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821A -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821A
KR20210102821A KR1020200081711A KR20200081711A KR20210102821A KR 20210102821 A KR20210102821 A KR 20210102821A KR 1020200081711 A KR1020200081711 A KR 1020200081711A KR 20200081711 A KR20200081711 A KR 20200081711A KR 20210102821 A KR20210102821 A KR 2021010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ation
excrement
housing
bag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167B1 (ko
Inventor
현상협
전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라이트형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라이트형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라이트형제
Priority to KR102020008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25Foldable or collapsible litt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28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continuous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배변제거수단과 배설물을 수납하고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배출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에 대한 것으로, 반려동물용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고, 동시에 처리된 배설물이 배변봉투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밀봉되어 배출되도록 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의 습성에 따른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예컨대, 고양이는 야행성 동물이므로 반려동물 주인은 고양이가 주로 낮보다는 밤에 생활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또한 반려동물과의 유대관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숙지하여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물론이고 반려동물 또한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원활하게 실내에서 함께 생활할 수 있다.
특히, 반려동물을 실내에서 키울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배설물의 처리이다. 반려동물은 훈련이나 본능에 의해 비교적 정해진 장소에서 배변을 하게 하는 경우가 많지만, 분비된 배설물을 사람이 즉시 치워줄 필요가 있다. 고양이의 경우, 사용하는 배변 장소가 불결하거나 원활한 배변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 주인은 고양이의 배변 장소를 잘 관리해 주어야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반려동물에게 배변 장소를 제공하여 배설물을 배변 장소에서 깨끗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종래에 판매되고 있는 고양이 화장실은 실내에서 길러지는 고양이가 배변할 수 있게 만든 플라스틱 상자로, 그 내측에는 모래 등의 고형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고양이 화장실은 고형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배설물의 냄새가 주위로 확산되기 쉽고, 고형물이 주위로 날려 실내 환경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796113(공고일 2017년11월09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624467(공고일 2016년05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배변 장소로부터 자동으로 확실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배변 장소가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반려동물 주인이 반려동물 배설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처리된 배설물을 배변봉투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밀봉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이 마련되며, 일면에 반려동물이 들어왔다가 나갈 수 있도록 개구된 입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배설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고형물이 깔리는 배변플레이트가 마련된 배변실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실의 배설물을 제거갈퀴의 승하강 및 왕복 운동을 통해 배출을 돕도록 구동되는 배변제거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배변실로부터 일측으로 연통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이 배출되어 수거되는 배설물수거실과, 상기 배설물수거실에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을 배변봉투에 수납시키고, 밀봉시켜서 배출하는 밀봉배출수단과, 상기 밀봉배출수단과 상기 배변제거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변제거수단은 다수의 갈퀴살이 배열된 상기 제거갈퀴를 상부측에서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로부터 상기 제거갈퀴를 상기 고형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제 1액추에이터와, 상기 가이드바의 양단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수평 이동을 돕는 한 쌍의 스크류로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각 스크류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는 미사용 상기 고형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배변실을 살균시키기 위한 UV살균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고형물의 잔량 배설물의 유무 및 적재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변플레이트는 상부와 일측이 개구된 틀 형상으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바의 양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거갈퀴의 승하강 이동을 돕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설물수거실의 내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배변봉투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배출도어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배출수단은 상기 배설물수거실에 지지 설치되며, 상기 배설물이 통과하는 제1,2개방홀과, 상기 제1개방홀의 외측으로 배변봉투를 저장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단 내측면에 상기 개방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변봉투를 일정 크기로 확장시키는 에어블로워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방홀과 연통되어 상기 확장된 배변봉투의 입구를 코너로 유도하여 밀봉시키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변봉투는 실린더형 구조로 하여 내부는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그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개구가 구비되며, 고리형으로 왕복 폴딩되어 상기 삽입홈 내에 씌워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변봉투는 상기 삽입홈에 턴업 구조로 접혀서 위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부는 케이스의 내벽 상부측에 위치하는 가로변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배변봉투의 입구를 상기 가로변과 직교하는 세로변으로 모을 수 있는 제1밀착바와, 상기 세로변으로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고, 상기 배변봉투의 입구를 상기 가로변으로 모으는 제2밀착바와, 상기 제1밀착바와 상기 제2밀착바는 상기 배변봉투를 상기 가로변과 상기 세로변의 교차 위치로 모을 수 있고, 상기 교차 위치에 접근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봉투를 핫멜팅 및 밀봉하기 위한 핫멜팅장치와, 상기 제1밀착바와 상기 제2밀착바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핫멜팅장치는 상기 배변봉투의 밀봉 부위를 핫멜팅하기 위한 가열코일, 상기 가열코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열코일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장치는 모터, 기어 어셈블리 및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는 치합 연결되고, 상기 제1밀착바와 상기 제2밀착바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와 레볼루트 조인트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배변 장소로부터 자동으로 확실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배변 장소가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반려동물 주인이 반려동물 배설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둘째, 처리된 배설물을 배변봉투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밀봉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세째, 모든 구성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관리되므로 반려동물의 관리에 사람의 손이 닿지 않아도,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주인이 단기간 집을 비운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청결한 배변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제거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배출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배출수단에서 카트리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밀봉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핫멜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제어 원리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제거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배출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배출수단에서 카트리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밀봉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핫멜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제어 원리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는, 크게 반려동물이 배변활동을 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내에 설치되어 배설물을 받아내는 배변실(120)과, 배설물을 제거하는 배변제거수단(200)과, 배설물이 배출되는 배설물수거실(130)에 설치되어 배변봉투(B)를 밀봉시켜서 배출하는 밀봉배출수단(300)과, 상기 배변제거수단(200)과 밀봉배출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0)은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이나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는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가로칸막이(102)이 설치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고, 이와 같이 가로칸막이(102)의 일단에 수직하게 제1세로칸막이(103)가 설치되어 하우징(100)의 하부 공간을 좌, 우로 분리 구획하게 되며, 하우징(100)의 상부측에는 제2세로칸막이(104)가 설치되어 배설물수거실(130)과 배변실(120)을 구획하게 된다.
제2세로칸막이(104)는 제1세로칸막이(103)보다는 하우징(100) 내측으로 보다 후퇴 설치되며, 밀봉배출수단(300)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가로칸막이(102)로 구획된 하부측에는 미사용한 고형물(S)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110)이 포함될 수 있다.
고형물보관함(110)은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배변실(120)의 배변플레이트(122) 위에 공급되는 고형물(S)을 보관하는 장소로서, 하우징(100)의 내부 바닥면에 거치되어 있다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형물보관함(110)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의 틀 형상으로 내부에 교체를 위한 고형물(S)이 담겨지게 된다.
한편, 가로칸막이(102)와 제2세로칸막이(104)로 구획된 하우징(100)의 내부 상측으로는 하기에서 설명할 배변실(120)과 배변실(120)과 외부와 연통되는 입출구부(101) 그리고 배변제거수단(200), UV살균기(124), 카메라모듈(126)이 설치될 수 있다.
배변실(120)은 실질적으로 반려동물이 배변 활동을 하는 장소로, 배변실(120)에는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배설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모래의 고형물(S)이 깔리는 배변플레이트(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배변플레이트(122)는 측면으로 높이는 가지는 틀 형상으로 바닥면에는 고형물(S)이 적재됨으로써, 올라온 반려동물이 고형물(S) 위에 배변할 수 있다.
덧붙여 틀 형상의 배변플레이트(122)는 제2세로칸막이(104)측을 향해서는 개방되어 배설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틀 형상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고형물보관함(110)과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측에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배변실(12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으로는 반려동물이 들어왔다가 나갈 수 있도록 개구된 통로의 입출구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입출구부(10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충분히 다닐 수 있는 크기이면 가능하고, 하우징(100)의 전체 크기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변실(120)을 살균시키기 위한 UV살균기(124)가 포함될 수 있다.
UV살균기(124)는 하우징(100)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으며, 배터리모듈(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도 있다.
UV살균기(124)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조사되는 자외선은 살균과 탈취 작용을 하게 된다. 자외선은 햇볕의 1,600배 정도의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세균을 20초 이내에 99.9% 살균하는 효과를 갖 는다. 더 나아가 UV살균기(124)는 보호부재를 통해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UV살균기(124)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고형물(S)의 잔량 배설물의 유무 및 적재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126)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26)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어유닛(400)과 연동되어 배변플레이트(122)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26)은 다방향 카메라 모듈 및/또는 전방향 카메라 모듈(예; 어안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방향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영상 인식 장치(예;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등), 복수의 렌즈, 복수의 카메라 제어 장치, 복수의 조명장치 등을 포함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향 카메라 모듈은 어안(fisheye)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26)은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26)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26)은 획득한 영상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배변제거수단(200)은 배변플레이트(122)의 배설물을 갈퀴의 승하강 이동 및 왕복 운동을 통해 배출을 돕도록 구동되는 것이다.
배변제거수단(200)은 가이드바(210)와, 가이드바(210)를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거갈퀴(220), 그리고 가이드바(210)를 수평 이동시키는 스크류로드(230)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제1, 2 액추에이터(240)(25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21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가로바(211)의 양단에 일정 길이의 세로바(212)가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주하는 세로바(212)의 내측면으로는 가이드홈(213)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13)을 따라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제거갈퀴(220)가 설치된다.
제거갈퀴(220)는 상단의 제1지지바(222)를 따라 다수의 갈퀴살(224)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며, 갈퀴살(224)에는 중단쯤에 일면에 접하도록 제2지지바(226)가 설치되어 고형물(S)을 따라 왕복 운동시 휨 발생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바(210)의 중앙 상면에는 제1액추에이터(240)가 설치되고, 제1액추에이터(240)의 로드가 제거갈퀴(220)의 제1지지바(222)에 연결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거갈퀴(220)의 승하강 이동은 배변플레이트(122)에 적재된 고형물(S)의 높이에 따라 제거갈퀴(22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고형물(S)에 파묻혀 있는 배설물을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40)는 에어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210)의 양단측 즉, 세로바(212)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로드(230)가 수평하게 관통 설치되며, 각 스크류로드(230)의 일단에는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는 제2액추에이터(250)가 설치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에 지지되는 베어링(251)에 의해 공회전되는 것이다.
제2액추에이터(250)는 정, 역회전 가능한 서보모터, DC모터, 스텝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로드(230)가 관통되는 가이드바(210)의 관통공에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로드(230)를 따라 왕복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세로칸막이(104)에 구획되어 일정 공간이 마련되고, 배변플레이트(122)와는 연통되어 배설물이 배출되어 수거되는 배설물수거실(130)에는 배설물을 배변봉투(B)에 수납시키고, 밀봉시켜서 배출하는 밀봉배출수단(300)이 설치될 수 있다.
밀봉배출수단(30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측에 배변봉투(B)가 포함되어 있는 카트리지(310)와 카트리지(3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밀봉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10)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310)는 카트리지본체(314)와 커버(31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본체(314)에는 중앙에 제1개방홀(314a)이 형성되고, 커버(312)에도 제2개방홀(312a)이 형성되어 제1개방홀(314a)과 제2개방홀(312a)은 대응 설치되어 배설물이 제1개방홀(314a)과 제2개방홀(312a)을 통과하여 배변봉투(B)내에 진입하며, 여기서 제1개방홀(314a)과 제2개방홀(312a)의 크기,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 바, 원형일 수 있고 사각형 또는 기타 형상일 수도 있다.
커버(312)는 제2개방홀(312a)의 외측으로 제1개방홀(314a)을 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블로워(313)가 설치되어 배변봉투(B)를 일정 크기로 확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카트리지본체(314)에는 제1개방홀(314a)을 둘러싼 외측에 환형 삽입홈(314b)이 설치되고, 삽입홈(314b)은 배변봉투(B)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삽입홈(314b)의 크기는 배변봉투(B)의 저장량과 관계되고, 사용 장소 및 사용 빈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삽입홈(314b)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 시, 환형의 배변봉투(B)가 삽입홈(314b)의 내부에 넣어지며 배변봉투(B)의 일단 개구를 배변봉투(B) 출구로부터 인출하여 밀봉한다. 이로써 배변봉투(B)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커버(312)의 에어블로워(313)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확장되어 밀봉부(320)측에 자동으로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카트리지(310)의 구조는 배변봉투(B)의 이동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변봉투(B)가 일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고 배변봉투(B)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기에 배변봉투(B)가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배변봉투(B)를 자동으로 장착하게 된다.
덧붙여, 배변봉투(B)를 씌울 경우, 배변봉투(B) 장착이 편리하도록 커버(312)를 완전히 해체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고정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변봉투(B)는 카트리지본체(314)와 매칭되고 카트리지본체(314)의 삽입홈(314b) 내에 씌워질 수 있으며, 여기서 배변봉투(B)는 실린더형 구조이고 여기서 실린더형구조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그 양단 모두 개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은 개구를 구비하고 타단은 폐쇄된 형식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변봉투(B)는 그 축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왕복 폴딩되어 접힐 수 있고, 상기 환형의 크기는 환형 삽입홈(314b)의 내부에 씌워지기 편리하도록 삽입홈(314b)의 크기와 일치하다.
배변봉투(B)는 중지점(breakpoint)이 없는 일체형이기에, 배변봉투(B)의 길이는 제한하지 않으며 사용 시 상응한 길이를 절취하여 접고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배변봉투(B)는 삽입홈(314b)에 배변봉투(B) 출구의 측벽을 둘러싸는 테두리에 턴업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턴업 구조가 삽입홈(314b)의 바깥 방향으로 턴업된다. 이로써 배변봉투(B)가 카트리지본체(314)에서 인출 시 턴업 구조는 배변봉투(B )의 가이드 작용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밀봉부(320)는 배변봉투(B)의 묶음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310)와 동일 입구 크기로 하여 하부측으로 설치되는 케이스(321)를 구비하며, 카트리지(310)의 내벽 상부측에 위치하는 가로변(32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고, 배변봉투(B)의 입구를 가로변(322)과 직교하는 세로변(323)으로 모을 수 있는 제1밀착바(326)와, 세로변(323)으로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고, 배변봉투(B)의 입구를 가로변(322)으로 모으는 제2밀착바(327)와, 제1밀착바(326)와 제2밀착바(327)는 배변봉투(B)를 가로변(322)과 세로변(323)의 교차 위치로 모을 수 있고, 교차 위치에 접근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배변봉투(B)를 핫멜팅 및 밀봉하기 위한 핫멜팅 장치(340)와, 제1밀착바(326)와 제2밀착바(327)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330)를 포함되는 것이다.
가로변(322)과 세로변(323)의 교차 위치를 호형 모따기면(324)으로 설치하고 아울러 탄성을 구비하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기판(328)이 더 설치되고, 기판(328)은 핫멜팅 장치(340)에 대응되는 제1밀착바(326)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제1밀착바(326)와 제2밀착바(327)는 배변봉투(B) 개구를 기판(328)과 핫멜팅 장치(340) 사이에 모을 수 있고, 배변봉투(B)가 모아지는 것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는 동시에 더 긴밀하게 모아질 수 있도록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기판(328)은 탄성을 구비하는 연질 재료 표면에 테프론(Teflon) 테이프를 부착하여 결합해 이루어지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2밀착바(327)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먼저, 제1밀착바(326)에 의해 가이드 구조의 가이드 작용 하에서 배변봉투(B) 개구를 횡방향으로 모으고, 다음 제2밀착바(327)에 의해 가이드 구조의 가이드 작용 하에서 배변봉투(B) 개구를 종방향으로 모은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배변봉투(B)를 자동으로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밀착바(326)와 제2밀착바(327)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는 모터, 기어 어셈블리 및 동기화 벨트 어셈블리(332)(334)를 포함하고, 모터와 기어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모터는 기어 어셈블리(332)를 회전시키고, 기어 어셈블리(332)와 동기화 벨트어셈블리(334)는 치합 연결되며, 제1밀착바(326)와 제2밀착바(327)는 동기화 벨트 어셈블리(334)에 고정된다.
이로써 동기화 벨트 어셈블리(334)는 제1밀착바(326)와 제2밀착바(327)를 이동시킬 수 있고, 동기화 벨트 어셈블리(334)는 제1밀착바(326)를 움직이는 동기화 벨트와 제2밀착바(327)를 움직이는 동기화 벨트를 포함한다. 편의와 공간 절약을 위해, 모터와 기어박스 어셈블리(332)는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로 제조될 수 있고,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는 제1밀착바(326)를 구동하는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332)와 제2밀착바(327)를 구동하는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우선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332)에 의해 동기화 벨트를 구동시켜 제1밀착바(326)를 작동시키고, 제1밀착바(326)는 동기화 벨트에 고정되며, 제1밀착바(326)는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며, 배변봉투(B)를 횡방향으로 모은다. 다음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에 의해 동기화 벨트를 구동시켜 제2밀착바(327)를 작동시키고, 제2밀착바(327)는 동기화 벨트에 고정되며,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며, 배변봉투(B)의 개구를 종방향으로 모은다.
배변봉투(B)가 강제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밀착바(326)와 제2 밀착바(327)가 모아질 경우 기판(328)에서 완충 동작을 추가할 수 있다. 일련의 이런 동작을 완료하면 1번의 자동 묶음 기능을 완료한다. 한편, 핫멜팅 장치(340)는 베이스(341), 세라믹 플레이트(342) 및 가열코일(343)을 포함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41)는 케이스(321)와 고정 연결되고, 세라믹 플레이트(342)를 위해 설치 위치를 제공하며, 가열코일(343)은 배변봉투(B) 개구를 핫멜팅 및 열접착하고, 가열코일(343)은 핫멜팅 회로에 연결되며 핫멜팅 회로의 작용 하에 가열코일(343)의 온도가 쓰레기 봉투의 녹는 점 온도에 도달하면 배변봉투(B)를 핫멜팅, 밀봉한다. 또한 세라믹 플레이트(342)는 베이스(341)와 가열코일(343)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세라믹 플레이트(342)의 플레이트면은 가열코일(343)을 지지하여 가열코일(343)이 세라믹 플레이트(342)의 플레이트면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세라믹 플레이트(342)는 내고온, 내부식, 긴 수명 및 우수한 표면 광택도 특성을 구비한다.
세라믹 플레이트(342)의 플레이트면은 먼지 또는 때가 그 위에 잘 부착되지 않고 용매를 통해 세척이 용이하고 재료 특성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도록 비교적 부드러운 세라믹 면, 즉 긴밀한 무삼투 표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라믹 플레이트(342)는 우수한 절연 및 단열 특성을 구비하고, 가열코일(343)의 온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세라믹 플레이트(342)는 베이스(341)가 고온으로 변형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기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코일(343)의 양단에는 모두 만곡부가 설치되고, 세라믹 플레이트(342)의 플레이트면에는 통공이 설치되며, 만곡부가 통공을 관통하여 베이스(341)에 고정 연결되도록 통공과 만곡부의 위치는 대응된다. 즉, 가열코일(343)은 핫멜팅부 및 만곡부를 구비하고 만곡부는 핫멜팅 회로에 연결되고 핫멜팅부는 배변봉투(B)와 접촉되고 핫멜팅 및 절단한다. 이로써 가열코일(343)의 만곡부는 통공을 관통하여 베이스(341)에 고정되어 가열코일(343)의 연결이 안정적이게 하고, 가열코일(343)의 핫멜팅부는 모두 세라믹 플레이트(342)의 플레이트면에 위치하여 배변봉투(B)의 접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코일(343)의 만곡부는 케이블 클램프(344)를 통해 베이스(341)에 고정되고, 케이블 클램프(344)는 선로가 지나가는 개구 및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며, 사용 시 우선 만곡부를 개구 내에 삽입하고 조절부를 통해 개구를 축소하며 나아가 케이블 클램프(344) 및 만곡부를 함께 베이스(341)에 고정한다. 이로써 케이블 클램프(344)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조립 인력 및 생산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341)에 케이블 클램프(344)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케이블 클램프(344)가 오목부 내에 삽입될 경우 케이블 클램프(344)의 내경이 축소되어 만곡부가 케이블 클램프(344)의 내부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케이블 클램프(344)와 오목부 구조는 가열코일(343) 고정 시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구조의 매끄럼성을 향상시키며 버(burr)를 감소하여 배변봉투(B)가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핫멜팅 장치(340)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센서는 가열코일(343)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유닛(4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센서는 온도 센서이고, 제어유닛(400)은 핫멜팅 회로를 구비하고 가열코일(343)과 라인 번들(345)을 통해 연결되며 핫멜팅 과정에서 제어유닛(400)은 센서가 감지한 가열코일(343)의 감지값에 따라 가열코일(343)의 온도를 제어하며 나아가 가열코일(343)의 온도가 항상 배변봉투(B)를 핫멜팅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덧붙여, 밀봉배출수단(300)의 하부에 해당하는 배설물수거실(130)의 내부에는 경사면(132)이 형성되어 배변봉투(B)가 하우징(100)에 형성된 배출도어(105)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어유닛(400)은 MCU(Microcontroller Unit, 마이크로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 제어부(810), 제2액추에이터 제어부(820), 구동장치 제어부(830), 온도제어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 제어부(810)는 제1액추에이터(240)의 작동으로 제거갈퀴(220)가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3)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게 되도록 제어하고, 제2액추에이터 제어부(820)는 제2액추에이터(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장치 제어부(830)는 밀봉배출수단(300)에서 배변봉투를 일측 모서리부근으로 밀착시키도록 구동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840)는 핫멜팅 장치(340)에서의 가열코일(343)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제어부(840)는 상기 핫멜팅 장치(340) 및/또는 가열코일(343)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카메라모듈(126)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출입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제2액추에이터(250)를 전/후진 왕복 구동시키되, 그 전에 카메라모듈(126)과 연동되어 고형물(모래)의 적재 높이를 판단하여 제1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상기 판단된 적재 높이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2액추에이터(250)를 제어하여 제거갈퀴를 2~3회 반복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제거갈퀴로 배설물이 배설물수거실로 유입되면 상기 밀봉배출수단에서의 구동장치(330)와 핫멜팅 장치(3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덧붙여, 도 9에는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우징이 구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 내부의 배변실이 90°각도로 회전하면서 별도로 설치된 고형물보관함에서 고형물이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내부에 배변이 놓여지도록 고형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하면서 배변을 배변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공간의 일측에 절곡되어 마련된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의 일측에 마련되어 분리된 배변을 분리망으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배출도어를 구비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분리망이 챔버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배출도어에서 배변이 자중에 의하여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챔버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배출도어가 폐쇄되어 분리망에 배변이 지지되는 폐쇄위치에서 배변이 분리망 내지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하우징에 지지되어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에 배치되어 챔버를 지지하고, 회전을 위한 구동부 등을 지지하며, 배출되는 배변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 포장백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무, 합성수지를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대하여 챔버가 회전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하우징에 대하여 챔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롤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는 챔버의 후방 판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것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롤러의 수량은 챔버의 크기, 무게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도시되었지만 배출위치에서 배변을 배출하고 일정한 위치에서 챔버의 회전 이 정지하여 대기하는 위치인 스탠바이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등을 결정하는 다양한 공지의 빔센서, 자석센서, 리미트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제어부를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는 하우징의 하측 공간에 위치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서도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구형의 하우징 내부의 배변실이 360°각도로 회전하면서 별도로 설치된 고형물보관함에서 고형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배설물이 섞인 고형물은 밀봉배출수단측으로 유입되어 밀봉되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본체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포함된 대상물의 실질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수용되도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좌, 우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본체의 내부에 여과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에는 대상물이 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으로 경사진 상방을 향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출구는 여과부에 의해 여과된 배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부연하면, 배출구는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평면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여과부가 회전되면서 여과부와 배출구가 연통된 상태가 되면 여과된 배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과부는 상기 대상물에서 배설물(F)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대상물에 포함된 배설물이 여과되되, 여과된 배설물이 상기 본체의 하면부에서 측면부측으로 이동되며, 이동된 배설물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배설물 수거부는 본체의 전면부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수거함을 포함하는데, 수거함은 배출구의 전방측 하부에 구비된 상태로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거하여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체의 측면부 하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고형물분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형물분리부는 후면부측에서 전면부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부측에 인접한 위치의 면상에는 여과된 고형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고형물배출구가 구비된다. 이때, 고형물분리부는 전면부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의 작용은, 다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려동물이 하우징(100)의 입출구부(101)를 통해 배변실(120)로 들어오면, 반려동물이 고형물(S)이 적재된 배변플레이트(122) 상에 위치되며, 이와 같이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126)을 통해 제어유닛(400)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된다.
반려동물의 배변활동이 완료되어 다시 입출구부(10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면, 제어유닛(400)에서는 배변제거수단(200)을 작동시키게 되며, 여기서 배변플레이트(122)에 적재된 고형물(S)의 적재 높이를 카메라모듈(126)을 통해 제어유닛(400)에서 설정값을 판단하여 제거갈퀴(22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제1액추에이터(240)의 작동으로 제거갈퀴(220)가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3)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게 되며, 이는 반려동물 특히, 고양이과의 특성상 배설물을 고형물(S)에 묻는 경향이 있어서 고형물(S)의 적재 높이에 따라 갈퀴살(224)이 고형물(S)에 충분히 박혀서 배설물을 긁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반려동물의 배변 시 가이드바(210)와 제거갈퀴(220)가 제2세로칸막이(104)측으로 이동되어 있다가 제1액추에이터(240)에 의하여 제거갈퀴(220)가 가이드홈(213)의 상단까지 승강한 상태에서 제2액추에이터(250)의 역회전 작동으로 가이드바(210)가 후퇴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바(210)가 제2액추에이터(250)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400)에 의하여 제거갈퀴(220)가 설정위치까지 하강을 하게 되며, 제거갈퀴(220)의 하강 위치에서 제2액추에이터(250)의 정회전으로 제거갈퀴(220)를 포함하는 가이드바(210)가 전진 이동함과 동시에 고형물(S)에 묻혀있는 고형물(S)도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제거갈퀴(220)의 전진 이동은 제2세로칸막이(104)에 근접하도록 이어지며, 배변플레이트(122)의 개구된 일측으로 고형물(S)이 낙하하여 카트리지(310)의 제2개방홀(312a)과 제1개방홀(314a)을 통해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거갈퀴(220)의 1회 이동으로 고형물(S)속의 배설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기에 상기와 같이 가이드바(210)가 상기 제1액추에이터(240)와 제2액추에이터(250)의 작동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배변실(120)에 설치된 UV살균기(124)를 통해 반려동물이 없는 시기에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하여 조사되어 고형물(S)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카트리지(310)에서는 커버(312)의 삽입홈(314b)에 왕복으로 접혀서 위치된 배변봉투(B)가 에어블로워(313)에 의하여 입구가 확장되고 펼쳐져서 밀봉부(320)에 위치된다.
펼쳐진 배변봉투(B)를 밀봉부(320)에서 밀봉 및 컷팅 되어 배출 후, 단부가 밀봉된 상태에서 다시 에어블로워(313)가 작동하여 다시 자동으로 입구가 확장되고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입구가 확장된 배변봉투(B)에 배설물이 커버(312)의 제2개방홀(312a)과 제2개방홀(312a)과 연통된 카트리지본체(314)의 제1개방홀(314a)을 통해 낙하되면,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332)에 의해 동기화 벨트를 구동시켜 제1밀착바(326)를 작동시키고, 제1밀착바(326)는 동기화 벨트에 고정되며, 제1밀착바(326)는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며, 배변봉투(B)를 횡방향으로 모은다. 다음 모터 기어박스 어셈블리에 의해 동기화 벨트(334)를 구동시켜 제2밀착바(327)를 작동시키고, 제2밀착바(327)는 동기화 벨트에 고정되며,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며, 배변봉투(B)의 개구를 종방향으로 모은다.
모따기면(324)으로 모여진 배변봉투(B)는 핫멜팅 장치(340)를 통해 밀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컷팅된다.
컷팅된 배변봉투(B)는 경사면(132)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도어(105)의 개방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로 인해,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배변 장소로부터 자동으로 확실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배변 장소가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반려동물 주인이 반려동물 배설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처리된 배설물을 배변봉투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밀봉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모든 구성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관리되므로 반려동물의 관리에 사람의 손이 닿지 않아도,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주인이 단기간 집을 비운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청결한 배변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B : 배변봉투 S : 고형물
100 : 하우징 101 : 입출구부
110 : 고형물보관함 102 : 가로칸막이
103, 104 : 제1, 2세로칸막이 120 : 배변실
130 : 배설물수거실 200 : 배변제거수단
210 : 가이드바 220 : 제거갈퀴
230 : 스크류로드 240 : 제1액추에이터
250 : 제2액추에이터 300 : 밀봉배출수단
310 : 카트리지 314 : 카트리지본체
312 : 커버 313 : 에어블로워
320 : 밀봉부 321 : 케이스
322 : 가로변 323 : 세로변
324 : 모따기면 326 : 제1밀착바
327 : 제2밀착바 330 : 구동장치
340 : 핫멜팅 장치 400 : 제어유닛

Claims (1)

  1. 내부에 일정 공간이 마련되며, 일면에 반려동물이 들어왔다가 나갈 수 있도록 개구된 입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배설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고형물이 깔리는 배변플레이트가 마련된 배변실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실의 배설물을 제거갈퀴의 승하강 및 왕복 운동을 통해 배출을 돕도록 구동되는 배변제거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배변실로부터 일측으로 연통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이 배출되어 수거되는 배설물수거실과,
    상기 배설물수거실에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을 배변봉투에 수납시키고, 밀봉시켜서 배출하는 밀봉배출수단과,
    상기 밀봉배출수단과 상기 배변제거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는 미사용 상기 고형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 포함되고,
    상기 배변제거수단은,
    다수의 갈퀴살이 배열된 상기 제거갈퀴를 상부측에서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로부터 상기 제거갈퀴를 상기 고형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가이드바의 양단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수평 이동을 돕는 한 쌍의 스크류로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각 스크류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배출수단은,
    상기 배설물수거실에 지지 설치되며, 상기 배설물이 통과하는 제 1,2개방홀과, 상기 제1개방홀의 외측으로 배변봉투를 저장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단 내측면에 상기 개방홀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변봉투를 일정 크기로 확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블로워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방홀과 연통되어 상기 확장된 배변봉투의 입구를 코너로 유도하여 밀봉시키는 밀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1020200081711A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10231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11A KR102311167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54A KR102133031B1 (ko) 2020-02-11 2020-02-11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KR1020200081711A KR102311167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54A Division KR102133031B1 (ko) 2020-02-11 2020-02-11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821A true KR20210102821A (ko) 2021-08-20
KR102311167B1 KR102311167B1 (ko) 2021-10-14

Family

ID=7160413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54A KR102133031B1 (ko) 2020-02-11 2020-02-11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KR1020200081714A KR102311170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 배변자동처리시스템
KR1020200081716A KR102311177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KR1020200081711A KR102311167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1020200081712A KR102311168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화장실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54A KR102133031B1 (ko) 2020-02-11 2020-02-11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KR1020200081714A KR102311170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 배변자동처리시스템
KR1020200081716A KR102311177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712A KR102311168B1 (ko) 2020-02-11 2020-07-02 반려동물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133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3241A (zh) * 2020-08-20 2021-01-29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用于宠物厕所的宠物排泄物打包装置
KR102585328B1 (ko) * 2020-12-24 2023-10-06 (주)세고스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2636822B1 (ko) * 2021-03-08 2024-02-14 김전일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CN114208686B (zh) * 2021-11-15 2023-04-07 深圳海翼智新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收集动物排泄物的装置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93692B1 (ko) 2022-05-16 2023-01-30 윤지선 반려동물 배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717B1 (ko) * 2013-04-05 2013-11-11 박성식 고양이 화장실
KR101526247B1 (ko) * 2014-01-21 2015-06-09 이민성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624467B1 (ko)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796113B1 (ko) 2016-11-04 2017-11-09 주식회사 제이그레이스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20180010459A (ko) * 2016-07-21 2018-01-31 노태구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190142190A (ko) * 2018-06-16 2019-12-26 상하이 타운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717B1 (ko) * 2013-04-05 2013-11-11 박성식 고양이 화장실
KR101526247B1 (ko) * 2014-01-21 2015-06-09 이민성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624467B1 (ko)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180010459A (ko) * 2016-07-21 2018-01-31 노태구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796113B1 (ko) 2016-11-04 2017-11-09 주식회사 제이그레이스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20190142190A (ko) * 2018-06-16 2019-12-26 상하이 타운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177B1 (ko) 2021-10-14
KR102133031B1 (ko) 2020-07-10
KR102311167B1 (ko) 2021-10-14
KR102311168B1 (ko) 2021-10-14
KR20210102823A (ko) 2021-08-20
KR20210102822A (ko) 2021-08-20
KR20210102824A (ko) 2021-08-20
KR102311170B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167B1 (ko)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101661675B1 (ko)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972224B1 (ko) 반려견 배변장치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849043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CN110946081A (zh) 一种自动监控动物粪便的饲养笼
KR10230377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20190073048A (ko) 반려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401045B1 (ko)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CA3025002A1 (en) Pet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apparatus
JP2607917B2 (ja) 飼育動物用汚物箱
CN111436376A (zh) 一种可用条状猫砂的智能猫厕所
KR101855966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CN113287531B (zh) 一种宠物卫生系统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KR102307252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140137115A (ko)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CN116019018A (zh) 一种用于自清洁猫砂盆的管理系统
KR100583375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CN214155790U (zh) 一种宠物饲养装置
KR20060026382A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