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459A - 애완동물 배변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459A
KR20180010459A KR1020160092583A KR20160092583A KR20180010459A KR 20180010459 A KR20180010459 A KR 20180010459A KR 1020160092583 A KR1020160092583 A KR 1020160092583A KR 20160092583 A KR20160092583 A KR 20160092583A KR 20180010459 A KR20180010459 A KR 20180010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solids
rake
housing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674B1 (ko
Inventor
노태구
Original Assignee
노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구 filed Critical 노태구
Priority to KR102016009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배변실과 입구 및 배설물 수거실이 구비된 하우징과, 고형물이 깔리는 바닥면을 갖는 배변 베드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갈퀴 살로 배설물을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배변 베드 상측에 설치되는 배설물 제거 갈퀴과, 배설물 제거 갈퀴를 구동시키는 갈퀴 구동기와, 고형물 저장실 및 고형물 공급구를 갖는 고형물 저장부와,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개폐하기 위해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형물 공급구 도어와, 갈퀴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애완동물 배변을 위한 배변 장소로부터 자동으로 제거해 줌으로써, 배변 장소가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애완동물 주인이 애완동물 배설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장치{EXCRETION CLEANER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의 습성에 따른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예컨대, 고양이는 야행성 동물이므로 애완동물 주인은 고양이가 주로 낮보다는 밤에 생활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또한 애완동물과의 유대관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숙지하여야만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물론이고, 애완동물 또한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원활하게 실내에서 함께 생활할 수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키울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배설물의 처리이다. 애완동물은 훈련이나 본능에 의해 비교적 정해진 장소에서 배변을 하게 하는 경우가 많지만, 분비된 배설물을 사람이 즉시 치워줄 필요가 있다. 고양이의 경우, 사용하는 배변 장소가 불결하거나 원활한 배변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 주인은 고양이의 배변 장소를 잘 관리해 주어야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애완동물에게 배변 장소를 제공하여 배설물을 배변 장소에서 깨끗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일예로, 고양이 화장실이 판매되고 있다. 고양이 화장실은 실내에서 길러지는 고양이가 배변할 수 있게 만든 플라스틱 상자로, 그 내측에는 모래 등의 고형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고양이 화장실은 고형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배설물의 냄새가 주위로 확산되기 쉽고, 고형물이 주위로 날려 실내 환경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8532호(2014.12.04)에는 고형물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구조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설치된 원통하우징의 내부에 고형물이 담겨 고양이가 원통하우징 속에서 배변하도록 되어 있다. 배설물이 쌓이면 고양이 주인이 손잡이를 잡고 원통하우징을 회전시켜 원통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거름망부재로 배설물을 고형물에서 걸러낸 후, 배설물 받이를 통해 배설물 수거통으로 수거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애완동물이 배변하는 시점을 확인하거나, 일정 시간마다 애완동물 주인이 원통하우징을 돌려 배설물을 수거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이 번거롭고, 애완동물 주인이 집을 비우는 등의 이유로 장시간 동안 원통하우징을 돌려주지 않으면 배설물이 고형물 위에 그대로 쌓이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8532호 (2014. 12. 0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애완동물 배변을 위한 배변 장소로부터 자동으로 제거해 줌으로써, 배변 장소가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애완동물 주인이 애완동물 배설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내측에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실이 마련되고, 외면 일측에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실로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변실의 하측에 배설물 수거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변실에 설치되고, 고형물이 깔리는 바닥면을 갖는 배변 베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갈퀴 살로 상기 배변 베드 위의 배설물을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배변 베드 상측에 설치되는 배설물 제거 갈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와 결합되는 갈퀴 구동기; 고형물을 저장하는 고형물 저장실 및 상기 고형물 저장실에 저장된 고형물을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 쪽으로 개방된 고형물 공급구를 갖는 고형물 저장부;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형물 공급구 도어; 및 상기 갈퀴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배변 베드 위에 깔리는 고형물의 무게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무게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배변 베드 위의 고형물 무게에 따라 상기 고형물 저장부에서 상기 배변 베드에 공급되는 고형물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무게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애완동물이 상기 하우징에서 나갈 수 있도록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출구와, 애완동물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배변실과 상기 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배변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애완동물로부터 떨어지는 고형물을 상기 배변실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배변실과 상기 통로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형물 제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입구 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출구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 도어는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복수의 갈퀴 살이 원래의 대기 위치를 벗어나 움직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갈퀴 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의 열림 동작이 제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는 상기 복수의 갈퀴 살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갈퀴 구동기는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가 상기 지지바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은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의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갈퀴 살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미닫이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에는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에 대해 상기 고형물 공급구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의 차폐부와,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갈퀴 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지는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배설물 수거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는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내측에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실이 마련되고, 외면 일측에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실로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변실의 하측에 배설물 수거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변실에 설치되고, 고형물이 깔리는 바닥면을 갖는 배변 베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갈퀴 살로 상기 배변 베드 위의 배설물을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배변 베드 상측에 설치되는 배설물 제거 갈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와 결합되는 갈퀴 구동기;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상기 배변 베드에서 제거되는 배설물을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변실과 배설물 수거실을 연결하는 배설물 배출구를 갖는 배설물 배출부; 상기 배설물 배출부의 배설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설물 배출구 도어; 및 상기 갈퀴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복수의 갈퀴 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배설물 배출구 도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설물 배출구 도어를 향해 돌출된 가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측에 애완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배변 베드가 구비되므로, 애완동물의 배변에 따른 배설물의 냄새가 주위로 확산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고, 배변 베드에 깔리는 모래 등의 고형물에 의해 주위가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변 베드 위에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배설물 제거 갈퀴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해줌으로써, 애완동물에게 쾌적한 배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애완동물 주인이 편리하게 애완동물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배변 베드에서 애완동물 배설물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배변 베드 위에 고형물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집을 비우더라도 애완동물에게 위생적인 배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배설물 제거 갈퀴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도어가 하우징의 안쪽으로 열릴 수 없어 애완동물이 하우징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애완동물이 상처를 입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배변 베드 상의 고형물 무게를 감지하고 배변 베드에 고형물 공급이 필요할 때, 배설물 제거 갈퀴로 고형물 공급구 도어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개방함으로써, 배변 베드 상에 고형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변 베드가 적정량의 고형물로 덮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배변실과 배설물 수거실을 연결하는 배설물 배출구를 배설물 배출구 도어로 개폐시키고, 배변 베드에서 배설물을 배설물 수거실로 배출할 때만 배설물 제거 갈퀴로 배설물 배출구 도어를 움직여 배설물 배출구를 개방함으로써, 배설물 수거실로 수거된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배변실로 쉽게 유입되지 않아 배변실을 위생적인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입구로 들어온 애완동물이 통로를 거쳐 출구를 통해 하우징을 빠져나가게 하고, 통로에서 애완동물로부터 떨어지는 고형물을 고형물 제거판의 통공들을 통해 배변실의 배변 베드로 떨어지게 하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형물이 배변 베드에서 빠져나가는 고형물의 유실량을 줄일 수 있고, 하우징 주변이 고형물로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를 카운팅하고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배설물 제거 갈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배설물 배출구 도어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고형물 투입구 도어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의 배설물 제거 갈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하우징(110)과, 배변 베드(145)와, 고형물 저장부(150)와, 배설물 제거 갈퀴(166)와, 제어유닛(175)과, 무게 감지센서(177)와, 감지유닛(18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배변한 배설물(E)을 애완동물 주인이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하우징(110)은 애완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배변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실(111)이 마련된다. 배변실(111)에 애완동물이 머무를 수 있는 배변 베드(145)가 설치된다. 하우징(110) 내측의 배변실(111) 하측에는 배설물 수거실(112)이 마련되고, 배변실(111)의 상측에는 통로(113)가 구비된다. 배설물 수거실(112)은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해 배변 베드(145)에서 제거되는 배설물(E)이 수거되는 공간이다. 통로(113)는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서 나갈 수 있도록 배변실(111)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간이다. 배변실(111)에서 애완동물 몸에 묻은 고형물(S)은 애완동물이 통로(113)를 통과할 때 애완동물 몸에서 떨어지게 되며, 이에 의해 애완동물 몸에 묻어 하우징(110) 외부로 빠져나가는 고형물(S)의 유실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배설물(E)의 냄새가 가능한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상하전후좌우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배변실(111)과 연결되는 입구(114)와, 배설물 수거실(112)과 연결되는 개구(116)가 마련된다. 입구(114)를 통해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을 출입할 수 있다. 입구(114)의 일측에는 지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115)가 마련된다.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통로(113)와 연결되는 출구(117)가 마련된다. 배변실(111)로 들어간 애완동물은 통로(113)를 거쳐 출구(117)를 통해 하우징(110) 밖으로 나갈 수 있다.
하우징(110)의 입구(114)에는 여닫이 구조의 입구 도어(120)가 설치된다.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입구(114) 측에 마련된 경사부(115)에 대응하는 경사부(121)를 갖는다.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힌지 기구(122)에 지지되어 하우징(110)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힌지 기구(122)는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며, 입구 도어(120)는 힌지 기구(122)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입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입구 도어(120)가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애완동물이 입구 도어(120)를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밀고 배변실(111)로 들어갈 수 있다.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123)에 걸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의 열림이 제한된다. 따라서 배변실(111)로 들어간 애완동물은 입구 도어(120)를 통해서는 하우징(110) 바깥쪽으로 나올 수 없다.
하우징(110)의 경사부(115)에 대응하는 경사부(121)를 갖는 입구 도어(120)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설계된 구조이다. 즉, 입구 도어(120)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구비되는 갈퀴 살(167)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대기 중일 때는 갈퀴 살(167)에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대기 상태일 때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열릴 수 있다. 그러나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여 갈퀴 살(167)이 대기 위치를 벗어나면, 입구 도어(120)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열리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입구 도어(120)의 열림 제한 기능은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작동 중에 애완동물이 배변실(11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배설물 제거 갈퀴(140)의 갈퀴 살(167)이 대기 위치에 놓일 때, 갈퀴 살(167)은 입구 도어(120)의 개폐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애완동물은 입구 도어(120)를 하우징(110) 안쪽으로 밀고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반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이는 동안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은 입구 도어(120)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밀릴 때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갈퀴 살(167)과 간섭된다. 따라서 입구 도어(120)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이는 동안에는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열리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입구 도어(120)의 열림 제한 기능으로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이는 동안 애완동물은 배변실(111)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출구(117)에는 여닫이 구조의 출구 도어(125)가 설치된다. 출구 도어(125)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힌지 기구(126)에 지지되어 하우징(110)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출구 도어(125)는 힌지 기구(126)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출구(117)를 개폐할 수 있다.
출구 도어(125)가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애완동물이 통로(113)에서 출구 도어(125)를 하우징(110)의 바깥쪽으로 밀고 하우징(110) 외부로 나갈 수 있다. 출구 도어(125)는 하우징(11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구 도어(125)는 하우징(110)에 구비된 스토퍼(127)에 걸려 바깥쪽에서 안쪽으로의 열림이 제한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은 출구 도어(125)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수 없다.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해 배변 베드(145)에서 제거되는 배설물(E)을 배설물 수거실(112)로 안내하는 배설물 배출부(130)가 구비된다. 배설물 배출부(130)에는 배변 베드(145)에서 제거되는 배설물(E)을 배설물 수거실(112)로 떨어트릴 수 있는 배설물 배출구(131)가 구비된다. 배설물 배출구(131)는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에 의해 개폐된다.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는 배설물 수거실(112)로 수거된 배설물(E)의 냄새가 배설물 배출구(131)를 통해 배변실(111)로 쉽게 유입되지 못하게 막아준다.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는 배설물 배출부(13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 기구(1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여닫이 구조로 설치된다.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해 움직여 배설물 배출부(130)의 배설물 배출구(131)를 개방한다. 즉,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여 그 갈퀴 살(167)이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에 접근할 때, 갈퀴 살(167)로부터 돌출된 가압 돌기(169)가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를 밀어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에서 떨어지면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는 배설물 배출구(131)를 닫은 위치로 복귀한다.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는 자중이나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설물 수거실(112)에는 배설물 수거통(135)이 개구(116)를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배설물 수거통(135)은 배변실(111)에서 배설물 수거실(112)로 떨어지는 배설물(E)을 받아낼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된다. 배설물 수거통(135)의 내측에는 배변 베드(145)에서 떨어지는 배설물(E) 및 모래 등의 고형물(S)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홈(136)이 마련되고, 배설물 수거통(135)의 상면은 개방된다. 배설물 수거통(135)의 일측에는 배설물 배출부(130)에서 떨어지는 배설물(E)을 배설물 수용홈(136)의 중간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면(137)이 마련된다. 배설물 배출부(130)에서 떨어지는 배설물(E)은 배설물 수거통(135)의 경사면(137)을 따라 배설물 수용홈(136)의 중간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배설물 수거통(135) 내에서 흩어져서 수용될 수 있다. 배설물 수거통(135)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38)가 설치된다.
하우징(110) 내측의 통로(113)에는 고형물 제거판(140)이 설치된다. 고형물 제거판(140)은 고형물(S)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공(141)을 갖는다.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서 통로(113)를 거쳐 출구(117)로 빠져나갈 때, 통로(113)에서 애완동물로부터 떨어지는 고형물(S)이 고형물 제거판(140)의 통공들(141)을 통해 배변실(111)의 배변 베드(145)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변실(111)에서 애완동물에 묻었던 고형물(S)을 애완동물이 통로(11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시 배변 베드(145)로 수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형물(S)의 유실량을 줄이고, 하우징(110) 주변이 고형물(S)로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배변 베드(145)는 배변실(111)로 들어온 애완동물이 그 위에서 배변할 수 있도록 배변실(111)에 설치된다. 배변 베드(145)는 고형물(S)이 깔리는 바닥면(146)을 갖는다.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에 고형물(S)이 덮임으로써 배변 베드(145) 위로 올라온 애완동물이 고형물(S) 위에서 배변할 수 있다.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은 원호형의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바닥면(146)의 양쪽 측부는 중앙부보다 높게 위치한다. 바닥면(146)을 그 중앙부보다 양쪽 측부를 높게 하면 바닥면(146)에 공급되는 고형물(S)을 중앙 쪽으로 모으는 효과가 있고, 바닥면(146)에서 빠져나가는 고형물(S)의 유실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바닥면(146)의 원호형으로 굽은 형상은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바닥면(146)이 이러한 형상을 취함으로써,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구동시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바닥면(146)에 간섭되지 않고 바닥면(146) 위의 고형물(S)을 원활하게 긁을 수 있다.
고형물 저장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 위에 고형물(S)을 공급한다. 고형물 저장부(150)는 일정량의 고형물(S)을 저장할 수 있는 고형물 저장실(151)을 구비한다. 고형물 저장실(151)의 하측에는 배변 베드(145)의 일측으로 개방된 고형물 공급구(152)가 구비된다. 고형물 저장실(151)에는 고형물(S)을 고형물 공급구(152)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고형물 공급구(15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고형물 가이드(153)가 설치된다. 고형물 저장실(151)에 저장된 고형물(S)은 중력에 의해 고형물 공급구(152)를 통해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 일측으로 공급되어 바닥면(146) 전체에 퍼질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동작 등에 의해 고형물(S)이 바닥면(146)에서 빠져나가더라도 고형물 저장부(150)로부터 고형물(S)이 공급되어 바닥면(146)은 고형물(S)로 덮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형물 저장부(150)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경사면(154)이 마련되고, 이 슬라이드 경사면(154)에 고형물 공급구(152)를 개폐하기 위한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가 미닫이 구조로 설치된다.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해 움직이게 되며, 슬라이드 경사면(15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형물 공급구(152)를 개폐할 수 있다.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는 고형물 공급구(152)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157)와,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과 접할 수 있도록 차폐부(157)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158)를 갖는다. 차폐부(157)는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차폐부(157)는 그 끝이 뾰족하여 열렸다가 다시 닫힐 때 고형물(S)을 쉽게 파고들어 고형물 공급구(152)를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면에는 슬라이드 경사면(154)과 이에 접하는 차폐부(157)의 일면이 모두 곡면형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슬라이드 경사면과 차폐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는 복수의 스프링(160)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스프링(160)은 고형물 저장부(15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지지부(161)에 결합되어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와 연결된다. 스프링(160)이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에 대해 고형물 공급구(152)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움직이지 않으면 고형물 공급구(152)는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가 고형물 공급구(152)를 닫은 상태에서 배변 베드(145)에는 고형물(S)이 공급될 수 없으며,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위쪽으로 가압하면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가 스프링(160)을 압축하면서 움직여 고형물 공급구(152)가 개방된다. 이때, 고형물 저장실(151)에 저장된 고형물(S)이 고형물 공급구(152)를 통해 배변 베드(145)에 공급되며,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한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의 열림 정도나 열림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배변 베드(145)에 공급되는 고형물(S)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고형물 저장부(150)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고형물 투입구(163)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고형물 투입구(163)를 통해 고형물 저장부(150)에 고형물(S)을 보충할 수 있다. 고형물 투입구(163)는 고형물 투입구 도어(164)에 의해 개폐된다. 고형물 투입구 도어(164)는 도시된 것과 같은 여닫이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설물 제거 갈퀴(166)는 복수의 갈퀴 살(167)과, 복수의 갈퀴 살(167)을 지지하는 지지바(168)를 구비한다. 지지바(168)는 배변 베드(145)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바(168)는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 중앙 위쪽에 바닥면(146)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갈퀴 살(167)은 지지바(168)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바(168)에 결합되며, 지지바(168)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설물 제거 갈퀴(166)는 지지바(168)가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 위의 고형물(S)을 배변 베드(145)의 폭 방향으로 긁게 된다.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복수의 갈퀴 살 중 하나 이상에는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를 향해 돌출된 가압 돌기(169)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가압할 수 있도록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향해 돌출된 작동 돌기(170)가 구비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가압 돌기(169)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배변 베드(145) 위의 배설물(E)을 제거하기 위해 움직일 때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에 접하여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를 열림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가 움직여 배설물 배출구(131)가 개방되며, 복수의 갈퀴 살(167)에 의해 배설물 배출부(130) 쪽으로 이동한 배설물(E)이 개방된 배설물 배출구(131)를 통해 배설물 수거실(112)로 떨어질 수 있다. 가압 돌기(169)의 형상이나, 설치 개수, 설치 위치 등은 도시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작동 돌기(170)는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고형물 공급구(15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작동 돌기(170)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밀어 올리면, 고형물 공급구(152)가 개방되어 고형물 저장실(151)에 저장된 고형물(S)이 고형물 공급구(152)를 통해 배변 베드(145)에 공급될 수 있다.
배설물 제거 갈퀴(166)는 갈퀴 구동기(172)에 의해 움직인다. 갈퀴 구동기(172)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갈퀴 구동기(172)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지지바(168)와 결합되어 지지바(168)를 바닥면(146)과 평행한 상태로 회전시킨다. 갈퀴 구동기(172)로는 지지바(168)를 일정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갈퀴 구동기(172)가 지지바(168)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을 따라 움직이면서 바닥면(146) 위의 고형물(S)을 바닥면(146)의 폭 방향으로 긁을 수 있다. 복수의 갈퀴 살(167)이 바닥면(146) 위의 고형물(S)을 긁을 때, 고형물(S)은 갈퀴 살(167) 사이로 빠져나가고 고형물(S) 위에 놓이는 배설물(E)은 복수의 갈퀴 살(167)에 의해 배변 베드(145)의 일측단으로 밀려나 배설물 배출부(130)의 배설물 배출구(131)를 통해 배설물 수거실(112)로 떨어지게 된다.
갈퀴 구동기(172)는 제어유닛(175)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유닛(175)은 애완동물이 배변 베드(145) 위에서 배변한 후,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배변 베드(145) 위의 배설물(E)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갈퀴 구동기(172)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유닛(175)은 애완동물 배변 후, 대기 위치에 있는 복수의 갈퀴 살(167)이 1회 왕복 이동하여 배변 베드(145) 위의 배설물(E)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갈퀴 구동기(17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 좌측단의 대기 위치에서 배변 베드(145)의 우측단까지 움직였다가 다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1회 왕복 동작으로 배변 베드(145) 위의 배설물(E)을 제거할 수 있다.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의 우측단에 위치할 때 가압 돌기(169)가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을 밀어 배설물 배출구(131)를 개방시킨다. 배변 베드(145)에 고형물(S)을 공급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제어유닛(175)은 가압 돌기(169)가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을 밀어 배설물 배출구(131)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갈퀴 살(167)을 이동시켰다가, 갈퀴 살(167)을 배변 베드(145) 좌측단의 대기 위치에 정지시킨다.
배변 베드(145)에 고형물(S)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유닛(175)은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갈퀴 구동기(172)를 제어한다.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작동 돌기(170)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점은 무게 감지센서(177)의 감지 신호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무게 감지센서(177)는 배변 베드(145) 위에 깔리는 고형물(S)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어유닛(175)은 무게 감지센서(177)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배변 베드(145) 상의 고형물(S) 무게가 설정된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갈퀴 구동기(172)를 제어한다. 고형물 공급구(152)가 개방되어 배변 베드(145) 상에 고형물(S)이 공급되는 동안 제어유닛(175)은 무게 감지센서(177)로부터 감지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고형물 공급구(152)를 닫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75)은 배변 베드(145) 상의 고형물(S) 무게에 따라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고형물 공급구(152)의 개방 정도나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175)이 적절한 시점에 배설물 제거 갈퀴(166)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을 출입한 시점을 제어유닛(175)이 파악해야 한다.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 들어왔다가 나갔다면 배변 베드(145) 위에 배변한 것으로 잠정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 들어왔다가 나간 후 배설물 제거 갈퀴(166)를 작동시키면 애완동물이 배변 베드(145) 위에 배변한 배설물(E)을 배설물 수거통(135)에 수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에는 감지유닛(180)이 설치된다. 감지유닛(180)은 적외선 센서(181)와 도어 감지센서(182)(183)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181)는 배변실(1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변실(111)로 들어온 애완동물을 직접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175)에 송신한다. 적외선 센서(181)의 감지 신호가 발생하였다가 끊어지면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 들어왔다가 나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어유닛(175)은 적외선 센서(181)의 감지 신호로부터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을 나간 시점을 확인하고, 애완동물이 나간 시점부터 일정 시간 후에 갈퀴 구동기(17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을 빠져나가고 일정 시간 후에 배설물 제거 갈퀴(166)를 작동시키는 것은 애완동물이 배변 베드(145) 위에 배변한 배설물(E)이 어느 정도 굳은 후 배설물(E)을 배설물 제거 갈퀴(166)로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배설물(E)이 굳기 전에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로 배설물(E)을 밀어내면 갈퀴 살(167)에 배설물(E)이 묻어 갈퀴 살(167)이 오염되기 쉽다. 반면, 배설물(E)이 어느 정도 굳은 후 배설물 제거 갈퀴(166)를 작동시키면 배설물(E)에 의한 갈퀴 살(167)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어 감지센서(182)(183)는 입구 도어(120) 및 출구 도어(125)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입구 도어(120)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도어 감지센서(182)는 입구 도어(12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175)에 송신한다. 출구 도어(125)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도어 감지센서(183)는 출구 도어(125)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175)에 송신한다. 제어유닛(175)은 도어 감지센서(182)(183)를 통해 입구 도어(120)의 열림 동작 및 출구 도어(125)의 열림 동작을 확인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입구(114)로 들어왔다가 출구(117)로 나간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유닛(175)은 도어 감지센서(182)(183)의 감지 신호로부터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을 나간 시점을 확인하고, 애완동물이 나간 시점부터 일정 시간 후에 갈퀴 구동기(17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이 있는 상태에서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작동하면 애완동물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제어유닛(175)은 적외선 센서(181)의 감지 신호와 도어 감지센서(182)(183)의 감지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작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애완동물의 배변실(111) 출입을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181)와 도어 감지센서(182)(183)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배변 베드(145)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감지유닛(18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배변 베드(145)의 고형물(S) 공급 시점을 알기 위해 설치된 무게 감지센서(177)가 감지유닛(180)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5)와, 메모리(187)와, 살균 램프(190, 이하, 'UV LED'라 한다)와, 통신부(192)와, 수납 서랍(194)을 포함한다. 수납 서랍(194)은 각종 애완동물 용품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85)는 하우징(1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애완동물 배변장치(100)의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정보나,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동작 여부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185)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75)이 감지유닛(180)의 감지 신호로부터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를 카운팅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185)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되는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를 보고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가 평소와 다르다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애완동물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될 수 있다.
메모리(187)는 제어유닛(175)과 통신하면서 하우징(110)을 출입하는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 배변실(111)로 들어가 배변 베드(145)에 올라가면 무게 감지센서(177)가 애완동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유닛(175)에 제공하고, 제어유닛(175)은 메모리(18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배변실(111)에 있는 애완동물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애완동물에 대한 배변 회수나, 배변 시간, 배변량 등을 메모리(187)에 저장하여 애완동물을 관리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배변량은 무게 감지센서(177)에 의해 감지되어 메모리(187)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87)에 저장되는 애완동물에 대한 각종 정보는 통신부(192)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통신부(192)는 와이파이망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활용될 수 있다. 통신부(192)를 통해 송신되는 애완동물에 대한 무게 정보, 배변량, 배변 회수, 배변 시간 등의 각종 정보는 애완동물 관리를 위한 서버가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애완동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UV LED(190)는 배변실(111)을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배변실(111)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UV LED(190)가 배변실(11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변 베드(145) 등 배변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배변실(111)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UV LED(190)는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램프로 변경될 수 있다.
UV LED(190)는 제어유닛(175)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유닛(175)은 적절한 타이밍에 UV LED(190)가 작동할 수 있도록 UV LED(190)를 ON/OFF 시킨다. UV LED(190)의 동작 시점이나, 작동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기능을 발휘하면서 애완동물에 해가 되지 않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UV LED(190)가 이용되는 경우, 제어유닛(175)은 애완동물이 배변실(111)로 들어온 상태에서 UV LED(1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이 입구 도어(120)의 개폐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대기 위치에 놓인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애완동물은 입구 도어(120)를 하우징(110) 안쪽으로 밀고 하우징(110)의 배변실(111)로 들어갈 수 있다. 애완동물이 입구 도어(120)를 밀고 배변실(111)로 들어가면, 감지유닛(180)이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175)에 송신한다.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의 배변 베드(145) 위에서 배변 후, 통로(113)를 거쳐 출구 도어(125)를 바깥쪽으로 밀고 하우징(110)을 빠져나가면 감지유닛(180)이 그 변화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175)에 송신한다. 애완동물은 배변실(111)에서 배설물 배출부(130) 또는 하우징(110) 내부에 애완동물이 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조물를 딛고 배변실(111) 위의 통로(113)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유닛(175)은 감지유닛(180)의 감지 신호로부터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에 들어왔다가 빠져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유닛(175)은 애완동물이 배변실(111)을 빠져나간 시점부터 일정 시간 후에 갈퀴 구동기(172)를 제어하여 배설물 제거 갈퀴(166)를 작동시킨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변 베드(145) 좌측단의 대기 위치에 있던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 위의 고형물(S)을 긁으면서 배변 베드(145)의 우측단으로 움직여 배변 베드(145)의 고형물(S) 위에 애완동물이 배변해 놓이는 배설물(E)을 걸러낸다. 즉, 복수의 갈퀴 살(167)은 배변 베드(145) 위의 고형물(S)을 긁으면서 움직여 고형물(S) 위의 배설물(E)을 배변 베드(145)의 우측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가압 돌기(169)가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을 밀어 배설물 배출구(131)를 개방시킴으로써 갈퀴 살(167)에 의해 고형물(S)에서 걸러진 배설물(E)이 배설물 배출구(131)를 통해 배설물 수거통(135)으로 떨어진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이는 동안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은 입구 도어(120)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입구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밀릴 때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갈퀴 살(167)과 간섭된다. 따라서 입구 도어(120)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이는 동안에는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열리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입구 도어(120)의 열림 제한 기능으로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움직이는 동안 애완동물은 배변실(111)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배설물 제거 갈퀴(166)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의 우측단까지 움직여 배변 베드(145)로부터 배설물(E)을 제거한 후, 제어유닛(175)은 갈퀴 살(167)이 다시 배변 베드(145) 좌측단까지 움직여 정지하도록 갈퀴 구동기(17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닛(175)은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를 카운팅하여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185)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되는 정보로부터 일정 시간(예컨대, 1일) 동안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애완동물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175)은 무게 감지센서(177)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배변 베드(145) 상의 고형물(S) 무게를 체크한다. 그리고 배변 베드(145) 상의 고형물(S) 무게가 설정된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유닛(175)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설물 제거 갈퀴(166)가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갈퀴 구동기(172)를 제어한다. 고형물 공급구(152)가 개방되어 배변 베드(145) 상에 고형물(S)이 공급되는 동안 제어유닛(175)은 무게 감지센서(177)로부터 감지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고형물 공급구(152)를 닫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75)은 배변 베드(145) 상의 고형물(S) 무게에 따라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고형물 공급구(152)의 개방 정도나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때때로 배설물 수거통(135)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에 수거된 배설물(E) 및 고형물(S)을 비우고 다시 하우징(110)에 결합하는 작업과, 고형물 저장부(150)에 고형물(S)을 보충해주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애완동물 배변장치(100)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110) 내측에 애완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배변 베드(145)가 구비되므로, 애완동물의 배변에 따른 배설물(E)의 냄새가 주위로 확산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고, 배변 베드(145)에 깔리는 모래 등의 고형물(S)에 의해 주위가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배변 베드(145) 위에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E)을 배설물 제거 갈퀴(166)로 자동으로 제거해줌으로써, 애완동물에게 쾌적한 배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배설물(E)을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배변 베드(145)에서 배설물(E)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배변 베드(145) 위에 고형물(S)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집을 비우더라도 애완동물에게 위생적인 배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애완동물의 배변 회수를 카운팅하고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배변 베드(145) 상의 고형물(S) 무게를 감지하고 배변 베드(145)에 고형물(S) 공급이 필요할 때, 배설물 제거 갈퀴(166)로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형물 저장부(150)의 고형물 공급구(152)를 개방함으로써, 배변 베드(145) 상에 고형물(S)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변 베드(145)가 적정량의 고형물(S)로 덮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배변실(111)과 배설물 수거실(112)을 연결하는 배설물 배출구(131)를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로 개폐시키고, 배변 베드(145)에서 배설물(E)을 배설물 수거실(112)로 배출할 때만 배설물 제거 갈퀴(166)로 배설물 배출구 도어(132)를 움직여 배설물 배출구(131)를 개방함으로써, 배설물 수거실(112)로 수거된 배설물(E)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배변실(111)로 쉽게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장치(100)는 입구(114)로 들어온 애완동물이 통로(113)를 거쳐 출구(117)를 통해 하우징(110)을 빠져나가게 하고, 통로(113)에서 애완동물로부터 떨어지는 고형물(S)을 고형물 제거판(140)의 통공들(141)을 통해 배변실(111)의 배변 베드(145)로 다시 수거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형물(S)이 배변 베드(145)에서 빠져나가는 고형물(S)의 유실량을 줄일 수 있고, 하우징(110) 주변이 고형물(S)로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이 배변 베드(145)의 바닥면(146)에 평행한 지지바(168)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배변 베드(145) 위의 고형물(S)을 긁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배설물 제거 갈퀴의 구체적인 구조나 동작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입구 도어(120)가 하우징(110)에 구비된 스토퍼(123)에 의해 바깥쪽으로의 열림이 제한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입구 도어는 하우징(110)의 입구(114)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출구 도어(125)가 하우징(110)에 구비된 스토퍼(127)에 의해 안쪽으로의 열림이 제한됨으로써 하우징(11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입구 도어는 하우징(110)의 입구(114)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고형물 공급구 도어(156)가 스프링(160)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면서 고형물 저장부(150)에 마련된 슬라이드 경사면(15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배설물 제거 갈퀴(166)의 갈퀴 살(167)에 의해 움직여 고형물 저장부(150)의 고형물 공급구(152)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애완동물 배변장치 110 : 하우징
111 : 배변실 112 : 배설물 수거실
113 : 통로 114 : 입구
117 : 출구 120 : 입구 도어
125 : 출구 도어 130 : 배설물 배출부
131 : 배설물 배출구 132 : 배설물 배출구 도어
135 : 배설물 수거통 140 : 고형물 제거판
145 : 배변 베드 150 : 고형물 저장부
151 : 고형물 저장실 152 : 고형물 공급구
153 : 고형물 가이드 154 : 슬라이드 경사면
156 : 고형물 공급구 도어 157 : 차폐부
158 : 걸림부 160 : 스프링
164 : 고형물 투입구 도어 166 : 배설물 제거 갈퀴
167 : 갈퀴 살 168 : 지지바
169 : 가압 돌기 170 : 작동 돌기
172 : 갈퀴 구동기 175 : 제어유닛
177 : 무게 감지센서 180 : 감지유닛
181 : 적외선 센서 182, 183 : 도어 감지센서
185 : 디스플레이 187 : 메모리
190 : UV LED 192 : 통신부

Claims (15)

  1. 내측에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실이 마련되고, 외면 일측에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실로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변실의 하측에 배설물 수거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변실에 설치되고, 고형물이 깔리는 바닥면을 갖는 배변 베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갈퀴 살로 상기 배변 베드 위의 배설물을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배변 베드 상측에 설치되는 배설물 제거 갈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와 결합되는 갈퀴 구동기;
    고형물을 저장하는 고형물 저장실 및 상기 고형물 저장실에 저장된 고형물을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 쪽으로 개방된 고형물 공급구를 갖는 고형물 저장부;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형물 공급구 도어; 및
    상기 갈퀴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베드 위에 깔리는 고형물의 무게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무게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배변 베드 위의 고형물 무게에 따라 상기 고형물 저장부에서 상기 배변 베드에 공급되는 고형물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무게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애완동물이 상기 하우징에서 나갈 수 있도록 외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출구와, 애완동물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배변실과 상기 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배변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애완동물로부터 떨어지는 고형물을 상기 배변실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배변실과 상기 통로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형물 제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입구 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도어는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복수의 갈퀴 살이 원래의 대기 위치를 벗어나 움직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갈퀴 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의 열림 동작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는 상기 복수의 갈퀴 살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갈퀴 구동기는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가 상기 지지바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베드의 바닥면은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의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갈퀴 살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미닫이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에는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에 대해 상기 고형물 공급구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공급구 도어는 상기 고형물 저장부의 고형물 공급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의 차폐부와,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갈퀴 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지는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배설물 수거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는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14. 내측에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실이 마련되고, 외면 일측에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실로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변실의 하측에 배설물 수거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변실에 설치되고, 고형물이 깔리는 바닥면을 갖는 배변 베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갈퀴 살로 상기 배변 베드 위의 배설물을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배변 베드 상측에 설치되는 배설물 제거 갈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와 결합되는 갈퀴 구동기;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상기 배변 베드에서 제거되는 배설물을 상기 하우징의 배설물 수거실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변실과 배설물 수거실을 연결하는 배설물 배출구를 갖는 배설물 배출부;
    상기 배설물 배출부의 배설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설물 배출구 도어; 및
    상기 갈퀴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제거 갈퀴의 복수의 갈퀴 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배설물 배출구 도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설물 배출구 도어를 향해 돌출된 가압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20160092583A 2016-07-21 2016-07-21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90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83A KR101903674B1 (ko) 2016-07-21 2016-07-21 애완동물 배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83A KR101903674B1 (ko) 2016-07-21 2016-07-21 애완동물 배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59A true KR20180010459A (ko) 2018-01-31
KR101903674B1 KR101903674B1 (ko) 2018-10-02

Family

ID=6108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583A KR101903674B1 (ko) 2016-07-21 2016-07-21 애완동물 배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7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478B1 (ko) * 2019-02-08 2019-04-12 박철훈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WO2020026176A3 (en) * 2018-08-01 2020-03-12 Barrera John Fernando Hernandez Hygienic filter and disposal device
KR102103122B1 (ko) * 2019-12-05 2020-04-21 이형수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20200074131A (ko) * 2017-10-18 2020-06-24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 배변을 처리하는 방법
KR102133031B1 (ko) *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KR102179451B1 (ko) * 2019-10-25 2020-11-16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
CN112189569A (zh) * 2020-08-20 2021-01-08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宠物厕所的多功能上盖
KR20210004511A (ko)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디엠에스 애완묘용 변구분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3903B1 (ko) * 2023-01-16 2023-04-20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IoT 기반 자동 고양이 화장실 장치
US11785914B2 (en) 2022-01-07 2023-10-17 Nickey Lee Kirkpatrick Enclosed litter box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119A (en) * 1996-05-03 1999-08-03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 Self cleaning pet litter box
JP2981163B2 (ja) * 1995-01-12 1999-11-22 ウォーターズ リサーチ カムパニー 猫のための自動清掃式汚物箱
WO2004103069A1 (ja) * 2003-05-20 2004-12-02 Hamada, Hiroyasu ペット排泄物の自動清掃包装装置および、ペット排泄物の収集材
US20110315084A1 (en) * 2010-05-27 2011-12-29 Miller Matthew J Cat litter box system
KR20150124098A (ko) *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0134A (ja) 2012-04-27 2013-11-14 Kozue Yamamoto カマ、クワ変幻くま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1163B2 (ja) * 1995-01-12 1999-11-22 ウォーターズ リサーチ カムパニー 猫のための自動清掃式汚物箱
US5931119A (en) * 1996-05-03 1999-08-03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 Self cleaning pet litter box
WO2004103069A1 (ja) * 2003-05-20 2004-12-02 Hamada, Hiroyasu ペット排泄物の自動清掃包装装置および、ペット排泄物の収集材
US20110315084A1 (en) * 2010-05-27 2011-12-29 Miller Matthew J Cat litter box system
US8683952B2 (en) * 2010-05-27 2014-04-01 Matthew J. Miller Cat litter box system
KR20150124098A (ko) *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2981163호(1999.11.22.) 1부. *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131A (ko) * 2017-10-18 2020-06-24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 배변을 처리하는 방법
WO2020026176A3 (en) * 2018-08-01 2020-03-12 Barrera John Fernando Hernandez Hygienic filter and disposal device
US11224199B2 (en) 2018-08-01 2022-01-18 John Fernando Hernandez Barrera Hygienic filter and disposal device
KR101968478B1 (ko) * 2019-02-08 2019-04-12 박철훈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KR20210004511A (ko)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디엠에스 애완묘용 변구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9451B1 (ko) * 2019-10-25 2020-11-16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2103122B1 (ko) * 2019-12-05 2020-04-21 이형수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20210102823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 배변자동처리시스템
KR20210102824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KR20210102822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화장실
KR20210102821A (ko) * 2020-02-11 2021-08-20 주식회사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102133031B1 (ko) *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
CN112189569A (zh) * 2020-08-20 2021-01-08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宠物厕所的多功能上盖
US11785914B2 (en) 2022-01-07 2023-10-17 Nickey Lee Kirkpatrick Enclosed litter box
KR102523903B1 (ko) * 2023-01-16 2023-04-20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IoT 기반 자동 고양이 화장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674B1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JP6821663B2 (ja) 脱着可能なリタートレイを有する動物の排泄物処理の円筒形システム
TWI669051B (zh) 排泄物收集裝置與應用其之智慧型排泄物收集系統
US5806461A (en) Catwalk litter box
JP4429270B2 (ja) ペット排泄物の自動清掃包装装置および、ペット排泄物の収集材。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US8316801B1 (en) Waste disposal system for canines
KR102004482B1 (ko)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KR102311170B1 (ko) 반려동물 배변자동처리시스템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968478B1 (ko)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CN110946081A (zh) 一种自动监控动物粪便的饲养笼
KR20190073048A (ko) 반려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200484639Y1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KR20140137115A (ko)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
KR101855966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KR102307252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KR102103122B1 (ko)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EP1062868B1 (de) Sanitäreinrichtung für Tiere und Betriebsverfahren für eine Sanitäreinrichtung für Tiere
KR20050103112A (ko)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과 배설물 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