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97Y1 -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 Google Patents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97Y1
KR0139497Y1 KR2019960034171U KR19960034171U KR0139497Y1 KR 0139497 Y1 KR0139497 Y1 KR 0139497Y1 KR 2019960034171 U KR2019960034171 U KR 2019960034171U KR 19960034171 U KR19960034171 U KR 19960034171U KR 0139497 Y1 KR0139497 Y1 KR 0139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disinfectant
chemical
entrance
disinfect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908U (ko
Inventor
김형호
유용희
김태일
한정대
Original Assignee
조재연
대한민국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연, 대한민국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조재연
Priority to KR2019960034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사 및 관리농기구에 병원성 세균등 미생물이 상존해 있는 만성적인 질병과 전염성 질병에 대하여 미연에 방역을 함으로써 가축질병에 의한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에 관한 것인바 종래의 양축농가는 가축관리자와 외래 방문객등으로부터 오염되는 전염성 질병을 예방하고자 축사 출입구에 소독약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신발바닥에만 소독이 될 뿐 신체 타부위로부터 오는 오염원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가축사육 등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출입자나 농기구를 통과시켜 전염병차단과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함으로써 축사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출입자의 소독이 끝난후 소독상 내부청결을 위해 무인상태에서 자동으로 다시 전공정 1회 반복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우측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좌측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제환기팬 2 : 전구
3 : 여닫이환기창 4 : 바퀴
5, 27 : UV램프 6 : 에어필터창
7, 8 : 회전식분사노즐 9 : 전원센서
10 : 입구문 11 : 출구문
20 : 분무장치 21 : 분무기
23 : V벨트 29 : 분무호스
30 : 약품혼합장치 36 : 계량눈금기
40 : 약품혼합조 100 : 소독상
본 고안은 농가의 축사 등에 사용되어지는 자동 소독상으로써 특히 축사 및 관리 농기구에 병원성 세균등 미생물이 상존해 있는 만성적인 질병과 전염성 질병에 대하여 미연에 방역을 함으로써 가축질병에 의한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질병에 대한 축산농가의 열악한 환경과 인식부족으로 방역시설이 부족하여 양축농가의 경제적 손실이 커지는 실정이다.
종래의 양축농가는 가축관리자와 외래방문객등으로부터 오염되는 전염성 질병을 예방하고자 축사 출입구에 소독약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신발바닥에만 소독이 될 뿐 신체타부위로부터 오는 오염원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축사입구에서 희석된 소독약을 인위적으로 분사시키는 고정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이 또한 병원성 미생물의 차단이 불충분하고 시설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가축관리자는 가축사육등에서 다른 동으로의 빈번한 이동이 필수적이나 동간의 이동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차단 시설이 각동마다 되어있지 않아 전염병 전파가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이동가능하도록 가축사육동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출입자나 농기구를 통과시켜 전염병 차단과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함으로써 축사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소독상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액상형 소독약 또는 분말형 소독약을 자동 혼합하도록 이루어지며 출입자의 소독이 끝난 후 소독상 내부청결을 위해 무인 상태에서 자동으로 다시 전공정 1회 반복하도록 한 축사용 자동 소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이동성을 갖도록 바퀴가 부착된 자동소독상의 상단부에 강제환기팬, 전구, UV램프, 환기창이 설치되고 분사장치는 상기 자동소독상의 내부천정, 바닥, 좌,우면에 설치되며 우측면에는 약품을 혼합하는 약품혼합장치와 각 부분의 신호를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가 설치되고 좌측면에는 분무기, 구동모터, 공기청정장치로 이루는 분무장치가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노즐과 철망발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축사출입시 전염병 및 병원성 미생물을 방역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자동소독상에 있어서, 직육면체형의 자동소독상(100)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4)를 부착하고 상기 소독상(100) 앞부분과 뒤부분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유리를 부착하여 안전성을 높인 입,출구문(10)(11)을 설치하고 상기 입,출구문(10)(11) 개폐를 감지하는 전원센서(9)를 설치하며 내부에는 소독약을 분사하는 회전식 분사노즐(7)(8)이 바닥 좌,우면에 설치되고 상기 소독상(100)의 외부우측면에는 약품혼합장치(30)와 각부분의 신호를 제어하는 메인론트롤러(39)가 설치되며 상기 소독상(100)의 외부 좌측면에는 소독약을 분사하도록 하기 위한 분무기(21)와 공기를 청정과 분사하기 위한 공기청정장치(26), 콤푸레셔(25)로 이루는 분무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소독상(100)의 내부 천정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5)가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출입자가 서 있을 수 있는 철망발판(12)이 설치되어져 이루어진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우측을 보여주는 개략구성도로써, 상기 소독상(100)의 우측면상에 소독약 혼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을 담는 물통(31)과 소독약을 저장하는 약품저장조(33), 액상약통(34)이 설치되고 상기 물통(31)에서 지정한 일정량의 물이 약품혼합조(40)에 유입되도록 하는 정량펌프(32)가 물통(31) 하부구에 설치되며 상기 액상약통(34)의 하부구에 일정한 약품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34a)를 설치하고 상기 물통(31)과 액상약통(34)에서 유입된 물과 소독약을 교반날개(38)를 통해 혼합해주는 약품혼합조(40)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날개(38)를 구동하는 교반모터(37)를 상기 약품혼합조(40)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액상약통(3B)의 우측부에 약품량을 읽기 위한 계량눈금기(36)와 이 계량눈금기에서 필요한 약품량을 감지하여 눈금을 읽는 근접센서(41)가 위치하며 상기 약품혼합조(40)의 우측에 UV램프, 분무기, 콤푸레셔, 전위스위치 부분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콘트롤러(39)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고안은 좌측을 보여주는 개략구성도로써, 상기 소독상(100)의 좌측면상에 소독약을 분사하기 위한 분무기(21)가 설치되고 상기 분무기(2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24)가 설치되며 상기 분무기(21)에서 분출된 소독약을 여과하기 위한 수액여과필터(22)가 설치되고 상기 분무기(21)와 구동모터(24)를 V벨트(23)로 연결되며 콤푸레셔(25) 내부에 공기를 여과와 살균작용하는 공기필터(28), UV램프(27)가 내장된 공기청정장치(26)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청정장치(26)를 통과한 살균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하는 콤푸레셔(25)가 설치되어져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출입자가 입구문(10)을 열고 들어가면 상기 입구문(10)에 부착된 전원센서(9)는 출입자를 감지하여 메인콘트롤러(39)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를 입력한 메인 콘트롤러(39)에 내장된 콤푸레셔 타임머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콤푸레셔(25)를 가동하며 상기 콤푸레셔(25)에 의해 20kg/㎠의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가 45°각도로 설치되어 있는 천정 및 바닥면의 회전식 노즐(8)과 측면, 바닥면 부위의 180°각도로 분사되도록 된 회전식 노즐(7)을 통해 초속 0.15ℓ 공기를 분사하여 먼지와 함께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을 옷이나 신발으로부터 털어낸다.
상기 콤푸레셔(25)로 인해 분사된 공기를 청정(淸淨)하기 위해서 공기는 공기필터(28)를 통하여 여과한 다음 곡선형 통풍관에 내장되어 있는 UV램프(27)에 의해 살균되어져 상기 콤푸레셔(25)를 통해 각 노즐(7)(8)로 분사된다.
상기 공기분사가 끝난 후 본 고안의 우측면에 설치된 약품 자동혼합장치(30)는 소독약을 근접센서에 의해 계량눈금기(36)에서 읽혀진 정량 만큼 솔레노이드 밸브(35)를 통하여 약품저장조(33)에서 액상약통(34)으로 들어온 후 솔레노이드 밸브(34a)를 통하여 약품 혼합조(40)에 유입된다. 이때 소독약 혼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은 물통(31)에서 정량펌프(32)에 의해 지정한 일정량의 물이 상기 약품 혼합조(40)에 유입되어 교반모터(37)의 구동으로 인한 교반날개(38)의 작동으로 물과 약품은 혼합되어 진다.
상기 약품혼합조(40)에서 혼합된 소독약은 분무타임머에 의해 분무기를 작동하여 수액 여과필터(22)를 거친 다음 회전분사식 노즐(7)(8)을 통하여 천정, 바닥, 측면부위에서 20kg/㎠의 압력으로 분당최대 3.6ℓ를 분사하여 토출 전염병균 및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한다.
상기 소독약의 문무가 끝난 후 출입자가 출구문(11)으로 나오면 UV램프(5)가 UV램프 타임머에 의해 일정시간 켜진후 자동으로 꺼지고 이때 강제환기팬(1)도 UV램프(5)와 같이 작동한다. 상기 작동이 끝나면 출입자가 들어가지 않은 무인 상태에서도 공기분사, 분무, UV램프, 강제환기의 전공정 1회 반복되어 다음 소독을 대비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아래 시험결과에 의하면 90%이상의 제거효율이 있으나 이는 소독약의 종류, 소독액의 농도, 소독상에서의 분약시간, 분사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효율성은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이동성을 갖도록 바퀴를 부착하였고 축사 및 관리 농기구에 병원성 세균 등 미생물이 상존해 있는 만성적인 질병과 전염성 질병에 대하여 미연에 방역을 함으로써 가축질병에 의한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으며 출입자의 소독이 끝난후 소독상 내부의 완전한 소독을 위해 무인상태에서 자동으로 다시 전공정 1회 반복하도록하여 방역 효율성을 높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축사 출입시 전염병 및 병원성 미생물을 방역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자동 소독상에 있어서, 직육면체형의 자동 소독상(100)은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4)를 부착하고 상기 소독상(100) 앞부분과 뒤부분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유리를 부착한 입,출구문(10)(11)을 설치하고 상기 입,출구문(10)(11)의 개폐를 감지하는 전원센서(9)를 설치하며 내부에는 소독약을 분사하는 회전식 분사노즐(7)(8)이 바닥, 좌,우면에 설치되고 상기 소독상(100)의 외부우측면에는 약품혼합장치(30)와 각 부분의 신호를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39)가 설치되며 상기 소독상(100)의 외부좌측면에는 소독약을 분사하도록 하기 위한 분무기(21)와 공기를 청정과 분사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장치(26), 콤푸레셔(25)로 이루는 분사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소독상(100)의 내부천정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5)가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출입자가 서 있을 수 있는 철망발판(12)이 설치되어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혼합장치(30)는 소독약 혼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을 담는 물통(31)과 소독약을 저장하는 약품저장조(33), 액상약통(34)이 설치되고 상기 물통(31)에서 저장된 일정량의 물이 약품혼합조(40)에 유입되도록 하는 정량펌프(32)가 물통(31) 하부구에 설치되며 상기 액상약통(34)의 하부구에 일정한 약품이 유입 되도록 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34a)를 설치하고 상기 물통(31)과 액상약통(34)에서 유입된 물과 소독약을 교반날개(38)를 통해 혼합해주는 약품혼합조(40)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날개(38)를 구동하는 교반모터(37)를 상기 약품혼합조(40)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액상약통(34)의 우측부에 약품량을 읽기위한 계량눈금기(36)와 이 계량눈금기에서 필요한 약품량을 감지하여 눈금을 읽는 근접센서(41)가 위치하며 상기 약품혼합조(40)의 우측에 UV램프, 분무기, 콤프레셔, 전원스위치 부분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콘트롤러(39)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39)는 상기 소독상(100)의 내부청결을 위해 출입자가 들어가지 않은 무인상태에서 자동으로 다시 전공정 1회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2019960034171U 1996-10-17 1996-10-17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0139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171U KR0139497Y1 (ko) 1996-10-17 1996-10-17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171U KR0139497Y1 (ko) 1996-10-17 1996-10-17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08U KR19980020908U (ko) 1998-07-15
KR0139497Y1 true KR0139497Y1 (ko) 1999-03-20

Family

ID=1946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171U KR0139497Y1 (ko) 1996-10-17 1996-10-17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9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96B1 (ko) * 2007-05-23 2008-03-27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축사자동소독시스템
KR101270600B1 (ko) * 2011-08-19 2013-06-03 (주)농업회사법인삼화원종 출입자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장 및 부화장 출입자 소독 방법
KR101335703B1 (ko) * 2011-01-18 2013-12-06 이진국 축사용 소독장치
KR101676007B1 (ko)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US20220378007A1 (en) * 2021-05-30 2022-12-01 Almarai Company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KR20230012109A (ko) * 2021-07-14 2023-01-26 신상운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27B1 (ko) * 2007-05-04 2008-11-06 표수길 축사 내,외부 소독 및 가축 음용수 생성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96B1 (ko) * 2007-05-23 2008-03-27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축사자동소독시스템
KR101335703B1 (ko) * 2011-01-18 2013-12-06 이진국 축사용 소독장치
KR101270600B1 (ko) * 2011-08-19 2013-06-03 (주)농업회사법인삼화원종 출입자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장 및 부화장 출입자 소독 방법
KR101676007B1 (ko)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US20220378007A1 (en) * 2021-05-30 2022-12-01 Almarai Company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KR20230012109A (ko) * 2021-07-14 2023-01-26 신상운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08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440B1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US5771841A (en) Sanitation system for animal cages
KR101807192B1 (ko) 공기 소독 청정기
KR101186045B1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JP5312416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20180116863A (ko) 외부 미세먼지 및 세균의 실내 유입 방지를 위한 공동현관 소독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97647A (ko) 무인자동 살균 소독 분사장치
KR102241673B1 (ko) 실내공기 소독장치
KR0139497Y1 (ko)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200398315Y1 (ko) 사람 소독 시스템
KR20210051710A (ko) 무인 자동 소독장치
KR102273313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CN212369337U (zh) 用于楼道的消杀装置
KR20110087516A (ko) 정화기능을 지닌 손소독기
CN217049010U (zh) 一种处理设备、通风系统和空调系统
KR102355430B1 (ko) 마이크로버블 고압분무기
CN212940724U (zh) 一种餐厨垃圾车辆消毒除臭装置
KR200399262Y1 (ko) 공중 부유균 살균기
KR200445336Y1 (ko) 순환식 가습기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US11185606B1 (en) Odor treatment dispenser
KR101136844B1 (ko) 분무형 통합 정화장치
KR100227967B1 (ko) 공기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