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864A - 애완견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864A
KR20160112864A KR1020150039246A KR20150039246A KR20160112864A KR 20160112864 A KR20160112864 A KR 20160112864A KR 1020150039246 A KR1020150039246 A KR 1020150039246A KR 20150039246 A KR20150039246 A KR 20150039246A KR 20160112864 A KR20160112864 A KR 20160112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groove
lower un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260B1 (ko
Inventor
곽진호
Original Assignee
곽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호 filed Critical 곽진호
Priority to KR102015003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260B1/ko
Priority to PCT/KR2015/013426 priority patent/WO2016104996A1/ko
Priority to US15/538,758 priority patent/US20180014509A1/en
Publication of KR2016011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용 화장실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격리통유닛이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된 상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의 분해조립과 네트형 벨트의 장력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견용 화장실{Dog toilet}
본 발명은 애완견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견의 배설물을 보다 깨끗하게 처리 세척할 수 있고, 건조 및 살균을 통해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애완견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견을 키우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 중의 하나가 배설물을 치우는 일이다. 배변장소와 시기를 가릴 수 있도록 애완견을 훈련시키더라도 일단 배설물이 발생하면 그때마다 사람이 직접 치워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사람들은 애완견의 배설물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양한 용품들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품은 소변 흡수 기능을 가진 일회용 배변패드로서, 실내의 특정 위치에 펼쳐두고 애완견이 그 위에 배설을 하면 새 패드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닥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회용 배변패드는 배설 후에 사용자가 신속하게 치우지 않으면 냄새가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돌아다니던 애완견의 발에 자칫 변이 묻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변만 누더라도 반복 사용하다 보면 흡수되지 못한 소변이 패드의 상부에 고이거나 밖으로 흘러내려서 실내오염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최근의 사회적 추세에도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회용 제품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 나고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애완견용 화장실이 소개되고 있다.
가장 간단한 유형의 애완견용 화장실은 상자형 변기통의 상단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배설판이 결합된 것으로서, 애완견이 배설을 하면 소변은 배설판의 관통홀을 통해 변기통으로 흘러내리고 대변은 배설판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견용 화장실은 대변이 놓인 배설판을 즉시 세척하지 않으면 냄새가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후에 배설판에 올라온 애완견의 발에 변이 묻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고 변기통에 고인 소변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소개된 바와 같이 자동세척 기능을 구비한 유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컨베이어형 배변벨트와, 컨베이어형 배변벨트의 일측과 하측에 구비된 물분사노즐을 포함하며, 물분사노즐을 탑승감지센서 및 배변감지센서와 연동시켜 배변벨트를 자동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배설물을 세척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으나, 배변벨트에 관통홀이 없기 때문에 소변이 애완견의 발에 묻기 쉽고, 물분사노즐만으로는 배변벨트를 청결하게 세척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벽한 세척을 위해서는 물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수도관과 배수포트를 연결해야 하므로 배관연결이 복잡하고 설치장소를 마음대로 선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일단 설치된 이후에는 설치장소를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것으로서, 관통홀을 구비하는 네트형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표면에 접촉하여 마찰세척과 물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세척롤러를 포함하며, 특히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통과 배설물을 저장하는 배설물 격리통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애완견의 소변이 네트형 컨베이어의 관통홀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애완견의 발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이나 배수포트를 따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별도의 설치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설치장소를 변경하는 것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다만 특허문헌 2에 따른 화장실은, 네트형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 네트형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대 등에 묻은 배설물이나 배수판의 구석진 부분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설물을 즉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격리통에 저장하는 방식이므로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세척 방식이므로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필요도 있다. 또한 네트형 컨베이어의 분해조립과 장력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설물 격리통에 채워진 배설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2의 애완견용 화장실은 한쪽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보는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애완견이 한쪽 다리를 들고 배뇨를 할 경우에 바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038호(2012.06.21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268177호(2013.05.27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네트형 컨베이어를 보다 깨끗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고, 세척수를 보다 깨끗하고 효과적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을 조립 설치할 때 각 유닛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네트형 컨베이어의 분해조립과 장력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설물 격리통에 채워진 배설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변을 누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를 적절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격리통유닛이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된 상부유닛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입구의 양측에 각각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내측면에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된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는 각각 측면커버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각 측면커버는, 타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각 측면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절개부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서 상기 수직축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면의 모서리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과 상기 격리통유닛의 외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외측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바닥의 외측 단부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수직축과 인접하여 돌출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외측 단부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유닛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는, 상기 하부유닛의 대향하는 내벽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상단에는 상기 격리통커버에 결합된 커버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거치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부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단은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유닛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깔때기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에 대응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은 관통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테두리에서 제1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수벽은 상기 네트형벨트가 감기는 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외측에는 상기 곡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롤러대향면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대향면의 상단에는 뾰족한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의 상면의 내측단과 연결된 상향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는, 상기 하부유닛의 대향하는 내벽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테두리에서 제2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내벽이 삽입되는 내벽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외벽이 삽입되는 외벽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결합홈의 선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에서 제1 가로방향 테두리와 제2 가로방향 테두리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파티션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로방향 테두리와 제2 가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한 쌍의 측벽이 각각 삽입되는 측벽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배치된 세로프레임과,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베어링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된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에 결합된 베어링하우징;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벽 상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된 후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축삽입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바; 상기 텐션조절바의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 상기 텐션조절바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바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스프링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스프링걸림턱에 거치되는 제1 스프링; 상단에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큰 직경의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을 관통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버튼하강홈, 버튼상승홈,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버튼상승홈의 하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안착면,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버튼상승홈의 상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안착면, 상기 제1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안착면을 향해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 상기 제2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안착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하강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1 상부가이드면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2 상부가이드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홈;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2 안착면에 교대로 놓여지는 버튼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버튼하강홈은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의 경사를 가지며, 다수의 상기 버튼상승홈과 다수의 상기 버튼하강홈이 상기 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1 가이드돌기에 대해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2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하강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3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4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하단이 연결되어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1 가이드돌기에 대해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2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방향 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하강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3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4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은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향하는 일 측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저면은 반대쪽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내부에서 제1 축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관체를 개폐하는 제1 마개와, 상기 제1 마개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통유닛은,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는 일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관체와 다른 직경을 갖는 제2 관체와, 상기 제2 관체의 내부에서 제2 축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축과, 상기 제2 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관체를 개폐하는 제2 마개와, 상기 제2 마개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입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통유닛을 상기 하부유닛의 수납공간에 삽입하면, 상기 제1 축의 타단과 상기 제2 축의 타단이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마개와 상기 제2 마개가 각각 관체로부터 분리되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격리통유닛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유닛에는 상기 다수의 바퀴와 같은 높이의 받침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은 상기 격리통유닛의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는 격리통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통 덮개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상기 격리통유닛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실 커버의 바깥쪽에 설치된 팬을 통해 애완견용 화장실의 내부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유닛의 컨베이어거치대 하부를 별도의 노즐을 사용하여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격리통커버에 구비된 살균램프를 계속 또는 주기적으로 점등함으로써 격리통유닛 내부의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에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배수판과 그 주변을 살균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네트형 벨트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를 별도의 세척수단을 사용하여 종래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유닛의 투입구 주변에 지지틀과 깔때기를 설치함으로써 배설물과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깨끗하게 처리 및 집수할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에 구비된 격리통잠금부재에 끼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에 구비된 격리통잠금부재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하부유닛에 바퀴를 장착함으로써 애완견용 화장실을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유닛의 지지프레임에 텐션조절바를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유닛의 분해조립과 네트형 벨트의 장력조절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밀폐하는 격리통 덮개를 제공함으로써 배설물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비울 수 있다.
또한 수캐의 습성을 고려하여 네트형 벨트의 일측에 소변가이드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한쪽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별도의 세척수단을 설치하여 배뇨판을 물세척함으로써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5는 상부유닛과 소변가이드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부유닛의 저면도
도 7은 세척롤러 주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투입구 주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상부유닛의 측면 입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격리통잠금부재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1은 격리통잠금부재의 사용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격리통잠금부재와 측면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애완견용 화장실을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하부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하부유닛에서 깔때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와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17은 하부유닛의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깔때기의 우측 세로방향테두리의 단면도
도 19는 격리통유닛의 내벽이 깔때기 하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격리통유닛의 측벽이 깔때기 하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하부유닛과 컨베이어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컨베이어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컨베이어유닛의 지지프레임에 하중지지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하중지지대에 구비된 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하중지지대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하중지지대의 노즐이 종동롤러와 네트형 컨베이어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지지프레임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가로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종동롤러와 가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0은 종동롤러를 구동롤러쪽으로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1은 종동롤러의 베어링하우징을 빼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버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5 및 도 3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버튼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분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의 버튼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배수포트와 유입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0은 격리통유닛에 격리통덮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1은 격리통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2는 소변가이드 유닛의 단면도
도 43은 소변가이드 유닛의 내부에 차수벽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의 사시도,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은 상부유닛(110), 하부유닛(130), 애완견이 올라가서 배설을 하는 네트형 벨트(126)를 구비하며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120), 배설물이 격리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하부유닛(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격리통유닛(140), 상부유닛(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소변가이드 유닛(150)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네트형 벨트(126)가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방향,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부유닛(110)은 컨베이어유닛(120)을 지지하면서 하부유닛(130)의 외곽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대략 사각의 관통부(10)를 둘러싸는 프레임 구조이다.
도 5의 사시도 및 도 6의 저면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유닛(110)은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10)의 후방측에 기관실 커버(111)를 구비하고, 우측과 좌측에는 각각 세척실커버(112)와 격리통커버(113)를 구비한다.
기관실 커버(111)는 하부유닛(130)에 형성된 기관실(도 1의 131)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며, 기관실(131)에 설치된 물통(160)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관통홀(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커버(112)는 세척롤러(122)에 의해 네트형 벨트(126)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커버한다.
세척실커버(112)는, 도 7의 부분 단면도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는 컨베이어유닛(120)의 구동롤러(121)의 축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구동롤러(121)에는 네트형 벨트(126)가 감겨 있으므로 세척실커버(112)의 하단부는 네트형 벨트(126)와 간섭하지 않도록 네트형 벨트(126)의 상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척실커버(112)를 곡면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평면의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사면과 곡면을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세척실커버(112)의 천정에는 노즐(192)이 설치되며, 노즐(192)은 세척롤러(122)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물공급 파이프와 물공급 파이프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을 포함한다. 분사홀의 방향은 세척롤러(122)의 브러쉬와 네트형 벨트(126)가 접촉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192)의 물공급 파이프에는 다수의 분사홀이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고, 2열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홀이 2열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 열의 용도를 다르게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의 분사홀은 세척롤러(122)의 브러쉬와 네트형 벨트(126)가 접촉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하여 세척롤러(122)와 함께 네트형 벨트(126)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제2 열의 분사홀은 네트형 벨트(126)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125)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열의 분사홀을 이용하여 하중지지대(125)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실커버(112)의 하부에 제2 열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물을 구동롤러(121) 상부의 소정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가이드(1122)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세척가이드(1122)를 따라 흘러내린 물이 네트형 벨트(126)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응집되고, 네트형 벨트(126)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응집된 물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대(125)의 가로살대(도 23의 1254)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애완견이 소변을 누는 경우에는 이렇게만 하여도 하중지지대(125)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다만 묽은 변이 흘러 내려 하중지지대(125)를 오염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세척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하중지지대(125) 자체에 별도의 세척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은 물세척 이후 세균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를 강제 건조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실커버(11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팬(170)을 설치하고, 팬(170)의 바깥쪽에 팬보호커버(172)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세척실커버(112)의 측면에 팬(170)을 설치하면 물세척으로 인해 습기가 많아진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내부공간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팬(170)에서 공급된 공기는 세척실커버(112)의 좌측 내면을 따라 하강한 후 세척롤러(122)의 브러쉬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세척롤러(122)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롤러(122)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수판(132)을 건조시키고, 일부는 네트형 벨트(126)를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네트형 벨트(126)를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유닛(110)에 구비된 격리통커버(113)는, 도 8의 부분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하부유닛투입구(도 15의 1308)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격리통커버(113)는 하부유닛투입구(1308)를 개폐하는 역할도 한다.
격리통커버(113)의 좌측 단부에는 세로방향의 커버회전축(1132)이 결합되며, 커버회전축(1132)의 일단은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기관실(도 1의 131)에 설치된 커버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리통유닛(140)에 저장된 배설물을 소독하여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리통커버(113)의 저면에 살균램프(180)를 설치한다. 그리고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제어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는 살균램프(180)의 동작을 격리통커버(113)의 회전구동수단과 연동시킬 수 있다. 즉, 격리통커버(113)가 열린 상태에서는 살균램프(180)가 꺼지고 닫힌 상태에서만 살균램프(180)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배설 후에 격리통커버(113)가 자동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고 호기심으로 격리통커버(113)를 건드리거나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격리통커버(113)의 상부에 보호커버(11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회전축(1132)은 보호커버(115)의 저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115)에서 네트형 벨트(126)를 향하는 일 측면에 애완견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16)를 설치한다. 감지센서(116)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광센서, 초음파센서, 정전용량식 근접센서, 유도자기력을 이용한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보호커버(115)에 감지센서(116)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유닛(110)의 다른 부분이나 소변가이드 유닛(15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유닛(110)은 격리통커버(113)의 하부에 격리통유닛(140)의 출입을 위한 입구(12)를 구비한다.
입구(12)의 일측과 타측에는 수직축(117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격리통잠금부재(1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축(1171)은 별도로 설치된 축일 수도 있고, 격리통잠금부재(117)와 상부유닛(110)의 측벽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구부림이 가능할 정도로 얇게 형성된 수직의 연결부일 수도 있다.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서 수직축(1171)에 인접한 내측면에는 결합돌부(1172)가 형성되며, 결합돌부(1172)는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의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도 8 및 도 10의 138)에 삽입되어 격리통유닛(140)을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역할을 한다.
즉,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격리통잠금부재(117)를 회전시켜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끼우면 격리통잠금부재(117)가 격리통유닛(140)의 바깥면을 눌러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격리통잠금부재(117)와 하부유닛(130)의 결합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격리통잠금부재(117)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하부유닛(130)의 내측면에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격리통잠금부재(117)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돌부(1172)가 형성된 내측면의 바깥쪽 모서리에 이탈방지돌기(117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176)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에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한 상태에서 격리통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였을 때, 격리통유닛(140)의 측벽(148)과 하부유닛(130)의 측벽(1301)의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격리통잠금부재(117)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격리통잠금부재(117)에는 수직축(1171)과 인접한 외측면의 하단에서 제1 스토퍼(1178)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격리통잠금부재(117)에서 결합돌부(1172)가 형성된 내측면의 상부에 수직축(1171)에 인접하여 제2 스토퍼(1179)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토퍼(1178,1179)는 격리통잠금부재(117)가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결합된 상태에서 격리통잠금부재(117)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격리통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면, 제1 스토퍼(1178)는 그 내면이 하부유닛(130)의 바닥(1304)의 외측 단부에 접하면서 외력에 대항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스토퍼(1179)는 그 내면이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파티션(1332)의 외측 단부에 접하면서 외력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격리통잠금부재(117)에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스토퍼(1178,1179)를 형성하면, 격리통잠금부재(117)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부에 위치하는 격리통유닛(140)의 외벽(도 11의 145)까지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서 결합돌부(1172)가 형성된 내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각각 측면커버(11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는 홈 형상의 측면커버결합부(1174)가 형성되고, 각 측면커버(118)의 일단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결합부(1184)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측면커버결합부(1174)가 홈 형상이고, 잠금부재결합부(1184)가 홈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서로 반대 형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 측면커버(118)는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운반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측면커버(118)는 타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181)와, 측면커버(118)의 외측에서 절개부(118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수용홈(1182a)이 형성된 그립부(11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측면커버(118)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 측면커버(118)의 타단에는 반대쪽 측면커버(118)와 결합될 수 있는 커버연결부(1186,1188)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연결부(1186,1188)는 서로 대응하는 홈과 돌기일 수 있다.
따라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 격리통잠금부재(117)에 측면커버(118)를 각각 결합하고, 각 측면커버(118)를 서로를 향해 회전시키면 격리통유닛(140)의 손잡이(143)는 각 측면커버(118)의 절개부(1181)를 통과하여 그립부(1182)의 수용홈(1182a)에 삽입된다.
도 2a는 이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손잡이(143)가 그립부(1182)의 수용홈(1182a)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부(1182)를 잡으면 격리통유닛의 손잡이(143)도 함께 잡게 되므로, 그립부(1182)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부유닛(110)과 격리통유닛(140)이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유닛(110)은 관통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가로방향의 내측면에서 각각 관통부(10)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에지커버(114)를 포함한다. 에지커버(114)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120)의 네트형 벨트(126)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애완견의 발이 끼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세척수가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한 쌍의 에지커버(114) 중에서 후방측에 위치하는 에지커버(114)에는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하단이 놓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지커버(114)에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물공급관(159)이 통과하는 삽입홀(114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밖에 상부유닛(110)의 가로변 바깥측에는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후크걸림턱(도 14의 139)에 걸리는 후크(119)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119)와 후크걸림턱(139)은 상부유닛(110)과 하부유닛(130)을 결합하는 수단을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른 종류의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부유닛(110)의 한 쪽에만 후크(119)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쪽에도 후크(119)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유닛(110)에서 입구(12) 반대쪽에는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바퀴(도 14의 1390)가 삽입되는 바퀴홈(11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유닛(110)에서 입구(12) 반대쪽의 외측면에는 받침부(1102)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10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세웠을 때 바퀴(139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바퀴(1390)와 같은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유닛(13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을 둘러싸는 측벽(1301)과 측벽(130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구획하는 가로방향의 격벽(1302)을 포함한다.
격벽(130)의 후방측 공간은 기관실(131)로 제공되고 전방측 공간은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하는 수납공간(도 1 및 도 4의 137)으로 제공되며, 수납공간(137)은 좌측의 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기관실(131)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160), 물을 공급하는 펌프(1314),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에 연결되는 기어박스(1312), 기어박스(1312)에 연결된 롤러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펌프(1314)에 연결된 호스 등이 기관실(131)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공간(137)은 바닥(도 8 및 도 16의 1304)과 배수판(132)의 사이에 형성되며 좌측의 입구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격리된다.
배수판(132)은 네트형 벨트(126)에서 배설된 소변이나 세척용 물이 격리통유닛(14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배수판(132)의 좌측에는 마치 댐과 같이 소변이나 물을 집수하는 집수벽(1322)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집수벽(1322)의 하단 중앙에는 배수포트(135)가 설치된다. 배수포트(135)는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로 세척수 및 배설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격리통유닛(140)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집수벽(1322)은 하단 부분의 수직부와 수직부에서 상단까지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벽(1322)의 수직부는 소변이나 물을 배수포트(135)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원활하게 배수포트(135)쪽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직부를 세로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 보다는 좌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곡면의 정점에 배수포트(13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벽(1322)의 수직부에 배수판(132)쪽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살균램프(182)를 설치한다. 살균램프(182)는 배수판(132) 상부의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세균번식과 악취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광축이 배수판(132)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벽(1322)의 곡면부는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롤러(123)와 같은 곡률을 가지면서 종동롤러(123)에 감긴 네트형 벨트(126)와 매우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수벽(1322)의 곡면부가 종동롤러(123)의 일측을 감싸는 높이까지 집수벽(1322)을 형성하면, 격리통유닛(140)으로 배설물을 투입할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배수판(132)의 상부에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배설물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저수용량이 많아지면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집수벽(1322)의 상단에 종동롤러(123)를 위치시키면 배설면(컨베이어유닛(120)의 상면)이 애완견이 올라가기 힘들 정도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집수벽(1322)에 곡면부를 형성하고 곡면부가 종동롤러(123)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종동롤러(123)를 설치하면, 종동롤러(123)가 집수벽(132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설면의 높이를 크게 낮추면서도 충분한 저수용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배수판(1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격벽(1302)과 전방의 측벽(1301)에는 각각 배수판(132)의 상부로 돌출된 컨베이어거치대(136)가 각각 형성된다. 컨베이어거치대(136)에는 컨베이어유닛(120)의 가로방향 지지프레임(124)이 놓여진다.
컨베이어거치대(136)의 하부에 배설물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집수벽(1322)의 하단에 각 컨베이어거치대(136)의 하부공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19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302)에는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 구비된 호스연결구(1245)가 거치되는 거치홈(130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유닛(130)에서 집수벽(1322)의 좌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하부유닛투입구(1308)가 형성된다. 하부유닛투입구(1308)는 네트형 벨트(126)에 놓여진 배설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며, 그 하부에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가 위치하게 된다.
하부유닛투입구(1308)는 지지틀(133)과 집수벽(1322)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틀(133)은 하부유닛투입구(1308)의 양측에서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1332)과, 하부유닛투입구(1308)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각 파티션(1332)의 내벽에 결합된 받침부(1331)를 포함한다.
세척수나 배설물이 하부유닛(130)의 바깥으로 새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부유닛(110)을 하부유닛(130)의 상부에 결합할 때 파티션(1332)이 상부유닛(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그 상단이 상부유닛(110)의 보호커버(115)의 저면에 밀착되고, 받침부(1331)도 그 상단이 보호커버(115)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유닛(110)의 보호커버(115)가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따라서 파티션(1332)의 상단도 이에 대응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티션(1332)의 우측 단부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결합홈(1335)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331)은 파티션(1332)의 각 일단의 사이에 배치되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투입구(1308)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331)와 보호커버(115)의 사이에는 커버회전축(1132)이 위치하며, 파티션(1332)의 상단에는 커버회전축(1132)이 거치되는 축거치홈(133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네트형 벨트(126)를 따라 이송된 배설물이나 세척수가 격리통유닛(140)으로 보다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지지틀(133)과 집수벽(1322)으로 둘러싸인 하부유닛투입구(1308)의 상부에 깔때기(134)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깔때기(134)는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투입구(1308)에 대응하는 관통부(1340)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테두리의 상면에는 하부유닛투입구(1308)를 향해 경사진 안내면(1342)이 형성된다.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134)의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는 집수벽(1322)의 상단에 거치되고 좌측 세로방향 테두리는 지지틀(133)의 받침부(1331)의 내측면에 접한다.
2개의 가로방향 테두리의 외측에는 파티션결합부(1349)가 돌출되며, 따라서 깔때기(134)를 파티션(1332)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깔때기(134)를 누르면 파티션결합부(1349)가 파티션(1332)의 깔때기결합홈(1335)에 삽입되면서 깔때기(134)가 파티션(1332)의 사이에 장착된다. 파티션결합부(1349) 및 깔때기 결합홈(1335)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위치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깔때기(134)의 저면은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를 둘러싸는 벽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안내면(1342)을 따라 투입된 배설물이나 세척수가 외부로 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좌측에 형성된 외벽(145)이 우측에 형성된 내벽(146)보다 높은 경우에는 깔때기(134)의 저면도 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깔때기(134)의 테두리에서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는, 도 18의 가로방향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벽(1322)의 좌측면에 접하는 집수벽접촉면(1344)과, 하단이 집수벽접촉면(1344)보다 바깥쪽 돌출된 롤러대향면(1343)과, 집수벽접촉면(1344)과 롤러대향면(1343)의 사이에 형성된 집수벽결합홈(1345)과, 롤러대향면(1343)의 상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블레이드(1341)를 포함한다.
롤러대향면(1343)은 종동롤러(123)와 같은 곡률을 가지며 집수벽(1322)의 곡면부의 상부에서 종동롤러(123)에 감긴 네트형 벨트(126)에 표면에 근접한다.
따라서 네트형 벨트(126)를 따라 이동한 배설물은 롤러대향면(1343)의 상단에 형성된 블레이드(1341)에 의해 네트형 벨트(126)로부터 분리되어 안내면(1342)를 따라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로 투입된다.
또한 깔때기(134)의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안내면(1342)의 하단과 연결된 상향경사면(134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향경사면(1348)을 형성하면 안내면(1342)의 하단이 뾰족하게 되므로 안내면(1342)을 따라 흘러내린 세척수가 약한 응력으로 인해 쉽게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깔때기(134)의 우측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내벽결합홈(1346a)이 형성되고, 내벽결합홈(1346a)의 선단에는 돌출부(1347)가 형성된다. 내벽결합홈(1346a)은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우측에 형성된 내벽(도 8 및 도 19의 146)의 상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며, 돌출부(1347)는 삽입된 내벽(146)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역할을 한다.
다만 격리통유닛(140)은 하부유닛(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돌출부(1347)와 내벽결합홈(1346a)의 경계면은 격리통유닛(140)을 빼낼 수 있을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19는 격리통유닛(140)이 하부유닛(130)에 결합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유닛(130)에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하면 격리통유닛(140)의 내벽(146)이 깔때기(134)의 하부로 진입하고, 격리통유닛(140)을 계속 이동시키면 내벽(146)의 상단이 돌출부(1347)를 밀면서 내벽결합홈(1346a)에 삽입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내벽(146)의 상단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내벽(146)의 경사면에 접할 정도의 높이로 돌출부(1347)를 형성하면 내벽(146)의 상단이 보다 용이하게 돌출부(1347)를 넘어서 내벽결합홈(1346a)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깔때기(134)의 나머지 테두리의 저면에도 격리통유닛(140)과 맞물리는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134)의 좌측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 외벽결합홈(1346b)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고, 2개의 가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 각각 측벽결합홈(1346c)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벽결합홈(1346b)에는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좌측에 위치하는 외벽(도 8의 145)의 상단이 결합된다. 또한 2개의 측벽결합홈(1346c)에는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도 1의 148)의 상단이 결합된다.
도 20은 깔때기(134)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하부유닛(130)에 격리통유닛(140)을 삽입하면 투입구(141)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148)의 상단이 측벽결합홈(1346c)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측벽(148)의 상단에 바깥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측벽결합홈(1346c)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렇게 하면 격리통유닛(140)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밖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집수벽(1322)의 외측벽에는 격리통 유닛(140)의 탈부착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1324)을 설치할 수 있다.
결합감지수단(1324)은 물리적 접촉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즉, 하부유닛(130)에 삽입되는 격리통 유닛(140)의 내벽(146)이 스위치를 누르면 온(ON)되고 격리통 유닛(140)이 뒤로 이동하면서 누름상태가 해제되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제어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와 상기 결합감지수단(1324)을 연결하면, 제어장치는 결합감지수단(1324)을 통해 격리통 유닛(14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격리통 유닛(140)이 장착된 상태에서만 구동롤러(121), 세척롤러(122), 펌프(1324) 등을 동작시키고, 격리통 유닛(14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이들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격리통 유닛(14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격리통커버(113)의 하부에 장착된 살균램프(180)가 온(ON)되고, 격리통 유닛(140)이 분리되면 살균램프(180)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합감지수단(1324)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격리통 유닛(140)의 내벽(146)이 접촉하거나 근접하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결합감지수단(1324)이 반드시 격리통 유닛(140)의 내벽(146)만을 감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설치 위치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37)의 내벽이나 바닥에 결합감지수단(1324)을 설치하여 격리통 유닛(140)의 우측 단부를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컨베이어유닛(120)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의 상부에 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배수판(132) 양측의 격벽(1302)과 측벽(1301)에 형성된 컨베이어거치대(136)에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24)이 놓여진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유닛(120)은 지지프레임(124)과, 지지플레임(124)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롤러(121)와, 구동롤러(121)의 일측에 근접 설치된 세척롤러(122)와, 구동롤러(121)와 이격 설치된 종동롤러(123)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1)와 종동롤러(123)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네트형 벨트(126)가 감기고, 세척롤러(122)는 구동롤러(12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롤러(121)의 바깥쪽에서 네트형 벨트(126)의 표면을 브러쉬로 세척한다.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는 하중지지대(125)가 거치되며, 하중지지대(125)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세로살대(1252)와 세로살대(1252)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살대(125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지지대(125)의 각 세로살대(1252)에 다수의 노즐(1256)을 형성하여 하중지지대(125)와 그 상부에서 이동하는 네트형 벨트(126)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세로살대(1252)는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이며, 세로살대(1252)에는 기관실(131)의 펌프(1314)로부터 공급된 물을 공급하는 호스(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세로살대(1252)에서 가로살대(1254)와 교차하는 부분마다 노즐(1256)을 형성한다. 각 노즐(1256)은 하중지지대(125) 상부의 네트형 벨트(126)가 이동하는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되, 수평방향이 아니라 가로살대(1254)의 하부를 향해 약간 위쪽으로 분사한다.
특히 각 노즐(1256)을 가로살대(1254)의 중심축의 직하부에 위치시키고 가로살대(1254)의 외주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물을 분사하면 물의 표면장력과 부착력으로 인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된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되므로 가로살대(1254)의 둘레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각 노즐(1256)의 분사방향과 가로살대(1254) 방향의 사이각이 크면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촘촘한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고, 사이각이 작으면 물(w)이 가로살대(1254)의 표면을 넓은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각 노즐(1256)이 과도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면 이와 같은 회전 유동이 불가능하므로 펌프의 분사압력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노즐(1256)의 위치, 분사방향 등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하중지지대(125)의 제일 좌측에 위치하는 세로살대(1252)는 종동롤러(123)와 가까우므로 여기에 형성된 노즐(1256)을 이용하여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에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면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배설물이 잘 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종동롤러(123)와 집수벽(1322)의 곡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물이 네트형 벨트(126)의 홀을 통해 올라가 배설면을 세척하고, 일부의 물은 깔때기(134)를 타고 투입구(141)로 흘러내리면서 깔때기(134)를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격리통커버(113)가 닫히면서 깔때기(134)와 접촉하더라도 격리통커버(113)에 배설물이 묻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은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과는 용도와 동작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펌프에 연결하거나 별도의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물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로살대(1252) 자체를 물 공급통로로 활용하였으나, 세로살대(1252)를 대신하여 별도의 물공급 파이프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물공급 파이프에 가로살대(1254)를 향해 전술한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별도의 물공급 파이프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는 하중지지대(125)의 다수의 세로살대(1252)가 각각 삽입되는 지지대거치홈(12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축삽입홀(12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4)의 일측에는 기관실(131)의 펌프(1314)와 호스로 연결되는 다수의 호스연결구(12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호스연결구(12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24)의 내측에 연결된 연결구를 통해 세로살대(1252)로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호스연결구(12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 구비된 소변가이드유닛 연결구(1248)를 통해 소변가이드유닛(150)의 물공급관(159)으로 물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프레임(124a)과 각 가로프레임(124a)의 일단을 연결하는 하나의 세로프레임(124b)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는 세로프레임(124b)의 내측에서 세로프레임(124b)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롤러(121)와 세로프레임(124b)의 사이에 세척롤러(122)가 배치된다.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양단에는 각각 롤러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이 결합되며, 각 베어링하우징은 가로프레임(124a)에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된다. 가로프레임(124a)에는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다수의 축삽입홀(1244)이 상단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종동롤러(123)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124a)의 각 타단 사이에 설치되며, 종동롤러(123)의 양단에는 롤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1232)이 가로프레임(124a)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동롤러(123)의 베어링하우징(1232)을 가로프레임(124a)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면, 종동롤러(123)를 이동시킴으로써 네트형 벨트(126)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고 컨베이어유닛(120)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7 및 도 2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24a)은 내측의 제1 프레임(124a-1)과 외측의 제2 프레임(124a-2)을 포함하여 제1 프레임(124a-1)과 제2 프레임(124a-2)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가로프레임(124a)의 내부공간에는 가로프레임(124a)의 타단에서부터 베어링하우징(1232), 텐션조절바(127), 스프링(129) 및 고정부재(1296)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296)는 가로프레임(124a)에 대해 고정된다.
가로프레임(124a)의 상면부(1249)에는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베어링하우징 삽입홀(1241)이 형성되고, 가로프레임(124a)의 내측면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에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었다가 가로프레임(124a)의 타단을 향해 연장된 장공형 축삽입홀(1242)이 형성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스프링(129)은 한 쌍의 스프링축(1292)에 각각 감겨 있으며, 각 스프링축(1292)의 일단은 텐션조절바(127)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재(1296)를 관통하여 고정부재(1296)의 우측에 위치한다. 또한 각 스프링축(1292)의 타단에는 고정부재(1296)의 관통홀보다 큰 직경의 헤드(1294)가 형성된다.
따라서 텐션조절바(127)를 고정부재(1296)를 향해 이동시키면 텐션조절바(127)와 고정부재(1296)의 사이에서 스프링(129)이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텐션조절바(127)는 상단에 구비된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하단으로 걸림부재(1274)가 돌출되거나 복귀하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한다. 가로프레임(124a)의 내부공간의 바닥에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삽입되는 제1 걸림홈(1287)과 제2 걸림홈(1288)이 가로프레임(12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걸림홈(1287)과 제2 걸림홈(1288)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를 제1 걸림홈(1287)에 건 상태에서 컨베이어 유닛(120)의 하중지지대(125)를 탈부착할 수 있고, 걸림부재(1274)를 제2 걸림홈(1288)에 건 상태에서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를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림홈(1287,1288)을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더 많은 개수의 걸림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컨베이어유닛(120)을 분해해야 하는 경우에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를 제2 걸림홈(1288)에 걸어 고정시키고 종동롤러의 베어링하우징(1232)을 베어링하우징 삽입홀(1241)을 통해 빼내면 된다.
도 29는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걸림홈(1287,1288)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종동롤러(123)가 구동롤러(12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를 향해 누르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롤러(123)의 롤러축이 장공형 축삽입홀(1242)을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베어링하우징(1232)과 텐션조절바(127)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텐션조절바(127)에는 스프링(129)의 복원력이 가해지므로 사용자가 스프링(129)의 복원력보다 더 큰 힘으로 눌러야 함은 물론이다.
도 31은 종동롤러(123)의 베어링하우징(1232)을 가로프레임(124a)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31(a)는 종동롤러(123)의 베어링하우징(1232)이 베어링하우징 삽입홀(1241)의 직하부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으로 치우쳐 있어 베어링하우징(1232)이 가로프레임(124a)의 상면부(1249)에 막혀 빠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를 향해 누르면,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232)과 텐션조절바(127)가 구동롤러(121)쪽으로 이동한다. 제1 걸림홈(1287)의 위치에 텐션조절바(127)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276)을 눌러 걸림부재(1274)를 돌출시키면 제1 걸림홈(1287)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텐션조절바(127)가 제1 걸림홈(1287)에 걸린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닛(120)의 네트형벨트(126)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하중지지대(125)를 가로프레임(124a)의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
걸림부재(1274)의 저면에는 구동롤러(121)쪽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걸림홈(1287)도 걸림부재(1274)의 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따라서 걸림부재(1274)가 제1 걸림홈(1287)에 걸린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쪽으로 더 누르면 걸림부재(1274)가 제1 걸림홈(1287)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텐션조절바(127)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걸림부재(1274)가 제1 걸림홈(1287)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베어링하우징(1232)과 텐션조절바(127)가 구동롤러(121)쪽으로 계속 이동한다.
이때 걸림부재(127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텐션조절바(127)의 내부에 구비된 제2스프링(도 32의 1275)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도 3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재(1274)가 제2 걸림홈(1288)에 도달하면 다시 아래로 돌출되면서 제2 걸림홈(1288)에 걸리게 된다.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제2 걸림홈(1288)에 걸린 상태에서는 베어링하우징(1232)이 베어링하우징삽입홀(1241)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도 3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232)를 베어링하우징삽입홀(1241)을 통해 가로프레임(124a)의 상부로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31(b) 또는 도 31(d)와 같이, 걸림부재(1274)가 걸림홈(1287, 1288)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버튼(1276)을 누르더라도 돌출된 걸림부재(1274)가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텐션조절바(127)가 구동롤러(121)쪽으로 이동하면 스프링(129)이 압축되므로 텐션조절바(127)는 스프링(129)에 의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계속 힘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부재(1274)의 수직면(도 33의 1274b)이 걸림홈(1287, 1288)의 내벽을 강하게 미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가 걸림홈(1287, 1288)에 걸린 상태에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버튼(1276)을 눌러서 걸림부재(1274)에 대해 아래쪽으로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고, 이어서 종동롤러(123)를 구동롤러(121)쪽으로 약간 밀어서 걸림부재(1274)를 걸림홈(1287, 1288)에서 빼내야 한다.
그런 다음에 종동롤러(123)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거나 줄이면 스프링(129)의 복원력에 의해 종동롤러(123)가 구동롤러(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텐션조절바(127)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는 도 32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부(1272)가 형성된 몸체(1271)와, 관통부(1272)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 스프링(1273), 걸림부재(1274), 제2 스프링(1275), 버튼(1276)을 포함한다.
몸체(1271)의 일측에는 관통부(1272)와 연통하는 수평방향의 삽입홀(1278)이 형성되고, 삽입홀(1278)에는 버튼지지축(1277)이 삽입 결합된다.
또한 몸체(1271)의 타측에는 전술한 스프링지지축(1292)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삽입홈(1279)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271)의 관통부(1272)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1273)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프링걸림턱(1272a)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1273)은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부재(1274)는 제1 스프링(1273)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걸림부재(1274)의 상단에는 제1 스프링(1273)보다 큰 직경의 헤드(127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1273)은 관통부(1272)의 스프링걸림턱(1272a)과 걸림부재(1274)의 헤드(1274a)의 사이에 위치하며, 걸림부재(1274)에 대해 위쪽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재(1274)의 하단은 도 33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232)을 향하는 일 측면이 수직면(1274b)으로 형성되고 저면(1274c)은 반대쪽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걸림홈(1287,1288)도 걸림부재(1274)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수직면에서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프링(1275)은 걸림부재(1274)의 헤드(1274a)의 상부에 놓여지며,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2 스프링(1275)는 제1 스프링(1273)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버튼(1276)을 눌렀을 때 걸림부재(1274)가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버튼(1276)의 둘레면에는 소정 형상의 가이드홈(128)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28)에는 몸체(1271)의 일측에서 결합된 버튼지지축(1277)의 단부가 삽입되며, 따라서 버튼(1276)이 버튼지지축(1277)에 걸려서 상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도 33(a)는 텐션조절바(127)의 버튼(1276)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3(b)는 텐션조절바(127)의 버튼(1276)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텐션조절바(127)에 버튼지지축(1277)이 하나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편심을 막기 위하여 힘의 평형을 이루는 각도에 다수의 버튼지지축(1277)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는 사용자가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1276)이 상승과 하강을 교대로 반복하며, 이를 위해 버튼(1276)의 둘레면에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독특한 형상의 가이드홈(128)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가이드홈(128)의 형상과 버튼(1276)의 승강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홈(128)은 버튼(1276)의 측면에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버튼하강홈(1283)과 다수의 버튼상승홈(1284)을 포함한다.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은 일측에 인접한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고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은 타측에 인접한 다른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과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이 버튼(1276)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버튼(1276)을 상승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1 안착면(128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안착면(1281)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1 가이드돌기(1285)가 제1 안착면(1281)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과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이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은 제1 안착면(1281)에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졌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버튼지지축(1277)은 몸체(127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만일 버튼지지축(1277)이 제1 안착면(1281)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부에서 버튼(1276)을 누르면 제1 가이드돌기(1285)가 하강함에 따라 제1 안착면(1281)에 놓여진 버튼지지축(1277)은 버튼하강홈(1283)으로 진입한다.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낸 화살표는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지지축(1277)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버튼하강홈(1283)은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따라서 버튼지지축(1277)이 버튼하강홈(1283)로 진입한 이후에는 버튼(1276)이 하강하면서 버튼하강홈(1283)의 경사진 내측면이 버튼지지축(1277)에 계속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버튼(1276)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버튼(1276)을 계속 하강시키면 버튼지지축(1277)은 버튼하강홈(1283)에 대해 계속 상승하고, 결국 상부의 제2 안착홈(1282)에 놓여지면서 버튼(127)의 하강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276)을 하강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2 안착면(128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안착면(1282)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2 가이드돌기(1286)가 제2 안착면(1282)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제2 안착면(1282)의 양측에는 제3 가이드돌기(1282a)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각각 상부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3 가이드돌기(1282a)가 되고,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된다.
또한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양측에는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이 각각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경계가 제2 가이드돌기(1286)가 된다.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은 버튼하강홈(1283)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은 버튼상승홈(1284)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과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이 제2 가이드돌기(1283)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은 제2 안착면(1282)에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졌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과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이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은, 버튼(1276)이 상승해 있는 상태, 즉, 버튼지지축(1277)이 제1 안착면(1281)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최대로 하강시켜 버튼지지축(1277)의 상부면이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에 접촉하였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과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이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은, 버튼(1276)이 하강해 있는 상태, 즉, 버튼지지축(1277)이 제2 안착면(1282)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하강시켜 버튼지지축(1277)의 상부면이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에 접촉하였을 때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을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따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에서는,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에서 제1 가이드돌기(1285)가 이격되는 방향과,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에서 제2 가이드돌기(1286)가 이격되는 방향과,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에서 제3 가이드돌기(1282a)가 이격되는 방향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에서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이격되는 방향이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지지축(1277)과 가이드홈(128)의 작용으로 인해 버튼(1276)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128)을 구비하는 버튼(1276)의 승강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1276)이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을 계속 하강시키면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이 하강하여 버튼지지축(1277)의 상부면에 접하게 되고,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3접촉중심선(C3)과 일치되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텐션조절바(127) 내부의 제1 및 제2 스프링(1273,1275)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1276)이 다시 상승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3 가이드돌기(1282a)를 지나 제2 안착면(128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버튼(1276)이 상승하더라도 제2 안착면(1282)에 버튼지지축(1277)에 걸려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제2 안착면(1282)에 놓여진 버튼지지축(1277)도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에서 정지하며, 따라서 버튼(1276)은 하강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버튼(127)이 하강하면 텐션조절바(127)의 하부로 걸림부재(1274)가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버튼(1276)을 누르면, 제2 가이드돌기(1286)가 하강함에 따라 제2 안착면(1282)에 놓여진 버튼지지축(1277)은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에 접촉하게 되고, 버튼(1276)이 하강하여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4접촉중심선(C4)과 일치되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76)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텐션조절바(127) 내부의 제1 및 제2 스프링(1273,1275)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1276)이 다시 상승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버튼지지축(1277)의 중심이 제4 가이드돌기(1282b)를 지나 버튼상승홈(1284)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버튼(1276)이 상승하면서 버튼지지축(1277)이 버튼상승홈(1284)에 완전히 진입하면서 버튼(1276)이 계속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는 버튼(1276)은 버튼지지축(1277)이 제1 안착면(1281)의 제1 접촉중심선(C1)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정지하며, 이때 텐션조절바(127)의 걸림부재(1274)는 몸체(1271)의 내부로 복귀된 상태가 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a)의 분해 사시도이며, 버튼(1276)에 형성된 가이드홈(128)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a)의 가이드홈(128)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a)의 가이드홈(128)은 하나의 버튼하강홈(1283)과 하나의 버튼상승홈(1284)를 포함한다. 또한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고,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가이드홈(128)이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태를 가진다.
또한 버튼하강홈(1283)의 하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버튼(1276)을 상승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1 안착면(128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안착면(1281)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1 가이드돌기(1285)가 제1 안착면(1281)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과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이 제1 가이드돌기(1285)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우측으로) 이격된다.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276)을 하강시켰을 때 버튼지지축(1277)이 놓여지는 제2 안착면(128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안착면(1282)의 상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2 가이드돌기(1286)가 제2 안착면(1282)을 향해 돌출된다.
제2 안착면(1282)의 양측에는 제3 가이드돌기(1282a)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각각 상부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하강홈(1283)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3 가이드돌기(1282a)가 되고, 버튼상승홈(1284)의 상단과 제2 안착면(1282)의 경계가 제4 가이드돌기(1282b)가 된다.
또한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양측에는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이 각각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과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경계가 제2 가이드돌기(1286)가 된다.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은 버튼하강홈(1283)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은 버튼상승홈(1284)의 상부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과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이 제2 가이드돌기(1286)의 첨단부에서 타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과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이 제3 가이드돌기(1282a)의 첨단부에서 타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과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는 버튼(1276)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이 제4 가이드돌기(1282b)의 첨단부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에서는, 제1 안착면(1281)의 접촉중심선(C1)은 제1 가이드돌기(1285)로부터 도면상 우측으로 이격되는데 반하여, 제2 안착면(1282)의 접촉중심선(C2), 제1 상부가이드면(1286a)의 접촉중심선(C3) 및 제2 상부가이드면(1286b)의 접촉중심선(C4)은 각각 제2 가이드돌기(1286), 제3 가이드돌기(1282a) 및 제4 가이드돌기(1282b)에 대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바(127)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버튼(1276)이 하강할 때 회전하는 방향과 상승할 때 회전하는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사용자가 버튼(1276)을 누를 때마다 버튼(1276)은 소정 각도 내에서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격리통유닛(140)은 도 1,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과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147)을 구비하며, 위쪽으로 개구되어 배설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1)가 형성된다.
투입구(141)는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145), 내벽(146) 및 양 측벽(148)에 의해 둘러싸이며, 외벽(145), 내벽(146) 및 양 측벽(148)은 모두 저장공간(147)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된다. 외벽(145)의 바깥측에는 손잡이(143)가 결합되고, 내벽(146)에는 유입포트(142)가 결합된다.
유입포트(142)는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였을 때 하부유닛(130)의 집수벽(1322)에 설치된 배수포트(135)에 결합되어 집수벽(1322)에 가두어진 소변이나 물을 유입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유닛(130)의 배수포트(135)는 집수벽(1322)을 관통하여 설치된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축(1351)과, 관체의 내부에서 축(1351)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1353)와, 축(1351)의 배수판(132)쪽 일단에 결합되어 관체를 개폐하는 마개(1357)와, 축(1351)의 타단과 축지지부재(1353)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55)을 포함한다.
스프링(1355)은 마개(1357)를 관체쪽으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하부유닛(130)에서 격리통유닛(140)이 분리되더라도 배수포트(135)를 통해 배설물이나 세척수가 새지 않게 된다.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는 투입구(141)의 내벽(146)을 관통하여 설치된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축(1421)과, 관체의 내부에서 축(1421)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1423)와, 축(1421)의 투입구(141)쪽 일단에 결합되어 관체를 개폐하는 마개(1427)와, 축(1421)의 타단과 축지지부재(1423)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425)을 포함한다.
스프링(1425)은 마개(1357)를 관체쪽으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에서 분리한 경우에 내부의 오물이 유입포트(142)를 통해 새지 않게 된다.
유입포트(142)의 관체는 내벽(146)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배수포트(135)의 관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면, 유입포트(142)의 관체가 배수포트(135)의 관체로 삽입되면서 유입포트(142)의 축(1421)과 배수포트(135)의 축(1351)이 서로 밀게 된다.
격리통유닛(140)을 계속 밀어 넣으면, 유입포트(142)의 축(1421)과 배수포트(135)의 축(1351)이 서로 반대로 밀리면서 유입포트(142)의 마개(1427)와 배수포트(135)의 마개(1357)가 관체로부터 분리되어 유로가 형성된다.
이렇게 유로가 형성되면, 하부유닛(130)의 배수판(132)을 통해 흘러내린 배설물 또는 세척수가 배수포트(135)와 유입포트(142)를 거쳐 격리통유닛(140)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으로부터 분리하면, 유입포트(142)와 배수포트(135)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1425,1355)에 의해 각 마개(1427,1357)가 관체에 밀착되어 유로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리통유닛(140)을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에 삽입하면 유입포트(142)의 관체가 배수포트(135)의 관체 내부로 삽입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배수포트(135)의 관체가 유입포트(142)의 관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부유닛(130)에서 빼낸 격리통유닛(140)에는 손잡이(14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잡이(143)를 잡고 격리통유닛(140)을 운반하여 내부의 오물을 버릴 수 있다.
그런데 하부유닛(130)에서 빼낸 격리통유닛(140)은 투입구(141)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운반 중에 오물이 출렁거려 외부로 튀거나 실수로 손잡이(143)를 놓쳐서 오물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리통유닛(140)의 투입구(141)에 격리통덮개(149)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통덮개(149)는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구(14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덮개부(1491)와, 덮개부(149)를 격리통유닛(140)에 결합하기 위하여 덮개부(149)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1497), 덮개부(149)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배출구(1493), 배출구(1493)의 입구에 장착된 마개(149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입구(141)의 양 측벽(148)에 격리통덮개결합홈(1481)을 형성하고, 덮개부(149)에 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497)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격리통덮개결합홈(141)과 결합부재(1497)의 구체적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덮개부(149)의 내측면에는 투입구(141)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부분에 패킹(149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1495)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개(1495)와 덮개부(149), 또는 마개(1495)와 배출구(1493)를 유연성 재질의 연결부재로 연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유닛(130)에서 빼낸 격리통유닛(140)에 격리통덮개(149)를 장착한 상태에서 손잡이(143)를 잡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마개(1495)를 분리한 상태에서 배출구(1493)를 통해 오물을 보다 안전하게 버릴 수 있다.
한편 격리통 덮개(149)의 배출구(1493)를 통해 오물을 버리는 경우에는 밀폐된 저장공간(147)의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감소하면서 오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유입포트(142)에 설치된 스프링(1425)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선택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저장공간(147)의 내부압력과 대기압의 차이가 스프링(1425)의 복원력보다 커지면 마개(1427)가 열리면서 저장공간(147)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차가 해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은 수캐가 다리를 들고 소변을 누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네트형 벨트(126)의 후방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네트형 벨트(126)에 대해 상당한 높이로 돌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하단부는 상부유닛(110)의 에지커버(114)에 거치되고 후면은 기관실커버(111)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배뇨판(151)과, 배뇨판(151)의 가로방향의 양 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소변이 바깥으로 튀는 것을 막아주는 차수판(15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배뇨판(151)에 소변을 누면 배뇨판(151)을 세척할 필요가 있으므로 배뇨판(151)을 세척하는 수단도 구비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배뇨판(151)의 주변에 노즐을 설치하고 애완견이 소변을 누면 노즐에서 배뇨판(151)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직접 분사방식은 배뇨판(151) 전면에 걸쳐 고르게 흘러 내리도록 물을 분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분사압력으로 인해 물이 튈 염려가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 집수부(153)를 형성하고 집수부(153)로 공급된 물을 배뇨판(151)의 정면 상단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시켜 배뇨판(151)을 세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뇨판(151) 상단의 배출구(152)를 통해 물을 배출하면 물이 부착력에 의해 배뇨판(151)의 전면에 고르게 퍼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리게 되므로 물이 튈 염려가 없고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42(a)는 소변가이드 유닛(150) 중앙의 세로방향 절단면에서 좌측으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2(b)는 우측으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는 정면의 배뇨판(151)과 후방플레이트(1512)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의 수평격벽에 의해 하부공간과 구획되는 집수부(153)가 형성된다. 후방플레이트(1512)에는 기관실 커버(111)의 상면에 거치되는 걸림턱(15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에는 물공급관(159)이 설치되며, 물공급관(159)의 하단은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컨베이어유닛(120)의 지지프레임(124)에 구비된 연결구(1248)에 결합된다. 물공급관(159)의 상단은 집수부(153)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물공급관(159)을 통해 집수부(153)로 공급된 물은 배출구(152)를 통해 배뇨판(151)의 정면으로 배출되어 배뇨판(151)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부(153)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되어야만 배출구(152)로 물이 배출되도록 소변가이드 유닛(150)에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집수부(153)의 일측에 상승유로(154)를 형성하고, 상승유로(154)의 상단과 배출구(152)를 하강유로(155)로 연결한다. 이때 상승유로(154)의 상단은 배출구(152)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하며, 집수부(153)에 대기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집수부(153)의 천정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홀(158)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물이 채워지기 전에는 배출구(152)로 물이 배출되지 않지만, 그 이상으로 물이 채워져 하강유로(155)를 통해 물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사이펀(Siphon)의 원리 때문에 상승유로(154)의 하단입구가 드러날 때까지 집수부(153)의 물이 계속 배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면 배출구(152)를 개폐시키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어장치는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채워질 정도의 물을 집수부(153)에 정량 공급하면 된다.
배출구(152), 상승유로(154), 하강유로(155) 등의 형상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집수부(153)의 물이 계속 배출되더라도 상승유로(154)의 하단 입구가 드러나면 더 이상 배출되지 않으므로 집수부(153)의 바닥에는 항상 소량의 물이 남아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을 세우면, 아래쪽으로 모인 물이 배출구(152)를 통해 흘러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42(b)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내부유로의 일측에 차수벽(15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상승유로(154)의 우측단에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차수벽(157)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차수벽(157)은 하강유로(15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승유로(154) 또는 하강유로(155)의 우측단에 차수벽(157)을 형성하면, 도 13과 같이 애완견용 화장실(100)이 세워져 집수부(153) 내부의 물이 아래쪽으로 모이더라도 차수벽(157)에 막혀 배출구(152)로 새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하부유닛(130)의 컨베이어거치대(136)에 컨베이어유닛(120)을 올려 놓고 그 상부에 상부유닛(110)을 결합하고, 상부유닛(110)에 구비된 후크(119)를 하부유닛(130)의 후크걸림턱(139)에 걸어서 고정한다.
이어서 격리통유닛(140)을 상부유닛(110)의 좌측 입구(12)를 통해 삽입하여 하부유닛(130)의 수납공간(137)으로 밀어 넣고, 상부유닛(110)의 입구(12) 양측에 구비된 격리통잠금부재(117)의 결합돌부(1172)를 하부유닛(130)의 결합홈(138)에 삽입하여 격리통유닛(140)의 외벽(145)의 양측을 지지한다.
이 과정에서 하부유닛(130)에 구비된 배수포트(135)와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가 결합되면서 배수판(132) 상부와 격리통유닛(140)의 저장공간(147) 사이에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애완견이 네트형 벨트(126)에 올라가면 제어장치(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음)는 감지센서(116)를 통해 애완견을 감지하여 카운팅을 시작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고 감지센서(116)를 통해 더 이상 애완견이 감지되지 않으면 애완견이 배설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
배설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장치는 커버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격리통커버(113)를 회전시켜 투입구(141)를 노출시킨다.
이어서 롤러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를 회전시키며, 구동롤러(121)가 회전함에 따라 하중지지대(125) 상부에서 네트형 벨트(126)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네트형 벨트(126)에 놓인 배설물은 투입구(141)로 투입된다. 이때 투입구(141) 주변에 설치된 깔때기(134)의 블레이드가 네트형 벨트(126)로부터 배설잔여물까지 깨끗하게 분리한다.
한편,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가 회전하면, 제어장치는 펌프를 제어하여 세척실의 노즐(192)를 통해 세척롤러(122)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하중지지대(125)의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해 종동롤러(123)와 네트형 벨트(126)의 사이로 물을 분사한다.
그리고 네트형 벨트(126)가 반바퀴 회전하여 배수판(132)의 상부에 도달하면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한 물 분사를 중단하고,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을 통해 물을 잠시 동안 분사한다. 이때에도 세척실의 노즐(192)은 계속 물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네트형 벨트(126)가 완전히 한바퀴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면, 세척실의 노즐(192)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한다. 노즐(192)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하더라도 구동롤러(121)와 세척롤러(122)를 계속 회전시켜서 세척롤러(122)의 브러시로 네트형 벨트(126)에 묻은 잔여 세척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벽(1322)의 양측에 설치된 노즐(190)은 컨베이어거치대(136)의 하부를 세척한다. 이 노즐(190)의 분사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롤러(121)가 동작하는 초기에 분사할 수도 있고, 네트형 벨트(126)가 반바퀴 회전한 후에 분사할 수도 있고, 네트형 벨트(126)가 한 바퀴 회전한 후 세척롤러(122)가 노즐(192)의 물 분사 없이 동작하여 네트형 벨트(126)의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이후에 분사할 수도 있다.
한편 격리통커버(113)는 배설물이 투입구(141)로 낙하한 후에도 네트형 벨트(126)가 대략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형 벨트(126)가 반 바퀴 회전하면, 하중지지대의 최외측 세로살대(1252)에 구비된 노즐(1256)에서는 물 분사가 중단되지만 나머지 세로살대(1252)에서 하중지지대(125) 세척을 위한 물 분사가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네트형 벨트(126)의 홀에 응집된 물이 깔때기(134)를 통해 투입구(141)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세척 과정에서 분사된 물 등은 배수판(132)을 따라 흘러내려 집수벽(1322)의 일측에 모인 후에 하부유닛(130)의 배수포트(135)와 격리통유닛(140)의 유입포트(142)를 통해 격리통유닛(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제어장치는 이러한 세척 과정을 마친 이후에, 세척실커버(112)의 바깥측에 장착된 팬(170)을 동작시켜 애완견용 화장실(100)의 내부를 강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격리통커버(113)에 설치된 살균램프(180)를 계속 또는 주기적으로 점등하여 격리통유닛(140)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수벽(1322)에 설치된 살균램프(182)를 점등하여 배수판(132)의 상면과 주변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애완견이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배뇨판(151)에 소변을 눈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는 펌프(1314)를 제어하여 물공급관(159)을 통해 집수부(153)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며, 상승유로(154)의 상단까지 물이 채워지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대부분의 물이 배출구(152)을 통해 배출되어 배뇨판(151)을 세척하게 된다.
배뇨판(151)을 세척한 물은 네트형 벨트(126)을 통과하여 배수판(132)으로 유입된 후 배수포트(135)를 통해 격리통유닛(140)으로 유입된다.
제어장치가 소변가이드 유닛(150)의 배뇨판(151)에 소변을 눈 것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배뇨판(151), 차수판(156) 또는 주변에 소변감지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0: 애완견용 화장실 110: 상부유닛
10: 관통부 12: 입구
1102: 받침부 1104: 바퀴홈
111: 기관실 커버 1112: 관통홀
112: 세척실커버 1122: 세척가이드
113: 격리통커버 1132: 커버회전축
114: 에지커버 1142: 삽입홀
115: 보호커버 116: 감지센서
117: 격리통잠금부재 1171: 수직축
1172: 결합돌부 1174: 측면커버결합부
1176: 이탈방지돌기 1178: 제1 스토퍼
1179: 제2 스토퍼 118: 측면커버
1181: 절개부 1182: 그립부
1182a: 수용홈 1184: 잠금부재결합부
1186, 1188: 커버연결부 119: 후크
120: 컨베이어유닛
121: 구동롤러 122: 세척롤러
123: 종동롤러 1232: 베어링하우징
124: 지지프레임 124a: 가로프레임
124b: 세로프레임 1241: 베어링하우징 삽입홀
1242: 장공형 축삽입홀 1244: 축삽입홀
1245: 지지대거치홈 1246: 호스연결구
1248: 소변가이드유닛 연결구 1249: 상면부
125: 하중지지대 1252: 세로살대
1254: 가로살대 1256: 노즐
126: 네트형 벨트 127: 텐션조절바
1271: 몸체 1272: 관통부
1272a: 스프링걸림턱 1273: 제1 스프링
1274: 걸림부재 1274a: 헤드
1275: 제2 스프링 1276: 버튼
1277: 버튼지지축 1278: 삽입홀
1279: 삽입홈 128: 가이드홈
1281: 제1 안착면 1282: 제2 안착면
1282a: 제3 가이드돌기 1282b: 제4 가이드돌기
1283: 버튼하강홈 1284: 버튼상승홈
1285: 제1 가이드돌기 1286: 제2 가이드돌기
1286a: 제1 상부가이드면 1286b: 제2 상부가이드면
1287: 제1 걸림홈 1288: 제2 걸림홈
129: 스프링 1292: 스프링축
1294: 헤드 1296: 고정부재
C1: 제1 안착면 접촉중심선 C2: 제2 안착면 접촉중심선
C3: 제1 상부가이드면 접촉중심선 C4: 제2 상부가이드면 접촉중심선
130: 하부유닛
1301: 측벽 1302: 격벽
1304: 바닥 1306: 거치홈
1308: 하부유닛투입구 131: 기관실
1312: 기어박스 1314: 펌프
132: 배수판 1322: 집수벽
1324: 결합감지수단 133: 지지틀
1331: 받침부 1332: 파티션
1335: 깔때기결합홈 1337: 축거치홈
134: 깔때기 1340: 관통부
1341: 블레이드 1342: 안내면
1343: 롤러대향면 1344: 집수벽접촉면
1345: 집수벽결합홈 1346a: 내벽결합홈
1346b: 외벽결합홈 1346c: 측벽결합홈
1347: 돌출부 1348: 상향경사면
1349: 파티션결합부 135: 배수포트
1351: 축 1353: 축지지부재
1355: 스프링 1357: 마개
136: 컨베이어거치대 137: 수납공간
138: 결합홈 139: 후크걸림턱
1390: 바퀴
140: 격리통유닛
141: 투입구 142: 유입포트
1421: 축 1423: 축지지부재
1425: 스프링 1427: 마개
143, 1431: 손잡이 145: 외벽
146: 내벽 147: 저장공간
148: 측벽 1481: 격리통덮개결합홈
149: 격리통덮개 1491: 덮개부
1493: 배출구 1495: 마개
1497: 결합부재 1499: 패킹
150: 소변가이드 유닛
151: 배뇨판 1512: 후방플레이트
1514: 걸림턱 152: 배출구
153: 집수부 154: 상승유로
155: 하강유로 156: 차수판
157: 차수벽 158: 공기홀
159: 물공급관
160: 물통 162: 뚜껑
164: 밸브 170: 팬
172: 팬보호커버 180, 182: 살균램프
190, 192: 노즐

Claims (30)

  1. 바닥과 배수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유닛;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개구된 투입구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격리통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애완견이 탑승하는 네트형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네트형 벨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격리통유닛이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된 상부유닛
    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입구의 양측에 각각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내측면에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된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는 각각 측면커버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각 측면커버는, 타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각 측면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절개부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에서 상기 수직축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면의 모서리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과 상기 격리통유닛의 외벽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수직축과 인접한 외측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바닥의 외측 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리통잠금부재는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수직축과 인접하여 돌출된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격리통잠금부재를 상기 하부유닛의 내벽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하부유닛의 외측 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유닛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는, 상기 하부유닛의 대향하는 내벽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를 개폐하는 격리통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상단에는 상기 격리통커버에 결합된 커버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거치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격리통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부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단은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유닛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깔때기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는, 상기 하부유닛투입구에 대응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은 관통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테두리에서 제1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의 상단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벽은 상기 네트형벨트가 감기는 롤러와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외측에는 상기 곡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롤러의 일측을 근접하여 둘러싸는 롤러대향면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대향면의 상단에는 뾰족한 블레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의 상면의 내측단과 연결된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투입구는, 상기 하부유닛의 대향하는 내벽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티션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파티션의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집수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테두리에서 제2 세로방향 테두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내벽이 삽입되는 내벽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외벽이 삽입되는 외벽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결합홈의 선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에서 제1 가로방향 테두리와 제2 가로방향 테두리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파티션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방향 테두리와 제2 가로방향 테두리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통유닛의 투입구를 둘러싸는 한 쌍의 측벽이 각각 삽입되는 측벽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네트형 벨트가 감기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배치된 세로프레임과,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베어링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된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에 결합된 베어링하우징;
    상기 종동롤러의 롤러축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벽 상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된 후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축삽입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텐션조절바;
    상기 텐션조절바의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
    상기 텐션조절바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바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스프링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스프링걸림턱에 거치되는 제1 스프링;
    상단에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큰 직경의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을 관통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버튼하강홈, 버튼상승홈,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버튼상승홈의 하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안착면,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버튼상승홈의 상단의 연결부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안착면, 상기 제1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안착면을 향해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 상기 제2 안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안착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하강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1 상부가이드면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내벽과 연결된 제2 상부가이드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홈;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2 안착면에 교대로 놓여지는 버튼지지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버튼하강홈은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의 경사를 가지며, 다수의 상기 버튼상승홈과 다수의 상기 버튼하강홈이 상기 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1 가이드돌기에 대해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2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하강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3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4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버튼하강홈의 상단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튼하강홈의 하단과 상기 버튼상승홈의 하단이 연결되어 폐루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1 가이드돌기에 대해 제1 방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놓여졌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접촉중심선은 상기 제2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방향 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하강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3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면에 상기 버튼지지축이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버튼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버튼지지축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접촉중심선은 상기 버튼상승홈과 상기 제2안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제4 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은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향하는 일 측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저면은 반대쪽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배수판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내부에서 제1 축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관체를 개폐하는 제1 마개와, 상기 제1 마개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통유닛은,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는 일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관체와 다른 직경을 갖는 제2 관체와, 상기 제2 관체의 내부에서 제2 축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축과, 상기 제2 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관체를 개폐하는 제2 마개와, 상기 제2 마개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입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통유닛을 상기 하부유닛의 수납공간에 삽입하면, 상기 제1 축의 타단과 상기 제2 축의 타단이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마개와 상기 제2 마개가 각각 관체로부터 분리되어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격리통유닛의 탈부착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유닛에는 상기 다수의 바퀴와 같은 높이의 받침부가 돌출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통유닛의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는 격리통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통 덮개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상기 격리통유닛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화장실
KR1020150039246A 2014-12-22 2015-03-20 애완견용 화장실 KR10171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46A KR101712260B1 (ko) 2015-03-20 2015-03-20 애완견용 화장실
PCT/KR2015/013426 WO2016104996A1 (ko) 2014-12-22 2015-12-09 애완견용 화장실
US15/538,758 US20180014509A1 (en) 2014-12-22 2015-12-09 Toilet for pet do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46A KR101712260B1 (ko) 2015-03-20 2015-03-20 애완견용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64A true KR20160112864A (ko) 2016-09-28
KR101712260B1 KR101712260B1 (ko) 2017-03-03

Family

ID=5710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246A KR101712260B1 (ko) 2014-12-22 2015-03-20 애완견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2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6423A (zh) * 2018-12-03 2019-04-0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宠物排泄物处理系统
KR102240245B1 (ko) *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20210000908U (ko)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애완동물 배변처리장치용 배변처리 수납부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CN115885864A (zh) * 2021-08-16 2023-04-04 浙江美新宠物科技有限公司 用于猫砂盆的防夹装置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WO2023136580A1 (ko)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453A (ja) * 1989-11-07 1991-06-26 Kubota Corp 作業車の車速制御装置
KR200343504Y1 (ko) * 2003-12-17 2004-03-02 이주한 애완동물용 가방
KR101157038B1 (ko)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30028819A (ko) * 2011-08-11 2013-03-20 곽진호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453B2 (ja) * 1991-04-08 2001-03-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プレート形改質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453A (ja) * 1989-11-07 1991-06-26 Kubota Corp 作業車の車速制御装置
KR200343504Y1 (ko) * 2003-12-17 2004-03-02 이주한 애완동물용 가방
KR20130028819A (ko) * 2011-08-11 2013-03-20 곽진호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268177B1 (ko) 2011-08-11 2013-05-27 곽진호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157038B1 (ko)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6423A (zh) * 2018-12-03 2019-04-0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宠物排泄物处理系统
KR20210000908U (ko)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애완동물 배변처리장치용 배변처리 수납부
KR102240245B1 (ko) *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CN115885864A (zh) * 2021-08-16 2023-04-04 浙江美新宠物科技有限公司 用于猫砂盆的防夹装置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WO2023136580A1 (ko)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260B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US20180014509A1 (en) Toilet for pet dogs
KR101624467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US20120312242A1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KR102240245B1 (ko)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101723616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1268177B1 (ko)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CA2496247A1 (en) Pet toilet
KR101622565B1 (ko) 발판소독기
KR20190107487A (ko) 악취 저감형 돈사
KR20130140414A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20080057947A (ko) 애완동물 자동화 변기
KR20200144270A (ko) 반려동물 하우스
KR101393150B1 (ko) 애완견용 자동 세정방식 배변장치
KR102206569B1 (ko) 애완동물 배변판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