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200B1 -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 Google Patents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200B1
KR102199200B1 KR1020200133912A KR20200133912A KR102199200B1 KR 102199200 B1 KR102199200 B1 KR 102199200B1 KR 1020200133912 A KR1020200133912 A KR 1020200133912A KR 20200133912 A KR20200133912 A KR 20200133912A KR 102199200 B1 KR102199200 B1 KR 10219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water
water
disinfectant
storage ta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택
설재만
한영란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신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택 filed Critical 신기택
Priority to KR102020013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05B1/305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the actuating means being a solen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블로워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블로워에 소독수 일부가 물방울식으로 맺히면서 낙하하게 되는 낙수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미립화할 수 있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모터블로워의 초기 소독수분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Exit type spray sterilizer and vehicle disinfection system}
본 발명은 모터블로워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블로워에 소독수 일부가 물방울식으로 맺히면서 낙하하게 되는 낙수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미립화할 수 있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모터블로워의 초기 소독수분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축의 질병은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빠르게 지역간 국가간 확산되어 물자의 교역 및 관련 산업에도 많은 피해를 미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질병발생시 타지역으로의 전파를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국내 겨울철에는 구제역과 조류 인플루엔자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구제역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발생시, 농가는 물론 살처분 보상금과 예방 백신 접종 등 정부가 지출해야 할 피해액은 수조원에 이를 수도 있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질병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수십만의 동물을 땅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담당자들의 심리적, 육체적 고통의 이중고를 겪어야 하는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구제역이나 조류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질병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국가기관이나 지방 자치단체별로 질병통제를 위하여 도로 측면에 고압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통행차량을 소독하고 있고, 각 가축사육 농장에서는 농장 출입구에 차량 소독장치나 분무기 등을 설치하여 차량과 출입자에 대하여 철저히 소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가축을 이동시키는 축산차량을 효과적으로 세척 및 소독하여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2680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26809호의 경우, 차량으로 기체화된 소독수를 분무하는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블로워가 소독수를 차량으로 분무할 경우, 소독수 일부가 상기 모터블로워에 물방울식으로 맺히면서 낙하하는 낙수현상이 발생됨과 더불어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미립화할 수 없어 차량의 소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268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모터블로워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블로워에 소독수 일부가 물방울식으로 맺히면서 낙하하게 되는 낙수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미립화할 수 있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모터블로워의 초기 소독수분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분사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소독수를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의 분사구를 통해 차량으로 분무하는 분무모듈과;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될 소독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소독수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를 상기 공급파이프로 안내하는 안내라인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라인으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소독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소독수 일부를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소독수 중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로 회수하는 회수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소독수 중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를 상기 회수파이프로 회수하는 회수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식 분무 소독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소독수가 내측으로 흡입되는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가 상기 흡입파이프로 흡입한 소독수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로 토출하며, 상기 안내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로 토출되는 소독수 일부가 상기 안내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라인에 구비되는 공급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파이프에 구비되는 배출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공급라인, 상기 회수라인 및 토출파이프에 각각 구비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무모듈은 모터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무모듈의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속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타이머에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무모듈을 통한 차량의 소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일정시간동안 개방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와 상기 모터블로워를 구동중지시킨 후 개방상태인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일정시간경과 후 폐쇄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과 후측에 통풍구가 각각 형성된 전측플레이트 및 후측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으로 물을 분사하여 차량을 세척하는 물분사부와; 상기 물분사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물분사부를 통해 세척된 차량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세척된 차량의 물기를 제거하는 공기분사부와; 상기 공기분사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분사부를 통해 물기가 제거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사하여 소독하는 소독수분사부와; 상기 소독수분사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수분사부를 통해 소독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는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독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의 하부로 소독수를 분사하여 차량의 하부를 소독하는 하부소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의 분무모듈이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도록 상기 출구식 분무소독기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의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양에 따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소독수를 공급하는 소독수 수용부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무할 수 있어 상기 모터블로워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블로워에 소독수 일부가 물방울식으로 맺히면서 낙하하게 되는 낙수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미립화할 수 있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모터블로워의 초기 소독수분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파이프에 남아있는 소독수를 소독수 저장탱크로 회수할 수 있어 겨울철에 상기 공급파이프에 남아있는 소독수로 인해 상기 공급파이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출구식 분무 소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절개배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의 일측방향에서 흡입파이프, 토출파이프, 솔레노이드밸브 및 개폐밸브를 투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하우징의 타측방향에서 흡입파이프, 토출파이프, 솔레노이드밸브 및 개폐밸브를 투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모터블로워, 솔레노이드밸브 및 펌프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소독수가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를 순환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안내라인으로 소독수 일부가 안내라인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공급파이프로 공급된 소독수 일부가 모터블로워로 공급 및 회수파이프로 회수된 나머지소독수가 소독수 저장탱크로 회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공급파이프에 잔류하는 소독수가 소독수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전측플레이트와 후측플레이트의 통풍구를 바람이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소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19는 차량 소독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0은 차량의 하부를 소독하는 하부소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1은 출구식 분무 소독기로부터 소독 완료된 차량이 통과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출구식 분무 소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절개배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의 일측방향에서 흡입파이프, 토출파이프, 솔레노이드밸브 및 개폐밸브를 투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하우징의 타측방향에서 흡입파이프, 토출파이프, 솔레노이드밸브 및 개폐밸브를 투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출구식 분무 소독기(4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410), 분무모듈(420), 소독수 저장탱크(430), 공급파이프(440), 안내라인(450), 펌프(460), 공급라인(470), 회수파이프(480) 및 회수라인(4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410)의 일측에 상기 분무모듈(420)의 후술할 모터블로워(422)의 노즐이 상기 하우징(4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시키는 분사구(411)가 상기 하우징(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411)는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노즐의 회동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하우징(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 또는 상기 하우징(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무모듈(420)은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소독수를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410)의 분사구(411)를 통해 축산차량 등의 차량으로 분무할 수 있다.
상기 분무모듈(420)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421)과 상기 모터블로워(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421)은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면 전측에 상기 하우징(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블로워(422)는 상기 고정프레임(421)의 내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블로워(422)는 소독수를 공급받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분사구(411)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 기체상태로 분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하우징(410)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는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될 소독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하부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캐스터 등의 바퀴부재(416)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파이프(440)는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 후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440)의 내부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가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라인(450)이 상기 공급파이프(440)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라인(450)의 후측은 상기 공급파이프(440)의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라인(450)이 후술할 토출파이프(492)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라인(450)의 전측은 상기 토출파이프(49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450)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를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45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460)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라인(450)의 내부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에 저장된 소독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펌프(46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커버부재(415)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415)의 내측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라인(470)은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되는 소독수 일부를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47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라인(470)의 후측이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되고, 상기 공급라인(470)의 전측이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된 상태로 상기 공급라인(470)은 상기 공급파이프(47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수파이프(480)는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 전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상부 일측에 상기 공급파이프(44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파이프(480)의 내부로는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되는 소독수 중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회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수라인(490)은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되는 소독수 중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를 상기 회수파이프(480)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회수라인(49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수라인(490)의 후측이 상기 공급라인(470)의 후측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되고, 상기 회수라인(490)의 전측이 상기 회수파이프(480)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수라인(490)은 상기 공급파이프(440)와 상기 회수파이프(480) 사이에 상기 하우징(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460)의 흡입구(460a)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 사이에 흡입파이프(4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파이프(491)의 내측으로 상기 펌프(460)에 의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소독수가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460)의 토출구(460b)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 사이에 상기 흡입파이프(491)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토출파이프(4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파이프(492)는 상기 펌프(460)가 상기 흡입파이프(491)로 흡입한 소독수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파이프(49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토출되는 소독수 일부는 상기 안내라인(4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라인(450)과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각각 솔레노이드밸브(4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93)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와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는 상기 안내라인(4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를 통해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되는 소독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는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파이프(44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를 통해 상기 공급파이프(440)에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배출되는 소독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라인(470), 상기 회수라인(490) 및 상기 토출파이프(492)에 각각 개폐밸브(494, 495, 496)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공급라인(470)에 구비될 수 있는 개폐밸브(494)를 통해 상기 공급파이프(440)를 통과하여 상기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되어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의해 기체상태로 분무될 수 있는 소독수의 초기 소독수분무량을 정밀하게 수동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회수라인(490)에 구비될 수 있는 개폐밸브(495)를 통해 상기 회수파이프(480)로 회수되는 소독수의 초기 소독수 회수량을 정밀하게 수동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토출파이프(492)에 구비될 수 있는 개폐밸브(496)를 통해 상기 토출파이프(492)에서 상기 안내라인(450)으로 공급되는 초기 소독수 공급량을 정밀하게 수동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모터블로워, 솔레노이드밸브 및 펌프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의 회전속도를 정격회전속도로 조절하는 속도조절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모터블로워(422)가 규정한 한계속도인 정격회전속도로 소독수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과도한 회전속도로 인해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모터블로워(422)가 소독수를 차량으로 분무할 경우, 소독수 일부가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물방울식으로 맺히면서 낙하하는 낙수현상이 발생됨과 더불어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미립화할 수 없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나, 상기 속도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모터블로워(422)가 정격회전속도로 소독수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낙수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소독수의 미립효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도조절부(200)는 일예로, 제어부(40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저항 및 커페시터와,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제어부(400)에 피드백시켜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300)와 제어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300)는 제 1, 2타이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이머에는 상기 속도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이머에는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의 개방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모터블로워(422),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93) 및 상기 펌프(4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소독수가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를 순환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작업자에 의해 초기에 상기 토출파이프(492)에 구비된 개폐밸브(496)가 상기 토출파이프(492)를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 및 후술할 감지부(60)가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300)의 제 1타이머에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를 개방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46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파이프(491)와 상기 토출파이프(492) 및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를 지속적으로 순환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토출파이프(492)를 통과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토출되는 소독수 일부는 상기 안내라인(45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겠으나,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가 폐쇄상태이므로 상기 안내라인(450)으로 유입된 소독수는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가 개방상태이므로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남아있는 소독수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낙하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어 겨울철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남아있는 소독수로 인해 상기 공급파이프(44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안내라인으로 소독수 일부가 안내라인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공급파이프로 공급된 소독수 일부가 모터블로워로 공급 및 회수파이프로 회수된 나머지소독수가 소독수 저장탱크로 회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타이머(300)의 제 1타이머에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급솔레노이브밸브(493a)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를 폐쇄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46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파이프(492)를 통과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토출되는 소독수 일부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라인(450)을 통과하여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470)과 상기 회수라인(490)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494, 495)가 작업자에 의해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된 상태로 수동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파이프(440)로 공급된 소독수 일부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라인(470)을 통해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되어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의해 기체상태로 차량으로 분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는 상기 회수라인(490)과 상기 회수파이프(48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회수될 수 있다.
도 13은 공급파이프에 잔류하는 소독수가 소독수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차량이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를 완전통과하여 상기 감지부(60)가 차량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를 통한 차량의 소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493a)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를 상기 타이머(300)의 제 2타이머에 설정된 개방시간동안 개방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460)와 상기 모터블로워(422)를 구동중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남아있는 소독수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낙하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어 겨울철 상기 공급파이프(440)에 남아있는 소독수로 인해 상기 공급파이프(44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이머(300)의 제 2타이머에 설정된 개방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493b)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상정지 스위치(600)와 수동/자동전환 스위치(700) 및 알림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600)는 상기 제어부(400)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가 소독수를 차량으로 분무하는 과정 중 예기치 못하게 상기 분무모듈(420)에 모터블로워(422)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 차량을 소독하지 못하게 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600)를 조작하여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긴급구동정지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를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동/자동전환 스위치(700)는 상기 제어부(400)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자동전환 스위치(700)가 수동상태로 전환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400)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복수의 작동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모터블로워(422), 상기 펌프(460)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93)를 수동조작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자동전환 스위치(700)가 자동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출구식 분무소독기(40)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블로워(422), 상기 펌프(460)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93)를 자동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800)는 상기 하우징(4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블로워(422)의 고장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모터블로워(422)로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알림부(8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고장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림부(800)는 일예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 또는 '모터블로워에 고장이 발생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음성멘트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와 스피커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전측플레이트와 후측플레이트의 통풍구를 바람이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10)의 전측과 후측에는 통풍구(414)가 각각 형성된 전측플레이트(412)와 후측플레이트(413)가 상기 하우징(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414)는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중간부에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414)는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중간부에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통풍구(414) 주변의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일측면 부위에 전측루버(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루버(412a)가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통풍구(414)를 통과하여 상기 전측루버(412a)의 내측으로 유입된 바람을 상기 전측플레이트(40)의 전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루버(412a)의 전측이 개방 및 상기 전측루버(412a)의 일측에 경사면(4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루버(412a)의 경사면(412b)은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통풍구(414) 주변의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일측면 부위에 후측루버(4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루버(413a)가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통풍구(414)를 통과하여 상기 후측루버(413a)의 내측으로 유입된 바람을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후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루버(413a)의 후측이 개방 및 상기 후측루버(413a)의 일측에 경사면(4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루버(413a)의 경사면(413b)은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전측플레이트(412)와 상기 후측플레이트(413)에 각각 형성된 상기 통풍구(414)를 통과하는 바람을 따라 차량 전체적으로 소독수가 전달될 수 있어 차량의 소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소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소독시스템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량으로 물을 분사하여 차량을 세척하는 물분사부(10)와; 상기 물분사부(10)의 전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물분사부(10)를 통해 세척된 차량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세척된 차량의 물기를 제거하는 공기분사부(20)와; 상기 공기분사부(20)의 전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분사부(20)를 통해 물기가 제거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사하여 소독하는 소독수분사부(30)와; 상기 소독수분사부(30)의 전측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수분사부(30)를 통해 소독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는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10), 상기 공기분사부(20), 상기 소독수분사부(3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26809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는 일예로, 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1), 복수의 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 및 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1)는 상기 소독수 분사부(30)의 전측 방향의 지면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수직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는 일예로, 상기 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1)의 전측 방향의 지면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수직설치되는 제 1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a), 제 2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b) 및 제 3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3)는 복수의 상기 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 중 제 3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c)의 전측 방향의 지면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수직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3) 사이의 지면에 상기 과속방지턱(7)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60)는 루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루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감지부(60)는 제 1감지부(610), 제 2감지부(620), 제 3감지부(630) 및 제 4감지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감지부(610)는 상기 물분사부(10)의 후측방향의 지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분사부(10)로 이동하는 상기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감지부(620)는 상기 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1)와 상기 소독수 분사부(30) 사이의 지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감지부(630)는 복수의 상기 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 중 제 3중간 출구식 분무 소독기(42c)와 상기 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3) 사이에 지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4감지부(640)는 상기 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3)의 전측 방향의 지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10)와 상기 제 1감지부(610) 사이의 지면 및 상기 제 4감지부(640)와 상기 과속방지턱(7) 사이의 지면에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차단바(91)를 내리고 올리는 것으로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통제하기 위한 차단부(9)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차량 소독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감지부(610)가 상기 차량(3)을 감지한 경우, 상기 물분사부(10)와 상기 제 1감지부(610) 사이의 상기 차단부(9)는 상기 차량(3)이 상기 물분사부(4) 사이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차단바(91)를 올릴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분사부(10)와 상기 공기분사부(20) 및 상기 소독수 분사부(30)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각각 물, 고압의 공기 및 소독수를 각각 순차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 2감지부(620)가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 사이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3)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의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3)으로 소독수를 분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물분사부(10)와 상기 공기분사부(20) 및 상기 소독수 분사부(30)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지속적으로 작동 및 상기 물분사부(10)와 상기 제 1감지부(610) 사이의 상기 차단부(9)가 차단바(91)를 내릴 수 있다.
상기 제 3감지부(630)가 상기 차량(3)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물분사부(10)와 상기 공기분사부(20) 및 상기 소독수 분사부(30)가 작동 중지 및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가 지속적으로 소독수를 분사함과 더불어 상기 제 4감지부(640)와 상기 과속방지턱(7) 사이의 상기 차단부(9)가 차단바(91)를 올릴 수 있다.
상기 제 4감지부(640)가 상기 차량(3)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가 지속적으로 소독수를 분무함과 더불어 상기 제 4감지부(640)와 상기 과속방지턱(7) 사이의 상기 차단부(9)가 차단바(91)를 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은 차량의 하부를 소독하는 하부소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의 전측 출구식 분무 소독기(43) 사이의 지면에 설치된 과속방지턱(7)을 통과하는 차량(3)의 하부로 소독수를 분사하여 차량(3)의 하부를 소독하는 하부소독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소독부(50)는 일예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공급관(501)과 하부분사노즐(5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급관(501)은 상기 과속방지턱(7)의 내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과속방지턱(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공급관(501)의 일측은 소독수가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되는 탱크의 측면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소독수는 펌프에 의해 상기 하부공급관(501)의 내부로 강제펌핑되어 상기 하부공급관(50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급관(501)의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분사노즐(502)은 상기 하부공급관(501)의 상부에 상기 하부공급관(50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분사노즐(502)은 상기 하부공급관(501)으로 공급된 소독수를 상기 과속방지턱(7)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는 분사구(71)를 통해 차량(3)의 하부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 21은 출구식 분무 소독기로부터 소독 완료된 차량이 통과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차량(3)이 상기 제 4감지부(640)를 완전히 통과하여 상기 차량(3)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분무모듈(420)의 모터블로워(422)를 통한 차량의 소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는 작동 중지 및 상기 제 4감지부(640)와 상기 과속방지턱(7) 사이의 상기 차단부(9)가 차단바(91)를 내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위센서(70), 소독수 수용부(80), 온도센서(90) 및 히터부재(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70)는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40)의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소독수 수용부(80)에는 상기 수위센서(7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양에 따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로 소독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수위센서(70)를 통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에 남아 있는 소독수가 상기 제어부(400)에 설정된 기준소독수양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상기 소독수 수용부(8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소독수를 공급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소독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90)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에 저장된 소독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터부재(100)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부재(100)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외주면을 감싸는 단열재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로 열을 발산하는 코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90)를 통해 감지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온도가 상기 제어부(400)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히터부재(100)는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여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가 특히, 겨울철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90)를 통해 감지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430)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온도가 상기 제어부(400)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800)의 발광부재는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발광하는 빛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상기 알림부(800)의 스피커는 상기 모터블로워(422)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출력하는 경보음과는 다른 경보음, 일예로 부저소리로 이루어지는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소독수의 온도가 저온입니다' 등과 같은 음성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70), 상기 소독수 수용부(80), 상기 온도센서(90) 및 상기 히터부재(100)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26809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0; 물분사부, 20; 공기분사부,
30; 소독수분사부, 40; 출구식 분무 소독기,
410; 하우징, 420; 분무모듈,
430; 소독수 저장탱크, 440; 공급파이프,
450; 안내라인, 460; 펌프,
470; 공급라인, 480; 회수파이프,
490; 회수라인.

Claims (10)

  1. 일측에 분사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소독수를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의 분사구를 통해 차량으로 분무하는 모터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무모듈과;
    상기 분무모듈의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와;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될 소독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소독수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를 상기 공급파이프로 안내하는 안내라인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라인으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소독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소독수 일부를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소독수 중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로 회수하는 회수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소독수 중 상기 분무모듈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소독수를 상기 회수파이프로 회수하는 회수라인과;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소독수가 내측으로 흡입되는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가 상기 흡입파이프로 흡입한 소독수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로 토출하며, 상기 안내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로 토출되는 소독수 일부가 상기 안내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파이프와;
    상기 안내라인에 구비되는 공급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파이프에 구비되는 배출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공급라인, 상기 회수라인 및 토출파이프에 각각 구비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속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타이머에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모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정격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식 분무 소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모듈을 통한 차량의 소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일정시간동안 개방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와 상기 모터블로워를 구동중지시킨 후 개방상태인 상기 배출솔레노이드밸브를 일정시간경과 후 폐쇄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식 분무 소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측과 후측에 통풍구가 각각 형성된 전측플레이트 및 후측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식 분무 소독기.
  4. 차량으로 물을 분사하여 차량을 세척하는 물분사부와;
    상기 물분사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물분사부를 통해 세척된 차량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세척된 차량의 물기를 제거하는 공기분사부와;
    상기 공기분사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분사부를 통해 물기가 제거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사하여 소독하는 소독수분사부와;
    상기 소독수분사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수분사부를 통해 소독된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는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출구식 분무 소독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독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는 지면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의 하부로 소독수를 분사하여 차량의 하부를 소독하는 하부소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독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의 분무모듈이 차량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도록 상기 출구식 분무소독기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출구식 분무 소독기의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양에 따라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소독수를 공급하는 소독수 수용부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소독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소독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독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3912A 2020-10-16 2020-10-16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KR10219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12A KR102199200B1 (ko) 2020-10-16 2020-10-16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12A KR102199200B1 (ko) 2020-10-16 2020-10-16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200B1 true KR102199200B1 (ko) 2021-01-06

Family

ID=7412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912A KR102199200B1 (ko) 2020-10-16 2020-10-16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20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43B1 (ko) 2021-02-02 2021-09-01 (주)에이치티코리아 게이트형 소독제 분사 장치
KR102301415B1 (ko) * 2021-03-23 2021-09-10 김종석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소독장치
KR20220112377A (ko) * 2021-02-04 2022-08-11 (주)삼일엠티에스 손 소독 장치
KR20220123944A (ko) *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집단형 진동 분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형 분무 장치
KR102447102B1 (ko) * 2021-10-21 2022-09-28 유후자 동파방지 석재 음수대
KR102471987B1 (ko) * 2022-03-23 2022-11-30 주식회사 도영이앤지 위치변화 감시수단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483167B1 (ko) * 2022-03-23 2023-01-04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과 실내건축물의 전기 공급용 소켓장치 제공방법
WO2023009227A1 (en) * 2021-07-29 2023-02-02 Quality Interstate Services, L.L.C. Automatic cattle trailer wash system
KR102532007B1 (ko) 2022-01-14 2023-05-11 신기택 자율주행 무인방제 소독운반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76Y1 (ko) * 2002-10-14 2003-01-24 주식회사 파루 차량소독장치
KR101219017B1 (ko) * 2012-09-05 2013-01-21 (주)한성티앤아이 무선제어 및 송풍량이 가변조절되는 스마트 방역방제기
KR101666520B1 (ko) * 2015-09-07 2016-10-14 박재광 긴급도로용 조립식 자동방역소독기
KR102026809B1 (ko) 2019-01-21 2019-11-15 신기택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76Y1 (ko) * 2002-10-14 2003-01-24 주식회사 파루 차량소독장치
KR101219017B1 (ko) * 2012-09-05 2013-01-21 (주)한성티앤아이 무선제어 및 송풍량이 가변조절되는 스마트 방역방제기
KR101666520B1 (ko) * 2015-09-07 2016-10-14 박재광 긴급도로용 조립식 자동방역소독기
KR102026809B1 (ko) 2019-01-21 2019-11-15 신기택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43B1 (ko) 2021-02-02 2021-09-01 (주)에이치티코리아 게이트형 소독제 분사 장치
KR20220112377A (ko) * 2021-02-04 2022-08-11 (주)삼일엠티에스 손 소독 장치
KR102585209B1 (ko) * 2021-02-04 2023-10-10 (주)삼일엠티에스 손 소독 장치
KR20220123944A (ko) *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집단형 진동 분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형 분무 장치
KR102537726B1 (ko) * 2021-03-02 2023-06-28 주식회사 푸시풀 집단형 진동 분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게이트형 분무 장치
KR102301415B1 (ko) * 2021-03-23 2021-09-10 김종석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소독장치
WO2023009227A1 (en) * 2021-07-29 2023-02-02 Quality Interstate Services, L.L.C. Automatic cattle trailer wash system
KR102447102B1 (ko) * 2021-10-21 2022-09-28 유후자 동파방지 석재 음수대
KR102532007B1 (ko) 2022-01-14 2023-05-11 신기택 자율주행 무인방제 소독운반차량
KR102471987B1 (ko) * 2022-03-23 2022-11-30 주식회사 도영이앤지 위치변화 감시수단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483167B1 (ko) * 2022-03-23 2023-01-04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과 실내건축물의 전기 공급용 소켓장치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200B1 (ko) 출구식 분무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KR102026809B1 (ko)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KR200441324Y1 (ko) 오픈형 몸 소독기
KR101408941B1 (ko)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차량 살균시스템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US11083815B1 (en) Sanitizing apparatus
KR101785437B1 (ko) 밀폐형 이동 조립식 차량 소독장치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KR20070013691A (ko) 사람 소독 장치
KR101847268B1 (ko) 무인 자동차 방역 살균세척기
KR101982594B1 (ko) 거점식 소독설비용 차량 내부 소독장치
KR102337250B1 (ko) 출입자 검사 및 소독시스템
KR20090097647A (ko) 무인자동 살균 소독 분사장치
KR101573763B1 (ko) 거점식 연무 방제 시스템
KR20170004491A (ko) 방제액 분사 장치
JP5791292B2 (ja) 車両消毒装置
JP5334948B2 (ja) 車両消毒装置
KR101998876B1 (ko) 방역 장치
JP2014073403A (ja) 車両消毒装置
KR101565950B1 (ko) 2차 오염 방지를 위한 필터 교체 알람 기능이 포함된 에어샤워 장치
KR101911752B1 (ko) 거점식 차량 소독 관리시스템
KR0139497Y1 (ko)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200399262Y1 (ko) 공중 부유균 살균기
KR102411054B1 (ko) 게이트형 살균 및 소독 장치
KR102245376B1 (ko) 출구식 분사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