받침 블럭(114, 124)을 인입시켜 볼트 등으로 하부 레일(115, 125)과 받침 블럭(114, 124)을 결합시킨다. 이때, 하부 레일(115, 125)과 받침 블럭(114, 124)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는 차량 소독부(100)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좌측 벽체부(110) 또는 우측 벽체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소독액 또는 세척수가 볼트 구멍을 따라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레일(115, 125)은 차량 소독부(100) 외측 방향이 내측 방향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좌측 벽체부(110) 또는 우측 벽체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소독액 또는 세척수가 하부 레일(115, 125) 내부에 고이게 될 때 더 낮은 내부 방향으로 흘러내림으로써,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바닥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지붕부(130)는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상단에 결합되되 지붕부(130) 역시 복수의 벽체(131)로 구성될 수 있다. 지붕부(130)를 구성하는 벽체(131)는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결합과 동일하게 복수의 벽체(131)가 상호 측면을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붕부(130)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단 형상이 돔 또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붕부(130)와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결합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13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 블럭(132)과 좌측 벽체부(110) 및 우측 벽체부(120)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 블럭(112, 12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하단 블럭(132)은 하방으로 상부 레일(133)이 형성되어서 상부 레일(133)의 내측으로 상단 블럭(112, 122)이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지붕부(130)를 타고 흘러내리는 소독액 또는 세척수가 자연스럽게 좌측 벽체부(110) 또는 우측 벽체부(12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서 지붕부(130)에 맺힌 소독액 또는 세척수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레일(133)과 상단 블럭(112, 122)의 결합시 볼트의 인입 방향은 하부 레일(115, 125)과 받침 블럭(114, 124)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차량 소독부(100)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바퀴(180)는, 받침 프레임(17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함으로써 받침 프레임(170)과, 받침 프레임(170)의 상단에 결합된 차량 소독부(100)가 이동 가능한 형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받침 프레임(170)의 외측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 바퀴(180)는, 휠 브라켓(181)의 연직 방향으로 장홀(182)이 형성되고 받침 프레임(170)에는 장홀(182)에 삽입되어 휠 브라켓(181)과 받침 프레임(170)을 결합하는 체결구(183)가 구비된다. 즉, 받침 프레임(170)에 이동 바퀴(180)의 휠 브라켓(181)을 결합함으로써 받침 프레임(170)이 이동 바퀴(18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이동 바퀴(180)의 휠 브라켓(181)이 장홀(182) 현태로 받침 프레임(170)에 결합되는 이유는 차량 소독부(100)의 이동 이후 수평을 맞추기 위해 받침 프레임(170)이 이동 바퀴(18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정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동 바퀴(180)는 차량 소독부(100)의 이동 뿐만 아니라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소독부(100)의 이동 이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 바퀴(180)에는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의료용 침대의 브레이크 등과 같이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동 바퀴(180)는 브레이크가 있다 하더라도 1톤이 넘는 차량이 진입 진출할 때 차량의 무게에 의해 위치를 벗어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동 바퀴(18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0)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190)는, 받침 프레임(170)의 복수 개소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받침 프레임(170)이 이동 바퀴(18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190)는 지면 안착판과, 지면 안착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볼트와, 지지 볼트의 높이를 결정하는 지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토퍼(190)는 받침 프레임(170)의 외측 하단에 결합되며, H빔 형태의 받침 프레임(170) 특성상 H빔의 외측 하단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스토퍼(190)의 높이를 결정하는 지지 너트는 받침 프레임(170)의 외측 하단의 하부에서 지지 볼트에 결합되는 하부 너트와, 받침 프레임(170)의 외측 하단의 상부에서 지지 볼트에 결합되는 상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스토퍼(190)를 하강시키려면 상부 너트를 돌려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부 너트를 돌려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너트가 받침 프레임(170)으로부터 지지 볼트를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반대로 스토퍼(190)를 상승시키려면 하부 너트를 돌려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부 너트를 돌려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너트가 받침 프레임(170)으로부터 지지 볼트를 상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토퍼(19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지지 너트를 받침 프레임(170)에 용접하여 구성할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볼트는 상단에 육각 머리가 고정된 형태로서, 지지 너트가 받침 프레임(17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볼트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볼트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는 기술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당업자가 적절히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이동 바퀴(180)를 통해 차량 소독부(100)의 이동이 가능해지고, 이동 바퀴(180)와 스토퍼(190)를 통해 받침 프레임(170)을 지지하여 차량 소독부(100)의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1톤이 넘는 축산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이동 바퀴(180) 또는 스토퍼(190) 단독으로 활용될 경우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스토퍼(190)의 하강은 이동 바퀴(18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정도에서 멈춰야 하며, 스토퍼(190)와 이동 바퀴(180)의 이중 지지에 의해 차량 소독부(100)의 무게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진출입, 도로의 진동 등에 의해 볼트 또는 너트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토퍼(190)의 경우 상하로 결합되는 지지 볼트 및 지지 너트의 구성이므로 비교적 진동에 의한 풀림에 강한 반면, 이동 바퀴(180)의 경우 횡방향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체결구(183)가 회전되어 이동 바퀴(180)의 휠 프레임과 받침 프레임(170)간의 결속이 약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바퀴(180)의 휠 프레임이 받침 프레임(170)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스토퍼(190) 단독으로 차량 소독부(100) 및 차량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므로 스토퍼(19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 바퀴(180)의 휠 프레임과 받침 프레임(170)의 결속력을 결정하는 체결구(183)가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풀림 방지용 안전 장치(183f~h)가 더 구비된다.
풀림 방지용 안전 장치(183f~h)는 체결구(183)에 구비되어서 체결구(183)가 의도치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체결구(183)는 받침 프레임(170)에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부(183a)와 육각머리부(183b)로 형성되되, 수나사부(183a)의 내부에서 육각머리부(183b)의 길이 방향 단부까지 내측 중공부(183c)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육각머리부(183b)의 단부에는 내측 중공부(183c)와 연통되는 다각 형상의 요홈(183d)이 형성되며, 안전 장치(183f~h)는 'U'자 형상의 레버 부재(183f)와, 레버 부재(183f)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요홈(183d)에 삽설되는 끼움 부재(183g) 및 내측 중공부(183c)에 삽설되되 일단부는 나사부(183a)에 삽설되는 고정핀(183e)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끼움 부재(183g)에 고정되어서 끼움 부재(183g)를 내측 중공부(183c) 방향으로 당기는 코일 스프링(183h)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동 바퀴(180)의 휠 프레임에는 레버 부재(183f)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구(183)는 받침 프레임(170)에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부(183a)와 육각머리부(183b)로 형성되되, 나사부(183a)의 내부에서 육각머리부(183b)의 단부까지 내측 중공부(183c)가 형성되고, 내측 중공부(183c)와 연통되는 육각 형상의 요홈(183d)이 육각머리부(183b)의 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183d)은 육각형상 이외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장치(183f~h)는 'U'자 형상의 레버 부재(183f)와, 레버 부재(183f)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요홈(183d)에 삽설되는 육각형상의 끼움 부재(183g) 및 내측 중공부(183c)에 삽설되되 일단부는 나사부(183a)의 외주연 방향에서 내측 중공부(183c)로 삽입되는 고정핀(183e)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끼움 부재(183g)에 고정되면서 탄성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183h)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끼움 부재(183g)는 육각형상 이외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레버 부재(183f)는 일단부에 구비되는 끼움 부재(183g)가 육각머리부(183b)의 요홈(183d)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휠 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되어서 체결구(183)가 체결 방향의 역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즉, 체결구(183)가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체결 방향의 역으로 회전되게 되면 체결구(183)의 육각머리부(183b)의 요홈(183d)에 삽입된 끼움 부재(183g) 및 끼움 부재(183g)에 결합된 레버 부재(183f)도 역으로 회전되려 하는데, 이때 레버 부재(183f)의 타단부(절곡부)는 휠 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체결구(183)가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체결 방향의 역으로 회전되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구(183)를 의도적으로 풀어주거나 조여줄 경우에는 레버 부재(183f)를 당겨 코일 스프링(183h)을 인장시키면서 끼움 부재(183g)가 요홈(183d)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체결구(183)를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인해 이동 바퀴(180)와 받침 프레임(170)의 결속이 약해지지 않으므로, 차량의 진출입이 빈번하여도 이동 바퀴(180)와 스토퍼(190)가 동시에 차량 소독부(100)의 무게를 분산 지지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19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바퀴(180) 및 스토퍼(190)에 의해 받침 프레임(17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받침 프레임(170)에 결합된 바닥부(140) 또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이 바닥부(140)에 진입하기 어려우므로, 차량 소독부(100)의 전후단에는 차량 진출입을 위한 별도의 경사로(1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이 출입 가능한 차량 소독부(100)를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차량 소독부(100)의 내부에 차륜 세척 수단(150) 및 소독액 분무 수단(160)을 구비함으로써, 바퀴에 묻은 이물질을 통한 전염균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차량의 완전 진입 후 소독을 실시함으로써 세척과 소독을 이원화하여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소독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소독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뿐 아니라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전염균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신속히 거점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설치 또는 해체시 도로 통행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해체시 보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림 방지용 안전 장치(183f~h)가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진출입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이동 바퀴(180)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스토퍼(190) 및 기타 구성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차량 소독부 101 : 전방 도어
102 : 후방 도어 110 : 좌측 벽체부
120 : 우측 벽체부 130 : 지붕부
140 : 바닥부 150 : 차륜 세척 수단
160 : 소독액 분무 수단 170 : 받침 프레임
180 : 이동 바퀴 183 : 체결구
183(f~h) : 안전 장치 190 : 스토퍼
200 : 대인 소독실 300 : 제어반

Claims (10)

  1. 차량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전방 도어와, 좌측 벽체부, 우측 벽체부, 바닥부, 지붕부 및 차량 진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후방 도어로 이루어지는 차량 소독부;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전방 도어 후단에 구비되어 진입 차량의 바닥면과 측면부로 물을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차륜 세척 수단;
    상기 차량 소독부 내의 상기 좌측 벽체부와, 상기 우측 벽체부 및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는 소독액 분무 수단;
    상기 차량 소독부의 일측에 상기 차량 소독부와 내측 도어를 통해 연통되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출입하여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대인 소독실;
    상기 차량 소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도어 또는 상기 후방 도어의 개폐를 결정하며, 상기 차륜 세척 수단 또는 상기 소독액 분무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반;
    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이동 바퀴;
    상기 받침 프레임의 복수 개소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이 상기 이동 바퀴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바퀴는 휠 브라켓의 연직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바퀴의 휠 브라켓과 상기 받침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구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안전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받침 프레임에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부와 육각머리부로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의 내부에서 상기 육각머리부의 길이 방향 단부까지 내측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머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는 다각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 장치는 U자 형상의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요홈에 삽설되는 끼움 부재 및 상기 내측 중공부에 삽설되되 일단부는 상기 나사부에 삽설되는 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끼움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끼움 부재를 상기 내측 중공부 방향으로 당기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브라켓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전방 도어의 전단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전방 센서;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전방 도어의 후단 또는 상기 후방 도어의 전단에 구비되어 차량의 완전 진입을 감지하는 내부 센서;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후방 도어의 후단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출을 감지하는 후방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전방 센서로부터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전방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내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완전 진입이 감지되먼 상기 전방 도어를 폐쇄하며, 상기 후방 센서로부터 차량의 완전 진출이 감지되면 상기 후방 도어를 폐쇄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세척 수단 또는 상기 차량 소독부의 상기 차륜 세척 수단 인근에 구비되어 차량의 차륜을 감지하는 차륜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차륜 감지 센서에 차량의 차륜이 상기 차량 소독부에 위치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소독부를 구동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인 소독실에 구비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대인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대인 감지 센서로부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입실이 감지되면 상기 소독액 분무 수단을 구동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체부, 상기 우측 벽체부, 상기 지붕부는 복수의 벽체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며, 각 벽체의 상호 접하는 단부는 측면 블럭이 구비되어 각 측면 블럭이 결합됨으로써 각 벽체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의 하단에는 하단 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의 상단에는 상단 블럭이 구비되어서 상기 하단 블럭과 상기 상단 블럭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붕부와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가 결합되되, 상기 하단 블럭은 하방으로 상부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내측으로 상기 상단 블럭이 인입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체부 및 상기 우측 벽체부의 하단에는 받침 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하부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레일의 내측으로 상기 받침 블럭이 인입되는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20170059867A 2017-05-15 2017-05-15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178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67A KR101785437B1 (ko) 2017-05-15 2017-05-15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67A KR101785437B1 (ko) 2017-05-15 2017-05-15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437B1 true KR101785437B1 (ko) 2017-10-16

Family

ID=6029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67A KR101785437B1 (ko) 2017-05-15 2017-05-15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4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72B1 (ko) * 2018-02-27 2018-11-02 조선화 세륜 시설 내장형 거점 소독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951285B1 (ko) * 2018-04-23 2019-02-22 (주)아성온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20190056855A (ko) 2017-11-17 2019-05-27 이선희 내진 기능이 구비된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2079271B1 (ko) * 2019-05-16 2020-02-19 이훈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KR102079269B1 (ko) * 2019-09-26 2020-02-19 이훈 화물 적재가 용이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CN114180196A (zh) * 2021-12-10 2022-03-15 牡丹江医学院附属红旗医院 一种医学检验科样本转运装置
KR20240053375A (ko) 2022-10-17 2024-04-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차량 소독 시설의 도어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2B1 (ko) * 2015-08-31 2016-02-24 이선희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2B1 (ko) * 2015-08-31 2016-02-24 이선희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55A (ko) 2017-11-17 2019-05-27 이선희 내진 기능이 구비된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2007808B1 (ko) 2017-11-17 2019-08-06 이선희 내진 기능이 구비된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1914772B1 (ko) * 2018-02-27 2018-11-02 조선화 세륜 시설 내장형 거점 소독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951285B1 (ko) * 2018-04-23 2019-02-22 (주)아성온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2079271B1 (ko) * 2019-05-16 2020-02-19 이훈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KR102079269B1 (ko) * 2019-09-26 2020-02-19 이훈 화물 적재가 용이한 컨테이너 화물 하역장치
CN114180196A (zh) * 2021-12-10 2022-03-15 牡丹江医学院附属红旗医院 一种医学检验科样本转运装置
CN114180196B (zh) * 2021-12-10 2022-08-05 牡丹江医学院附属红旗医院 一种医学检验科样本转运装置
KR20240053375A (ko) 2022-10-17 2024-04-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차량 소독 시설의 도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437B1 (ko)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1597162B1 (ko)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KR200441324Y1 (ko) 오픈형 몸 소독기
KR102199200B1 (ko)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KR101408941B1 (ko)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차량 살균시스템
JP6836272B2 (ja) 消毒装置
JP2012050734A (ja) 車両消毒装置
JP5764800B2 (ja) 車両消毒装置
KR101088794B1 (ko) 차량소독시스템
KR200458780Y1 (ko) 신발 자동 소독장치
CN112770787A (zh) 具备旋转及移动型喷射装置的据点防疫系统
JP5791292B2 (ja) 車両消毒装置
JP5791694B2 (ja) 車両消毒装置
JP4330170B2 (ja) マットレス洗浄消毒装置、及びマットレス洗浄消毒方法
KR102007808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1911752B1 (ko) 거점식 차량 소독 관리시스템
KR100805827B1 (ko) 차량용 소독장치
KR102338485B1 (ko) 신발 오염먼지 제거용 진공흡입식 발판매트를 갖춘 살균소독 게이트
KR102149127B1 (ko) 애완동물용 팻카라반
KR200449759Y1 (ko) 개량된 살균,탈취기능을 갖는 세륜기
US20220220718A1 (en) Floor cleaning device
KR200317750Y1 (ko) 차량용 방역장치
KR102245376B1 (ko) 출구식 분사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CN219208227U (zh) 自动消毒设备
KR100532214B1 (ko) 차량용 방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