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6580A1 -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6580A1
WO2023136580A1 PCT/KR2023/000426 KR2023000426W WO2023136580A1 WO 2023136580 A1 WO2023136580 A1 WO 2023136580A1 KR 2023000426 W KR2023000426 W KR 2023000426W WO 2023136580 A1 WO2023136580 A1 WO 20231365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fecation
unit
feces
sewag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4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범석
Original Assignee
박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489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855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46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8558B1/ko
Application filed by 박범석 filed Critical 박범석
Publication of WO20231365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65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eca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smell of feces of a companion animal. More preferably, it relates to a defecation device configured to separate and process feces and urine.
  • the defecation board for companion animals includes a control unit and a spraying unit in a waste collection unit.
  •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plate 11-2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second plate including a through hole 11-4 for inducing movement of companion animal excrement, and a companion animal excrement collection unit. It is composed of a third plate 11-8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 the first plate 11-2 is disposed in a shap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11a having a certain length and line width at one end.
  • the first plate 11-2 becomes a footrest that companion animals go up to toilet.
  • the switch of the power supply unit 14 When the companion animal climbs on the first plate 11-2 to defecate, the switch of the power supply unit 14 is pressed while the extension 11a of one end of the first plate 11-2 descends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power is connected,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4 .
  • the second plate 11-6 is located below the first plate 11-2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 the through hole 11-4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lanted end of the second plate 11-6, that is, at the lowest part, so that excrement of companion animals can easily move.
  • the third plate 118 is located under the second plate 116 and has an internal space for collecting companion animal excrement moved from the through hole 11-4 of the second plate 11-6.
  • the third plate 11-8 is detachable from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so that when a certain amount of excrement is collected, the third plate 11-8 can be separated to treat the collected excrement.
  • a cover part is included in a certain area of the third plate 11-8, and the cover par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More specifically, the cover part is general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is opened only at the time when excretion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4 of the second plate 11-6.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switch 14 and a timer.
  • the switch 14 operates while the first plate descends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 is sensed to power the power unit. is supplied
  • the timer determine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serves to adjust the timing of operating the driving motor 18 of the injection unit 15 or the operating time of the driving motor 18 .
  • the timer may be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or example, the washing liquid may be sprayed for 20 seconds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20 seconds after the switch 14 operates, or the washing liquid may be sprayed several times at regular interval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direct water in a place where there is a faucet at home (toilet, veranda, laundry room, living room, etc.) and can be used when pets go for a walk to wash their feet or wash their bowels.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olves these disadvantages, but also solves the problem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feces and urine of companion animals.
  •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odor caused by excretion by completely washing the defecation part when the pet defecates.
  • 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dispersing contaminants around the pet or defecation part when the pet defecate by using the defecation part in a mesh structure.
  • 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frequent cleaning by minimizing contamination of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by installing the sewage storage unit.
  • the four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at the lower part of the defecation body so that contaminants are well discharged without a separate driving means.
  • the fif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feces and urine of companion animals.
  • the six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washing water rise prevention part i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when washing the defecation part after the companion animal has defecated, so that washing water or sewage hits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and scatters around in the form of spray or water droplets. It solve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o it.
  • a seven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configuring the feces discharge unit and preventing the contaminated wash water from moving to the feces storage unit.
  • An eigh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eventing the smell of feces from leaking to the surroundings even after the feces move to the feces storage unit by configuring the feces storage discharge cover portion in the feces storage cover portion, which is the cover portion of the feces storage portion. .
  • the defecation main body portion has a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for preventing defecation smell consisting of a discharge hol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 the washing device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has defecatio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top of the defecation unit by the sensing device,
  • the washing device unit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to remove the smell of defeca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a fan shape so that the washing water does not splash to other places other than the bowel movement unit.
  •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but the spray nozzles attached to the corners are arranged with an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inside so that the washing water does not overflow from the side of the bowel,
  • the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spaced apart from the corner portion and configured on the inside have an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inside, but are configured to have a gentl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 portions configured in the corner portion to make the entire surface of the bowel movement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it to wash.
  •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unit is constituted.
  •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is a name encompassing the sewage storage unit and the sewage storage unit.
  •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is configured so that when sewage is stored beyond a certain range, the motor operates and discharges the sewage to the outside.
  •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constitutes a sewage storage unit at a portion input from the discharge hole unit, so that when the sewage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unit, the sewage storage unit moves from the sewage storage unit to the sewage storage unit through the purification bulkhead and has a certain water level in the sewage storage unit.
  • the motor unit When the waste water is stor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motor unit to operate so that it is discharged through a drain pipe or a toilet.
  • an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between the washing unit and the water pipe entering the washing unit to wash the defecation unit by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when the companion animal leaves the defecation unit after defecation.
  • washing water pressure adjusting unit between the water pipe and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or next to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so as to always wash the bowel with a constant water pressure.
  • an upper prevention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where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are dispos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sprayed upward, and a side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formed in the corner part is formed to prevent washing water in the side direction as well.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o prevent from being blown out.
  • the washing device unit i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so that the washing water ejected from the spray nozzle unit is no longer dispersed to the outside from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and a tree picture is configured o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so that in the case of a mal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defe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barrier wall portion.
  • a UV sterilization lamp to the sterilization lamp attachment part config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to sterilize the defecation part and the prevention partition part.
  • washing hos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a washing hose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to wash away contaminants from the prevention partition.
  • a washing hos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washing hose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back surfac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so that contaminants of the prevention partition can be washed away.
  • a plurality of holes are connected from the washing hose to the upper part of the prevention bulkhead, and after supplying washing water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to the hole, a c-shaped hollow tube is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plurality of holes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c-shap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plurality of slits in the molded hollow tube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downward to wash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 the hose connected to the washing device part is extended to form a hos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and the cover surrounding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and the second washing hos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part, and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tangular cylinder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from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slits to wash the prevention bulkhea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so that the second washing hose unit integrally constructed inside the tubular shape is inserted into the anti-barrier part by a one-touch method or attached with a hook.
  • the defecation main body portion made of an inclined surface discharge hole portion configured at the bottom;
  • the cleaning device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top of the defecation unit by the sensing device,
  • the washing device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 unit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a fan shape so that contaminants including washing water are not dispersed to other places other than the bowel movement unit, and is configured to remove the smell of defecation,
  • Urine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ecation unit and feces are configured to separate feces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so that fe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feces discharge unit configured at the lower part of the anti-diaphragm portion.
  • the bowel portion is composed of a network structure and the material is preferably composed of stainless steel.
  • the anti-barrier part so that after checking the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app-linked camera unit and after the companion animal goes down,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device unit is discharged to the defecation unit to be washed.
  • the detection device is configured in the anti-diaphragm unit, bu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washing water to be sprayed into the defecation unit after the companion animal goes up to the defecation unit and then descends using the proximity sensor unit.
  • a UV sterilization lamp to the sterilization lamp attachment part config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rib portion to disinfect the defecation portion and the barrier rib portion.
  • a plurality of slit tube part which is a pipe having a plurality of slits so that washing water is sprayed o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and to wash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periodically or by a sensor.
  •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excre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washing device ris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inclined downward to the surfac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to prevent spray and water droplets generated by colliding with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from moving upward. It is desirable to constitute a prevention unit.
  • the washing water side prevention part is formed i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so that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device part does not move to the side part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 the stool passage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the body par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eces to move through the unit and move to the feces storage unit through the feces discharge unit.
  • a bowel movement injection nozzle in the washing water side prevention unit so that the stool moved in the stool passage passage is smoothly moved to the stool discharge unit.
  • the feces discharge unit is configured so that the sewage sorting net is inclined so that the washing water and feces of the companion animal are mixed and moving, so that the sewage is not mixed with the feces by escaping from the sewage sorting net part configured to be inclined. do.
  • the sewage sorting screen part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and the sewage that has moved along with feces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sewage sorting storage part through the sewage sorting screen part, and the feces are configured to move to the stool storage part.
  • the change storage unit is composed of a change storage cover portion and a change storage moving portion
  •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unit configured in the toilet storage cover unit is opened only when feces are moved, and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cover is configured to cover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unit when the feces do not move, so that the smell is not leaked. desirable.
  • the toilet storage cover part and the toilet storage movable part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toilet storage cover part has a push-in contact rail main part at a side part, and the close-contact rail is formed on an upper side part of the shift storage movable part.
  • an attachment protrusion on the top of the stool storage cover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stool discharge body.
  • the sewage sorting screen part is made of a metal plate to form the sewage sorting hole part.
  • the upper part of the odor-preventing partition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ol storage cover part is made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hen the stool storage cover and the stool discharge body are coupled to prevent odor.
  • the firs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odor caused by excretion by completely washing the defecation part when the pet defecates.
  • the seco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eces from being dispersed in the pet or surroundings when the pet defecate by using the defecation unit in a mesh structure.
  • the thir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sewage discharge unit by placing the sewage storage unit,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frequent cleaning.
  • the four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stituting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at the lower part of the defecation main body so that pollutants are well discharged without a separate driving means.
  • the fif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the effect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feces and urine of companion animals.
  • the six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washing water rise prevention part i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when washing the defecation part after the companion animal has defecated, so that washing water or sewage does not hit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and scatter around in the form of spray or water droplets to have an effect.
  • a seven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feces discharge unit, but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washing water contaminated with feces from moving to the feces storage unit.
  • An eigh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mell of feces from escaping to the surroundings even after feces move into the feces storage unit by configuring the feces storage discharge cover portion in the feces storage cover portion, which is a cover portion of the feces storage portion.
  • 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a temporary example of a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for preventing the smell of defecation.
  • 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sewage part at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for preventing the smell of defecation.
  • Figure 2a is a diagra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haped hollow tube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Figure 1b.
  • Figure 2b is a view correspon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to be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and the plurality of slit parts instead of the C-shaped hollow tube in FIG. 2a.
  •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spray nozzle portion, the top prevention portion and the side prevention portion are configur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with the spray nozzle.
  • Figure 5 is a view from the top of th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for preventing the smell of defecation.
  •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8a and 8b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 9 and 10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 12A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prevention bulkhead and the change storage.
  • 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a.
  • FIG. 13 is a view showing a fecal discharge unit.
  • 14A is a view showing that the toilet storage cover and the toilet storage movable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oilet storage unit.
  • 14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torage cover and the toilet storage moving unit are separated from the toilet storage unit and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cover is attached to the toilet storage cover.
  • 14C is a diagram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cover part of the toilet storage cover part.
  • 15 is a view showing the filthy part.
  • 16 is a view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unit.
  • 17 is a diagram showing a background art.
  • 6A to 16 are diagrams corresponding to the best embodiment as the second embodiment.
  • the defecation body unit 100 is configured to seat the defecation unit 200.
  • the rear end of the defecation main body 100 constitutes an anti-diaphragm portion 400.
  • the front end of the defecation main body is configured to have a washing unit 160.
  • the first spray nozzle unit 161 to the fifth spray nozzle unit 165 which are washing device units, are configured.
  • the lower surfac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100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form a discharge hole 170 at the lower portion.
  • the washing device unit 160 By configuring the washing device unit 160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body unit 100,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top of the defecation unit 200 by the sensing device when the companion animal has defecation.
  • the sensing device may be configured using a weight sensing device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at a certain point from the time point when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is removed.
  • Another method is to check the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app-linked camera unit 500 i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unit 400, but when the companion animal goes down after the companion animal goes up to the defecation unit, the washing device uni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washing water from 160 can be sprayed on the defecation unit 200 to wash it, but using a video signal device that can control the washing water injection time in the washing device unit 160 through a video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app that can be configured.
  • the detection device is configured in the anti-diaphragm portion 400, but the defecation portion ( 200) can be configured using a proximity sensor 470 to spray washing water.
  • the washing device unit 160 has an upper prevention part 166 at the top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to fifth spray nozzle units 161, 162, 163, 164, and 165 are disposed to prevent washing water from being sprayed upward.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161 and 165 configured in the corner portion constitutes a side preventing portion 175 configured in a side portion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spraying out in a lateral direction is also preferable.
  • the sewage unit may be installed in a separate place, bu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lower or side portion of the defecation body unit 100 so that when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washing water enters from the discharge hole unit 170, it is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units 172 and 174. do.
  •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reference numeral 170.
  • the sewage unit 300 By configuring only the sewage unit 300, it can be configured without a separate motor unit 840.
  • the waste water receiving unit 310 is configured in the waste water receiving unit 300 .
  • the discharge hole 170 is connected to the sewage inlet 810, and the purified sewage flows out through the purification partition 820 while the sewage is stored and stored in the sewage storage unit 830 in a certain amount. If it is abnormal, it is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850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870 using the motor unit 840 .
  • the washing device unit 1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 unit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a fan shape so that contaminants including washing water are not dispersed to other places other than the bowel movement unit 200 to remove the smell of bowel movements.
  • a plurality of spray nozzle units include a first spray nozzle unit 161, a second spray nozzle unit 162, a third spray nozzle unit 163, a fourth spray nozzle unit 164, and a fifth spray nozzle. It consists of section 165.
  • the number of nozzle part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 the spray nozzle unit configures the slit portion 160a and uses a spray nozzle unit that sprays in a fan shape so as to be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urine and feces of companion anima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discharged.
  • urine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ecation unit 200 and fe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feces discharge unit 600 configur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400. is characterized by.
  • the urine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ecation portion 200 made of a mesh shape and through the inclined plat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main body portion 100 to the discharge hole portion 170, and feces are prevented to move to the partition wall portion 400 It is discharged to the stool storage unit 700 via the stool discharge unit 600 through the stool passage passage 465.
  • the defecation unit 200 is composed of a network structure and the material is preferably composed of stainless steel. That way, when you urinate, it won't be scattered on your pet's body.
  • a UV sterilization lamp is attached to the germicidal lamp attachment part 410 config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400 to disinfect the defecation part 200 and the prevention partition part 400.
  • the washing water intake unit 160b is configur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washing device unit 160.
  • the anti-partlet 400 can always be contaminated by urine, so it is configured to wash through the multiple slit tube 420.
  •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400 is designed to prevent spray and water droplets generated by the washing water colliding with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400 from moving upwards any more.
  • the washing water rise prevention part 430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downward on the surfac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400.
  • washing water side prevention parts 440 and 450 are form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device part 160 from mov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400, so that the prevention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40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ide part so that contaminated water and washing water are not scattered.
  • the washing water may hit the feces and scatter to the side and front.
  • the feces discharge body 460 Feces are configured to move through the stool passageway 465 configured to be inclined and move to the stool storage unit 700 through the stool discharge unit 600.
  • the toilet movement passage part 465 is configured with defecation movement spray nozzle parts 466 and 467 in the washing water side prevention parts 440 and 450 so that the feces moved to the stool movement passage part 465 are transferred to the stool. It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discharge unit 600.
  • Defecation movement spraying nozzles (466,467) may be used in the same kind as the plurality of spraying nozzles configured in the washing device unit 160, bu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praying nozzles that are sprayed in a straight line.
  • the defecation movement injection nozzle unit 467 means a part that is not visible on the right side.
  • feces moving spray nozzle units 466 and 467 When the feces are moved by the feces moving spray nozzle units 466 and 467, a large amount of feces may be included along with the feces and the washing water or sewage contaminated by the feces.
  • the sewage sorting net parts 610, 620, 630, and 640 are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washing water and the sewage mixed with the feces of companion animals and the moving sewage are inclined.
  • feces are configured so that sewage is not mixed. That is, feces and urine or sewage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eces discharge unit 60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eces discharge hole 468 formed in the feces discharge body 460 .
  • the sewage sorting screen parts 610, 620, 630, and 640 are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ewage that has moved along with feces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sewage sorting storage part 490 through the sewage sorting screen parts 610, 620, 630, and 640, and the feces are moved to the stool storage part 700. ) is configured to move to.
  • the sewage moved to the sewage sorting storage unit 49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70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unit 480 and discharged to the sewage unit 300 or the sewage purification unit 800.
  • the sewage sorting storage unit 490 is configured to be as high as a from the bottom of the sewage sorting storage unit 490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feces discharge hole 468 is formed, and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feces moving spray nozzle parts 466 and 467 And it is configured so that sewage can be stored so that it can flow to the sewage discharge unit 480.
  • the change storage unit 700 is composed of a change storage cover 710 and a change storage moving unit 720,
  • the toilet bowl discharge unit 711 configured in the stool storage cover unit 710 is opened only when feces are moved, and when the stool is not moved, the stool storage discharge cover 719 is covered to cover the stool storage discharge unit 711. ), so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for users who raise companion animals in the house by preventing odors from escaping.
  • a hing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art, and a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is formed here so that the cover is opened when a certain weight is applied and the cover is closed when the weight is not loaded.
  • a close contact head 717 is placed at one end of the stool storage cover 710 so that one end of the stool storage cover 720 and one end of the stool storage cover 710 come into close contact. is to do
  • the feces storage cover 710 is combined with the feces discharge body 460, but the odor-preventing septum 718 is configured identically to the attachment protrusions 712, 713, 714, and 715 or is formed upward to make close contac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eces discharge portion 600. It can be configured slightly longer.
  • the upper part of the anti-odor barrier 71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to prevent odor.
  •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cover part 719 and the odor prevention partition 718 can be used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to prevent odors from spreading throughout the house.
  •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cover part 719 When connected to the toilet storage cover 720, the toilet storage discharge cover part 719 constitutes a hinge part 719a and is composed of an elastic spring so that it can be opened only when feces are moved.
  • the toilet storage cover part 710 and the toilet storage movable part 720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toilet storage cover part 710 has a tight-contact rail recess 716 on the side part, A tight contact rail insertion protrusion 726 is form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change storage moving part 720 to be inserted into the tight contact rail recess 716 .
  • Attachment protrusions 712 , 713 , 714 , and 715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ol storage cover 710 to be combined with the stool discharge body 460 .
  • the coupling means may be attached by means of attachment such as bolts or adhesives, or may be constituted by an interference fit.
  • the sewage sorting screen parts 610, 620, 630, and 640 are composed of metal plates to form the sewage sorting hole parts 615, 625, 635, and 645, most of the sewage moves to the sewage sorting storage part, and the place where feces are stored is small.
  • washing water is sprayed and the amount of sewage may increase, but feces themselves are sufficient as long as they have a significantly smaller capacity than that of the sewage unit 300 or the sewage purification unit 800.
  • the present invention is primarily focused on treating pet urine.
  • the feces are dispersed into small pieces by water pressure and flow down to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defecation unit 200, or in the case of feces of larger pets, they move toward the anti-diaphragm portion 150. do.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pletely remove the odor by washing the bowel movement unit 200 even in this case.
  • the defecation unit 200 is composed of a reticulated stainless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sufficiently washed by washing.
  • the reticulated stainless material has a hygienic and semi-permanent use effect of the footrest where the dog's feet and urine are in direct contact.
  •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such a problem at once.
  • the anti-diaphragm portion 150 also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sprayed to the outside beyond the bowel movement part 200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defecation body portion 100 constitutes a discharge hole portion 170 at the lower portion made of an inclined surface.
  • the discharge hole 170 is opened when water pressure is applied and closed when there is no contaminant such as washing water to prevent odors from rising up.
  • Such a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configured at the inlet of a conventional sewage pipe.
  • an odor backflow prevention valve 815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170 and the sewage part or the waste water storage part 830, or a plurality may be formed.
  • the odor is further blocked.
  • This configuration constitutes a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to prevent defecation odor.
  • the washing device unit 16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body unit 100,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has defecatio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right upper part of the defecation unit 200 by the sensing device.
  • the washing device unit 1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161, 162, 163, 164, and 165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a fan shape so that contaminants including washing water do not splash to other places other than the bowel movement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remove the smell of defecation is to do
  • the injection nozzle unit constitutes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wel movement unit.
  •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161 , 162 , 163 , 164 , and 165 are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the spray nozzle parts 161, 162, 163, 164, and 165 are formed in a fan shape, but the upper and lower plane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inclined fan blad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as far away as possible while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sprayed upward,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prayed indoors as well as pet feces. It is to prevent spraying around the bowel movement unit 200 together with.
  • the injection nozzle parts 161 and 165 attached to the corner part are arranged with an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inside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not sprayed from the side part of the defecation part 200.
  •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162 , 163 , and 164 formed on the inside and spaced apart from the corner part have an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inside, but are configured to have a gentler angle than the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 parts 161 and 165 formed in the corner part.
  • the sewage part means that the user can manually process when a certain amount of sewage is filled.
  • the sewage unit may be installed in a separate place, but it is configured on the lower or side portion of the defecation main body 100 so that when contaminants including washing water enter from the discharge hole 170, it is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72 and 174. desirable.
  •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is a name including the sewage storage unit 830 and the sewage storage unit 860, and when sewage is stored beyond a certain rang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motor unit 840 to operat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do.
  •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unit configures the sewage storage unit 830 at the par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70, so that when the sewage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70, the sewage storage unit 830 collects the purified water storage unit 860. ) is moved through the purification bulkhead 820 and the motor unit 840 is configured to operate so that when sewage above a certain level is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storage unit 860, it is discharged through a drain pipe or toilet.
  • the first discharge unit 850 at the bottom and be connected to a toilet configured lower than the first discharge unit 850 to be discharged naturally without driving the motor unit 840.
  • the sewage storage unit 830 is configured using non-woven fabric so that small-sized contaminants are easily adsorbed, so that the relatively primary purified sewage enters the sewage storage unit 860, and the sewage storage unit 860 To reduce contamination and to keep the sewage storage unit 830 and the sewage purification storage unit 860 clean at all times by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sewage storage unit 830 made of non-woven fabric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An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is configured between the washing unit 160 and a water pipe (not shown) supplied to the washing unit 160 so that when the companion animal leaves the defecation unit 200 after defecation, It is configured to wash the bowel movement unit 200 by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 a ceramic activated water device 182 between the water pipe and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to prevent odor from the defecation unit 200 and the defecation main unit 100 due to the activated washing water. do.
  •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eramic active water device 182 at the inlet of the washing water to suppress odor, inhibit the propagation of spoilage bacteria, increase antibacterial power, and reduce fishy smell when bathing a dog.
  • the ceramic activated water device 182 is installed in a water pipe or a place where washing water enters, and the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amic activated water device can be used to shower pets, clean the floor, or manually wash the toilet.
  •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eramic activated water generator 182 is connected to the washing device 160 that automatically cleans the bowel movement part 200 through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 the washing hose 15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washing device unit 160 and be connected to the washing hose 152 of the anti-diaphragm part 150 through the sid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 the washing water pressure regulator 184 may be selectively configured before and after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washed at a certain pressure.
  • a washing water pressure control unit between the water pipe (not shown: the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ceramic activated water device 182) and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or next to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 184 is configured to always wash the defecation unit 200 with a constant water pressure.
  • washing water pressure control unit 184 For the washing water pressure control unit 184, it is sufficient to use a conventional technique used in other fields.
  •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configures a pressure sensor where the defecation main body 100 and the defecation unit 20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ressure sensor is operated when the pet comes up to the defecation unit 200.
  • a timer is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is operat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pressure sensor is operated so that the valve of the automatic on-off valve 186 is opened so that the automatic on-off valve 186 operates so that washing water is sprayed.
  •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and the pressure sensor use conventional products, and details are omitted.
  • the detection sensor when a pet dog comes up and down on the defecation unit 200, the detection sensor operates, and after 5 seconds,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186 opens, washing the defecation unit 200 proceeds, and washing stops after 10 seconds. do.
  • the tim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a pillar supporting the defecation unit 200 is set up in the center and a spring is used in the pillar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valve by using the action of the wire attaching and dropping when the pet goes up and down the defecation unit 200.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186) or the like.
  •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valve 186 is configured to operate by setting the time with a timer when the pet comes up to the defecation unit 200 and goes down. it is desirab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cleanliness and odor removal by preventing residual urine from remaining in any part of the entire scaffold because the spraying position of the washing wate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affold (urine stool) and sprayed.
  • An upper prevention part 166 is formed on the upper part where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161, 162, 163, 164, and 165 are dispos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spraying upward, and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 parts 161 and 165 formed on the corner portion are formed on the sid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nfigured side preventing part 175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spraying out even in the side direction.
  • the spray nozzle unit is configured with a fan-shaped slit portion 160a configured not to be dispersed upward in a fan shape using a fan-shaped spray nozzle unit.
  • the side protection part 175 may be formed around the part where the injection nozzle parts 161 and 165 are formed, or may extend to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150.
  • the washing device part 160 i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150 so that the washing water sprayed by the spray nozzle parts 161, 162, 163, 164, and 165 is no longer dispersed to the outside from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150, By configuring a tree picture o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ortion 150, it is configured to allow defecation in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ortion 150 in the case of males.
  • UV sterilization lamp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UV sterilization lamp to the germicidal lamp attachment part 155 config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150 to sterilize the defecation part 200 and the prevention partition part 150.
  • the first discharge unit 850 is configured in the lower part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870 is configured in the upper part in the purified water storage unit 860 do.
  • first discharge unit 85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irst discharge unit 850 so that contaminated water flows naturally to the discharge place,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870 to discharge it through a motor.
  • the first discharge unit 850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870 may be selectively configured, or both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used.
  • the upper part of the defecation body unit 100 that is,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efecation unit 200, is formed with a support in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pet is bent even when the defecation unit comes up. can be configured to prevent
  •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efec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orner portion of the triangular prism to maintain support while minimizing contact with the defecation unit 200.
  • a washing hose 152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150 so that contaminants from the prevention partition wall part 150 can be washed away.
  • a multi-hole part (not shown) is connected from the washing hose 152 to the upper part of the prevention bulkhead 150, and afte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to the multi-hole part,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multi-hole part moves downward.
  • a U-shaped hollow tube 154 is configured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downward in the U-shaped hollow tube 154.
  • the purpose can be achieved by directly configuring the washing hose 152 on the anti-bullet part 150 and configuring a multi-hole part on the washing hose 152.
  • the injection nozzle unit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arrier rib portion 150 so that it flows down the barrier rib portion 150.
  • the hose connected to the washing device part 160 is extended to form a hose connection part 151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153 in order to wash the prevention bulkhead part 150 .
  • the cover surrounding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153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 a plurality of holes 157 are formed in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153.
  • a plurality of slits 154a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tangular cylinder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from the second washing hose unit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slits 154a to wash the anti-partition 150.
  •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156 is configured to insert the whole structure of the second washing hose part 153 configured inside the square cylinder shape into the prevention bulkhead part 150 in a one-touch method or attach it with a hook.
  • Figures 1a and 1b can be configured with a sewage storage unit 830 and a sewage storage unit 860, but can be configured without a separate motor unit 840 by configuring only the sewage unit 300.
  • the washer unit 160 may use power depending on the case,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minimize the use of power and directly connect it to the water pipe.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as having the effect of blocking the odor caused by excrement by completely washing the bowel movement when a pet defec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배변본체부; 상기 배변본체부에 안착되는 배변부; 배변본체부의 후면단부에 구성된 방지격벽부; 상기 배변본체부는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구성한 배출홀부; 상기 배변본체부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경우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되,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이 상기 배변부외의 여타장소로 분산되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되, 반려동물의 소변과 대변이 서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변부를 통하여는 소변이 배출이 되고 대변은 상기 방지격벽부의 하부에 구성한 변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본원발명은 반려동물의 배변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2330905(2021.11.25)인 배경기술에서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배경기술을 도17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배설물 수거 유닛에서, 제어 유닛 및 분사 유닛을 포함한다.
먼저, 배설물 수거 유닛은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 플레이트(11-2),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관통 홀(11-4)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제3 플레이트(11-8)로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11-2)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며, 일단에 일정 길이 및 선폭을 갖는 확장부(11a)를 더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2)는 반려동물이 용변을 하고자 올라가는 발판이 된다.
반려동물이 용변을 위해 제1 플레이트(11-2)에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2) 일단의 확장부(11a)가 하강하면서 전원부(14)의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어 전원이 연결되면 전원부(14)에 전원이 공급된다.
제2 플레이트(11-6)는 제1 플레이트(11-2) 하부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관통 홀(11-4)은 제 2 플레이트(11-6)의 경사진 일단 즉, 높이가 제일 낮은 부분에 위치하여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플레이트(118)는 제2 플레이트(116) 하부에 위치하며, 제2 플레이트(11-6)의 관통 홀(11-4)로부터 이동된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다.
제3 플레이트(11-8)는 배설물 수거 유닛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여 일정 양의 배설물이 수거되면 제3 플레이트(11-8)를 분리하여 수거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3 플레이트(11-8)의 일정 영역에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자동 개폐가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덮개부는 일반적으로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제2 플레이트(11-6)의 관통 홀(11-4)을 통해 배설물이 유입되는 시점에만 개방된다.
평소에는 제3 플레이트(11-8)의 상기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실내에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전원부가 구비되며, 전원부는 스위치(14) 및 타이머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이 용변을 위해 제1 플레이트(11-2)에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제1 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스위치(14)가 동작하게 되고, 스위치(14)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된 시점을 판단하여 분사유닛(15)의 구동 모터(18)를 동작시키는 시점 또는 구동 모터(18)를 동작하는 시간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값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14)가 동작한 후 20초 후에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20 초동안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가지고 여러 번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설정할 수 도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사유닛(15)으로 인하여 외부로 세척수가 분사되고 제1플레이트(11-2)를 완전하게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왔다.
기존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은 세척수 분사 위치가 발판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전체를 세척하지 못하는 구조로 반려견을 포함한 반려동물이 배변판에 올라갈 때마다 잔류소변을 밟아야 하는 위생과 청결 문제 및 냄새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정에서는 반려동물 배변처리에 배변패드를 1일 10~20장 정도 사용하므로 쓰레기 배출의 환경문제, 즉 자원낭비에 문제가 심각하나 본 발명의 장치는 배변패드가 전혀 필요하지 않는 것이다.
기존 사용되고 있는 수세식 배변판은 여러 개의 센서 여러 개의 모터, 전선과 부품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그 기능들은 만족할 수 없다.
본원발명은 가정의 수도꼭지가 있는 곳(화장실, 베란다, 세탁실, 거실 등)에서 직수로 연결하고 간단한 장치로 반려동물이 산책을 다녀와 발을 세척할 때나 배변을 세척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애완동물이 배변할 때에 배변부를 완전하게 세척함으로 배설물로 인한 냄새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배변부를 망상의 구조로 사용함으로 애완동물이 배변할 때 애완동물 또는 배변부 주변에 오염물이 분산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오수저장부를 두어 오수정화수저장배출부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청소를 자주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4과제는 배변본체부의 하부에 오수저장배출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구동수단이 없어도 오염물이 잘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5과제는 반려동물의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6과제는 반려동물이 배변한 후에 배변부를 세척할 때에 방지격벽부에 세척수상승방지부를 구성하여 세척수 또는 오수가 방지격벽부에 부딛혀서 분무 또는 물방울의 형태로 주위에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7과제는 변배출부를 구성하되 대변과 함께 오염된 세척수가 변저장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8과제는 변저장부의 커버부인 변저장커버부에 변저장배출커버부를 구성하여 대변이 변저장부에 이동한 후에도 대변냄새가 주위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에 대한 제1과제 내지 제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배변본체부;
상기 배변본체부에 안착되는 배변부;
배변본체부의 후면단부에 구성된 방지격벽부;
상기 배변본체부는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구성한 배출홀부로 구성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배변본체부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경우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되,
세척수가 상기 배변부 외의 여타장소로 튀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는 좌우에 대칭형상으로 배치하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상기 분사노즐부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구성하여 상기 배변부 측면부에서 세척수가 넘치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각을 가지되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변부의 전체면을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부와 연결된 오수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부와 연결된 오수저장배출부를 구성한다.
오수저장배출부는 오수저장부와 오수정화수저장부를 포괄하여 일컫는 명칭이다.
상기 오수저장배출부는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오수가 저장이 되면 모터부가 작동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수저장배출부는 상기 배출홀부로부터 입력되는 부위에 오수저장부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홀부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면 상기 오수저장부에서 오수정화수저장부로 정화격벽부을 통하여 이동되고 상기 오수정화수저장부에 일정한 수위 이상의 오수가 저장이 되면 배수관 또는 변기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부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척장치부와 상기 세척장치부로 입수되는 수도관 사이에 자동개폐밸브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후에 상기 배변부를 벗어나면 상기 자동개폐밸브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도관과 상기 자동개폐밸브 사이에 세라믹활성수기를 장착구성하여 활성화된 세척수로 인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배변본체부로부터 냄새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도관과 상기 자동개폐밸브 사이 또는 상기 자동개폐밸브 다음단에 세척수압조절부를 구성하여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상기 배변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가 배치된 상부에는 상부방지부를 구성하여 상방향으로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가 측부에 구성한 측면방지부를 구성하여 측면방향으로도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의 타측면에 상기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분사노즐부가 뿜어내는 세척수를 상기 방지격벽부에서 더 이상 외부로 분산되지 않게 하고, 상기 방지격벽부에 나무그림을 구성하여 수컷의 경우에 상기 방지격벽부에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 상부에 구성된 살균램프부착부에는 UV살균램프를 부착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방지격벽부를 소독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지격벽부의 상부 이면부에는 세척호스를 연결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의 오염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의 상부 이면부에는 세척호스를 연결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의 오염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척호스로부터 상기 방지격벽부의 상부에 복수홀부를 연결구성하고 이 홀부에 세척수가 뿌려지도록 세척수를 공급한 후에 상기 복수홀부로부터 뿌려진 세척수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ㄷ자형중공관을 구성하고 상기 ㄷ자형중공관에는 하부로 세척수가 흐르도록 복수개의 슬릿부를 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장치부와 연결된 호스는 연장하여 제2세척호스부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에 구성하고 상기 제2세척호스부를 에워싸는 커버에는 사각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세척호스부에는 복수개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사각통형상의 하부에는 복수개슬릿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2세척호스부에서 흘러나온 세척수가 상기 복수개슬릿부를 통하여 흘러나와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사각통형상의 내부에 구성한 상기 제2세척호스부 일체의 구성을 상기 방지격벽부에 원터치방법으로 삽입하거나 걸고리로 부착하도록 연결삽입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예에 대한 제5과제 내지 제8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배변본체부;
상기 배변본체부에 안착되는 배변부;
배변본체부의 후면단부에 구성된 방지격벽부;
상기 배변본체부는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구성한 배출홀부;
상기 배변본체부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경우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되,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이 상기 배변부 외의 여타장소로 분산되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되,
반려동물의 소변과 대변이 서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변부를 통하여는 소변이 배출이 되고 대변은 상기 방지격벽부의 하부에 구성한 변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변부는 망상구조로 구성되고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앱연동카메라부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한 영상을 확인한 후에 반려동물이 내려간 후에는 상기 세척장치부로부터 세척수가 상기 배변부에 배출되어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방지격벽부에 구성하되, 근접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배변부에 올라간 다음 내려간 후에는 상기 배변부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 상부에 구성된 살균램프부착부에는 UV살균램프를 부착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방지격벽부를 소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복수개 슬릿을 가지는 관인 복수개 슬릿관부를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센서에 의하여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상기 세척장치부에서 반려동물의 배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상기 방지격벽부에 부딛혀 발생하는 분무 및 물방울이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방지격벽부의 면에 하향경사지도록 세척수상승방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상기 세척장치부에서 분사한 세척수가 상기 방지격벽부의 측면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세척수측면방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지격벽부의 하부에는 반려동물의 대변이 상기 세척장치부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의 힘에 의하여 상기 방지격벽부 하부인 변배출몸체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변배출몸체부에 경사지도록 구성한 변이동통로부를 통해 대변이 이동하여 변배출부를 통하여 변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이동통로부에 대변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척수측면방지부에 배변이동분사노즐부를 구성하여 상기 변이동통로부에 이동된 대변이동을 원할하게 상기 변배출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배출부는 오수선별거름망부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세척수와 함께 반려동물의 대변이 혼합되어 이동하는 오수는 경사지도록 구성한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에서 빠져나감으로 대변에는 오수가 섞여있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는 경사지도록 구성하고, 대변과 함께 이동한 오수는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를 통하여 오수선별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대변은 상기 변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저장부는 변저장커버부와 변저장이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변저장이동부의 대변을 처리할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이동부를 이동시켜서 대변을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에 구성한 변저장배출부에는 대변이 이동할 때에만 열리고, 대변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배출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변저장배출커버부를 구성하여 냄새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와 상기 변저장이동부는 서로 결합 또는 이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변저장커버부는 밀접촉레일요부를 측면부에 구성하고, 상기 변저장이동부의 상부 측면부에는 상기 밀접촉레일요부에 삽입되도록 밀접촉레일삽입돌기부를 구성하되,
상기 변저장이동부에 대변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이동부에 구성된 변저장이동손잡이부를 잡고 수평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밀접촉레일요부를 이탈시켜 대변을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의 상부에는 상기 변배출몸체부와 결합구성할 수 있도록 부착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는 금속판으로 구성하여 오수선별홀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와 상기 변배출몸체부를 결합할 시에 밀접촉되도록 상기 변저장커버부의 상부에 구성한 냄새방지격부의 상부를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냄새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제1효과는 애완동물이 배변할 때에 배변부를 완전하게 세척함으로 배설물로 인한 냄새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의 제2효과는 배변부를 망상의 구조로 사용함으로 애완동물이 배변할 때 애완동물 또는 주변에 배변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의 제3효과는 오수저장부를 두어 오수배출부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청소를 자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의 제4효과는 배변본체부의 하부에 오수저장배출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구동수단이 없어도 오염물이 잘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원발명의 제5효과는 반려동물의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제6효과는 반려동물이 배변한 후에 배변부를 세척할 때에 방지격벽부에 세척수상승방지부를 구성하여 세척수 또는 오수가 방지격벽부에 부딛혀서 분무 또는 물방울의 형태로 주위에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제7효과는 변배출부를 구성하되 대변과 함께 오염된 세척수가 변저장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제8효과는 변저장부의 커버부인 변저장커버부에 변저장배출커버부를 구성하여 대변이 변저장부에 이동한 후에도 대변냄새가 주위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a 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를 보이는 일시예의 도이다.
도1b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의 하부에 오수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2a는 도1b에 ㄷ 자형중공관을 부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이다.
도2b는 도2a에 ㄷ 자형중공관 대신에 제2세척호스부와 복수개슬릿부가 함께 구성하도록 보이는 또 다른 실시예에 해당되는 도이다.
도3은 분사노즐부와 상부방지부 및 측면방지부를 구성하여 분사노즐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4는 방지격벽부의 후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6a,6b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인 전체사시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7, 도8a,도8b는 본원발명의 정면에서 본 도이다.
도9 및 도10는 본원발명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11은 본원발명의 저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12a는 방지격벽부와 변저장부와의 결합을 보이는 도이다.
도12b는 도12a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13는 변배출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14a는 변저장부를 변저장커버부와 변저장이동부가 이격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4b는 변저장부를 변저장커버부와 변저장이동부가 이격되어있는 것과 아울러 변저장커버부에 변저장배출커버부가 부착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4c 변저장커버부에 변저장배출커버부가 열린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5는 오수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16은 오수정화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17은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6a 내지 도면16은 제2실시예로 최상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배변본체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배변본체부(100)는 배변부(200)를 안착되도록 구성한다.
배변본체부(100)의 후면단부에는 방지격벽부(400)를 구성한다.
배변본체부의 전면단부에는 세척장치부(160)가 구성되도록 구성한다.
도면3에 세척장치부인 제1분사노즐부(161) 내지 제5분사노즐부(165)가 구성되어있다.
상기 배변본체부(100)의 하부면은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배출홀부(170)를 구성한다.
상기 배변본체부(100)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160)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경우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200)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한다.
감지장치는 첫째로는 반려동물의 하중이 있다가 하중이 없어지는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방지격벽부(400)에는 앱연동카메라부(500)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되, 반려동물이 배변부에 올라간 후에 반려동물이 내려간 경우에 상기 세척장치부(160)로부터 세척수가 상기 배변부(200)에 분사되어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앱을 연동하여 영상신호를 통해 세척장치부(160)에서 세척수 분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영상신호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감지장치를 상기 방지격벽부(400)에 구성하되, 근접감지센서부(47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배변부(200)에 올라간 후에 다시 내려간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배변부(200)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근접감지센서(470)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배변부(200)의 상부에서 방지격벽부(400)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분사되어 배변부(200)가 골고루 세척되면서 상부로 세척수가 분산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세척장치부(160)는 복수개의 상기 제1분사노즐부 내지 제5분사노즐부(161,162,163,164,165)가 배치된 상부에는 상부방지부(166)를 구성하여 상방향으로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161,165)가 측부에 구성한 측면방지부(175)를 구성하여 측면방향으로도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오수부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배변본체부(100)의 하부 또는 측부에 구성하여 배출홀부(170)로부터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수가 들어오면 경사면부(172,174)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70에 배출홀부를 구성한다.
도5에 상세하게 구성되어있다.
단지 오수부(300)만을 구성하여 별도의 모터부(840) 없이도 구성할 수 있다.
오수부(300)에는 오수입수부(310)을 구성한다.
오수정화부(800)는 오수입수부(810)로 배출홀부(170)가 연결되어 오수가 저장되면서 정화격벽부(820)를 통하여 정화된 오수가 흘러나와 오수저장부(830)에 저장되고 일정한 양 이상일 경우에는 제1배출부(850)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모터부(840)를 이용하여 제2배출부(87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이 상기 배변부(200)외의 여타장소로 분산되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160)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는 본원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분사노즐부(161),제2분사노즐부(162) ,제3분사노즐부(163) ,제4분사노즐부(164) ,제5분사노즐부(165) 로 구성되어있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노즐부의 숫자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는 도면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부(160a)를 구성하여 좌우측으로 경사지도록 부채꼴모양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사용한다.
본원발명은 반려동물의 소변과 대변이 서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변부(200)를 통하여는 소변이 배출이 되고 대변은 상기 방지격벽부(400)의 하부에 구성한 변배출부(6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세척수가 세차게 뿜어내면 소변은 망사형상으로 이루어진 배변부(200)를 통하여 배변본체부(100)의 하부에 구성된 경사판을 통하여 배출홀부(170)로 배출되고 대변은 방지격벽부(400)까지 이동하게 되어 변이동통로부(465)를 통하여 변배출부(600)를 거쳐서 변저장부(700)로 이동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변부(200)는 망상구조로 구성되고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소변을 볼 때에 반려동물의 몸에 비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지격벽부(400) 상부에 구성된 살균램프부착부(410)에는 UV살균램프를 부착하여 상기 배변부(200) 및 상기 방지격벽부(400)를 소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방지격벽부(400)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복수개슬릿을 가지는 관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복수개슬릿관부(420)를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센서에 의하여 상기 방지격벽부(400)를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수입수부(160b)를 구성하여 세척수가 세척장치부(160)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8a에는 수컷의 경우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보는 성향이 있어 방지격벽부(400)는 소변에 의하여 언제나 오염될 수 있어 복수개슬릿관부(420)를 통하여 세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방지격벽부(400)에는 상기 세척장치부(160)에서 반려동물의 배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상기 방지격벽부(400)에 부딛혀 발생하는 분무 및 물방울이 상부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방지격벽부(400)의 면에 하향경사지도록 세척수상승방지부(430)를 구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지격벽부(400)에는 상기 세척장치부(160)에서 분사한 세척수가 상기 방지격벽부(400)의 측면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세척수측면방지부(440,450)를 구성하여 방지격벽부(400)의 측면부로 오염수 및 세척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변이 있을 경우에는 세척수가 대변에 부딛혀서 측면 및 전면으로 비산될 수있다.
반려동물의 대변은 상기 세척장치부(16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의 힘에 의하여 상기 방지격벽부(400) 하부에 구성된 변배출몸체부(460)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변배출몸체부(460)에 경사지도록 구성한 변이동통로부(465)를 통해 대변이 이동하여 변배출부(600)를 통하여 변저장부(700)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변이동통로부(465)에는 대변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척수측면방지부(440,450)에 배변이동분사노즐부(466,467)를 구성하여 상기 변이동통로부(465)에 이동된 대변이 상기 변배출부(600)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배변이동분사노즐부(466,467)는 세척장치부(160)에 구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부와 같은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일직선으로 분사되는 분사노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변이동분사노즐부(467)은 우측편에 보이지 않은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배변이동분사노즐부(466,467)에 의하여 대변이 이동될 경우에는 대변과 함께 세척수 또는 대변으로 인하여 더럽혀진 오수가 상당하게 많이 포함될 수있다.
세척수 또는 오수가 대변과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변배출부(600)는 오수선별거름망부(610,620,630,640)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세척수 및 오수와 함께 반려동물의 대변이 혼합되어 이동하는 오수는 경사지도록 구성한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610,620,630,640)의 오수선별홀부(615,625,635,645)로 빠져나감으로 대변에는 오수가 섞여있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대변과 소변 또는 오수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변배출부(600)는 변배출몸체부(460)에 구성된 변배출홀부(468)에 삽입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610,620,630,640)는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대변과 함께 이동한 오수는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610,620,630,640)를 통하여 오수선별저장부(490)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대변은 상기 변저장부(700)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오수선별저장부(490)로 이동된 오수는 오수배출부(480)을 통하여 배출홀부(170)로 연결되어 오수부(300) 또는 오수정화부(800)로 배출되는 것이다.
오수선별저장부(490)는 변배출홀부(468)의 하부를 구성할 때 오수선별저장부(490)의 바닥부로부터 a만큼 높이가 있도록 구성하여 배변이동분사노즐부(466,467)로부터 분사된 세척수 및 오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오수배출부(480)로 흘러갈 수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변저장부(700)는 변저장커버부(710)와 변저장이동부(720)로 구성되되,
상기 변저장이동부(720)의 대변을 처리할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이동부(720)의 손잡이인 변저장이동손잡이부(730)을 잡고 수평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밀접촉레일요부(716)를 이탈시켜 대변을 처리하는 것이다.
변저장커버부(710)에 구성한 변저장배출부(711)는 대변이 이동할 때에만 열리고, 대변이 이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배출부(711)를 덮을 수 있도록 변저장배출커버부(719)를 구성하므로 냄새가 새어나가지 않도록하여 집안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커버부의 일측에 힌지부를 구성하고 여기에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을 구성하여 일정한 무게가 작용할 때에는 열리고 무게가 실리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가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오수관으로 이동하는 입수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면 무방하다.
변저장커버부(710)의 일단부에는 밀접촉머리부(717)의 구성을 두어 변저장이동부(720)의 일단부와 변저장커버부(710)의 일단부에서 밀착접촉할 수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변저장커버부(710)는 변배출몸체부(460)와 결합하되 변배출부(600)하부에서 밀접촉하기 위하여 냄새방지격부(718)를 부착돌기부(712,713,714,715)와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상부로 약간길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냄새방지격부(718)의 상부에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밀접촉하게 하여 냄새를 방지할 수있다.
변저장배출커버부(719)와 냄새방지격부(718)은 선택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하여 냄새가 집안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변저장배출커버부(719)는 변저장커버부(720)와 연결시에 힌지부(719a)를 구성하되 탄성스프링으로 구성하여 대변이 이동되었을 경우에만 열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변저장커버부(710)와 상기 변저장이동부(720)는 서로 결합 또는 이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변저장커버부(710)는 밀접촉레일요부(716)를 측면부에 구성하고, 상기 변저장이동부(720)의 상부 측면부에는 상기 밀접촉레일요부(716)에 삽입되도록 밀접촉레일삽입돌기부(726)를 구성한다.
변저장커버부(710)의 상부에는 상기 변배출몸체부(460)와 결합구성할 수 있도록 부착돌기부(712,713,714,715)를 구성한 것이다.
결합하는 수단은 볼트 또는 접착제 등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시킬수 있고 억지끼움맞춤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결합구성은 어떤 경우의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610,620,630,640)는 금속판으로 구성하여 오수선별홀부(615,625,635,645)를 구성하면 오수가 대부분 오수선별저장부로 이동하여 대변이 저장하는 곳은 작은 변저장부로 족한 것이다.
반려견의 경우에는 하루에도 수십차례에 걸쳐서 소변을 보게 된다.이에 비하여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현저히 적어서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매 우 위생적이고 처리에 간편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소변을 볼때마다 세척수가 분사되어 오수의 양은 증가할 수있으나 대변 자체는 오수부(300) 또는 오수정화부(800)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 용량의 것이면 족하다.
도면1a 내지 도면5는 제1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애완동물의 경우에는 배변활동을 할때 소변을 자주 보는 것으로 소변을 볼때마다 집안에 냄새로 인하여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게 된다.
본원발명은 주로 애완동물의 소변을 처리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물론 대변의 경우에도 작은 애완동물의 경우에는 수압에 의하여 작은 조각으로 분산되어 배변부(200)의 망상구조로 흘러내려가거나 보다 큰 애완동물의 대변의 경우에는 방지격벽부(150)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대변이나 소변이 묻어있는 곳을 싫어하는 애완동물의 경우에도 대변이 방지격벽부에 치우쳐 있거나 대부분 처리되어 반복적으로 배변부와 올라와서 배변활동을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변의 경우에 주인이 처리하여도 대변과 접촉한 망상으로 구성된 배변부(200)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완전하게 배변부(200)를 세척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배변부(200)가 망상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세척에 의하여 충분하게 세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면 플라스틱의 면을 따라 흐르고 면에 닿은 순간 소변이 분산되어 애완동물의 몸에 묻을 뿐만 아니라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도 망상으로 구성하는 것이면 족하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같이 망상의 스테인레스 재질은 반려견의 발과 소변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는 발판을 위생적이고 반영구적인 사용효과를 가진다.
망상구조를 가지게 되면 반려동물의 소변이 몸이나 발에 튀지 않게 된다.
즉 망상구조가 아닐 경우에는 소변을 볼 경우에 소변이 튀어 애완동물의 몸에 붙게 되고 주위에도 튀게 되어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에는 피할 수 없는 냄새를 가지고 생활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배변본체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배변본체부(100)에 배변부(200)를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배변본체부(100)의 후면단부에 방지격벽부(150)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서서 배변을 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구성이다.
반려견 중 수컷은 한쪽 다리를 들고 기립되어있는 물체에 소변을 보는 습성이 있는데 이를 고려해 기립벽을 세우되 기립벽에 나무, 풀 등 입체식 그림을 넣은 기립벽을 사용하여 배변을 유도한다.
또한 방지격벽부(150)는 세척수를 반대방향에서 분사할 경우에 배변부(200)를 벗어나 더이상 외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역활도 하는 것이다.
상기 배변본체부(100)는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배출홀부(170)를 구성한다.
배출홀부(170)에는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개방이 되고 세척수를 비롯한 오염물이 없을 경우에는 폐쇄되어 냄새가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오수관의 입구에 구성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배출홀부(170)에 직접구성하여도 좋고 배출홀부(170)와 오수부 또는 오수저장부(830) 사이에 악취역류방지밸브부(815)를 구성하여도 좋으며 복수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복수개를 구성할 경우 더욱 냄새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변본체부(100)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160)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경우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200)의 직상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이 상기 배변부(200)외의 여타장소로 튀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160)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161,162,163,164,165)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분사노즐부는 배변부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를 구성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161,162,163,164,165)는 좌우에 대칭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노즐부(161,162,163,164,165)는 부채형상으로 구성하되 상하는 평면으로 좌우는 경사지는 부채살 형태로 구성하여 상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면서, 가급적 멀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하여 실내에서도 세척수가 애완동물의 배설물과 함께 배변부(200)의 주위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상기 분사노즐부(161,165)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구성하여 상기 배변부(200) 측면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162,163,164)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각을 가지되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161,165)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변부(200)의 전체면을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예시로는 5개를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더 적게 더 많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부(170)와 연결된 오수저장부(830)만 단독으로 구성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또는 애완견을 길들이기 위하여 처음에는 세척수가 연결되지 않는 장소로부터 점차적으로 세척수가 연결된 장소로 이동하면서 오수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오수부는 일정한 분량의 오수가 찰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할 수있는 것을 의미한다.
오수부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배변본체부(100)의 하부 또는 측부에 구성하여 배출홀부(170)로부터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질이 들어오면 경사면부(172,174)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홀부(170)와 연결된 오수저장배출부를 구성한다.
상기 오수저장배출부는 오수저장부(830)와 오수정화수저장부(860)를 포함한 명칭으로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오수가 저장이 되면 모터부(840)를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저장배출부는 상기 배출홀부(170)로부터 배출되는 부위에 오수저장부(830)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홀부(170)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면 상기 오수저장부(830)에서 오수정화수저장부(860)로 정화격벽부(820)을 통하여 이동되고 상기 오수정화수저장부(860)에 일정한 수위 이상의 오수가 저장이 되면 배수관 또는 변기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부(840)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1배출부(850)를 바닥부에 구성하여 제1배출부(850)보다 하단에 구성한 변기에 연결되어 모터부(840)의 구동없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오수저장부(830)는 작은 크기의 오염물들이 용이하게 흡착되도록 부직포등을 이용하여 구성하여 오수정화수저장부(860)에 비교적 1차정화된 상태의 오수가 진입되어 오수정화저장부(860)의 오염을 줄이고 상기 오수저장부(830)는 부직포등으로 구성한 것을 일정한 시간이 지나서 분리수거하는 방법으로 하여 오수저장부(830) 및 오수정화저장부(860)를 늘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세척장치부(160)와 상기 세척장치부(160)로 입수되는 수도관(미도시) 사이에 자동개폐밸브(186)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후에 상기 배변부(200)를 벗어나면 상기 자동개폐밸브(186)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200)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도관과 상기 자동개폐밸브(186) 사이에 세라믹활성수기(182)를 장착구성하여 활성화된 세척수로 인하여 상기 배변부(200) 및 상기 배변본체부(100)로부터 냄새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장치는 세척수가 들어오는 입구에 세라믹 활성수기(182)를 장착하여 냄새억제 및 부폐균 번식억제 향균력증강 효과 및 강아지 목욕 시 비린내 감소효과가 있는 것이다.
세라믹활성수기(182)는 수도관 또는 세척수가 진입하는 곳에 설치하고 세라믹활성수기를 통과한 세척수를 애완동물을 샤워시키거나 바닥청소 또는 배변부를 수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세척수입수부(160b)에 스프레이건과 연결된 호스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있다.
또한 세라믹활성수기(182)를 통과한 세척수는 자동개폐밸브(186)를 통하여 배변부(200)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부(160)로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방지격벽부(150)를 세척하기위하여 세척호스(152)에 연결된다.
세척호스(152)는 세척장치부(160)를 통과하여 배변본체부 측면을 통하여 방지격벽부(150)의 세척호스(152)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수를 일정한 정도의 압력으로 세척되도록 세척수압조절기(184)를 선택적으로 자동개폐밸브(186) 전후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도관(미도시:수도관은 세라믹활성수기(182)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과 연결하는 것이다.)과 상기 자동개폐밸브(186) 사이 또는 상기 자동개폐밸브 (186)다음 단에 세척수압조절부(184)를 구성하여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상기 배변부(200)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세척수압조절부(184)는 종래의 다른 분야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족하다.
자동개폐밸브(186)는 배변부본체(100)와 배변부(200)가 서로 맞닿은 부분에 압력센서를 구성하여 애완동물이 배변부(200)에 올라오면 압력센서가 작동된다.
압력센서가 작동된 다음 일정한 시간후에 전원이 작동되도록 타이머를 구성하여 자동개폐밸브(186)의 밸브가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자동개폐밸브(186)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자동개폐밸브(186) 및 압력센서는 통상적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애완동물인 반려견이 배변부(200)에 올라왔다 내려가면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5초후 자동개폐밸브(186)가 개방되어 배변부(200)의 세척이 진행되고 10초후 세척이 정지된다.
시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로는 중앙에 배변부(200)를 지지하는 기둥을 세우고 기둥 속에 용수철을 사용하여 애완동물이 배변부(200)를 올라오고 내려가면 전선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자동개폐밸브(186) 등에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방지격벽부(150)에 근접감지센서부(470)를 부착하여 애완동물이 근접하여 배변부(200)에 올라왔다가 내려갈 때에 타이머로 시간을 설정하여 자동개폐밸브(186)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감지센서(180)로 적외선감지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이 배변부에 올라가면 모든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 내려간 후에도 바로 올라올 수있고 여러마리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곳에서는 짧은 시간에도 여러마리가 자주 올라올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물론 세척동작이 멈추지 않는다 할지라도 배변부(200)의 약1센티미터의 상부에서 뿌려주는 분사장치로 인하여 애완동물의 발만 적시는 것으로 애완동물이 온몸이 적시게 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
본원발명은 세척수 분사위치가 발판(소변판) 상부에 장착되어 분사되는 관계로 발판 전체 어느 부위에도 잔여소변이 남지 못하게 하여 청결과 냄새제거의 극대화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161,162,163,164,165)가 배치된 상부에는 상부방지부(166)를 구성하여 상방향으로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161,165)가 측부에 구성한 측면방지부(175)를 구성하여 측면방향으로도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특히 분사노즐부는 부채꼴형상으로 구성된 분사노즐부를 이용하여 부채형상으로 상부로는 분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슬릿부(160a)로 구성하는 것이다.
측면방지부(175)는 분사노즐부(161,165)가 구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방지격벽부(150)까지 연장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방지격벽부(150)의 타측면에 상기 세척장치부(160)를 구성하여 분사노즐부(161,162,163,164,165)가 뿜어내는 세척수를 상기 방지격벽부(150)에서 더 이상 외부로 분산되지 않게 하고, 상기 방지격벽부(150)에 나무그림을 구성하여 수컷의 경우에 상기 방지격벽부(150)에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방지격벽부(150) 상부에 구성된 살균램프부착부(155)에는 UV살균램프를 부착하여 상기 배변부(200) 및 상기 방지격벽부(150)를 소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배변부(200)의 살균과 냄새제거에 효과적이다.
오수정화수저장부(860)에서 변기 또는 기타의 배출장소로 버릴 경우에 오수정화수저장부(860)에서 제1배출부(850)는 낮은 부위에 구성하고 제2배출부(870)는 상부에 구성한다.
제1배출부(850)는 자연스럽게 배출장소로 오염수가 유출되도록 구성하고 제2배출부(870)는 모터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배출부(850) 및 제2배출부(870)는 선택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두개모두가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배변부(200)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변본체부(100)의 상부 즉 배변부(200)가 접촉되는 부분에 삼각기둥을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지지대를 구성하여 애완동물이 배변부를 올라올 때에도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배변부(200)와 접촉되는 부분은 삼각기둥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도록 하여 배변부(200)와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받침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지격벽부(150)의 상부 이면부에는 세척호스(152)를 연결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150)의 오염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세척호스(152)로부터 상기 방지격벽부(150)의 상부에 복수홀부(미도시)를 연결구성하고 이 복수홀부에 세척수가 뿌려지도록 세척수를 공급한 후에 상기 복수홀부로부터 뿌려진 세척수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ㄷ자형중공관(154)을 구성하고 상기 ㄷ자형중공관(154)에는 하부로 세척수가 흐르도록 복수개슬릿부(154a)를 구성하는 것이다.
직접 세척호스(152)를 방지격벽부(150)에 구성하여 세척호스(152)에 복수홀부를 구성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배변부(200)의 구성한 세척장치부(160)의 구성과 같이 분사노즐부를 방지격벽부(150)의 하방향으로 구성하여 방지격벽부(150)를 타고 흘러내리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방지격벽부(150)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장치부(160)와 연결된 호스는 연장하여 제2세척호스부(153)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51)에 구성한다. 상기 제2세척호스부(153)를 에워싸는 커버에는 사각통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세척호스부(153)에는 복수개의 홀(157)을 구성한다. 상기 사각통형상의 하부에는 복수개 슬릿부(154a)를 구성하여 상기 제2세척호스부에서 흘러나온 세척수가 상기 복수개 슬릿부(154a)를 통하여 흘러나와 상기 방지격벽부(150)를 세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각통형상의 내부에 구성한 상기 제2세척호스부(153) 일체의 구성을 방지격벽부(150)에 원터치방법으로 삽입하거나 걸고리로 부착하도록 연결삽입부(156)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1a 및 도면1b 오수저장부(830) 및 오수정화수저장부(860)를 가진 것을 구성할 수 있으나 단지 오수부(300)만을 구성하여 별도의 모터부(840) 없이도 구성할 수 있다.
세척장치부(160)는 경우에 따라서 동력을 사용할 수있으나 동력사용을 최소화하여 직접 수도관에 연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발명은 애완동물이 배변할 때에 배변부를 완전하게 세척함으로 배설물로 인한 냄새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반려동물의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31)

  1. 배변본체부를 구성하되,
    상기 배변본체부에 안착되는 배변부를 구성하며,
    상기 배변본체부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후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의 직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되,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이 상기 배변부외의 여타장소로 튀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며,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 가운데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모서리분사노즐부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구성하여 상기 배변부 측면부에서 세척수가 넘치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각을 가지되 상기 모서리분사노즐부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변부의 전체면을 세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변본체부의 후면단부에 방지격벽부를 구성하되,
    상기 배변본체부의 하부면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배출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부와 연결된 오수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부와 연결된 오수저장배출부를 구성하되,
    상기 오수저장배출부는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오수가 저장이 되면 모터부가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저장배출부는 상기 배출홀부로부터 배출되는 부위에 오수저장부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홀부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면 상기 오수저장부에서 오수정화수저장부로 정화격벽부을 통하여 이동되고 상기 오수정화수저장부에 일정한 수위 이상의 오수가 저장이 되면 배수관 또는 변기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부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부와 상기 세척장치부로 입수되는 수도관 사이에 자동개폐밸브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후에 상기 배변부를 벗어나면 상기 자동개폐밸브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과 상기 자동개폐밸브 사이에 세라믹활성수기를 장착구성하여 활성화된 세척수로 인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배변본체부로부터 냄새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과 상기 자동개폐밸브 사이 또는 상기 자동개폐밸브 다음단에 세척수압조절부를 구성하여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상기 배변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가 배치된 상부에는 상부방지부를 구성하여 상방향으로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모서리부에 구성한 복수개의 상기 분사노즐부가 측부에 구성한 측면방지부를 구성하여 측면방향으로도 세척수가 뿜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의 타측면에 상기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분사노즐부가 뿜어내는 세척수를 상기 방지격벽부에서 더 이상 외부로 분산되지 않게 하고, 상기 방지격벽부에 그림을 구성하여 수컷의 경우에 상기 방지격벽부에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 상부에 구성된 살균램프부착부에는 UV살균램프를 부착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방지격벽부를 소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부와 같은 평면에 배치된 상기 배변본체부의 면은 경사면으로 구성하되 완만경사면부와 급경사면부를 구성하고,
    상기 방지격벽부의 방향에 상기 배출홀부를 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와 근접되는 방향에서는 급경사면부로 상기 방지격벽부와 이격된 방향에서는 완만경사면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부와 오수저장부 사이에는 악취역류방지밸브를 구성하여 상기 오수저장부로부터 올라오는 냄새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부는 망상구조로 구성되고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의 상부 이면부에는 세척호스를 연결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의 오염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호스로부터 상기 방지격벽부의 상부에 복수홀부를 연결구성하고 이 홀부에 세척수가 뿌려지도록 세척수를 공급한 후에 상기 복수홀부로부터 뿌려진 세척수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ㄷ자형중공관을 구성하고 상기 ㄷ자형중공관에는 하부로 세척수가 흐르도록 복수개의 슬릿부를 구성하여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장치부와 연결된 호스는 연장하여 제2세척호스부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에 구성하고 상기 제2세척호스부를 에워싸는 커버에는 사각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세척호스부에는 복수개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사각통형상의 하부에는 복수개슬릿부를 구성하여 상기 제2세척호스부에서 흘러나온 세척수가 상기 복수개슬릿부를 통하여 흘러나와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사각통형상의 내부에 구성한 상기 제2세척호스부 일체의 구성을 상기 방지격벽부에 원터치방법으로 삽입하거나 걸고리로 부착하도록 연결삽입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17. 배변본체부;
    상기 배변본체부에 안착되는 배변부;
    배변본체부의 후면단부에 구성된 방지격벽부;
    상기 배변본체부는 경사면을 이루어 하부에 구성한 배출홀부;
    상기 배변본체부의 일측면부에 세척장치부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경우에 감지장치에 의하여 상기 배변부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되,
    세척수를 포함한 오염물이 상기 배변부 외의 여타장소로 분산되지 않도록 부채형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장치부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로 구성하여 배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되,
    반려동물의 소변과 대변이 서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방지격벽부의 하부에는 반려동물의 대변이 상기 세척장치부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의 힘에 의하여 상기 방지격벽부 하부인 변배출몸체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변배출몸체부에 경사지도록 구성한 변이동통로부를 통해 대변이 이동하여 변배출부를 통하여 변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변배출부는 오수선별거름망부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세척수와 함께 반려동물의 대변이 혼합되어 이동하는 오수는 경사부를 따라 구성한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에서 빠져나감으로 대변은 상기 경사부 하부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대변에는 오수가 섞여있지 않도록 구성하며,
    대변과 함께 상기 경사부를 이동한 오수는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를 통하여 오수선별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대변은 상기 변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오수선별저장부로 이동된 오수는 오수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배출홀부로 연결되어 오수부 또는 오수정화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변부를 통하여는 소변이 배출이 되고 대변은 상기 방지격벽부의 하부에 구성한 변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부는 망상구조로 구성되고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앱연동카메라부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한 영상을 확인한 후에 반려동물이 내려간 후에는 상기 세척장치부로부터 세척수가 상기 배변부에 배출되어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방지격벽부에 구성하되, 근접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배변부에 올라간 후에 다시 내려간 후에는 상기 배변부(200)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 상부에 구성된 살균램프부착부에는 UV살균램프를 부착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방지격벽부를 소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복수개슬릿을 가지는 관인 복수개슬릿관부를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센서에 의하여 상기 방지격벽부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상기 세척장치부에서 반려동물의 배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상기 방지격벽부에 부딛혀 발생하는 분무 및 물방울이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방지격벽부의 면에 하향경사지도록 세척수상승방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격벽부에는 상기 세척장치부에서 분사한 세척수가 상기 방지격벽부의 측면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세척수측면방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동통로부에 대변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척수측면방지부에 배변이동분사노즐부를 구성하여 상기 변이동통로부에 이동된 대변이동을 원할하게 상기 변배출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선별거름망부는 금속판으로 구성하여 오수선별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저장부는 변저장커버부와 변저장이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변저장이동부의 대변을 처리할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이동부를 이동시켜서 대변을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에 구성한 변저장배출부에는 대변이 이동할 때에만 열리고, 대변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배출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변저장배출커버부를 구성하여 냄새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와 상기 변배출몸체부를 결합할 시에 밀접촉되도록 상기 변저장커버부의 상부에 구성한 냄새방지격부의 상부를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냄새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와 상기 변저장이동부는 서로 결합 또는 이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변저장커버부는 밀접촉레일요부를 측면부에 구성하고, 상기 변저장이동부의 상부 측면부에는 상기 밀접촉레일요부에 삽입되도록 밀접촉레일삽입돌기부를 구성하되,
    상기 변저장이동부에 대변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저장이동부에 구성된 변저장이동손잡이부를 잡고 수평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밀접촉레일요부를 이탈시켜 대변을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저장커버부의 상부에는 상기 변배출몸체부와 결합구성할 수 있도록 부착돌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PCT/KR2023/000426 2022-01-12 2023-01-10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WO202313658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897A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01-12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022-0004897 2022-01-12
KR1020220044634A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04-11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022-0044634 2022-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580A1 true WO2023136580A1 (ko) 2023-07-20

Family

ID=8727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426 WO2023136580A1 (ko) 2022-01-12 2023-01-10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36580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87B1 (ko) * 2012-10-09 2013-09-06 이원용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150031921A (ko) * 2013-09-17 2015-03-25 이재춘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160112864A (ko) * 2015-03-20 2016-09-28 곽진호 애완견용 화장실
KR102240245B1 (ko) *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20210066409A (ko) * 2019-11-28 2021-06-07 조성경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87B1 (ko) * 2012-10-09 2013-09-06 이원용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150031921A (ko) * 2013-09-17 2015-03-25 이재춘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20160112864A (ko) * 2015-03-20 2016-09-28 곽진호 애완견용 화장실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210066409A (ko) * 2019-11-28 2021-06-07 조성경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240245B1 (ko) *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4996A1 (ko) 애완견용 화장실
WO2010128813A2 (ko)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209020A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910008895B1 (ko) 클린룸용 위생설비실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5662069A (en) Animal bathing apparatus
WO2016013805A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WO2016117901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WO2013112007A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WO2017034146A1 (ko) 전격 살충기
WO2023136580A1 (ko)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WO2016129913A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0946345B1 (ko) 와병 환자용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WO2010090372A1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20090090711A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WO2022050573A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WO2014007497A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WO2018169108A1 (ko) 용변 수거 패드
WO2023191336A2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WO2022250179A1 (ko) 낙하요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404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