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628A -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628A
KR20220049628A KR1020200132359A KR20200132359A KR20220049628A KR 20220049628 A KR20220049628 A KR 20220049628A KR 1020200132359 A KR1020200132359 A KR 1020200132359A KR 20200132359 A KR20200132359 A KR 20200132359A KR 20220049628 A KR20220049628 A KR 2022004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ation
companion animal
built
bowel movemen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031B1 (ko
Inventor
최준석
나태욱
박준규
서민주
오현민
유지은
이선미
최종윤
태혜인
신현준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0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28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continu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되어 배변물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공급부, 상수설비와 연통되어 상수를 공급받는 상수공급부가 구비되며, 하부는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배변을 배출하는 정화부가 구비된 배변처리 케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부를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막, 일 면에 감지 센서 및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배변판, 상기 차단막 및 상기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모터,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배변정보를 분석하여 배변여부를 판단하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의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하여 배변물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excretion of pet of buil-in type}
본 발명은 상수설비 및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배변물을 처리하는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람들은 도시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1인 가구 및 무자녀 가정 등 가족 구성원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에, 자신과 감정을 공유하고 함께 생활하는 반려동물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동시에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이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처음 키우는 사람, 주중에 출근을 해야 하는 직장인 등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즉시 치워주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보호자들 또한 증가되고 있다. 상기 배설물은 반려동물의 건강을 약화시키 질병의 원인이 되며, 식분증 등 잘못된 습관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187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03122에서는 반려동물의 배변을 자동으로 밀폐 처리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의 발명 모두 대변을 소정의 배변통과 같은 위치로 이동시켜 분리 보관할 뿐 완벽하게 처리하는 장치가 아니므로,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줘야 하며, 상기 배변물로 인하여 질병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1878호 (2020.04.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0937호 (2017.06.2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수설비 및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반려동물의 배변물을 수세식으로 처리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반려동물의 배변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배변이 확인된 경우에만 동작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외부와 연통되어 배변물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공급부, 상수설비와 연통되어 상수를 공급받는 상수공급부가 구비되며, 하부는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배변을 배출하는 정화부가 구비된 배변처리 케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부를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막, 일 면에 감지 센서 및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배변판, 상기 차단막 및 상기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모터,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배변정보를 분석하여 배변여부를 판단하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의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하여 배변물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배변 처리 장치는 반려동물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가 상기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만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외부와 연통하여 배변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를 차단하는 제1 차단막, 일 면에 제1 감지 센서 및 제1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제1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제1 배변판, 상기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제1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모터, 상기 제1 공급부와 소정 위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공급부, 상기 제2 공급부를 차단하는 제2 차단막, 일 면에 제2 감지 센서 및 제2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제2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제2 배변판, 상기 제2 차단막 및 상기 제2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제2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동력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배변판에 배변이 수행된 경우, 상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과 가장 근접한 반려동물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거리가 가장 먼 배변판과 연결된 동력모터부터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는, 상기 상수공급부 또는 상기 상수설비로부터 상수를 공급받는 상수라인, 상기 상수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상수를 저장하는 상수저장탱크, 소정의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저장하는 소독제 저장탱크, 상기 상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수와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기 저장된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탱크 및 상기 상수저장탱크 또는 혼합탱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받은 세정액을 상기 배변 패드에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배변처리 솔 및 건조 팬(f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배변 패드 일 면에 탈취제를 분사하여 배설물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탈취제는 식물 추출액 및 동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 냄새 제거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배변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배변 시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하고 배변판을 세척, 살균 및 탈취하여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배변여부를 항상 확인하고 처리해야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배변물을 수세식으로 처리하여 배변물을 소정의 공간에 보관함으로써 발생되는 건강상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단막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공급를 개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배변판을 회전시키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배변처리 솔을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반려동물의 배변을 스스로 처리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실내의 상수설비 및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배변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배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고, 배변이 완료되면 하수설비와 연통된 정화부로 배변을 처리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실내에서 배변을 본 후에 자동으로 배변을 처리하여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수설비 및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반려동물의 성장 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배변여부를 항상 확인하고 처리해야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반려동물의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이 배변 처리 장치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만 배변 장치를 작동함으로써 배변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부상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차단막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배변처리 케이스(100), 차단막(200), 배변판(300), 세정부(400), 배변처리 솔(500), 건조 팬(600) 및 제어부(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는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의 프레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는 공급부(P), 상수공급부(W) 및 정화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P)는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의 일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배변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상수공급부(W)는 상수설비와 연통되어 상기 상수설비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소정량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수공급부(W)는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화부(D)는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상기 공급부(P)로부터 공급받은 배변물을 상기 하수설비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부(P)로부터 배변물을 공급받으면, 상기 상수공급부(W)에 저장된 상수를 배출하여 상기 배변물을 상기 하수설비로 배출하여 수세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는 상기 정화부(D)의 일 면을 가리는 정화부 가림막(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정화부(D)로 배출된 배변물이 역류 또는 상기 정화부(D)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의 일 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부(P)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 상면에 위치한 차단막 회전 모터(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막 회전 모터(210)를 통해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차단막 회전 모터(210)를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부(P)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배변판(300)은 배변 패드(310), 감지 센서(미도시), 및 동력모터(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변 패드(310)는 상기 배변판(300)의 일 면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배변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변 패드(310)는 상기 배변판(3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상기 배변 패드(310)를 소정 기간 사용 후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미도시)는 상기 배변 패드(310) 또는 상기 배변 패드(310)의 주변부의 중량, 냄새, 시각, 음향,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습득하여 후술할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배변 패드(310)의 중량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상기 배변 패드(310)에 위치 또는 배변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의 중량이 증가한 경우, 상기 중량이 증가된 정도를 제어부에 알려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중량 정보 뿐 아니라 상기 배변 패드(310)의 시각 정보 및 상기 배변 패드(310) 주변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는 반려동물의 배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모터(330)는 상기 배변판(300)을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 하부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배변판(300)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변판(300)은 상기 동력모터(330)를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세정부(400)는 배변 처리 과정 중에 상기 배변 패드(310)에 소정의 세정액을 분사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를 세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체는 상기 상수공급부(W) 또는 상기 상수설비로부터 공급받은 상수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상수와 기 저장된 소정의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혼합한 세척액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상수공급부 또는 상기 상수설비로부터 상수를 공급받는 상수라인, 상기 상수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상수를 저장하는 상수저장탱크, 소정의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저장하는 소독제 저장탱크, 상기 상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수와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기 저장된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탱크 및 상기 혼합탱크에 저장된 혼합물질을 상기 배변 패드에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상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상수 또는 상기 혼합탱크에 저장된 세척액 중 어느 하나의 세정액을 분사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를 세정할 수 있다.
상기 배변처리 솔(500)은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 일 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부(400)에서 세정액을 분사 후 상기 배변 패드(310)의 일 면을 문질러 상기 배변 패드(310) 일 면에 잔류하고 있는 배변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 팬(600)은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 일 면,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변판(300)과 대칭되는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팬(600)은 상기 배변처리 솔(500)이 상기 배변 패드(310)의 일 면을 문질러 상기 배변 패드(310)를 세척한 후 상기 배변 패드(310)에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건조 팬(600)은 상기 배변 패드(310) 일 면에 잔존하는 세척액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 내부에 탈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부는 상기 건조가 완료된 상기 배변 패드(310) 일 면에 탈취제를 분사하여 배변물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탈취제는 반려동물 물품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탈취제라면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식물 추출액 및 동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 냄새 제거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득된 신호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배변여부를 판단하고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의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하여 배변물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배변 패드(310) 또는 상기 배변 패드(310)의 주변부의 중량, 냄새, 시각, 음향,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습득하여 배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변 패드(310)위에 어떠한 중량이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태, 상기 배변 패드(310) 위에 반려동물이 위치하여 큰 중량이 측정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직후, 반려동물의 배변물만 측정되는 상기 제2 상태보다 적은 중량이 감지되는 제3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막(200)으로 상기 공급부(P)를 차단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P)를 개방하고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배변 패드(310) 위 배변물을 처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둘 이상의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교차검증하여 배변 여부를 더 더 정확하게 판단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배변 패드(310)의 중량 및 상기 배변 패드(310) 주변부의 압력 정보를 동시에 습득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가 제2 상태 이후, 상기 배변 패드 주변에 압력 변화를 인지하여 반려동물이 상기 배변 패드(310)에서 멀어졌는지 아니면 아직 배변 패드(310) 위에 위치했는지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배변 패드(310)의 중량 및 광학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상기 배변 패드(310)의 중량 및 광학정보를 교차 검증하여 배변 여부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중량-압력 정보 및 중량-광학정보만을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그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셋 넷 이상의 정보를 더 조합하여 판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공급를 개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배변판을 회전시키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배변처리 솔을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배변물(E)이 상기 배변 패드(310)위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막 회전 모터(210)를 작동시켜 상기 차단막(200)을 반시계 방향(R1)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부(P)를 개방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공급부(P)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모터(330)를 구동하여 상기 배변판(300)을 반시계 방향(R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변물(E)을 상기 정화부(D)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세정부(400)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배변 패드(310)에 분무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를 세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100) 일 면에 위치한 상기 배변처리 솔(500)을 위 아래로 작동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에 잔류하는 배변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액이 뭍은 상기 배변 패드(310)를 세척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건조 팬(600)을 작동하여 상기 배변 패드(310)에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건조 팬(600)은 상기 배변 패드(310) 일 면에 잔존하는 세척액을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수공급부를 작동하여 배변물, 배변처리 솔(500)로 제거한 잔류 배변물 및 세척액을 정화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제1 실시 예와는 다르게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반려동물이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만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에 소정의 기준 거리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가 위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기준 거리 이내의 지역을 제1 구역(Z1)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거리를 초과하여 상기 제1 구역(Z1) 이외의 지역을 제2 구역(Z2)로 지정하여 상기 제1 구역(Z1) 및 상기 제2 구역(Z2)를 구분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에서 배변이 확인된 경우, 상기 반려동물(P)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려동물(P)이 제1 구역(Z1)내에 있을 때는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반려동물(P)이 상기 제1 구역(Z1)을 이탈하여 제2 구역(Z2)에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P’),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하여 상기 배변물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가 상기 반려동물(P)의 위치에 관계 없이 배변여부만을 판단하여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하면, 상기 반려동물(P)이 작동 중인 배변판 또는 차단막에 의해 부상을 당할 수 있으며, 상기 반려동물(P)이 정화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반려동물(P)에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모터 및 상기 상수공급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P)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자 없이도 안전하게 배변물을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만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려동물의 수, 위치, 환경에 따라 제3 구역 및 제4 구역등으로 더 확대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역에 따른 작동방법 또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제2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1 배변 처리부, 제2 배변 처리부 및 제3 배변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변 처리부는 외부와 연통하여 배변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를 차단하는 제1 차단막, 일 면에 제1 감지 센서 및 제1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제1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제1 배변판, 상기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제1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공급부, 제1 차단막, 제1 감지 센서, 제1 배변 패드, 제1 회전축, 제1 배변판 및 제1 동력모터는 앞서 설명한 공급부, 차단막, 감지 센서, 배변 패드, 회전축, 배변판, 동력모터에 대응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배변 처리부 및 상기 제3 배변 처리부 또한 제1 배변 처리부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제1 배변 처리부(300a), 제2 배변 처리부(300b) 및 제3 배변 처리부(3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둘 이상의 배변판에 배변이 수행된 경우, 상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 중 반려동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배변판과 연결된 동력모터부터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변판(300a), 상기 제2 배변판(300b) 및 상기 제3 배변판(300c) 중 선택되는 둘 이상에 배변판에 배변이 수행된 경우, 상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반려동물간의 거리(ℓ)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후 산출된 거리(ℓ)가 가장 먼 배변판부터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배변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변판및 반려동물이 도 9와 같이 위치한 경우, 제1 배변판(300a), 제2 배변판(300b) 및 제3 배변판(300c)에 모두 배변된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배변판(300a)과 근접한 제1 반려동물(P1)과의 거리(ℓ1-1), 상기 제2 배변판(300b)과 근접한 제1 반려동물(P1)과의 거리(ℓ2-1) 및 상기 제3 배변판(300c)과 근접한 제3 반려동물(P3)과의 거리(ℓ3-3)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제3 배변판(300c)부터 제2 배변판(300b) 및 제1 배변판(300a)순서대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배변판(300b)는 제1 반려동물(P1)과의 거리(ℓ2-1)와 제2 반려동물(P2)과의 거리(ℓ2-2)중 가장 가까운 제1 반려동물(P1)과의 거리(ℓ2-1)를 기준으로 작동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가 하나의 반려동물만을 기준으로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면, 둘 이상의 반려동물을 기르는 상황에서는 상기 배변 처리 장치가 기준으로 선정한 반려동물이 아닌 다른 반려동물이 부상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둘 이상이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각각의 배변판과 가장 인접한 반려동물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가 가장 먼 배변판과 연결된 동력모터부터 순차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반려동물과 같이 생활하는 가정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0: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100: 배변처리 케이스
200: 차단막
300: 배변판, 310: 배변 패드, 330: 동력모터
400: 세정부
500: 배변처리 솔
600: 건조 팬

Claims (7)

  1. 외부와 연통되어 배변물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공급부, 상수설비와 연통되어 상수를 공급받는 상수공급부가 구비되며, 하부는 하수설비와 연통되어 배변을 배출하는 정화부가 구비된 배변처리 케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부를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막;
    일 면에 감지 센서 및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배변판;
    상기 차단막 및 상기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모터;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배변정보를 분석하여 배변여부를 판단하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의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하여 배변물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처리 장치는 반려동물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가 상기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만 상기 동력모터 및 상수공급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하여 배변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를 차단하는 제1 차단막;
    일 면에 제1 감지 센서 및 제1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제1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제1 배변판;
    상기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제1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모터;
    상기 제1 공급부와 소정 위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공급부;
    상기 제2 공급부를 차단하는 제2 차단막;
    일 면에 제2 감지 센서 및 제2 배변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부 하단에 형성된 제2 회전축과 일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한 제2 배변판;
    상기 제2 차단막 및 상기 제2 배변판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제2 배변판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동력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배변판에 배변이 수행된 경우, 상기 배변이 수행된 배변판과 가장 근접한 반려동물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거리가 가장 먼 배변판과 연결된 동력모터부터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 케이스는,
    상기 상수공급부 또는 상기 상수설비로부터 상수를 공급받는 상수라인;
    상기 상수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상수를 저장하는 상수저장탱크;
    소정의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저장하는 소독제 저장탱크;
    상기 상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수와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세제 및 소독약을 기 저장된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탱크; 및
    상기 상수저장탱크 또는 혼합탱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받은 세정액을 상기 배변 패드에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배변처리 솔 및 건조 팬(fa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패드 일 면에 탈취제를 분사하여 배설물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는 식물 추출액 및 동물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 냄새 제거 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1020200132359A 2020-10-14 2020-10-14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10247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359A KR102475031B1 (ko) 2020-10-14 2020-10-14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359A KR102475031B1 (ko) 2020-10-14 2020-10-14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628A true KR20220049628A (ko) 2022-04-22
KR102475031B1 KR102475031B1 (ko) 2022-12-07

Family

ID=8145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359A KR102475031B1 (ko) 2020-10-14 2020-10-14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03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986U (ja) * 1999-12-27 2000-07-04 東和物産株式会社 馬の洗浄殺菌装置
KR200355409Y1 (ko) * 2004-04-21 2004-07-06 박경룡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장치
KR20110055911A (ko) * 2009-11-20 2011-05-26 성열탁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150071867A (ko) * 2013-12-19 2015-06-29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20160012036A (ko) * 2014-07-23 2016-02-02 (주)로봇앤드디자인 가축용 포유 장치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160089229A (ko) * 2015-01-19 2016-07-2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70042100A (ko) * 2015-10-08 2017-04-18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751878B1 (ko) 2015-06-03 2017-06-28 나상민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KR20180010390A (ko) * 2016-07-21 2018-01-31 서인숙 애완동물 위생관리기
KR20180010925A (ko) * 2016-07-22 2018-01-31 이창섭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880937B1 (ko) 2016-10-24 2018-07-24 주식회사 위저드아이 반려동물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986U (ja) * 1999-12-27 2000-07-04 東和物産株式会社 馬の洗浄殺菌装置
KR200355409Y1 (ko) * 2004-04-21 2004-07-06 박경룡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장치
KR20110055911A (ko) * 2009-11-20 2011-05-26 성열탁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150071867A (ko) * 2013-12-19 2015-06-29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20160012036A (ko) * 2014-07-23 2016-02-02 (주)로봇앤드디자인 가축용 포유 장치
KR20160089229A (ko) * 2015-01-19 2016-07-2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751878B1 (ko) 2015-06-03 2017-06-28 나상민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170042100A (ko) * 2015-10-08 2017-04-18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180010390A (ko) * 2016-07-21 2018-01-31 서인숙 애완동물 위생관리기
KR20180010925A (ko) * 2016-07-22 2018-01-31 이창섭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880937B1 (ko) 2016-10-24 2018-07-24 주식회사 위저드아이 반려동물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031B1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0580B2 (ja) 紫外線ベースのバスルーム表面衛生処理
CA1086455A (en) Pet commode
KR20220022992A (ko)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판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1643879B1 (ko) 고양이용 용변기구
US20180021465A1 (en) Ultraviolet-Based Bathroom Surface Sanitization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US3871331A (en) Animal litter disposal unit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101141582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210075963A (ko) 위생성이 향상된 자동 샌드필터 고양이 화장실
KR20190128819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200015193A (ko)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JP6358707B2 (ja) トイレ装置
NL1009895C1 (nl) Inrichting voor het reinigen en ontsmetten van koeklauwen.
KR20220049628A (ko)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JP4330170B2 (ja) マットレス洗浄消毒装置、及びマットレス洗浄消毒方法
KR101919769B1 (ko) 변좌 클린 장치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AU2021102743A4 (en) An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KR200492146Y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세척장치
KR101016716B1 (ko) 애완동물용 변기
KR102520869B1 (ko)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JP2005211164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