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467B1 -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467B1
KR101624467B1 KR1020150124058A KR20150124058A KR101624467B1 KR 101624467 B1 KR101624467 B1 KR 101624467B1 KR 1020150124058 A KR1020150124058 A KR 1020150124058A KR 20150124058 A KR20150124058 A KR 20150124058A KR 101624467 B1 KR101624467 B1 KR 10162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or
pet
pum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그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그토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그토토
Priority to KR102015012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467B1/ko
Priority to PCT/KR2015/013721 priority patent/WO2017039076A1/ko
Priority to JP2018511386A priority patent/JP6748708B2/ja
Priority to CN201580082859.4A priority patent/CN107949276B/zh
Priority to US15/756,948 priority patent/US105370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여 배출공으로 배출하되 상기 배출공의 대향 측 양단에 구비된 분사구를 구비한 배변 받이와, 서브 모듈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분사구에 유입시키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메인 모듈과 서브 모듈이 적층된 구조체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물을 저장하는 공간 및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한 수조; 공급관을 매개로 상기 수조로부터 탱크로 유입된 물을 입수관을 통해 상기 배변기로 분사하는 수중펌프를 구비한 서브 모듈; 상기 서브 모듈의 하부에서 상기 서브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되 오수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를 포함한 배수 수납함과,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 및, 펌핑 작용으로 오수를 상기 배수 수납함으로 끌어 오는 배수펌프를 구비한, 메인 모듈;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수중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본 발명은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애완동물이 배변, 구체적으로 소변을 본 후 자동으로 배변기를 청소하는 메인 구조체, 서브 구조체 및 수조라는 3개의 구조체가 모듈 단위로 슬림하고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결합되되, 물이 넘치거나 불필요하게 흐르는 문제를 차단하도록 개량된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은 주로 강아지와 고양이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데,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현대인의 외로움을 달래주거나 정을 느끼기 위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날로 급증하는 추세이고 이러한 추세에 상응하여 반려동물에 관련된 다양한 사업과 아이템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반려동물, 즉 애완동물을 기를 때 여러 중요한 점이 있겠지만 그 중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애완동물의 배변 장소를 지정하고 애완동물이 특정 배변 장소에서 배변을 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화장실 바닥에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도록 훈련받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기가 출시되어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공지의 배변기는 배변 받이와 네트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이 네트 상에 안착하여 대소변을 보면 주인이 네트 상의 대변을 수거하고 네트의 통공을 통해 배변 받이에 모인 소변을 별도로 수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데, 네트 상에 모인 대변은 수거하기 용이한 편에 속하나 소변의 경우 배변받이에 모이기 때문에 네트를 분리한 다음 네트와 함께 배변받이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청소를 게을리 할 경우 악취가 실내에 잔류하는 위생상 문제가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배변기 청소장치가 국내외 특허를 통해 게시되고 있는데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이 된 한국 특허 제 1178799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경우 배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 모듈과 배변기를 청소한 물이 수집되는 배수 모듈이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 기술에 의하면,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 간의 탈착 결합 관계의 편의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물이 지나는 관로의 연결 및 해제, 방수 처리를 추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더불어, 역시 본 출원인의 기술인 특허 제 1282198호는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에 안착했는지 여부를 간편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다양한 모듈 결합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실제 배변받이에 물을 분사하여 청소를 수행하다보면 일반적으로 배변받이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분사구를 통해서 이 배변받이에 물을 분사할 때 청소가 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더 나아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사압을 세게 조절하게 되면 물이 넘치는 현상, 즉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따랐다.
더 나아가, 특허 제 1282198호의 경우 모듈식으로 입수 및 배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직접 물을 공급하는 환경에 적합한 구조이고 입수 모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입수 모듈을 분리하기가 불편해서 직접 물을 길어 입수 모듈 내에 부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랐으며 입수 모듈과 배수 모듈의 사이즈가 커서 좁은 장소에서 설치하는데 애로사항이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물 공급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배수를 위한 구조 내에 필터를 제공하여 배변에 포함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거를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배변기 청소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없는 환경에서 운반이 간편한 수조를 통해 물을 공급하되 센싱 기능은 물론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하는 메인 모듈과 서브 모듈이 배변기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컴팩트하고 슬림한 구조를 이루는 배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에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를 배수 처리 등을 수행하는 메인 모듈에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위감지센서를 복수 개로 장착하고 수위의 고저에 따른 신호 처리를 복수 개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인 모듈에 저장된 오수의 배출을 보다 안정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물을 수용한 병을 역으로 삽입하여 수조에 물을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입수관에 공기 배출로를 구비하여 물이 주변에 흐르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여 배출공으로 배출하되 상기 배출공의 대향 측 양단에 구비된 분사구를 구비한 배변 받이와, 서브 모듈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분사구에 유입시키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메인 모듈과 서브 모듈이 적층된 구조체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물을 저장하는 공간 및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한 수조; 공급관을 매개로 상기 수조로부터 탱크로 유입된 물을 입수관을 통해 상기 배변기로 분사하는 수중펌프를 구비한 서브 모듈; 상기 서브 모듈의 하부에서 상기 서브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는 배수 수납함과,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 및, 펌핑 작용으로 오수를 상기 배수 수납함으로 끌어 오는 배수펌프를 구비한, 메인 모듈;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수중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관의 상단 부위 일 측에는, 상기 입수관과 내통되도록 상기 탱크의 내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공기 배출로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모듈은, 바닥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부력에 의하여 몸체를 따라 승강되는 센싱부를 통해 상기 배수 수납함에 저장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신호를 생성하되, 서로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수위 신호의 전달 여부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 및 회전수를 차등 제어하는 배수펌프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수조는, 상면 일 측에 관통된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탄성 날개가 구비된 탄성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의하면,
1) 서브 모듈과 메인 모듈의 컴팩트한 구조를 적층식으로 제시함과 아울러 수조와 깔끔하게 결합되어 좁은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2) 메인 모듈에 제공된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편리하게 거를 수 있으며,
3) 입수관의 특이 구조에 따라 물이 주변에 흐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배변 받이로 입수되는 물의 위치와 시간 및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깔끔하고 깨끗한 사용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5) 서브 모듈 없이 메인 모듈만으로 배변기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보조 구성을 구비하여 물 공급 여부에 따른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메인 모듈과 서브 모듈 및 수조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서브 모듈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모듈 및 배수 수납함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배변 받이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에서 메인 모듈과 서브 모듈 및 수조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 장치는 애완동물이 착지/안착하여 소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 배변을 수집하는 배변기(100)와, 청소용 물을 충전식으로 수용하는 수조(10) 및, 상기 수조(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배변기(100)에 청소용 물을 분사하는 서브 모듈(200)과, 배변기(100)를 청소한 오수가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모듈(300) 및, 분사 및 배수 처리를 위하여 후술할 세부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수조 및 서브 모듈(200)과 메인 모듈(300)은 탈착식 기능을 제공하는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브 모듈(200)과 메인 모듈(300)은 상하 적층 구조로 결합 가능하며, 수조(10)는 이와 같이 상하 적층된 메인/서브 모듈(200,300)의 일 측에 결합부를 매개로 결합이 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결합된 3개의 구조체는 배변기(100)의 폭에 상응하는 폭/사이즈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3개 구조체에 대한 결합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세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의 변(특히, 소변)을 수용 및 저장하고 수조(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받아 청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소변을 보는 곳인 네트(110)와, 청소용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 바람직하게는 제 1,2 분사구(133,134)를 구비한 배변 받이(120), 서브 모듈(200)로부터 청소용 물을 공급받는 입수관, 구체적으로 제 1,2 입수관(131,132)으로 이루어진 입수관 어셈블리(130), 청소 후 물을 외부 또는 메인 모듈(300)로 배출하는 배수관(140), 메인 모듈(300)의 수신 센서(301)로 물체 파악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네트(110)는 공지의 배변기(100)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얇은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배변 받이(120)의 상부에 탈착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네트(110)는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플랫(flat)하고 넓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특히 소변이 배변 받이(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배변 받이(120) 내의 배변을 수거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네트(110)는 배변 받이(12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불어, 네트(110)는 샤워기를 통하여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배변 받이(120)에서 편리하게 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통공의 사이즈 역시 애완동물의 발가락 등이 빠지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월하게 삽입되는 수준으로 이루어져 그 주변에 잔여한 찌꺼기를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변 받이(120)는 상기 네트(110)의 통공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주로 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110) 하부에 일정한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술할 서브 모듈(200)에서 공급되는 물을 내부 공간에 분사하여 청소를 한 후 이 세척 후 물(소변 포함)을 메인 모듈(3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40) 및 수조(10) 또는 서브 모듈(200)로부터 청소용 물을 공급받는 입수관이 형성되어 있다.
입수관 어셈블리는 서브 모듈(200)에서 공급된 물을 배변 받이(120) 내 공간에 공급 및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입수관은 1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2 수중펌프(241,242)와 각각 연결된 상태로서 제 1,2 입수관(131,1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후술할 분사 제어의 효율성 등을 담보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2개의 입수관을 구비한 것은 종래 기술에서 입수관이 하나로 이루어져 분사압 조절을 잘못 했을 때 오버플로우 문제가 발생하거나 배변 받이(120)의 특정 지역이 청소가 되지 않는 사각 지대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보다 깔끔한 배변 받이(12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후술할 컨트롤러(400)와 함께 연동되어 제 1,2 입수관(131,132)에 공급되는 수량과 각기 다른 시간차 분사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2 입수관(131,132)에 공급되는 수량과 입수/분사 타이밍을 컨트롤러(400)의 세부 모듈을 통해 제 1,2 수중펌프(241,242)의 기능을 조절/제어함으로써 배변 받이(120)의 안정적인 유지와 가동 상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제 1,2 입수관(131,132)은 그 단부에 분사압과 분사 방향을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수관(140)은 청소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로 역할을 하는데, 곧바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으나 배수 시설이 주변에 마땅히 없는 설치 환경이 있음을 고려하여 메인 모듈(300)과 연결되어 메인 모듈(300)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발신 센서부(150)는 적외선을 대표로 하는 물체 감지 신호를 메인 모듈(300)의 수신 센서(301)를 향해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발신 센서(151)를 포함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발신 센서(151), 센서 하우징(152), 케이블(153)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발신 센서(151)는 케이블(153)을 매개로 메인 모듈(300)에 구비된 컨트롤러(구체적으로 센서 신호 감지 모듈)와 연결이 되는 것으로, 케이블(153)을 통해 컨트롤러(400)의 유선 제어를 받음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물체 감지 신호를 수신 센서(301)로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발신 센서(151)는 수신 센서(301)를 향한 방향으로 센서 하우징(152)에 장착이 된다.
센서 하우징(152)은 배변기(100)의 일 측, 구체적으로 메인 모듈(300)의 수신 센서(301)의 대향 측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발신 센서(151)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된 플러그(154)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 홀(15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센서 하우징(152)은 발신 센서(151)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발신 센서(15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플러그(154)가 플러그 수용 홀(155)에 삽입되면서 발신 센서(151)가 센서 하우징(152)에 견고하게 결합/해제될 수 있다.
케이블(153)은 컨트롤러(센서 신호 판단모듈)와 발신 센서(151)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컨트롤러(센서 신호 판단 모듈)의 신호 처리 제어를 받으면서 센서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서브 모듈(200)로부터 길게 연장이 되는 케이블(153)이 거치적거릴 것을 예상하여 접속 단자 형태 방식, 즉 케이블(153)의 일 측 부위가 탈착식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더 나아가 케이블 없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컨트롤러(400)의 제어를 받고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하여 독립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발신 센서부(150)는 배변기(100)의 네트(110)를 사이에 두고 수신 센서(301)와 애완동물의 위치 감지 센서 세트를 이루면서 원격으로 물체 인식 신호를 주고받는바, 이러한 센서의 원격 구성에 의하여 발신부와 수신부의 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물체 감지 센서 방식(초음파 등)에 비하여 오작동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특히 센서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검은색 털의 애완동물을 우수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자연채광이 있는 베란다 등의 시설에서도 오작동 없이 애완동물을 정확하게 인식 및 감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며 이는 본 발명자가 특허권자인 특허 제 1282198호의 기능과 같다 할 것이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모듈(300) 상에 서브 모듈(200)이 적층 결합된 구조체의 일 측에 수조(10)가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조(1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청소용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설치 장소 주변에 화장실/싱크대의 물 공급관과 같은 물 공급원이 없을 경우 물을 길어 보관/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수조(10)는 청소용 물을 저장하는 중공부(13)와, 상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고정부(11)와 개폐부(12)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부(12)는 물을 중공부(13)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11)와의 경계 부위에 마련된 힌지를 매개로 개폐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고, 고정부(11)는 이러한 개폐 기능 없이 상면 일부를 차폐하고 있는 판상체이다.
특히, 고정부(11)에는 중공부(13)에서부터 연장되어 서브 모듈(20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35)이 지날 수 있는 공급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자체적인 탈취 기능을 제공하면서 더 나아가 탈취제(탈취면, 솜 등)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15)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계폐부(12)에는 사용자가 수조(10)를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4)가 장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물을 저장한 병(예를 들어, PET 병)을 뒤집어 끼울 수 있는 탄성 결합구(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탄성 결합구(20)는 개방구(21)의 둘레를 따라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체(22)가 형성되어 병(PET 병)과 결합되었을 때 탄성에 의해 유격 없이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탄성체(22)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형으로 복수 개로 분기 형성된 탄성 날개(23)를 구비한다.
이러한 탄성 날개(23)는 평상시에는 개방구(21)를 폐쇄하고 있다가 병이 삽입되면서 하단으로 탄성 절곡되어 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병을 개방구(21)에서 빼어냈을 때 다시 탄성 복원된다.
더불어, 수조(10)의 일 측면, 서브 모듈(200)을 항한 면에는 서브 모듈(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서브 모듈(200)과 안정성 있게 결합된 상태로 가지런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10)에 의하면, 화장실 또는 싱크대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설치 환경에서 청소용 물을 보충하기 위해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편한 운반 환경을 보장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브 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서브 모듈(200)은 커버(210)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할 수 있으며, 도 3의 보아 알 수 있듯이 내부에 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탱크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서브 모듈(200)의 내부는 수조(10)로부터 공급관(235)을 통해 공급된 물, 즉 배변기(100)에 공급할 청소용 물을 수용하는 탱크(220)를 구비한다.
서브 모듈(200)에서 탱크(220)의 일 측벽에는 수조(10)에서 탱크(22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35)이 연결되는 수조 공급공(23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탱크(220)의 바닥 면에는 수위감지센서(270) 및 수중 펌프(241,242)가 장착되어 있다. 수위감지센서(270)는 탱크(220) 내의 물을 감지하여 탱크(220)는 물론 수조(10)에서 공급된 수량이 부족한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수위감지센서(270)는 서브 모듈(200)의 탱크(220)에 저장된 수위를 감지하여 그 수위의 고저에 따라 제 1,2 수중 펌프(241,242)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후술할 컨트롤러(400)의 세부 모듈, 즉 수중펌프 제어모듈과 연동되어 수중 펌프(241,2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수중 펌프(241,242)는 탱크(220) 내에 저장된 물을 입수관을 통하여 배변기(100)로 청소용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수중 펌프(241,242)는 탱크(220)의 바닥 면에서 하방으로 추가 돌출된 펌프 하우징(243) 내에 수용이 되어 유량에 의해 불필요하게 유동되거나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수중 펌프는 2개, 즉 제 1 수중 펌프(241)와 제 2 수중 펌프(242)로 구성되어 이들 각각에 제 1,2 입수관(131,132)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량 및 시간차 공급 제어 내지 분사 제어를 위하여 2개의 수중 펌프(241,242)를 구비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바, 제 1,2 수중 펌프(241,242)는 애완동물이 소변을 마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후술할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하여 가동되어 제 1,2 입수관(131,132)을 통하여 배변기(100)로 물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수공은 입수관이 지날 수 있도록 탱크(220)의 일 측벽에 관통된 구멍으로서 제 1,2 입수관(131,132)에 상응하여 제 1,2 입수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제 1,2 입수공을 통해 제 1,2 수중펌프(241,242)에서부터 시작된 제 1,2 입수관(131,132)이 배변기(1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입수공은 서브 모듈(200)의 측면 부위 중 상단 부위에 관통되어 있어, 하단 부위에 형성되었을 때보다 누수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뿐 아니라 수조(10)를 서브 모듈(200)에서 분리할 때 입수관(131,132) 내의 물이 주변에 떨어져 지저분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입수관(제 1,2 입수관)은 수중 펌프(제 1,2 수중 펌프)에서 개략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다가 입수공 주변에서 절곡 연장되다가 입수공 외측을 지나 배변기(100)까지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입수관은 마치 전화선이나 샤워기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 내지 스크류 방식으로 꼬인 상태로 연장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수중펌프(241,242)의 구동력이 약할지라도 보다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물의 상승 작용을 유발하도록 하여 분사압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입수관에서 입수공 주변의 상단 부위 일 측에서는 내부가 관통된 공기 배출로(130a)가 탱크(220)의 내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배출로(130a)는 물 분사 상황에서는 입수관을 통해 배변기(100)로 물이 분사될 때 약간의 물과 공기를 탱크(220) 측으로 배출하다가, 만일 서브 모듈(200) 내에 물이 부족하여 더 이상 물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공기를 배출하면서 이에 대반 반발력으로 입수관을 따라 상승되던 물을 다시 탱크(220)로 복귀 처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만일, 입수관을 배변기(100)에서 분리하여 배변기 청소를 하고자 할 때, 만일 입수관(131,132) 내에 이미 수중 펌프(241,242)에서 분사된 물이 존재할 경우 그 물이 이미 배변기(100)에서 분리된 입수관(131,132)을 타고 주변으로 흘러내려 주변 부위가 불필요하게 지저분해질 수 있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공기 배출로(130a)가 추가로 장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배변기(100)에서 입수관(131,132)이 분리되었을 때 입수관(131,132) 내 남아있는 물이 입수관(131,132)을 타고 흐르다가 이러한 공기 배출로(130a)의 통공(130b)을 통해 잔여 공기와 함께 빠져나가 탱크(220)에서 그 물을 재 수용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공기 배출로(130a)의 통공(130b)를 통해 배변기(100)로 원래 분사되어야 할 물의 일부가 흐를 수 있으나 그 양이 그리 크지 않아 충분한 분사압/분사량을 유지하는데 지장이 없고 더불어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즉, 탱크 내벽을 형해 경사진 구조)에 의해 이로 배출된 물이 탱크(220)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불필요한 물의 낙하 음이 발생되어 애완동물을 놀라게 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서브 모듈(200)의 일 측, 구체적으로 수조(10)를 향한 측면에는 관로 하우징(250)이 장착되어 있다.
관로 하우징(250)은 상술한 공급관(235)은 물론 입수관(131,132)이 외부로 지저분하게 드러나는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수조와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모듈(200)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조(10)를 향한 일 측면에 수조(10)의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관로 하우징(250)에 의하여 복잡하게 지나는 복수 개의 관을 차폐하여 보다 수려하고 깔끔한 외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브 모듈(200) 및 수조(10)는 후술할 메인 모듈(300)에서 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직접 공급관(235)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는바, 다시 말해 외부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모듈 및 배수 수납함의 저면 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브 모듈(200)의 하부에는 메인 모듈(300)이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 모듈(300)은 서브 모듈(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서브 모듈(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서브 모듈(200)의 하부가 메인 모듈(300)의 상부에 안착이 되거나 서브 모듈(200)의 하부가 메인 모듈(300) 내로 수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고, 서브 모듈(200)과 메인 모듈(300)의 결합 부위에서 요철 구조 등으로 형성된 모듈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듈 결합부는 공지된 다양한 결합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 결합부는 추가적으로 잠금 수단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서브 모듈(200)과 메인 모듈(300)의 결합 부위에서의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모듈(300)은 컨트롤러(400)를 포함함과 동시에, 수신 센서(301) 및 수위감지센서(310), 배수펌프(320)와 배수 수납함(330)을 포함한다.
메인 모듈(300)의 일 측, 즉 배변기(100)를 향한 면의 일 측(또는 후술할 컨트롤 패널)에는 수신 센서(301)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 센서(3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센서(151)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수신 센서(301)가 발신 센서(151)의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301) 사이의 물체, 즉 애완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301)를 원격으로 분리하여 물체 인식/감지 센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지의 일 방향 신호 발신 방식의 센서보다 네트에 올라온 애완동물의 감지를 더욱 디테일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모듈(300)의 저면 부위 중 배수펌프(320)의 주변 부위, 구체적으로 배수 수납함(330)의 바닥 면 부위에는 수위감지센서(310)가 구비되어 있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수위감지센서(310)는 메인 모듈(300)의 배수 수납함(330)에 저장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수위의 고저에 따라 배수펌프(320)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수위감지센서, 즉, 제 1,2,3 수위감지센서(311,312,313)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제 1,2,3 수위감지센서(311,312,313)는 각기 다른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센싱부를 구비하는바, 센싱부가 물에 닿았을 때 이 센싱부가 부력에 의해 수위감지센서의 몸체를 따라 상승하면서 센싱을 하여 수위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니면, 어느 하나의 수위감지센서가 길이 차이를 두고 2개의 센서를 포함하여 총 2개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원리로 생성된 수위 신호는 컨트롤러(400)에 전송이 되어, 외부 배수 시설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펌프(320)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바 이 역시 컨트롤러(400)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배수펌프(320)는 배변기(100)에서 배출된 오수를 배수 수납함(330)으로 끌어오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더 나아가 배수 수납함(330)과 연결된 외부 오수 처리 시설로 오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메인 모듈(300)은 배변기(100)의 배수관(140)이 지날 수 있는 배수 홈(340) 내측에 배수 수납함(330)을 구비한다.
이 때, 배수관(140)은 공지 기술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서 연장되거나 배변기의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높이 상부 지점에서 연장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입수관의 단부에서 분사구를 통해 이 주변에 물을 배출하면 분사구를 통한 여분의 깨끗한 물이 그 주변(배수관의 하부 공간)에 고여 있게 됨으로써 배수공 등에서 오수에 대한 악취가 외부로 쉽사리 유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수 수납함(330)은 수납식 또는 슬라이딩 이동식 상자 형태로 이루어져 메인 모듈(300) 내의 중공 부위에 수용되는 것으로, 배수관(140)에 연결되는 배수 연결공(331)을 구비하여 배수관(140)에서 유입된 오수를 수용하되 내부 일 측에 필터(332)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332)는 오수의 이물질(애완동물의 털, 작은 크기의 대변 등)을 거르거나 악취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일 례로서 배수 수납합(330)의 내부 공간을 지나는 내벽이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한 거름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니면, 배수관(140)이 배수 연결공(331)을 지나 내부로 연장된 단부에 필터(332)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수관(140)의 단면에 상응한 구조(예를 들어 원통 형상)로 이루어져 일 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이에 결합하고 본체는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취한다. 특히, 본체는 배수관(140)의 직경보다 큰 체적으로 이루어져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여분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필터(332)의 본체 내에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탈취제 수용함이 형성될 수 있다.
탈취제 수용함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면/합성수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일종의 주머니로서 탈취제의 일 례로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필터(332)에 의하여 오수에 포함된 고형의 이물질에 의해 외부 배수 시설이 쌓이거나 외부 배수 시설로 연결된 관로가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구조체를 메인 모듈(300)과 서브 모듈(200)로 명명한 이유는 메인 모듈(300)이 외부 물 공급 시설(화장실 또는 싱크대의 물 공급관)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는 환경에서 서브 모듈(200) 및 수조(10) 없이 곧바로 배변기(100)로 물을 분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메인 모듈(3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입수공이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바, 이 입수공은 만일 서브 모듈(200)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티커 또는 밀폐 부재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메인 모듈(300)만을 단독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를 개방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입수공을 통해 외부 물 공급 시설에서 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체크밸브, 바람직하게 제 1,2 체크밸브에 의해 물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배변기(100)에 물을 공급하는 상황에서 개방 처리되어 외부 물 공급시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입수관을 통해 배변기에 물을 분사하고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폐 제어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수관의 일 측에는 펌프가 장착되어 물 분사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체크밸브는 기계식, 전자식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나, 그 일 례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예시한다.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는 전자 밸브의 일종으로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를 상승시켜 밸브를 개방하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의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밸브를 닫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계식에 비하여 즉각적이고 신속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서는 체크 밸브의 일 실시예로서 제 1,2 솔레노이드 밸브라는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제 1,2 체크 밸브는 체크 밸브 제어 모듈의 세부 기능에 의하여 개폐 제어가 되고, 제 1,2 체크밸브에 각기 연결된 수로를 통하여 제 1,2 입수관(131,132)으로 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체크 밸브에 대한 제어는 컨트롤러(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배변 받이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배변 받이(120)는 배출공(135)을 향해 경사진 표면을 가지는바, 배출공(135)의 대향 측 양단에 각각 제 1 분사구(133)와 제 2 분사구(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사구(133)는 제 1 입수관(131)과 연결이 되어 제 1 수중펌프(241)에 의해 구동 제어된 물이 분사되는 것이고, 제 2 분사구(134)는 제 2 입수관(132)과 연결되어 제 2 수중펌프(242)에 의해 구동 제어된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즉, 배변 받이(120)의 표면이 생각 이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바, 이를 제대로 청소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로서만 청소를 할 경우 청소가 되지 않는 사각 지대가 발생하거나 아니면 과잉 분사에 의하여 오버플로우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본 발명자가 인식하였다.
따라서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제 1,2 분사구(133,134)를 통해 물 분사를 시간차, 유량차를 가지고 분사하도록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러한 제 1,2 분사구(133,134)의 단부에는 분사 노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사각을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400)는 서브 모듈 또는 메인 모듈(300) 내에 장착이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 모듈(300)에 장착된 사례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컨트롤러(400)는 애완동물이 네트에 올라왔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수중펌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서브 모듈(200)에서 배변기(100)로의 배수 시간 제어를 수행하고 발신 센서(151)의 발신 신호 송출 제어함과 동시에 배수펌프(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 등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는 컨트롤 패널(410),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 수중펌프 제어모듈(450), 배수펌프 제어모듈(4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메인 모듈(300)이 단독 구성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체크밸브 제어모듈(430)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10)은 메인 모듈(300)의 정면 부위, 즉 수신 센서(301)가 형성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조작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물없음 등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복수의 램프(LED 램프)와 입력키(스위치 내지 키보드, 버튼 등), 는 물론 수신 센서(301)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은 상기 센서부, 즉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301)의 센싱을 통해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센서 신호가 애완동물이 본 발명의 청소장치 자체 또는 이 주변에서 배변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부는 메인 모듈(300)의 정면 부위에 구비된 수신 센서(301)와 배변기(100)의 일 측에 구비된 발신 센서(151)의 센싱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발신 센서(151)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 센서(301)에서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배변기(100) 상, 즉 네트(110)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발신 센서(151)에서 조사된 신호를 수신 센서(301)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배변기(100) 상에 애완동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은 발신 센서(151)와 수신 센서(301) 간의 센싱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체크밸브 제어 모듈(430)은 상기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에서 센서 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제 1,2 체크밸브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메인 모듈 단독으로 구동될 때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시간 제어부(431), 유량 제어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제어부(431)는 시계열적으로 제 1,2 체크밸브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흐른 물이 제 1 입수관(131)을 지나 제 1 분사구(133)에서 분사된 다음 미리 설정된 인터벌(약 1~10초)이 지나 제 2 체크밸브를 통해 흐른 물이 제 2 입수관(132)을 지나 제 2 분사구(134)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제 1,2 체크밸브의 동시 개방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변 받이 전체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유량 제어부(432)는 제 1,2 체크밸브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여 제 1,2 체크밸브를 통해 흐르는 수량을 서로 차등 처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 1 체크 밸브를 통해 처리된 수량이 제 2 체크밸브를 통해 처리된 수량보다 많거나 적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유량 제어부(432)는 상기 시간 제어부(431)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로써 애완동물의 배변 위치에 따라 더욱 더러워진 부위를 집중하여 청소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체크밸브 제어 모듈(430)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세팅 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이 중 어느 하나의 세팅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410)의 입력 키 조작에 의하여 딜레이 시간과 수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수펌프 제어모듈(440)은 배수펌프(320)를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 1,2,3 수위감지센서(311,312,313)의 수위 신호 발생 여부에 따라 배수펌프의 작동 및 펌프 회전수를 차등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길이가 가장 긴 제 1 수위감지센서(311)에서 물을 감지하여 수위 신호를 발생한 경우와 길이가 가장 짧은 제 3 수위감지센서(313)에서 물을 감지하여 수위 신호를 발생한 경우를 비교하여 보면, 후자가 수위가 높은 경우이기 때문에 이 경우 곧바로 배수펌프(320)를 작동하여 가장 높은 회전수에 의하여 배수펌프(320)를 구동하도록 하고, 전자의 경우 아직 수위가 높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배수펌프(320)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구동을 시켜도 회전수를 낮춰 구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수펌프(320)의 구동을 차등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수중펌프 제어모듈(450)은 서브 모듈(200)의 탱크(220)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270)를 통해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의 고저에 따라 수중펌프(241,242)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기준 수위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수위감지를 한 경우 수중펌프(241,242)의 구동을 중단하고 컨트롤 패널(410)을 통해 '물 없음'(또는 수량 부족) 표시를 LED 램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알람 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함으로써 수조에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도록 한다.
더불어, 수중펌프 제어모듈(450)은 상기 센서 신호 판단 모듈(420)에서 센서 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제 1,2 수중펌프(241,242)를 구동 처리하여 배변기(100)로 물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상술한 체크밸브 제어 모듈(430)과 마찬가지의 원리로 시간 제어부(451), 유량 제어부(45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변기 청소장치는 강아지를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고양이의 배변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배변기의 일 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벽체를 형성하여 배변이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조 11: 고정부
12: 개폐부 13: 중공부
14: 손잡이 15: 개방공
20: 탄성 결합구 21: 개방구
22: 탄성체 23: 탄성 날개
100: 배변기 110: 네트
120: 배변 받이 130a: 공기 배출로
130b: 통공 131: 제 1 입수관
132: 제 2 입수관 133: 제 1 분사구
134: 제 2 분사구 135: 배출공
140: 배수관 150: 발신 센서부
151: 발신 센서 152: 센서 하우징
153: 케이블 154: 플러그
155: 플러그 수용 홀 200: 서브 모듈
210: 커버 220: 탱크
230: 수조 공급공 235: 공급관
241: 제 1 수중펌프 242: 제 2 수중펌프
243: 펌프 하우징 250: 관로 하우징
270: 수위감지센서
300: 메인 모듈 301: 수신 센서
310: 수위감지센서 311: 제 1 수위감지센서
312: 제 2 수위감지센서 313: 제 3 수위감지센서
320: 배수펌프 330: 배수 수납함
331: 배수 연결공 332: 필터
340: 배수 홈 400: 컨트롤러
410: 컨트롤 패널 420: 센서 신호 판단 모듈
430: 체크밸브 제어 모듈 431: 시간 제어부
432: 유량 제어부 440: 배수펌프 제어모듈
450: 수중펌프 제어모듈 451: 시간 제어부
452: 유량 제어부

Claims (7)

  1.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로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로부터 유입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여 배출공으로 배출하되 상기 배출공의 대향 측 양단에 구비된 분사구를 구비한 배변 받이와, 서브 모듈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분사구에 유입시키는 입수관 및, 상기 배변 받이의 청소 후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수신 센서에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센서가 장착된 발신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메인 모듈과 서브 모듈이 적층된 구조체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물을 저장하는 공간 및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한 수조;
    공급관을 매개로 상기 수조로부터 탱크로 유입된 물을 입수관을 통해 상기 배변기로 분사하는 수중펌프를 구비한 서브 모듈;
    상기 서브 모듈의 하부에서 상기 서브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오수를 유입하는 배수 수납함과, 상기 발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 및, 펌핑 작용으로 오수를 상기 배수 수납함으로 끌어 오는 배수펌프를 구비한, 메인 모듈;
    상기 발신 센서와 수신 센서의 센싱을 통한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수중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입수관의 상단 부위 일 측에는,
    상기 입수관과 내통되도록 상기 탱크의 내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공기 배출로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은,
    바닥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부력에 의하여 몸체를 따라 승강되는 센싱부를 통해 상기 배수 수납함에 저장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신호를 생성하되, 서로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수위 신호의 전달 여부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 및 회전수를 차등 제어하는 배수펌프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면 일 측에 관통된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탄성 날개가 구비된 탄성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듈은,
    바닥 면에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브 모듈의 수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수중 펌프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는 제 1,2 수중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제 1 수중펌프에 연결된 제 1 입수관과, 상기 제 2 수중펌프에 연결된 제 2 입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사구는 상기 제 1 입수관에 연결된 제 1 분사구와, 상기 제 2 입수관에 연결된 제 2 분사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중펌프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입수관을 통해 흐른 물이 상기 제 1 분사구에서 분사된 다음 미리 설정된 인터벌 이후에 상기 제 2 입수관을 통해 흐른 물이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분사되도록,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 1,2 수중펌프의 구동 제어를 하는 시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수납함은,
    오수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는,
    상기 배수관의 단면에 결합되는 개방부와,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7. 삭제
KR1020150124058A 2015-09-02 2015-09-02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62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58A KR101624467B1 (ko) 2015-09-02 2015-09-02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PCT/KR2015/013721 WO2017039076A1 (ko) 2015-09-02 2015-12-15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JP2018511386A JP6748708B2 (ja) 2015-09-02 2015-12-15 モジュール式ペット用排便器清掃装置
CN201580082859.4A CN107949276B (zh) 2015-09-02 2015-12-15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US15/756,948 US10537090B2 (en) 2015-09-02 2015-12-15 Modular apparatus for cleaning pet toile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58A KR101624467B1 (ko) 2015-09-02 2015-09-02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467B1 true KR101624467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58A KR101624467B1 (ko) 2015-09-02 2015-09-02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7090B2 (ko)
JP (1) JP6748708B2 (ko)
KR (1) KR101624467B1 (ko)
CN (1) CN107949276B (ko)
WO (1) WO2017039076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13B1 (ko) * 2016-11-04 2017-11-09 주식회사 제이그레이스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1935864B1 (ko) 2017-06-14 2019-01-08 김선호 반려동물 배변장치
CN110467241A (zh) * 2019-09-26 2019-11-19 内蒙古泰元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马桶电化学水质处理器
KR102133031B1 (ko)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CN112555567A (zh) * 2020-11-13 2021-03-26 陈志霖 一种永磁变频水泵用进口防堵塞结构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20220049145A (ko) 2020-10-14 2022-04-21 최윤자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KR20220049628A (ko) * 2020-10-14 2022-04-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CN116292335A (zh) * 2023-04-27 2023-06-23 山东心传矿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水泵的水位控制器
WO2023136580A1 (ko)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598328B1 (ko)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6292335B (zh) * 2023-04-27 2024-05-03 山东心传矿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水泵的水位控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IT201900004231A1 (it) * 2019-03-25 2020-09-25 Margareta Dumitrescu Sistema di raccolta e smaltimento automatico di deiezioni animali
KR20230103355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펄송 모듈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1672A1 (en) * 2001-09-14 2003-03-20 Pets 'n People Ltd. Feline excretia processing and elimination system
KR101282198B1 (ko) * 2012-12-21 2013-07-04 노주환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7555A (en) * 1977-07-15 1978-10-03 Dennis Bethel E Canine toilet
IL118829A (en) * 1996-07-10 2001-08-08 Pets N People Ltd Litter apparatus
JP2005287490A (ja) * 2004-04-01 2005-10-20 Yoji Sonegawa 犬・猫用水洗便器
US20080178817A1 (en) * 2004-05-29 2008-07-31 Marsha Beth Brewer Animal flush toilet and assembly system
US8555817B2 (en) * 2005-12-05 2013-10-15 Pet Novations Ltd. Feline exudate apparatus and method
US8151732B2 (en) * 2008-03-31 2012-04-10 Fournier Curt R Animal waste management device
JP2010154830A (ja) * 2008-12-30 2010-07-15 Toshio Miyake 猫用水洗トイレ
KR101176412B1 (ko) * 2011-05-11 2012-08-28 노주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1282200B1 (ko) * 2011-05-11 2013-07-04 노주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N202489037U (zh) * 2011-12-21 2012-10-17 戴少武 自动冲水式猫厕所
WO2013137651A1 (ko) * 2012-03-15 2013-09-19 Roh Ju Hwan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178799B1 (ko) 2012-03-15 2012-08-31 노주환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JP3179840U (ja) * 2012-08-31 2012-11-22 キャッスルエンタープライズ株式会社 ウォーキング用ポール
KR101415871B1 (ko) * 2012-10-19 2014-07-04 오다예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101260479B1 (ko) * 2012-11-19 2013-05-06 이해정 반려동물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20150027479A (ko) * 2013-09-04 2015-03-12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101624467B1 (ko) *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10212915B1 (en) * 2017-08-23 2019-02-26 Wm. Dale Brow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pet urine from a litter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1672A1 (en) * 2001-09-14 2003-03-20 Pets 'n People Ltd. Feline excretia processing and elimination system
KR101282198B1 (ko) * 2012-12-21 2013-07-04 노주환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13B1 (ko) * 2016-11-04 2017-11-09 주식회사 제이그레이스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1935864B1 (ko) 2017-06-14 2019-01-08 김선호 반려동물 배변장치
CN110467241A (zh) * 2019-09-26 2019-11-19 内蒙古泰元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马桶电化学水质处理器
KR20210102822A (ko)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화장실
KR102133031B1 (ko)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KR20210102821A (ko)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20210102824A (ko)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KR20210102823A (ko)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 배변자동처리시스템
KR20220049145A (ko) 2020-10-14 2022-04-21 최윤자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KR20220049628A (ko) * 2020-10-14 2022-04-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102475031B1 (ko) * 2020-10-14 2022-12-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CN112555567A (zh) * 2020-11-13 2021-03-26 陈志霖 一种永磁变频水泵用进口防堵塞结构
CN112555567B (zh) * 2020-11-13 2022-05-17 亚太泵阀有限公司 一种永磁变频水泵用进口防堵塞结构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WO2023136580A1 (ko)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및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CN116292335A (zh) * 2023-04-27 2023-06-23 山东心传矿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水泵的水位控制器
CN116292335B (zh) * 2023-04-27 2024-05-03 山东心传矿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水泵的水位控制器
KR102598328B1 (ko)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8708B2 (ja) 2020-09-02
JP2018526004A (ja) 2018-09-13
US20180249671A1 (en) 2018-09-06
CN107949276A (zh) 2018-04-20
US10537090B2 (en) 2020-01-21
CN107949276B (zh) 2021-02-05
WO2017039076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467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2240245B1 (ko)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KR20160081670A (ko) 입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10557256B2 (en) Holding tank for portable toilet
KR101723616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CA2496247A1 (en) Pet toilet
JP2015509735A (ja)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KR101178799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US20080245309A1 (en) Dog toilet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101282198B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080057947A (ko) 애완동물 자동화 변기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1016716B1 (ko) 애완동물용 변기
RU166209U1 (ru) Туалет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KR200306437Y1 (ko) 좌변기의 거품 발생장치
US20220081888A1 (en) Air odor removal system with sewage plumbing attachment
KR200211435Y1 (ko) 다기능 변기
CN112385550A (zh) 一种宠物厕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