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296B1 - 축사자동소독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사자동소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296B1
KR100817296B1 KR1020070050546A KR20070050546A KR100817296B1 KR 100817296 B1 KR100817296 B1 KR 100817296B1 KR 1020070050546 A KR1020070050546 A KR 1020070050546A KR 20070050546 A KR20070050546 A KR 20070050546A KR 100817296 B1 KR100817296 B1 KR 10081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air
tank
barn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신
김기현
박승춘
김종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05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자동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다음, 축사 내부로 공기 및 소독제를 공급하고, 분사기를 통해 상기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무하고, 상기 소독제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소독제로 상시 소독이 가능하여 축사내의 병원미생물에 대한 강력한 살균 효과를 보이며, 각종 질병의 매개체인 파리, 모기 등의 해충을 퇴치하여 가축의 질병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가 제거되어 축사 내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축사, 천연, 소독, 분사

Description

축사자동소독시스템 {Stable Automatic Disinfe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분사기의 시간대별 작동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작동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이 설치된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이용하기 전·후 해충의 분포도를 보여준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a: 분사 전 및 b: 분사 1시간 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소독제의 소독효 과를 보여준 배지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a: 분사 전, b: 농장 내부 모습 및 c: 분사 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a: 중앙제어부, b: 분사기 및 c: 소독제가 분사된 농장 내부의 모습).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기압축기 11: 공기라인
20: 약제 탱크 21: 약제라인
25: 물탱크 29: 고압탱크
30: 정량펌프 40: 분사기
41: 단일 분사기 42: 쌍방 분사기
51: 중앙제어부 53: 분사제어부
60: 혼합기 70: 다이아프램 펌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축사자동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다음, 축사 내부로 공기 및 소독제를 공급하고, 분사기를 통 해 상기 소독제를 단일 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초미립자로 안개 분무하고, 상기 소독제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식생활 수준의 고급화로 육류 소비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가축 사육을 위한 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열악한 환경에서 대량으로 사육되는 가축들은 광우병, 돈 콜레라, 돈 인플루엔자 등 각종 가축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생제 등이 배합된 사료물을 사용하거나, 소독약품을 살포하고 있지만, 항생제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항생제가 가축에 축적되고, 이를 섭취한 최종소비자인 사람에게까지 각종 부작용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돼지 호흡기 질병은 아주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도축되는 돼지의 약 70%가 폐렴 등 호흡기 질병에 걸려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는 기업 축산가들이 외부로부터의 오염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편으로, 축사주위에 설치한 방열차단 시설로 인한 환기 부족 상태, 운동 에너지 축소로 인한 비육우, 비육돈 다육생식을 위한 케이지 등 밀생사육시설, 축산 분뇨 처리비용 절감을 위해 장기간 저장되는 피트 슬러리 방식 채택으로 피트 내의 분뇨가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유해균배양물들이 종합적으로 돼지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게 되고, 전염병으로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축사 내의 실내 온도 유지의 필요에 따른 온풍기 사용에 의한 실내 공기의 건조 및 축사 내 다량의 먼지대류, 환기팬의 최저환기량 가동에 따른 축사 내 가축분뇨에 의한 가스 잔류량 증가문제가 발생되고, 이에 가축의 호흡기 질병 및 2차 질병 발생에 따른 폐사율이 높으나, 이에 대한 대책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합성항균제 사용을 제한하는 움직임과 함께 유기농 식품이나 항생제가 들어있지 않은 축산물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화학합성 항균제를 대체할 소재를 찾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물의 세균감염증에 문제가 되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동물에 감염되어 설사 및 폐렴을 일으키는 균주로 항균제에 대한 내성의 획득이 빨라 현재 사용 중인 항균제로는 치료가 되지 않으며, 이에 성장 촉진용 항균제 사용을 제한하는 움직임과 화학합성 항균제를 대체할 소재를 찾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실정이다.
돼지의 호흡기 질환은 양돈농가에 상당한 부담을 주는 질병으로 양돈 산업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 양돈장에서 나타나는 호흡기 질병의 형태는 복합 감염으로 다양하며, 진단하는 사람과 발병 일령,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장기간 질병 관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병을 진단하는 사람이 다르다 보면 양돈장의 위생상태, 백신, 사용했던 항생제와 사용 중인 항생물질에 대한 정보가 미약하여 질병의 관리 특히 호흡기 질병의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주거지역과 인접한 축산농가의 가장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는 축사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이며, 이 악취로 인한 민원으로 축사시설의 신축 및 확장이 어렵고 집단민원이 발생하는 등 축산업이 3D산업으로 전락하고 있다. 상기 악취의 주요 원인은 가축이 배설한 분뇨의 부패로, 악취 원인물질에는 암모니아, 휘발성 지방산류 등 약 20여 종 가량의 물질이 있다. 그 중 암모니아는 발생농도가 가장 높고, 가축의 결막염, 성숙도, 육질 저하 등의 피해를 유발한다. 고정자본이 많이 투입된 최신시설의 농장에서도 사육 연차가 진행됨에 따라 질병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결국 축사시설의 재투자 요인은 생산원가 상승의 결과로 작용하고 있다. 호흡기 질환 중에서 다발하는 세균성 질병으로는 파스튜렐라 폐렴이 가장 많고, 흉막 폐렴, 글래서병, 마이코플라즈마 및 위축성 비염이 다발하는 질병들과 암모니아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감이 주된 원인이다.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치료 약물들은 각종 질병에 대한 선택적 사용과 치료의 장기화, 재발성 및 제한적인 사용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호흡기 질병 치료에 대한 백신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일부 질병의 치료로는 항생물질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생체 내에서 항생물질의 내성과 잔류성이 문제되고 있다.
가축 사육시설에 있어서,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밀폐된 축사 내에 암모니아가스, 탄산가스, 먼지 등이 축적되어 가축의 호흡기계 점막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가축의 기본 면역체계가 약화돼 항병력이 떨어지고,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복합 감염돼 호흡기 질병이 발생하기 쉽다. 호흡기 질병에 감염되면 사료효율 저하, 증체율 감소, 출하지연과 치료에 따른 약품비, 인건비의 과다 소요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농가의 수익도 감소해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호흡기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양관리와 더불어 농장 상황에 맞는 예방 접종을 실시하고, 외부에서 구입한 가축은 격리시켜 질병 감염 여부를 관찰한 후 입식시켜야 한다. 또한, 질병이 발생한 경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피해를 줄여야 하나, 축사에서 나타나는 호흡기 질병의 형태는 복합 감염으로 다양하며, 진단하는 사람과 발병 일령,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르게 진단하기 때문에 축사의 위생상태, 백신, 사용했던 항생제와 사용 중인 항생물질에 대한 정보가 미약하여 질병의 관리 특히 호흡기 질병의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호흡기 질병 치료에 대한 백신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일부 질병의 치료로 주로 항생물질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생체 내에서 항생물질의 내성과 잔류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돼지는 온도에 민감한 동물이므로 겨울철 추위에 많이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돈사 내부에 소독약제를 자동으로 분사하더라도 기존 노즐방식은 입자가 너무 커서 돼지의 피부 표면에 소독약제가 묻어 스트레스 및 돼지가 위축되고 사료효율이 급격하게 낮아져 체중이 떨어지는 증상을 보인다.
축사 환경개선에 관한 종래 특허로는 '친환경 축사 구조'(한국특허출원 등록번호 10-0607700)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압축된 공기 및 소독제의 초미립 분사가 불가능하여 독성이 있고, 항균제 및 항생제의 사용이 종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소독제를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초미립 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병원성미생물, 모기, 파리 등의 해충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를 제거하여 축사 내의 환경을 개선하고, 공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며, 제어부를 통해 구동을 제어하여 상시 소독 및 자동 소독이 가능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사함으로써, 살균력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자동 소독이 가능한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의 공기를 축사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라인; 소독제를 저장하는 약제 탱크; 상기 소독제를 축사 내부로 공급하는 약제 라인; 상기 약제라인의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무하는 분사기; 상기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소독제의 양을 설정하고, 분사 후 상기 소독제를 충진시키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소독제의 분사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제 탱크는 상기 공기 압축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약제 탱크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약제 탱크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에 공급하는 정량펌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물이 저장된 물탱크, 상기 소독제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기 및 상기 소독제를 분사기로 공급하는 다이아 프램 펌프(Diaphram Pump)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상기 약제 탱크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탱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고압탱크는 상기 공기 압축기의 압력을 이용하며, 1.5 내지 2.5L의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사기는 1~10㎛의 소독제 입자를 초미립 상태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사제어부는 상기 분사기를 통해 공기가 5 ~ 15초 동안 분사된 다음, 약제가 10 ~ 120초 동안 분사되고, 다시 공기가 5 ~ 15초 동안 분사되는 싸이클로 제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상기 분사제어부에 상기 소독제가 충진될 때, 배기 밸브를 작동시켜 약제 탱크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독제는 네랄(neral), 게라니얼(geranial), 유게놀(euge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항균제 또는 그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공기 압축기(10), 공기라인(11), 약제 탱 크(20), 약제 라인(21), 분사기(40), 중앙제어부(51) 및 분사제어부(53)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 압축기(10)는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하고, 공기 라인(11)을 통해 상기 압축된 공기를 축사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 라인(11)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분사기(40)에서 방출되는 약제를 축사 내부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약제 탱크(20)는 소독제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그 크기는 약제의 공급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5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약제 라인(21)은 상기 약제 탱크(20)의 약제를 분사기(4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약제 탱크(20) 및 약제 라인(21)의 설정 온도는 15 ~ 20℃이며, 동절기를 대비하여 상기 약제 탱크(20) 및 약제 라인(21)에 보온 단열 및 히팅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기(40) 약제라인의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무하는 것으로서, 소독제의 입자가 1~10㎛ 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사 소독제의 입자가 1~10㎛를 벗어날 경우, 초미립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주입구와 유로 및 통공을 갖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전단으로 노즐본체의 유로와 연결되어지는 유로와 유로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토출구로 불어주기 위한 홀을 갖는 노즐부체와 노즐본체와 노즐부체가 나사조임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질 경우에 그 중공부에 끼워지는 코아와 상기 코아는 슬리브에 의하여 유로 를 갖고 그 전단은 토출구를 갖는 캡의 후단에 위치되어지게 형성된 3류체 노즐로 상기 3류체 노즐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10-2005-0037584호 3류체 노즐 특허에 그 구성이 기재된 바 있다. 또한, 상기 분사기는 단일 분사기 또는 쌍방 분사기로 축사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중앙제어부 및 분사제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중앙제어부(51)는 상기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소독제의 양을 설정하고, 분사 후 상기 소독제를 충진시키며, 상기 분사제어부(53)는 상기 소독제의 분사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분사기의 시간대별 작동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사제어부는 상기 분사기를 통해 공기가 5 ~ 15초 동안 분사된 다음, 약제가 10 ~ 30초 동안 분사되고, 다시 공기가 5 ~ 15초 동안 분사되는 싸이클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사제어부에 상기 소독제가 충진될 때, 배기 밸브를 작동하여 약제 탱크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작동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설정한 다음, 분사를 시작한다. 먼저, 분사기에서 축사 내부로 공기라인을 이용하여 공기를 10초간 분사되고, 소독제가 약제 라인을 통해 20초간 분사되고, 다시 공기가 10초간 분사된다. 상기 분사 제어부에서 분사 싸이클을 설정 및 조정하며, 상기 분사 싸이클을 통해 축사 내부에 공기와 소독 제가 혼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이다. 상기 약제 탱크(20)는 상기 공기 압축기(10)의 압력을 이용하여 약제 탱크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21)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정한 압축 공기를 약제 탱크에 가함으로서, 배출되는 약제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는 상기 중앙제어부(51)의 내부에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이다. 상기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약제 탱크(20)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에 공급하는 정량펌프(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량펌프(30)를 통하여 약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는 상기 중앙제어부(51)의 외부에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이다. 상기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물이 저장된 물탱크(25), 상기 소독제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기(60) 및 상기 소독제를 분사기로 공급하는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m Pump)(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약제 탱크(20)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물탱크(25)에는 필터를 통하여 지하수의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저장되고, 상기 물탱크(25)의 물과 약제 탱크(20)의 소독제는 혼합기(60)에서 원하는 농도로 혼합되고, 다이아프램 펌프(70)를 통해 일정한 압력을 만들어 상기 소독제를 축사내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는 무동력 방식으로 공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는 압력을 생성시켜 약제 라인을 통하여 상기 소독제를 분사기로 공급한다. 상기 약제 탱크(20)는 한 달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축사 내부의 규모가 클수록 약제 탱크의 용량이 커지지만, 상기와 같이 소독제가 있는 약제 탱크와 물탱크를 구비한 다음, 혼합기(Mix-lite)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소독 시스템을 규격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탱크(20) 및 물탱크(25)는 중앙제어부(5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배치도이다. 상기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상기 약제 탱크(20)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탱크(2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탱크(29)는 상기 공기 압축기(10)의 압력을 이용하며, 1.5 내지 2.5L의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소독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네랄(neral), 게라니얼(geranial) 및 유게놀(eugenol) 등의 천연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랄(neral), 게라니얼(geranial) 및 유게놀(eugenol)을 조성물로 하는 소독제는 동물의 면역력 향상과 호흡기 질병 예방, 소취효과, 강장효과, 구풍 효과, 항우울증 효과, 살균효과, 살충효과, 질환예방효과, 소독효과 등에 효과적이며, 상기 네랄(neral), 게라니얼(geranial) 및 유게 놀(eugenol)의 향기 및 소독효과는 인후통, 후두염, 각종 열병과 같은 호흡기 감염증에 효과적이다.
상기 소독제는 식품 첨가물로 허가받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며, 현재 시판중인 동물용 소독제에 비해, 각종 질병의 원인균이 되는 병원균 및 바이러스의 사멸능이 우수하고, 호흡기 질환 등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서로 상호 보완작용으로 항균작용 이외에 면역촉진작용, 기관지확장작용 및 항염증작용을 갖는 신기능성 신규 천연항균제이고, 축사에서 나오는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소독제는 향기가 있고,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소독제로써 가축에게 해가 없어 생산성 증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여 약제비용이 감소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실시예 1: 축사내 공중 부유균 및 암모니아 농도 조사(경상남도 전진농장)
경상남도에 위치한 전진농장을 대상으로 하여, 선택배지(Nutrient agar, Chocolate agar)와 Staphylococcus spp.의 검출을 위한 감별배지(Mannitol salt agar)를 공기포집기(MAS-100 Air Sampler, Germany)에 넣고, 소독제를 분사하기 전과 후의 돈사 내의 장소에 따른 공중 부유균을 희석배율(250리터)로 포집하여 12시 간 이상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미생물의 종류 및 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가스 자동측정기를 이용하여 공기포집기에 포집된 공기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소독제는 울트라펠솔(게라니얼:50중량%, 네랄:40중량%, 유게놀:10중량% 혼합물에 물을 첨가시킴(혼합물: 물=1:1,000)을 사용하였고, 친환경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공기가 5~15초 분사된 후, 소독제가 10~60초 분사되고, 다시 공기가 5~15초 분사되도록 설정되었다.
Figure 112007038025245-pat00001
※ N/C : Non-Count (10,512cfu/ml 이상, 셀 수 없음)
※ 돈사 외부는 소독제를 분사하지 않음.
표 1로부터, 소독제 분사 전에는 자돈실 안 및 자돈실 출입문에서 셀 수 없을 정도의 세균이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고, 검출된 미생물의 대부분이 질병의 원인체인 Staphylococcus spp.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질병을 옮길 수 있는 매개체인 해충으로는 파리가 많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돈사 외부 역시 내부에서의 공기의 이동으로 인하여 일반 환경보다 다량의 세균이 검출됨을 알 수 있다.
반면, 소독제 분사 후에는 자돈실 안, 자돈실 출입문, 돈사 외부의 미생물의 수가 비슷하였고, 또한, 암모니아 수치도 주위 환경 및 분뇨의 축적과 상관없이 일정한 수치를 보였으며, 소독제 분사 직후에는 기존 암모니아 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이 설치된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9는 축사내부에 위치한 스톨사, 분만사, 자돈사, 이유육성사, 육성사, 퇴비사 등에 그 구조에 따라 단일분사기 또는 쌍방분사기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이용하기 전·후 해충의 분포도를 보여준 사진을 도시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a는 분사 전의 모습으로 해충이 많이 있으며, b는 소독제의 분사 1시간 후의 모습으로 해충이 많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축사내 공중부유균 및 암모니아 농도 조사(경상북도 둥지농장)
경상북도에 위치한 둥지농장을 대상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축사내 공중부유군 및 암모니아 농도를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8025245-pat00002
※ N/C : Non-Count (10,512cfu/ml 이상, 셀 수 없음)
※ 돈사 외부는 소독제를 분사하지 않음.
상기 표 2로부터, 소독제 분사 전에는 스톨사, 자돈사, 이유육성사, 육성사에서 셀 수 없을 정도의 세균이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고, 검출된 미생물의 대부분이 질병의 원인체인 Staphylococcus spp.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돈사 외부 역시 내부에서의 공기의 이동으로 인하여 일반 환경보다 세균의 종이 많이 검출됨을 알 수 있다.
반면, 소독제 분사 후에는 스톨사, 분만사, 자돈사, 이유육성사, 육성사가 돈사 외부의 미생물의 수가 비슷하였고, 또한, 암모니아 수치도 온도, 습도 및 분뇨의 축적과 상관없이 일정한 수치를 보였으며, 소독제 분사 직후에는 기존 암모니아 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소독제의 소독효과를 보여준 배지 사진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분사 전의 배지이고, b는 농장 내부 모습이고, c는 분사 후의 배지로, 축사에서 포집된 공기에 소독제를 분사할 경우, 강력한 살균 효과를 보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a: 중앙제어부, b: 분사기 및 c: 소독제가 분사된 농장 내부의 모습).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이용하여 돈사 내의 공기를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사하여 소독한 결과, 돈사 내에서 검출된 미생물의 수는 돈사 외부에서 공기 포집한 미생물 수와 비슷하였다. 또한, 암모니아 수치도 온도, 습도 및 분뇨의 축적과 상관없이 일정한 수치를 보였으며 소독제 분사 직후에는 기존 암모니아 수치의 절반으로 떨어졌으며, 이에 돈사 내의 악취도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초기의 소독제를 분사했을 때 돼지들은 낯선 향기에 대해 경계를 하고 사료 효율이 떨어졌으나, 1주일 후에는 향기에 적응된 모습을 보이며 행동 양식도 바뀌게 되었다. 하나의 행동 패턴으로 기존의 돼지는 잠자리와 분변하는 곳을 잘 구분을 하지 못하나 소독제 분사 후 잠자리와 분변하는 곳을 구분하여 악취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줄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독제를 분사하면, 축사 내의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항생제의 남용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사함으로써, 살균력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자동 소독이 가능한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자동소독시스템은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병원미생물, 모기, 파리 등의 해충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를 제거하여 축사 내에 환경을 개선하고, 상시 소독이 가능하여 강력한 살균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질병의 매개체인 파리, 모기 등의 해충을 퇴치하여 가축의 질병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축사 내부 및 고압탱크로 공급하는 공기 라인;
    소독제를 저장하는 약제 탱크;
    상기 공기 압축기의 압력을 이용하고, 상기 약제 탱크의 소독제를 약제 라인에 공급하는 고압탱크;
    상기 소독제를 축사 내부로 공급하는 약제 라인;
    상기 약제라인의 소독제를 초미립 상태로 분무하는 분사기;
    상기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소독제의 양을 설정하고, 분사 후 상기 소독제를 충진시키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소독제의 분사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약제 탱크의 소독제를 상기 약제 라인에 공급하는 정량펌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물이 저장된 물탱크, 상기 약제탱크의 소독제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혼합하는 혼합기 및 상기 물과 혼합된 소독제를 분사기로 공급하는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m Pump)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1~10㎛의 소독제 입자를 초미립 상태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어부는 상기 분사기를 통해 공기가 5 ~ 15초 동안 분사된 다음, 약제가 10 ~ 120초 동안 분사되고, 다시 공기가 5 ~ 15초 동안 분 사되는 싸이클로 제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어부에 상기 소독제가 충진될 때, 배기 밸브를 작동시켜 약제 탱크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는 네랄(neral), 게라니얼(geranial), 유게놀(euge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항균제 또는 그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자동소독시스템.
KR1020070050546A 2007-05-23 2007-05-23 축사자동소독시스템 KR10081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546A KR100817296B1 (ko) 2007-05-23 2007-05-23 축사자동소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546A KR100817296B1 (ko) 2007-05-23 2007-05-23 축사자동소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296B1 true KR100817296B1 (ko) 2008-03-27

Family

ID=3941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546A KR100817296B1 (ko) 2007-05-23 2007-05-23 축사자동소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29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84B1 (ko) 2008-12-15 2009-12-07 안희종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101044953B1 (ko) 2009-01-07 2011-06-29 (주) 인우 코퍼레이션 이중분사노즐을 이용한 악취제거 시스템
US8635873B2 (en) 2009-02-27 2014-01-28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US8833078B2 (en) 2009-02-27 2014-09-16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KR20160122461A (ko) 2015-04-13 2016-10-24 (주)대길산업 축사방역장치
KR20180002222U (ko) * 2017-01-12 2018-07-20 김창곤 이산화염소 초미립자를 이용한 청소차의 악취제거 및 소독장치
KR101885021B1 (ko) * 2017-02-27 2018-08-02 이래홍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축사 외부 방역장치
KR101895039B1 (ko) * 2018-06-14 2018-09-07 정창호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장치
KR20200056756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유웰 친환경 축사 시스템
KR102289060B1 (ko) *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자외선살균램프를 이용한 친환경 축사 청소 및 소독 살균 자동화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89061B1 (ko) *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축사 소독용 uv-led 소독 살균 장치와 그 방법
KR200494948Y1 (ko) 2021-05-17 2022-02-08 신현동 소독용 배관 동파 방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14Y1 (ko) * 1993-12-04 1996-07-22 진원개발 주식회사 축사 액체 분사시스템의 분사유니트
KR0139497Y1 (ko) * 1996-10-17 1999-03-20 조재연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20000072252A (ko) * 2000-08-22 2000-12-05 정종상 가정용 위생해충 구제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식물성 정유 조성물 및 그 제제
KR200223227Y1 (ko) 1998-07-28 2002-08-27 김봉주 농축산용차량의소독장치
KR100363539B1 (ko) 1999-11-06 2002-12-06 주식회사 석천환경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축사의 냄새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14Y1 (ko) * 1993-12-04 1996-07-22 진원개발 주식회사 축사 액체 분사시스템의 분사유니트
KR0139497Y1 (ko) * 1996-10-17 1999-03-20 조재연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200223227Y1 (ko) 1998-07-28 2002-08-27 김봉주 농축산용차량의소독장치
KR100363539B1 (ko) 1999-11-06 2002-12-06 주식회사 석천환경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축사의 냄새제거방법
KR20000072252A (ko) * 2000-08-22 2000-12-05 정종상 가정용 위생해충 구제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식물성 정유 조성물 및 그 제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84B1 (ko) 2008-12-15 2009-12-07 안희종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101044953B1 (ko) 2009-01-07 2011-06-29 (주) 인우 코퍼레이션 이중분사노즐을 이용한 악취제거 시스템
US8635873B2 (en) 2009-02-27 2014-01-28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US8833078B2 (en) 2009-02-27 2014-09-16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KR20160122461A (ko) 2015-04-13 2016-10-24 (주)대길산업 축사방역장치
KR200488932Y1 (ko) 2017-01-12 2019-04-05 김창곤 이산화염소 초미립자를 이용한 청소차의 악취제거 및 소독장치
KR20180002222U (ko) * 2017-01-12 2018-07-20 김창곤 이산화염소 초미립자를 이용한 청소차의 악취제거 및 소독장치
KR101885021B1 (ko) * 2017-02-27 2018-08-02 이래홍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축사 외부 방역장치
KR101895039B1 (ko) * 2018-06-14 2018-09-07 정창호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장치
KR20200056756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유웰 친환경 축사 시스템
KR102201280B1 (ko) * 2018-11-15 2021-01-11 주식회사 유웰 친환경 축사 시스템
KR102289060B1 (ko) *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자외선살균램프를 이용한 친환경 축사 청소 및 소독 살균 자동화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89061B1 (ko) *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축사 소독용 uv-led 소독 살균 장치와 그 방법
KR200494948Y1 (ko) 2021-05-17 2022-02-08 신현동 소독용 배관 동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296B1 (ko) 축사자동소독시스템
Collett et al. Principles of disease prevention, diagnosis, and control
CN109646361A (zh) 一种宠物用复合型生物除臭喷剂及其制备方法
CN105052917A (zh) 一种干粉消毒改良剂
WO2009020858A1 (en) Milk production in a controlled environment
CN105519597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畜舍空气消毒剂及其使用方法
Olson et al. Health hazards affecting the animal confinement farm worker
KR101622305B1 (ko) 공기-청정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70103706A (ko) 가축용 시설의 내부에 분무하기 위한 살균수 및 그살균수를 사용하는 가축용 시설의 내부의 살균방법
JP3773942B2 (ja) 動植物飼育施設用の活性化ガス発生装置
CN106922748A (zh) 一种鸡舍消毒剂
KR100796312B1 (ko) 게라니얼,네랄 및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소독제 조성물
Gerry et al. Promoting biosecurity through insect management at animal facilities.
CN106472605A (zh) 一种畜禽舍夏用消毒、驱蚊虫中药燃香剂及制备方法
ES2702540T3 (es) Proceso de desinfestación
Bakutis et al. The use of essential oils to improve of environment quality in poultry houses.
KR20040010820A (ko)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CN219517257U (zh) 一种羊养殖用羊舍消毒清理装置
CN114158483B (zh) 畜禽养殖场空气臭氧净化消毒机
JP2005253378A (ja) 養鶏方法
Arogbodo et al. Biotechnology products and techniques for combatting the menace of flies and odour in animal production: a review
KR20170109752A (ko) 맹수의 오줌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Rahil et al.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DISINFECTANTS EFFICIENCY IN POULTRY FARMS
Đorđević et al. Biosafety measures in pheasant farm
CN1363395A (zh) 一种畜禽专用空气消毒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