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819A -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819A
KR20130028819A KR1020110080334A KR20110080334A KR20130028819A KR 20130028819 A KR20130028819 A KR 20130028819A KR 1020110080334 A KR1020110080334 A KR 1020110080334A KR 20110080334 A KR20110080334 A KR 20110080334A KR 20130028819 A KR20130028819 A KR 2013002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excrement
roller
cov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177B1 (ko
Inventor
곽진호
Original Assignee
곽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호 filed Critical 곽진호
Priority to KR102011008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1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견의 배설물을 적시에 처리 격리 하고 공기와 접촉하는 배설면을 포함한 배설물 이동로 까지 세척 하여 애견과 견주의 위생과 편리를 위한 것으로 네트형 벨트에 세척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 상단에는 네트형 벨트와 세척롤러의 상충면에 물이 공급되는 노즐이 있고 상기 컨베이어의 하단에는 수평경사의 배수판을 두고 배수판 경사로 아래에는 댐과 밑으로 이어져 돌출하는 배수관을 두며 상기 컨베이어 이송 낙하지점과 근접하며 상기 배수판의 배수관에 결합되는 투입구와 유입관을 가지고 있는 배설물 격리통을 두어 배설물을 수용한다.
상기 투입구는 외부공기를 차단하기위한 격리통 덮개로 차단된다.
상기 노즐의 물공급과 컨베이어의구동 ,격리통덮개의 개구는 애견의 배설을 센서가 감지하면 동시에 작동 한다.

Description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Automatic dog water closet}
본 발명은 애견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설물을 자동으로 치움과 동시에 세척하며, 배설물을 격리 함으로서 배설물과 공기와의 접촉이 적어 견주의 사정상 즉시 처리치 못하는 경우에도 애견과 견주에게 편리성과 위생,청결을 제공하는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애견화장실은 대변을 걸러주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넓은 배변판과, 배변판의 다수의 구멍으로 흘러내린 소변이 담기는 넓고 낮은 쟁반모양의 소변판으로 구성된 화장실이있으며, 깔아두는 패드로 된 일회성 화장실이 있는데 상단면에 대변이 놓이고 , 패드내부로는 흡수 충전재가 있어 소변을 흡수하고 패드 바닥면은 방수막이 되어있어 흡수된 소변으로인한 실내바닥의 직접적인 오염을 막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전자는 배설물이 노출되어있어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암모니아의 실내로의 확산을 막으려면 배설 즉시 배변판과 소변판을 이동하여 세척하여야하며 이동시 소변이 많은경우 소변판이 넓고 낮아 소변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다. 대변만 본 경우에는 배변판위에 배설물을 휴지로 집어 처리 하거나 배변판을 이동해 세척한다. 혹 애견의 사정상 묽은 대변을 본 경우라면 배설물 일부가 배변판의 구멍으로 끼게 되어 애로사항이 된다.
상기 후자는 대변은 상기전자와 동일하나, 소변은 패드내로 흡수되어지는데 제품에 따라 방향성분과 항균기능이 있어 소변으로 인한 실내 오염을 막고 처리역시 간편하여 대변과 흡수된 소변을 패드와 싸서 버리기만 하면된다.
허나, 방향제와 항균 기능은 오래가지 못하고, 소변량이 많은경우 흡수량의 한계를 넘어 상단면인 배설면이 젖어 애견의 발이 오염되어 실내바닥의 오염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교체하여야 하기에 견주에게는 지속적인 지출과 크게는 자원의 낭비와 쓰레기 문제도 심각하다 할것이다 .
애견 화장실의 배설면에 대변이 방치 되어있거나 젖어있다면 애견이 배설 실수를 하는 일도 잦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애견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적시에 처리하면서 배설면과 배설물의 이동로 까지도 효과적으로 수세척 하고, 배설물을 격리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단절함으로 위생과 청결, 편리성을 널리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위한 본발명은 배설물중 대변은 이송시키고, 소변은 빠져 흐르는 네트 형식에 벨트에 세척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어와; 복층구조로 상층은 상기 컨베이어와 비슷한 면적에 수평경사의 배수판으로 배수판 경사로끝엔 댐과 바닥면엔 배수구가 있으며, 배수판 양측면에는 거치대가 있어 상기 컨베이어가 배수판과 근접하여 수평으로 안착된다.
하층은 입구에 상층에서 이어져 내려온 배수관이 매달려 있으며, 상층과 동일한 면적을 갖으나 높이는 낮은 수납구 이다.
상기 복층의 측면엔 복층을 가로지르는 높이와 배수판보다 긴 통로를 가지는 공간이 형성되어있어 구동 모터와, 모터펌프, 물공급통, 전자석이 설치되는 기관실이다. 상기 배수판과, 수납구,기관실을 포함하는 하단상자와; 이번 구성물은 배설물 격리통이다. 격리통은 직사각형의 기둥형 통을 'ㄴ' 형으로 접어 놓은 형태이며 상단면인 대변 투입구 부가 수평 경사로 상기 컨베이어에 대변의 이송 방향인 종동롤러의 낙하 지점 면에 근접 상면 하고, 소변은 유입부를 달리하여 상기 하단상자의 수납구와 만나는지점에 유입관이 있어 상기 하단상자의 수납구에 매달려 있는 배수관과 결합된다. 더블어 상기 배설물 격리통 하단면 전체가 상기 수납구로 정확히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배설물 격리통과; 끝으로 상단 덮개로 구성된다.
상단덮개에는 배설물 격리통의 대변 투입구를 계폐하는 격리통 덮개와, 컨베이어밸트 측면을 덮는 안전덮개, 세척롤러의 상단을 덮는 노즐을 포함한 세척롤러덮개, 하단상자의 기관실을 덮는 기관실 덮개와 일체로 되어있다.
기관실 덮개에는 상기컨베이어를 바라보는 측면에 센서가 부착되어 애견을 감지하고 상기 애견화장실을 제어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이 주는 효과는 적시에 배설물을 이송 격리 하여 실내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고, 항상 깨끗한 배설면과 공간확보를 해주어 애견의 배설실수를 줄여 주므로 견주에게 배설물을 바로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합니다. 배설물 격리통 이동 처리시에도 배설물 투입구만 개방 되어 있어 이동경로상 배설물이 출렁이거나, 굴러서 실내를 오염시키는 실수도 적어질 것이며, 배설물 격리통 이동처리중 애견이 배설을 해도 배수관에 스프링 마개가 있어 배설물이 흐르지 않고 배설면과 배수판에 머물러 있어 걱정이 없습니다. 또한 물공급통에 기호에 따라 비자극성의 방향제나 세정제를 첨가 할수도 있어 더욱 깨끗한 사용이 될수있습니다.
현재 배설물 관리로 인한 견주의 스트레스로 버려지는 유기견도 많다고 합니다. 유기견 으로 인한 국가적인 손실로 연간 수십억원 이나 된다고 하는데 본 발명으로 인해 견주의 스트레스를 덜어주어 버려지는 애견이 줄어 들것 이라고 믿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을 도시한 대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을 도시한 분리 상태도.
도 3은 상단 덮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격리통의 덮개의 개폐원리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컨베이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컨베이어 작동원리 구조도와 세척 노즐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세척롤러의 교체및 탈착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컨베이어의 종동롤러와 하중지지대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하단 상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배설물 격리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1의 Ⅰ-Ⅰ선 단면도.
도 12는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을 도시한 대표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을 도시한 분리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500)은 도 2의 상단덮개(110), 컨베이어(120), 하단상자(130), 배설물 격리통(140)으로 구성 되어 지며, 하단상자(130)에 컨베이어(120)가 안치되고, 하단상자(130)와 컨베이어(120)를 상단덮개(110)가 덮으며 배설물 격리통(140)이 하단상자(130)의 내부 최하단면에 수납되어 본 발명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500)이 된다.
구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컨베이어(120) 는 'ㄷ' 형의 강재에 나머지 구성물을 수용, 고정 하기 위한 안착 구멍(25h)과 덮개(25c), 볼트(B)를 가진 컨베이어 뼈대(25) 에 안쪽부터 세척롤러(22), 종동기어(25g), 구동롤러(21), 하중지지대(26),종동롤러(23) 를 설치하고, 구동롤러(21) 와 하중지지대(26),종동롤러(23 )에 네트형 벨트(24)를 적정 장력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하중지지대(26)는 벨트의 상부 이면에 조금의 간격을 두고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21)는 외부에서의 동력을 받기위해 축(21a)이 상기 컨베이어 뼈대(25)의 외부로 돌출 되어 설치 된다.
상기 구동롤러(21)와 세척롤러(22)의 축(21a,22a)에는 각각 구동기어 (21g)와 종동기어(22g)가 일체로 되어있다. 세척롤러(22)는 축(22a) 중간이 양분되어 한축(22a)은 외경이 일정길이로 절삭되어있고 한축(22a)은 깊이와 내경이 일부 절삭되어 절삭 공간에 스프링을 두어 축(22a) 과 축(22a)이 결합하고 결합한 축(22a) 외면에 교체 가능한 관형식의 세척솔(22b) 로 구성하여 세척롤러(22)의 탈착과 세척솔(22b)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의 컨베이어(120)는 구동롤러축(21a)에 동력이 전달되면 구동롤러(21)와 네트형 벨트(24) 그리고 종동롤러(23)가 회전 하며, 세척롤러(22) 역시 구동롤러 축(21a)의 구동기어(21g) 에서 상기 컨베이어 뼈대(25) 내에 설치된 종동기어(25g)를 거쳐 세척롤러(22)의 종동기어(22g)에 전달되어 회전한다.
그로인해 네트형 벨트(2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네트형 벨트(24)와 세척롤러(22)의 접지면이 상충되어 세척이 이루어진다. 또한 동력전달시 기어비를 주어 구동롤러(21) 보다 세척롤러(22)의 회전수를 많게하여 세척이 더욱 뛰어나게 한다. 다음은 상기 하단상자(130)를 설명하고자 한다 하단상자(130)는 크게 배수판(34), 수납구(33), 기관실(31)로 나뉜다.
상기 하단상자의 형상은 복층구조로 상, 하층의 안착공간이 있으며 더하여 복층을 가로 지르는 높이의 안착공간이 측면에 자리한다.
상기 하단상자(130)의 층간 상면은 배수판(34)이며 고루 낙수가 흐를수 있게 하기 위한 수평 경사를 이룬다. 상기 배수판(34)의 경사로 끝에는 외면은 평평하고 내면은 배수판(34) 바닥면에 고루 흐르는 낙수를 경사로 끝면 중간에 모이게 가두는 형태의 댐(34d)이 있으며 댐(34d) 바닥면으로는 모아 가두어 놓은 낙수를 배수 하기 위한 배수구(32h)가 있다. 배수판(34) 양측면에는 컨베이어 거치대(35)가 있어 상기 컨베이어(120)의 종동롤러(23)를 상기 배수판(34)의 댐(34d) 방향으로 두어 배수판(34)과 근접하여 수평으로 안착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20)의 돌출된 구동롤러축(21a)의 안착지점 벽면에는 동력전달 구멍(37)이 있어 구동롤러축(21a)이 정확히 안착되어 추후 설명할 기관실 내로 돌출하여 기관실 내의 구동모터(M)에 동력전달 면과 정확히 일치한다.
그리고, 복층구조의 상기 하단상자(130)의 하층은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이 안착되는 수납구(33)이다. 상기 수납구(33)의 입구에는 상기 층간 상면인 배수판(34)의 배수구(32h)가 이어져 내려온 배수관(32)이 층간 하면 입구에 매달려 있으며, 배수관(32) 내에는 스프링과 마개가 있어서 상기 배설물 격리통과 결합시에만 개구된다. 수납구(33)는 깊이와 면적이 상기 배수판(34)과 동일하며, 입구는 낮지만 상기 층간 상면인 배수판(34)의 경사로인해 안으로 들어 갈수록 층간 하면이 다소 높아지며, 수납구(33) 안 끝면 에는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이 안착시 고정해주는 걸이(38)가 있다. 고정하는 위치는 수납구(33)에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이 안착 되어지면 남는 상기 배수판(34)의 경사로 인한 공간을 활용하여 고정하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상기 하단 상자(130)의 복층의 측면에 자리하며 복층을 가로지른 높이의 안착공간은 기관실(31)이다. 상기 배수판(34)과 ,컨베이어(120)보다 긴 통로의 형태이며 상기의 컨베이어(120)의 구동롤러축(21a)이 내벽에 돌출되어있다.
상기 기관실(31) 내부에는 상기 컨베이어(120)에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M)가 있고, 상기 컨베이어(120)의 세척롤러(22)에 물공급을 하기위한 모터펌프(P)와, 물공급통(36)이 자리하며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20)에 종돌롤러(23)의 부근에는 전자석이 자리한다. 전자석은 추후 설명할 상기 상단덮개(110)에 포함되는 격리통 덮개(13)를 구동하기위해 자리한다.
이번에는 상기 상단덮개(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단덮개(110)는 상단에서 내려보면 중앙이 개부되어있는 직사각형의 덮개이며,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 하기 위해 자동으로 개폐하는 격리통 덮개(13) 와 상기 하단상자(130)의 기관실(31)을 덮는 기관실 덮개(11), 상기 기관실 덮개(11)의 측면과 맞은편에 마주하며 길게 자리하는 컨베이어 안전덮개(14) 와 상기 컨베이어(120)의 세척롤러(22) 덮개인 세척롤러덮개(12) 로 구성된다. 상기 격리통 덮개(13)는 하면에 패킹(18)이 있으며, 격리통 덮개(13)의 축(13a)이 상기 기관실 덮개(11)의 내부로 이어져 피니언(13p)이 고정되어있고, 기관실 덮개(11) 내부에 왕복할수있는 상자에 래크(11L)를 가두어 부착해 피니언(13p)과 맞닿아 있다. 격리통 덮개(13) 축(13a)의 끝에는 코일형 태엽 스프링(13s)이 축(13a)과 기관실 덮개(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래크(11L)는 전체가 금속 혹은 일부가 금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단덮개(110)을 덮으면 상기 래크(11L)을 가둔 상자가 상기 하단 상자(130)의 기관실(31) 내의 전자석(31e)에 근접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상기 상단 덮개(110)의 격리통 덮개(13)가 열리고 자력이 끊기면 닫히게 된다. 상기 격리통 덮개(13)의 개폐 각도가 적정 하기위해 래크(11L)의 왕복운동 공간이 한정되어있다.
상기 격리통 덮개(13)는 태엽 스프링(13s)의 유무와 관계없이 하중만으로도 닫히는 각도로 되어있다.
상기 상단덮개(110)의 기관실 덮개(11)는 상기 하단상자(130)의 기관실(31)을 덮는 덮개로서 상기 격리통 덮개(13)을 구동키위한 태엽 스프링(13s)이 장착된 피니언(13p) 축(13a)과 래크(11L)가 자리 하고 있고, 상기 하단상자(130)의 기관실(31)내 물공급통(36)의 돌출된 입구를 상기 기관실 덮개(11)의 상단면에 내어놓기위한 물통 목 삽입구(16)가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설면인 네트형 벨트(24) 상부면을 바라보는 상기 기관실 덮개(11) 측면에는 애견을 감지하여 상기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500)을 제어하는 센서가 자리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상자(130)의 기관실(31)에 자리한 물공급통(36)과 모터펌프(P)를 거쳐 연결된 물공급호스(31h)를 결합 하기 위한 상기 세척롤러 덮개(12) 내의 노즐(17n)이 기관실 덮개(11) 내로 돌출해있다.
상기 컨베이어 안전덮개(14)는 상기 기관실덮개(11)의 외측면에 자리하며 상기 컨베이어(120) 네트형 벨트(24)의 양측 상부면을 일정간격으로 덮어주는 안전덮개 이며 길이는 네트형 벨트(24)의 이송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컨베이어 안전덮개(14)의 하단면 에는 상기 컨베이어 뼈대(25) 상부를 덮어 고정하는 컨베이어 고정대(15)가 있으며 컨베이어 고정대(15)의 길이는 컨베이어 뼈대(25)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세척롤러 덮개(12)는 상기 컨베이어(120)의 세척롤러(22) 상단을 덮는 덮개이며, 반원의 기둥을 눕혀 덮어 놓은 형태이다. 세척롤러 덮개(12) 내부 상단에는 물을 뿌려주는 노즐(17n)이 있으며 두개의 노즐걸이(17)에 착탈 가능하게 길게 자리하여 상기 상단상자(110)의 기관실 덮개(11)내로 일부 연결되여 돌출 되어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노즐(17n)이 상기 기관실 덮개(11)내로 연결되는 구멍에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둥근 패킹이 부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20)가 안착한 상기 하단상자(130) 에도 상기 상단덮개(110)와 일치하는 면에 패킹이 부착 되어있다.
이제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에 대한 설명이다. 배설물 격리통(140)은 직사각형의 밑면이 막힌 기둥의 통을 'ㄴ' 형으로 접어 놓은 형태이며, 애견의 배설물중 대변과 소변의 투입,유입부를 달리하는 육면 이상의 다면체로 이루어진 배설물 격리통(140) 이다.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은 부위에 따라 투입구(43),안내판(41)과, 유입관(40), 착탈식 걸이(44)로 구성 된다.
상기 투입구(43)부는 수평 경사이며, 경사의 아래면이 상기 컨베이어(120) 의 이송방향인 종동롤러(23)의 낙하 지점면에 근접 해서 자리한다.
상기투입구(43)의 경사 아래면은 대변의 낙하로를 넓게확보 위함이며,경사 윗면은 대변의 이탈을 막기 위한 구조로 된것이며, 넓이는 상기 컨베이어(120)와 동일하다.
상기 안내판(41)은 상기 컨베이어(120)에 종동롤러(23) 방향으로 이송 하여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의 투입구(43)로 낙하후 남은 대변의 잔여물등을 상기 하단상자(130)의 배수판(34)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판(41)은 상기 투입구(43) 부의 경사 아래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컨베이어(120) 의 네트형 벨트(24)면에 근접하여 감싸며 상기 하단상자(130)에 포함하는 배수판(34)의 댐(34d) 상면을 덮어 내린다.
상기 유입관(41)은 상기 안내판(41)에 중앙 하단의 벽면에 자리하며, 유입관(41)내 중앙에는 콕이 있다. 유입관(41)은 상기 수납구(33)에 위치한 층간 상면 배수구(32h)에서 이어져 내려온 배수관(32)과 결합하며 유입관(41)의 콕이 상기 배수관(32h) 내의 마개축을 밀어 배수관(32h)이 개구 된다. 상기 배수관(32h)은 유입관(41)의 내경에 삽입되며, 배수관(32h)의 외경에는 링형 패킹이 씌워져 있어 기밀을 유지한다. 유입관(41)은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내의 배설물 처리를 위해 이동전에 유입관(41)을 막는 고정덮개(미도시)가 있다. 이는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 내의 배설물을 투입구(43)로 배출시 유입관(41) 으로의 역류를 막기 위함이다.
상기 착탈식 걸이(44)는 상기 하단상자(130)의 수납구(33)에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이 수납될시 수납구(33)의 끝면에 있는걸이(38)와 일치하여 착탈된다.
상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500)의 작동을 설명 하자면 다음과 같다.
애견이 배설면인 네트형 벨트(24)에 오르면 센서(19)가 인식한다.
적정장력의 네트형 벨트(24)가 하중을 받아 벨트(24) 상부 이면에 근접해 있는 하중지지대(26)에 안착되며, 애견이 배설을 하면 대변은 네트형 벨트(24) 면에 남게 되며, 소변은 네트형 벨트면(24)을 통과 하여 배수판(34)으로 낙수하여 댐(34d)으로 모여 배수구(32h)와 배수관(32) 유입관(42)을 통해 배설물 격리통(140) 으로 들어가 소변은 배설물 격리통(140)의 넓은 바닥면에 일부분만 차지하여 퍼진다. 애견이 배설을 마치고 내려가면 하중 지지대(26)에 안착한 네트형 벨트(24)가 복원되어 다시 거리를 둔다.
수초후 전자석(31e)과, 모터펌프(P), 구동모터(M)가 작동하여 전자석(31e)은 짧은순간 자력으로 래크(11L)를 끌어당기어 피니언(13p)과 축(13a)이 움직여 상단덮개(110)가 개구되고, 모터펌프(P)는 물공급통(36) 내의 물을 노즐(17n)에 공급하며 노즐(17n)은 세척롤러(22)와 네트형 벨트(24)의 접지면에 넓게 물을 뿌려준다.
구동모터(M)는 상기 구동롤러축(21a)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롤러(21)와 네트형 밸트(24), 종돌롤러(23)를 구동하고, 세척롤러(22)는 구동롤러축(21a)의 구동기어(21g)로 부터 컨베이어 뼈대(25)의 종동기어(25g)를 거쳐 세척롤러 축(22a)의 종동기어(22g)에 전달되어 세척롤러(22)와 네트형 밸트(24)의 접지면이 상충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세척롤러(22)는 구동롤러(21) 보다 빠르게 회전하여 물과함께 네트형 벨트(24)면을 더욱 깨끗하게 세척한다. 또한 네트형 벨트(24)와 세척롤러(22)의 상충면을 지나온 물은 배수판(34)으로 낙수 하여 수평 경사진 배수판(34)의 전면을 고루 흘러 배수판(34)과, 배수관(32), 유입관(42)을 세척하며 배설물 격리통(140)으로 유입된다.
네트형 벨트(24)면의 수세척과 동시에 이송되는 대변은 낙하지점인 종동롤러(23) 에서 개구된 배설물 격리통(140)의 투입구(43)로 낙하한다. 네트형 벨트(24)면에 배설물 잔여물은 배설물 격리통(140)의 안내판(41)을 지나 세척롤러(22)를 거쳐 세척되어 완벽히 제거되고, 공정을 마치면 초기화 되며, 전자석(31e)의 자력발생이 중단되어 격리통 덮개축(13a)에 태엽스프링(13s)과 격리통 덮개(13)의 하중으로 격리통 덮개(13)가 닫히면서 축(13a)의 피니언(13p)이 회전하며 래크(11L)가 복귀한다. 동시에 모터펌프(P)와 구동모터(M) 역시 전원이 차단되어 컨베이어(120)는 중지되며 노즐(17n)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배설물 격리통(140)내의 배설물중 대변은 가급적 낙하면에 머무르며 소변과 혼합된 물은 전체 바닥면에 고루 퍼져 머므른다.
배설물 격리통(140) 내의 배설물을 처리시에는 상기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500)의 전원을 차단한후 격리통 덮개(13) 아래 보이는 배설물 격리통(140)의 배면을 지긋이 눌렀다가 떼면 착탈식 걸이(44)가 수납구(33) 내의 걸이(38)에서 빠지며 동시에 배설물 격리통(140)을 빼내면 된다. 이때 배수관(32) 내의 마개는 닫히며 배설물 격리통(140) 처리중 애견이 배설을 하면 대변은 네트형 벨트(24) 면에 소변은 배수판(34)의 댐(34d)에 갇혀 머무르게 된다. 이어 빼낸 배설물 격리통(140)의 유입관(42)은 고정덮개(미도시)로 막는다. 이동시 출렁여도 개구부는 높아 실수가 적다. 배설물 격리통(140) 내의 배설물을 처리한 후에는 다시 수납구(33)에 밀어넣으면 격리통 덮개(13), 배수관(32), 걸이(38)에 맞추어지며 안착 된다. 상기 댐(34d)과 배수판(34)내의 소변은 안착과 동시에 배설물 격리통(140) 내로 유입된다. 이후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500)의 전원을 넣어 센서를 감지시켜 네트형 벨트(24) 배설면의 대변을 마무리 짓는다.
배설물 격리통(140)내의 배설물을 처리하여 비운후 에는 물공급통(36)에 물을 가득 채우며, 비자극성 방향제나 클린제를 혼합하여 쓸수도 있다.
혹 컨베이어(120)를 직접 세척 할시에는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600)을 가동시켜 네트형 벨트(24) 면에 직접물을 뿌려주거나, 전원 차단후 간단하게 상단덮개(110)를 열고 컨베이어(120)를 들어내어 청소한다.
500 :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110 : 상단덮개
11 : 기관실 덮개
12 : 세척롤러 덮개
13 : 격리통 덮개
14 : 컨베이어 안전덮개
15 : 컨베이어 고정대
16 : 물통목 삽입구
17 : 노즐 걸이
18 : 패킹
19 : 센서
120 : 컨베이어
21 : 구동롤러
22 : 세척롤러
23 : 종동롤러
24 : 네트형 벨트
25 : 컨베이어 뼈대
26 : 하중 지지대
130 : 하단상자
31 : 기관실
32 : 배수관
33 : 수납구
34 : 배수판
35 : 컨베이어 거치대
36 : 물 공급통
37 : 동력전달 홈
38 : 걸이
140 : 배설물 격리통
41 : 안내판
42 : 유입관
43 : 투입구
44 ; 착탈식 걸이

Claims (9)

  1. 배설물중 대변은 이송시키고, 소변은 빠져 흐르는 다수의 구멍이있는 네트형 벨트(24)에 세척롤러(22)가 구비된 컨베이어어(120), 상기 컨베이어(120)에 하면에 위치하는 낙수가 고루 퍼지게 하기위해 수평 경사졌으며 경사로 아래에 위치한 배수구(32h)와 이어져 돌출한 배수관(32)이 있는 배수판(34),
    대변과 소변의 투입부와 유입로를 달리하는 배설물 격리통(140),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의 투입부를 막는 격리통 덮개(13),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20)는 'ㄷ' 형의 컨베이어 뼈대(25) 내측에 세척롤러(22)를 설치하고 구동 모터(M) 에서 동력을 전달 받기위해 구동롤러축(21a)이 컨베이어 뼈대(25) 외측으로 나오게 구동롤러(21)를 설치하며 거리를 두어 종동롤러(23)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에 상기 네트형 벨트(24)를 설치한후 네트형벨트(24) 상면에 하중 발생시 이면을 지지 해주는 하중지지대26)를 두며, 구동모타(M)가 상기 구동롤러축(21a)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네트형 벨트(24)와 상기 세척롤러(22) 접지면이 상충되어 세척하는 애견 화장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롤러(22)는 축(22a) 중간이 양분되어 한축(22a)은 외경이 일정길이로 절삭되어있고 한축(22a)은 깊이와 내경이 일부 절삭되어 절삭 공간에 스프링(22s)을 두어 축(22a) 과 축(22a)이 결합하고 결합한 축(22a) 외면에 교체 가능한 관형식의 세척솔(22b) 로 구성하여 상기 컨베이어(120) 에서 세척롤러(22)의 탈착과 세척솔(22b)의 교체가 용이한 세척롤러(22) 을 포함하는 화장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34)에 수평 경사의 바닥면에 고루 널리 흐른 물을 중앙으로 모으는 형태로서 외측은 평평하고 내측면은 양측이 두꺼우며 중앙으로 올수록 두께가 얇아져 고루 퍼진 물이 집수되어 배수구(32h)로 안내하는 댐(34d)을 포함 하는 애견 화장실.
  5. 제 1항에 잇어서
    상기 투입부와 유입부를 달리 하는 배설물 격리통(140)은 밑면이 막힌 직사각형의 기둥형 통을 'ㄴ' 형으로 접어 놓은 형태이며, 상단면인 대변 투입부인 투입구(43)가 수평 경사로 상기 컨베이어(120)에 대변의 이송 방향 낙하 지점 면에 근접 상면 하고, 소변은 유입부에 유입관(42)이 있어 상기 배수판(34) 밑으로 돌출한 배수관(32)과 결합하여 배수판(34)의 하면에 안착되며 착탈되는 특징을 갖는 애견 화장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은 상기 컨베이어(120) 에서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의 투입구(43)로 이송 낙하 하고남은 배설 잔여물의 이탈을 막기위해 상기 배수판(34) 내로 유도 하기위한 안내판(41)을 포함하는 특징의 애견 화장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42)의 중앙에는 콕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32) 내에는 마개가 있어 결합시 에만 개구 하므로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을 이동 처리시 에도 애견이 배설을 할수있는 특징의 애견 화장실.
  8. 제 1항과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통 덮개(13)는 상기 배설물 격리통(140)의 투입구(43)를 막는 덮개로 격리통 덮개(13)의 축(13a)에 피니언(13p)과 자력을 받는 래크(11L)를 설치하여 전자석(31e)을 이용해 작동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애견 화장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20) 와 상기 배수판(34)에 배설물 잔여물을 세척 하기위해 상기 컨베이어(120)의 네트형 벨트(24)와 세척롤러(22)의 상단에 설치되는 노즐(17n)과 상기 노즐(17n)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통(36) 과 모터펌프(P)를 포함하는 애견 화장실.
KR1020110080334A 2011-08-11 2011-08-11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26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34A KR101268177B1 (ko) 2011-08-11 2011-08-11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34A KR101268177B1 (ko) 2011-08-11 2011-08-11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819A true KR20130028819A (ko) 2013-03-20
KR101268177B1 KR101268177B1 (ko) 2013-05-27

Family

ID=4817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334A KR101268177B1 (ko) 2011-08-11 2011-08-11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1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93B1 (ko) * 2013-06-19 2014-01-23 박문수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WO2016104996A1 (ko) * 2014-12-22 2016-06-30 곽진호 애완견용 화장실
KR20160076354A (ko) * 2014-12-22 2016-06-30 곽진호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20160112864A (ko) * 2015-03-20 2016-09-28 곽진호 애완견용 화장실
RU167553U1 (ru) * 2016-02-16 2017-01-10 Евгений Михайлович Шерстюгов Кошачий туалет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смывом
CN108782307A (zh) * 2018-08-15 2018-11-13 都步(上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马桶
RU2752274C1 (ru) * 2020-11-03 2021-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крафт"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экскрементов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с его помощью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00A1 (ko) * 2014-10-08 2016-04-14 (주)신성테크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반의 벨트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2372625B1 (ko) * 2021-07-27 2022-03-08 한광식 반려견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720A (ja) 2003-12-19 2005-07-07 Ryuichi Sasaki ペットトイレ
KR200355409Y1 (ko) 2004-04-21 2004-07-06 박경룡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93B1 (ko) * 2013-06-19 2014-01-23 박문수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WO2016104996A1 (ko) * 2014-12-22 2016-06-30 곽진호 애완견용 화장실
KR20160076354A (ko) * 2014-12-22 2016-06-30 곽진호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20160112864A (ko) * 2015-03-20 2016-09-28 곽진호 애완견용 화장실
RU167553U1 (ru) * 2016-02-16 2017-01-10 Евгений Михайлович Шерстюгов Кошачий туалет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смывом
CN108782307A (zh) * 2018-08-15 2018-11-13 都步(上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马桶
RU2752274C1 (ru) * 2020-11-03 2021-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крафт"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экскрементов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с его помощь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177B1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177B1 (ko)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US5184575A (en) Sanitary facility for cats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JP6224098B2 (ja) 家畜用衛生装置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US20060249090A1 (en) Pet toilets
KR102240245B1 (ko)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1809458B1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JP2014070374A (ja) 男性用循環式水洗トイレ
KR101353093B1 (ko)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KR20160112864A (ko) 애완견용 화장실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WO2008072677A1 (ja) 便座洗浄システム
JP2005041619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およびその洗浄方法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KR101188524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5843349B2 (ja) トイレ装置
JP2000041521A (ja) ペット用水洗トイレ
JP3814599B2 (ja) 小便器装置
KR101650682B1 (ko)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JP6687701B2 (ja) ペット用糞尿洗浄装置
JP2003325073A (ja) ペット汚物の廃棄処理設備
CN213773652U (zh) 尿液循环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