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70B1 -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270B1
KR101674270B1 KR1020140186457A KR20140186457A KR101674270B1 KR 101674270 B1 KR101674270 B1 KR 101674270B1 KR 1020140186457 A KR1020140186457 A KR 1020140186457A KR 20140186457 A KR20140186457 A KR 20140186457A KR 101674270 B1 KR101674270 B1 KR 10167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type belt
storage spa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354A (ko
Inventor
곽진호
Original Assignee
곽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호 filed Critical 곽진호
Priority to KR102014018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270B1/ko
Priority to US15/538,758 priority patent/US20180014509A1/en
Priority to PCT/KR2015/013426 priority patent/WO2016104996A1/ko
Publication of KR2016007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용 화장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실 커버와, 상기 세척실 커버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강제건조를 위하여 상기 세척실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Dog toilet having automatic washing and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애완견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견의 배설물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건조 및 살균을 통해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애완견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견을 키우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 중의 하나가 배설물을 치우는 일이다. 배변장소와 시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애완견을 훈련시키더라도 일단 배설물이 발생하면 그때마다 사람이 직접 치워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사람들은 애완견의 배설물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양한 용품들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품은 소변 흡수 기능을 가진 일회용 배변패드로서, 실내의 특정 위치에 펼쳐두고 애완견이 그 위에 배설을 하면 새 패드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닥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회용 배변패드는 배설 후에 사용자가 신속하게 치우지 않으면 냄새가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돌아다니던 애완견의 발에 자칫 변이 묻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변만 누더라도 반복 사용하다 보면 흡수되지 못한 소변이 패드의 상부에 고이거나 밖으로 흘러내려서 실내오염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최근의 사회적 추세에도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회용 제품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 나고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애완견용 화장실이 소개되고 있다.
가장 간단한 유형의 애완견용 화장실은 상자형 변기통의 상단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배설판이 결합된 것으로서, 애완견이 배설을 하면 소변은 배설판의 관통홀을 통해 변기통으로 흘러내리고 대변은 배설판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견용 화장실은 대변이 놓인 배설판을 즉시 세척하지 않으면 냄새가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후에 배설판에 올라온 애완견의 발에 변이 묻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고 변기통에 고인 소변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소개된 바와 같이 자동세척 기능을 구비한 유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컨베이어형 배변벨트와, 컨베이어형 배변벨트의 일측과 하측에 구비된 물분사노즐을 포함하며, 물분사노즐을 탑승감지센서 및 배변감지센서와 연동시켜 배변벨트를 자동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배설물을 세척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으나, 배변벨트에 관통홀이 없기 때문에 소변이 애완견의 발에 묻기 쉽고, 물분사노즐만으로는 배변벨트를 청결하게 세척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벽한 세척을 위해서는 물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수도관과 배수관을 연결해야 하므로 배관연결이 복잡하고 설치장소를 마음대로 선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일단 설치된 이후에는 설치장소를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것으로서, 관통홀을 구비하는 네트형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표면에 접촉하여 마찰세척과 물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세척롤러를 포함하며, 특히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통과 배설물을 저장하는 배설물 격리통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애완견의 소변이 네트형 컨베이어의 관통홀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애완견의 발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이나 배수관을 따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별도의 설치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설치장소를 변경하는 것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다만 특허문헌 2에 따른 화장실은, 네트형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 네트형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대 등에 묻은 배설물이나 배수판의 구석진 부분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설물을 즉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격리통에 저장하는 방식이므로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세척 방식이므로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필요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2의 애완견용 화장실은 한쪽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보는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애완견이 한쪽 다리를 들고 배뇨를 할 경우에 바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038호(2012.06.21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268177호(2013.05.27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변을 누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를 적절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실 커버와, 상기 세척실 커버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강제건조를 위하여 상기 세척실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 유닛의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 커버와, 상기 격리통 커버의 하부에 설치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 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벽은 상기 종동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을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내벽에서 각각 상기 배수판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컨베이어 거치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집수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벽에는 상기 배수판과 평행한 방향의 광축으로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의 상부에 거치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세로살대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각 세로살대에서 가로살대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로살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의 상부에 거치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은, 상기 다수의 가로살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물공급파이프와, 상기 각 물공급파이프에서 가로살대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로살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은 가로살대의 하부에서 가로살대의 중심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살대의 외주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결합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 중에서 상기 종동롤러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서 파이프로 이루어진 세로살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상부유닛; 상기 상부유닛의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소변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를 향하는 쪽에 형성된 배뇨판과, 상기 배뇨판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뇨판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차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물을 공급받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배뇨판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하단은 상기 집수부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단은 상기 배출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상승유로; 상기 상승유로의 상단과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하강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유로 또는 상기 하강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일 측단과 연결된 차수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에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하단은 상기 에지커버의 상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과, 상기 배수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내벽에서 각각 상기 배수판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컨베이어 거치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집수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실 커버의 바깥쪽에 설치된 팬을 통해 애완견용 화장실의 내부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유닛의 컨베이어 거치대 하부를 별도의 노즐을 사용하여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격리통 커버에 구비된 살균램프를 계속 또는 주기적으로 점등함으로써 격리통 유닛 내부의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에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배수판과 그 주변을 살균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를 별도의 세척수단을 사용하여 종래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여 네트형 벨트의 일측에 소변가이드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한쪽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별도의 세척수단을 설치하여 배뇨판을 물세척함으로써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5는 상부유닛과 소변가이드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부유닛의 저면도
도 7은 세척롤러 주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투입구 주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상부유닛의 측면 입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애완견용 화장실을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하부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하부유닛과 컨베이어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컨베이어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컨베이어 유닛의 지지프레임에 하중지지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하중지지대에 구비된 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하중지지대의 노즐이 종동롤러와 네트형 컨베이어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소변가이드 유닛의 단면도
도 19는 소변가이드 유닛의 내부에 차수벽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의 사시도,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은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과, 애완견이 올라가서 배설을 하는 네트형 벨트(126)를 구비하며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120), 배설물이 격리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하부유닛(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격리통유닛(140), 상부유닛(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소변가이드 유닛(150)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네트형 벨트(126)가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방향,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부유닛(110)은 컨베이어유닛(120)을 지지하면서 하부유닛(130)의 외곽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대략 사각의 관통부(10)를 둘러싸는 프레임 구조이다.
도 5의 사시도 및 도 6의 저면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유닛(110)은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10)의 후방측에 기관실 커버(111)를 구비하고, 우측과 좌측에는 각각 세척실커버(112)와 격리통 커버(113)를 구비한다.
기관실 커버(111)는 하부유닛(130)에 형성된 기관실(도 11의 131)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며, 기관실(131)에 설치된 물통(160)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관통홀(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커버(112)는 세척롤러(122)에 의해 네트형 벨트(126)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커버한다.
세척실커버(112)는, 도 7의 부분 단면도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는 컨베이어유닛(120)의 구동롤러(121)의 축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구동롤러(121)에는 네트형 벨트(126)가 감겨 있으므로 네트형 벨트(126)와 간섭하지 않도록 세척실커버(112)의 하단부는 네트형 벨트(126)의 상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척실커버(112)를 곡면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평면의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사면과 곡면을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세척실커버(112)의 천정에는 노즐(192)이 설치되며, 노즐(192)은 세척롤러(122)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물공급 파이프와 물공급 파이프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을 포함한다. 분사홀의 방향은 세척롤러(122)의 브러쉬와 네트형 벨트(126)가 접촉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192)의 물공급 파이프에는 다수의 분사홀이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고, 2열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홀이 2열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 열의 용도를 다르게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열의 분사홀은 세척롤러(122)의 브러쉬와 네트형 벨트(126)가 접촉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하여 세척롤러(122)와 함께 네트형 벨트(126)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제2열의 분사홀은 네트형 벨트(126)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도 13의 125)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열의 분사홀을 이용하여 하중지지대(125)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실커버(112)의 하부에 제2열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물을 구동롤러(121) 상부의 소정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가이드(1122)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세척가이드(1122)를 따라 흘러내린 물이 네트형 벨트(126)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응집되고, 네트형 벨트(126)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응집된 물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대(125)의 가로살대(도 14의 1254)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애완견이 소변을 누는 경우에는 이렇게만 하여도 하중지지대(125)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다만 묽은 변이 흘러 내려 하중지지대(125)를 오염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세척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하중지지대(125) 자체에 별도의 세척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은 물세척 이후 세균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를 강제 건조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실커버(11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팬(170)을 설치하고, 팬(170)의 바깥쪽에 팬보호커버(172)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세척실커버(112)의 측면에 팬(170)을 설치하면 물세척으로 인해 습기가 많아진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내부공간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팬(170)에서 공급된 공기는 세척실커버(112)의 좌측 내면을 따라 하강한 후 세척롤러(122)의 브러쉬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세척롤러(122)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롤러(122)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수판(132)을 건조시키고, 일부는 네트형 벨트(126)를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네트형 벨트(126)를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유닛(110)에 구비된 격리통 커버(113)는, 도 8의 부분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 유닛(140)의 투입구(14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격리통 커버(113)의 좌측 단부에는 세로방향의 커버회전축(1132)이 결합되며, 커버회전축(1132)의 일단은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기관실(131)에 설치된 커버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리통 유닛(140)에 저장된 배설물을 소독하여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리통 커버(113)의 저면에 살균램프(180)를 설치한다. 그리고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제어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는 살균램프(180)의 동작을 격리통 커버(113)의 회전구동수단과 연동시킬 수 있다. 즉, 격리통 커버(113)가 열린 상태에서는 살균램프(180)가 꺼지고 닫힌 상태에서만 살균램프(180)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배설 후에 격리통 커버(113)가 자동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고 호기심으로 격리통 커버(113)를 건드리거나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격리통 커버(113)의 상부에 보호커버(11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회전축(1132)은 보호커버(115)의 저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115)에서 네트형 벨트(126)를 향하는 일 측면에 애완견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16)를 설치하였다. 감지센서(116)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광센서, 초음파센서, 정전용량식 근접센서, 유도자기력을 이용한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보호커버(115)에 감지센서(116)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유닛(110)의 다른 부분이나 소변가이드 유닛(15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유닛(110)은 격리통 커버(113)의 하부에 격리통 유닛(140)의 출입을 위한 입구(12)를 구비한다.
입구(12)의 일측과 타측에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격리통 잠금부재(1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축은 별도로 설치된 축일 수도 있고, 격리통 잠금부재(117)와 상부유닛(110)의 측벽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구부림이 가능할 정도로 얇게 형성된 수직의 연결부일 수도 있다.
각 격리통 잠금부재(117)의 내측에는 결합돌부(1172)가 형성되며, 결합돌부(1172)는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의 내벽에 형성된 결합홈(도 8 및 도 11의 138)에 삽입되어 격리통 유닛(140)을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역할을 한다.
즉, 격리통 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격리통 잠금부재(117)를 회전시켜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끼우면 격리통 잠금부재(117)가 격리통 유닛(140)의 바깥면을 눌러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각 격리통 잠금부재(117)의 외측에는 측면커버 결합부(1174)를 형성하고, 측면커버 결합부(1174)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커버(118)를 결합할 수 있다.
측면커버(118)는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운반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 측면커버(118)는 단부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181)와, 절개부(1181)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그립부(1182)를 포함한다.
격리통 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 삽입하고 측면커버(118)를 닫으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 유닛(140)의 손잡이(143)는 측면커버(118)의 절개부(1181)를 통과하여 그립부(1182)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립부(1182)를 잡으면 격리통 유닛의 손잡이(143)도 함께 잡게 되므로, 그립부(1182)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부유닛(110)과 격리통 유닛(140)이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한편 상부유닛(110)은 관통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가로방향의 내측면에서 각각 관통부(10)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에지커버(114)를 포함한다. 에지커버(114)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120)의 네트형 벨트(126)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애완견의 발이 끼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세척수가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한 쌍의 에지커버(114) 중에서 후방측에 위치하는 에지커버(114)에는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하단이 놓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지커버(114)에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물공급관(159)이 통과하는 삽입홀(114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밖에 상부유닛(110)의 가로변 바깥측에는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후크걸림턱(도 11의 139)에 걸리는 후크(119)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119)와 후크걸림턱(139)은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을 결합하는 수단을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른 종류의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부유닛(110) 한 쪽에만 후크(119)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쪽에도 후크(119)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유닛(110)에서 입구(12) 반대쪽에는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바퀴(도 11의 1390)가 삽입되는 바퀴홈(11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110)에서 입구(12) 반대쪽의 외측면에는 받침부(1102)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10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세웠을 때 바퀴(139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바퀴(1390)와 같은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유닛(13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을 둘러싸는 측벽(1301)과 측벽(130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구획하는 가로방향의 격벽(1302)을 포함한다.
격벽(130)의 후방측 공간은 기관실(131)로 제공되고 전방측 공간은 격리통 유닛(140)을 삽입하는 수납공간(도 1 및 도 4의 137)으로 제공되며, 수납공간(137)은 좌측의 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기관실(131)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160), 물을 공급하는 펌프(1314),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에 연결되는 기어박스(1312), 기어박스(1312)에 연결된 롤러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펌프(1314)에 연결된 호스 등이 기관실(131)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공간(137)은 바닥(도 8의 1304)과 배수판(132)의 사이에 형성되며 좌측의 입구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격리된다.
배수판(132)은 네트형 벨트(126)에서 배설된 소변이나 세척용 물이 격리통 유닛(14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배수판(132)의 좌측에는 마치 댐과 같이 소변이나 물을 집수하는 집수벽(1322)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집수벽(1322)의 하단 중앙에는 배수관(135)이 설치된다.
집수벽(1322)은 하단 부분의 수직부와 수직부에서 상단까지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벽(1322)의 수직부는 소변이나 물을 배수관(135)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원활하게 배수관(135)쪽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직부를 세로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 보다는 좌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곡면의 정점에 배수관(13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벽(1322)의 수직부에 배수판(132)쪽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182)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살균램프(182)는 배수판(132) 상부의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광축이 배수판(132)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벽(1322)의 곡면부는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롤러(123)와 같은 곡률을 가지면서 종동롤러(123)에 감긴 네트형 벨트(126)와 매우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수벽(1322)의 곡면부가 종동롤러(123)의 일측을 감싸는 높이까지 집수벽(1322)을 형성하면, 격리통 유닛(140)으로 배설물이 투입되지 않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배수판(132)의 상부에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배설물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저수용량이 많아지면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집수벽(1322)의 상단에 종동롤러(123)를 위치시키면 배설면(컨베이어 유닛(120)의 상면)이 애완견이 올라가기 힘들 정도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집수벽(1322)에 곡면부를 형성하고 곡면부가 종동롤러(123)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종동롤러(123)를 설치하면, 종동롤러(123)가 집수벽(132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설면의 높이를 크게 낮추면서도 충분한 저수용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배수판(1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격벽(1302)과 전방의 측벽(1301)에는 각각 배수판(132)의 상부로 돌출된 컨베이어 거치대(136)가 각각 형성된다. 컨베이어 거치대(136)에는 컨베이어유닛(120)의 가로방향 지지프레임(124)이 놓여진다.
컨베이어 거치대(136)의 하부에 배설물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집수벽(1322)의 하단에 각 컨베이어 거치대(136)의 하부공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19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302)에는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 구비된 호스연결구(1242)가 거치되는 거치홈(130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유닛(130)에서 집수벽(1322)의 좌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투입구(1331)가 형성된다. 투입구(1331)는 네트형 벨트(126)에 놓여진 배설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며, 그 하부에 격리통 유닛(140)의 투입구(141)가 위치하게 된다.
투입구(1331)는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틀(133)과 우측에 위치하는 집수벽(1322)에 의해 둘러싸이며, 투입구(1331)의 후방측과 전방측에 배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파티션(1332)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투입구(1331)의 주변에는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배설물이 격리통 유닛(140)으로 원활히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깔때기(134)가 장착될 수 있다. 깔때기(134)는 종동롤러(123)와 같은 곡률을 가지면서 종동롤러(123)에 감긴 네트형 벨트(126)에 표면에 근접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하부유닛(130)에서 수납공간(137)의 입구 양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유닛(110)의 격리통 잠금부재(117)가 결합되는 결합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부유닛(130)의 입구 양측에는 결합홈(138)을 대신하여 결합돌부를 형성하고, 격리통 잠금부재(117)에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컨베이어유닛(120)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의 상부에 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배수판(132) 양측의 격벽(1302)와 전방 측벽(1301)에 형성된 컨베이어거치대(136)에 놓여진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유닛(120)은 한 쌍의 가로변과 하나의 세로변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124)과, 지지프레임(124)의 세로변의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프레임(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롤러(121)와, 구동롤러(121)와 지지프레임(124)의 세로변 사이에 위치하며 지지프레임(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세척롤러(122)와, 양단이 지지프레임(124)의 가로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롤러(123)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1)와 종동롤러(123)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네트형 벨트(126)가 감기고, 세척롤러(122)는 구동롤러(12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롤러(121)의 바깥쪽에서 네트형 벨트(126)의 표면을 브러쉬로 세척한다.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는 하중지지대(125)가 거치되며, 하중지지대(125)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세로살대(1252)와 세로살대(1252)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살대(125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세로살대(1252)에 다수의 노즐(1256)을 형성하여 하중지지대(125)와 그 상부에서 이동하는 네트형 벨트(126)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세로살대(1252)는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이며, 세로살대(1252)에는 기관실(131)의 펌프(1314)로부터 공급된 물을 공급하는 호스(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세로살대(1252)에서 가로살대(1254)와 교차하는 부분마다 노즐(1256)을 형성한다. 각 노즐(1256)은 하중지지대(125) 상부의 네트형 벨트(126)가 이동하는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되, 수평방향이 아니라 가로살대(1254)의 하부를 향해 약간 위쪽으로 분사한다.
특히 각 노즐(1256)을 가로살대(1254)의 중심축의 직하부에 위치시키고 가로살대(1254)의 외주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물을 분사하면 물의 표면장력과 부착력으로 인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된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되므로 가로살대(1254)의 둘레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각 노즐(1256)의 분사방향과 가로살대(1254) 방향의 사이각이 크면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촘촘한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고, 사이각이 작으면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넓은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각 노즐(1256)이 과도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면 이와 같은 회전 유동이 불가능하므로 펌프의 분사압력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노즐(1256)의 위치, 분사방향 등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하중 지지대(125)의 제일 좌측에 위치하는 세로살대(1252)는 종동롤러(123)와 가까우므로 여기에 형성된 노즐(1256)을 이용하여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에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면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배설물이 잘 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종동롤러(123)와 집수벽(1322)의 곡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물이 네트형 벨트(126)의 홀을 통해 올라가 배설면을 세척하고, 일부의 물은 깔때기(134)를 타고 투입구(141)로 흘러내리면서 깔때기(134)를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격리통 커버(113)가 닫히면서 깔때기(134)와 접촉하더라도 격리통 커버(113)에 배설물이 묻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은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과는 용도와 동작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펌프에 연결하거나 별도의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물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로살대(1252) 자체를 물 공급통로로 활용하였으나, 세로살대(1252)를 대신하여 별도의 물공급 파이프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물공급 파이프에 가로살대(1254)를 향해 전술한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별도의 물공급 파이프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는 하중지지대(125)의 다수의 세로살대(1252)가 각각 삽입되는 지지대거치홈(12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축이 통과하는 축삽입홈(12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4)의 일측에는 기관실(131)의 펌프(1314)와 호스로 연결되는 다수의 호스연결구(12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호스연결구(12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24)의 내측에 연결된 연결구를 통해 세로살대(1252)로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호스연결구(12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 구비된 소변가이드유닛 연결구(1248)를 통해 소변가이드유닛(150)의 물공급관(159)으로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격리통 유닛(140)은 도 1,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과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147)을 구비하며, 위쪽으로 개구되어 배설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1)가 형성된다.
투입구(141)는 좌측단의 외측벽(145)과 외측벽(145)의 우측에 위치하며 저장공간(147)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내측벽(146)의 사이에 형성된다.
외측벽(145)의 바깥측에는 손잡이(143)가 형성되고, 내측벽(146)에는 유입관(142)이 형성된다.
유입관(142)은 격리통 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였을 때 하부유닛(130)의 집수벽(1322)에 설치된 배수관(135)과 결합되어 집수벽(1322)에 가두어진 소변이나 물을 유입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하부유닛(130)의 배수관(135)은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내부유로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밸브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유입관(142)의 내부에는 배수관(135)의 밸브를 밀어내는 콕이 설치된다.
따라서 격리통 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완전히 삽입하면, 하부유닛(130)의 배수관(135)이 유입관(142)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유입관(142) 내부의 콕에 의해 배수관(135) 내부의 밸브가 열리면서 유로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유로를 통해 집수벽(1322)에 모여진 배설물과 물이 격리통 유닛(140)으로 유입된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은 수캐가 다리를 들고 소변을 누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네트형 벨트(126)의 후방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네트형 벨트(126)에 대해 상당한 높이로 돌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하단부는 상부유닛(110)의 에지커버(114)에 거치되고 후면은 기관실커버(111)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배뇨판(151)과, 배뇨판(151)의 가로방향의 양 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소변이 바깥으로 튀는 것을 막아주는 차수판(15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배뇨판(151)에 소변을 누면 배뇨판(151)을 세척할 필요가 있으므로 배뇨판(151)을 세척하는 수단도 구비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배뇨판(151)의 주변에 노즐을 설치하고 애완견이 소변을 누면 노즐에서 배뇨판(151)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직접 분사방식은 배뇨판(151) 전면에 걸쳐 고르게 흘러 내리도록 물을 분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분사압력으로 인해 물이 튈 염려가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 집수부(153)를 형성하고 집수부(153)로 공급된 물을 배뇨판(151)의 정면 상단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시켜 배뇨판(151)을 세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뇨판(151) 상단의 배출구(152)를 통해 물을 배출하면 물이 부착력에 의해 배뇨판(151)의 전면에 고르게 퍼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리게 되므로 물이 튈 염려가 없고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18(a)는 소변가이드 유닛(150) 중앙의 세로방향 절단면에서 좌측으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8(b)는 우측으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는 정면의 배뇨판(151)과 후방플레이트(1512)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의 수평격벽에 의해 하부공간과 구획되는 집수부(153)가 형성된다. 후방플레이트(1512)에는 기관실 커버(111)의 상면에 거치되는 걸림턱(15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는 물공급관(159)이 설치되며, 물공급관(159)의 하단은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 구비된 연결구(1248)에 결합된다. 물공급관(159)의 상단은 집수부(153)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물공급관(159)을 통해 집수부(153)로 공급된 물은 배출구(152)를 통해 배뇨판(151)의 정면으로 배출되어 배뇨판(151)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부(153)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되어야만 배출구(152)로 물이 배출되도록 소변가이드 유닛(150)에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집수부(153)의 일측에 상승유로(154)를 형성하고, 상승유로(154)의 상단과 배출구(152)를 하강유로(155)로 연결한다. 이때 상승유로(154)의 상단은 배출구(152)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하며, 집수부(153)에 대기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집수부(153)의 천정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홀(158)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물이 채워지기 전에는 배출구(152)로 물이 배출되지 않지만, 그 이상으로 물이 채워져 하강유로(155)를 통해 물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사이펀(Siphon)의 원리 때문에 상승유로(154)의 하단입구가 드러날 때까지 집수부(153)의 물이 계속 배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면 배출구(152)를 개폐시키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어장치는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채워질 정도의 물을 집수부(153)에 정량 공급하면 된다.
배출구(152), 상승유로(154), 하강유로(155) 등의 형상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집수부(153)의 물이 계속 배출되더라도 상승유로(154)의 하단 입구가 드러나면 더 이상 배출되지 않으므로 집수부(153)의 바닥에는 항상 소량의 물이 남아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세우면, 아래쪽으로 모인 물이 배출구(152)를 통해 흘러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8(b)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유로의 일측에 차수벽(15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상승유로(154)의 우측단에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차수벽(157)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차수벽(157)은 하강유로(15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승유로(154) 또는 하강유로(155)의 우측단에 차수벽(157)을 형성하면, 도 10과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이 세워져 집수부(153) 내부의 물이 아래쪽으로 모이더라도 차수벽(157)에 막혀 배출구(152)로 새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하부유닛(130)의 컨베이어거치대(136)에 컨베이어유닛(120)을 올려 놓고 그 상부에 상부유닛(110)을 결합하고, 상부유닛(110)에 구비된 후크(119)를 하부유닛(130)의 후크걸림턱(139)에 걸어서 고정한다.
이어서 격리통 유닛(140)을 상부유닛(110)의 좌측 입구(12)를 통해 삽입하여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으로 밀어 넣고, 상부유닛(110)의 입구(12) 양측에 구비된 격리통 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여 격리통 유닛(140)의 외측벽(145)의 양측을 지지한다.
이 과정에서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배수관(135)이 격리통 유닛(140)의 유입관(142)에 삽입되면서 배수판(132) 상부와 격리통 유닛(140)의 저장공간(147) 사이에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애완견이 네트형 벨트(126)에 올라가면 제어장치(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음)는 감지센서(116)를 통해 애완견을 감지하여 카운팅을 시작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고 감지센서(116)를 통해 더 이상 애완견이 감지되지 않으면 애완견이 배설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
배설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장치는 커버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격리통 커버(113)를 회전시켜 투입구(141)를 노출시킨다.
이어서 롤러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를 회전시키며, 구동롤러(121)가 회전함에 따라 하중지지대(125) 상부에서 네트형 벨트(126)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네트형 벨트(126)에 놓인 배설물은 투입구(141)로 투입된다. 이때 투입구(141) 주변에 설치된 깔때기(134)의 블레이드가 네트형 벨트(126)로부터 배설잔여물까지 깨끗하게 분리한다.
한편,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가 회전하면, 제어장치는 펌프를 제어하여 세척실의 노즐(192)를 통해 세척롤러(122)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하중지지대(125)의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해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한다.
그리고 네트형 벨트(126)가 반바퀴 회전하여 배수판(132)의 상부에 도달하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한 물 분사를 중단하고,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해 물을 잠시 동안 분사한다. 이때에도 세척실의 노즐(192)은 계속 물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네트형 벨트(126)가 완전히 한바퀴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면, 세척실의 노즐(192)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한다. 노즐(192)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하더라도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를 계속 회전시켜서 세척롤러(122)의 브러시로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잔여 세척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벽(1322)의 양측에 설치된 노즐(190)은 컨베이어 거치대(136)의 하부를 세척한다. 이 노즐(190)의 분사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롤러(121)가 동작하는 초기에 분사할 수도 있고, 네트형 벨트(126)가 반바퀴 회전한 후에 분사할 수도 있고, 네트형 벨트(126)가 한 바퀴 회전한 후 세척롤러(122)가 노즐(192)의 물 분사 없이 동작하여 네트형 벨트(126)의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이후에 분사할 수도 있다.
한편 격리통 커버(113)는 배설물이 투입구(141)로 낙하한 후에도 네트형 벨트(126)가 대략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형 벨트(126)가 반 바퀴 회전하면, 하중지지대의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에서는 물 분사가 중단되지만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서 하중지지대(125) 세척을 위한 물 분사가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네트형 벨트(126)의 홀에 응집된 물이 깔때기(134)의 블레이드에 의해 투입구(141)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세척 과정에서 분사된 물 등은 배수판(132)을 따라 흘러내려 집수벽(1322)의 일측에 모인 후에 배수관(135)을 통해 격리통 유닛(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제어장치는 이러한 세척 과정을 마친 이후에, 세척실커버(112)의 바깥측에 장착된 팬(170)을 동작시켜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내부를 강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격리통 커버(113)에 설치된 살균램프(180)를 계속 또는 주기적으로 점등하여 격리통 유닛(140)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수벽(1322)에 설치된 살균램프(182)를 점등하여 배수판(132)의 상면과 주변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배뇨판(151)에 소변을 눈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는 펌프(1314)를 제어하여 물공급관(159)을 통해 집수부(153)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며,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물이 채워지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대부분의 물이 배출구(152)을 통해 배출되어 배뇨판(151)을 세척하게 된다.
배뇨판(151)을 세척한 물은 네트형 벨트(126)을 통과하여 배수판(132)으로 유입된 후 배수관(135)을 통해 격리통 유닛(140)으로 유입된다.
제어장치가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배뇨판(151)에 소변을 눈 것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배뇨판(151), 차수판(156) 또는 주변에 소변감지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0: 애완견용 화장실
110: 상부유닛
10: 관통부 12: 입구
1102: 받침부 1104: 바퀴홈
111: 기관실 커버 1112: 관통홀
112: 세척실커버 1122: 세척가이드
113: 격리통 커버 1132: 커버회전축
114: 에지커버 1142: 삽입홀
115: 보호커버 116: 감지센서
117: 격리통 잠금부재 1172: 결합돌부
1174: 측면커버 결합부 118: 측면커버
1181: 절개부 1182: 그립부
119: 후크
120: 컨베이어유닛
121: 구동롤러 122: 세척롤러
123: 종동롤러 124: 지지프레임
1242: 지지대거치홈 1244: 축삽입홈
1246: 호스연결구 1248: 소변가이드유닛 연결구
125: 하중지지대 1252: 세로살대
1254: 가로살대 1256; 노즐
126: 네트형 벨트
130: 하부유닛
1301: 측벽 1302: 격벽
1304: 바닥 1306: 거치홈
131: 기관실 1312: 기어박스
1314: 펌프 132: 배수판
1322: 집수벽 133: 지지틀
1331: 투입구 1332: 파티션
134: 깔때기 135: 배수관
136: 컨베이어거치대 137: 수납공간
138: 결합홈 139: 후크걸림턱
1390: 바퀴
140: 격리통 유닛
141: 투입구 142: 유입관
143, 1431: 손잡이 145: 외측벽
146: 내측벽 147: 저장공간
150: 소변가이드 유닛
151: 배뇨판 1512: 후방플레이트
1514: 걸림턱 152: 배출구
153: 집수부 154: 상승유로
155: 하강유로 156: 차수판
157: 차수벽 158: 공기홀
159: 물공급관
160: 물통 162: 뚜껑
164: 밸브 170: 팬
172: 팬보호커버 180, 182: 살균램프
190, 192: 노즐

Claims (21)

  1.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상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벽의 일측에는 상기 종동롤러와 같은 곡률을 가지고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을 둘러싸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 유닛의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 커버와, 상기 격리통 커버의 하부에 설치된 살균램프와, 상기 격리통 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내벽에서 각각 상기 배수판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컨베이어 거치대와, 상기 집수벽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벽에는 상기 배수판과 평행한 방향의 광축으로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8. 삭제
  9.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상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의 상부에 거치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세로살대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각 세로살대에서 가로살대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로살대의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0.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상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결합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은, 상기 다수의 가로살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물공급파이프와, 상기 각 물공급파이프에서 가로살대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로살대의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은 가로살대의 하부에서 가로살대의 중심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살대의 외주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2.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상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결합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 중에서 상기 종동롤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파이프로 이루어진 세로살대에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3. 삭제
  14.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상부유닛;
    상기 상부유닛의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소변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를 향하는 쪽에 형성된 배뇨판과, 물을 공급받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배뇨판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상기 배뇨판의 양측단에는 각각 차수판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하단은 상기 집수부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단은 상기 배출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상승유로;
    상기 상승유로의 상단과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하강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로 또는 상기 하강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일 측단과 연결된 차수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186457A 2014-12-22 2014-12-22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67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57A KR101674270B1 (ko) 2014-12-22 2014-12-22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US15/538,758 US20180014509A1 (en) 2014-12-22 2015-12-09 Toilet for pet dogs
PCT/KR2015/013426 WO2016104996A1 (ko) 2014-12-22 2015-12-09 애완견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57A KR101674270B1 (ko) 2014-12-22 2014-12-22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54A KR20160076354A (ko) 2016-06-30
KR101674270B1 true KR101674270B1 (ko) 2016-11-08

Family

ID=5635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57A KR101674270B1 (ko) 2014-12-22 2014-12-22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367B1 (ko) 2017-03-22 2017-08-04 주식회사 데오큐브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KR101849043B1 (ko) * 2017-02-23 2018-04-16 장성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20240020112A (ko) 2022-08-05 2024-02-14 이기영 애완견용 개방 화장실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1732U1 (ru) * 2016-12-07 2017-06-13 Вале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тов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CN107549032A (zh) * 2017-09-11 2018-01-09 刘思嘉 一种清洁器及包含该清洁器的组合式宠物陪护产品
CN108782307A (zh) * 2018-08-15 2018-11-13 都步(上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马桶
KR200492146Y1 (ko) * 2018-10-04 2020-08-18 박병욱 반려동물용 배변판 세척장치
KR102523713B1 (ko) * 2020-12-08 2023-04-20 심민수 애견용 배변패드의 세탁처리가 가능한 위생배변처리기구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94138B1 (ko) * 2022-07-21 2023-01-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견용 배변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008B2 (ja) * 1991-02-22 2000-09-2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紙用サイジング剤及びこれを用いてサイジングした紙
JP2004242512A (ja) * 2003-02-10 2004-09-02 Idota Shoten:Kk 犬用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008A (ja) * 1989-09-04 1991-04-16 Fuji Electric Co Ltd 集合型モジュールユニット装置のエラー処理方式
KR20120013786A (ko) * 2010-08-06 2012-02-15 편무만 애완동물용 변기
KR101268177B1 (ko) * 2011-08-11 2013-05-27 곽진호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157038B1 (ko)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008B2 (ja) * 1991-02-22 2000-09-2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紙用サイジング剤及びこれを用いてサイジングした紙
JP2004242512A (ja) * 2003-02-10 2004-09-02 Idota Shoten:Kk 犬用トイ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43B1 (ko) * 2017-02-23 2018-04-16 장성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762367B1 (ko) 2017-03-22 2017-08-04 주식회사 데오큐브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WO2018174350A1 (ko) * 2017-03-22 2018-09-27 데오큐브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KR20240020112A (ko) 2022-08-05 2024-02-14 이기영 애완견용 개방 화장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54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US20180014509A1 (en) Toilet for pet dogs
US8776726B2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CN107949276B (zh)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240245B1 (ko)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20160081680A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90107487A (ko) 악취 저감형 돈사
KR101151948B1 (ko)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20130140414A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20200144270A (ko) 반려동물 하우스
KR101304533B1 (ko) 애견 휴식장치
JP6355679B2 (ja) ペット用水洗トイレ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KR102206569B1 (ko) 애완동물 배변판
KR20050103112A (ko)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과 배설물 수집 장치
KR101176412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