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387B1 -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387B1
KR101305387B1 KR1020120125557A KR20120125557A KR101305387B1 KR 101305387 B1 KR101305387 B1 KR 101305387B1 KR 1020120125557 A KR1020120125557 A KR 1020120125557A KR 20120125557 A KR20120125557 A KR 20120125557A KR 101305387 B1 KR101305387 B1 KR 10130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variable
washing water
fece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filed Critical 이원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1/1213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in situ treatment of exc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2001/122Details
    • E01H2001/1226Details characterised by way of removing material
    • E01H2001/1246Double or multiple closing means making horizontal sliding movement (not applied for gra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프레임(10)에 지지되고 소변이 받아지는 소변받이공간(21)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소변받이공간(21)에 받아진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된 소변받이(20)와, 상기 소변받이(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31)이 형성된 배변판(30)과, 상기 소변받이(20)의 배출구(23)와 배출라인(41)을 매개로 연결된 소변수거함(4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선단에서 입출되고 상기 배변판(30)의 대변이 수거되어 저장되는 대변수거함(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변 후 소변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배변은 소변과 분리하여 따로 자동으로 저장되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Automatic excretion cleaner of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는 애완동물의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고 자동으로 처리하여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 미혼 독립 가구 증가, 노령층 인구 증가 등 사회현상으로 인해 애완동물를 가족의 일부로 생각하고 기르는 가정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좁은 아파트나 빌라에 주로 거주함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위생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아파트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는 배변 문제로 골치를 앓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애완동물이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판을 마련하고 배변 훈련을 시키고 있다.
배변판은 사각 또는 원형의 플라스틱 통의 상부에 망사형으로 된 플라스틱판을 안착시킨 형태로, 망사형으로 된 플라스틱 판에 애완동물의 발이 지지되어 배변을 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배변판은 소변의 경우 플라스틱판의 망사 구멍을 통해 아래로 떨어져 고이게 되므로 애완동물의 발에 소변이 거의 묻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바로 치우지 않으면 하부 플라스틱 통에 고여있는 소변이 점차 부패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대변의 경우 상부 플라스틱판에 놓여져 주인이 바로 치워야 하므로 청소가 번거롭고 위생적으로도 상당히 불결한 문제가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변판을 화장실에 두고 사용하면 애완동물의 배변 처리 및 배변판의 청소는 편해지지만, 애완동물의 발에 물이 묻고 야간 시야가 좋지 않은 애완동물의 경우 불을 켜 놓아야 하므로 수돗물과 전기의 사용은 많아지고 근본적인 배설물의 냄새는 줄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배변판에 흡수성이 강한 전용 패드를 깔아 소변이 흡수되게 함으로써 악취를 일정부분 줄일 수는 있으나 소변 냄새와 대변의 처리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전용 패드의 과잉 사용은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고 애완동물의 대변에 대한 혐오감을 줄 수 있으며, 어린아이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해충에 노출될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406304호(2006.01.09)"애완동물용 배변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배변 후 소변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배변은 소변과 분리하여 따로 자동으로 저장되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의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자동으로 조명을 밝혀 애완동물의 배변활동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에 지지되고 소변이 받아지는 소변받이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소변받이공간에 받아진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소변받이와, 상기 소변받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배변판과, 상기 소변받이의 배출구와 배출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소변수거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선단에서 입출되고 상기 배변판의 대변이 수거되어 저장되는 대변수거함과, 상기 소변받이공간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소변을 상기 세척수와 함께 흡입하여 상기 소변수거함에 보관시키는 흡입수단과, 상기 대변수거함을 입출시켜 대변이 상기 대변수거함에 수거되도록 하는 대변수거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소변받이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배변활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세척수단, 상기 흡입수단, 상기 대변수거수단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변받이 및 배변판은 상기 소변받이 및 배변판에 대해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세워져 설치되고 착탈가능한 수컷용 소변받이 및 배변판을 포함한다.
상기 소변받이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배출구 부분에서 폭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변판은 발수코팅된 것이다.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소변받이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과 세척수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세척수 저장조와, 상기 세척수 공급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 저장조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소변수거함과 상기 세척수 저장조를 압력평행수단이 연결한다.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소변수거함과 연결된 배출라인에 배치되어 소변의 흡입을 수행하는 소변 회수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대변수거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대변수거함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이동시키는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대변수거함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입출시키는 대변수거용 구동모터와, 상기 대변수거함의 입출에 연동하여 상기 배변판이 상기 소변받이에 대해 회동하도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거치부의 후면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된 한 쌍의 구동암과, 상기 각 구동암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변판에 결합된 유도가이드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환링크와, 상기 구동링크 및 전환링크의 양단을 상기 구동암 및 상기 유도가이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세 개의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이드는 상기 배변판의 회동시 상기 배변판에 대해 회동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배변판의 양측에 경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유도가이드의 저면과 상기 구동링크의 일측을 복원스프링이 연결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무게감지센서, 소변감지센서, 소변받이 넘침센서, 소변수거함 넘침센서,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 대변수거용 구동모터,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소변감지센서의 신호가 함께 인가되거나 상기 소변감지센서의 신호만 인가되면 소변으로 판단하고, 설정 지연시간 후, 상기 세척수단과 흡입수단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만 인가되면 상기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설정 지연시간 후, 상기 대변수거수단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만 인가되면 상기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범위인지 판단하고, 설정시간 범위인 경우 설정 지연시간 후, 상기 세척수단, 흡입수단, 대변수거수단을 모두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받이 넘침센서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흡입수단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수거함 넘침센서 또는 상기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의 신호가 인가되면 알람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시간 동안 무게감지센서, 소변감지센서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흡입수단, 세척수단, 대변수거수단을 작동시켜 셀프 크리닝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밤, 낮을 감지하는 일사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밤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상기 소변받이에 장착된 LED 조명을 ON한다.
세척 수행, 정지, 지연시간 조절, 세척수 분사량 조절을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변 후 소변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배변은 소변과 분리하여 따로 자동으로 저장되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실내 설치가 용이하고 다양한 곳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야간 자동 조명을 통해 애완동물과의 친숙함으로 도모하고 애완동물을 고려한 자연스러운 배변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과 대변이 분리되어 저장되고 밀폐되므로 대변에 대한 혐오감을 없애고 해충의 피해도 방지하여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기르더라도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받이와 배변판이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청소가 용이하고 별도의 흡수패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막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소변받이를 길이방향(a), 폭방향(b)으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세척수단이 작동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대변수거수단이 작동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보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대변수거함이 작동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애완동물 중 약간의 배변훈련을 받은 애완견을 모델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애완견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약간의 배변훈련을 받은 모든 애완동물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애완견(개)은 소변과 대변을 동시에 보지 않고 배변활동 구역을 정하고 냄새로 확인한 후 배변활동을 한다. 또한, 애완견은 야간 시야에 취약하므로 어두울 때의 배변활동은 매우 불규칙적이다. 그리고, 애완견은 배변활동 영역에 소변과 대변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으면 그 주위에 영역을 넓혀서 배변을 보고, 배변 영역이 너무 깨끗하게 청소되어 냄새가 없어지면 배변활동 영역이 불규칙해진다.
또한, 애완견의 체중이 4kg이라고 할 때, 하루평균 대변 및 소변을 보는 정상적인 횟수와 양은 먹이를 주는 양과 횟수에 차이가 있지만 사료기준으로서, 대변의 횟수는 보통 1~2번 정도이고, 대변의 크기는 보통 성인의 중지 손가락 정도의 크기와 형태로서 비교적 딱딱하여 바닥에 달라붙지 않는다. 그리고, 소변은 애완견 체중 1kg에 대해 44~66mL로서 4kg일 경우 175~264mL가 되며, 하루에 대략 4회의 배뇨활동을 하면 1회 배뇨활동 당 44~66mL가 된다. 이는 전문서적을 통하여 얻은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이며, 이를 근거로 하기와 같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개발하였다.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소변과 대변을 감지하고 소변과 배변을 분리하여 저장하며, 배변 냄새만 배변판에 일부 남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청결한 배변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소변과 대변은 섞이면 악취가 심해지나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밀폐 저장하면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배변판에 일부 남는 배변 냄새는 애완견의 후각으로만 인지할 수 있는 배변 냄새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이 받아지는 소변받이공간(21)이 구비되며 일측에 소변받이공간(21)에 받아진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된 소변받이(20)와, 소변받이(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31)이 형성된 배변판(30)과, 소변받이(20)의 배출구(23)와 배출라인(41)을 매개로 연결된 소변수거함(40)과, 본체프레임(10)의 선단에서 입출되며 배변판(30)의 대변이 수거되어 저장되는 대변수거함(50)을 포함한다.
소변받이(20)는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이며, 선단은 본체프레임(1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고 후단에는 다리부(25)가 구비된다. 소변받이(20)의 전체 형상은 선단의 본체프레임(10)과 후단의 다리부(25)에 의해 지면에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놓여진다.
배출구(23)는 소변받이(20)의 바닥면 후단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받이(20)의 바닥면은 배출구(23)를 향하여 선단에서 후단을 향한 길이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배출구 부분에서 폭방향으로 배출구(23)를 향하여 다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소변받이(20)의 바닥면 형상은 소변받이(20)에 받아진 소변이 배출구(23)를 향하여 빠르게 빠져나가도록 하여 소변받이(20) 내에서의 소변 체류 시간을 짧게 하고, 소변받이(20)의 세척시 세척수 사용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세척수는 물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소변받이(20)의 바닥면 길이방향 경사각(소변이 배출구를 향하여 흘러내리는 각도)은 5~10 °이고, 배출구(23) 부분에서 소변받이(20)의 바닥면의 폭방향 경사각(소변이 배출구의 양측에서 배출구를 향해 모아지는 각도)은 3~5 °이다.
그러나, 소변받이(20)의 바닥면 경사각이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변받이의 크기, 소변받이를 사용하는 애완동물의 종류 및 조건에 맞게 조정 가능하다.
배출구(23)에는 여과망(27)이 구비된다. 여과망(27)은 배출구(23)로 소변 외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구(23)로 소변 외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배출라인(41)이 막혀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원활한 작동이 어렵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변판(30)은 소변받이(20)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소변받이(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배변판(30)은 격자구조로 된 복수의 통공(31)이 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배변판(30)에 수거되도록 된다.
배변판(30)은 수컷과 암컷 애완견이 올라서서 배변활동을 하는 곳이다. 배변판(30)은 애완견이 올라서므로 강성이 필요하고 배뇨 활동시 애완견의 발에 소변이 묻지 않아야 하므로 사각형 격자구조의 통공(31)이 형성된 그물망 형태가 바람직하다.
배변판(30)은 발수코팅 처리되어 소변이 배변판(30)에 묻지 않는다.
애완견의 배변활동 특성상 배변흔적이 남아 있어야 배변을 하므로 세척을 하지 않으면서 배변판(30)의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발수코팅 처리한다.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은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을 더 포함한다.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을 암컷용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으로 지칭할 수 있다.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은 수컷 애완견의 배뇨활동시 소변이 밖으로 배설되는 것을 막아주고 소변이 소변받이(20)에서 튀는 것을 방지한다. 암컷 애완견은 서서 소변을 보지만, 수컷 애완견은 배뇨활동시 한쪽 뒷다리를 들어올려 벽에 소변을 보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이 구비되는 것이다.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은 암컷용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에 대해 약 100 °의 경사 설치각을 갖는다. 수컷용 소변받이(20a)는 받아진 소변이 수컷용 소변받이(20a)의 경사를 타고 흘러내려 암컷용 소변받이(20)의 배출구(23)부분으로 흘러내리도록 된다.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은 소변이 소변받이(20)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미관을 좋게 한 것이므로 높은 강성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수컷용 배변판(30a)은 수컷용 소변받이(20a)에 착탈 가능하다. 수컷용 배변판(30a)과 수컷용 소변받이(20a)의 착탈 가능한 구조는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암컷용 배변판(30)은 암컷용 소변받이(20)에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암컷용 배변판(30)의 회동은 대변을 대변수거함(50)에 낙하시켜 자동으로 저장하기 위함이다.
소변수거함(40)은 소변받이(20)의 배출구(23)와 배출라인(41)을 매개로 연결되며 소변 또는 세척수와 함께 흡입된 소변을 저장한다. 소변수거함(40)은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폐커버(43)에 의해 밀폐되어 소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대변수거함(50)은 본체프레임(10)의 선단에서 입출되고 배변판(30)의 대변이 수거되어 저장된다. 대변수거함(50)은 암컷용 소변받이(20)의 저면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고, 본체프레임(10)의 선단에서 인출되면 상부가 개구된다.
대변수거함(50)은 상부 선단에 가이드부(51)가 구비된다. 가이드부(51)는 대변수거함의 인출시 외측으로 접혀져 대변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부(51)가 외측으로 접혀지게 하는 구성은 대변수거함(50)과 가이드부(51)를 복원스프링으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소변수거함(40)과 대변수거함(50)에는 소변과 대변의 살균을 위한 살균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램프는 자외선 살균램프일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소변받이공간(2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단(60), 소변을 세척수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수단(70), 대변수거함(50)을 입출시켜 대변이 대변수거함(50)에 수거되도록 하는 대변수거수단(80), 애완동물의 배변활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0), 감지수단(100)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세척수단(60), 흡입수단(70), 대변수거수단(80)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세척수단은 소변받이공간(21)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공(62a,62b)이 형성된 분사노즐(61a,61b)과, 분사노즐(61a,61b)과 세척수 공급라인(63)을 매개로 연결된 세척수 저장조(64)와, 세척수 공급라인(63)에 배치되어 세척수 저장조(64)의 세척수를 분사노즐(61a,61b)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펌프(65)를 포함한다.
분사노즐(61b)은 암컷용 소변받이(20)의 선단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분사노즐(61b)의 분사공(62b)은 배출구(23)를 향해 형성된다. 또한, 분사노즐(61a)은 수컷용 소변받이(20a)의 상단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분사노즐(61a)의 분사공(62a)은 하부를 향해 형성된다.
세척수 공급라인(63)은 T자형 밸브(66)에 의해 분기되어 하나는 암컷용 소변받이(20)의 분사노즐(61b)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수컷용 소변받이(20a)의 분사노즐(61a)과 연결된다.
T자형 밸브(66)는 세척수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세척수를 암컷용 소변받이(20) 또는 수컷용 소변받이(20a)에 선택적으로 분사가능하게 한다. 또한, 세척수 공급라인(63)에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67)가 구비된다.
세척수 저장조(64)는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며 일측이 세척수 공급라인(63)과 연결되어 세척수 공급라인(63)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다.
세척수 저장조(64)와 소변수거함(40)은 압력평행수단(68)으로 연결하여 소변수거함(40)과 세척수 저장조(64)의 압력을 평행하게 유지한다. 압력평행수단(68)은 세척수 저장조(64)와 소변수거함(40)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이다.
압력평행수단(68)은 소변수거함(40)과 세척수 저장조(64)의 압력을 평행하게 유지하여 소변 회수 및 세척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소변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변수거함(40)과 세척수 저장조(64)를 압력평행수단(68)으로 연결하지 않고 각각 밀봉된 구조로 설계하면 세척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세척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소변수거함(40)과 세척수 저장조(64)에 공기구멍을 형성할 경우 소변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흡입수단(70)은 소변수거함(40)과 연결된 배출라인(41)에 배치되어 소변의 흡입을 수행하는 소변 회수펌프(71)이다. 배출라인(41)에는 첵밸브(45)가 구비된다. 첵밸브(45)는 소변 또는 소변 냄새가 배출라인(41)을 타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변수거수단은 본체프레임(10)에 구비되고 대변수거함(50)이 거치되는 거치부(81)와, 거치부(81)를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감속기어(82), 감속기어(82)를 구동시켜 대변수거함(50)을 본체프레임(10)에 대해 입출시키는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와, 대변수거함(50)의 입출에 연동하여 암컷용 배변판(30)이 암컷용 소변받이(20)에 대해 회동하도록 하는 연동부(85)를 포함한다.
연동부(85)는 거치부(81)의 후면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감속기어(82)와 연결된 한 쌍의 구동암(86)과, 각 구동암(86)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링크(87)와, 구동링크(87)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배변판(30)에 결합된 유도가이드(88)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환링크(89)와, 구동링크(87) 및 전환링크(89)의 양단을 구동암(86) 및 유도가이드(88)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세 개의 힌지핀(91a,91b,91c)을 포함한다.
구동암(86)은 감속기어(82) 및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 후방으로 이동한다. 구동암(86)은 대변수거함(50)을 본체프레임(10)의 선단에서 입출시킨다. 구동암(86)의 전, 후방 이동은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어된다.
구동링크(87)는 구동암(86)과 전환링크(89)를 연결한다. 구동링크(87)의 양단부는 섭동할 수 있도록 힌지핀(91a,91b,91c)으로 구동암(86) 및 전환링크(89)와 연결된다. 구동링크(87)는 구동암(86)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배변판(30)을 회동시킨다.
전환링크(89)는 유도가이드(88)에 장착된다. 전환링크(89)는 구동링크(87)의 회전 왕복운동을 유도가이드(88)로 전달하여 유도가이드(88)를 배변판(30)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다.
힌지핀(91a,91b,91c)은 구동암(86)과 구동링크(87), 구동링크(87)와 전환링크(89), 전환링크(89)와 유도가이드(88)를 연결하여 구동암(86), 구동링크(87), 전환링크(89), 유도가이드(88)를 연동시킨다. 힌지핀(91a,91b,91c) 대신 고정볼이나 앵커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도가이드(88)의 저면과 구동링크(87)의 일측을 복원스프링(93)이 연결한다. 복원스프링(93)은 유도가이드(88)가 배변판(3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복원스프링은 본 실시예의 경우 인장스프링을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종류의 복원 기능이 있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좁은 공간과 작동거리가 짧은 곳에 적합한 토션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배변판(30)과 소변받이(20)를 연결하는 부분에 배변판(30)이 소변받이(2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구동스프링(33)이 장착된다. 구동스프링(33)은 소변받이(20)와 배변판(30)을 연결하는 경첩 사이에 장착된다.
구동스프링(33)은 배변판(30)이 소변받이(2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 영향이 없는 탄성계수를 가지고, 구동암(86)의 직선 운동에 의해 구동링크(87)가 회전 운동 될 때 최대로 힘이 집중되는 물리적 특성을 보완하여 보조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구동력이 분산되어 적은 힘으로도 배변판(30)이 회동하므로 연동부(85)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생산비용도 절감된다.
유도가이드(88)는 배변판(30)의 양측에 경첩에 의해 결합된다. 유도가이드(88)는 배변판(30)에서 대변수거함(50)으로 낙하하는 대변을 안내하여 대변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대변수거함(50)에 저장되도록 한다. 유도가이드(88)는 배변판(30)과 평평한 위치로 놓여지고 구동력이 발생하여 전환링크(89)에 전달되면 배변판(30)에 대해 회동하여 세워진다.
감지수단(100)은 무게감지센서(101), 소변감지센서(102), 소변받이 넘침센서(103),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105),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 일사센서(107) 를 포함한다.
무게감지센서(101)는 본체프레임(10)의 저면 양측에 하나씩 2개가 구비된다. 무게감지센서(101)는 애완견이 배변판(30)에 올라왔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소변감지센서(102)는 소변받이(20)의 배출구(23)측에 구비되어 애완견의 배뇨활동 유무를 감지한다.
소변받이 넘침센서(103)는 소변받이(20)에 구비되어 소변받이(20)의 소변 넘침 유무를 감지한다.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는 소변수거함(40)에 구비되어 소변수거함(40)의 소변 넘침 유무를 감지한다.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105)는 세척수 저장조(64)에 구비되어 세척수 저장조(64)의 세척수 부족 여부를 감지한다.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는 감속기어(82)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고 구동암(86)의 직선운동을 제어한다.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에 의해 구동암(86)의 직선 왕복운동 거리가 제어된다.
일사센서(107)는 외부로 노출되는 암컷용 소변받이(20) 또는 수컷용 소변받이(20a)의 일측에 구비된다. 일사센서(107)는 일사량을 전류치로 변환하여 밤, 낮을 감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어부(110)는 감지수단(100)의 신호를 인가받아, 소변 회수펌프(71), 세척수 공급펌프(65),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 LED 조명(115), 알람(124) 등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 소변감지센서(102), 소변받이 넘침센서(103),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105),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의 신호를 인가받아 소변 회수펌프(71), 세척수 공급펌프(65),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 LED 조명(115), 알람(124)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와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함께 인가되면 배뇨활동(소변)으로 판단하고, 설정 지연시간 후, 세척수단(60)과 흡입수단(70)을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에 의한 신호가 해제된 시점부터 재타임카운팅을 시작하여 설정 지연시간 후 세척수단(60)과 흡입수단(70)을 작동시킨다. 설정 지연시간 후 세척수단(60)과 흡입수단(70)을 작동시키는 것은 애완견이 편안하게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정 지연시간은 15~30초가 바람직하다.
애완견은 배뇨활동과 대변활동을 동시에 하지 않으므로 배뇨활동으로 판단하면 대변수거수단(80)은 작동시키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배뇨활동으로 판단하여도 소변받이 넘침센서(103)의 신호가 인가되면 흡입수단(70)만 작동시킨다.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인가된 후, 애완견의 소변량이 많거나, 여러 마리의 애완견이 배변판(30)에 올라서서 소변을 보거나, 세척수 공급펌프(65)가 고장나면 소변받이 넘침센서(103)의 신호가 인가된다.
소변받이 넘침센서(103)의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 지연시간, 작동순서에 상관없이 소변 회수펌프(71)를 우선 작동시킨다.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의 인가없이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인가되면 배뇨활동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인가된 시점부터 정상 배변활동의 지연시간보다 긴 30~60초가 지난 후부터 흡입수단(70)과 세척수단(60)을 작동시킨다.
제어부(100)는 무게감지센서(101)의 인가 없이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인가되면 애완견이 배변판(30) 위에 정상적으로 올라서지 않고 소변을 본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만 인가되면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대변활동으로 판단하여 설정 지연시간 후, 대변수거수단(80)을 작동시킨다.
무게감지 시간은 애완견이 배변판(30) 위에 올라서서 내려갈 때까지 배변판(30) 위에 머문 시간이다. 무게감지 시간은 무게감지센서(101)에 의한 신호가 인가되면서부터 해제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에 의한 신호가 인가되면서부터 타임카운팅을 시작하여 머문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예:15초 이상)이면 대변활동으로 판단하고, 무게감지센서(101)에 의한 신호가 해제된 시점부터 재타임카운팅을 시작하여 설정 지연시간 후 대변수거수단(80)을 작동시킨다. 설정 지연시간은 15~30초가 바람직하다.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에 의한 신호가 인가되면서부터 타임카운팅을 시작하여 머문 시간이 설정시간 범위(예:5초 이상 15초 미만)이면 배변(소변+대변)활동으로 판단하고 흡입수단(70), 세척수단(60), 대변수거수단(80)을 모두 작동시킨다.
제어부(100)는 무게감지센서(101)에 의한 신호가 인가되면서부터 타임카운팅을 시작하여 머문 시간이 설정시간(예: 5초 이만)이면 소변 및 대변 활동을 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수단(70), 세척수단(60), 대변수거수단(80)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애완견의 소변활동은 5~15초 정도가 소요되고, 대변활동은 15~30초 정도가 소요된다. 배변판(30)에 애완견이 머문 시간이 15초 미만이면 소량의 소변으로 인해 소변감지센서(102)가 감지하지 못하므로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도 흡입수단(70), 세척수단(60), 대변수거수단(80)을 모두 작동시킨다.
제어부(110)는 세척수단(60), 흡입수단(70), 대변수거수단(8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가 재인가되면 모든 작동의 실행을 정지하고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제어부(110)는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 또는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105)의 신호가 인가되면 스피커(124)로 알람(124)을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설정시간 동안 무게감지센서(101),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흡입수단(70)과 세척수단(60), 대변수거수단(80)을 작동시켜 셀프 크리닝을 수행한다. 셀프 크리닝은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105)의 신호가 인가되면 수행되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일사센서(107)로부터 인가된 신호로 밤,낮을 판단하여 밤으로 판단하면 LED 조명(115)을 ON시킨다. LED 조명(115)은 야간 시야가 좋지 않은 애완견이 밤에 배변판(30)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세척 수행, 정지, 지연시간 조절, 세척수 분사량 조절을 위한 조작부(120)를 더 구비한다. 조작부(120)는 본체프레임(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리모컨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조작부(120)에는 표시창(121), 리셋버튼(122), 강제구동버튼(125), 스피커(124), 강제구동조절버튼(125), 속도조절버튼(126), 지연시간조절버튼(127)이 구비된다. 조작부(120)는 흡입수단(70), 세척수단(60), 대변수거수단(80)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척수 공급라인(63)이 세척수 저장조(64)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반드시 세척수 공급라인(63)이 세척수 저장조(64)와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세척수 공급라인(63)을 씽크대 밑 또는 화장실의 수도 배관과 연결하여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소변이 배출되는 배출라인(41)도 화장실의 배수구로 연결하여 세척수와 함께 흡입된 소변이 배출라인(41)을 통해 화장실의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흡입수단의 동작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흡입수단(70)의 동작은 소변 회수펌프(71)가 작동하여 수행된다. 제어부(110)의 지시에 의해 소변 회수펌프(71)가 작동하면 소변 또는 세척수와 소변이 배출구(23) 및 배출라인(41)을 통해 배출되어 소변수거함(40)에 저장된다.
소변수거함(40)에 저장된 소변은 개폐커버(43)에 의해 밀폐되고, 소변이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져 저장되는 방식이므로 소변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배출라인(41)에 구비된 첵밸브(45)에 의해 소변 또는 소변 냄새의 역류도 발생하지 않는다.
소변수거함(40)에 저장된 소변은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에 의해 소변수거함 청소시기가 감지되고,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110)가 청소시기를 알람(124)으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세척수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단(60)의 동작은 세척수 공급펌프(65)가 작동하여 수행된다. 제어부(110)의 지시에 의해 세척수 공급펌프(65)가 작동하면 세척수 저장조(64)의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라인(63)을 통해 각 분사노즐(61a,61b)로 공급되고, 각 분사노즐(61a,61b)로 공급된 세척수는 분사공(62a,62b)을 통해 소변받이(20)에 분사된다.
소변받이(20)에 분사된 세척수는 소변받이(20)를 세척하고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는 배출라인(41)을 통해 소변수거함(40)에 저장된다.
암컷용 소변받이(20)에 분사된 세척수는 소변받이(20)의 경사로 인해 적은 양의 세척수로도 소변받이(20)의 세척이 가능하고 배출구(23)를 통한 세척수의 배출도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암컷용 소변받이(20)로 분기된 분사노즐(61b)과 수컷용 소변받이(20a)로 분기된 분사노즐(61a)은 세척수 공급라인(63)과 T자형 밸브로 연결되므로 세척수의 선택적 분사가 가능하다.
그리고, 세척수 공급라인(63)에 유량 제어가 가능한 스로틀 밸브(67)가 구비되므로 세척수 공급유량의 조절도 가능하다. 세척수 공급유량의 조절은 조작부(120)를 조작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변수거수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변수거수단(80)의 동작은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가 구동하여 수행된다. 제어부(110)의 지시에 의해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가 구동하면 감속기어(82)가 작동하고 구동암(86)이 전진한다. 구동암(86)의 전진에 의해 거치부(81)가 이동되고 대변수거함(50)이 본체프레임(10)의 선단에서 인출된다.
동시에, 구동암(86)이 전진하면 구동링크(87)를 회전시켜 배변판(30)을 회동시키고, 구동링크(87)의 회전 운동이 유도가이드(88)에 전달되어 유도가이드(88)가 배변판(3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배변판(30)이 회동하면 배변판(30)에 올려진 대변이 대변수거함(50)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며, 대변이 대변수거함(50)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유도가이드(88)에 의해 안내되므로 대변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대변수거용 구동모터(83)의 구동은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10)의 지시에 의해 대변수거함 구동모터(83)가 구동하고 구동암(86)이 전진하여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106)와 접촉하면 대변수거함 구동모터(83)가 소정시간 멈춘 후 다시 구동하여 구동암(86)을 후진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대변이 대변수거함(50)에 저장되면 대변수거함 구동모터(83)가 구동하고 구동암(86)이 후진한다. 구동암(86)이 후진하면 구동링크(87)를 역회전시켜 배변판(30)을 역회동시킨다. 그러면 배변판(30)이 소변받이(20)의 상부에 평행한 상태로 결합되고, 유도가이드(88)는 전환링크(89) 및 복원스프링(93)에 의해 소변받이(20)의 상부에 배변판(30)과 평평하게 놓여진다.
애완견의 배변 후 소변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대변은 소변과 분리하여 자동으로 대변수거함(50)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하다. 소변과 대변은 섞이면 악취가 심해지나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밀폐 저장하면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면 일사센서(107)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110)의 지시에 따라 소변받이(20)에 장착된 LED 조명(115)이 낮에는 자동으로 OFF되고, 밤에는 자동으로 ON되어 야간에 애완견이 배변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평상시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애완견이 배변판(30)에 올라가면 무게감지센서(101)가 애완견의 하중을 감지한다. 무게감지센서(101)가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110)로 인가되고, 제어부는 타임카운팅을 시작한다. 이후, 애완견이 배변판(30)에 소변을 보면 소변감지센서(102)는 소변을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애완견이 배뇨활동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가 계속 인가되는지 확인한다. 제어부는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가 제어부(110)에 더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 타임카운팅을 종료하고 타임카운팅 종료시점부터 설정된 지연시간 후 흡입수단(70)과 세척수단(60)을 작동시킨다.
설정된 지연시간은 조작부(120)의 버튼을 눌러 사용자가 직접 설정 가능하다.
한편,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소변감지센서(102)의 신호만 감지되어도 제어부(110)는 애완견이 배뇨활동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지연시간 후 흡입수단(70)과 세척수단(60)을 작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소변받이 넘침센서(103)의 신호가 제어부(110)에 인가되면, 제어부(110)는 세척수단(60)의 작동을 중지하고 흡입수단(70)만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10)는 소변수거함 넘침센서(104) 또는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105)의 신호가 인가되면 모든 작동을 중지하고 알람(124)을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만 인가되면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설정 지연시간 후, 대변수거수단(8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애완견의 배변활동 습성을 고려할 때 15초 이상이 바람직하며, 설정 지연시간은 30~60초가 바람직하다.
제어부(110)는 무게감지센서(101)의 신호만 인가되고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범위로 판단하면, 감지되지 않은 미량의 소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세척수단(60), 흡입수단(70), 대변수거수단(80)을 모두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정시간 범위는 애완견의 배뇨활동 습성을 고려할 때 5초 이상 15초 미만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컷용 소변받이 및 배변판이 구비되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암컷 전용 소변받이(20) 및 배변판(30)이다. 암컷 애완견만 기르는 경우 서서 소변을 보는 암컷 애완견의 배변 습성상 수컷용 소변받이(20a) 및 배변판(30a)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9 및 도 10의 세척수 공급라인(63)은 I자형 밸브(66)에 의해 소변받이(20)의 분사노즐(61b)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암컷 및 수컷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실시예와 암컷만 사용 가능한 다른 실시예의 두 가지로 제조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본체프레임 20:(암컷용) 소변받이
21:소변받이공간 23:배출구
25:다리부 27:여과망
30:(암컷용) 배변판 33:구동스프링
20a:수컷용 소변받이 30a:수컷용 배변판
40:소변수거함 41:배출라인
43:개폐커버 45:첵밸브
50:대변수거함 51:가이드부
60:세척수단 61a,61b:분사노즐
62a,62b:분사공 63:세척수 공급라인
64:세척수 저장조 65:세척수 공급펌프
66:T자형 밸브 67:스로틀 밸브
68:평향압력수단 70:흡입수단
71:소변 회수펌프 80:대변수거수단
81:거치부 82:감속기어
83:대변수거용 구동모터 85:연동부
86:구동암 87:구동링크
88:유도가이드 89:전환링크
91a,91b,91c:힌지핀 92:경첩
93:복원스프링 100:감지수단
101:무게감지센서 102:소변감지센서
103:소변받이 넘침센서 104:소변수거함 넘침센서
105:세척수 부족 감지센서 106:구동모터 스톱 스위치
107:일사센서 110:제어부
115:LED 조명 120:조작부
121:표시창 122:리셋버튼
123:강제구동버튼 124:스피커
125:강제구동조절버튼 126:속도조절버튼
127:지연시간조절버튼

Claims (20)

  1. 본체프레임에 지지되고 소변이 받아지는 소변받이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소변받이공간에 받아진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소변받이;
    상기 소변받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배변판;
    상기 소변받이의 배출구와 배출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소변수거함;
    상기 본체프레임의 선단에서 입출되고 상기 배변판의 대변이 수거되어 저장되는 대변수거함;
    상기 소변받이공간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
    상기 소변을 상기 세척수와 함께 흡입하여 상기 소변수거함에 보관시키는 흡입수단;
    상기 대변수거함을 입출시켜 대변이 상기 대변수거함에 수거되도록 하는 대변수거수단;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소변받이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배변활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세척수단, 상기 흡입수단, 상기 대변수거수단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판은 발수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받이 및 배변판은
    상기 소변받이 및 배변판에 대해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세워져 설치되고 착탈가능한 수컷용 소변받이 및 배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받이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배출구 부분에서 폭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소변받이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과 세척수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세척수 저장조,
    상기 세척수 공급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 저장조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수거함과 상기 세척수 저장조를 압력평행수단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소변수거함과 연결된 배출라인에 배치되어 소변의 흡입을 수행하는 소변 회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변수거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대변수거함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이동시키는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대변수거함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입출시키는 대변수거용 구동모터,
    상기 대변수거함의 입출에 연동하여 상기 배변판이 상기 소변받이에 대해 회동하도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거치부의 후면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된 한 쌍의 구동암,
    상기 각 구동암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변판에 결합된 유도가이드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환링크,
    상기 구동링크 및 전환링크의 양단을 상기 구동암 및 상기 유도가이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세 개의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는 상기 배변판의 회동시 상기 배변판에 대해 회동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배변판의 양측에 경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의 저면과 상기 구동링크의 일측을 복원스프링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무게감지센서, 소변감지센서, 소변받이 넘침센서, 소변수거함 넘침센서,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 대변수거용 구동모터, 구동모터 스톱 스위치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소변감지센서의 신호가 함께 인가되거나 상기 소변감지센서의 신호만 인가되면 소변으로 판단하고,
    설정 지연시간 후, 상기 세척수단과 흡입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만 인가되면 상기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설정 지연시간 후, 상기 대변수거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만 인가되면 상기 무게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범위인지 판단하고, 설정시간 범위인 경우
    설정 지연시간 후, 상기 세척수단, 흡입수단, 대변수거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받이 넘침센서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흡입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수거함 넘침센서 또는 상기 세척수 부족 감지센서의 신호가 인가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시간 동안 무게감지센서, 소변감지센서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흡입수단, 세척수단, 대변수거수단을 작동시켜 셀프 크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밤, 낮을 감지하는 일사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밤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상기 소변받이에 장착된 LED 조명을 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 수행, 정지, 지연시간 조절, 세척수 분사량 조절을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20120125557A 2012-10-09 2012-11-07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305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81 2012-10-09
KR20120111681 2012-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387B1 true KR101305387B1 (ko) 2013-09-06

Family

ID=494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557A KR101305387B1 (ko) 2012-10-09 2012-11-07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387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982B1 (ko) 2013-09-06 2013-11-15 김용진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
KR101393150B1 (ko) 2013-12-27 2014-05-09 최덕희 애완견용 자동 세정방식 배변장치
KR101617338B1 (ko) 2013-12-19 2016-05-02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WO2016108608A1 (ko) * 2014-12-31 2016-07-0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60089229A (ko) * 2015-01-19 2016-07-2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67473B1 (ko) 2016-02-12 2017-08-11 신정은 애완동물용 비데
KR101827226B1 (ko) * 2017-11-29 2018-02-07 서준덕 가림막이 구비된 애견용 배변판 받침대
KR101849043B1 (ko) * 2017-02-23 2018-04-16 장성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WO2019045357A1 (ko) * 2017-08-28 2019-03-07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KR101972338B1 (ko) 2018-10-02 2019-04-25 주식회사 피앤엘코리아 애완견용 배변 자동 처리장치
KR20200000751U (ko) 2018-10-04 2020-04-14 박병욱 반려동물용 배변판 세척장치
KR102280358B1 (ko) * 2020-12-02 2021-07-22 주식회사 코아비즈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뇨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83068B1 (ko) * 2022-07-08 2022-12-29 송상호 애완동물 배변용 트레이
WO2023136580A1 (ko)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200497279Y1 (ko) 2023-01-12 2023-09-19 유철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KR102598328B1 (ko)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827A (en) * 1977-01-11 1978-06-27 Cotter James A Self-cleaning cat waste disposal device
JP3308242B2 (ja) * 1995-01-12 2002-07-29 ウォーターズ リサーチ カムパニー 猫のための自動清掃式汚物箱
JP3878621B2 (ja) * 2004-04-13 2007-02-07 尚子 峰晴 おしっこ誘導ボードオス犬用のペットトイレ
JP2010154830A (ja) * 2008-12-30 2010-07-15 Toshio Miyake 猫用水洗トイ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827A (en) * 1977-01-11 1978-06-27 Cotter James A Self-cleaning cat waste disposal device
JP3308242B2 (ja) * 1995-01-12 2002-07-29 ウォーターズ リサーチ カムパニー 猫のための自動清掃式汚物箱
JP3878621B2 (ja) * 2004-04-13 2007-02-07 尚子 峰晴 おしっこ誘導ボードオス犬用のペットトイレ
JP2010154830A (ja) * 2008-12-30 2010-07-15 Toshio Miyake 猫用水洗トイレ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982B1 (ko) 2013-09-06 2013-11-15 김용진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
KR101617338B1 (ko) 2013-12-19 2016-05-02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393150B1 (ko) 2013-12-27 2014-05-09 최덕희 애완견용 자동 세정방식 배변장치
WO2016108608A1 (ko) * 2014-12-31 2016-07-0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23616B1 (ko) * 2014-12-31 2017-04-18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60089229A (ko) * 2015-01-19 2016-07-2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WO2016117901A1 (ko) * 2015-01-19 2016-07-28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24597B1 (ko) * 2015-01-19 2017-04-0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67473B1 (ko) 2016-02-12 2017-08-11 신정은 애완동물용 비데
KR101849043B1 (ko) * 2017-02-23 2018-04-16 장성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WO2019045357A1 (ko) * 2017-08-28 2019-03-07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KR101827226B1 (ko) * 2017-11-29 2018-02-07 서준덕 가림막이 구비된 애견용 배변판 받침대
KR101972338B1 (ko) 2018-10-02 2019-04-25 주식회사 피앤엘코리아 애완견용 배변 자동 처리장치
KR20200000751U (ko) 2018-10-04 2020-04-14 박병욱 반려동물용 배변판 세척장치
KR102280358B1 (ko) * 2020-12-02 2021-07-22 주식회사 코아비즈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뇨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WO2023136580A1 (ko)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83068B1 (ko) * 2022-07-08 2022-12-29 송상호 애완동물 배변용 트레이
KR200497279Y1 (ko) 2023-01-12 2023-09-19 유철호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KR102598328B1 (ko)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387B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US8863693B2 (en) Animal toilet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US20170339911A1 (en) Pet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apparatus
KR102372625B1 (ko) 반려견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101353093B1 (ko)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KR20170042100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CN209749426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宠物笼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CN210869226U (zh) 环保智能猫厕所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1282200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N111418499A (zh) 一种智能狗厕所
KR102078698B1 (ko)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CN209749408U (zh) 一种翻转清洗的宠物马桶
CN110840313A (zh) 一种粪尿分集免水可冲装置
KR20140050311A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CN213881300U (zh) 一种防臭猫厕所
CN110558237A (zh) 环保智能猫厕所
KR101176412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N211381056U (zh) 一种粪尿分集免水可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