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66B1 -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66B1
KR101855966B1 KR1020170011152A KR20170011152A KR101855966B1 KR 101855966 B1 KR101855966 B1 KR 101855966B1 KR 1020170011152 A KR1020170011152 A KR 1020170011152A KR 20170011152 A KR20170011152 A KR 20170011152A KR 101855966 B1 KR101855966 B1 KR 10185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along
companion animal
pow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연호
김가영
조은이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배변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배변공간에 위치하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기둥,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기둥 내부와 연결된 보관함, 상기 배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기둥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 있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구동부를 따라 회전하고 승강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기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내측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 내부를 향해 접힐 수 있는 복수의 망체,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망체를 각기 접는 복수의 힌지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Excrement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기 위해 집에서 기르는 동물을 말한다. 과거에는 사람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에서 애완동물이라는 명칭이 자주 쓰였다. 그러나 동물이 장난감 같은 존재가 아니라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자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이라고 주로 불리고 있다. 반려동물에는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 등의 포유류와 앵무새, 카나리아 등의 조류, 금붕어, 열대어 등의 어류, 이구아나, 카멜레온 등의 파충류 따위가 있다.
반려동물들 중 고양이, 강아지 등의 반려동물들은 적절한 훈련을 통해 일정 장소에서 배변하는 습관을 배울 수 있다. 배변장소 주변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지 않을 경우 위생적이지 못하여 배변 냄새가 발행하여 원활한 배변을 이루지 못하여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며, 애완동물은 물론 사람까지도 피부염, 호흡기 질환, 악취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228호 (2013.07.25.)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8532호 (2014.12.04.)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배변장소에서 대변, 소변을 배설하면 바로 수거하여 보관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배변장소를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는 내부에 배변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배변공간에 위치하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기둥,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기둥 내부와 연결된 보관함, 상기 배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기둥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 있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구동부를 따라 회전하고 승강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기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내측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 내부를 향해 접힐 수 있는 복수의 망체,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망체를 각기 접는 복수의 힌지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변공간에 출입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상기 승강구동부 및 상기 힌지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의 외부둘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기둥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동실린더 및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 사이 그리고 상기 전동실린더와 상기 승강블록 사이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기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블록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실린더의 로드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은 상기 걸림홈의 둘레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기둥의 외부둘레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격벽이 상기 기둥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격벽과 상기 기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과 상기 본체의 내부둘레 사이에는 분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망체는 각기, 상기 승강블록 상면과 힌지 연결된 결합부, 상기 격벽과 상기 본체의 내부둘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분체에 묻힐 수 있는 망부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망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 상기 망부재 및 상기 연결부 외곽을 따라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힌지가 위치하는 힌지홈을 가지는 제1 치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구동부에는 상기 제1 치차와 치합된 제2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체는 상기 승강블록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망부재 상기 승강블록 하강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으며, 경사진 상기 망부재는 상기 분체와 접하면 상기 분체를 파고들면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구동부의 구동으로 망체가 기둥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하여 망부재가 분체에 놓인 배변을 걸러내고, 수거부의 망체가 접히면서 망체가 기둥 내부를 향해 경사지면 배변이 기둥의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함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승강하고 접하는 망체에 의해 배변이 자동으로 수거되어 보관되므로 사람이 직접 배변을 치우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배변장소를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망체가 본체 내부에서 작동하고 분체는 통과하고 배변만 걸러내므로 분체의 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체가 다른 곳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변만 수거하고 분체는 남겨두므로 분체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망부재가 배변공간 바닥에 위치하여 분체 내부에서 나오므로 분체 속에 배변이 남아 있지 않아 배변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을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수거부 상승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수거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1)는 반려동물이 대변, 소변을 배설하면 바로 수거하여 반려동물의 배변 장소를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배변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 배변공간(11)에 위치하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기둥(20), 본체(10)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기둥(20) 내부와 연결된 보관함(30), 배변공간(11)에 위치하고 기둥(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 있는 승강구동부(40) 및 승강구동부(40)와 연결되어 있고 승강구동부(40)를 따라 회전하고 승강하는 수거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1)는,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어 기둥(20)과 본체(10) 내부 둘레 사이에 위치한 격벽(12), 본체(10)에 배치되어 있고 배변공간(11)에 출입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센서(80) 및 센서(80), 승강구동부(40) 및 수거부(70)의 힌지구동부(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80)와 제어부(90)는 널리 공지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려동물이 고양이인 경우 격벽(12)과 본체(10)의 내부둘레 사이에는 분체가 채워질 수 있다. 분체는 모래일 수 있다. 그러나 분체는 우드펠렛, 씨앗 등일 수 있다. 분체는 반려동물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분체의 채움 정도는 격벽(12) 높이를 넘지 않는다. 이에 분체는 격벽(12)과 기둥(20) 사이로 유입되지 않는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면을 통해 반려동물이 내부에 형성된 배변공간(11)으로 출입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는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외부둘레에는 본체(10)의 운반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 외부에서 배변공간(11)이 보일수록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변공간(11)은 바닥과 둘레를 갖는다.
기둥(2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배변공간(11)의 바닥 중앙에 배치되어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둥(20)은 배변공간(11)의 바닥에서 분리될 수 있다. 기둥(2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배변공간(11)의 바닥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상하 길이보다 짧다. 상하 관통된 기둥(20)의 내부는 본체(10)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배변공간(11)은 기둥(20) 내부를 통해 본체(10) 하면과 연통되어 있다. 기둥(20)의 외부둘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 가이드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 가이드홈(21)은 기둥(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 가이드홈(21)의 나선 피치(P)는 기둥(20)의 상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둥(20)의 상면은 외부둘레에서 내부둘레를 향해 경사져있다.
보관함(3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보관함(30)의 상부둘레 적어도 일부분은 본체(10)의 하부둘레 적어도 일부분과 결합되어 있다. 보관함(30)과 본체(10)는 끼움 결합되어 분리된다. 본체(10) 하면과 연통된 배변공간(11)은 보관함(30)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보관함(30)의 내부에는 위생봉투(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질 수 있다. 위생봉투의 입구는 기둥(2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면에는 위생봉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생봉투의 상부측 둘레가 보관함(30)의 상부둘레와 본체(10)의 하부둘레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관함(30)은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40)는 기둥(20)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기둥(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하는 승강블록(41), 승강블록(41)과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동실린더(50) 및 가이드돌기(412)와 나선형 가이드홈(21) 사이 그리고 전동실린더(50)와 승강블록(41) 사이에 각기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볼(60a, 60b)을 포함한다. 승강블록(41)은 기둥(20)을 따라 승강하면서 나선형 가이드홈(2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전동실린더(50)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전동실린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실린더(50)의 전동본체(51)는 본체(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동실린더(50)의 로드(52)는 배변공간(11) 바닥을 통해 승강블록(41)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다.
승강블록(41)은 내부 중앙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기둥(20)이 관통하는 블록본체(411), 블록본체(411) 내부둘레에서 기둥(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선형 가이드홈(21)에 삽입된 가이드돌기(412)를 포함한다. 블록본체(411)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실린더(50)의 로드(52) 상부에는 걸림홈(413)에 걸리는 걸림턱(521)이 형성되어 있다. 볼(60b)은 걸림홈(413)의 둘레와 걸림턱(521) 사이에 위치한다.
전동실린더(50)의 로드(52) 작동에 따라 승강블록(41)은 나선형 가이드홈(21)을 따라 움직이면서 기둥(20)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나선형 가이드홈(21)이 기둥(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승강블록(41)은 기둥(20) 주변을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즉, 승강블록(41)이 기둥(20)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드(52)가 전동실린더(50) 외부로 인출되면 승강블록(41)을 밀어올리게 된다. 승강블록(41)은 기둥(20)을 따라 상승하려고 하나 나선형 가이드홈(21)에 의해 직선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나선형 가이드홈(21)을 따라 움직이면서(기둥 둘레를 회전하면서) 기둥(20)을 따라 상승하여 기둥(20)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블록(41)이 기둥(20)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드(52)가 전동실린더(50) 내부로 인입되면 승강블록(41)은 기둥(20)을 따라 하강하여 기둥(20)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기둥(20) 하부측에 위치한 승강블록(41)은 격벽(12)과 기둥(20)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승강블록(41)은 분체와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배변공간(11)의 바닥을 기준으로 승강블록(41)의 상면은 격벽(12)의 상면보다 높다.
승강블록(41)이 승강할 때 볼(60a)은 나선형 가이드홈(21)의 둘레와 접하여 회전하고, 볼(60b)은 걸림홈(413) 둘레와 접하여 구름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나선형 가이드홈(21)을 따라 회전하는 승강블록(41)의 회전력은 도모될 수 있다.
수거부(70)는 기둥(20)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내측을 기준으로 기둥(20) 내부를 향해 접힐 수 있는 복수의 망체(72a, 72b, 72c, 70d), 그리고 복수의 망체(72a, 72b, 72c, 70d)를 각기 접는 복수의 힌지구동부(73)를 포함한다. 복수의 망체(72a, 72b, 72c, 70d)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 부채꼴 모양이다. 도면에서 망체(72a, 72b, 72c, 70d)를 4개로 도시하였으나 망체(72a, 72b, 72c, 70d)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망체(72a, 72b, 72c, 70d)는 각기, 승강블록(41) 상면에 배치되어 일측이 기둥(20)과 근접된 내측 상면과 힌지(71) 연결된 결합부(721), 격벽(12)과 본체(10)의 내부둘레 사이에 위치하여 분체에 묻힐 수 있는 망부재(723), 결합부(721)와 망부재(723)를 연결하는 연결부(724) 및 결합부(721), 망부재(723) 및 연결부(724) 외곽을 따라 배치되어 상부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725)을 포함한다.
결합부(721)의 일측에는 힌지(71)가 위치하는 힌지홈(722a)을 갖는 제1 치차(722)가 형성되어 있다.
망부재(723)에는 분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망부재(723)의 구멍의 직경은 분체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망부재(723) 승강블록(41) 하강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하강하는 망부재(723)가 분체와 접하면 분체를 파고들면서 회전한다. 이에 망부재(723) 분체 속에 묻힐 수 있다.
힌지구동부(73)는 승강블록(4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힌지구동부(73)에는 제1 치차(722)와 치합된 제2 치차(731)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블록(41)이 기둥(20) 상부측에 위치하면 힌지구동부(73)의 작동으로 망체(72a, 72b, 72c, 70d)는 힌지(71)를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접힐 수 있으며 기둥(20)의 내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탈방지턱(725)은 결합부(721), 망부재(723) 및 연결부(724)에 위치한 배변을 기둥(20) 내부로 가이드하여 배변이 가장자리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는 기둥(20) 상부측에 승강블록(41)이 위치함을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 승강블록(41)이 기둥(20) 하부측에 위치함을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 및 망체(72a, 72b, 72c, 70d)가 힌지(71)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제어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90)에 인가하고 제어부(90)는 센서들의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동실린더, 힌지구동부 등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기둥(20)의 내부에는 차단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차단부재(22)는 복수의 시트가 분할되어 가장자리가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차단부재(22)는 기둥(20) 내부를 통해 떨어지는 배변의 무게에 의해 보관함(30) 내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차단부재(22)는 보관함(30) 내부와 본체(10) 내부가 기둥(2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관함(30)의 배변 냄새가 기둥(20) 내부를 통해 배변공간(1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체(10)에는 승강구동부(40) 및 수거부(70)의 동작을 알리는 알림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알림부는 소리, 음향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강블록(41)이 기둥(20) 하부측에 위치하고 망체(72a, 72b, 72c, 70d)가 배변공간(11) 바닥에 근접되어 있어 분체 속에 위치한다. 반려동물인 고양이가 본체(10) 내부로 들어와 배변공간(11)에서 배변활동 후 본체(10) 밖으로 나간다. 이때 반려동물의 배변은 분체 위에 위치한다. 센서(80)는 반려동물의 출입을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90)는 전동실린더(50)에 작동시켜 로드(52)가 인출 되도록 한다. 로드(52)의 작동으로 승강블록(41)을 나선형 가이드홈(21)을 따라 움직(회전)이면서 기둥(20) 상부측으로 이동한다. 승강블록(41)의 회전으로 망체(72a, 72b, 72c, 70d) 또한 승강블록(41)을 따라 회전하면서 분체 외부로 나온다. 이때 분체는 망부재(723)의 구멍으로 빠져 나가고 배변은 망부재(723)의 구멍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걸러져 망부재(723)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배변은 망부재(723)에 의해 기둥(20) 상부측에 위치한다.
제어부(90)는 승강블록(41)이 기둥(20) 상부측에 위치하면 힌지구동부(73) 들이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신호를 인가한다. 힌지구동부(73)의 구동으로 망체(72a)는 힌지(71)를 기준으로 정회전하여 외측이 들린다. 이에 망체(72a)의 상면이 기둥(20)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된다. 망부재(723)의 상면에 위치한 배변은 상면을 따라 기둥(20) 내부를 향해 구르게 된다. 배변은 기둥(20) 내부를 통해 보관함(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위생봉투가 결합된 경우 배변은 위생봉투 내부로 유입된다.
외측이 들린 망체(72a)는 힌지구동부(73)의 구동으로 힌지(71)를 기준으로 역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 망체(72a, 72b, 72c, 70d)들이 원상태로 복귀하면 전동실린더(50)의 로드(52)는 인입된다. 승강블록(41)은 나선형 가이드홈(21)을 따라 움직이면서 기둥(20)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승강블록(41)의 움직임으로 망체(72a, 72b, 72c, 70d)들 또한 기둥(20)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경사진 망부재(723)는 분체와 접하며, 회전하는 망부재(723)의 경사 각도에 의해 망부재(723)는 분체를 파고들어 분체 내부에 위치한다. 보관함(30)을 본체(10)와 분리하여 보관함(30)에 보관된 배변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구동부(40)의 구동으로 망체(72a, 72b, 72c, 70d)가 기둥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하여 망부재(723)가 분체에 놓인 배변을 걸러낼 수 있다. 그리고 망체(72a, 72b, 72c, 70d)가 힌지(71)를 기준으로 기둥(20) 내부를 향해 기울어지게 되면서 망부재(723)의 배변이 기둥(20)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함으로 수거된다. 이에 승강하고 접하는 망체(72a, 72b, 72c, 70d)에 의해 배변이 자동으로 수거되어 보관되므로 반려동물의 배변장소를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더불어, 망체(72a, 72b, 72c, 70d)가 본체(10) 내부에서 작동하고 분체는 통과하고 배변만 걸러내므로 분체의 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체가 다른 곳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변만 수거하고 분체는 남겨두므로 분체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승강구동부(40) 및 수거부(70) 동작 중 반려동물이 배변공간(11)으로 들어오면 샌서(80)는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승강구부(40) 및 수거부(70)는 원상태(수거부(70)가 분체속에 있는 상태)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10: 본체
11: 배변공간 12: 격벽
20: 기둥 21: 나선형 가이드홈
30: 보관함 40: 승강구동부
41: 승강블록 411: 블록본체
412: 가이드돌기 413: 걸림홈
50: 전동실린더 51: 몸체
52: 로드 521: 걸림턱
60a, 60b: 볼 70: 수거부
71: 힌지 72a, 72b, 72c, 70d: 망체
721: 결합부 722: 제1 치차
722a: 힌지홈 723: 망부재
724: 연결부 725: 이탈방지턱
73: 힌지구동부 731: 제2 치차
80: 센서 90: 제어부
22: 차단부재 피치

Claims (8)

  1. 내부에 배변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배변공간에 위치하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기둥,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기둥 내부와 연결된 보관함,
    상기 배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기둥을 따라 움직이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부를 따라 움직이는 수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기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내측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 내부를 향해 접힐 수 있는 복수의 망체,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망체를 각기 접는 복수의 힌지구동부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변공간에 출입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상기 승강구동부 및 상기 힌지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기둥의 외부둘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기둥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동실린더 및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 사이 그리고 상기 전동실린더와 상기 승강블록 사이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볼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기둥을 따라 승강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승강블록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실린더의 로드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은 상기 걸림홈의 둘레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본체 내부둘레 사이에 위치한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기둥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격벽과 상기 기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과 상기 본체의 내부둘레 사이에는 분체가 채워질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망체는 각기,
    상기 승강블록 상면과 힌지 연결된 결합부,
    상기 격벽과 상기 본체의 내부둘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분체에 묻힐 수 있는 망부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망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 상기 망부재 및 상기 연결부 외곽을 따라 형성된 이탈방지턱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힌지가 위치하는 힌지홈을 가지는 제1 치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구동부에는 상기 제1 치차와 치합된 제2 치차가 형성된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망체는 상기 승강블록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망부재 상기 승강블록 하강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으며, 경사진 상기 망부재는 상기 분체와 접하면 상기 분체를 파고들면서 회전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20170011152A 2017-01-24 2017-01-24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85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52A KR101855966B1 (ko) 2017-01-24 2017-01-24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52A KR101855966B1 (ko) 2017-01-24 2017-01-24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966B1 true KR101855966B1 (ko) 2018-06-20

Family

ID=6276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152A KR101855966B1 (ko) 2017-01-24 2017-01-24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9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11Y1 (ko) * 2018-08-17 2019-11-22 곽민서 반려동물 배설물 제거장치
EP3714684A1 (en) * 2019-03-27 2020-09-30 MoDoDo Co. Ltd Automatic cat litter box cleansing structure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716A (ja) * 2005-05-10 2006-12-21 Yasunobu Toneaki 猫用トイレ
KR200468228Y1 (ko) 2011-06-15 2013-08-01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20140138532A (ko) 2013-05-24 2014-12-04 김순자 고양이 화장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716A (ja) * 2005-05-10 2006-12-21 Yasunobu Toneaki 猫用トイレ
KR200468228Y1 (ko) 2011-06-15 2013-08-01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20140138532A (ko) 2013-05-24 2014-12-04 김순자 고양이 화장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11Y1 (ko) * 2018-08-17 2019-11-22 곽민서 반려동물 배설물 제거장치
EP3714684A1 (en) * 2019-03-27 2020-09-30 MoDoDo Co. Ltd Automatic cat litter box cleansing structure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966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4437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cats to use a toilet bowl
KR101972224B1 (ko) 반려견 배변장치
US8316801B1 (en) Waste disposal system for canines
US4886014A (en) Pet litter box
KR102311167B1 (ko)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KR20140138532A (ko) 고양이 화장실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EP2618653B1 (en) Litter box for domestic animals
KR102646548B1 (ko) 크래들의 틸트를 이용하여 배변 및 모래를 분리하는 배변처리장치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CN113287531B (zh) 一种宠物卫生系统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JP6981622B2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装置
KR101809458B1 (ko) 애완견 용변 자동 처리기
US20220217937A1 (en) Litter scooping receptacle
KR200484639Y1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CN211960500U (zh) 一种新型宠物兔集便器
CN215774797U (zh) 自动猫砂盆
CN111528115A (zh) 一种基于埋猫砂的宠物猫窝的使用方法
CN111479461B (zh) 狗厕所
KR20190065560A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KR101992710B1 (ko) 고양이 배설물 분리장치
US5803016A (en) Cleanable waste depository for small animal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