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517B1 - 친환경 축사 - Google Patents

친환경 축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517B1
KR101816517B1 KR1020170087583A KR20170087583A KR101816517B1 KR 101816517 B1 KR101816517 B1 KR 101816517B1 KR 1020170087583 A KR1020170087583 A KR 1020170087583A KR 20170087583 A KR20170087583 A KR 20170087583A KR 101816517 B1 KR101816517 B1 KR 10181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pipe
water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철
Original Assignee
(주)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환 filed Critical (주)미환
Priority to KR102017008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면서, 악취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축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는 처리조(10)가 형성되고, 바닥판(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1a)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의 분뇨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기 처리조(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 가축이 배설한 분뇨를 바로 처리조(10)로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음으로,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축사{ cattle shed}
본 발명은 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면서, 악취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축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등과 같은 가축을 기르는데 사용되는 축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면과, 상기 측벽면의 상단에 구비된 지붕패널이 구비되어, 내부에 가축을 기르기 위한 사육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축사의 경우, 가축이 배출하는 분뇨가 축사의 바닥에 쌓이게 됨으로, 일정주기로 분뇨를 수거한 후, 별도로 마련된 분료처리시설을 이용하여 분뇨를 정화하여 배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축사의 경우, 가축이 배설한 분뇨가 수거하기 전까지 축사의 바닥에 방치됨으로, 가축을 기르는 환경이 매우 열악해질 뿐 아니라,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축사의 외부로 유출될 뿐 아니라, 분뇨를 수거하여 분료처리시설로 운반하는 도중에도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분뇨를 수거하여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력과 장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8584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면서, 악취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축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1)과, 상기 바닥판(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면(2)과, 상기 측벽면(2)의 상단에 구비된 지붕패널(3)이 구비되어, 내부에 가축을 기르기 위한 사육공간(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축사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는 처리조(10)가 형성되고, 바닥판(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1a)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의 분뇨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기 처리조(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처리조(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수집챔버(12)와 하측의 폭기챔버(13)로 구획하며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출공(11a)이 형성된 격판(11)과, 상기 배출공(11a)에 연결된 배출관(14)과, 상기 수집챔버(12)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5a)이 형성된 분사관(15)과, 수원과 상기 분사관(15)을 연결하여 수원의 물을 상기 분사관(15)으로 공급하며 중간부에는 급수조절밸브(16a)가 구비된 급수관(16)과,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14)은 전단부는 상기 배출공(11a)의 하측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격판(11)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절곡부(14a)와, 상기 상향절곡부(14a)의 후단부에서 상기 격판(11)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14b)를 포함하는 트랩형태로 구성되어, 분뇨가 상기 수집챔버(12)에 일차로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관(16)과 분사관(15)을 통해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면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물과 함께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축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는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와 연결되는 에어챔버(20)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수단(30)은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급기노즐(31a)이 구비된 급기관(31)과, 상기 에어챔버(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31)으로 공급하는 에어블로워(32)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된 흡기관(41)과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연장된 배기관(42)이 구비되어 상기 처리조(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기관(41)을 통해 흡입하여 정화한 후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사육공간(4)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40)과, 상기 급기수단(30)과 급수조절밸브(16a) 및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41)의 전단부는 상기 수집챔버(12)에 연결된 제1 흡기관부(41a)와 상기 폭기챔버(13)에 연결된 제2 흡기관부(41b)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의 중간부에는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흡기조절밸브(41c,41d)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집챔버(12)에 분뇨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모드와,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모드에서는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폐쇄시키고, 상기 급기수단(30)을 구동시켜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배출모드에서는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개방하여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수단(30)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이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축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에 형성된 통공(1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통공(1a)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는 풍속센서(60)와, 상기 풍속센서(6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와 물에 의해 상기 풍속센서(6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패널(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패널(70)은 일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부(71)와, 상기 경사부(7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유도부(72)와, 상기 경사부(7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수평부(73)를 포함하고, 상기 풍속센서(60)는 상기 경사부(71)의 하측면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저장모드에서 상기 풍속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축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는 처리조(10)가 형성되고, 바닥판(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1a)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의 분뇨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기 처리조(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 가축이 배설한 분뇨를 바로 처리조(10)로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음으로,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축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축사는 바닥판(1)과, 상기 바닥판(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면(2)과, 상기 측벽면(2)의 상단에 구비된 지붕패널(3)이 구비되어, 내부에 가축을 기르기 위한 사육공간(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는 처리조(10)와 에어챔버(2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1a)이 형성되며,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처리조(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수집챔버(12)와 하측의 폭기챔버(13)로 구획하며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출공(11a)이 형성된 격판(11)과, 상기 배출공(11a)에 연결된 배출관(14)과, 상기 수집챔버(12)의 상기 수집챔버(12)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5a)이 형성된 분사관(15)과, 수원과 상기 분사관(15)을 연결하여 수원의 물을 상기 분사관(15)으로 공급하며 중간부에는 급수조절밸브(16a)가 구비된 급수관(16)과,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30)과, 상기 처리조(10)와 사육공간(4)에 연결된 공기정화수단(40)과, 상기 급기수단(30)과 급수조절밸브(16a) 및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처리조(10)는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 구덩이를 판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처리조(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폭기챔버(13)의 하측면 일측에는 별도의 후처리장치로 연결된 연결관(13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13a)의 중간부에는 밸브(13b)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와 물의 폭기가 완료되면 상기 밸브(13b)를 개방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분뇨와 물을 후처리장치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20)는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처리조(10)의 측벽에 형성된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은 상기 처리조(1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다수개의 통공(1a)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패널(1c)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을 하거나 바닥판(1)을 물청소하면, 배설된 분뇨와 상기 바닥판(1)을 청소할 때 사용된 물이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기 처리조(10)의 수집챔버(12)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상기 격판(11)은 강도가 높은 금속판 또는 콘크리트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1a)은 상기 격판(11)에서 가장 높이가 낯은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4)은 전단부는 상기 배출공(11a)의 하측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격판(11)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절곡부(14a)와, 상기 상향절곡부(14a)의 후단부에서 상기 격판(11)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14b)를 갖는 트랩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수위가 낮을 때는 수집챔버(12)의 내부에 수집된 분뇨와 물이 배출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수집챔버(12) 내부의 분뇨와 물이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하측의 폭기챔버(13)로 배출된다.
상기 분사관(15)은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상측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측둘레부에 다수개의 분사공(15a)이 격판(11)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16)은 수원인 수도관과 상기 분사관(15)을 연결하여, 상기 급수조절밸브(16a)가 개방되면, 상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수돗물이 상기 분사관(15)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는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관(16)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조절밸브(16a)가 개방되어 상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관(16)을 통해 분사관(15)으로 공급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분사관(15)의 분사공(15a)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의 내측으로 분사되어, 수집챔버(12)의 둘레부에 쌓인 분뇨를 상기 배출공(11a)쪽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의 수위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챔버(12)에 쌓인 분뇨가 배출관(14)을 통해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수단(30)은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급기노즐(31a)이 구비된 급기관(31)과, 상기 에어챔버(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31)으로 공급하는 에어블로워(3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블로워(32)를 구동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블로워(32)가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31)으로 공급하고, 급기관(31)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급기노즐(31a)을 통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와 물의 내부로 배출되어, 분뇨와 물이 폭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출관(14)을 역류하여 상기 수집챔버(12)로 배출된 후, 일부는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에어블로워(32)로 흡입되어 폭기챔버(13)로 순환되며, 일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수단(40)으로 흡입되어 정화된 후, 상기 사육공간(4)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은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된 흡기관(41)과,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연장된 배기관(42)과, 상기 흡기관(41)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처리조(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한 후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사육공간(4)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유닛(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관(41)의 전단부는 상기 수집챔버(12)에 연결된 제1 흡기관부(41a)와 상기 폭기챔버(13)에 연결된 제2 흡기관부(41b)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의 중간부에는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흡기조절밸브(41c,41d)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조절밸브(41c,41d)는 상기 제1 흡기관부(41a)의 중간부에 구비된 제1 흡기조절밸브(41c)와, 상기 제2 흡기관부(41b)의 중간부에 구비된 제2 흡기조절밸브(41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42)은 후단부가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고, 후단부 하측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42a)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43)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사육공간(4)의 내부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은 내부에 환기팬이 구비되어, 상기 흡기관(41)을 통해 처리조(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에 오존이나 기타 다양한 오염제거물질을 공급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사육공간(4)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정화유닛(43)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흡기조절밸브(41d)를 밀폐하고 제1 흡기조절밸브(41c)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을 구동시키면, 상기 제1 흡기관부(41a)를 통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된 후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4)으로 공급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흡기조절밸브(41c)를 밀폐하고 제2 흡기조절밸브(41d)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을 구동시키면, 상기 제2 흡기관부(41b)를 통해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된 후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4)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집챔버(12)에 분뇨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모드와,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저장모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급기수단(3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블로워(32)가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수집챔버(12)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31)을 통해 상기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분뇨와 물의 내부로 공급하여,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폭기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흡기조절밸브(41d)를 밀폐하고 제1 흡기조절밸브(41c)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이 상기 제1 흡기관부(41a)를 통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4)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30)이 구동되어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정화유닛(43)으로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사육공간(4)으로 공급하면,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기압이 상기 수집챔버(12)의 기압에 비해 높게 유지됨으로서,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폭기챔버(13)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와한 후, 상기 사육공간(4)으로 공급함으로, 수집챔버(12)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측의 사육공간(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개방하여 상기 급수관(16)과 분사관(15)을 통해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30)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흡기조절밸브(41c)를 밀폐하고 제2 흡기조절밸브(41d)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정화유닛(43)이 상기 제2 흡기관부(41b)를 통해 폭기챔버(13)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4)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개방하여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수집챔버(12)에 쌓인 분뇨를 상기 물에 의해 상기 배출공(11a)쪽으로 밀려나가게 됨과 동시에, 수집챔버(12)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어, 상기 수집챔버(12)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폭기챔버(13)로 배출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되며, 이때, 급기수단(3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면,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기압이 상기 수집챔버(12)의 기압에 비해 낮아지게 됨으로,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효과적으로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폭기챔버(13)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상기 제어수단(50)은 저장모드와 배출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입력수단(5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0)이 저장모드인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30)이 구동되어, 상기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분뇨와 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되도록 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충분히 폭기되면, 작업자가 상기 처리조(10)에 구비된 연결관(13a)의 밸브(13b)를 개방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폭기챔버(13)에 저장되어 폭기된 물과 분뇨를 별도로 마련된 후처리장치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물과 분뇨가 모두 배출된 후,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51)을 조작하여 상기 제어수단(50)이 배출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며,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51)을 조작하여 제어수단(50)이 저장모드로 전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급기수단(30)이 구동되어, 상기 폭기챔버(13)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폭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한 분뇨와, 바닥판(1)을 청소할 때 사용된 물을 반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친환경 축사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는 처리조(10)가 형성되고, 바닥판(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1a)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의 분뇨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기 처리조(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 가축이 배설한 분뇨를 바로 처리조(10)로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음으로,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처리조(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수집챔버(12)와 하측의 폭기챔버(13)로 구획하며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출공(11a)이 형성된 격판(11)과, 상기 배출공(11a)에 연결된 배출관(14)과, 상기 수집챔버(12)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5a)이 형성된 분사관(15)과, 수원과 상기 분사관(15)을 연결하여 수원의 물을 상기 분사관(15)으로 공급하며 중간부에는 급수조절밸브(16a)가 구비된 급수관(16)과,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30)이 더 구비됨으로, 가축이 배설한 분뇨가 상기 수집챔버(12)에 일정량이 될 때까지 저장된 후, 상기 급수관(16)을 통해 분사관(15)에 물을 공급하면, 분사관(15)의 분사공(15a)을 통해 물이 수집챔버(12)의 내부로 공급되어, 수세식 변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자동으로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출한 분뇨를 상기 수집챔버(12)에 일단 저장한 후, 일정한 시간마다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뇨가 폭기챔버(13)의 내부에서 충분히 폭기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를 효과적으로 폭기챔버(13)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는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와 연결되는 에어챔버(20)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수단(30)은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급기노즐(31a)이 구비된 급기관(31)과, 상기 에어챔버(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31)으로 공급하는 에어블로워(32)로 구성되어, 상기 폭기챔버(13)의 상측에 위치된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폭기챔버(13)로 공급함으로,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된 흡기관(41)과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연장된 배기관(42)이 구비되어 상기 처리조(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기관(41)을 통해 흡입하여 정화한 후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사육공간(4)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40)과, 상기 급기수단(30)과 급수조절밸브(16a) 및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41)의 전단부는 상기 수집챔버(12)에 연결된 제1 흡기관부(41a)와 상기 폭기챔버(13)에 연결된 제2 흡기관부(41b)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의 중간부에는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흡기조절밸브(41c,41d)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집챔버(12)에 분뇨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모드와,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모드에서는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폐쇄시키고, 상기 급기수단(30)을 구동시켜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배출모드에서는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개방하여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수단(30)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이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저장모드에서는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기압이 상기 수집챔버(12)의 기압에 비해 높게 유지됨으로서,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폭기챔버(13)로 배출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배출모드에서는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기압이 상기 수집챔버(12)의 기압에 비해 낮아지게 됨으로,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격판(11)의 배출공(11a)에 구비된 배출관(14)은 트랩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와 물은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지 않고,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수집챔버(12)로 배출됨으로, 저장모드에서 상기 급기수단(30)에 의해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폭기챔버(13) 내부의 기압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바닥판(1)에 형성된 통공(1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통공(1a)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는 풍속센서(60)와, 상기 풍속센서(6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와 물에 의해 상기 풍속센서(6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패널(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저장모드에서 상기 풍속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풍속센서(60)는 상하방향의 회전축(61a)을 갖도록 구성된 프로펠러(61)와, 상기 프로펠러(61)의 회전축(61a)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펠러(61)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62)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육공간(4)의 공기가 통공(1)을 통해 하측의 수집챔버(12)로 유입될 경우 상기 프로펠러(61)가 정지되거나 정회전되며, 반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될 경우, 상기 프로펠러(61)가 역회전됨으로, 상기 회전감지센서(62)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펠러(61)의 회전축(61a)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될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패널(70)은 일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부(71)와, 상기 경사부(7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유도부(72)와, 상기 경사부(7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수평부(7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풍속센서(60)는 상기 보호패널(70)의 경사부(71) 하측면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와 물이 상기 통공(1)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할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뇨와 물은 상기 경사부(71)와 배출유도부(72)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경사부(71)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린 분뇨와 물은 상기 수평부(73)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함으로써, 분뇨와 물이 상기 풍속센서(60)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을 통해 공기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흐를 때, 공기의 흐름이 보호패널(70)에 의해 방해받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풍속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공기가 통공(1)을 통해 하측의 수집챔버(12)로 유입될 경우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단위시간당 공기정화량을 줄이고,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될 경우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단위시간당 공기정화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친환경 축사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풍속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집챔버(12)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수단(40)으로 흡입되어 정화됨으로,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기압이 상측의 사육공간(4)의 기압에 비해 낮아지며, 이에 따라, 상측의 사육공간(4)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의 내부로 수집된다.
그런데, 기온 상승 등의 영향에 의해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에서 급격에게 다량의 메탄 가스 등이 발생될 경우,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측의 사육공간(4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통공(1)의 내부에 풍속센서(60)가 구비되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측의 사육공간(40)으로 배출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단위시간당 공기정화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더욱 빠르게 공기정화수단(40)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통공(1)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측의 사육공간(40)으로 배출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공기정화수단(40)의 단위시간당 공기정화량을 증가시킴으로, 불필요하게 공기정화수단(40)의 단위시간당 공기정화량을 증가시켜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기나 약품의 소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풍속센서(60)의 상측에는, 일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부(71)와, 상기 경사부(7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유도부(72)와, 상기 경사부(7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수평부(73)로 구성된 보호패널(7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와 물에 의해 상기 풍속센서(6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패널(70)에 의해 통공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서, 상기 풍속센서(60)가 상기 통공(1)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풍속센서(60)는 상하방향의 회전축(61a)을 갖도록 구성된 프로펠러(61)와, 상기 프로펠러(61)의 회전축(61a)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펠러(61)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62)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풍속센서(6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처리조 20. 에어챔버
30. 급기수단 40. 공기정화수단
50. 제어수단 60. 풍속센서
70. 보호패널

Claims (3)

  1. 바닥판(1)과,
    상기 바닥판(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면(2)과,
    상기 측벽면(2)의 상단에 구비된 지붕패널(3)이 구비되어,
    내부에 가축을 기르기 위한 사육공간(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축사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의 하측에는 처리조(10)가 형성되고,
    바닥판(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1a)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의 분뇨가 상기 통공(1a)을 통해 상기 처리조(1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처리조(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수집챔버(12)와 하측의 폭기챔버(13)로 구획하며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출공(11a)이 형성된 격판(11)과,
    상기 배출공(11a)에 연결된 배출관(14)과,
    상기 수집챔버(12)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5a)이 형성된 분사관(15)과,
    수원과 상기 분사관(15)을 연결하여 수원의 물을 상기 분사관(15)으로 공급하며 중간부에는 급수조절밸브(16a)가 구비된 급수관(16)과,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14)은 전단부는 상기 배출공(11a)의 하측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격판(11)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절곡부(14a)와, 상기 상향절곡부(14a)의 후단부에서 상기 격판(11)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14b)를 포함하는 트랩형태로 구성되어,
    분뇨가 상기 수집챔버(12)에 일차로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관(16)과 분사관(15)을 통해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면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물과 함께 상기 배출관(14)을 통해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는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와 연결되는 에어챔버(20)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수단(30)은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폭기챔버(13)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급기노즐(31a)이 구비된 급기관(31)과,
    상기 에어챔버(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31)으로 공급하는 에어블로워(32)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된 흡기관(41)과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연장된 배기관(42)이 구비되어 상기 처리조(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기관(41)을 통해 흡입하여 정화한 후 상기 배기관(42)을 통해 사육공간(4)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40)과,
    상기 급기수단(30)과 급수조절밸브(16a) 및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41)의 전단부는 상기 수집챔버(12)에 연결된 제1 흡기관부(41a)와 상기 폭기챔버(13)에 연결된 제2 흡기관부(41b)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의 중간부에는 제1 및 제2 흡기관부(41a,41b)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흡기조절밸브(41c,41d)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집챔버(12)에 분뇨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모드와, 상기 수집챔버(12)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폭기챔버(13)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모드에서는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폐쇄시키고, 상기 급기수단(30)을 구동시켜 폭기챔버(13)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배출모드에서는 상기 급수조절밸브(16a)를 개방하여 수집챔버(12)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수단(30)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이 상기 폭기챔버(13) 내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상기 사육공간(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축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에 형성된 통공(1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챔버(12) 내부의 공기가 통공(1a)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는 풍속센서(60)와,
    상기 풍속센서(6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1)에 있는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와 물에 의해 상기 풍속센서(6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패널(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패널(70)은
    일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부(71)와,
    상기 경사부(7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유도부(72)와,
    상기 경사부(7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수평부(73)를 포함하고,
    상기 풍속센서(60)는 상기 경사부(71)의 하측면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저장모드에서 상기 풍속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기정화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축사.
KR1020170087583A 2017-07-11 2017-07-11 친환경 축사 KR10181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83A KR101816517B1 (ko) 2017-07-11 2017-07-11 친환경 축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83A KR101816517B1 (ko) 2017-07-11 2017-07-11 친환경 축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517B1 true KR101816517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583A KR101816517B1 (ko) 2017-07-11 2017-07-11 친환경 축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5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218B1 (ko) * 2018-07-12 2019-03-14 최석봉 피트모스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극한환경미생물과 천연생리활성물질인 휴믹물질을 이용한 돈사 악취 제거 및 발효 시스템
CN110972958A (zh) * 2019-12-11 2020-04-10 华北水利水电大学 基于生理特征检测的封闭式安全防疫养殖系统
KR102371011B1 (ko) * 2021-02-05 2022-03-10 (주)동아엔지니어링 친환경 축사구조
KR102372896B1 (ko) * 2021-02-05 2022-03-11 (주)동아엔지니어링 악취저감 기능이 있는 축사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461B1 (ko) 1999-11-27 2002-08-22 주식회사 킹돈 가축사육용 컨테이너 축사
KR100473174B1 (ko) * 2004-07-22 2005-03-14 최병권 시앤비 시스템을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방법
KR100721804B1 (ko) 2005-07-26 2007-05-25 김준호 통합 축사 정화 시스템
KR100817528B1 (ko) 2005-08-29 2008-03-27 주식회사 트인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KR101433789B1 (ko) 2014-02-13 2014-08-26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461B1 (ko) 1999-11-27 2002-08-22 주식회사 킹돈 가축사육용 컨테이너 축사
KR100473174B1 (ko) * 2004-07-22 2005-03-14 최병권 시앤비 시스템을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방법
KR100721804B1 (ko) 2005-07-26 2007-05-25 김준호 통합 축사 정화 시스템
KR100817528B1 (ko) 2005-08-29 2008-03-27 주식회사 트인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KR101433789B1 (ko) 2014-02-13 2014-08-26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218B1 (ko) * 2018-07-12 2019-03-14 최석봉 피트모스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극한환경미생물과 천연생리활성물질인 휴믹물질을 이용한 돈사 악취 제거 및 발효 시스템
CN110972958A (zh) * 2019-12-11 2020-04-10 华北水利水电大学 基于生理特征检测的封闭式安全防疫养殖系统
KR102371011B1 (ko) * 2021-02-05 2022-03-10 (주)동아엔지니어링 친환경 축사구조
KR102372896B1 (ko) * 2021-02-05 2022-03-11 (주)동아엔지니어링 악취저감 기능이 있는 축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517B1 (ko) 친환경 축사
KR101201440B1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20110003155A (ko)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
KR101891697B1 (ko) 동물 사육시설의 분뇨처리 시스템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US7270746B2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water animal feeding facility
KR101545182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US8209787B2 (en) Toilet seat cover having air treatment system
KR100782163B1 (ko) 광합성균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JP5137656B2 (ja) 移動体内のトイレ用排泄物処理装置
KR100849648B1 (ko)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
KR101594742B1 (ko) 축사용 이산화탄소 포집모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공급시스템
KR100836154B1 (ko) 워터필터 공기정화기
KR100766491B1 (ko) 워터필터 공기정화기
KR100396339B1 (ko) 음식물 쓰레기와 축분뇨 처리장치의 공기공급 및 배출장치
JP2003251317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WO2014136120A1 (en) Integrated toilet bowl with exhaust system
JPH1043789A (ja) 散気管の清掃装置
KR102401715B1 (ko) 오염물 처리 설비
KR101000074B1 (ko) 간이화장실용 오물저장조의 악취 정화 배출장치
KR20230012109A (ko)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JPH04349832A (ja) 実験動物自動飼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