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84B1 -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84B1
KR100929784B1 KR1020080127411A KR20080127411A KR100929784B1 KR 100929784 B1 KR100929784 B1 KR 100929784B1 KR 1020080127411 A KR1020080127411 A KR 1020080127411A KR 20080127411 A KR20080127411 A KR 20080127411A KR 100929784 B1 KR100929784 B1 KR 10092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ve
storage tank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종
김봉환
안국찬
Original Assignee
안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종 filed Critical 안희종
Priority to KR102008012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물과 탈취제가 혼합 저장되는 저수탱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끌어올리는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다수의 영구자석들이 연속배치되어 수도와 같은 상기 프레임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장에 의해 미세 분자화 시키는 파동수기; 상기 급수원과 저수탱크, 구동장치, 파동수기를 연결하여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유로배관; 상기 유로배관에 다수개 구비되며,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유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밸브;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장치 및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유로배관의 단부에 제공되며,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 배치되어 공급유체를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분사배관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되고, 탈취재와 혼합된 후 재차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상기 분사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사, 악취, 제거, 파동수, 탈취

Description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 Offensive ordor removal apparatus and the offensive ordor removal method using this }
본 발명은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와 소 등을 키우는 축사에는 배설물 또는 오물 등의 처리를 제때에 하지 않을 경우,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가스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에 의한 악취는 가축의 호흡기로 장기간 흡입될 경우 가축의 폐사를 유발하게 되며, 특히 기온이 낮은 시기에 가축이 감기가 걸린 경우 이러한 악취에 의한 가스로 인해 가축들의 호흡기 질환에 의한 폐사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가스가 발생하기 이전에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가스를 탈취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물론, 가축의 배설물이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처리 하여 악취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축의 배설물이 경사진 통로 등을 따라서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축사 내부 특히 배설물과 오물에 탈취제를 뿌려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의 가스를 제거하여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의 양이 많을 경우 탈취제의 침투가 어렵게 되고,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을 따라 흘러내림으로써 손실되는 양이 많게 되어 효과적인 탈취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하절기나 환기가 어려운 동절기에는 하루에도 여러번씩 탈취제를 뿌리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수원의 물을 파동수를 통과시켜 미세 분자화 시키고 저수탱크에서 탈취제와 혼합시킨 다음 파동수기를 지속적으로 통과하여 지속적인 미세 분자화된 물을 축사의 배관을 통해 안개분사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물과 탈취제가 혼합 저장되는 저수탱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끌어올리는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다수의 영구자석들이 연속배치되어 수도와 같은 상기 프레임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장에 의해 미세 분자화 시키는 파동수기; 상기 급수원과 저수탱크, 구동장치, 파동수기를 연결하여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유로배관; 상기 유로배관에 다수개 구비되며,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유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밸브;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장치 및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유로배관의 단부에 제공되며,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 배치되어 공급유체를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분사배관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되고, 탈취재와 혼합된 후 재차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상기 분사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영구자석이 연속 배치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물을 미세 분자화 하는 파동수기를 통과시켜 미세분자화 한 후 저수탱크에 저수하는 급수단계; 상기 저수탱크에 탈취제를 넣은 후 펌핑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수탱크 내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재차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시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다시 미세 분자화 하는 희석단계; 상기 저수탱크 내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상기 펌핑부재에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연결되는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 배치된 분사배관을 통해 안개분무하는 탱크분사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는, 파동수기를 통과 한 물의 물분자 구조가 미세화 되어 공급된 물은 저수탱크 내에서 탈취제와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으며, 다시 한번 파동수기를 통과 하면서 탈취제와 혼합된 상태에서 미세화된 분자구조 상태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축의 배설물 및 오물 등에 분사시 침투력이 우수하게 되어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 악취를 발생시키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가축의 배설물 및 오물 등의 내부에 깊숙히 침투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가스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제거 성능은 물론 지속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악취제거의 성능과 지속성의 향상으로 인해 관리비용 및 인건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며, 효과적인 악취제거로 가축의 폐사율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가축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파동수기를 통과하여 미세화 된 탈취제와 혼합된 물이 축사의 배관을 통해 축사 내측에 배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분사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번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축사내의 가스농도 또는 설정시간 도달시 자동은 상기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사용편의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가 설치된 축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가 설치된 축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축사(1)의 내부는 다수의 구획된 케이지(10)가 제공되며, 상기 케이지(10)에는 필요에 따라 분류된 가축들이 수용된다. 상기 케이지(10)는 축사의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 중앙통로를 기준으 로 좌우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각 케이지(10)의 바닥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이 형성되고, 경사면(12)의 단부에는 가축의 배설물을 비롯 한 기타 오물들이 쌓이는 적층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적층부(14)의 상방에는 상기 경사면(12)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배수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16)는 그물 또는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축의 배설물과 오물들은 경사면(12)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배수부(16)를 통해 상기 적층부(14)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부(14)의 일측에는 외부로 개구되어 배설물 및 오물들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1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떨어진 지점에는 조명(20)이 설치된다. 상기 조명(20)은 상기 축사(1) 내부를 밝혀 줄 수 있으며, 광원에 따라서 상기 축사(1)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도 있다.
상기 축사(1)의 벽면 또는 천정에는 분사배관(30)이 배치된다. 상기 분사배관(30)은 상기 축사(1) 내로 물 또는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축사(1) 내의 습도 조절 또는 악취제거, 살균 등을 위한 것으로, 상기 분사배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악취제거를 위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분사배관(30) 중 상기 각 케이지(10)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분사노즐(32)이 제공된다. 상기 분사노즐(32)은 상기 분사배관(30)을 통해 공급되는 탈 취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안개분무 형태의 미세 입자로 분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사배관(30)은 천정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지되어 각 케이지 마다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분지되는 각각의 분사배관(30)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34)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밸브(34)는 각각의 케이지(10)들에 독립적인 분사를 가능하도록 하며, 이들 개폐밸브(34)의 제어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되는 가스농도, 온도 또는 시간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사배관(30)은 상기 축사(1)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동수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120) 및 커버(110)와, 상기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탈취제가 혼합되는 저수탱크(200), 파동수를 생성하는 파동수기(300), 상기 파동수기(300) 및 저수탱크(200)와 연결되어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강제 유동시키는 구동장치(400), 그 리고, 상기 구동장치(400) 및 전장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600), 상기 저수탱크(200)와 파동수기(300) 및 구동장치(400)을 연결하는 유로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0)에 장착된 다수의 구성을 차폐하는 한편,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측방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관(510)이 노출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 또는 봉재로 형성되며,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저수탱크(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일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12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124)가 장착된다.
상기 저수탱크(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저장되고, 탈취제가 혼합되는 공간으로 상기 프레임(1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저수탱크(200) 내에 주입되는 탈취제는 물과의 혼합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탈취성능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EBT-fresh(위더스사 제품)를 사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수탱크(200)는 상기 프레임(120)의 하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철판과 같은 판재가 절곡 또는 용접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200)의 상면 일부에는 외부에서 탈취제를 투입하여 저장된 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200)의 상면에는 파동수기(300) 및 구동장치(400)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20)에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보조프레임(230) 등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저수탱크(200) 상면의 장착부(220)에는 상기 파동수기(300)와 구동장치(400)가 장착되며, 상기 저수탱크(200)와 파동수기(300) 및 구동장치(4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급수관(510)과 연결관(520), 탱크흡입관(550), 탱크배출관(570), 파동수흡입관(560), 혼합관(540), 토출관(530), 토출관(530)으로 구성되는 유로배관(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6은 도 4의 A-A'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파동수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파동수기(300)는 급수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에너지에 의해 물 분자구조를 1/10,000의 크기로 미세화 하는 것으로, 외형이 길이가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파동수기(30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케이스(3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320)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봉(320)에 다수의 영구자석(330)이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30)은 서로 같은 극성이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영구자석(330)은 지지봉(32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340)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10)의 개구된 양단에는 각각 배관과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구(350)가 형성되는 캡(3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구(350)을 통해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300)를 지 나면서 상기 영구자석(330)의 자기장에 의해 미세한 분자구조를 가지도록 분해 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파동수기(300)의 개구된 일단에는 급수관(510)이 결합된다. 상기 급수관(510)은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과 상기 파동수기(3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동수기(3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급수원과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510)의 일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혼합관(540)과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혼합관(540)의 일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송출부(422)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관(5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관(540)에 의해 안내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급수관(51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다시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510)에는 제1밸브(v1)가 제공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급수관(510)을 선택적으로 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파동수기(300)와 상기 혼합관이 연결되는 지점의 이전에서 개폐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저수탱크(200)에 물을 저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밸브(v1)를 개방하고, 상기 저수탱크(200)에 물의 저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1밸브(v1)를 닫게 된다.
상기 제1밸브(v1)를 비롯한 이하의 제2밸브(v2) 내지 제6밸브(v6)는 모두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자제어 밸브로서, 사용자의 조작 또는 프로그래밍된 순서로 온오프 조작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동수기(300)의 타단에는 연결관(520)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520)은 아래에서 설명할 탱크배출관(570)과 파동수흡입관(560)과 분지되어 연결되며, 다수의 밸브의 선택적인 개폐에 따라서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하는 물이 탱크배출관(570)과 파동수흡입관(560)에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장착되는 구동장치(40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에 의해 회전되어 저수탱크(200) 내부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재(420) 및 상기 펌핑부재(420)에 연결되는 압력탱크(430) 및 릴리프수단(4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모터(41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이다. 상기 모터(410)는 상기 펌핑부재(420)와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41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4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420)는 연동하여 구동된다.
상기 펌핑부재(420)는 상기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부재(420)에는 다수의 유로배관(500)의 일부인 파동수흡입관(560)과 탱크흡입관(550), 혼합관(540), 토출관(530)이 연결되며,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송출부(422)와 저수탱크(200)로부터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흡입되기 위한 흡입부(42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송출부(422)와 흡입부(424)에는 유로배관(500)의 연결 상태에 따라서 다수개의 연결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출부(422)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관(530)이 연결된다. 상기 토출관(530)은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부재(53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532)는 상기 토출관(530)의 단부에서 분지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전면 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532)는 외부에 제공되는 배관 및 호스 등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커플링 구조로 형성되며, 다수의 배관 및 호스가 동시에 연결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출부(422)에서 토출관(530)을 지나 상기 연결부재(532)로 안내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축사에 제공되는 분사배관(30)과 연결되거나, 분리 장착이 가능한 호스를 통해 상기 케이지(10) 내부에 분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관(530)과 연결되는 상기 송출부(422)의 단부에는 제5밸브(v5)가 구비된다. 상기 제5밸브(v5)는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할 때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밸브(v1)와 같은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6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송출부(422)의 일측에는 상기 혼합관(54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펌핑부재(420)에 의해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혼합관(540)을 통해 상기 파동수기(300)의 입구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파동수기(300)를 다시 한번 지날 수 있 도록 구성된다.
상기 혼합관(540)과 연결되는 상기 송출부(422)의 단부에는 제6밸브(v6)가 구비된다. 상기 제6밸브(v6)는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물과 첨가제를 혼합시키고,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물을 지속적으로 상기 파동수기(300) 측으로 안내하여 순환 및 희석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6밸브(v6)는 상기 제1밸브(v1)와 동일한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6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펌핑부재(42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압력탱크(430)가 제공되고, 상기 펌핑부재(42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펌핑부재(420)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상기 릴리프수단(440)이 제공된다.
상기 릴리프수단(440)의 일측에는 릴리프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릴리프관은 상기 릴리프수단(440)과 상기 저수탱크(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펌핑부재(420)의 동작 중 과부하 발생시 상기 펌핑부재(42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424)에는 탱크흡입관(550)과 파동수흡입관(560)이 연결된다. 상기 탱크흡입관(550)과 파동수흡입관(560)의 단부는 서로 합쳐진 상태로 상기 흡입부(42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424)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탱크흡입관(550)과 파동수흡입관(560)은 서로 연결되어 "T"자 형상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탱크흡입관(550)은, 상기 흡입부(424)에서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흡입관(550)은 상기 펌핑부재(420)와 상기 저수탱크(200)가 연통되어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탈취제와 혼합된 물의 흡입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흡입관(550)에는 제4밸브(v4)가 구비된다. 상기 제4밸브(v4)는 상기 저수탱크(200)에서 첨가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파동수기(300)로 다시 보낼 때와, 상기 저수탱크(200)의 첨가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분사노즐(32)을 통해 분사하고자 할 때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제1밸브(v1)와 같이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파동수흡입관(560)은, 상기 흡입부(424)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동수기(300)의 캡(36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파동수기(300)와 펌핑부재(420)가 연결되어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하는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펌핑부재(42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동수흡입관(560)의 일측에는 제3밸브(v3)가 구비된다.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어 상기 파동수기(300)를 거친 물이 상기 저수탱크(2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분사노즐(3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가 조절된다. 물론 상기 제3밸브(v3) 또한 상기 제1밸브(v1)와 마찬가지로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파동수기(300)와 연결되는 상기 파동수흡입관(560)에는 탱크배출관(570)이 더 형성된다.
상기 탱크배출관(570)은 상기 연결관(520) 및 파동수흡입관(560)과 상기 저수탱크(200)를 연결하며,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한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측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저수탱크(200)의 탈취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펌핑부재(4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탱크배출관(570)에는 제2밸브(v2)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저수탱크(20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밸브(v1)와 같은 전자제어밸브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탱크배출관(57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제2밸브(v2)가 열렸을때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관(520)에 의해 안내되는 물이 상기 저수탱크(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v2)가 닫히게 되면, 상기 연결관(520)은 상기 파동수흡입관(560)과 연결되며, 제3밸브(v3)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한 물이 상기 펌핑부재(420)로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122)은 상기 프레임(12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22)에는 제어장치(600)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은 물론 특히, 상기 다수의 유로배관(500)에 연결된 제1밸브(v1) 내지 제6밸브(v6)의 개폐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첨가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파동수기(300)를 선택적으로 지나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어장치(600)에는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코드(610)와,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구동 및 정지를 위한 전원스위치(620), 운전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선택스위치(630)와, 상기 발열부재(24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스위치(640) 등이 제공된다.
상기 발열부재(240)는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되는 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도조절스위치(6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물을 원하는 온도로 세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제어장치를 통한 동작관계를 보인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구동시 물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동작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를 상기 축사(1) 내부의 분사배관(30)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를 이동시킨 후에는 급수원과 상기 급수관(510)을 호스와 같은 배관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배관(30)의 일단과 상기 연결부재(53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532) 및 분사배관(30)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플러 형상으로 연결과 해지가 용이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원코드(610)을 콘센트에 꽂아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후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급수원을 조작하여 급수를 시작하고, 상기 제어장치(600)의 전원스위치(620)를 조작하여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630)를 탱크분사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상기 운전선택스위치(630)의 조작으로 우선, 상기 제1밸브(v1)와 제2밸브(v2)가 열리고 나머지 제4밸브(v4) 내지 제6밸브(v6)는 닫히게 된다. 상기 제1밸브(v1)와 제2밸브(v2)의 개방으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은 상기 급수관(510)을 통해 상기 파동수기(300)로 유입된다.
상기 파동수기(300)를 지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300) 내부의 영구자석(330)들에 의해 형성되는 강력한 자기장의 작용에 의해서 분자구조가 1/10,000 수준으로 미세화 된다. 이와 같이 미세한 분자구조를 가지도록 분해되는 물은 연속적으로 상기 파동수기(300)를 지나 상기 연결관(520)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밸브(v3)는 닫히고, 제2밸브(v2)가 개방되어 상기 연결관(520)을 지나는 물은 제2밸브(v2)를 통해 상기 탱크배출관(570)으로 유입되며, 상기 탱크배출관(570)을 통해서 상기 저수탱크(200)로 공급된다.
상기 저수탱크(200)로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저수탱크(200)에 장착되 는 발열부재(240)가 동작하게 되며, 상기 발열부재(240)의 동작으로 상기 저수탱크(200)에 물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는 상기 제어장치(600)에 제공되는 온도조절스위치(6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동계시를 기준으로 물의 온도는 70℃의 설정온도로 가열된다.
따라서, 상기 발열부재(240)는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270)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70℃가 되면 정지하게 되고,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가열을 시작하게 되어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의 물 온도가 일정 온도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200)로 저수되는 물은 상기 저수탱크(200)에 제공되는 수위센서(260)에 의해 목표로 하는 수위에 도달하게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급수단계(S100)]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물이 목표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수위센서(260)에 의해 만수위 신호가 상기 제어장치(600)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장치(600)에서는 상기 물유입을 중단하기 위해 상기 제1밸브(v1)를 닫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를 통해서 탈취제를 주입하게 되며, 상기 탈취제는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에서 저수된 물에 희석된다. 물론, 상기 탈취제는 급수 전이나 급수 후 또는 급수 도중에도 사용자가 넣을 수 있으며,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되는 물이 만수위에 도달할 경우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수탱크(200)에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장치(600)는 제2밸브(v2) 와 제4밸브(v4) 그리고 제6밸브(v6)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v1)와 제3밸브(v3) 그리고 제5밸브(v5)를 닫게 된다.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400)의 구동을 시작하여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물과 첨과제를 재차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시키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저수탱크(200)의 내부에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펌핑부재(4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탱크흡입관(550)으로 유입되며, 상기 탱크흡입관(550)을 지나 상기 펌핑부재(420)로 유입된 후 상기 펌핑부재(420)와 연결된 혼합관(540)을 통해 상기 파동수기(300)로 안내된다.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연결관(520)과 연통된 상기 탱크배출관(570)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200)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저수탱크(200)에서, 상기 탱크흡입관(550)과 펌핑부재(420), 혼합관(540), 파동수기(300), 연결관(520), 탱크배출관(570)을 차례로 거쳐 다시 저수탱크(200)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파동수기(300)를 다시 지나면서 첨가제가 물에 혼합된 상태로 다시 미세 분자화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순환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첨가제와 물이 희석되고, 미세 분자화 되는 과정은 사용자가 정지를 위한 조작을 하거나 특정 시간 조건 또는 온도 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즉, 상기 발열부재(240)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의 물 온 도가 70℃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600)로 설정온도 도달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발열부재(240)의 동작이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희석단계(S200)]
한편,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저수탱크(200)의 수온이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에서 축사(1)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수치가 18ppm이상이 되는 경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 또는 축사(1) 내부에는 암모니아 가스검출을 위한 가스검출센서(2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분사는 설정 시간에 따라 분사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어장치(600)의 타이머(650)를 일정한 시각에 맞추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사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예컨데, 비교적 환기가 용이한 하절기에는 오후 1시와 오후7시에 각각 1회씩 분사되도록 설정하고, 낮은 기온으로 인해 환기가 어려운 동절기에는 오후 1시와 오후 5시에 각각 1회씩 분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600)에 탱크분사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장치(600)에 의해 상기 제4밸브(v4)와 제5밸브(v5)가 개방되고, 제1밸브(v1) 내지 제3밸브(v3) 그리고 제6밸브(v6)는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된 첨가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펌핑부재(420)의 구동으로 상기 탱크흡입관(550)을 통해 펌핑부재(420)로 유입되고, 상기 펌핑부재(420)와 연결된 토출관(530)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관(530)을 통해 토출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분지되어 각 연결부재(532)로 향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532)와 연결된 상기 분사배관(30)으로 향하게 된다. 분사배관(30)으로 유입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분지되어 각각의 케이지(10)로 안내되고, 각각의 케이지(10) 상부에 제공되는 분사노즐(32)을 통해 안개분무 형태로 분무된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분사배관(30)에 제공되는 개폐밸브(34)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해당 케이지(10)로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32)에서 안개상으로 분무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상기 축사(1)의 바닥을 향해 낙하하게 되며, 상기 축사(1) 내부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낙하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은 바닥에 쌓여 있는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에 닿게 되며,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암모니아와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가스 등을 분해함은 물론 세균을 살균하여 악취의 제거는 물론 악취의 원인 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사 작업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정시간동안 분사된 후에는 모든 밸브가 닫힌 상태로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분사 작업은 상기 저수탱크(200) 내부의 물이 최저수위에 도달할 때 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저수탱크(200)의 수위가 최저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물없음 신호를 제어장치(60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탱크분사단계(S300)]
한편, 사용자가 청소 또는 그외의 살균작업을 위해 파동수기(300)를 통과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200)에 저수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분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운전선택스위치(630)를 직접분사 상태로 조작하여 상기 제1밸브(v1)와 제3밸브(v3) 그리고, 제5밸브(v5)를 개방하고 나머지 제2밸브(v2)와 제4밸브(v4), 제6밸브(v6)는 닫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연결관(520)을 통해 파동수흡입관(560)으로 안내되고, 상기 파동수흡입관(550)을 통해 펌핑부재(420)로 유입된 후 상기 펌핑부재(420)와 연결된 토출관(530)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32)에 분사배관(30)이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분사배관(30)의 분사노즐(32)을 통해 물이 분사되며, 상기 연결부재(532)에 호스와 같은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배관이 연결될 경우 호스의 노즐을 통해 물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물 분사를 완료한 후에는 사용자는 전원을 오프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직접분사단계(S400)]
상기 파동수기(300)를 통과한 물은 일반 물에 비해서 산소가 15% 더 함유되어 침투력이 우수하고 살균력이 뛰어나게 되므로, 청소 및 간단한 살균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축사 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표는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실험 결과값을 나타내는 표와 그래프로서,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기 전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가스검지관법으로 검출하고, 일정 시간마다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탈취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기 전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25ppm으로 가축의 사육에 필요한 최소 기준인 15~18ppm 보다 높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고, 각각 14분 후와 19시간 경과 후에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각각 4.8ppm 과 7ppm으로 축사내 가스 농도가 매우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에 의해 혼합된 탈취제와 물을 분사하여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축의 사육에 필요한 최소 기준 이상의 가스농도로 돌아오는데는 48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축사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미차는 있겠으나, 악취제거의 효과는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매 2일 마다 상기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축사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가 설치된 축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가 설치된 축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파동수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제어장치를 통한 동작관계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구동시 물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의 동작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축사 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Claims (11)

  1.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물과 탈취제가 혼합 저장되는 저수탱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끌어올리는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다수의 영구자석들이 연속배치되어 수도와 같은 상기 프레임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기장에 의해 미세 분자화 시키는 파동수기;
    상기 급수원과 저수탱크, 구동장치, 파동수기를 연결하여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유로배관;
    상기 유로배관에 다수개 구비되며, 물 또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의 유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밸브;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장치 및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유로배관의 단부에 제공되며,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 배치되어 공급유체를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분사배관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되고, 탈취재와 혼합된 후 재차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후 상기 분사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수기는,
    양단이 개구되어 상기 유로배관과 접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영구자석들이 동일극성이 서로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공기의 압축에 의해 탱크 내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배관은,
    상기 파동수기의 일단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파동수기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저수탱크 내부로 연장되는 탱크배출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구동장치와 연통되는 파동수흡입관과;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저수탱크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탱크흡입관과;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급수관을 연결하는 혼합관과;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토출관을 포하여 구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급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파동수기로 유입되는 것을 결정하는 제1밸브와,
    상기 탱크배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결정하는 제2밸브와,
    상기 파동수흡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한 물이 상기 구동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결정하는 제3밸브와,
    상기 탱크흡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의 탈취제와 혼합된 물이 상기 구동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결정하는 제4밸브와,
    상기 구동장치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토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결정하는 제5밸브와,
    상기 구동장치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탈취제가 혼합된 물이 상기 파동수기로 유입되는 것을 결정하는 제6밸브를 포함하여 구 성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6.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영구자석이 연속 배치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물을 미세 분자화 하는 파동수기를 통과시켜 미세분자화 한 후 저수탱크에 저수하는 급수단계;
    상기 저수탱크에 탈취제를 넣은 후 펌핑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수탱크 내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재차 상기 파동수기를 통과시켜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다시 미세 분자화 하는 희석단계;
    상기 저수탱크 내의 탈취제가 혼합된 물을 상기 펌핑부재에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연결되는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 배치된 분사배관을 통해 안개분무하는 탱크분사단계;로 이루어지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저수탱크의 물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 할 때까지 지속되며,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희석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단계는 상기 저수탱크의 수온이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된 발열장치 에 의해 70℃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분사단계는,
    상기 희석단계의 완료 후에 수행되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 또는 설정한 시간 간격 마다 상기 펌핑부재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타이머의 설정 값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분사단계는,
    상기 희석단계의 완료 후에 수행되며, 상기 축사 내의 암모니아 가스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검출센서에서 검출된 가스농도가 설정 값 이상이 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 이전에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파동수기를 거친 후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된 분사배관을 통해 분사되는 직접분사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1020080127411A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10092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11A KR100929784B1 (ko)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11A KR100929784B1 (ko)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784B1 true KR100929784B1 (ko) 2009-12-07

Family

ID=4168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411A KR100929784B1 (ko) 2008-12-15 2008-12-15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78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46B1 (ko) 2016-10-27 2018-09-2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CN109169388A (zh) * 2018-11-26 2019-01-11 南安丰浩商贸有限公司 一种利用气压振动配合摩擦收集鸭粪的清洁鸭舍
CN111233529A (zh) * 2020-03-31 2020-06-05 上海巷西环境科技有限公司 卧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KR102223009B1 (ko) 2020-10-12 2021-03-03 장재욱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축사 탈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89060B1 (ko)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자외선살균램프를 이용한 친환경 축사 청소 및 소독 살균 자동화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89061B1 (ko)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축사 소독용 uv-led 소독 살균 장치와 그 방법
KR102357974B1 (ko) 2021-03-31 2022-02-09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축사 감염 예방 및 살균 소독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365878B1 (ko) 2021-07-14 2022-02-23 이기복 농가용 탈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221A (ja) 1997-09-30 1999-04-20 Human Ecology Asutec:Kk 液体消臭剤の製造方法
JP2007082419A (ja) 2005-09-20 2007-04-05 Regal Joint Co Ltd 動物の飼育舎管理方法とオゾン水製造装置
KR100817296B1 (ko) 2007-05-23 2008-03-27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축사자동소독시스템
KR20090002366A (ko) * 2007-06-28 2009-01-09 주식회사환경과생명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221A (ja) 1997-09-30 1999-04-20 Human Ecology Asutec:Kk 液体消臭剤の製造方法
JP2007082419A (ja) 2005-09-20 2007-04-05 Regal Joint Co Ltd 動物の飼育舎管理方法とオゾン水製造装置
KR100817296B1 (ko) 2007-05-23 2008-03-27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축사자동소독시스템
KR20090002366A (ko) * 2007-06-28 2009-01-09 주식회사환경과생명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46B1 (ko) 2016-10-27 2018-09-2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CN109169388A (zh) * 2018-11-26 2019-01-11 南安丰浩商贸有限公司 一种利用气压振动配合摩擦收集鸭粪的清洁鸭舍
CN111233529A (zh) * 2020-03-31 2020-06-05 上海巷西环境科技有限公司 卧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CN111233529B (zh) * 2020-03-31 2024-05-10 上海巷西环境科技有限公司 卧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KR102223009B1 (ko) 2020-10-12 2021-03-03 장재욱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축사 탈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89060B1 (ko)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자외선살균램프를 이용한 친환경 축사 청소 및 소독 살균 자동화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89061B1 (ko) 2021-03-31 2021-08-13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축사 소독용 uv-led 소독 살균 장치와 그 방법
KR102357974B1 (ko) 2021-03-31 2022-02-09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축사 감염 예방 및 살균 소독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365878B1 (ko) 2021-07-14 2022-02-23 이기복 농가용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84B1 (ko)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201440B1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US20190357495A1 (en) Multifunctional pet house
CN109874691B (zh) 一种羊用自动饲喂系统
EP3571927A1 (en) Multifunctional pet house
CN109874682B (zh) 一种羊用饲养生产系统
WO2020040244A1 (ja) 畜舎、畜舎の臭気低減システム及び脱臭装置並びに畜舎の換気システム
CN213756148U (zh) 一种畜牧养殖用养殖舍粪便收集清理装置
KR20100068897A (ko)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101386136B1 (ko) 축사용 공조시스템
CN109997708A (zh) 一种自动化猪舍
KR101816517B1 (ko) 친환경 축사
KR20180031648A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KR100782163B1 (ko) 광합성균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30140414A (ko) 애완동물 배변기
CN108464248B (zh) 一种便捷消毒的猪舍
JP2020032407A (ja) 脱臭装置及び畜舎の臭気低減システム
CN212325049U (zh) 一种共享智能宠屋
KR20180040535A (ko) 축사 외벽 설치용 탈취장치
CN112655567A (zh) 一种具有驱虫除臭功能的仔猪养殖猪舍
CN209995087U (zh) 一种可调湿的健康养殖猪舍
KR100944954B1 (ko)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분뇨처리장치
RU2164745C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уда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копытных животных при их содержании в закрытом помещении
KR101001318B1 (ko) 청정 자돈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