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229A -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229A
KR20160089229A KR1020150008920A KR20150008920A KR20160089229A KR 20160089229 A KR20160089229 A KR 20160089229A KR 1020150008920 A KR1020150008920 A KR 1020150008920A KR 20150008920 A KR20150008920 A KR 20150008920A KR 20160089229 A KR20160089229 A KR 2016008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pet
faucet
faece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597B1 (ko
Inventor
박현석알버트
Original Assignee
박현석알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알버트 filed Critical 박현석알버트
Priority to KR102015000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597B1/ko
Priority to PCT/KR2016/000537 priority patent/WO2016117901A1/ko
Publication of KR2016008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스스로 올라설 수 있는 용변 장소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용변판이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공을 통해 통과된 소변을 모아 별도로 설치된 소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유도함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대변수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용변판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경우 소변은 상기 배출유도함으로 낙하하여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용변판이 상기 대변수용부의 상부개구를 향하여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의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상기 대변수용부로 굴러 떨어져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별도로 설치된 대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을 각각 별도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상부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애완동물의 용변 시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상부에 걸러지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힌지축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세워지는 용변판과; 상기 용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용변판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변을 모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소변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일측에서 별도의 소정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변판이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굴러 떨어져 수용되는 대변수용부와; 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출구가 기 설치된 오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변수용부로부터 흘러 내려온 소변을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소변배출관과; 입구가 상기 대변수용부와 연통되고 출구가 상기 오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수용부에 떨어진 대변을 상기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대변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SANITIZING POT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스스로 올라설 수 있는 용변 장소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용변판이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공을 통해 통과된 소변을 모아 별도로 설치된 소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유도함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대변수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용변판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경우 소변은 상기 배출유도함으로 낙하하여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용변판이 상기 대변수용부의 상부개구를 향하여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의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상기 대변수용부로 굴러 떨어져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별도로 설치된 대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을 각각 별도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각종 애완동물은 배변훈련이 잘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불, 침대 등을 비롯하여 아무 곳이나 배뇨, 배변을 하기 때문에 키우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애견을 키우는 가정에서 용변을 처리할 때는 통상 바닥에 신문지 등의 종이를 깐 상태에서 그 위에서 애견이 용변을 보도록 한 후 용변이 묻은 종이를 쓰레기통이나 변기에 버리는 등의 방법으로 처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실내에 애견의 용변 냄새가 퍼지게 될 뿐만 아리라 애견의 용변이 종종 종이 밖으로 배출되면서 실내 바닥이 애견의 용변에 의해 오염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이러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애견의 용변을 가정 화장실의 수세식 변기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때는 가정의 화장실의 변기가 사람이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어 애견이 변기에 서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잘못하면 애견이 변기에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설령 애견을 변기에 세울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애견의 용변이 변기 외부로 배출될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597호(2005.05.23 등록) "애완동물용 변기"에서는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부 바닥면에 놓이는 변기에 접철부를 형성하여 접힘 가능하게 하고, 변기 하단에 다수의 절곡홈이 형성되는 한편, 변기를 구성하는 양면의 양측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변기 내부에 소변을 흡수하기 위한 패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며, 그 상부로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보호대를 설치하여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하며, 패드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패드의 이탈로 인한 애완동물의 오줌이 바닥에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변기"는 수분흡수용 패드에 소변이 흡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중에 냄새가 번지게 되고 뒤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자주 번갈아 주어야 하므로 주기적인 패드 구입 비용에 따른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소변이 보호대 내부로 쌓인 경우 소변을 화장실 등에 버리기 위해 변기를 들고 이동하는 일이 불편하며, 애완동물이 용변을 마친 후 보호대 상부에 쌓이는 대변을 사육자가 손이나 별도의 도구로 봉투 등에 담는 등 직접 처리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럽고, 처리 후 남게 된 대변과 변기 내에 쌓인 소변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이 청결하지 못한 것이었으며, 그에 따른 청소 작업이 자주 이루어져야 하므로 애완동물용 변기로서의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스스로 올라설 수 있는 용변 장소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용변판이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공을 통해 통과된 소변을 모아 별도로 설치된 소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유도함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대변수용부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이 용변판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경우 소변은 상기 배출유도함으로 낙하하여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상기 용변판이 상기 대변수용부의 상부개구를 향하여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의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상기 대변수용부로 굴러 떨어져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별도로 설치된 대변배출관을 통해 외부의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을 각각 별도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변배출관 및 대변배출관에 사이펀트랩이 형성되어 오수배출라인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배출유도함 및 대변수용부에 UV살균램프가 설치되어 위생 변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상부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애완동물의 용변 시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상부에 걸러지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힌지축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세워지는 용변판과; 상기 용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용변판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변을 모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소변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일측에서 별도의 소정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변판이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굴러 떨어져 수용되는 대변수용부와; 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출구가 기 설치된 오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변수용부로부터 흘러 내려온 소변을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소변배출관과; 입구가 상기 대변수용부와 연통되고 출구가 상기 오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수용부에 떨어진 대변을 상기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대변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소변수용부 및 상기 대변수용부 각각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구비되되,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소변수용부와 상기 대변수용부 각각으로 분사된 경우 소변 및 대변이 상기 소변배출관과 상기 대변배출관 각각으로 씻겨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소변배출관 및 상기 대변배출관은 사이펀트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용변판 상부에서의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상기 대변수용부에서의 대변의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용변판이 세워지도록 작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급수를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을 일정 시간 개폐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용변판 상부에서의 애완동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적외선센서 또는 압력센서와, 상기 대변수용부에서 대변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적외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적외선센서 또는 압력센서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애완동물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적외선센서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대변수용부에 수용되는 대변을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급수관은, 상기 소변배출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1 공급관 및 상기 대변배출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2 공급관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2 공급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대변수용부에 대변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소변수용부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UV살균램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애완동물의 이동과 대변의 유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UV살균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애완동물이 용변을 마친 상태에서 용변판이 본체부의 일측에 별도 마련된 대변수용부 방향으로 세워짐에 따라 소변은 하부에 위치한 배출유도함을 통해 모아진 상태에서 소변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용변판의 상부에 걸러진 대변은 상기 대변수용부로 굴러 떨어져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대변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과 대변을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배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소변배출관 및 대변배출관에 사이펀트랩이 형성되어 오수배출라인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감지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배출유도함 및 대변수용부에 UV살균램프가 설치되어 위생 변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의 배출유도함 내부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의 배출유도함 내부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본체부(10), 용변판(20), 소변수용부(30), 대변수용부(40), 소변배출관(50), 대변배출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본 발명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가 수도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화장실 등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이다.
이에, 상기 본체부(10)는 사람이 사용하는 변기와 같은 세라믹, 도자기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후술하는 상기 소변수용부(30) 및 대변수용부(40) 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급수관(12)이 일측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화장실 등의 장소에 기 설치된 오수배출라인으로 호스나 관을 연결하여 용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배수구(13)가 구비된다.
상기 용변판(20)은 애완동물이 올라설 수 있는 용변 장소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된 상부 일부를 커버하는 덮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장방형의 판체로서, 애완동물의 용변시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상부에 걸러지도록 테두리를 제외한 표면 전체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배수공(2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변판(20)은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힌지축(21)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세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용변판(20)의 설치로 인해 상부개구의 나머지 일부가 소정 크기로 개방된 상태가 남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부개구는 후술하는 상기 대변수용부(40)의 입구(41)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용변판(20)은 상기 대변수용부(40)의 입구(41) 방향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세워지게 된다.
상기 소변수용부(30)는 상기 용변판(20) 상부에서 애완동물의 용변시 상기 다수의 배수공(20a)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변이 수용되는 곳으로, 상기 소변수용부(30)는 상기 용변판(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수용공간(11)에 설치되고, 상기 용변판(20)에서 낙하하는 소변이 중앙으로 모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31)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소변수용부(30)는 테두리의 내측 방향으로 사방의 측벽(32)을 이루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32)의 각 모서리 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바닥경사면(30a)이 형성되어 소변이 상기 배출구(31)를 향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소변수용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 상부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소변수용부(30)는 상기 바닥경사면(30a)에서 테두리의 단턱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다수의 받침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용변판(20)이 상부에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변수용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서 별도의 소정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변판(20)의 설치로 인해 상기 본체부(10) 상부개구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대변수용부(40)의 입구(41)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변수용부(40)는 상기 용변판(20)이 상기 입구(41) 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20)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굴러 떨어져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변수용부(40)는 상기 급수관(12)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된 경우 바닥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는 물고임홀(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고임홀(4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대변수용부(40)의 내부로 떨어진 대변이 바닥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대변수용부(40) 내부 바닥면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상기 대변배출관(60)은 상기 용변판(20) 상부에서 애완동물의 용변시 소변과 대변을 각각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상기 소변배출관(50)은 입구(50a)가 상기 소변수용부(30)의 배출구(31)와 연통되고, 출구(50b)가 화장실 등의 장소에 기 설치된 오수배출라인(W)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변수용부(30)로부터 흘러 내려온 소변을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관이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배출관(50)은 결합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연장된 형태로의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대변배출관(60)은 상기 용변판(20) 상부로 걸러진 대변이 상기 대변수용부(40)를 거쳐 상기 오수배출라인(W)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대변배출관(60)은 입구(60a)가 상기 대변수용부(40)와 연통되고, 출구(60b)가 상기 소변배출관(50)의 출구(50b)와 이어지며 상기 오수배출라인(W)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는 외부로부터 상기 소변수용부(30) 및 상기 대변수용부(40) 각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2)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12)은 상기 소변수용부(30)로 낙하하는 소변과, 상기 용변판(20)으로부터 상기 대변수용부(40)로 굴러 떨어져 수용되는 대변이 각각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으로 씻겨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수용부(30)에는 그 측벽(32)을 따라 상기 바닥경사면(30a) 방향을 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물분사공(34)이 설치되고, 상기 대변수용부(40)에는 내벽과 상기 물고임홀(42) 방향을 향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 분사노즐(43)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감지센서부(70)와, 구동부(80)와, 제어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부(70)는, 상기 용변판(20) 상부에서의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상기 대변수용부(40)에서의 대변의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고,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용변판(20)이 세워지도록 작동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감지센서부(70)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기 감지센서부(70), 구동부(80) 및 상기 제어부(90)의 구성을 통해 상기 급수관(12)으로 세척수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급수관(12)은 급수를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감지센서부(70)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구동부(8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12)을 일정 시간 개폐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1)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70)는 상기 용변판(20) 상부에서의 애완동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적외선센서(71) 또는 압력센서(72)와, 상기 대변수용부(40)에서 대변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적외선센서(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적외선센서(71) 또는 상기 압력센서(72)를 통해 출력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이 상기 용변판(20) 상부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후, 일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1)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상기 소변수용부(30)로 배설한 소변이 상기 소변배출관(50) 방향으로 씻겨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용변판(20)이 세워지도록 일측에 구비된 상기 힌지축(21)과 연결되는 구동모터(81)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구동모터(81)는 상기 힌지축(21)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힌지축(21)과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2 적외선센서(73)를 통해 출력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변수용부(40) 즉, 상기 물고임홀(42)에 대변의 유무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대변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적외선센서(71) 또는 상기 압력센서(72)를 통해 상기 용변판(20)에서 애완동물이 용변을 마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1)가 개방되도록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관(12)은 상기 소변배출관(5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1 공급관(122) 및 상기 대변배출관(6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2 공급관(123)으로 분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급관(123)에는 상기 제어부(90)에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밸브(123a)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감지센서부(70)를 통해 애완동물이 상기 용변판(20)에서 용변을 마치고 내려온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대변수용부(40)에 대변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개폐밸브(123a)를 차단시키고, 대변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개폐밸브(123a)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애완동물이 상기 용변판(20) 상부에서 소변만 배설한 경우에는 상기 대변수용부(40)로 세척수가 공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낭비될 수 있는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절수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공급관(122)에 별도의 개폐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며,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상기 급수관(12)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소변수용부(30) 및 상기 대변수용부(40) 각각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의 장소로만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상기 대변배출관(60)은 각각의 사이펀트랩(51,61)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사이펀트랩(51,61)은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 각각의 출구(50b,60b)로 흐르는 세척수의 일부를 가두어 두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급수관(12)으로부터 세척수가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으로 일정량 공급되도록 한 경우 상기 각각의 출구(50b,60b)로 배출되고 남은 물이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의 내부 단면을 메우도록 채워짐으로써 상기 오수배출라인(W)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애완동물이 용변을 마친 경우, 별도의 청소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급수관(12)에서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처음에는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을 가득 채울 만큼 충분하게 공급되고, 일정 시간이 초과된 이후에는 상기 상기 소변배출관(50) 및 대변배출관(60)으로 세척수가 천천히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이펀트랩(51,61)과 상기 대변수용부(40)의 물고임홀(42)에 물이 충분하게 고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소변수용부(30) 및 상기 대변수용부(40)는 자외선을 통해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각각의 UV살균램프(35,45)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변수용부(30)에 설치된 상기 UV살균램프(35)는 상기 소변수용부(30)의 내부 측벽(32)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용변판(20)에 남아 있는 대변으로부터 남은 잔여물이나 상기 바닥경사면(30a)에 묻은 소변 찌꺼기 등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살균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대변수용부(40)에 설치된 상기 UV살균램프(45)는 상기 대변수용부(40)의 입구(41) 주변에 고정되어 그 내부 측벽과 상기 물고임홀(42)에 대변으로부터 묻거나 남은 잔여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UV살균램프(35,45)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센서부(70)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이동과 대변의 유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UV살균램프(35,45)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부 11 수용공간
12 급수관 121 솔레노이드밸브
122 제1 공급관 123 제2 공급관
123a 개폐밸브 13 하부배수구
20 용변판 20a 다수의 배수공
21 힌지축 30 소변수용부
30a 바닥경사면 31 배출구
32 측벽 33 받침돌기
34 다수의 물분사공 40 대변수용부
41 덮개 42 물고임홀
43 분사노즐 35,45 UV살균램프
50 소변배출관 60 대변배출관
51,61 사이펀트랩 70 감지센서부
71 제1 적외선센서 72 압력센서
73 제2 적외선센서 80 구동부
90 제어부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상부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되, 애완동물의 용변 시 소변은 통과하고 대변은 상부에 걸러지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힌지축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세워지는 용변판과;
    상기 용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용변판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변을 모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소변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일측에서 별도의 소정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변판이 세워진 경우 상기 용변판 상부에 걸러진 대변이 굴러 떨어져 수용되는 대변수용부와;
    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출구가 기 설치된 오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변수용부로부터 흘러 내려온 소변을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소변배출관과;
    입구가 상기 대변수용부와 연통되고 출구가 상기 오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수용부에 떨어진 대변을 상기 오수배출라인으로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대변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소변수용부 및 상기 대변수용부 각각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구비되되,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소변수용부와 상기 대변수용부 각각으로 분사된 경우 소변 및 대변이 상기 소변배출관과 상기 대변배출관 각각으로 씻겨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배출관 및 상기 대변배출관은 사이펀트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판 상부에서의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상기 대변수용부에서의 대변의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용변판이 세워지도록 작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급수를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을 일정 시간 개폐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용변판 상부에서의 애완동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적외선센서 또는 압력센서와, 상기 대변수용부에서 대변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적외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적외선센서 또는 압력센서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애완동물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적외선센서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대변수용부에 수용되는 대변을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소변배출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1 공급관 및 상기 대변배출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2 공급관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2 공급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대변수용부에 대변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수용부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UV살균램프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라 애완동물의 이동과 대변의 유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UV살균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20150008920A 2015-01-19 2015-01-19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2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20A KR101724597B1 (ko) 2015-01-19 2015-01-19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PCT/KR2016/000537 WO2016117901A1 (ko) 2015-01-19 2016-01-19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20A KR101724597B1 (ko) 2015-01-19 2015-01-19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29A true KR20160089229A (ko) 2016-07-27
KR101724597B1 KR101724597B1 (ko) 2017-04-07

Family

ID=5641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20A KR101724597B1 (ko) 2015-01-19 2015-01-19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4597B1 (ko)
WO (1) WO2016117901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43B1 (ko) * 2017-02-23 2018-04-16 장성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864080B1 (ko) * 2017-06-13 2018-06-01 김미경 애완동물용 변기
KR20190060599A (ko) * 2017-11-24 2019-06-03 (주)잇펫 애완동물 화장실
KR20200095656A (ko) * 2019-02-01 2020-08-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220049628A (ko) * 2020-10-14 2022-04-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20220113215A (ko) * 2021-02-05 2022-08-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97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0494880Y1 (ko) 2020-01-09 2022-01-13 정재봉 반려견 화장실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868B1 (en) * 2002-10-30 2004-03-09 John V. Shepherd Automated, self-cleaning cat litter box apparatus
KR20080109506A (ko) * 2007-06-13 2008-12-17 이화형 애완동물용 용변 훈련기
KR101305387B1 (ko) * 2012-10-09 2013-09-06 이원용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3952B2 (en) * 2010-05-27 2014-04-01 Matthew J. Miller Cat litter box system
EP2681992B1 (fr) * 2012-07-06 2015-09-30 Alternatech Dispositif sanitaire pour animaux domestiques
KR101329982B1 (ko) * 2013-09-06 2013-11-15 김용진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868B1 (en) * 2002-10-30 2004-03-09 John V. Shepherd Automated, self-cleaning cat litter box apparatus
KR20080109506A (ko) * 2007-06-13 2008-12-17 이화형 애완동물용 용변 훈련기
KR101305387B1 (ko) * 2012-10-09 2013-09-06 이원용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43B1 (ko) * 2017-02-23 2018-04-16 장성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864080B1 (ko) * 2017-06-13 2018-06-01 김미경 애완동물용 변기
KR20190060599A (ko) * 2017-11-24 2019-06-03 (주)잇펫 애완동물 화장실
KR20200095656A (ko) * 2019-02-01 2020-08-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220049628A (ko) * 2020-10-14 2022-04-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20220113215A (ko) * 2021-02-05 2022-08-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켄넬 및 모니터링 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68558B1 (ko) *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597B1 (ko) 2017-04-07
WO2016117901A1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23616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CN107949276B (zh)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RU2305155C2 (ru) Туалет со с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CA2779705C (en) System and method of greywater recovery and reuse
CA2875412C (en) System and method of greywater recovery and reuse
KR100927991B1 (ko) 세척식 배수트랜치가 구비된 조리장 세척배수장치
US20080245309A1 (en) Dog toilet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100748404B1 (ko) 세정기능을 구비한 배수트랩 자동 급수장치
KR20190061457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JP3821025B2 (ja) 圧送排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送排水便器
KR20080057947A (ko) 애완동물 자동화 변기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JPH10195960A (ja) 吸込装置
JP5843349B2 (ja) トイレ装置
KR100779045B1 (ko) 세척수 분사구조를 갖는 배수트랩
KR200485598Y1 (ko) 대소변 처리장치의 세척기
JPH03290533A (ja) 洗浄水循環式の水洗トイレット装置
JP2007126823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