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4996A1 - 애완견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996A1
WO2016104996A1 PCT/KR2015/013426 KR2015013426W WO2016104996A1 WO 2016104996 A1 WO2016104996 A1 WO 2016104996A1 KR 2015013426 W KR2015013426 W KR 2015013426W WO 2016104996 A1 WO2016104996 A1 WO 20161049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toilet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4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곽진호
Original Assignee
곽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864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7427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3924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12260B1/ko
Application filed by 곽진호 filed Critical 곽진호
Priority to US15/538,75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014509A1/en
Publication of WO20161049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9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dog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g toilet that can effectively clean and wash the feces of dogs, and can effectively prevent bacterial breeding and odor generation through drying and sterilization.
  • the most commonly used items are urine absorbing disposable pads, which can be deployed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room and replaced with a new pad when the dog is excreted on it. There is this.
  • disposable bowel pads have a disadvantage that if the user does not remove quickly after excretion, the smell spreads, as well as the stool on the feet of the dog was polluted to contaminate the room. In addition, even if the urine is used repeatedly, urine that has not been absorbed may accumulate or flow out of the top of the pad, causing indoor contamination. In addition, the use of disposable bowel pads has a problem against the recent social trend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to prevent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 the simplest type of pet dog toilet is a combination of excretory plates with multiple through-holes at the top of a box-type toilet bowl.When a dog excretes, urine flows down the toilet bowl through the perforated hole in the excretory plate and the stool is in the upper part of the excretory plate. Will be put on.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57038
  •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68177
  • Pet toilet according to Patent Literature 1 includes a conveyor type bowel movement belt and water spray nozzles provided at one side and a lower side of the conveyor type bowel movement belt, and the water spray nozzle is linked with a boarding detection sensor and a bowel movement detection sensor. It has the function to auto wash.
  •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ash the feces one by one, but because there is no through hole in the bowel movement belt, the urine is easily attached to the dog's feet, and the water spray nozzle alone makes it difficult to clean the bowel belt clean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xcessive water consumption.
  •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installation place is complicated, since the pipe connection and the drainage port must be connecte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installation place once installed.
  • Pet dog toilet according to Patent Literature 2 includes a net-type conveyor having a through hole, and a washing roll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yor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friction washing and water washing in contact with the conveyor surface.
  • a water supply reservoir for storing water
  • a waste containment vessel for storing feces.
  • Patent Document 2 since the urine of the dog flows down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net convey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rine on the feet of the dog.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water pipe or a drainage port separately,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installation work, and it is convenient to change the installation place because it is easy to transport and move.
  • Patent Literatures 1 and 2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abit of the male dog peeing with one leg, so it is difficult to prevent urine from flowing out when the dog is urinating with one leg.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the background, the purpose of not only to automatically clean the dog toilet more clean, but also to effectively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and odor.
  • the net conveyor can be cleaned more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and the purpose of the cleaning water can be collected more clean and effective.
  •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each unit is more firmly assembled when installing the dog toilet.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to move the dog toilet.
  • the purpose is to facilitate the disassembly and tension control of the net type conveyor. It also aims to make it safer to process waste filled in manure containment bins.
  • a lower unit opening to one side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drain plate;
  • An isolation container uni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n input opening and a storage space opened upwar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plate of the lower unit, the net-type belt on which the pet dog rides, the drive roller and driven roller to which the net-type belt is wound,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 roller to wash the net-type belt
  • the upper unit may include a canist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anister and a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at the canister cover.
  • the lower unit includes a catchment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in plate, and the catchment wall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driven roller to surround one side of the driven roller. It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 the lower unit, the conveyor cradle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plate in each of the inner wall facing the drain plate between, and sprays water to the bottom of the conveyor cradle may include a nozzle to.
  • the lower unit includes a collecting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in plate, and the collecting wall may be provided with a sterilizing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plate.
  • the conveyor unit may include a load support for supporting the net belt, and a load support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load support.
  • the conveyor unit a load support for supporting the net belt
  • the nozzle is installed on the load support for spraying water between the driven roller and the net belt It may include.
  • a urine guide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through part of the upper unit.
  • the urine guide unit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herein, one side of the urine plate is formed on the side toward the net-shaped belt, both sides of the urinary plate in front of the urine plate
  • the discharge plate may b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water of the collecting part is discharged.
  • the inside of the urine guide unit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is a rising passage located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discharge port, the lower flow path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rising passage and the outlet is formed, the collecting portion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urination plate by the principle of siphon.
  • the lower unit having an opening spaced to one side and form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drain plate;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the isolation cylinder unit having a top opening and a storage space;
  • a conveyor uni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 plate of the lower unit, the conveyor unit having a net belt on which a pet dog is boarded; I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unit so that the net belt is exposed,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isolation cylinder unit enters, and on both sides of the inlet, a pair of isolation cylinder locking members rotate about a vertical axis, respectively.
  • a toilet for dogs including the upper unit possibly installed.
  • the pair of isolation bucket locking members may include coupling mea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vertical axis and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lower unit.
  • one pair of side cove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isolation bucket locking members, and each side cover includes a cutout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and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 the outer side of the cover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utout and the inner side may include a grip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inserting the handle of the separator unit.
  •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inner surface located opposite to the vertical axis in the pair of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is the isolation container
  • the lock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lower unit may be fitt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unit and the outer wall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 the pair of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includes a stopp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vertical axis, respectively, the stopper is the lower portion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When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un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end of the bottom of the lower unit.
  • a lower unit inle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isolation barrel unit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unit, the lower unit inlet is opposed to the lower unit,
  • a pair of partit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wall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upport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s on one side of the lower unit, and a collecting wall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drain plate; Can be surrounded by.
  • the lower unit includes a funnel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unit inlet, the funnel, the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unit inlet and the penetrating portion Including a border, the upper surface of the border is lowered toward the through portion, the first vertical border in the border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collecting wall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drain plate, the second vertical border is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 the catchment wall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roller around which the net belt is wound, and includes a curved portion surrounding one side of the roller, and the outer side of the first longitudinal edge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ed portion.
  • the roller facing surface surrounding the one side of the roller in close proximity from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a sharp bla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oller facing surface.
  • the toilet for dogs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unit may include a coupl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isolation unit is detachable.
  •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 the upper unit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of the same height as the plurality of wheels.
  • the toilet for dogs when the separa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unit further comprises an isolation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inlet o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the isolation cover, the inlet A cover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cover portion to the isolation cylinder unit, an outlet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and a stopper mounted to the outlet.
  • the conveyor unit,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the net belt is wound;
  • a support frame including a vertical fram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and a horizontal frame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earing housing insertion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 a bearing housing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nd coupled to the roller shaft of the driven roller;
  • a shaft insertion hol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fram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a roller shaft of the driven roller;
  • a tension adjusting bar install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and the fixing member, the tension adjusting bar including a locking member selectively protruding to a bottom surface;
  • a catch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as a part into which the catching member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is inserted; It may include an elastic means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tension control bar and the fixing member.
  • the tension adjustment bar the body having a through portion, the spring engaging jaw is formed in the through portion;
  • a first spring mounted on the spring catching jaw;
  • a locking member having a hea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pring and penetrating the first spring;
  • a second spring installed above the head of the locking member;
  • a button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 the first seating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and recessed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button down groove, the button down groove, the button down groove and the bottom of the button up groove, the top of the button down groove and the button down groove
  • a second seating surface formed concave downward from an upper end connection portion, a first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seating surfac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 a guide groove including a second guide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 the inside of the pet dog toilet can be dried more quickly through the fan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growth of bacteria and odor caused by moisture.
  • the lower part of the conveyor stand of the lower unit can be cleaned more cleanly by using a separate nozzle.
  • the load support for supporting the net belt can be cleaned more cleanly than by using a separate washing means, through which can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or odor.
  • the urine guide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net belt in consideration of the habit of the male cock, so that one person can lift the urine while installing a separate washing mean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 by washing the urination plate with water. hav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a pet do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 Figure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urine guide unit
  • 11 is a view showing in sequence the method of using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for dogs
  •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unnel is separated from the lower unit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15.
  • 17 is a view showing a view from the left side of the lower unit
  • 19 is a view showing the inner wall o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unnel;
  • 21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lower unit and a conveyor unit
  •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 support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of the conveyor unit
  • 24 is a view showing a nozzle provided in the load support
  • 25 is a view showi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to wash the load support
  • 26 is a view showing the nozzle of the load support spraying water between the driven roller and the net type conveyor
  •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roller
  • Figure 2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riven roller and the horizontal frame
  • FIG. 3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n roller is pressed toward the driving roller
  • Fig. 31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bearing housing of the driven roller
  • FIG. 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contro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of the tension contro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5 and 3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button of the tension contro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ure 3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control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port and the inlet port
  • 4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is mounted on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 4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 4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der wall is formed inside the urine guide unit
  • the pet dog toilet 100 A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s 2 and 3,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the pet dog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unit 110, lower unit 130, pet dog It is provided with a net belt 126 to the up and excreted, the conveyor unit 120,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unit 110 and the lower unit 130, separated from the lower unit 130 as the excrement is stored separately.
  •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which is possibly mounted, includes a urine guide unit 150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unit 110, and the like.
  • a direction in which the net belt 126 moves is defined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 the upper unit 110 surrounds the outer portion of the lower unit 130 while supporting the conveyor unit 120, and has a frame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through part 10.
  • the upper unit 110 includes an engine room cover 111 on the rear sid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0 formed up and down, an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 Each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and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13 is provided.
  • the engine room cover 111 is a portion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engine room (131 of FIG. 1) formed in the lower unit 130, and includes a through hole 1112 exposing an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60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131. can do.
  • the cleaning chamber cover 112 covers a space where the cleaning of the net belt 126 is performed by the cleaning roller 122.
  •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from the upper right to the lower left as shown in detail in the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and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has an upper axis of the drive roller 121 of the conveyor unit 120. Located close to Since the net roller 126 is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 121,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net belt 126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net belt 126. .
  •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may be formed as a flat inclined surface or may include both inclined surfaces and curved surfaces.
  • the nozzle 19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leaning chamber cover 112, and the nozzle 192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leaning roller 122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 the direction of the injection hole is preferably formed to face the portion where the brush of the cleaning roller 122 and the net belt 126 is in contact.
  •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may be formed in a row in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nozzle 192 in a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rows.
  • each row may be used differently.
  • the injection hole of the first row is used to clean the net belt 126 together with the cleaning roller 122 by directing the brush roller and the net belt 126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roller 122.
  • the second row of injection holes may be used for washing the load support 125 supporting the net belt 126.
  •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les of the second row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chamber cover 112 of the upper drive roller 121 is formed to guid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dog toilet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forcibly drying the interior to prevent the breeding of bacteria after water washing.
  • one or more fans 170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and a fan protective cover 17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an 170.
  • the fan 17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 the interior space of the pet dog toilet 100 which is damp due to water washing, can be quickly dried,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breeding and odor occurrence. can do.
  • the air supplied from the fan 170 descends along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cover 112 and passes through the brush of the washing roller 122, the air is forced to move downward. Can be.
  • a por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ashing roller 122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drain plate 132 of the lower unit 130 to dry the drain plate 132, while the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net belt 126 as The net belt 126 is dried.
  • the isolation cylinder cover 113 provided in the upper unit 11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as shown in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Since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located below the lower unit injection hole (1308 of FIG. 15) of the lower unit 130 as described below, the isolation cylinder cover 113 is the lower unit injection hole 1308. It also serves to open and close.
  • a cover rotation shaft 1132 in a vertic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isolation cover 113, and one end of the cover rotation shaft 1132 is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131 of FIG. 1) provided in the lower unit 130. (Not shown).
  •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of the pet dog toilet 100 can interlock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80 and the rotation drive means of the isolation cover 113. That is, the sterilization lamp 180 is turned off when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13 is opened, and the sterilization lamp 180 is turned on only when the sterilization lamp 180 is turned off.
  • the cover rotating shaft 11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15.
  • a protective sensor 11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15 that faces the net-shaped belt 126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dog is boarded.
  • the type of the sensor 11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proximity sensor using an inductive magnetic force,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senor 116 is not necessarily to be installed on the protective cover 115, and may be installed on other parts of the upper unit 110 or the urine guide unit 150, or the like.
  • the upper unit 110 includes an inlet 12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at a lower portion of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13.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let 12 may be provided with an isolation barrel locking member 117 that rotates about the vertical axis (1171).
  • the vertical axis 1171 may be a separate shaft, or may be a vertical connection part thinly formed to bend as a portion connecting the side wall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and the upper unit 110.
  • Coupling protrusions 117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vertical axis 1171 in each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s 117,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172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opposite inner walls of the storage space 137 of the lower unit 130. It is inserted into the formed coupling groove (138 of FIGS. 8 and 10) serves to lock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so as not to fall out.
  •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s rotated to insert the coupling protrusion 1172 into the coupling groove 138 of the lower unit 130.
  • the locking member 117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so as not to be pulled out.
  • the coupling means of the isolation pail locking member 117 and the lower unit 130 is not limited thereto, so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isolation pail locking member 117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unit 130. Coupl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176 may be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172 is formed.
  •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176 moves the coupling protrusion 1172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nto the lower unit 130 while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unit 130.
  •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8 of the
  • it is inserted in the gap between the side wall 148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and the side wall 1301 of the lower unit 130, so that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s not easily removed. It plays a role of preventing.
  • first stopper 1178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vertical shaft 1171 on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and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1172 is formed.
  • the second stopper 1179 may protrude adjacent to the vertical axis 117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178 and 1179 may be configured to counteract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n a state where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38 of the lower unit 130. Play a role.
  • the first stopper 1178 has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unit 130.
  •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1304 is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 the second stopper 1179 has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1332 provided in the lower unit 130 to counter the external force. Play a role.
  • the side cover 118 may be coupled to opposite sides of the inner surface on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1172 is formed in each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s 117.
  • each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s formed with a groove-shaped side cover coupling portion 1174, and one end of each side cover 118 is formed with a locking member coupling portion 1184 as shown in FIG. .
  • the side cover coupling portion 1174 has a groove shape and the locking member coupling portion 1184 is a protrusion shape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side cover coupling portion 1174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 Each side cover 118 may include a means that serves as a handle when carrying the pet dog toilet (100).
  • each side cover 118 has a cutout portion 1181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and protrudes outwardly of the cutout portion 1181 from the outside of the side cover 118 and the receiving groove 1118a is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 the grip portion 1182 may be formed.
  • cover connection parts 1186 and 1188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side cover 118 so that the two side covers 11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the cover connectors 1186 and 1188 may be grooves and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the side cover 118 is coupled to each of the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s 117, and each side cover 118 is rotated toward each other
  • the handle 143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passes through the cutout 1181 of each side cover 118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82a of the grip 1118.
  • FIG. 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43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82a of the grip 1118.
  • the upper unit 110 has a pair of edge covers 114 protruding toward the penetrating portion 10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transvers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penetrating portion 10 interposed therebetween. It includes.
  • the edge cover 114 covers the edge of the net belt 126 of the conveyor unit 12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prevent the dog's foot from being caught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side, and prevents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to the side. Do it.
  • the lower end of the urine guide unit 150 may be placed on the edge cover 114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pair of edge covers 114, in which case the water of the urine guide unit 150 in the edge cover 114
  • An insertion hole 1142 through which the supply pipe 159 passes may be formed.
  • the hook 119 may be formed on the hook engaging jaw (139 of FIG. 14) provided in the lower unit 130 on the outer side of the horizontal side of the upper unit 110. Since the hook 119 and the hooking jaw 139 are merely examples of the means for coupling the upper unit 110 and the lower unit 130, they may be replaced by other kinds of coupling means.
  • the hook 119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upper unit 110, the hook 119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 a wheel groove 1104 into which the wheel (1390 of FIG. 14) provided in the lower unit 13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2 from the upper unit 110.
  • the support unit 110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unit 110 opposite the inlet 12.
  • the support portion 1102 serves to support the slippery by the wheel 1390 when the pet dog toilet 100 is erected as shown in FIG. 13, and therefore preferably protrudes at the same height as the wheel 1390.
  • the lower unit 130 includes a side wall 1301 surrounding the outer side and a horizontal partition wall 1302 partitioning a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1301.
  • the rear space of the partition wall 130 is provided to the engine room 131, the front space is provided as a storage space (137 of Figs. 1 and 4) for inserting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the storage space 137 is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entrance on the left.
  • the engine room 131 is connected to a bucket 160 for storing water, a pump 1314 for supplying water, a gear box 1312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washing roller 122, and a gear box 1312.
  • Roller driving means (not shown) are provided.
  •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t dog toilet 100, a hose connected to the pump 1314,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131.
  • the storage space 137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1304 of FIGS. 8 and 16) and the drain plate 132 and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except the inlet on the left side.
  • the drain plate 132 serves to guide the urine or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net belt 126 to flow into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and has a slope that decreases in height toward the left side.
  • a collecting wall 1322 for collecting urine or water, like a dam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ain port 135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wall 1322. Drainage port 135 serves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nd excrement to the inlet port 142 o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a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 the collecting wall 1322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formed from the vertical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llecting wall 1322 serves to guide urine or water toward the drainage port 135.
  • a sterilization lamp 182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drain plate 132 is provided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llecting wall 1322.
  • the sterilization lamp 182 serves to prevent bacterial propagation and odor generation by sterilizing the space above the drain plate 132, and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optical axis is parallel to the drain plate 132.
  • the curved portion of the collecting wall 1322 is preferably formed to be very close to the net belt 126 wound on the driven roller 123 while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driven roller 123. .
  • the drain plate 132 is inevitable even when the excrement cannot be injected into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 the storage capacity is increased in this way, it can be a great help whe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pet dog toilet 100 is inclined.
  • the excretion surface top surface of the conveyor unit 120
  • the excretion surface may be high enough to raise the dog. Therefor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on the collecting wall 1322 and the driven roller 123 is installed so that the curved portion surrounds one side of the driven roller 123, the driven roller 123 is the collecting wall 1322.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ropping the height of the excrete surface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a sufficient low capacity.
  • the barrier rib 1302 and the front side wall 1301 facing each other with the drain plate 132 interposed therebetween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conveyor supporters 136 protruding upward from the drain plate 132.
  •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124 of the conveyor unit 120 is placed on the conveyor cradle 136.
  • the partition 1302 may have a mounting groove 1306 in which the hose connector 1245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24 of the conveyor unit 120 is mounted.
  • the lower unit 130 has a lower unit inlet 1308 that is opened up and down on the left side of the collecting wall 1322.
  • the lower unit inlet 1308 is a portion into which the excrement placed in the net belt 126 is inserted, and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located below.
  • the lower unit inlet 1308 is surrounded by the support frame 133 and the collecting wall 1322, and the support frame 133 is a pair of partitions 1332 disposed in both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inlet 1308. And a support part 1331 dispos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lower unit inlet 1308 and both ends coupled to an inner wall of each partition 1332.
  • the partition 1332 enters the inside of the upper unit 110 when the upper uni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unit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over 115 of the upper unit 110, the support portion 1331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over 115.
  • the protective cover 115 of the upper unit 110 has an inclination that increases toward the right side, and thus,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1332 preferably has an inclination that increases toward the right side.
  • a funnel coupling groove 1335 may b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partition 1332 as shown in FIGS. 15 and 16.
  • the support part 1331 is disposed between each end of the partition 1332, and preferably has an inclination lowering toward the lower unit inlet 1308 as shown in FIG.
  • a cover rotation shaft 11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1331 and the protective cover 115, and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1332 may be formed with a shaft groove 1313 in which the cover rotation shaft 1132 is mounted.
  • the funnel 134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 the funnel 134 includes a border surrounding the through part 1340 corresponding to the lower unit inlet 130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unnel 134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unit inlet 1308.
  • the photographic guide surface 1342 is formed.
  • the right longitudinal border of the funnel 134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catchment wall 1322 and the left longitudinal border abuts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1331 of the support frame 133. .
  • Partition joining portion 1349 protrudes on the outside of the two horizontal rims, therefore, when funnel 134 is pressed between partitions 1332, partition joining portion 1348 is partition 1332.
  • the funnel 134 is mounted between the partitions 133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unnel coupling groove 1335.
  • the specific shape and position of the partition coupling portion 1149 and the funnel coupling groove 1335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the bottom of the funnel 134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wall surrounding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This is because excrement or washing water introduced along the guide surface 1342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nel 134 may have a corresponding height. It must be formed.
  • the right vertical edge of the edge of the funnel 134 is a collecting wall contact surface 1344 in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collecting wall 1322, and a bottom of the collecting wall contact surface ( On the upper end of the roller facing surface 1343, projecting wall contact surface 1344 and the catching wall engaging groove 1345 formed between the roller facing surface 1343, and the roller facing surface 1343 protruded outward than 1344 It includes a sharply formed blade (1341).
  • the roller facing surface 1343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riven roller 123 and is close to the surface of the net belt 126 wound on the driven roller 123 at the top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collecting wall 1322.
  • the excrement moved along the net belt 126 is separated from the net belt 126 by a blade 13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facing surface (1343) isolating barrel unit 140 along the guide surface (1342) Is injected into the inlet 141.
  •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1348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surface 134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ight vertical edge of the funnel 134.
  • the upward inclined surface 1348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guide surface 1342 is pointed,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guide surface 1342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tube unit 140 due to the weak stress. have.
  • an inner wall coupling groove 1346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ight vertical edge of the funnel 134, and a protrusion 1347 is formed at the tip of the inner wall coupling groove 1346a.
  • the inner wall coupling groove 1346a is a portion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46 in FIGS. 8 and 19) formed at the right side of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and the protrusion 1347 is the inner wall 146 inserted therein. )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easily.
  • the interface between the protrusion 1347 and the inner wall coupling groove 1346a should be inclined enough to pull out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
  • FIG. 19 is a view showing that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coupled to the lower unit 130 in order, and when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unit 130, the inner wall 146 o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shown. )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funnel 134 and continues to move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shows th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46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coupling groove 1346a while pushing the protrusion 1347.
  • the top of the inner wall 146 has a slope that decreases toward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protrusion 1347 is formed at a heigh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wall 146,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46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coupling groove 1346a beyond the protrusion 1347.
  • the bottom of the remaining edge of the funnel 134 may form a coupling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 the outer wall coupling grooves 1346b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left vertical edge of the funnel 134, and the side wall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s of the two horizontal edges, respectively. 1346c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outer wall coupling groove 1346b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145 of FIG. 8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 the two sidewall coupling grooves 1346c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sidewalls 148 of FIG. 1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 FIG. 2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nel 134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unit 130,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48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41 is coupled to the side wall.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46c and has shown the engagement state.
  •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utward at an upper end of the sidewall 148, and the sidewall coupling groove 1346c also has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reducing friction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 a coupling detecting unit 1324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llection wall 1322 of the lower unit 130 to detect whether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attached or detached.
  • the bond detection means 1324 may be a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physical contact. That is, the inner wall 146 o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nserted into the lower unit 130 is turned on (ON) when the switch is pressed, and turned off when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moves backward while the pressed state is released. Can be configured.
  •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of the pet dog toilet 100 and the coupling detecting means 1324 are connected, the control device is fitted with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through the coupling detecting means 1324. Detect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t dog toilet 10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 control device operates the driving roller 121, the washing roller 122, the pump 1324, and the like only when the isolation unit 140 is mounted, and when the isolation unit 140 is separated, It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operation of.
  • control device is a sterilization lamp 18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13 in a state in which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mounted (ON), when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removed, the sterilization lamp ( 180 may be controlled to be OFF.
  • the kind of the coupling detecting means 132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fore, it may be a contact sensor or a non-contact sensor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when the inner wall 146 of the isolation unit 140 contacts or approaches.
  • the coupling detecting means 1324 does not necessarily detect only the inner wall 146 of the isolation unit 140, it may be different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 the coupling detecting means 1324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37 to detect the right end of the isolation unit 140 in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 the conveyor unit 120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 plate 132 of the lower unit 130. Specifically, the conveyor unit 120 is formed on partition walls 1302 and sidewalls 1301 on both sides of the drain plate 132. The support frame 124 described later is placed on the holder 136.
  • the conveyor unit 120 includes a support frame 124, a drive roller 121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24, and one side of the drive roller 121.
  • the washing roller 122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and the driven roller 123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roller 121.
  • the net roller 126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driven roller 123, and the washing roller 122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roller 121. Brush the surface of net belt 126 from the outside.
  • the load support 125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24, the load support 125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rods 1252 and longitudinal poles 1252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rossbars 1254.
  • a plurality of nozzles 1256 are formed in each longitudinal rod 1252 of the load support 125 to move the load support 125 and the net form thereon.
  • One feature is that the belt 126 can be cleaned.
  • each longitudinal rod 1252 has a pipe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ealed, and a hose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1314 of the engine room 131 to the longitudinal rod 1252 (not illustrated). Is connected.
  • a nozzle 1256 is formed for each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od 1252 that intersects the horizontal rod 1254.
  • Each nozzle 1256 sprays wat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t belt 126 on the load support 125 moves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but slightly upward toward the bottom of the crossbar 1254 rather tha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pray into.
  • each nozzle 1256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bar 1254 and the water is injected obliquely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bar 1254, as shown in Figure 25 due to the surface tension and adhesion of the water, the injection Since the water w flows while rotating along the surface of the crossbar 1254, the perimeter of the crossbar 1254 may be cleaned more cleanly.
  • each nozzle 1256 sprays water with excessive pressure, such a rotational flow is impossible, so that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pump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 the position, injection direction, etc. of the nozzle 1256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 specific application.
  • the nozzle 1256 provided in the outermost rod 1252 has a different use and operation time from the nozzles provided in the remaining rods 1252.
  • the nozzle 1256 is connected to a separate pump or by using a separate control valve.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supply.
  • the longitudinal rod 1252 itself was used as the water supply passage, but instead of the longitudinal rod 1252,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wa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rod 1254 wa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nozzle that sprays water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having a nozzle for injecting water between the driven roller 123 and the net belt 126.
  • the support frame 124 of the conveyor unit 120 may be formed with support holder grooves 1245 in which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ods 1252 of the load support 125 are inserted.
  • a shaft insertion hole 1244 through which the roller shaft of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cleaning roller 122 passes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hose connectors 1246 connected to the pump 1314 and the hose of the engine room 131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24. At least one of each of the hose connectors 1246 may be used to supply water to the longitudinal rod 1252 through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124. In addition, at least one of each hose connector 1246 may be us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159 of the urine guide unit 150 through the urine guide unit connector 1248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24. .
  • the support frame 124 of the conveyor unit 120 has one vertical frame 124b connecting one pair of horizontal frames 124a and one end of each horizontal frame 124a. It includes.
  •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washing roller 122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frame 124b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frame 124b, and the cleaning roller 122 between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vertical frame 124b. ) Is placed.
  • bearing housings rotatably supporting the roller shafts are coupled, and each bearing housing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4a so as not to move.
  • a plurality of shaft insertion holes 1244 through which the roller shafts of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cleaning roller 122 pass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 the driven roller 123 is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124a, and bearing housings 1232 for supporting the roller shaft rotatably at both ends of the driven roller 123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124a. Are movably coupled.
  • the tension of the net belt 126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driven roller 123 or the conveyor unit ( 120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 the horizontal frame 124a includes an inner first frame 124a-1 and an outer second frame 124a-2.
  • An internal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124a-1 and the second frame 124a-2.
  • the bearing housing 1232,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the spring 129, and the fixing member 1296 are sequentially install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24a.
  • the fixing member 1296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124a.
  • a bearing housing insertion hole 1241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4a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top as shown in FIG.
  • An elongated shaft insertion hole 1242 extend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24a is formed.
  • the springs 129 are respectively wound around a pair of spring shafts 1292, one end of each spring shaft 129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and the other end is fixed member 1296. Penetrating)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xing member 1296. At the other end of each spring shaft 1292, a head 1294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member 1296 is formed.
  • the tension adjustment bar 127 alternately repeats an opera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1274 protrudes or returns to the lower end every time the button 1276 provided on the upper side is pressed.
  • the first locking groove 1287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1274 of the tension control bar 127 is inserted are longitudinally dir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124a. Along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along.
  • the first locking groove 1287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may b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load support 125 of the conveyor unit 12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1274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s attach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1287, and the locking member 1274 is provided.
  • the driven roller 123 and the net type belt 126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is attached thereto.
  • two locking grooves 1287 and 1288 are formed, but a larger number of locking grooves may be formed if necessary.
  • the locking member 1274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s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and the bearing housing 1232 of the driven roller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housing insertion hole. Through 1242.
  • FIG. 2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n roller 123 is farthest from the driving roller 121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1274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grooves 1287 and 1288.
  • FIG. 31 illustrates a process of removing the bearing housing 1232 of the driven roller 123 from the horizontal frame 124a
  • FIG. 31 (a) shows that the bearing housing 1232 of the driven roller 123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housing.
  • the bearing housing 1232 does not block the upper surface portion 1249 of the horizontal frame 124a because it is not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hole 1241 and is biased to the left side.
  • the load support 125 is horizontally framed while the net belt 126 of the conveyor unit 120 is slightly raised. Can be pulled out of 124a.
  •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cking member 1274 such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lower toward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1287 also ha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locking member 1274.
  • the locking member 1274 is rai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groove 1287.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ension adjustment bar 127. Subsequently, the bearing member 1274 and the tensioning bar 127 continue to move toward the driving roller 121 while the locking member 1274 deviates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1287.
  • the locking member (1274) is a state that is being pushed downward by the second spring (1275 of FIG. 32) provided in the tension adjustment bar 127 as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ure 31 (c)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member 1274 reaches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the locking member 1274 protrudes downward to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 the bearing housing 1232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1274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s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groove 1288, the bearing housing 1232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bearing housing insertion hole 1241, and thus, FIG. 31 (d). As shown in FIG. 2, the bearing housing 1232 can be taken ou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4a through the bearing housing insertion hole 1241.
  • the button ( 1276) to release the pressure exerted downward against the locking member 1274, and then slightly push the driven roller 123 toward the driving roller 121 to pull the locking member 1274 out of the locking grooves 1287 and 1288.
  • the driven roller 123 is moved away from the driving roller 12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29.
  •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ncludes a body 1271 and a through part 1272 formed with a through part 1272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first spring 1273, a locking member (1274), a second spring (1275), buttons 1276 are sequentially inserted in the.
  • a horizontal insertion hole 1278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part 127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271, and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278.
  • the other side of the body 1271 is formed with a pair of insertion grooves 1279 to which one end of the aforementioned spring support shaft 1292 is inserted and coupled.
  • a spring catching jaw 1272a is formed inside the through part 1272 of the body 1271 so that the first spring 1273 does not fall downward.
  • the first spring 1273 is preferably a coil spring, and the locking member 1274 i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spring 1273.
  • a head 1274a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spring 127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1274. Accordingly, the first spring 1273 is positioned between the spring catching jaw 1272a of the through part 1272 and the head 1274a of the catching member 1274,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tching member 1274. Play a role.
  •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1274) is formed with a vertical surface (1274b) on one side toward the bearing housing (1232) and the bottom surface (1274c) has a slope that is lowered toward the opposite side It is preferable.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287 and 1288 may also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is formed in a vertical pla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cking member 1274 and the depth becomes shall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vertical plane increases.
  • the second spring 1275 is disposed above the head 1274a of the locking member 1274, but is preferably a coil spr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pring 1275 has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first spring 1273. This is because when the button 1276 is pressed, the locking member 1274 can be easily lowered.
  • a guide groove 128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1276, and an end portion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27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8, thereby providing a button ( 1276 is caught by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and does not fall upward.
  • FIG. 3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button 1276 of the tension control bar 127 is raised
  • FIG. 3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button 1276 of the tension control bar 127 is lowered. .
  • the figure shows that only on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installed on the tension control bar 127,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eccentricity, a plurality of button support shafts 1277 may be installed at angles to balance the force.
  •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76, the button 1276 alternates the rising and falling alternately. As shown in FIG. 34, a guide groove 128 having a unique shape is formed.
  • the guide groove 128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 lowering grooves 1283 and a plurality of button rising grooves 1284 alternately formed on the side of the button 1276.
  • the low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utton rising groove 1284 adjacent to one 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button rising groove 1284 adjacent to the other side, This connection is made continuously along the perimeter of the button 1276.
  •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on which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is recessed in a por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rising groove 1284 are connected.
  •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having a sharp shape protrudes toward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 the contact center line C1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and the tip portion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 the contact center line C1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is spaced one side (to the left in the figure) at the tip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 the contact center line C1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may move the center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when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It means the line that follows.
  •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fixed to the body 1271, when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res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As it descends,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plac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enters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 35 and 36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moves each time the button 1276 is pressed.
  •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herefore, after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enters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the button 1276 descends while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is inclined. The side faces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continuously, which causes the button 1276 to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continues to rise with respect to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is eventually placed in the upper second seating groove 1282 to maintain the lowered state of the button 127. .
  • the button 1276 when the button 1276 is lowered, the second support button 1277 is placed.
  • the seating surface 1282 is formed to be concave, and a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having a sharp shape protrudes towar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 the third guide protrusions 1282a and the fourth guide protrusions 128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in a sharp shape,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becomes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utton raising groove 1284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is first. 4 guide projections (1282b).
  •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are respectively formed to be convex upwar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so that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second upper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 the boundary of the guide surface 1286b become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utton raising groove 1284.
  • the contact center line C2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and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Contact center line C2 is spaced one side (to the left in the drawing) at the tip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3.
  • the contact center line C2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has the center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as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when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It means the line that follows.
  • the contact center line C3 of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tip portion of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 The contact center line C3 is spaced one side (to the left in the drawing) at the tip of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 the contact center line C3 of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has a button 1276 raised, that is, a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 the contact center line C4 of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and the tip portion of the fourth guide protrusion 1282b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 The contact center line C4 is spaced one side (to the left in the drawing) at the tip of the fourth guide protrusion 1282b.
  • the contact center line C4 of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has a button 1276 lowered, that is,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by lowering 1276,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is meant. do.
  •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center line C3 of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 the directions in which the fourth guide protrusions 1282b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center line C4 of the upper guide surface 1286b are the same. Therefore,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76, the button 1276 rotates in one direc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and the guide groove 128.
  • the lifting principle of the button 1276 having the guide groove 128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is lower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and the button support shaft When the center of the 1277 coincides with the third contact center line C3, the center 121277 may no longer descend.
  • the button 1276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276 in this state, the button 1276 is rais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273 and 1275 in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n this state, however, since the center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through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even if the button 1276 is raised, the button is plac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The support shaft 1277 is caught and no longer rises.
  •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plac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also stops at the contact center line C2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so that the button 1276 remains in the lowered state. As such, when the button 127 is lowered, the locking member 1274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plac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contacts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a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descends.
  • the button 1276 is lowered and the center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coincides with the fourth contact center line C4, the button 1276 may not be lowered any more.
  • the button 1276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276 in this state, the button 1276 is rais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273 and 1275 in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In this state, however, the center of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button ascending groove 1284 through the fourth guide protrusion 1282b, so that the button 1276 is raised and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the button ascending groove. Button 1276 continues to rise as it enters 1284 completely.
  • the rising button 1276 stops when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reaches the first contact center line C1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and stops,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 stops. 1274 is a state return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1271).
  • FIG. 3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28 formed in the button 1276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 Therefore, hereinafter, the guide groove 128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8.
  • the guide groove 128 of the tension adjusting bar 127a includes on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one button rising groove 1284.
  • the upp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upper end of the button rising groove 128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w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rising groove 128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uide groove 128 is It has a closed loop shape as a whole.
  •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on which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is recessed in a por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rising groove 1284 are connected.
  •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having a sharp shape protrudes toward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 the contact center line C1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and the tip portion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 the contact center line C1 of is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to one side (to the right in the drawing).
  • the second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button support shaft 1277 is placed when the button 1276 is lowered is connected to a por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upper end of the button rising groove 128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urface 1282 is formed to be concave, and a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having a pointed shape protrudes towar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 the third guide protrusions 1282a and the fourth guide protrusions 1282b are respectively formed in a sharp shape upwards.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becomes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utton raising groove 1284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is first. 4 guide projections (1282b).
  •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are respectively formed to be convex upwar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so that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second upper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 the boundary of the guide surface 1286b become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utton lowering groove 1283,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utton raising groove 1284.
  • the contact center line C2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and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282
  • the contact center line C2 of is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86 to the other side (to the left in the drawing).
  • the contact center line C3 of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tip portion of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 The contact center line C3 is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to the other side (to the left in the drawing).
  • the contact center line C4 of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and the tip portion of the fourth guide protrusion 1282b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276, and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 The contact center line C4 is spaced one side (to the left in the drawing) at the tip of the fourth guide protrusion 1282b.
  • the contact center line C1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8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85 to the right in the drawing.
  • the contact center line C2 of the seating surface 1282, the contact center line C3 of the first upper guide surface 1286a and the contact center line C4 of the second upper guide surface 1286b are respectively the second guide protrusions 1286.
  • the third guide protrusion (1282a) and the fourth guide protrusion (1282b) is different from the tension control bar 12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spaced apart to the left in the drawing.
  •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ncludes a storage space 147 for storing excrement and water, and an inlet 141 that is opened upwards to which the excrement is injected. Is formed.
  • the inlet 141 is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145, the inner wall 146, and both sidewalls 148, as shown in FIGS. 1 and 8, and the outer wall 145, the inner wall 146, and both sidewalls 148. Are both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47).
  • a handle 143 is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145, and an inlet port 142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146.
  • the inlet port 142 is coupled to the drain port 135 installed in the collecting wall 1322 of the lower unit 130 when the isolation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37 of the lower unit 130. It is used as a passage for introducing urine or water confined in the water wall 1322.
  • the drain port 135 of the lower unit 130 includes a tubular body install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wall 1322, a shaft 1351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and a shaft inside the tubular body.
  • Shaft support member (1353) for supporting (1351) for supporting (1351), a stopper (1357)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in plate 132 side of the shaft (1351) to open and close the tubular body, the other end of the shaft (1351)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1353) It includes a spring (1355) installed between.
  • the spring 1355 provides a restoring force for pulling the stopper 1357 toward the tubular body, and thus, even i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unit 130, the excrement or washing water does not leak through the drain port 135.
  • the inlet port 142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has a tube body installed through the inner wall 146 of the inlet 141, a shaft 1421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tube body, and a shaft 1421 inside the tube body.
  • a stopper (1427) coupled to one end of the inlet (141) side of the shaft (1421) to open and close the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1421)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1423).
  • a spring 1425 installed therebetween.
  • the spring 1425 provides a restoring force for pulling the stopper 1357 toward the tubular body, and thus, the internal dirt does not leak through the inlet port 142 when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unit 130. .
  • the tubular body of the inlet port 142 protrudes outward of the inner wall 146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ubular body of the drainage port 135. Therefore, when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37 of the lower unit 130, the pipe body of the inlet port 142 is inserted into the pipe body of the drain port 135, and the shaft 1421 of the inlet port 142. ) And the shaft (1351) of the drain port 135 is pushed together.
  • the excrement or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drain plate 132 of the lower unit 130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through the drain port 135 and the inlet port 142.
  • each stopper 1457 and 1357 is connected to the tubular body by springs 1425 and 1355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inflow port 142 and the drain port 135. Close to the flow path is closed.
  • the pipe body of the inflow port 142 when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37 of the lower unit 130, the pipe body of the inflow port 142 is inserted into the pipe body of the drain port 135. It is not limited. Therefore, the pipe body of the drain port 135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ipe body of the inlet port 142.
  • the handle 143 is provided on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removed from the lower unit 130, the user may grab the handle 143 and transport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to discard the internal dirt.
  • the inlet 141 is removed from the lower unit 130, the inlet 141 is in an open state, and thus there is a risk that dirt may swell out during transportation and bounce to the outside, or miss the handle 143 by mistake.
  •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49 at the inlet 141 of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49 has a cover portion 149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let 141 and the cover portion 149 to be coupled to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 the isolation cylinder cover coupling groove 1148 is formed on both sidewalls 148 of the inlet 141, and the coupling member 1497 is formed in the cover portion 149.
  • the specific shape of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coupling groove 141 and the coupling member 1497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packing 1499 is install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49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inlet 141.
  • the user can safely carry the handle 143 in the state in which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49 is mounted on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removed from the lower unit 130, and the outlet 1495 is removed from the discharge port. (1493) allows for safer disposal of dirt.
  • the urine guide unit 150 is for the case where the male dog raises the leg and urinates.
  • the urine guide unit 150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rear side of the net belt 126 and protrudes substantially with respect to the net belt 126.
  •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rine guide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edge cover 114 of the upper unit 110 and the rear surface may contact the engine compartment cover 111.
  • the urine guide unit 150 may include a urine plate 151 formed in a concave curved surface and a order plate 156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side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rine plate 151 to prevent urine from splashing outward. Can be.
  • a nozzle may be installed around the urination plate 151 and the pet dog may urinate to spray water toward the urination plate 151 from the nozzle.
  • a direct injection method is not easy to spray the water to flow evenly over the urination plate 151, there is a fear that water is splashed due to the injection pressure.
  • a slit is formed in the urine guide unit 150 to form a collecting part 153 and water supplied to the collecting part 153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urination plate 151.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shape can also wash the urine plate 151. As such,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2 of the top of the urination plate 151, the water flows down naturally evenly spread on the front of the urination plate 151 by the adhesive force, so there is no fear of water splashing and washing more easily. You can do it.
  • FIG. 4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rine guide unit 150 in the direction viewed from the left in the longitudinal cut plane
  • FIG. 42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rection seen from the right.
  • the interior of the urine guide unit 150 the inn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rination plate 151 and the rear plate 1512 in the front, the horizontal parti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 the water collecting part 153 is formed by partitioning the lower space.
  • the rear plate 1512 may be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1514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ine room cover 111.
  • a water supply pipe 159 is installed inside the urine guide unit 150, and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59 protrudes out of the urine guide unit 150 to b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24 of the conveyor unit 120. Coupled to the connector 1248.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59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53.
  •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53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9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urination plate 15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2 to wash the urination plate 151.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ciple of siphon (Siphon) is applied to the urine guide unit 150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52 only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53 or more. .
  • Siphon the principle of siphon
  • the up flow passage 15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llecting part 153, and the upper end of the up flow passage 154 and the outlet 152 are connected to the down flow passage 155.
  • the upper end of the upward passage 154 should be located higher than the outlet 152, and the air hole 158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53 so that atmospheric pressure can act on the water collecting unit 153. Should be.
  • the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let 152 until the water is fill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upflow passage 154, but when the water begin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ownflow passage 155, the siphon (Siphon) Due to the principle,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53 continues to be discharged until the bottom opening of the upward flow passage 154 is revealed.
  • the control device may supply a quantity of water to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53 to the upper end of the upward passage 154.
  • the shape of the outlet 152, the up flow passage 154, the down flow passage 155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n a specific application.
  • Fig. 42 (b) and 43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order wall 157 on one side of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urine guide unit 150.
  • the order wall 157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right end of the upward passage 154 of the urine guide unit 150.
  • the order wall 157 may be formed in the descending passage 155.
  • the toilet for the dog dog 100 is erected as shown in FIG. 13, and the water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art 153 is collected downward. It is blocked by the order wall 157 and is not leaked to the outlet 152.
  • the conveyor unit 120 is placed on the conveyor cradle 136 of the lower unit 130, the upper uni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hook 119 provided at the upper unit 110. ) Is fixed to the hook engaging jaw (139) of the lower unit (130).
  •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is inserted through the left inlet 12 of the upper unit 110 and pushed into the storage space 137 of the lower unit 130, on both sides of the inlet 12 of the upper unit 110.
  • the coupling protrusion 1172 of the provided isolation container locking member 117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8 of the lower unit 130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outer wall 145 of the isolation cylinder unit 140.
  • the inlet port 142 of the drain port 135 and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provided in the lower unit 130 are combined, and the storage space 147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plate 132 and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 a flow path is formed in between.
  • the control device detects the pet dog through the sensor 116 to start counting,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the detection If the dog is no longer detected through the sensor 116, it is determined that the dog has excreted.
  • control device controls the cover driving means to rotate the isolation container cover 113 to expose the inlet 141.
  •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washing roller 122 are rotated by controlling the roller driving means, and as the driving roller 121 rotates, the net belt 126 is moved to the lef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 support 125.
  • the feces placed on the mold belt 126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41.
  • the blade of the funnel 134 installed around the inlet 141 is cleanly separated from the net belt 126 to the excretion residu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ump to spray water between the washing roller 122 and the net belt 126 through the nozzle 192 of the washing chamber. At the same time, water is sprayed between the driven roller 123 and the net belt 126 through the nozzle 1256 provided at the outermost longitudinal rod 1252 of the load support 125.
  • the water supply to the nozzle 192 of the washing chamber is stopped. Even if the water supply to the nozzle 192 is stopped,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rotate the driving roller 121 and the washing roller 122 to remove the residual washing water on the net belt 126 with the brush of the washing roller 122. .
  • the injection timing of this nozzle 19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may spray in the initial stage which the drive roller 121 operates, may spray after the net belt 126 rotates half a turn, and the net belt ( After 126 rotates once, the cleaning roller 122 may be sprayed after the process of removing water from the net belt 126 by operating without spraying the nozzle 192.
  • the isolation cover 113 is preferably opened while the net belt 126 rotates about one turn even after the droppings fall into the inlet 141.
  • water spraying is stopped at the nozzle 1256 provided in the outermost rod 1252 of the load holder, but for cleaning the load holder 125 at the remaining rod 1252. This is because water injection is performed, and water agglomerated in the holes of the net belt 126 may flow into the inlet 141 through the funnel 134.
  • the water sprayed in the washing process flows down along the drain plate 132 and collects on one side of the collecting wall 1322, and then the inlet port (135) of the lower unit 130 and the inflow port of the isolation tank unit 140 ( It is introduced into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through 142.
  • the bacteria can be prevented from propagating inside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or odors due to this.
  • bacteria can be prevented from propagating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eriphery of the drainage plate 132 or odors.
  •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pump 1314, the amount of water set by the collecting unit 153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9 When water is supplied and water is filled up to the top of the upward flow passage 154, most of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2 by the principle of siphon to wash the urination plate 151.
  • the water washed by the urine plate 151 passes through the net belt 126 and flows into the drain plate 132 and then flows into the isolation container unit 140 through the drain port 135.
  • the urine detection means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urination plate 151, the order plate 156, or the surround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용 화장실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세척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실 커버와, 상기 세척실 커버의 천정에 설치된 노즐과, 강제건조를 위한 팬을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의 분해조립과 네트형 벨트의 장력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견용 화장실
본 발명은 애완견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견의 배설물을 보다 깨끗하게 처리 세척할 수 있고, 건조 및 살균을 통해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애완견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견을 키우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 중의 하나가 배설물을 치우는 일이다. 배변장소와 시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애완견을 훈련시키더라도 일단 배설물이 발생하면 그때마다 사람이 직접 치워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사람들은 애완견의 배설물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양한 용품들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품은 소변 흡수 기능을 가진 일회용 배변패드로서, 실내의 특정 위치에 펼쳐두고 애완견이 그 위에 배설을 하면 새 패드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닥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회용 배변패드는 배설 후에 사용자가 신속하게 치우지 않으면 냄새가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돌아다니던 애완견의 발에 자칫 변이 묻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변만 누더라도 반복 사용하다 보면 흡수되지 못한 소변이 패드의 상부에 고이거나 밖으로 흘러내려서 실내오염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최근의 사회적 추세에도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회용 제품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 나고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애완견용 화장실이 소개되고 있다.
가장 간단한 유형의 애완견용 화장실은 상자형 변기통의 상단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배설판이 결합된 것으로서, 애완견이 배설을 하면 소변은 배설판의 관통홀을 통해 변기통으로 흘러내리고 대변은 배설판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견용 화장실은 대변이 놓인 배설판을 즉시 세척하지 않으면 냄새가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후에 배설판에 올라온 애완견의 발에 변이 묻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고 변기통에 고인 소변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038호) 및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177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자동세척 기능을 구비한 유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컨베이어형 배변벨트와, 컨베이어형 배변벨트의 일측과 하측에 구비된 물분사노즐을 포함하며, 물분사노즐을 탑승감지센서 및 배변감지센서와 연동시켜 배변벨트를 자동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배설물을 세척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으나, 배변벨트에 관통홀이 없기 때문에 소변이 애완견의 발에 묻기 쉽고, 물분사노즐만으로는 배변벨트를 청결하게 세척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벽한 세척을 위해서는 물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수도관과 배수포트를 연결해야 하므로 배관연결이 복잡하고 설치장소를 마음대로 선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일단 설치된 이후에는 설치장소를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것으로서, 관통홀을 구비하는 네트형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표면에 접촉하여 마찰세척과 물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세척롤러를 포함하며, 특히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통과 배설물을 저장하는 배설물 격리통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애완견의 소변이 네트형 컨베이어의 관통홀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애완견의 발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이나 배수포트를 따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별도의 설치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설치장소를 변경하는 것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다만 특허문헌 2에 따른 화장실은, 네트형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 네트형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대 등에 묻은 배설물이나 배수판의 구석진 부분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설물을 즉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격리통에 저장하는 방식이므로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세척 방식이므로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필요도 있다. 또한 네트형 컨베이어의 분해조립과 장력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설물 격리통에 채워진 배설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2의 애완견용 화장실은 한쪽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보는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애완견이 한쪽 다리를 들고 배뇨를 할 경우에 바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네트형 컨베이어를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고, 세척수를 보다 깨끗하고 효과적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을 조립 설치할 때 각 유닛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네트형 컨베이어의 분해조립과 장력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설물 격리통에 채워진 배설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변을 누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를 적절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일측으로 개구되며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실 커버와, 상기 세척실 커버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강제건조를 위하여 상기 세척실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 유닛의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 커버와, 상기 격리통 커버에 설치된 살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벽은 상기 종동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을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내벽에서 각각 상기 배수판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컨베이어 거치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벽에는 상기 배수판의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상부유닛의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는 소변가이드 유닛이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내부에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상기 네트형 벨트를 향하는 쪽에 배뇨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뇨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배뇨판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차수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뇨판에는 상기 집수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내부에는, 하단은 상기 집수부와 연통하고 상단은 상기 배출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상승유로와, 상기 상승유로의 상단과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하강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의 물이 사이펀(Siphon)의 원리에 의해 상기 배뇨판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일측으로 개구되며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이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양측에는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가 각각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각각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는 각각 측면커버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각 측면커버는, 타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각 측면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절개부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격리통 유닛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서 상기 수직축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면의 모서리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과 상기 격리통유닛의 외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외측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바닥의 외측 단부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유닛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는, 상기 하부유닛의 대향하는 내벽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깔때기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에 대응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은 관통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테두리에서 제1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의 상단에 거치되고, 제2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벽은 상기 네트형벨트가 감기는 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외측에는 상기 곡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롤러대향면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대향면의 상단에는 뾰족한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상기 하부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격리통유닛의 탈부착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유닛에는 상기 다수의 바퀴와 같은 높이의 받침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상기 하부유닛에서 상기 격리통 유닛을 분리하였을 때 상기 격리통 유닛의 투입구에 결합되는 격리통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통 덮개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상기 격리통유닛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에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배치된 세로프레임과,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베어링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된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에 결합된 베어링하우징;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벽 상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된 후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축삽입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바; 상기 텐션조절바의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 상기 텐션조절바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바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스프링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스프링걸림턱에 거치되는 제1 스프링; 상단에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큰 직경의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을 관통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버튼하강홈, 버튼상승홈,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버튼상승홈의 하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안착면,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버튼상승홈의 상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안착면, 상기 제1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안착면을 향해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 상기 제2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안착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하강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1 상부가이드면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2 상부가이드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홈;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2 안착면에 교대로 놓여지는 버튼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실 커버의 바깥쪽에 설치된 팬을 통해 애완견용 화장실의 내부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유닛의 컨베이어거치대 하부를 별도의 노즐을 사용하여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격리통커버에 구비된 살균램프를 계속 또는 주기적으로 점등함으로써 격리통유닛 내부의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에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배수판과 그 주변을 살균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를 별도의 세척수단을 사용하여 종래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유닛의 투입구 주변에 지지틀과 깔때기를 설치함으로써 배설물과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깨끗하게 처리 및 집수할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에 구비된 격리통잠금부재에 끼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에 구비된 격리통잠금부재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하부유닛에 바퀴를 장착함으로써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유닛의 지지프레임에 텐션조절바를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유닛의 분해조립과 네트형 벨트의 장력조절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밀폐하는 격리통 덮개를 제공함으로써 배설물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비울 수 있다.
또한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여 네트형 벨트의 일측에 소변가이드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한쪽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별도의 세척수단을 설치하여 배뇨판을 물세척함으로써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5는 상부유닛과 소변가이드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부유닛의 저면도
도 7은 세척롤러 주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투입구 주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상부유닛의 측면 입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격리통잠금부재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1은 격리통잠금부재의 사용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격리통잠금부재와 측면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애완견용 화장실을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하부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하부유닛에서 깔때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와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17은 하부유닛의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깔때기의 우측 세로방향테두리의 단면도
도 19는 격리통유닛의 내벽이 깔때기 하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격리통유닛의 측벽이 깔때기 하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하부유닛과 컨베이어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컨베이어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컨베이어유닛의 지지프레임에 하중지지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하중지지대에 구비된 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하중지지대의 노즐이 종동롤러와 네트형 컨베이어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지지프레임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가로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종동롤러와 가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0은 종동롤러를 구동롤러쪽으로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1은 종동롤러의 베어링하우징을 빼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버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5 및 도 3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버튼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분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버튼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배수포트와 유입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0은 격리통유닛에 격리통덮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1은 격리통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2는 소변가이드 유닛의 단면도
도 43은 소변가이드 유닛의 내부에 차수벽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의 사시도,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은 상부유닛(110), 하부유닛(130), 애완견이 올라가서 배설을 하는 네트형 벨트(126)를 구비하며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120), 배설물이 격리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하부유닛(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격리통유닛(140), 상부유닛(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소변가이드 유닛(150)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네트형 벨트(126)가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방향,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부유닛(110)은 컨베이어유닛(120)을 지지하면서 하부유닛(130)의 외곽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대략 사각의 관통부(10)를 둘러싸는 프레임 구조이다.
도 5의 사시도 및 도 6의 저면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유닛(110)은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10)의 후방측에 기관실 커버(111)를 구비하고, 우측과 좌측에는 각각 세척실커버(112)와 격리통커버(113)를 구비한다.
기관실 커버(111)는 하부유닛(130)에 형성된 기관실(도 1의 131)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며, 기관실(131)에 설치된 물통(160)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관통홀(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커버(112)는 세척롤러(122)에 의해 네트형 벨트(126)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커버한다.
세척실커버(112)는, 도 7의 부분 단면도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는 컨베이어유닛(120)의 구동롤러(121)의 축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구동롤러(121)에는 네트형 벨트(126)가 감겨 있으므로 세척실커버(112)의 하단부는 네트형 벨트(126)와 간섭하지 않도록 네트형 벨트(126)의 상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척실커버(112)를 곡면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평면의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사면과 곡면을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세척실커버(112)의 천정에는 노즐(192)이 설치되며, 노즐(192)은 세척롤러(122)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물공급 파이프와 물공급 파이프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을 포함한다. 분사홀의 방향은 세척롤러(122)의 브러쉬와 네트형 벨트(126)가 접촉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192)의 물공급 파이프에는 다수의 분사홀이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고, 2열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홀이 2열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 열의 용도를 다르게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의 분사홀은 세척롤러(122)의 브러쉬와 네트형 벨트(126)가 접촉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하여 세척롤러(122)와 함께 네트형 벨트(126)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제2 열의 분사홀은 네트형 벨트(126)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125)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열의 분사홀을 이용하여 하중지지대(125)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실커버(112)의 하부에 제2 열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물을 구동롤러(121) 상부의 소정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가이드(1122)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세척가이드(1122)를 따라 흘러내린 물이 네트형 벨트(126)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응집되고, 네트형 벨트(126)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응집된 물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대(125)의 가로살대(도 23의 1254)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애완견이 소변을 누는 경우에는 이렇게만 하여도 하중지지대(125)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다만 묽은 변이 흘러 내려 하중지지대(125)를 오염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세척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하중지지대(125) 자체에 별도의 세척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은 물세척 이후 세균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를 강제 건조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실커버(11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팬(170)을 설치하고, 팬(170)의 바깥쪽에 팬보호커버(172)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세척실커버(112)의 측면에 팬(170)을 설치하면 물세척으로 인해 습기가 많아진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내부공간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팬(170)에서 공급된 공기는 세척실커버(112)의 좌측 내면을 따라 하강한 후 세척롤러(122)의 브러쉬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세척롤러(122)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롤러(122)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수판(132)을 건조시키고, 일부는 네트형 벨트(126)를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네트형 벨트(126)를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유닛(110)에 구비된 격리통커버(113)는, 도 8의 부분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하부유닛투입구(도 15의 1308)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격리통커버(113)는 하부유닛투입구(1308)를 개폐하는 역할도 한다.
격리통커버(113)의 좌측 단부에는 세로방향의 커버회전축(1132)이 결합되며, 커버회전축(1132)의 일단은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기관실(도 1의 131)에 설치된 커버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리통유닛(140)에 저장된 배설물을 소독하여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리통커버(113)의 저면에 살균램프(180)를 설치한다. 그리고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제어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는 살균램프(180)의 동작을 격리통커버(113)의 회전구동수단과 연동시킬 수 있다. 즉, 격리통커버(113)가 열린 상태에서는 살균램프(180)가 꺼지고 닫힌 상태에서만 살균램프(180)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배설 후에 격리통커버(113)가 자동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고 호기심으로 격리통커버(113)를 건드리거나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격리통커버(113)의 상부에 보호커버(11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회전축(1132)은 보호커버(115)의 저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115)에서 네트형 벨트(126)를 향하는 일 측면에 애완견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16)를 설치한다. 감지센서(116)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광센서, 초음파센서, 정전용량식 근접센서, 유도자기력을 이용한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보호커버(115)에 감지센서(116)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유닛(110)의 다른 부분이나 소변가이드 유닛(15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유닛(110)은 격리통커버(113)의 하부에 격리통유닛(140)의 출입을 위한 입구(12)를 구비한다.
입구(12)의 일측과 타측에는 수직축(117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격리통잠금부재(1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축(1171)은 별도로 설치된 축일 수도 있고, 격리통잠금부재(117)와 상부유닛(110)의 측벽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구부림이 가능할 정도로 얇게 형성된 수직의 연결부일 수도 있다.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서 수직축(1171)에 인접한 내측면에는 결합돌부(1172)가 형성되며, 결합돌부(1172)는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의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도 8 및 도 10의 138)에 삽입되어 격리통유닛(140)을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역할을 한다.
즉,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격리통잠금부재(117)를 회전시켜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끼우면 격리통잠금부재(117)가 격리통유닛(140)의 바깥면을 눌러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격리통잠금부재(117)와 하부유닛(130)의 결합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격리통잠금부재(117)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하부유닛(130)의 내측면에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격리통잠금부재(117)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돌부(1172)가 형성된 내측면의 바깥쪽 모서리에 이탈방지돌기(117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176)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에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한 상태에서 격리통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였을 때, 격리통유닛(140)의 측벽(148)과 하부유닛(130)의 측벽(1301)의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격리통잠금부재(117)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격리통잠금부재(117)에는 수직축(1171)과 인접한 외측면의 하단에서 제1 스토퍼(1178)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격리통잠금부재(117)에서 결합돌부(1172)가 형성된 내측면의 상부에 수직축(1171)에 인접하여 제2 스토퍼(1179)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토퍼(1178,1179)는 격리통잠금부재(117)가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결합된 상태에서 격리통잠금부재(117)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격리통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면, 제1 스토퍼(1178)는 그 내면이 하부유닛(130)의 바닥(1304)의 외측 단부에 접하면서 외력에 대항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스토퍼(1179)는 그 내면이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파티션(1332)의 외측 단부에 접하면서 외력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격리통잠금부재(117)에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스토퍼(1178,1179)를 형성하면, 격리통잠금부재(117)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부에 위치하는 격리통유닛(140)의 외벽(도 11의 145)까지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서 결합돌부(1172)가 형성된 내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각각 측면커버(11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는 홈 형상의 측면커버결합부(1174)가 형성되고, 각 측면커버(118)의 일단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결합부(1184)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측면커버결합부(1174)가 홈 형상이고, 잠금부재결합부(1184)가 홈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서로 반대 형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 측면커버(118)는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운반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측면커버(118)는 타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181)와, 측면커버(118)의 외측에서 절개부(118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수용홈(1182a)이 형성된 그립부(11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측면커버(118)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 측면커버(118)의 타단에는 반대쪽 측면커버(118)와 결합될 수 있는 커버연결부(1186,1188)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연결부(1186,1188)는 서로 대응하는 홈과 돌기일 수 있다.
따라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 측면커버(118)를 각각 결합하고, 각 측면커버(118)를 서로를 향해 회전시키면 격리통유닛(140)의 손잡이(143)는 각 측면커버(118)의 절개부(1181)를 통과하여 그립부(1182)의 수용홈(1182a)에 삽입된다.
도 2a는 이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손잡이(143)가 그립부(1182)의 수용홈(1182a)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부(1182)를 잡으면 격리통유닛의 손잡이(143)도 함께 잡게 되므로, 그립부(1182)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부유닛(110)과 격리통유닛(140)이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유닛(110)은 관통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가로방향의 내측면에서 각각 관통부(10)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에지커버(114)를 포함한다. 에지커버(114)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120)의 네트형 벨트(126)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애완견의 발이 끼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세척수가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한 쌍의 에지커버(114) 중에서 후방측에 위치하는 에지커버(114)에는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하단이 놓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지커버(114)에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물공급관(159)이 통과하는 삽입홀(114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밖에 상부유닛(110)의 가로변 바깥측에는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후크걸림턱(도 14의 139)에 걸리는 후크(119)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119)와 후크걸림턱(139)은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을 결합하는 수단을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른 종류의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부유닛(110)의 한 쪽에만 후크(119)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쪽에도 후크(119)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유닛(110)에서 입구(12) 반대쪽에는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바퀴(도 14의 1390)가 삽입되는 바퀴홈(11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110)에서 입구(12) 반대쪽의 외측면에는 받침부(1102)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10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세웠을 때 바퀴(139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바퀴(1390)와 같은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유닛(13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을 둘러싸는 측벽(1301)과 측벽(130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구획하는 가로방향의 격벽(1302)을 포함한다.
격벽(130)의 후방측 공간은 기관실(131)로 제공되고 전방측 공간은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하는 수납공간(도 1 및 도 4의 137)으로 제공되며, 수납공간(137)은 좌측의 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기관실(131)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160), 물을 공급하는 펌프(1314),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에 연결되는 기어박스(1312), 기어박스(1312)에 연결된 롤러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펌프(1314)에 연결된 호스 등이 기관실(131)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공간(137)은 바닥(도 8 및 도 16의 1304)과 배수판(132)의 사이에 형성되며 좌측의 입구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격리된다.
배수판(132)은 네트형 벨트(126)에서 배설된 소변이나 세척용 물이 격리통유닛(14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배수판(132)의 좌측에는 마치 댐과 같이 소변이나 물을 집수하는 집수벽(1322)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집수벽(1322)의 하단 중앙에는 배수포트(135)가 설치된다. 배수포트(135)는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로 세척수 및 배설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격리통유닛(140)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집수벽(1322)은 하단 부분의 수직부와 수직부에서 상단까지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벽(1322)의 수직부는 소변이나 물을 배수포트(135)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원활하게 배수포트(135)쪽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직부를 세로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 보다는 좌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곡면의 정점에 배수포트(13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벽(1322)의 수직부에 배수판(132)쪽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182)를 설치한다. 살균램프(182)는 배수판(132) 상부의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광축이 배수판(132)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벽(1322)의 곡면부는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롤러(123)와 같은 곡률을 가지면서 종동롤러(123)에 감긴 네트형 벨트(126)와 매우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수벽(1322)의 곡면부가 종동롤러(123)의 일측을 감싸는 높이까지 집수벽(1322)을 형성하면, 격리통유닛(140)으로 배설물을 투입할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배수판(132)의 상부에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배설물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저수용량이 많아지면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집수벽(1322)의 상단에 종동롤러(123)를 위치시키면 배설면(컨베이어유닛(120)의 상면)이 애완견이 올라가기 힘들 정도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집수벽(1322)에 곡면부를 형성하고 곡면부가 종동롤러(123)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종동롤러(123)를 설치하면, 종동롤러(123)가 집수벽(132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설면의 높이를 크게 낮추면서도 충분한 저수용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배수판(1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격벽(1302)과 전방의 측벽(1301)에는 각각 배수판(132)의 상부로 돌출된 컨베이어거치대(136)가 각각 형성된다. 컨베이어거치대(136)에는 컨베이어유닛(120)의 가로방향 지지프레임(124)이 놓여진다.
컨베이어거치대(136)의 하부에 배설물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집수벽(1322)의 하단에 각 컨베이어거치대(136)의 하부공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19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302)에는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 구비된 호스연결구(1245)가 거치되는 거치홈(130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유닛(130)에서 집수벽(1322)의 좌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하부유닛투입구(1308)가 형성된다. 하부유닛투입구(1308)는 네트형 벨트(126)에 놓여진 배설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며, 그 하부에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가 위치하게 된다.
하부유닛투입구(1308)는 지지틀(133)과 집수벽(1322)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틀(133)은 하부유닛투입구(1308)의 양측에서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1332)과, 하부유닛투입구(1308)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각 파티션(1332)의 내벽에 결합된 받침부(1331)를 포함한다.
세척수나 배설물이 하부유닛(130)의 바깥으로 새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부유닛(110)을 하부유닛(130)의 상부에 결합할 때 파티션(1332)이 상부유닛(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그 상단이 상부유닛(110)의 보호커버(115)의 저면에 밀착되고, 받침부(1331)도 그 상단이 보호커버(115)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유닛(110)의 보호커버(115)가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따라서 파티션(1332)의 상단도 이에 대응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티션(1332)의 우측 단부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결합홈(1335)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331)은 파티션(1332)의 각 일단의 사이에 배치되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투입구(1308)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331)와 보호커버(115)의 사이에는 커버회전축(1132)이 위치하며, 파티션(1332)의 상단에는 커버회전축(1132)이 거치되는 축거치홈(133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네트형 벨트(126)를 따라 이송된 배설물이나 세척수가 격리통유닛(140)으로 보다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지지틀(133)과 집수벽(1322)으로 둘러싸인 하부유닛투입구(1308)의 상부에 깔때기(134)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깔때기(134)는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투입구(1308)에 대응하는 관통부(1340)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테두리의 상면에는 하부유닛투입구(1308)를 향해 경사진 안내면(1342)이 형성된다.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134)의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는 집수벽(1322)의 상단에 거치되고 좌측 세로방향 테두리는 지지틀(133)의 받침부(1331)의 내측면에 접한다.
2개의 가로방향 테두리의 외측에는 파티션결합부(1349)가 돌출되며, 따라서 깔때기(134)를 파티션(1332)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깔때기(134)를 누르면 파티션결합부(1349)가 파티션(1332)의 깔때기결합홈(1335)에 삽입되면서 깔때기(134)가 파티션(1332)의 사이에 장착된다. 파티션결합부(1349) 및 깔때기 결합홈(1335)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위치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깔때기(134)의 저면은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를 둘러싸는 벽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안내면(1342)을 따라 투입된 배설물이나 세척수가 외부로 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좌측에 형성된 외벽(145)이 우측에 형성된 내벽(146)보다 높은 경우에는 깔때기(134)의 저면도 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깔때기(134)의 테두리에서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는, 도 18의 가로방향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벽(1322)의 좌측면에 접하는 집수벽접촉면(1344)과, 하단이 집수벽접촉면(1344)보다 바깥쪽 돌출된 롤러대향면(1343)과, 집수벽접촉면(1344)과 롤러대향면(1343)의 사이에 형성된 집수벽결합홈(1345)과, 롤러대향면(1343)의 상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블레이드(1341)를 포함한다.
롤러대향면(1343)은 종동롤러(123)와 같은 곡률을 가지며 집수벽(1322)의 곡면부의 상부에서 종동롤러(123)에 감긴 네트형 벨트(126)에 표면에 근접한다.
따라서 네트형 벨트(126)를 따라 이동한 배설물은 롤러대향면(1343)의 상단에 형성된 블레이드(1341)에 의해 네트형 벨트(126)로부터 분리되어 안내면(1342)를 따라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로 투입된다.
또한 깔때기(134)의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안내면(1342)의 하단과 연결된 상향경사면(134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향경사면(1348)을 형성하면 안내면(1342)의 하단이 뾰족하게 되므로 안내면(1342)을 따라 흘러내린 세척수가 약한 응력으로 인해 쉽게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깔때기(134)의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내벽결합홈(1346a)이 형성되고, 내벽결합홈(1346a)의 선단에는 돌출부(1347)가 형성된다. 내벽결합홈(1346a)은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우측에 형성된 내벽(도 8 및 도 19의 146)의 상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며, 돌출부(1347)는 삽입된 내벽(146)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역할을 한다.
다만 격리통유닛(140)은 하부유닛(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돌출부(1347)와 내벽결합홈(1346a)의 경계면은 격리통유닛(140)을 빼낼 수 있을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19는 격리통유닛(140)이 하부유닛(130)에 결합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유닛(130)에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하면 격리통유닛(140)의 내벽(146)이 깔때기(134)의 하부로 진입하고, 격리통유닛(140)을 계속 이동시키면 내벽(146)의 상단이 돌출부(1347)를 밀면서 내벽결합홈(1346a)에 삽입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내벽(146)의 상단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내벽(146)의 경사면에 접할 정도의 높이로 돌출부(1347)를 형성하면 내벽(146)의 상단이 보다 용이하게 돌출부(1347)를 넘어서 내벽결합홈(1346a)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깔때기(134)의 나머지 테두리의 저면에도 격리통유닛(140)과 맞물리는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134)의 좌측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 외벽결합홈(1346b)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고, 2개의 가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 각각 측벽결합홈(1346c)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벽결합홈(1346b)에는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좌측에 위치하는 외벽(도 8의 145)의 상단이 결합된다. 또한 2개의 측벽결합홈(1346c)에는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도 1의 148)의 상단이 결합된다.
도 20은 깔때기(134)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하부유닛(130)에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하면 투입구(141)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148)의 상단이 측벽결합홈(1346c)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측벽(148)의 상단에 바깥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측벽결합홈(1346c)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렇게 하면 격리통유닛(140)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밖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집수벽(1322)의 외측벽에는 격리통 유닛(140)의 탈부착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1324)을 설치할 수 있다.
결합감지수단(1324)은 물리적 접촉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즉, 하부유닛(130)에 삽입되는 격리통 유닛(140)의 내벽(146)이 스위치를 누르면 온(ON)되고 격리통 유닛(140)이 뒤로 이동하면서 누름상태가 해제되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제어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와 상기 결합감지수단(1324)을 연결하면, 제어장치는 결합감지수단(1324)을 통해 격리통 유닛(14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격리통 유닛(140)이 장착된 상태에서만 구동롤러(121), 세척롤러(122), 펌프(1324) 등을 동작시키고, 격리통 유닛(14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이들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격리통 유닛(14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격리통커버(113)의 하부에 장착된 살균램프(180)가 온(ON)되고, 격리통 유닛(140)이 분리되면 살균램프(180)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합감지수단(1324)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격리통 유닛(140)의 내벽(146)이 접촉하거나 근접하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결합감지수단(1324)이 반드시 격리통 유닛(140)의 내벽(146)만을 감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설치 위치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37)의 내벽이나 바닥에 결합감지수단(1324)을 설치하여 격리통 유닛(140)의 우측 단부를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컨베이어유닛(120)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의 상부에 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배수판(132) 양측의 격벽(1302)과 측벽(1301)에 형성된 컨베이어거치대(136)에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24)이 놓여진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유닛(120)은 지지프레임(124)과, 지지플레임(124)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롤러(121)와, 구동롤러(121)의 일측에 근접 설치된 세척롤러(122)와, 구동롤러(121)와 이격 설치된 종동롤러(123)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1)와 종동롤러(123)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네트형 벨트(126)가 감기고, 세척롤러(122)는 구동롤러(12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롤러(121)의 바깥쪽에서 네트형 벨트(126)의 표면을 브러쉬로 세척한다.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는 하중지지대(125)가 거치되며, 하중지지대(125)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세로살대(1252)와 세로살대(1252)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살대(125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지지대(125)의 각 세로살대(1252)에 다수의 노즐(1256)을 형성하여 하중지지대(125)와 그 상부에서 이동하는 네트형 벨트(126)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세로살대(1252)는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이며, 세로살대(1252)에는 기관실(131)의 펌프(1314)로부터 공급된 물을 공급하는 호스(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세로살대(1252)에서 가로살대(1254)와 교차하는 부분마다 노즐(1256)을 형성한다. 각 노즐(1256)은 하중지지대(125) 상부의 네트형 벨트(126)가 이동하는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되, 수평방향이 아니라 가로살대(1254)의 하부를 향해 약간 위쪽으로 분사한다.
특히 각 노즐(1256)을 가로살대(1254)의 중심축의 직하부에 위치시키고 가로살대(1254)의 외주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물을 분사하면 물의 표면장력과 부착력으로 인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된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되므로 가로살대(1254)의 둘레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각 노즐(1256)의 분사방향과 가로살대(1254) 방향의 사이각이 크면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촘촘한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고, 사이각이 작으면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넓은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각 노즐(1256)이 과도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면 이와 같은 회전 유동이 불가능하므로 펌프의 분사압력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노즐(1256)의 위치, 분사방향 등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하중지지대(125)의 제일 좌측에 위치하는 세로살대(1252)는 종동롤러(123)와 가까우므로 여기에 형성된 노즐(1256)을 이용하여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에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면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배설물이 잘 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종동롤러(123)와 집수벽(1322)의 곡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물이 네트형 벨트(126)의 홀을 통해 올라가 배설면을 세척하고, 일부의 물은 깔때기(134)를 타고 투입구(141)로 흘러내리면서 깔때기(134)를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격리통커버(113)가 닫히면서 깔때기(134)와 접촉하더라도 격리통커버(113)에 배설물이 묻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은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과는 용도와 동작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펌프에 연결하거나 별도의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물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로살대(1252) 자체를 물 공급통로로 활용하였으나, 세로살대(1252)를 대신하여 별도의 물공급 파이프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물공급 파이프에 가로살대(1254)를 향해 전술한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별도의 물공급 파이프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는 하중지지대(125)의 다수의 세로살대(1252)가 각각 삽입되는 지지대거치홈(12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축삽입홀(12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4)의 일측에는 기관실(131)의 펌프(1314)와 호스로 연결되는 다수의 호스연결구(12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호스연결구(12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24)의 내측에 연결된 연결구를 통해 세로살대(1252)로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호스연결구(12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 구비된 소변가이드유닛 연결구(1248)를 통해 소변가이드유닛(150)의 물공급관(159)으로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프레임(124a)과 각 가로프레임(124a)의 일단을 연결하는 하나의 세로프레임(124b)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는 세로프레임(124b)의 내측에서 세로프레임(124b)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롤러(121)와 세로프레임(124b)의 사이에 세척롤러(122)가 배치된다.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양단에는 각각 롤러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이 결합되며, 각 베어링하우징은 가로프레임(124a)에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된다. 가로프레임(124a)에는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다수의 축삽입홀(1244)이 상단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종동롤러(123)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124a)의 각 타단 사이에 설치되며, 종동롤러(123)의 양단에는 롤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1232)이 가로프레임(124a)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동롤러(123)의 베어링하우징(1232)을 가로프레임(124a)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면, 종동롤러(123)를 이동시킴으로써 네트형 벨트(126)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고 컨베이어유닛(120)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7 및 도 2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24a)은 내측의 제1 프레임(124a-1)과 외측의 제2 프레임(124a-2)을 포함하여 제1 프레임(124a-1)과 제2 프레임(124a-2)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가로프레임(124a)의 내부공간에는 가로프레임(124a)의 타단에서부터 베어링하우징(1232), 텐션조절바(127), 스프링(129) 및 고정부재(1296)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296)는 가로프레임(124a)에 대해 고정된다.
가로프레임(124a)의 상면부(1249)에는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베어링하우징 삽입홀(1241)이 형성되고, 가로프레임(124a)의 내측면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에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었다가 가로프레임(124a)의 타단을 향해 연장된 장공형 축삽입홀(1242)이 형성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스프링(129)은 한 쌍의 스프링축(1292)에 각각 감겨 있으며, 각 스프링축(1292)의 일단은 텐션조절바(127)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재(1296)를 관통하여 고정부재(1296)의 우측에 위치한다. 또한 각 스프링축(1292)의 타단에는 고정부재(1296)의 관통홀보다 큰 직경의 헤드(1294)가 형성된다.
따라서 텐션조절바(127)를 고정부재(1296)를 향해 이동시키면 텐션조절바(127)와 고정부재(1296)의 사이에서 스프링(129)이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텐션조절바(127)는 상단에 구비된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하단으로 걸림부재(1274)가 돌출되거나 복귀하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한다. 가로프레임(124a)의 내부공간의 바닥에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삽입되는 제1 걸림홈(1287)과 제2 걸림홈(1288)이 가로프레임(12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걸림홈(1287)과 제2 걸림홈(1288)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를 제1 걸림홈(1287)에 건 상태에서 컨베이어 유닛(120)의 하중지지대(125)를 탈부착할 수 있고, 걸림부재(1274)를 제2 걸림홈(1288)에 건 상태에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를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림홈(1287,1288)을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더 많은 개수의 걸림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컨베이어유닛(120)을 분해해야 하는 경우에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를 제2 걸림홈(1288)에 걸어 고정시키고 종동롤러의 베어링하우징(1232)을 베어링하우징 삽입홀(1241)을 통해 빼내면 된다.
도 29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걸림홈(1287,1288)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종동롤러(123)가 구동롤러(12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를 향해 누르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롤러(123)의 롤러축이 장공형 축삽입홀(1242)을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베어링하우징(1232)과 텐션조절바(127)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텐션조절바(127)에는 스프링(129)의 복원력이 가해지므로 사용자가 스프링(129)의 복원력보다 더 큰 힘으로 눌러야 함은 물론이다.
도 31은 종동롤러(123)의 베어링하우징(1232)을 가로프레임(124a)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31(a)는 종동롤러(123)의 베어링하우징(1232)이 베어링하우징 삽입홀(1241)의 직하부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으로 치우쳐 있어 베어링하우징(1232)이 가로프레임(124a)의 상면부(1249)에 막혀 빠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를 향해 누르면,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232)과 텐션조절바(127)가 구동롤러(121)쪽으로 이동한다. 제1 걸림홈(1287)의 위치에 텐션조절바(127)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276)을 눌러 걸림부재(1274)를 돌출시키면 제1 걸림홈(1287)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텐션조절바(127)가 제1 걸림홈(1287)에 걸린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닛(120)의 네트형벨트(126)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하중지지대(125)를 가로프레임(124a)의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
걸림부재(1274)의 저면에는 구동롤러(121)쪽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걸림홈(1287)도 걸림부재(1274)의 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따라서 걸림부재(1274)가 제1 걸림홈(1287)에 걸린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쪽으로 더 누르면 걸림부재(1274)가 제1 걸림홈(1287)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텐션조절바(127)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걸림부재(1274)가 제1 걸림홈(1287)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베어링하우징(1232)과 텐션조절바(127)가 구동롤러(121)쪽으로 계속 이동한다.
이때 걸림부재(127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텐션조절바(127)의 내부에 구비된 제2스프링(도 32의 1275)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도 3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재(1274)가 제2 걸림홈(1288)에 도달하면 다시 아래로 돌출되면서 제2 걸림홈(1288)에 걸리게 된다.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제2 걸림홈(1288)에 걸린 상태에서는 베어링하우징(1232)이 베어링하우징삽입홀(1241)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도 3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232)를 베어링하우징삽입홀(1241)을 통해 가로프레임(124a)의 상부로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31(b) 또는 도 31(d)와 같이, 걸림부재(1274)가 걸림홈(1287, 1288)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버튼(1276)을 누르더라도 돌출된 걸림부재(1274)가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텐션조절바(127)가 구동롤러(121)쪽으로 이동하면 스프링(129)이 압축되므로 텐션조절바(127)는 스프링(129)에 의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계속 힘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부재(1274)의 수직면(도 33의 1274b)이 걸림홈(1287, 1288)의 내벽을 강하게 미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걸림홈(1287, 1288)에 걸린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버튼(1276)을 눌러서 걸림부재(1274)에 대해 아래쪽으로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고, 이어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쪽으로 약간 밀어서 걸림부재(1274)를 걸림홈(1287, 1288)에서 빼내야 한다.
그런 다음에 종동롤러(123)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거나 줄이면 스프링(129)의 복원력에 의해 종동롤러(123)가 구동롤러(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텐션조절바(127)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는 도 32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부(1272)가 형성된 몸체(1271)와, 관통부(1272)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 스프링(1273), 걸림부재(1274), 제2 스프링(1275), 버튼(1276)을 포함한다.
몸체(1271)의 일측에는 관통부(1272)와 연통하는 수평방향의 삽입홀(1278)이 형성되고, 삽입홀(1278)에는 버튼지지축(1277)이 삽입 결합된다.
또한 몸체(1271)의 타측에는 전술한 스프링지지축(1292)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삽입홈(1279)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271)의 관통부(1272)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1273)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프링걸림턱(1272a)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1273)은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부재(1274)는 제1 스프링(1273)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걸림부재(1274)의 상단에는 제1 스프링(1273)보다 큰 직경의 헤드(127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1273)은 관통부(1272)의 스프링걸림턱(1272a)과 걸림부재(1274)의 헤드(1274a)의 사이에 위치하며, 걸림부재(1274)에 대해 위쪽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재(1274)의 하단은 도 33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232)을 향하는 일 측면이 수직면(1274b)으로 형성되고 저면(1274c)은 반대쪽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걸림홈(1287,1288)도 걸림부재(1274)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수직면에서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프링(1275)은 걸림부재(1274)의 헤드(1274a)의 상부에 놓여지며,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2 스프링(1275)는 제1 스프링(1273)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버튼(1276)을 눌렀을 때 걸림부재(1274)가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버튼(1276)의 둘레면에는 소정 형상의 가이드홈(128)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28)에는 몸체(1271)의 일측에서 결합된 버튼지지축(1277)의 단부가 삽입되며, 따라서 버튼(1276)이 버튼지지축(1277)에 걸려서 상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도 33(a)는 텐션조절바(127)의 버튼(1276)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3(b)는 텐션조절바(127)의 버튼(1276)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텐션조절바(127)에 버튼지지축(1277)이 하나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편심을 막기 위하여 힘의 평형을 이루는 각도에 다수의 버튼지지축(1277)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는 사용자가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1276)이 상승과 하강을 교대로 반복하며, 이를 위해 버튼(1276)의 둘레면에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독특한 형상의 가이드홈(128)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가이드홈(128)의 형상과 버튼(1276)의 승강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홈(128)은 버튼(1276)의 측면에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버튼하강홈(1283)과 다수의 버튼상승홈(1284)을 포함한다.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은 일측에 인접한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고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은 타측에 인접한 다른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과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이 버튼(1276)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버튼(1276)을 상승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1 안착면(128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안착면(1281)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1 가이드돌기(1285)가 제1 안착면(1281)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과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이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은 제1 안착면(1281)에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졌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버튼지지축(1277)은 몸체(127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만일 버튼지지축(1277)이 제1 안착면(1281)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부에서 버튼(1276)을 누르면 제1 가이드돌기(1285)가 하강함에 따라 제1 안착면(1281)에 놓여진 버튼지지축(1277)은 버튼하강홈(1283)으로 진입한다.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낸 화살표는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지지축(1277)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버튼하강홈(1283)은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따라서 버튼지지축(1277)이 버튼하강홈(1283)로 진입한 이후에는 버튼(1276)이 하강하면서 버튼하강홈(1283)의 경사진 내측면이 버튼지지축(1277)에 계속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버튼(1276)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버튼(1276)을 계속 하강시키면 버튼지지축(1277)은 버튼하강홈(1283)에 대해 계속 상승하고, 결국 상부의 제2 안착홈(1282)에 놓여지면서 버튼(127)의 하강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276)을 하강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2 안착면(128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안착면(1282)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2 가이드돌기(1286)가 제2 안착면(1282)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제2 안착면(1282)의 양측에는 제3 가이드돌기(1282a)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각각 상부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3 가이드돌기(1282a)가 되고,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된다.
또한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양측에는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이 각각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경계가 제2 가이드돌기(1286)가 된다.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은 버튼하강홈(1283)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은 버튼상승홈(1284)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과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이 제2 가이드돌기(1283)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은 제2 안착면(1282)에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졌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과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이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은, 버튼(1276)이 상승해 있는 상태, 즉, 버튼지지축(1277)이 제1 안착면(1281)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최대로 하강시켜 버튼지지축(1277)의 상부면이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에 접촉하였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과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이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은, 버튼(1276)이 하강해 있는 상태, 즉, 버튼지지축(1277)이 제2 안착면(1282)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하강시켜 버튼지지축(1277)의 상부면이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에 접촉하였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에서는,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에서 제1 가이드돌기(1285)가 이격되는 방향과,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에서 제2 가이드돌기(1286)가 이격되는 방향과,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에서 제3 가이드돌기(1282a)가 이격되는 방향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에서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이격되는 방향이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지지축(1277)과 가이드홈(128)의 작용으로 인해 버튼(1276)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128)을 구비하는 버튼(1276)의 승강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1276)이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계속 하강시키면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이 하강하여 버튼지지축(1277)의 상부면에 접하게 되고,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3접촉중심선(C3)과 일치되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텐션조절바(127) 내부의 제1 및 제2 스프링(1273,1275)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1276)이 다시 상승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3 가이드돌기(1282a)를 지나 제2 안착면(128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버튼(1276)이 상승하더라도 제2 안착면(1282)에 버튼지지축(1277)에 걸려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제2 안착면(1282)에 놓여진 버튼지지축(1277)도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에서 정지하며, 따라서 버튼(1276)은 하강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버튼(127)이 하강하면 텐션조절바(127)의 하부로 걸림부재(1274)가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버튼(1276)을 누르면, 제2 가이드돌기(1286)가 하강함에 따라 제2 안착면(1282)에 놓여진 버튼지지축(1277)은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에 접촉하게 되고, 버튼(1276)이 하강하여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4접촉중심선(C4)과 일치되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텐션조절바(127) 내부의 제1 및 제2 스프링(1273,1275)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1276)이 다시 상승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4 가이드돌기(1282b)를 지나 버튼상승홈(1284)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버튼(1276)이 상승하면서 버튼지지축(1277)이 버튼상승홈(1284)에 완전히 진입하면서 버튼(1276)이 계속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는 버튼(1276)은 버튼지지축(1277)이 제1 안착면(1281)의 제1 접촉중심선(C1)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정지하며, 이때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는 몸체(1271)의 내부로 복귀된 상태가 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a)의 분해 사시도이며, 버튼(1276)에 형성된 가이드홈(128)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a)의 가이드홈(128)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a)의 가이드홈(128)은 하나의 버튼하강홈(1283)과 하나의 버튼상승홈(1284)를 포함한다. 또한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고,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가이드홈(128)이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태를 가진다.
또한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버튼(1276)을 상승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1 안착면(128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안착면(1281)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1 가이드돌기(1285)가 제1 안착면(1281)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과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이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우측으로) 이격된다.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276)을 하강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2 안착면(128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안착면(1282)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2 가이드돌기(1286)가 제2 안착면(1282)을 향해 돌출된다.
제2 안착면(1282)의 양측에는 제3 가이드돌기(1282a)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각각 상부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3 가이드돌기(1282a)가 되고,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된다.
또한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양측에는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이 각각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경계가 제2 가이드돌기(1286)가 된다.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은 버튼하강홈(1283)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은 버튼상승홈(1284)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과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이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첨단부에서 타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과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이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에서 타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과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이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에서는,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은 제1 가이드돌기(1285)로부터 도면상 우측으로 이격되는데 반하여,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 및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은 각각 제2 가이드돌기(1286), 제3 가이드돌기(1282a) 및 제4 가이드돌기(1282b)에 대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버튼(1276)이 하강할 때 회전하는 방향과 상승할 때 회전하는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사용자가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1276)은 소정 각도 내에서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격리통유닛(140)은 도 1,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과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147)을 구비하며, 위쪽으로 개구되어 배설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1)가 형성된다.
투입구(141)는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145), 내벽(146) 및 양 측벽(148)에 의해 둘러싸이며, 외벽(145), 내벽(146) 및 양 측벽(148)은 모두 저장공간(147)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된다. 외벽(145)의 바깥측에는 손잡이(143)가 결합되고, 내벽(146)에는 유입포트(142)가 결합된다.
유입포트(142)는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였을 때 하부유닛(130)의 집수벽(1322)에 설치된 배수포트(135)에 결합되어 집수벽(1322)에 가두어진 소변이나 물을 유입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배수포트(135)는 집수벽(1322)을 관통하여 설치된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축(1351)과, 관체의 내부에서 축(1351)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1353)와, 축(1351)의 배수판(132)쪽 일단에 결합되어 관체를 개폐하는 마개(1357)와, 축(1351)의 타단과 축지지부재(1353)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55)을 포함한다.
스프링(1355)은 마개(1357)를 관체쪽으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하부유닛(130)에서 격리통유닛(140)이 분리되더라도 배수포트(135)를 통해 배설물이나 세척수가 새지 않게 된다.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는 투입구(141)의 내벽(146)을 관통하여 설치된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축(1421)과, 관체의 내부에서 축(1421)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1423)와, 축(1421)의 투입구(141)쪽 일단에 결합되어 관체를 개폐하는 마개(1427)와, 축(1421)의 타단과 축지지부재(1423)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425)을 포함한다.
스프링(1425)은 마개(1357)를 관체쪽으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서 분리한 경우에 내부의 오물이 유입포트(142)를 통해 새지 않게 된다.
유입포트(142)의 관체는 내벽(146)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배수포트(135)의 관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면, 유입포트(142)의 관체가 배수포트(135)의 관체로 삽입되면서 유입포트(142)의 축(1421)과 배수포트(135)의 축(1351)이 서로 밀게 된다.
격리통유닛(140)을 계속 밀어 넣으면, 유입포트(142)의 축(1421)과 배수포트(135)의 축(1351)이 서로 반대로 밀리면서 유입포트(142)의 마개(1427)와 배수포트(135)의 마개(1357)가 관체로부터 분리되어 유로가 형성된다.
이렇게 유로가 형성되면,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을 통해 흘러내린 배설물 또는 세척수가 배수포트(135)와 유입포트(142)를 거쳐 격리통유닛(140)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으로부터 분리하면, 유입포트(142)와 배수포트(135)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1425,1355)에 의해 각 마개(1427,1357)가 관체에 밀착되어 유로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면 유입포트(142)의 관체가 배수포트(135)의 관체 내부로 삽입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배수포트(135)의 관체가 유입포트(142)의 관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부유닛(130)에서 빼낸 격리통유닛(140)에는 손잡이(14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잡이(143)를 잡고 격리통유닛(140)을 운반하여 내부의 오물을 버릴 수 있다.
그런데 하부유닛(130)에서 빼낸 격리통유닛(140)은 투입구(141)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운반 중에 오물이 출렁거려 외부로 튀거나 실수로 손잡이(143)를 놓쳐서 오물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에 격리통덮개(149)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통덮개(149)는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구(14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덮개부(1491)와, 덮개부(149)를 격리통유닛(140)에 결합하기 위하여 덮개부(149)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1497), 덮개부(149)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배출구(1493), 배출구(1493)의 입구에 장착된 마개(149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입구(141)의 양 측벽(148)에 격리통덮개결합홈(1481)을 형성하고, 덮개부(149)에 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497)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격리통덮개결합홈(141)과 결합부재(1497)의 구체적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덮개부(149)의 내측면에는 투입구(141)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부분에 패킹(149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1495)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개(1495)와 덮개부(149), 또는 마개(1495)와 배출구(1493)를 유연성 재질의 연결부재로 연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유닛(130)에서 빼낸 격리통유닛(140)에 격리통덮개(149)를 장착한 상태에서 손잡이(143)를 잡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마개(1495)를 분리한 상태에서 배출구(1493)를 통해 오물을 보다 안전하게 버릴 수 있다.
한편 격리통 덮개(149)의 배출구(1493)를 통해 오물을 버리는 경우에는 밀폐된 저장공간(147)의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감소하면서 오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유입포트(142)에 설치된 스프링(1425)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선택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저장공간(147)의 내부압력과 대기압의 차이가 스프링(1425)의 복원력보다 커지면 마개(1427)가 열리면서 저장공간(147)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차가 해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은 수캐가 다리를 들고 소변을 누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네트형 벨트(126)의 후방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네트형 벨트(126)에 대해 상당한 높이로 돌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하단부는 상부유닛(110)의 에지커버(114)에 거치되고 후면은 기관실커버(111)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배뇨판(151)과, 배뇨판(151)의 가로방향의 양 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소변이 바깥으로 튀는 것을 막아주는 차수판(15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배뇨판(151)에 소변을 누면 배뇨판(151)을 세척할 필요가 있으므로 배뇨판(151)을 세척하는 수단도 구비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배뇨판(151)의 주변에 노즐을 설치하고 애완견이 소변을 누면 노즐에서 배뇨판(151)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직접 분사방식은 배뇨판(151) 전면에 걸쳐 고르게 흘러 내리도록 물을 분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분사압력으로 인해 물이 튈 염려가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 집수부(153)를 형성하고 집수부(153)로 공급된 물을 배뇨판(151)의 정면 상단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시켜 배뇨판(151)을 세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뇨판(151) 상단의 배출구(152)를 통해 물을 배출하면 물이 부착력에 의해 배뇨판(151)의 전면에 고르게 퍼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리게 되므로 물이 튈 염려가 없고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42(a)는 소변가이드 유닛(150) 중앙의 세로방향 절단면에서 좌측으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2(b)는 우측으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는 정면의 배뇨판(151)과 후방플레이트(1512)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의 수평격벽에 의해 하부공간과 구획되는 집수부(153)가 형성된다. 후방플레이트(1512)에는 기관실 커버(111)의 상면에 거치되는 걸림턱(15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는 물공급관(159)이 설치되며, 물공급관(159)의 하단은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 구비된 연결구(1248)에 결합된다. 물공급관(159)의 상단은 집수부(153)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물공급관(159)을 통해 집수부(153)로 공급된 물은 배출구(152)를 통해 배뇨판(151)의 정면으로 배출되어 배뇨판(151)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부(153)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되어야만 배출구(152)로 물이 배출되도록 소변가이드 유닛(150)에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집수부(153)의 일측에 상승유로(154)를 형성하고, 상승유로(154)의 상단과 배출구(152)를 하강유로(155)로 연결한다. 이때 상승유로(154)의 상단은 배출구(152)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하며, 집수부(153)에 대기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집수부(153)의 천정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홀(158)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물이 채워지기 전에는 배출구(152)로 물이 배출되지 않지만, 그 이상으로 물이 채워져 하강유로(155)를 통해 물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사이펀(Siphon)의 원리 때문에 상승유로(154)의 하단입구가 드러날 때까지 집수부(153)의 물이 계속 배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면 배출구(152)를 개폐시키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어장치는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채워질 정도의 물을 집수부(153)에 정량 공급하면 된다.
배출구(152), 상승유로(154), 하강유로(155) 등의 형상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집수부(153)의 물이 계속 배출되더라도 상승유로(154)의 하단 입구가 드러나면 더 이상 배출되지 않으므로 집수부(153)의 바닥에는 항상 소량의 물이 남아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세우면, 아래쪽으로 모인 물이 배출구(152)를 통해 흘러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42(b)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유로의 일측에 차수벽(15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상승유로(154)의 우측단에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차수벽(157)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차수벽(157)은 하강유로(15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승유로(154) 또는 하강유로(155)의 우측단에 차수벽(157)을 형성하면, 도 13과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이 세워져 집수부(153) 내부의 물이 아래쪽으로 모이더라도 차수벽(157)에 막혀 배출구(152)로 새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하부유닛(130)의 컨베이어거치대(136)에 컨베이어유닛(120)을 올려 놓고 그 상부에 상부유닛(110)을 결합하고, 상부유닛(110)에 구비된 후크(119)를 하부유닛(130)의 후크걸림턱(139)에 걸어서 고정한다.
이어서 격리통유닛(140)을 상부유닛(110)의 좌측 입구(12)를 통해 삽입하여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으로 밀어 넣고, 상부유닛(110)의 입구(12) 양측에 구비된 격리통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여 격리통유닛(140)의 외벽(145)의 양측을 지지한다.
이 과정에서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배수포트(135)와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가 결합되면서 배수판(132) 상부와 격리통유닛(140)의 저장공간(147) 사이에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애완견이 네트형 벨트(126)에 올라가면 제어장치(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음)는 감지센서(116)를 통해 애완견을 감지하여 카운팅을 시작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고 감지센서(116)를 통해 더 이상 애완견이 감지되지 않으면 애완견이 배설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
배설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장치는 커버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격리통커버(113)를 회전시켜 투입구(141)를 노출시킨다.
이어서 롤러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를 회전시키며, 구동롤러(121)가 회전함에 따라 하중지지대(125) 상부에서 네트형 벨트(126)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네트형 벨트(126)에 놓인 배설물은 투입구(141)로 투입된다. 이때 투입구(141) 주변에 설치된 깔때기(134)의 블레이드가 네트형 벨트(126)로부터 배설잔여물까지 깨끗하게 분리한다.
한편,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가 회전하면, 제어장치는 펌프를 제어하여 세척실의 노즐(192)를 통해 세척롤러(122)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하중지지대(125)의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해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한다.
그리고 네트형 벨트(126)가 반바퀴 회전하여 배수판(132)의 상부에 도달하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한 물 분사를 중단하고,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해 물을 잠시 동안 분사한다. 이때에도 세척실의 노즐(192)은 계속 물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네트형 벨트(126)가 완전히 한바퀴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면, 세척실의 노즐(192)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한다. 노즐(192)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하더라도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를 계속 회전시켜서 세척롤러(122)의 브러시로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잔여 세척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벽(1322)의 양측에 설치된 노즐(190)은 컨베이어거치대(136)의 하부를 세척한다. 이 노즐(190)의 분사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롤러(121)가 동작하는 초기에 분사할 수도 있고, 네트형 벨트(126)가 반바퀴 회전한 후에 분사할 수도 있고, 네트형 벨트(126)가 한 바퀴 회전한 후 세척롤러(122)가 노즐(192)의 물 분사 없이 동작하여 네트형 벨트(126)의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이후에 분사할 수도 있다.
한편 격리통커버(113)는 배설물이 투입구(141)로 낙하한 후에도 네트형 벨트(126)가 대략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형 벨트(126)가 반 바퀴 회전하면, 하중지지대의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에서는 물 분사가 중단되지만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서 하중지지대(125) 세척을 위한 물 분사가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네트형 벨트(126)의 홀에 응집된 물이 깔때기(134)를 통해 투입구(141)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세척 과정에서 분사된 물 등은 배수판(132)을 따라 흘러내려 집수벽(1322)의 일측에 모인 후에 하부유닛(130)의 배수포트(135)와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를 통해 격리통유닛(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제어장치는 이러한 세척 과정을 마친 이후에, 세척실커버(112)의 바깥측에 장착된 팬(170)을 동작시켜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내부를 강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격리통커버(113)에 설치된 살균램프(180)를 계속 또는 주기적으로 점등하여 격리통유닛(140)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수벽(1322)에 설치된 살균램프(182)를 점등하여 배수판(132)의 상면과 주변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배뇨판(151)에 소변을 눈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는 펌프(1314)를 제어하여 물공급관(159)을 통해 집수부(153)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며,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물이 채워지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대부분의 물이 배출구(152)을 통해 배출되어 배뇨판(151)을 세척하게 된다.
배뇨판(151)을 세척한 물은 네트형 벨트(126)을 통과하여 배수판(132)으로 유입된 후 배수포트(135)를 통해 격리통유닛(140)으로 유입된다.
제어장치가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배뇨판(151)에 소변을 눈 것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배뇨판(151), 차수판(156) 또는 주변에 소변감지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Claims (40)

  1. 일측으로 개구되며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 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형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는 관통부와, 상기 세척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실 커버와, 상기 세척실 커버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강제건조를 위하여 상기 세척실 커버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상부유닛
    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 유닛의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 커버와, 상기 격리통 커버에 설치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벽은 상기 종동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을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내벽에서 각각 상기 배수판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컨베이어 거치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벽에는 상기 배수판의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의 상부에 거치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세로살대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각 세로살대에서 가로살대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로살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대는 다수의 세로살대와,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결합된 다수의 가로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수단은, 상기 다수의 가로살대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의 세로살대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물공급파이프와, 상기 각 물공급파이프에서 가로살대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로살대의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대 세척용 노즐은 가로살대의 하부에서 가로살대의 중심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살대의 외주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와, 상기 하중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네트형 벨트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의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는 소변가이드 유닛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은,
    내부에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상기 네트형 벨트를 향하는 쪽에 배뇨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뇨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배뇨판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차수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뇨판에는 상기 집수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내부에는, 하단은 상기 집수부와 연통하고 상단은 상기 배출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상승유로와, 상기 상승유로의 상단과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하강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의 물이 사이펀(Siphon)의 원리에 의해 상기 배뇨판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로 또는 상기 하강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소변가이드 유닛의 일 측단과 연결된 차수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5. 일측으로 개구되며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이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양측에는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가 각각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유닛
    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각각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는 각각 측면커버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각 측면커버는, 타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각 측면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절개부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격리통 유닛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서 상기 수직축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면의 모서리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과 상기 격리통유닛의 외벽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외측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바닥의 외측 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수직축과 인접하여 돌출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외측 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유닛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는, 상기 하부유닛의 대향하는 내벽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상단에는 상기 격리통커버에 결합된 커버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거치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부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단은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깔때기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에 대응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은 관통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테두리에서 제1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의 상단에 거치되고, 제2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벽은 상기 네트형벨트가 감기는 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외측에는 상기 곡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롤러대향면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대향면의 상단에는 뾰족한 블레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의 상면의 내측단과 연결된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내벽이 삽입되는 내벽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외벽이 삽입되는 외벽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제1 가로방향 테두리와 제2 가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한 쌍의 측벽이 각각 삽입되는 측벽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결합홈의 선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내부에서 제1 축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관체를 개폐하는 제1 마개와, 상기 제1 마개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통유닛은,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는 일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관체와 다른 직경을 갖는 제2 관체와, 상기 제2 관체의 내부에서 제2 축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축과, 상기 제2 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관체를 개폐하는 제2 마개와, 상기 제2 마개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입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통유닛을 상기 하부유닛의 수납공간에 삽입하면, 상기 제1 축의 타단과 상기 제2 축의 타단이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마개와 상기 제2 마개가 각각 관체로부터 분리되어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격리통유닛의 탈부착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유닛에는 상기 다수의 바퀴와 같은 높이의 받침부가 돌출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에서 상기 격리통 유닛을 분리하였을 때 상기 격리통 유닛의 투입구에 결합되는 격리통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통 덮개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상기 격리통유닛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배치된 세로프레임과,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베어링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된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에 결합된 베어링하우징;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벽 상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된 후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축삽입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바;
    상기 텐션조절바의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
    상기 텐션조절바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바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스프링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스프링걸림턱에 거치되는 제1 스프링;
    상단에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큰 직경의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을 관통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버튼하강홈, 버튼상승홈,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버튼상승홈의 하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안착면,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버튼상승홈의 상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안착면, 상기 제1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안착면을 향해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 상기 제2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안착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하강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1 상부가이드면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2 상부가이드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홈;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2 안착면에 교대로 놓여지는 버튼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버튼하강홈은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의 경사를 가지며, 다수의 상기 버튼상승홈과 다수의 상기 버튼하강홈이 상기 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1 가이드돌기에 대해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2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하강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3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4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하단이 연결되어 폐루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1 가이드돌기에 대해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2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방향 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하강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3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4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PCT/KR2015/013426 2014-12-22 2015-12-09 애완견용 화장실 WO20161049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38,758 US20180014509A1 (en) 2014-12-22 2015-12-09 Toilet for pet do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57A KR101674270B1 (ko) 2014-12-22 2014-12-22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2014-0186457 2014-12-22
KR1020150039246A KR101712260B1 (ko) 2015-03-20 2015-03-20 애완견용 화장실
KR10-2015-0039246 2015-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996A1 true WO2016104996A1 (ko) 2016-06-30

Family

ID=5615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426 WO2016104996A1 (ko) 2014-12-22 2015-12-09 애완견용 화장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014509A1 (ko)
WO (1) WO20161049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754A (zh) * 2016-08-19 2016-11-16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节水无异味旋转马桶
CN108617517A (zh) * 2018-05-09 2018-10-09 迟子尧 一种环境友好型猫厕所
CN113273501A (zh) * 2021-06-24 2021-08-20 尚立学 一种宠物用品排泄清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43929B1 (es) * 2014-01-21 2016-03-01 Mikel-john Kuno GEELEN Plataforma para cuidados y atención a mascotas
JP6482982B2 (ja) * 2015-07-31 2019-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CN109315298A (zh) * 2018-11-26 2019-02-12 华兴宠物食品有限公司 狗粮实验检测用自清洁狗笼
RU2752274C1 (ru) * 2020-11-03 2021-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крафт"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экскрементов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с его помощью
RU2757461C1 (ru) * 2020-11-03 2021-10-18 Иван Андреевич Заводсков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CN112704014B (zh) * 2020-12-25 2022-05-31 诸暨市蓝了电子科技有限公司 便携式宠物厕所系统及使用方法
CN113179960B (zh) * 2021-04-28 2022-10-04 太原市农业综合行政执法队 一种基于环保用诱导宠物集中粪便收集处理装置
USD998259S1 (en) * 2021-07-12 2023-09-05 Sebastian Waddell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008U (ja) * 2002-06-26 2003-01-17 アイケイ商亊株式会社 糞尿固液分離装置
JP2004242512A (ja) * 2003-02-10 2004-09-02 Idota Shoten:Kk 犬用トイレ
KR101157038B1 (ko) *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30028819A (ko) * 2011-08-11 2013-03-20 곽진호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20140003289A (ko) * 2012-06-29 2014-01-09 김용수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008U (ja) * 2002-06-26 2003-01-17 アイケイ商亊株式会社 糞尿固液分離装置
JP2004242512A (ja) * 2003-02-10 2004-09-02 Idota Shoten:Kk 犬用トイレ
KR20130028819A (ko) * 2011-08-11 2013-03-20 곽진호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157038B1 (ko) *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40003289A (ko) * 2012-06-29 2014-01-09 김용수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754A (zh) * 2016-08-19 2016-11-16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节水无异味旋转马桶
CN108617517A (zh) * 2018-05-09 2018-10-09 迟子尧 一种环境友好型猫厕所
CN113273501A (zh) * 2021-06-24 2021-08-20 尚立学 一种宠物用品排泄清理装置
CN113273501B (zh) * 2021-06-24 2023-09-08 南京茂升德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用品排泄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14509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4996A1 (ko) 애완견용 화장실
WO2010128813A2 (ko)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209020A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WO2016208906A1 (ko) 살균 장치
WO2015133798A1 (en) Washing machine
WO2015008943A1 (ko) 전기밥솥
WO2021080144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O2022010198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17074140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0090372A1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WO2022075718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22019401A1 (ko) 노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WO2017074126A1 (ko) 가습청정장치
WO2023136580A1 (ko)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WO2022191397A1 (ko) 이동형 공기 유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102355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8124713A1 (ko) 포충기
WO2022010335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19045210A1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WO2024181809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200077A1 (ko) 곡물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200076A1 (ko) 곡물세척장치
WO2024035180A1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
WO2024191089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24167133A1 (ko) 청소기,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5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38758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5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